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827B1 -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827B1
KR101002827B1 KR20040034845A KR20040034845A KR101002827B1 KR 101002827 B1 KR101002827 B1 KR 101002827B1 KR 20040034845 A KR20040034845 A KR 20040034845A KR 20040034845 A KR20040034845 A KR 20040034845A KR 101002827 B1 KR101002827 B1 KR 101002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veraging
path
reception
correlation
recei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34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9175A (ko
Inventor
후까다히로유끼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040099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3Determination of path prof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69Spread spectrum techniques
    • H04B1/707Spread spectrum techniques using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1/7097Interference-related aspects
    • H04B1/711Interference-related aspects the interference being multi-path interference
    • H04B1/7115Constructive combining of multi-path signals, i.e. RAKE receivers
    • H04B1/7117Selection, re-selection, allocation or re-allocation of paths to fingers, e.g. timing offset control of allocated fin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group of H04B3/00 - H04B13/00
    • H04B2201/69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 H04B2201/707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read spectrum techniques in general relating to direct sequence modulation
    • H04B2201/70707Efficiency-related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수신 신호와 참조 신호와의 상관값을 평균화하는 횟수를 적절하게 제어한다. 평균화를 행하지 않으면, 패스 다이나믹 분포의 상관 레벨의 하한값 TH_A가, 패스가 존재하지 않는 타이밍 분포의 상관 레벨의 상관값 TH_B보다 크기 때문에, 패스의 상관값이 노이즈에 묻히게 된다. 따라서, TH_A>TH_B가 되기까지, 평균화를 행하면 충분하므로, 그 시점에서 평균화를 중지한다. TH_A 및 TH_B는, 파일럿 채널의 RSCP, ISCP 및 수신 기저 대역 신호의 RSSI로부터 결정할 수 있다.
Figure R1020040034845
분산, 상관, 평균화

Description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 및 기록 매체{PORTABLE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1)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2는 상관 검출부(122)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패스가 존재하는(하지 않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패스가 존재하는(하지 않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을 평균화한 것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평균화 제어부(18)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패스가 존재하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 및 패스가 존재하지 않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의 확립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TH_A<TH_B(도 6a), TH_A=TH_B(도 6b), TH_A>TH_B(도 6c)일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평균화 제어부(18)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타이밍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RF 수신부
12 : 멀티패스 타이밍 검출부
14 : 핑거부
16 : 레벨 측정부(제1 수신 상황 측정 수단)
17 : 총 수신 레벨 측정부(제2 수신 상황 측정 수단)
18 : 평균화 제어부
20 : 패스 할당 제어부
122 : 상관 검출부
124 : 프로파일 평균화부
126 : 패스 검출부
본 발명은 무선 전송로에 있어서의 멀티패스의 검출에 관한 것이다.
DS-SS(직접 확산 스펙트럼 확산 방식)에서는, 무선 전송로에 있어서의 멀티패스(복수의 전달 경로)를 검출하고, 이들 수신 신호를 레이크(Rake) 합성함으로써, 페이징의 영향을 경감하여, 품질이 높은 통신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크 합성하는 멀티패스를 양호한 정밀도로 검출하는 것은 직접 스펙트럼 확산 무선 통신의 수신 장치에 있어서는 중요한 기능이다.
멀티패스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수신 신호와 참조 신호와의 상관 연산이 필 요하다. 또한, 멀티패스의 검출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상관 연산을 복수회 행하고, 평균화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들 연산 처리는, 수신 처리 전체적인 측면에서 볼 때 비교적 규모가 크다. 따라서, 평균화 횟수(동작 시간)를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수신 장치의 소비 전력을 저감하는데 중요하다.
수신 신호와 참조 신호와의 상관 연산을 행하는 상관기의 출력 레벨에 따라 평균화 횟수를 결정함으로써, 평균화 횟수를 억제하는 방법은,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에 기재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에는 불필요한 누적 가산을 생략하는 등의 동작 시간을 억제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2002-26768호 공보(요약)
[특허 문헌 2]
일본 특개2001-267958호 공보(요약)
[특허 문헌 3]
일본 특개2001-136101호 공보(요약)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상관기의 출력 레벨을 이용하여 평균화 횟수를 결정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우선, 상관기의 출력은 복소 상관값이고, 동상 가산에 의한 평균화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동상 가산에 의한 평균화는 곤란하다. 따라서, 상관기의 출력을 전력 또는 진폭으로 변환한 후에 평균화한다. 그러나, 동상 가산에 의한 평균화에 비하여, 레벨의 측정 정밀도가 열화된다. 이와 같이 정밀도가 열화한 상관기의 출력을 이용하여, 평균화 횟수를 결정하게 되므로, 평균화 횟수를 적정하게 결정할 수 없다.
또한, 상관기의 출력 레벨은 과거의 수신 상황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으로, 현재의 수신 상황에 기초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현재의 수신 상황에 따른 평균화 횟수를 도출할 수 없다.
또한, 실제의 수신 장치에서는, 핑거의 수가 유한적이다. 즉, 할당 가능한 패스의 수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이상의 수의 패스를 검출하는 것은 불필요한 처리를 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에서는, 할당 가능한 핑거 수에 의한, 평균화 횟수의 제한이 행해지지 않아,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신 신호와 참조 신호와의 상관값을 평균화하는 횟수를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는, 상관 검출 수단, 평균화 수단, 패스 검출 수단, 제1 수신 상황 측정 수단, 평균화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상관 검출 수단은 수신 기저 대역 신호와 참조 부호 계열과의 상관을 취한다. 평균화 수단은, 상관 검출 수단을 평균화한다. 패스 검출 수단은 평균화 수단의 출력에 기초하여, 수신 기저 대역 신호에 있어서의 패스를 검출한다. 제1 수신 상황 측정 수단은 수신 기저 대역 신호와 동시에 수신되는 동시 수신 신호의 수 신 상황을 측정한다. 평균화 제어 수단은 측정된 동시 수신 신호의 수신 상황에 기초하여, 평균화 수단에 의한 평균화의 횟수를 제어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는, 제2 수신 상황 측정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수신 상황 측정 수단은, 수신 기저 대역 신호의 수신 상황을 측정한다. 또한, 평균화 제어 수단은, 측정된 동시 수신 신호의 수신 상황 및 측정된 수신 기저 대역 신호의 수신 상황에 기초하여 평균화 수단에 의한 평균화의 횟수를 제어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1)의 구성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1)는, RF 수신부(10), 멀티패스 타이밍 검출부(12), 핑거부(14), 레벨 측정부(제1 수신 상황 측정 수단)(16), 총 수신 레벨 측정부(제2 수신 상황 측정 수단)(17), 평균화 제어부(18), 패스 할당 제어부(20)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한 각 블록은,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1)의 수신 처리를 행하기 위한 것이다. 송신 처리를 행하는 부분, 이용자와의 인터페이스의 부분 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와는 직접적으로는 관계가 없기 때문에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RF 수신부(10)는 수신한 RF(radio frequency) 신호를 다운 컨버트(down-convert)하여, 원하는 수신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멀티패스 타이밍 검출부(12)는 기저 대역 신호에 있어서의 복수의 패스를 검출한다. 멀티패스 타이밍 검출부(12)는 상관 검출부(122), 프로파일 평균화부(124), 패스 검출부(126)를 갖는다.
상관 검출부(122)는 수신 기저 대역 신호와 참조 부호 계열과의 상관을 취한다. 참조 부호 계열은, 예를 들면 송수 쌍방에서 기지의 파일럿 신호이다. 수신 기저 대역 신호를 r(t), 참조 부호 계열을 c(k)(k=0, 1, …)로 하면, 상관 검출부(122)는 임의의 시간 편이 τ에 있어서 r(t)과, 임의의 참조 부호 위상 φ에 있어서의 c(k)의 상호 상관 corr(φ, τ)을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구한다. 단, c(k)는 공통 파일럿 채널(CPICH)의 송신 신호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지의 심볼 패턴과 기지의 확산 부호가 합성되어 있다.
Figure 112004020674074-pat00001
Ncoherent : 동상 상관검출 칩 수
Tchip : 칩 시간
Figure 112004020674074-pat00002
단,
Figure 112004020674074-pat00003
: 모든 k에 있어서
Code(R) : 확산부호계열(골드 부호 주기 38400)
Code(k) =Code(R+38400)
그리고, 상관 검출부(122)는 상호 상관 corr(φ, τ)에 기초하여, 상호 상관 corr(φ, τ)의 진폭 corrabs(φ, τ)를 출력한다. 진폭 corrabs(φ, τ)는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은 것이다.
Figure 112004020674074-pat00004
도 2에 상관 검출부(122)의 구성을 도시한다. 상관 검출부(122)는 초기 지연기(122a), 지연기(122b), 승산기(122c), 가산기(122d), 제산기(122e), 진폭 검출기(122f)를 갖는다.
초기 지연기(122a)는 수신 기저 대역 신호 r(t)를, Tchip만큼 지연시킨다. 지연기(122b)는 초기 지연기(122a)의 출력을 Tchip씩 지연시킨다. 승산기(122c)는 초기 지연기(122a) 및 지연기(122b)의 출력을 참조 부호 계열 c(k)와 승산한다. 가산기(122d)는 승산기(122c)의 출력을 합계한다. 제산기(122e)는 가산기(122d)의 출력을 Ncoherent로 나눈다. 이에 의해, 상호 상관 corr(φ, τ)이 구해진다. 진폭 검출기(122f)는, 가산기(122d)의 출력인 상호 상관 corr(φ, τ)의 진폭을 구한다.
이와 같이 상관을 취한 경우, 잡음이나 간섭이 없으면 패스가 존재하는 타이밍(시간 편이)에서의 상관 레벨(상관 검출부(122)의 출력)이, 패스가 존재하지 않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보다 분명하게 커진다. 따라서, 패스가 존재하는 타이 밍을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잡음이나 간섭이 큰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스가 존재하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은, 패스가 존재하지 않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보다 명확하게 크다고는 할 수 없다. 오히려, 패스가 존재하지 않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을 지나친다.
프로파일 평균화부(124)는, 상관 검출부(122)의 출력을 평균화함으로써, 패스가 존재하는 타이밍(시간 편이)에서의 상관 레벨(상관 검출부(122)의 출력)이, 패스가 존재하지 않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보다 명확하게 커지게 된다.
프로파일 평균화부(124)는 상관 검출부(122)의 출력을 시간 편이 τ 별로 평균화한 것을 평균화 상관 프로파일로서 출력한다. Nave 회 평균화가 행해진 경우의 평균화 상관 프로파일 profile(τ)은,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은 것이다.
Figure 112004020674074-pat00005
상관 검출부(122)의 출력을 평균화한 경우, 노이즈는 충분히 긴 시간, 평균을 취하면, 패스가 존재하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이, 패스가 존재하지 않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보다 명확하게 커진다(도 4 참조).
패스 검출부(126)는, 프로파일 평균화부(124)가 출력하는 평균화 상관 프로파일로부터, 복수의 패스 타이밍과 패스 레벨을 출력한다. 예를 들면, 각 시간 편이 τ별로, 평균화 상관 프로파일과, 소정의 임계값을 비교한다. 평균화 상관 프 로파일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면, 그 평균화 상관 프로파일의 τ를 패스 타이밍으로 한다. 또, 패스 타이밍이 검출되면, 그것을 기초로 복수의 패스가 레이크(Rake) 합성된다.
핑거부(41)는 복수의 패스를 수신하기 위한, 복수의 능동 상관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통신 중에는 항상 동작하고 있다. 핑거부(14)에서는, 음성이나 데이터 등의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채널과 동시에, 송신측과의 동기를 취하기 위한 파일럿 채널(CPICH)을 수신하고 있다. 파일럿 채널은 수신 기저 대역 신호와 동시에 수신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파일럿 채널은 기지의 신호 패턴으로 송신되고 있으며, 수신측에서는 파일럿 채널을 역확산함으로써 송수신의 위상차나 수신 레벨을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파일럿 채널을 역확산하고, 그 결과로부터 수신 레벨을 측정함으로써, 멀티패스 타이밍 검출 처리의 평균화 제어에 이용한다.
각각의 능동 상관기로부터는 Tchip×SF 시간마다 역확산 결과가 출력된다. i번째 출력되는 능동 상관기 j의 파일럿 체널의 역확산 결과(역확산 심볼) pilot_despread는,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은 것이다.
Figure 112004020674074-pat00006
τj: 능동 상관기 j에서 역확산하는 시간 편이(패스 타이밍)
SF : 파일럿 채널의 확산율
상기한 역확산 결과가, 핑거부(14)로부터 출력되고, 레벨 측정부(16)에 입력된다. 핑거부(14)는 상관 검출부(122)와는 달리, 하나의 능동 상관기 j는 하나의 시간 편이 τj에 대해서만 상관 연산을 행한다. 또한, 상기한 역확산 심볼은 평균화 제어부(18)에 의한 평균화 제어에 상관없이 항상 출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핑거부(14)의 출력은, 복수의 패스의 레이크(Rake) 합성에 사용된다. 레이크(Rake) 합성 후의 데이터는, 오류 정정, 나아가서는 어플리케이션(음성, 화상 데이터 등)에 사용된다.
레벨 측정기(제1 수신 상황 측정 수단)(16)는 핑거부(14)로부터 출력되는 파일럿 채널의 역확산 결과를, 동상 가산 평균화하고, 전력화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역확산 결과를 동상 가산 평균화함으로써, 고정밀한 RSCP(Received Signal Code Power; 희망파 수신 전력) 및 ISCP(Interference Signal Code Power; 간섭파 수신 전력)의 측정을 행할 수 있다. 레벨 측정부(16)는 핑거마다 RSCP 및 ISCP를 측정한다. 핑거 j에서 수신하고 있는 패스의 RSCP 및 ISCP는 하기의 수학식 5와 같다.
Figure 112004020674074-pat00007
Nmes : 평균화 측정 심볼수
RSCP_finger(j, i) : 핑거 번호 j, 제i 번째의 RSCP 측정값
ISCP_finger(j, i) : 핑거 번호 j, 제i 번째의 ISCP 측정값
이와 같이, 역확산 결과를 또한 Nmes개, 동상 가산하여 평균화함으로써 고정밀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
총 수신 레벨 측정부(제2 수신 상황 측정 수단)(17)는, 수신 기저 대역 신호의 전체 전력을 측정함으로써, 총 수신 레벨, 즉 수신 신호 강도 표시 신호(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측정한다. 즉, 수신 신호 r(t)을 전력화하고, 평균화하여 RSSI를 얻는다. RSSI는 하기의 수학식 6과 같다.
Figure 112004020674074-pat00008
NRSSI : RSSI 측정 평균화 횟수
RSSI(i) : 제 i번째의 RSSSI 측정값
평균화 제어부(18)는 레벨 측정부(제1 수신 상황 측정 수단)(16)의 측정 결과 및 총 수신 레벨 측정부(제2 수신 상황 측정 수단)(17)의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프로파일 평균화부(124)에 의한 평균화의 횟수를 제어한다.
도 5에 평균화부(18)의 구성을 도시한다. 평균화 제어부(18)는 제1 통계량 결정부(182a), 제2 통계량 결정부(182b), 제1 적산부(184a), 제2 적산부(184b), 패스 할당 수 판정부(185), 제1 분포 위치 추정부(186a), 제2 분포 위치 추정부(186b), 평균화 판정부(188)를 갖는다.
제1 통계량 결정부(182a)는 레벨 측정부(16)로부터 RSCP 및 ISCP를 받아, 패스가 존재하는 시간 편이에서의 상관값 분포의 평균 PA, 분산 PV를 결정한다. PA, PV는 하기의 수학식 7과 같다.
Figure 112004020674074-pat00009
또, 상기한 수학식의 계수는 RSCP/ISCP에 따라 다르며, 하기의 표 1, 표 2와 같다.
Figure 112004020674074-pat00010
Figure 112004020674074-pat00011
제2 통계량 결정부(182B)는 총 수신 레벨 측정부(17)로부터 RSSI를 받아, 패 스가 존재하지 않는 시간 편이에서의 상관값 분포의 평균 NA, 분산 NV를 결정한다. NA, NV는 하기의 수학식 8과 같다.
Figure 112004020674074-pat00012
또, 상기한 수학식 8의 계수는 하기의 표 3과 같다.
Figure 112004020674074-pat00013
제1 적산부(184a)는 패스가 존재하는 시간 편이에서의 상관값 분포의 평균 PA, 분산 PV를 하기의 수학식 9와 같이 적산한다. 제2 적산부(184b)는 패스가 존재하지 않는 시간 편이에 있어서의 상관값 분포의 평균 NA, 분산 NV를 하기의 수학식 9와 같이 적산한다.
Figure 112004020674074-pat00014
예를 들면, PA_add(1)=PA(1)이고, PA_add(2)=PA_add(1)+PA(2)=PA(1)+PA(2)이고, PA_add(3)=PA_add(2)+PA(3)=PA(1)+PA(2)+PA(3)이다.
이러한 적산 결과, PA_add(N), PV_add(N), NA_add(N), NV_add(N)는 N회 평균화 후의 평균, 분산을 나타낸다. 상관이 없는(공분산이 0인) 랜덤한 계열을 각각 가산한 경우, 가산 후의 계열의 평균과 분산은, 가산 전의 각각의 계열의 평균, 분산의 합이 되기 때문이다.
패스 할당수 판정부(185)는 핑거부(14)로부터 파일럿 채널에 할당된 패스의 수를 받아, 할당된 패스의 수가, 할당 가능한 패스의 수 상한에 도달해 있는지를 판정한다. 즉, 할당 가능한 패스 수의 상한에 도달해 있지 않으면, 모든 핑거에 패스가 할당되어 있는 것으로 된다.
제1 분포 위치 추정부(186a)는 N회 평균화 후의, 패스가 존재하는 시간 편이에서의 상관값 분포의 평균 PA_add(N), 분산 PV_add(N)에 기초하여 패스가 존재하는 시간 편이에서의 상관값 분포(구체적으로는 하한값 TH_A)를 추정한다.
파일럿 채널에 할당된 패스의 수가, 할당 가능한 패스 수의 상한에 도달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하기의 수학식 10과 같이 하여 TH_A를 결정한다.
Figure 112004020674074-pat00015
MaxFinger : PA_add가 최대인 핑거의 번호
α, β: TH_A, TH_B 결정용의 파라미터
단, α, β는 하기의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Figure 112004020674074-pat00016
파일럿 채널에 할당된 패스의 수가, 할당 가능한 패스 수의 상한에 도달해 있는 경우에는, 하기의 수학식 11과 같이 하여 TH_A를 결정한다. α, β는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Figure 112004020674074-pat00017
MinFinger : PA_add가 최소인 핑거의 번호
α, β: TH_A, TH_B 결정용의 파라미터
제2 분포 위치 추정부(186b)는 N회 평균화한 후의, 패스가 존재하지 않는 시간 편이에서의 상관값 분포의 평균 NA_add(N), 분산 NV_add(N)에 기초하여, 패스가 존재하는 시간 편이에서의 상관값 분포(구체적으로는, 상한값 TH_B)를 추정한다.
하기의 수학식 12와 같이 하여 TH_B를 결정한다. α, β는 상기한 바와 마찬가지이다.
Figure 112004020674074-pat00018
α, β: TH_A, TH_B 결정용의 파라미터
평균화 판정부(188)는, 제1 분포 위치 추정부(186a)로부터 TH_A를, 제2 분포 위치 추정부(186b)로부터 TH_B를 받는다. 그리고, TH_A>TH_B(또는 TH_A≥TH_B)이면 프로파일 평균화부(124)에 의한 평균화를 완료시킨다. 이것은 TH_A>TH_B이면, 프로파일 평균화부(124)의 평균화에 의해, 패스가 존재하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이, 패스가 존재하지 않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보다 명확하게 커지기 때문이다.
왜, TH_A>TH_B이면, 그와 같은 것을 말할 수 있는 것인지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평균화를 전혀 행하지 않은(또는 횟수는 불충분한) 경우에는, 패스가 존재하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 및 패스가 존재하지 않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의 확립 분포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 된다. 즉, 패스가 존재하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은, 패스가 존재하지 않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보다 높은 것이 많지만, 패스가 존재하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이 패스가 존재하지 않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을 하회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패스가 존재하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의 하한값 TH_A<패스가 존재하지 않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의 상한값 TH_B인 것이다. 이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스가 존재하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을 지나치게 된다.
따라서, 평균화를 행한다. 그렇게 하면, 패스가 존재하지 않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이, 패스가 존재하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에 비해, 작아져 간다. 평균화를 반복하면, 머지않아 TH_A<TH_B의 상태로부터 TH_A=TH_B의 상태(도 6b 참조), 그리고 TH_A>TH_B의 상태(도 6c 참조)로 된다. TH_A>TH_B이면, 패스가 존재하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이 패스가 존재하지 않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을 하회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스가 존재하는 타이밍에서의 상관 레벨이 명확해진다.
또, 파일럿 채널에 할당된 패스의 수가, 할당 가능한 패스 수의 상한에 도달해 있는지에 따라, TH_A 및 TH_B를 구하는 핑거 번호가 변하는 것은 이하의 이유에 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스 타이밍이 검출되면, 그에 기초하여 복수의 패스가 레이크(Rake) 합성된다. 레이크(Rake) 합성에서는, 복수의 패스에 대하여 신호를 합성함으로써, 패스 다이버시티 효과에 의한 레이크 합성 이득이 얻어져, 수신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파일럿 채널에 할당된 패스의 수가, 할당 가능한 패스 수의 상한에 도달해 있지 않은 경우, 멀티패스 중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레벨의 패스에 대하여 레이크 합성을 행하는 것은, 레이크 합성 이득이 낮아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PA_add가 최대인 핑거 번호에 대하여 TH_A를 구한다. 이것은, 멀티패스 중에서 상대적으로 최고 레벨인 패스가, 지나치지 않고 검출되면, 더 평균화를 행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평균화의 횟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멀티패스 중에서 상대적으로 최고 레벨인 패스만으로 레이크 합성을 행할 수 있으면, 레이크 합성 이득이 높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레이크 합성을 행할 수 있다.
한편, 파일럿 채널에 할당된 패스의 수가, 할당 가능한 패스 수의 상한에 도달해 있는 경우, 할당되어 있는 패스 중 최저 레벨인 것보다 더 낮은 레벨의 패스에 대해서 검출을 행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PA_add가 최소인 핑거 번호에 대해서 TH_A를 구한다. 이는, 멀티패스 중에서 상대적으로 최저 레벨인 패스를, 지나치지 않고 검출할 수 있으면, 더 평균화를 행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의해, 평균화의 횟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패스 할당 제어부(20)는, 패스 검출부(126)로부터 출력된 패스 타이밍과 패스 레벨 및 모든 핑거에 할당되어 있는 패스의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 품질이 최대로 되도록 핑거로 수신해야 할 패스를 결정하고, 핑거부(14)에의 패스의 할당 제어를 행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평균화 제어부(18)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타이밍차트이다.
우선,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1)의 RF 수신부(10)는 RF 신호를 수신하고, 다운컨버트하여, 원하는 수신 기저 대역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수신 기저 대역 신호는, 핑거부(14)에 송신되고, 핑거부(14)에 의해 파일럿 채널이 역확산된다.
수신 기저 대역 신호는 상관 검출부(122)에 의해 참조 부호 계열과 상관이 취해지고, 상관 레벨은 프로파일 평균화부(124)에 의해 평균화된다(T10; 도 8 참조). 동일 타이밍에서, 핑거부(14)의 출력에 대하여 레벨 측정부(16)에 의해 RSCP 및 ISCP가 측정된다(T10). 또한, 동일 타이밍에서, 총 수신 레벨 측정부(17)에 의해 수신 기저 대역 신호에 대하여 RSSI가 측정된다(T10).
여기서, 평균화 제어부(18)는 레벨 측정부(16)에 의해 측정된 RSCP 및 ISCP와, 총 수신 레벨 측정부(17)에 의해 측정된 RSSI에 기초하여, 평균화 제어를 행한 다(T12). 또, 평균화 제어부(18)는 상관 검출부(122)에 의해 참조 부호 계열과의 상관이 취해져 있는 수신 기저 대역 신호 및 그와 동시에 수신되고 있는 파일럿 채널에 기초하여 평균화 제어를 행하는 것에 유의하길 바란다.
도 7을 참조하여, 우선 적산량 PA_add(N), PV_add(N), NA_add(N), NV_add(N)를 초기화, 즉 0으로 한다(S10). 다음으로, 제1 통계량 측정부(182a)가 RSCP 및 ISCP를 취득하고(S12a), 제2 통계량 결정부(182b)가 RSSI를 취득한다(S12b). 그리고, 제1 통계량 결정부(182a)가 패스가 존재하는 시간 편이에서의 상관값 분포의 평균 PA, 분산 PV를 결정한다(S14a). 또한, 제2 통계량 결정부(182b)가 패스가 존재하지 않는 시간 편이에서의 상관값 분포의 평균 NA, 분산 NV를 결정한다(S14b). 또한, 제1 적산부(184a)가 PA, PV를 적산하여 PA_add, PV_add를 얻는다(S16a). 제2 적산부(184b), NA, NV를 적산하여 NA_add, NV_add를 얻는다(S16b).
여기서, 패스 할당 수 판정부(185)에 의해, 파일럿 채널에 할당된 패스의 수가, 할당 가능한 패스 수의 상한에 도달해 있는지를 판정한다(S18). 즉, 모든 핑거에 패스가 할당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파일럿 채널에 할당된 패스의 수가, 할당 가능한 패스의 상한에 도달해 있지 않으면(S18, 아니오), 제1 분포 위치 추정부(186a)(제2 분포 위치 추정부(186b))는 PA_add가 최대인 핑거 번호에 대하여, TH_A(TH_B)를 결정한다(S20a).
파일럿 채널에 할당된 패스의 수가, 할당 가능한 패스의 상한에 도달해 있으면(S18, 예), 제1 분포 위치 추정부(186a)(제2 분포 위치 추정부(186b))는 PA_add가 최소인 핑거 번호에 대하여, TH_A(TH_B)를 결정한다(S20b).
그리고, 평균화 판정부(188)가, TH_A>TH_B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S22). TH_A>TH_B가 아니면(S22, 아니오), 다음 회의 상관 검출부(122) 및 프로파일 평균화부(124)의 동작 완료까지 대기한다(S24).
여기서, 도 8을 참조하면, T12에서, TH_A≤TH_B이므로, 다음 회의 상관 검출부(122) 및 프로파일 평균화부(124)의 동작 타이밍(T20)의 완료까지, 평균화 제어부(18)는 대기한다. 상관 검출부(122) 및 프로파일 평균화부(124)의 동작 타이밍(T20)과 동일한 타이밍에서 레벨 측정부(16) 및 총 수신 레벨 측정부(17)도 동작한다(T21).
따라서, 평균화 제어부(18)는, 레벨 측정부(16)에 의해 측정된 RSCP 및 ISCP와, 총 수신 레벨 측정부(17)에 의해 측정된 RSSI에 기초하여, 평균화 제어를 행한다(T22). 이 때에는, 도 7을 참조하여, 제1 통계량 결정부(182a)에 의한 RSCP 및 ISCP의 취득(S12a), 및 제2 통계량 측정부(182b)에 의한 RSSI의 취득(S12b)이 행해진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지고, TH_A>TH_B가 아니므로(S22, 아니오), 또한 다음 회의 상관 검출부(122) 및 프로파일 평균화부(124)의 동작 완료까지 대기한다(S24).
이와 같이 하여, 프로파일 평균화부(124)의 평균화가 반복된다.
그리고, N회째 평균화(T30)에 의해, TH_A>TH_B로 된 것으로 한다. 그러면, 도 7을 참조하여, TH_A>TH_B이므로(S22, 예), 프로파일 평균화부(124)의 평균화를 완료시키고(N+1회째의 평균화는 행하지 않음), 패스 검출부(126)에 의해, 복수의 패스 타이밍과 패스 레벨을 출력시킨다(S26).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 기저 대역 신호와 동시에 수신되는 파일롯 채널의 수신 상황에 기초하여 평균화의 횟수를 제어하기 때문에, 현재의 수신 상황에 기초하여 평균화의 횟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평균화의 횟수의 제어에, 상관 검출부(122)의 출력을 사용하는 것은 아니므로, 상관 검출부(122)의 출력의 정밀도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는, 이하와 같이 하여 실현할 수 있다. CPU, 하드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미디어(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CD-ROM, 메모리 스틱 등) 판독 장치를 구비한 컴퓨터의 미디어 판독 장치에, 상기한 각 부분(예를 들면, 평균화 제어부(18)의 각 부)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미디어를 판독시키어, 하드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에 인스톨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도, 상기한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5)

  1. 수신 기저 대역 신호와 참조 부호 계열의 상관을 취하는 상관 검출 수단과,
    상기 상관 검출 수단을 평균화하는 평균화 수단과,
    상기 평균화 수단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기저 대역 신호에서의 패스를 검출하는 패스 검출 수단과,
    수신 기저 대역 신호와 동시에 수신되는 동시 수신 신호의 수신 상황을 측정하는 제1 수신 상황 측정 수단과,
    측정된 상기 동시 수신 신호의 수신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평균화 수단에 의한 평균화의 횟수를 제어하는 평균화 제어 수단
    을 구비한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 수신 신호는 파일럿 채널인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 수신 신호의 수신 상황은 희망파 수신 전력(RSCP) 및 간섭파 수신 전력(ISCP)인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화 제어 수단은, 상기 동시 수신 신호의 수신 상황에 기초하여, 패스가 존재하는 타이밍에서의 상관값 분포를 추정하는 제1 분포 위치 추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평균화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분포 위치 추정 수단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평균화 수단에 의한 평균화의 횟수를 제어하는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포 위치 추정 수단은, 상기 동시 수신 신호에서의 최대 레벨의 패스의 수신 상황에 기초하여, 패스가 존재하는 타이밍에서의 상관값 분포를 추정하는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포 위치 추정 수단은, 상기 동시 수신 신호에서의 최소 레벨의 패스의 수신 상황에 기초하여, 패스가 존재하는 타이밍에서의 상관값 분포를 추정하는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 수신 신호가 할당되는 패스의 수인 패스 할당수가 상한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패스 할당수 판정 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분포 위치 추정 수단은, 패스 할당수가 상한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에는, 상기 동시 수신 신호에서의 최대 레벨의 패스의 수신 상황을 측정하고, 또한 패스 할당수가 상한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동시 수신 신호에서의 최소 레벨의 패스의 수신 상황을 측정하는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분포 위치 추정 수단은, 패스가 존재하는 타이밍에서의 상관값 분포의 하한값을 결정하는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기저 대역 신호의 수신 상황을 측정하는 제2 수신 상황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평균화 제어 수단은, 측정된 상기 동시 수신 신호의 수신 상황 및 측정된 상기 수신 기저 대역 신호의 수신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평균화 수단에 의한 평균화의 횟수를 제어하는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기저 대역 신호의 수신 상황은 수신 신호 강도 표시 신호(RSSI)인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화 제어 수단은, 상기 수신 기저 대역 신호의 수신 상황에 기초하여, 패스가 존재하지 않는 타이밍에서의 상관값 분포를 추정하는 제2 분포 위치 추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평균화 제어 수단은, 상기 제2 분포 위치 추정 수단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평균화 수단에 의한 평균화의 횟수를 제어하는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분포 위치 추정 수단은, 패스가 존재하지 않는 타이밍에서의 상관값 분포의 상한값을 결정하는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
  13.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에서의 평균화 제어 처리를 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수신 기저 대역 신호와 참조 부호 계열의 상관을 취하는 상관 검출 단계와,
    상기 상관 검출 수단을 평균화하는 평균화 단계와,
    상기 평균화 수단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기저 대역 신호에서의 패스를 검출하는 패스 검출 단계와,
    수신 기저 대역 신호와 동시에 수신되는 동시 수신 신호의 수신 상황을 측정하는 제1 수신 상황 측정 단계와,
    측정된 상기 동시 수신 신호의 수신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평균화 수단에 의한 평균화의 횟수를 제어하는 평균화 제어 단계
    를 포함하는 휴대 정보 단말기에서의 평균화 제어 처리 방법.
  14. 삭제
  15. 수신 기저 대역 신호와 참조 부호 계열의 상관을 취하는 상관 검출 수단과, 상기 상관 검출 수단을 평균화하는 평균화 수단과, 상기 평균화 수단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기저 대역 신호에서의 패스를 검출하는 패스 검출 수단과, 수신 기저 대역 신호와 동시에 수신되는 동시 수신 신호의 수신 상황을 측정하는 제1 수신 상황 측정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에서의 평균화 제어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측정된 상기 동시 수신 신호의 수신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평균화 수단에 의한 평균화의 횟수를 제어하는 평균화 제어 처리
    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040034845A 2003-05-16 2004-05-17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 및 기록 매체 KR101002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39237 2003-05-16
JP2003139237A JP2004343542A (ja) 2003-05-16 2003-05-16 携帯情報通信端末、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175A KR20040099175A (ko) 2004-11-26
KR101002827B1 true KR101002827B1 (ko) 2010-12-21

Family

ID=3302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34845A KR101002827B1 (ko) 2003-05-16 2004-05-17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72897B2 (ko)
EP (1) EP1478098B1 (ko)
JP (1) JP2004343542A (ko)
KR (1) KR101002827B1 (ko)
CN (1) CN100356705C (ko)
AU (1) AU2004202051B2 (ko)
DE (1) DE60200401387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1357B2 (ja) * 2002-05-22 2004-10-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及び拡散コード推定方法
JPWO2007100024A1 (ja) * 2006-02-22 2009-07-23 日本電気株式会社 送信タイミング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基地局及び移動局
TW200822623A (en) * 2006-05-03 2008-05-16 Avocent Corp Remote session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US9225386B2 (en) * 2007-11-20 2015-12-29 Sony Corporation Method for placement of fingers with G-Rake advanced receiver
JP4721074B2 (ja) 2008-04-23 2011-07-13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725083B2 (en) * 2008-05-13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Self calibration of downlink transmit power
CN101605003B (zh) * 2008-06-11 2012-08-08 电信科学技术研究院 干扰信号码功率的测量方法及装置
FR2943193B1 (fr) 2009-03-13 2011-04-01 St Ericsson Sa Procede d'affectation et de liberation d'un correlateur dans un recepteur de type rake et recepteur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67700A2 (en) 1999-07-06 2001-01-10 Nec Corporation RAKE receiver
US20020003791A1 (en) 2000-07-07 2002-01-10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2246B2 (ja) * 1999-07-21 2002-09-09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スサーチ装置および方法
WO2001067627A1 (fr) * 2000-03-06 2001-09-13 Fujitsu Limited Recepteur amcr et detecteur d'un tel recepteur
JP2001285129A (ja) * 2000-03-29 2001-10-12 Nec Corp Cdma復調回路及び復調方法
JP2001308744A (ja) * 2000-04-19 2001-11-02 Nec Corp 移動通信復調装置及びその復調方法並びにその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EP1233536B1 (en) * 2000-09-29 2007-12-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emodulator and demodulating method
JP3813490B2 (ja) * 2001-10-30 2006-08-23 富士通株式会社 スペクトラム拡散レイク受信機
US7010019B2 (en) * 2002-09-18 2006-03-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ssessment of delay estimation quality using interference estimates
JP4226442B2 (ja) * 2002-11-14 2009-02-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67700A2 (en) 1999-07-06 2001-01-10 Nec Corporation RAKE receiver
US20020003791A1 (en) 2000-07-07 2002-01-10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78098A2 (en) 2004-11-17
US7372897B2 (en) 2008-05-13
JP2004343542A (ja) 2004-12-02
AU2004202051A1 (en) 2004-12-02
CN100356705C (zh) 2007-12-19
EP1478098A3 (en) 2005-11-16
EP1478098B1 (en) 2008-05-21
KR20040099175A (ko) 2004-11-26
DE602004013877D1 (de) 2008-07-03
US20040228394A1 (en) 2004-11-18
CN1551521A (zh) 2004-12-01
AU2004202051B2 (en) 200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35360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and demodulation method
US858262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the accuracy of the estimated covariance matrix in wideband-CDMA systems
US77514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ressing interference based on channelization code power estimation with bias removal
EP0989685A2 (en) CDMA rake receiver
US7529554B2 (en) Subtractive multipath delay detection
RU2425443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корреляций чиповых выборок в одной или нескольких операциях обработки принятого сигнала
EP1543634B1 (en) Assessment of delay estimation quality using interference estimates
JP3943062B2 (ja) Cdma受信装置、cdma受信方法、cdma受信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EP0982871B1 (en) CDMA Rake reception signal combining
JP2005535176A (ja) 相関後のソフトしきい値処理による受信cdma信号の電力測定
US201301360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airment Correlation Estimation in MIMO Systems
KR101002827B1 (ko) 휴대 정보 통신 단말기 및 기록 매체
US8064497B2 (en) Selecting delay values for a rake receiver
US7167505B2 (en) Radio receiving apparatus and radio receiving method
JP3440919B2 (ja) マルチパス検出回路
US8411725B2 (en) Channel geometry detector
EP1628409B1 (en) A power level measuring device and a mobile station
KR0160187B1 (ko) Cdma방식수신장치
JP3719997B2 (ja) 直接スペクトラム拡散通信の受信装置
JP4369832B2 (ja) 受信レベル測定回路
KR100421413B1 (ko) 코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에서 분할 역확산된 파일럿심볼을 이용한 신호대간섭비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JP2001196968A (ja) レイク受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