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786B1 -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 - Google Patents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786B1
KR101002786B1 KR1020100088122A KR20100088122A KR101002786B1 KR 101002786 B1 KR101002786 B1 KR 101002786B1 KR 1020100088122 A KR1020100088122 A KR 1020100088122A KR 20100088122 A KR20100088122 A KR 20100088122A KR 101002786 B1 KR101002786 B1 KR 101002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vehicle body
platform
elevat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훈
Original Assignee
세종기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기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종기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8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7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3/00Electric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4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3/00Electric propulsion for monorail vehicles, suspension vehicles or rack railways;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4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 B60L13/06Means to sense or control vehicle position or attitude with respect to rail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MPOWER SUPPLY LINES, AND DEVICES ALONG RAIL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 B60M7/00Power lines or rai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of special types, e.g. suspension tramway, ropeway, underground rail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3/00Other railway systems
    • B61B13/08Sliding or levitation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5/00Tracks for special kinds of railways
    • E01B25/30Tracks for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부상열차의 접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주행레일을 운행하는 차량본체와; 상기 차량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플랫폼 진입을 감지하는 플랫폼감지센서와; 상기 차량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본체의 바닥면에 결합된 결합위치와 상기 주행레일에 접촉되는 접지위치 간을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본체를 갖는 접지승강부와; 상기 승강본체가 상기 결합위치와 상기 접지위치 간을 승강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플랫폼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본체가 상기 플랫폼으로 진입할 때는 상기 승강본체가 접지위치로 하강하고, 상기 차량본체가 상기 플랫폼을 이탈할 때는 상기 승강본체가 결합위치로 상승하도록 상기 승강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EARTH SYSTEM OF MAGNETIC LEVITATION TRAIN}
본 발명은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플랫폼 진입시 차체의 충전전위를 지면으로 방전시키는 자기부상열차의 접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기부상열차는 차체의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전자석이 주행레일에 부착되어 있는 페로레일(ferro-rail)을 끌어당기게 됨으로 부상하게 되는데, 이 때 차체와 주행레일 사이에 형성되는 선형유도 전동기에 의해서 차체가 앞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자석이 반복적으로 구비되어 차체가 앞으로 주행한다.
이러한 원리의 자기부상열차는 주행시 고도의 정밀성이 요구되는 고압의 전기제어회로가 사용되는데, 이 과정에서 불필요한 전위차 차체에 충전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이러한 충전전위는 자기부상열차가 플랫폼에 진입하여 도어가 개방된 후, 승객이 승차할 때 승객에게 이동되어 승객을 위험에 빠트리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자기부상열차의 불필요한 충전전위를 플랫폼 진입 전에 지면으로 방전시킬 수 있는 접지수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플랫폼 진입을 감지하여 접지부재가 승강하며 불필요한 충전전위를 접지시키는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은 자기부상열차의 접지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접지시스템은 주행레일을 운행하는 차량본체와; 상기 차량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플랫폼 진입을 감지하는 플랫폼감지센서와; 상기 차량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본체의 바닥면에 결합된 결합위치와 상기 주행레일에 접촉되는 접지위치 간을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본체를 갖는 접지승강부와; 상기 승강본체가 상기 결합위치와 상기 접지위치 간을 승강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플랫폼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본체가 상기 플랫폼으로 진입할 때는 상기 승강본체가 접지위치로 하강하고, 상기 차량본체가 상기 플랫폼을 이탈할 때는 상기 승강본체가 결합위치로 상승하도록 상기 승강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지승강부는, 일정 길이를 갖는 승강본체와; 상기 승강본체 일단부의 결합단을 상기 차량본체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차량하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켜, 상기 승강본체 타단부의 접지단이 상기 결합위치와 상기 접지위치 사이를 승강하게 하는 회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본체는, 상기 결합위치에서 "ㄴ"자 형상을 갖는 형태로 구비되거나, 직선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본체의 바닥에는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접지단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접지단에는 접지위치에서 상기 주행레일과 접촉하며 회전하여 상기 승강본체의 마모를 방지하는 마모방지바퀴가 적어도 한 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승강구동부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회동축에 결합된 전동축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축과 상기 전동축을 상호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량본체는 차량의 운행 및 도어의 개폐를 조작하는 차량주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플랫폼에서 상기 차량본체의 도어가 닫힌 경우 또는 상기 차량본체의 차량주행부가 운행을 시작한 경우에 상기 승강본체가 결합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승강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은 차량본체가 플랫폼에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접지승강부가 결합위치와 접지위치 사이를 이동하며 차량본체에 충전된 불필요한 전위를 방전시킨다. 이에 따라 플랫폼에서 승객이 승하차할 때 전위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은 접지단에 마모방지롤러를 부착하여 접지단 본체의 마모를 방지하여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은 결합단에 결합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접지승강부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의 플랫폼감지센서가 동작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3a와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의 결합위치에서 접지승강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와 사시도,
도 4a와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의 접지위치에서 접지승강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와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의 결합위치에서 차량의 정면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의 접지위치에서 차량의 정면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6a와 도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승강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100)이 플랫폼(F)으로 진입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3a와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100)의 접지승강부(130)가 결합위치일 때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와 사시도이고, 도4a와 도4b는 접지승강부(130)가 접지위치일 때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와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100)은 주행레일(R)을 따라 주행하는 차량본체(110)와, 차량본체(110)의 전면에 구비되어 플랫폼(F) 진입을 감지하는 플랫폼감지센서(120)와, 차량본체(110)에 결합된 결합위치와 주행레일(R)과 접촉되는 접지위치 간을 승강하며 충전전위를 지면으로 접지시키는 접지승강부(130)와, 접지승강부(130)가 승강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140)와,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차량본체(110)가 무인시스템으로 운행되도록 하는 처량주행부(150)와, 플랫폼감지센서(120)의 감지결과에 따라 접지승강부(130)가 결합위치와 접지위치 간을 승강하도록 승강구동부(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차량본체(110)는 주행레일(R)을 따라 이동한다. 차량본체(110)는 처량주행부(150)에 의해 무인방식으로 주행되며, 각 플랫폼(F)에 정차하여 승객을 승하차시키고 출발을 하는 주행과정을 반복한다.
차량본체(110)는 주행레일(R)과 전자석의 인력 또는 척력에 의해 부상한 상태로 주행하게 된다. 이 때, 차량본체(110)에는 팬타그래프(미도시)가 전원공급선(미도시)에 접촉한 상태로 전원을 공급받아 주행된다.
차량본체(110)의 측면에는 승객이 승차할 수 있는 도어(미도시)가 구비된다.
플랫폼감지센서(120)는 차량본체(110)가 플랫폼(F)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160)로 감지신호를 전송한다. 플랫폼감지센서(12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본체(110)의 전면(111)에 구비되어 플랫폼(F)에 위치한 신호발신센서(A)와 신호를 송수신하여 플랫폼(F)으로 진입하는 것을 감지한다. 플랫폼감지센서(120)는 거리감지센서, 포토센서, RFID를 이용한 단거리 무선통신 등 플랫폼(F)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다양한 공지된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플랫폼감지센서(120)는 차량본체(110)의 주행시에 플랫폼(F)과의 거리가 기준거리 이내로 진입한 경우, 감지신호를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접지승강부(130)는 차량본체(110)의 위치에 따라 결합위치(도3a 위치)와 접지위치(도4a 위치) 간을 승강하며 차량본체(110)에 불필요하게 충전된 전위를 지면으로 방전시킨다. 접지승강부(130)는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위치와 접지위치 간을 승강하는 승강본체(131)와, 승강본체(131)가 회동되도록 승강본체(131)의 일영역에 결합되는 회동축(133)과, 승강본체(131)의 단부에 결합되는 마모방지롤러(135)를 포함한다.
승강본체(131)는 차량본체(110)의 하부영역에 회동 및 승강가능하게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승강본체(131)는 결합위치에서 측면형상이 "ㄴ"자 형상을 갖도록 구비되고, 회동축(133)은 승강본체(131)의 절곡된 모서리영역에 구비된다.
승강본체(131)는 결합위치에서 수직하게 구비되어 차량하면(113)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단(131a)과, 결합단(131a)에 수평하게 결합되며 접지위치에서 주행레일(R)과 접촉되는 접지단(131b)을 포함한다.
결합단(131a)과 접지단(131b)의 결합영역에 회동축(133)이 삽입되어, 결합단(131a)과 접지단(131b)은 회동축(133)을 중심으로 회동되며 결합위치와 접지위치 간을 승강 및 이동하게 된다.
결합단(131a)의 단부영역에는 수평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차량하면(113)의 고정고리(115)에 결합되는 결합리브(132)가 구비된다. 결합리브(132)는 결합위치에서 고정고리(115)에 탄성적으로 걸림결합되어 승강본체(131)의 위치가 안정적을 지지되도록 한다. 결합리브(132)는 결합단(131a)이 구동모터(141)의 구동에 의해 회동되면 구동모터(141)의 구동력에 의해 고정고리(115)에 탄성적으로 걸림결합된다.
이에 따라, 결합위치의 결합단(131a)을 고정고리(115)가 고정하게 되므로, 차량본체(110)의 주행중에 플랫폼(F) 진입시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에서 승강본체(131)가 하중에 의해 불필요하게 접지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지단(131b)은 회동축(133)의 회전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주행레일(R)과 접촉되는 접촉위치로 이동한다. 접지단(131b)의 단부에는 접촉위치에서 주행레일(R)과 접촉되며 회전하는 마모방지롤러(135)가 적어도 한 개 결합된다. 마모방지롤러(135)는 접지단(131b)에 롤러지지부(134)에 의해 아이들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주행레일(R)과 접촉하며 회전한다.
마모방지롤러(135)는 접촉위치에서 주행레일과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접지단(131b)이 주행레일(R)과 접촉하며 마모되는 것을 방지한다. 마모방지롤러(135)는 표면의 마모가 심할 경우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여 사용된다.
접지단(131b)이 접지위치로 회전되면 마모방지롤러(135)가 주행레일(R)과 접촉하며 차량본체(110)에 충전된 전위는 지면으로 방전되게 된다.
회동축(133)은 승강본체(131)에 관통결합되어 승강본체(131)가 결합위치와 접지위치 간을 회동되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회동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한다. 회동축(133)의 일단부는 차량본체(110)의 지지부재(117)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전동축(143)과 결합된다.
회동축(133)은 전동축(143)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동되어 승강본체(131)가 회동되도록 한다. 이 때, 승강구동부(140)에 의해 회동축(133)으로 전달되는 회전력은 고정고리(115)가 결합리브(132)를 지지하는 지지력보다 크므로 결합단(131a)은 고정고리(115)로부터 이탈되어 접지위치로 이동될수 있다.
승강구동부(14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접지승강부(130)가 회동될 수 있도록 회동축(133)으로 구동력을 제공한다. 승강구동부(140)는 도3a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41)와, 구동모터(141)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142)과, 회동축(133)에 연결된 전동축(143)과, 구동축(142)과 전동축(143)을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부재(145)를 포함한다.
전동축(143)은 회동축(133)에 결합되거나, 회동축(133)에 일체로 결합되어 전동부재(145)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전동축(143)의 회전에 따라 회동축(133)이 함께 회전된다.
전동부재(14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벨트로 구비되어 구동축(142)의 구동력을 전동축(143)으로 전달한다. 전동부재(145)는 전동벨트 외에도 복수의 기어열, 벨트-벨트풀리 등 공지된 다양한 전동구성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승강구동부(140)의 배치와 구성은 차량본체(110)에 대한 접지승강부(130)와 승강구동부(140)의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변형될 수 있다.
처량주행부(150)는 차량본체(110)가 주행레일(R)을 따라 안정적으로 주행될 수 있도록 차량주행 전반을 담당한다. 처량주행부(150)는 제어부(160)의 제어신호에 따라 출발과 정차, 도어개폐, 속도 등을 조절한다.
제어부(160)는 플랫폼감지센서(120)의 감지결과에 따라 접지승강부(130)가 결합위치와 접지위치 간을 이동하도록 승강구동부(14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처량주행부(150)의 주행상태에 따라 접지승강부(130)가 접지위치에서 결합위치로 이동되도록 승강구동부(140)를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플랫폼감지센서(120)가 차량본체(110)가 플랫폼(F)으로 진입하고 있음을 알려오면 회동축(13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모터(141)를 제어한다. 그리고, 처량주행부(150)가 차량본체(110)가 플랫폼(F)에서 출발한 것을 알려오면 회동축(13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모터(141)를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100)의 접지과정을 도2 내지 도5b를 참조로 설명한다.
차량본체(110)가 주행레일(R)을 따라 주행하면 접지승강부(130)의 승강본체(131)는 도3a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단(131a)의 결합리브(132)가 고정고리(115)에 고정된 결합위치를 유지한다.
이 때,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승강부(130)의 접지단(131b)은 차량하면(113)에 결합된 상태로 주행레일(R)로부터 일정간격(d)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차량본체(110)는 이동하게 된다. 차량본체(110)의 주행시에 고전압 전기회로의 동작으로 차량본체(110)의 차체에 불필요한 전위가 충전될 수 있다.
차량본체(110)가 주행하면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감지센서(120)가 플랫폼(F)의 진입영역에 부착된 신호발신센서(A)를 감지하고, 감지신호를 제어부(160)로 전송한다. 여기서, 플랫폼감지센서(120)와 제어부(160) 및 처량주행부(150)는 전용통신라인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감지신호를 수신받은 제어부(160)는 접지승강부(130)가 접지위치로 이동되는 방향으로 승강구동부(140)가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구동모터(141)는 도3a에 도시된 접지위치의 접지승강부(130)가 도4a의 접지위치로 이동하도록, 즉 시계방향으로 회동축(133)이 회동되도록 회전하고, 전동부재(145)와 전동축(143)은 구동모터(141)의 회전방향과 회전력을 회동축(133)으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도3a의 결합위치에서 "ㄴ"자 형상을 이루던 승강본체(131)는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축(133)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ㄱ"자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접지단(131b)의 마모방지롤러(135)는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레일(R)과 접촉되며 회동되며 충전전위를 지면으로 방전시켜 차량본체(110)를 접지시킨다.
이렇게 충전전위가 방전된 상태로 차량본체(110)는 플랫폼(F)으로 진입하고, 도어(미도시)가 개방되면서 승객이 안전하게 승하차를 하게 된다.
승객의 승하차가 완료되면 처량주행부(150)는 도어(미도시)를 닫고 차량본체(110)를 출발시킨다. 처량주행부(150)의 출발신호는 제어부(160)로 전송되고, 제어부(160)는 접지위치의 접지승강부(130)가 결합위치로 복귀되도록 구동모터(141)의 구동과 회전방향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회동축(133)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접지단(131b)과 결합단(131a)은 초기위치로 이동된다. 회동축(133)의 회전에 의해 결합리브(132)는 고정고리(115) 방향으로 가압되어 고정고리(115)에 탄성적으로 걸림결합되고 위치가 고정된다.
차량본체(110)의 주행에 따라 플랫폼(F)과 플랫폼(F) 사이에서는 접지승강부(130)가 결합위치로 이동되고, 각각의 플랫폼(F)의 인접위치에서는 접지승강부(130)가 접지위치로 이동된 상태로 주행하게 되는 것이 반복된다.
한편, 도6a와 도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접지승강부(180)의 결합위치와 접지위치에서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지승강부(130)는 승강본체(131)가 "ㄴ"자의 절곡된 형상을 가진 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접지승강부(180)는 승강본체(181)가 직선형태의 바형상으로 구비된다.
승강본체(181) 일단부의 결합단(181a)에 회동축(183)이 구비되고, 승강본체(181) 타단부의 접지단(181b)에 마모방지롤러(185)가 구비된다.
그리고, 접지단(181b)의 상면에 승강자석(182)이 구비된다.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지승강부(130)는 접지단(131b)의 위치가 결합리브(132)와 고정고리(115)이 물리적인 결합에 의해 구현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본체(181)는 자력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다.
이를 위해 접지단(181b)의 상면에 승강자석(182)이 구비되고, 차량하면(113)의 지지부재(116)에는 승강자석(182)과 반대극성을 갖는 고정자석(116a)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결합위치에서는 승강자석(182)과 고정자석(116)이 인력에 의해 서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회동축(183)의 회동에 의해 자력의 범위를 벗어난 가압력이 작용하면 접지단(181b)은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강하여 접지위치로 이동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은 차량본체가 플랫폼에 진입하는 것을 감지하여 접지승강부가 결합위치와 접지위치 사이를 이동하며 차량본체에 충전된 불필요한 전위를 방전시킨다. 이에 따라 플랫폼에서 승객이 승하차할 때 전위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은 접지단에 마모방지롤러를 부착하여 접지단 본체의 마모를 방지하여 장시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은 결합단에 결합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접지승강부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 110 : 차량본체
111 : 차량전면 113 : 차량하면
115 : 고정고리 117 : 지지부재
120 : 플랫폼감지센서 130 : 접지승강부
131 : 승강본체 131a : 결합단
131b : 접지단 132 : 결합리브
133 : 회동축 134 : 롤러지지부
135 : 마모방지롤러 140 : 승강구동부
141 : 구동모터 142 : 구동축
143 : 전동축 145 : 전동부재
150 : 차량주행부 160 : 제어부

Claims (7)

  1. 자기부상열차의 접지시스템에 있어서,
    주행레일을 운행하는 차량본체와;
    상기 차량본체의 전면에 구비되어 플랫폼 진입을 감지하는 플랫폼감지센서와;
    상기 차량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본체의 바닥면에 결합된 결합위치와 상기 주행레일에 접촉되는 접지위치 간을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본체를 갖는 접지승강부와;
    상기 승강본체가 상기 결합위치와 상기 접지위치 간을 승강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와;
    상기 플랫폼감지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상기 차량본체가 상기 플랫폼으로 진입할 때는 상기 승강본체가 접지위치로 하강하고, 상기 차량본체가 상기 플랫폼을 이탈할 때는 상기 승강본체가 결합위치로 상승하도록 상기 승강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승강부는,
    일정 길이를 갖는 승강본체와;
    상기 승강본체 일단부의 결합단을 상기 차량본체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차량하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시켜, 상기 승강본체 타단부의 접지단이 상기 결합위치와 상기 접지위치 사이를 승강하게 하는 회동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본체는,
    상기 결합위치에서 "ㄴ"자 형상을 갖는 형태로 구비되거나, 직선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본체의 바닥에는 상기 결합위치에서 상기 접지단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단에는 접지위치에서 상기 주행레일과 접촉하며 회전하여 상기 승강본체의 마모를 방지하는 마모방지바퀴가 적어도 한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회동축에 결합된 전동축과;
    상기 구동원의 구동축과 상기 전동축을 상호 연결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본체는 차량의 운행 및 도어의 개폐를 조작하는 차량주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플랫폼에서 상기 차량본체의 도어가 닫힌 경우 또는 상기 차량본체의 차량주행부가 운행을 시작한 경우에 상기 승강본체가 결합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승강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
KR1020100088122A 2010-09-08 2010-09-08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 KR101002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122A KR101002786B1 (ko) 2010-09-08 2010-09-08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122A KR101002786B1 (ko) 2010-09-08 2010-09-08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2786B1 true KR101002786B1 (ko) 2010-12-21

Family

ID=4351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122A KR101002786B1 (ko) 2010-09-08 2010-09-08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78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6036A (ja) 2002-11-08 2006-02-16 ロール インデュストリー 共同輸送電動車両用タイヤ走行自動誘導接地恒久監視装置
KR100913795B1 (ko) 2007-11-30 2009-08-31 성삼경 자기부상열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6036A (ja) 2002-11-08 2006-02-16 ロール インデュストリー 共同輸送電動車両用タイヤ走行自動誘導接地恒久監視装置
KR100913795B1 (ko) 2007-11-30 2009-08-31 성삼경 자기부상열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68736B2 (ja) 架線レス交通システム及びその充電方法
CN102666185B (zh) 物品搬运装置
CN104334396A (zh) 用于在电池供电车辆中更换电池的装置、电池存储装置和方法
JP5336491B2 (ja) 車両用の案内及び地上での電気エネルギー取り込み装置、ならびにそのような装置を備える都市交通車両
CN102712443B (zh) 电梯的轿厢供电装置
CN109606505A (zh) 一种自动搬运机器人
JP2007189769A (ja) 交通システムの充電方法及び充電システム
BR112017025801B1 (pt) Conjunto constituído por um veículo elétrico) e um sistema de recarga, sistema de recarga do tipo de condução estacionária, instalação de fonte de alimentação, veículo ferroviário e método para usar um conjunto
CN105015639A (zh) 跨行于高速公路中央分隔带护栏的自走式作业平台
CN201362515Y (zh) 智能化自动平煤装置
US20110088328A1 (en) Operating mechanism for parking brake
CN108608891B (zh) 一种电池小车及使用该小车的组合式电动汽车
JPH10315960A (ja) 搬送設備
KR101002786B1 (ko) 자기부상열차 접지시스템
CN204821783U (zh) 跨行于高速公路中央分隔带护栏的自走式作业平台
KR100741345B1 (ko) 유궤도대차 시스템
KR101837200B1 (ko) 가이드웨이형 유도급전충전시스템
CN210011608U (zh) 无线充电装置及系统
CN103448745A (zh) 电机车出轨检测装置和具有它的电机车
KR20180005044A (ko) 무가선 노면 전차 시스템
KR101601298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
JP2004526629A (ja) 人を輸送する自動ガイドシステムと、このようなシステムで走行する輸送モジュールの制御方法
CN204395426U (zh) 无轨磁电动感车
JP4774066B2 (ja) 充電システム
CN205327221U (zh) 无接触移动供电升降滑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