KR101003216B1 - 삼엽 단면 피오와이를 적용한 자발신장 가공사 및 그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삼엽 단면 피오와이를 적용한 자발신장 가공사 및 그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216B1
KR101003216B1 KR1020050086823A KR20050086823A KR101003216B1 KR 101003216 B1 KR101003216 B1 KR 101003216B1 KR 1020050086823 A KR1020050086823 A KR 1020050086823A KR 20050086823 A KR20050086823 A KR 20050086823A KR 101003216 B1 KR101003216 B1 KR 101003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y
denier
yarn
spontaneous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2517A (ko
Inventor
박시량
손양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050086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3216B1/ko
Publication of KR20070032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2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8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fibres, filaments, or yarns, having different shrinkag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02G3/045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all components being made from artificial or synthetic material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4Bulked yarns or threads, e.g. formed from staple fibre components with different relaxation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08Interlacing constituent filaments without breakage thereof, e.g. by use of turbulent air strea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67Shapes or effects upon shrinkag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노 데니어(mono denier)의 굵기가 0.5 ~ 2 de이고, 총 데니어가 50 ~ 120 de인 삼엽 단면의 폴리에스테르 POY를 사용하여 이를 자발신장공법을 적용하여, 9 ~ 25%의 O/F(over feed)를 부여하고 모노 데니어의 굵기가 1 ~ 10 de이고, 총 데니어가 30 ~ 120 de인 폴리에스터 SDY와 공기교락 함으로써 가공사의 총 데니어가 100 ~ 250 데니어가 되는 이형단면 자발신장 가공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형단면 자발신장 가공사는 삼엽 단면의 POY로 인하여 독특한 터치와 우아한 광택을 얻을 수 있고, POY의 O/F에 따라 볼륨감 및 벌키감의 조절이 가능하며, 또 흡한속건성 등의 기능성을 가진다.
이형단면 자발신장 가공사, 삼엽 단면 POY, 공기교락, 볼륨감.

Description

삼엽 단면 피오와이를 적용한 자발신장 가공사 및 그 제조방법{The method for preparation of self-extending polyester composite yarn with trilobal cross sectional POY}
본 발명은 삼엽 단면 미연신사(POY;Partially Oriented Yarn)에 자발신장성을 부여한 성분 (A)와 일반 레귤러(regular) 연신사(SDY;Spin Draw Yarn) (B)의 공기교락을 통하여 제조한 자발신장 가공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원사를 사용하여 제직 또는 염가공한 직물은 마이크로(micro) 터치, 우수한 드레이프성 및 균염성을 발현할 수 있다.
수축율 등 물성이 서로 다른 원사를 공기 교락을 통해 ITY(Interlaced Textured Yarn)를 만드는 방법은 가공사 제조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서 SDY의 탄력감과 POY의 농색성, 부드러운 터치 및 저렴한 제조비 등으로 인해 초창기에 폭발적인 수요 증가를 이루었다. 최근에 와서는 에어젯 텍스쳐링(air jet texturing), 가연법 등 다양한 사가공 공법이 적용되어 향상된 품질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지만, 제조비가 싸고 공법이 단순한 장점 때문에 여전히 ITY가 대량의 저가 제품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종래에 농염성을 지닌 직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이형 단면사를 사용하는 방법이 일본 공개 특허 JP03119133A2호에 소개되어 있으나, 이 경우 적용하는 두 원사의 비수 수축율 차이가 없기 때문에 벌키성 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JP07109665A2호에 의하면, 알칼리에 대한 용해도 차가 있는 2종의 폴리머를 적용한 비수 수축율 15% 이상의 고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와 동일한 구성의 비수 수축율 7% 이하인 저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복합사를 사용하여 제직 후 감량함으로서 알칼리 이용성 부분을 제거한 이형단면 복합사를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복합사를 사용하여 제직한 원단은 우수한 반발탄성과 이형단면에 의한 독특한 터치 및 피치스킨조의 감성을 보이지만, 몇 가지의 단점을 가지고 있다. 우선 심·초사로 적용되는 원사는 복합방사를 통해 생산해야 하므로 원가 상승이 불가피하며 제직 후 감량을 통해 초(Sheath)부분을 녹여내므로 중량 면에서 불리하다. 또한, 감량에 의해 녹아나가는 초부분은 폐수 처리 비용을 추가적으로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수축 혼섬 가공사를 이용한 직물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염색 시 심·초사간 색차를 줄여 향상된 균염성을 보이며, 극대화된 이수축 효과로 인해 벌키감이 우수하고, 이 원단으로 만든 의류는 부드러운 터치 및 독특한 광택을 가지며, 이형도가 큰 삼엽 단면 POY를 적용함으로써, 겉보기 데니어의 증가로 인해 보다 풍부한 벌키감을 가져 종래의 이수축 혼섬 가공사 직물지와 대비할 때 현저하게 우수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자발신장 가공사 및 그 제조방 법을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를 두고 있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삼엽 단면 POY를 사용하여 제조한 것이다. 상기 삼엽 단면이란 삼각형의 무게중심으로부터 각 꼭지점 방향으로 세 개의 가지가 뻗어있는 형태의 횡단면 형태를 말한다. 여기서, 한 성분의 사(A)는 반드시 폴리에스테르 삼엽 단면 POY로 구성하고, 상기 POY는 모노 데니어(mono denier)의 굵기가 0.5 ~ 2 데니어이고, 총 데니어가 50 ~ 120 데니어인 것이다. 다른 성분의 사(B)는 모노 데니어(mono denier)의 굵기가 1 ~ 10 데니어이고, 총 데니어가 30 ~ 120 데니어인 폴리에스테르 레귤러(regular) SDY이다. 한 성분의 사(A)를 자발신장 공법을 적용하여 9 ~ 25%의 오버피드(O/F)를 부여한 후 다른 성분의 사(B)와 2 ~ 5 kgf의 공기압으로 공기교락시킨다. 두 성분 (A)와 (B)의 중량비는 40 ~ 60% : 60 ~ 40% 가 되도록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한 성분(A)의 총 데니어가 40% 미만이면 직물 제조 시 원단의 터치가 저하되고, 60% 초과이면 후가공 공정성이 저하된다.
또한, 가공사의 한 성분의 사(A)에 자발신장성을 부여하는 공정에서 오버피드(overfeed, O/F)가 9% 미만, 핫롤러(Hot Roller, HR) 온도가 95℃ 미만, 핫플레이트(Hot Plate, HP) 온도가 150℃ 미만일 경우 자발신장성이 부여되지 않으며, O/F가 25% 초과, HR 온도가 115℃ 초과, HP 온도가 170℃ 초과이면 공정성이 저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자발신장 공법을 거친 한 성분의 사(A)는 의료용 섬유로서 요구되는 기본적인 물성 및 다른 성분의 사(B)와의 공기교락에 의해 제조되는 자발신장 가공사의 벌키성, 균염성 등의 특성을 고려할 때, 강도 1.5 ~ 2.5g/d, 신도 110 ~ 160%, 비수수축율 -10 ~ 5%의 물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발신장 공법을 거친 한 성분의 사(A)의 강도가 1.5g/d 미만이면 핀사 등이 발생하여 제품성이 떨어지고, 비수수축율이 5%를 초과하면 심사인 SDY(B)와의 수축율 차가 작아 풍부한 후도감을 발현시킬 수 없다.
균일한 교락도를 얻고 핀사 발생 등을 억제하기 위해 인터레이싱(Interlacing) 시의 공기압은 선택한 사종에 따라 적합하게 설정해야 하며, 모노 데니어가 작고 필라(fila)수가 많은 원사를 사용할 경우에는 2 ~ 3 kgf, 모노 데니어가 크고 필라수가 적은 원사를 사용할 경우에는 3 kgf 이상으로 하여 일반 ITY 작업 조건에 준하여 작업을 실시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SD(쎄미덜) 120데니어 72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삼엽 단면 POY를 한 성분의 사(A)로 사용하여 O/F 16%로 처리하여 자발신장성을 부여하고 이와 동시에 신도 40%의 80데니어 12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SDY를 다른 성분의 사(B)로 사용하여 이들을 공기(air)압 3.5kgf로 인터레이싱한다. 이때, 상기 POY는 HR(Hot Roller) 온도 105℃, HP(Hot Plate) 온도 160℃로 하여 처리하며 열처리 후의 물성은 강도 2.2g/d, 신도 115%, 비수 수축율 -2%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자발신장 가공사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직, 염색 및 가공하여 후가공 원단을 제조한 후 이들의 품질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실시예 2>
SD 85데니어 72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삼엽 단면 POY를 한 성분의 사(A)으로 사용하여 O/F 16%로 처리하여 자발신장성을 부여하고, 이와 동시에 신도 40%의 80데니어 12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SDY(B)와 공기(air)압 3.0kgf로 인터레이싱한다. 이때, 상기 POY는 HR 온도 103℃, HP 온도 160℃로 하여 처리하며 열처리 후의 물성은 강도 2.0g/d, 신도 120%, 비수 수축율 -5%이다.
이와 같이 제조된 자발신장 가공사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직, 염색 및 가공하여 후가공 원단을 제조한 후 이들의 품질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예 1>
신도 40%의 80데니어 12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SDY와 신도 115%의 120데니어 72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삼엽 단면 POY를 공기(air)압 3.5kgf로 공기교락하여 혼섬사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직, 염색 및 가공하여 후가공 원단을 제조한 후 이들의 품질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예 2>
신도 40%의 80데니어 12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SDY와 신도 120%의 85데니어 72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삼엽 단면 POY를 공기(air)압 3.0kgf로 교락하여 혼섬사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직, 염색 및 가공하여 후가공 원단을 제조한 후 이들의 품질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비교예 3>
신도 40%의 80데니어 12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SDY와 신도 130%의 120데니어 72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원형 단면 POY를 공기(air)압 3.5kgf로 공기교락하여 혼섬사를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사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직, 염색 및 가공하여 후가공 원단을 제조한 후 이들의 품질을 평가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표 1> 원단 품질 평가 결과
Figure 112005051993758-pat00001
원단품질 평가는 섬유직종 종사자 40인의 육안 및 감성테스트 결과 30명 이상이 우수하다고 판단하는 경우를 매우 양호로, 20명 이상이 우수하다고 판단하는 경우를 양호로, 10명 이상이 우수하다고 판단하는 경우를 보통으로, 9명 이하가 우 수하다고 판단하는 경우를 불량으로 판정하였다.
본 발명의 삼엽 단면 POY를 적용한 자발신장 가공사는 기존의 SDY와 POY의 합사 방법에 비해 초사로 사용된 삼엽 단면 POY에 O/F를 부여하여 자발신장성을 지니게 하였으므로 염색성 차가 감소되어 균염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극대화된 이수축효과를 통해 풍부한 볼륨감을 가진 직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삼엽 단면 POY를 적용하였기 때문에 실제 데니어 대비 겉보기 데니어가 커져서 풍부한 벌키성을 지닐 뿐만 아니라 흡한속건성 등의 기능성을 가지며, 후가공으로 부여한 기능성과는 달리 세탁 등에 의해 상기 기능성들이 저하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가공조건에 따라서 광택과 터치를 다양하게 발현시킬 수 있다.

Claims (3)

  1. 모노 데니어(mono denier)의 굵기가 0.5 ~ 2 데니어이고, 총 데니어가 50 ~ 120 데니어인 폴리에스테르 삼엽 단면 미연신사(POY)를 오버피드(overfeed, O/F) 9 ~ 25%, 핫롤러(HR) 온도 95 ~ 115℃, 핫플레이트(HP)의 온도 150 ~ 170℃의 조건으로 처리한 자발신장 미연신사(POY) (A)와 모노 데니어(mono denier)의 굵기가 1 ~ 10 데니어이고, 총 데니어가 30 ~ 120 데니어인 폴리에스테르 연신사(SDY) (B)를 교락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엽 단면 POY를 적용한 자발신장 가공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자발신장 처리한 미연신사(POY) (A)는 강도 1.5 ~ 2.5g/d, 신도 110 ~ 160%, 비수 -10 ~ 5%의 물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엽 단면 POY를 적용한 자발신장 가공사의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한항의 방법으로 제조한 삼엽 단면 POY를 적용한 자발신장 가공사를 포함하는 직, 편물.
KR1020050086823A 2005-09-16 2005-09-16 삼엽 단면 피오와이를 적용한 자발신장 가공사 및 그제조방법 KR101003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823A KR101003216B1 (ko) 2005-09-16 2005-09-16 삼엽 단면 피오와이를 적용한 자발신장 가공사 및 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823A KR101003216B1 (ko) 2005-09-16 2005-09-16 삼엽 단면 피오와이를 적용한 자발신장 가공사 및 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517A KR20070032517A (ko) 2007-03-22
KR101003216B1 true KR101003216B1 (ko) 2010-12-21

Family

ID=41560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823A KR101003216B1 (ko) 2005-09-16 2005-09-16 삼엽 단면 피오와이를 적용한 자발신장 가공사 및 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3216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0427A (ja) * 1989-10-11 1991-06-04 Teijin Kakoshi Kk 改善されたドレープ風合を呈するポリエステル系混繊糸
JPH07189065A (ja) * 1993-12-28 1995-07-25 Toray Textile Kk 不均一複合加工糸及びその製造方法
KR970000810A (ko) * 1995-06-16 1997-01-21 차량의 시트에 형성되는 어린이 보호대
JPH09273043A (ja) * 1996-04-04 1997-10-21 Mitsubishi Rayon Co Ltd 自発伸長性ポリエステルフィラメント糸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自発伸長性ポリエステルフィラメント糸含有混繊糸
KR19980022420A (ko) * 1996-09-23 1998-07-06 김준웅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직물
KR100460002B1 (ko) * 1998-01-03 2005-01-17 주식회사 새 한 드라이감이 우수한 방모조 폴리에스터 이수축 혼섬사
KR100552313B1 (ko) * 1998-06-03 2006-02-20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Y자형의 3잎형 단면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및 이를 이용한 직물
KR100814249B1 (ko) * 2004-12-31 2008-03-17 주식회사 효성 농염성 자발신장 가공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0427A (ja) * 1989-10-11 1991-06-04 Teijin Kakoshi Kk 改善されたドレープ風合を呈するポリエステル系混繊糸
JPH07189065A (ja) * 1993-12-28 1995-07-25 Toray Textile Kk 不均一複合加工糸及びその製造方法
KR970000810A (ko) * 1995-06-16 1997-01-21 차량의 시트에 형성되는 어린이 보호대
JPH09273043A (ja) * 1996-04-04 1997-10-21 Mitsubishi Rayon Co Ltd 自発伸長性ポリエステルフィラメント糸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自発伸長性ポリエステルフィラメント糸含有混繊糸
KR19980022420A (ko) * 1996-09-23 1998-07-06 김준웅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직물
KR100460002B1 (ko) * 1998-01-03 2005-01-17 주식회사 새 한 드라이감이 우수한 방모조 폴리에스터 이수축 혼섬사
KR100552313B1 (ko) * 1998-06-03 2006-02-20 도요 보세키 가부시키가이샤 Y자형의 3잎형 단면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및 이를 이용한 직물
KR100814249B1 (ko) * 2004-12-31 2008-03-17 주식회사 효성 농염성 자발신장 가공사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517A (ko) 2007-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19090B2 (ja) すかし模様の形成された伸縮性布帛および製造方法
KR100540558B1 (ko) 잠재 신축성 공기교락사 및 상기 사로 제조한 신축성스웨이드조 직물
KR100737976B1 (ko) 신장성 공기교락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직물의제조 방법
WO2013074539A1 (en) Woven fabric made of twisted yarn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0829480B1 (ko)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US3472017A (en) Specific filament yarns
JP2007308812A (ja) ストレッチ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03216B1 (ko) 삼엽 단면 피오와이를 적용한 자발신장 가공사 및 그제조방법
KR101003199B1 (ko) 편평 단면 피오와이를 적용한 자발신장 가공사 및 그제조방법
JPH0411006A (ja) 耐摩擦溶融性複合繊維及びその仮撚加工糸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スポーツ衣料
JP6234866B2 (ja) ポリエステル複合仮撚糸の製造方法
JP2008156762A (ja) 複合加工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958520B1 (ko) 폴리에스테르 농염 이수축 혼섬 가공사의 제조방법
JP2018053405A (ja) 扁平断面ポリヘキサメチレンアジパミド繊維および繊維製品
KR100814249B1 (ko) 농염성 자발신장 가공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000517B1 (ko)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자발신장 가공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087684A (ko) 멜란지 효과를 가진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복합사
KR100624369B1 (ko) 소모조 잠재 권축사
CN110685061A (zh) 一种仿真丝针织面料及其制备方法
WO2015152998A1 (en) A bicomponent georgette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KR101261010B1 (ko) 폴리에스테르 자발신장 가공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3503B1 (ko) 중공사가 혼합된 염반 방적사 및 그 제조방법
JP4202210B2 (ja) 混繊糸及び織編物及び着古し外観を有する縫製品
JP4317082B2 (ja) レース編地
KR100260024B1 (ko) 촉감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아세테이트 복합직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