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697B1 -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 - Google Patents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697B1
KR101002697B1 KR1020080027890A KR20080027890A KR101002697B1 KR 101002697 B1 KR101002697 B1 KR 101002697B1 KR 1020080027890 A KR1020080027890 A KR 1020080027890A KR 20080027890 A KR20080027890 A KR 20080027890A KR 101002697 B1 KR101002697 B1 KR 101002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mersion tunnel
immersion
tunnel unit
unit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439A (ko
Inventor
박정일
박윤수
Original Assignee
박정일
반걸용
이규진
박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일, 반걸용, 이규진, 박윤수 filed Critical 박정일
Priority to KR1020080027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697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63Tunnels submerged into, or built in, open water
    • E02D29/07Tunnels or shuttering therefor preconstructed as a whole or continuously made, and moved into place on the water-bed, e.g. into a preformed tren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5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at least a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드라이 도크(dry dock) 또는 웨트 도크(wet dock)에 침매 터널유닛을 배치하고, 이를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대기(大氣) 중의 드라이 도크 또는 얕은 수심의 해안가 웨트 피트에서 곧 바로 유닛 연결한 후, 압출 장치를 이용하여 바다 쪽으로 연속 압출시키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해안가 피트 내에 배치된 침매 터널유닛을 다수의 수직 유압 잭과 수평 유압 잭을 이용하여 상승시키고, 수평 유압 잭을 이용하여 전방으로 전진시킨 다음, 수직 유압 잭을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을 하강시키고, 수평 유압 잭을 이용하여 수직 유압 잭을 후방으로 원위치 이동시키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중으로 압출한다. 수중으로 압출된 침매 터널유닛의 후방에 새로운 침매 터널유닛을 배치하여 접속한 후, 압출과정을 반복하고, 드라이 도크의 전방의 침매 터널의 경로 상에 다수의 수중 압출 수단들을 설치하여 순차적으로 전진 압출되는 침매 터널유닛들을 일정 높이로 떠받치도록 하고, 서로 연결된 복수의 침매 터널유닛을 수중으로 압출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중으로의 연속 압출 작업이 이루어짐으로써 시공 기술의 간편성과 경제적인 이익이 크고, 침매 터널 전체의 시공 품질 향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드라이 도크, 침매 터널, 웨트 도크, 연속 압출 공법, 압출 장치,

Description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Incremental Launching Method and Device for Immersed Tunnels}
본 발명은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드라이 도크(dry dock) 또는 웨트 도크(wet dock)에 침매 터널유닛을 배치하고, 이를 해안가의 대기(大氣) 중 또는 얕은 수심의 수중(水中)에서 곧 바로 유닛 연결한 후, 압출 장치를 이용하여 바다 쪽으로 연속 압출시킴으로써 시공 기술의 간편성과 경제적인 이익을 크게 얻을 수 있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매 터널 공법은 강이나 바다 밑에 트렌치(trench)를 굴착해 놓고, 작업장에서 침매 터널유닛을 만들어서 해저 터널이 설치될 장소로 운반한 다음, 미리 조성된 트렌치에 침매 터널유닛을 설치한 뒤, 서로 연결하여 침매 터널을 완성시키는 공법이다.
이와 같은 침매 터널 공법은 침매 터널유닛의 모양과 재질에 따라 원형과 직 사각형 콘크리트 방식으로 구별된다. 전자(前者)는 미리 모래를 깔아놓은 기초 위에 침매 터널유닛을 직접 묻고, 침매 터널유닛과 침매 터널유닛 사이의 연결부위를 고무 가스켓을 끼워 PC 케이블 등으로 수중 접합한다. 후자(後者)는 침매 터널유닛의 양끝을 가로대 위에 가설한 뒤 틈새에 모래를 채워넣고 침매 터널유닛은 고무 가스켓을 끼워 PC 케이블 등으로 수중 접합한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시공방식은 트렌치(trench)를 굴착하는 과정에서 수심에 제한을 받고, 공사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된다.
그리고 다른 종래의 방식으로서 부유식 침매 터널 시공방식이 있다.
이는 해저면에 기초와 재킷을 설치한 다음, 그 위에 육상에서 제작한 튜브형태의 터널 유닛들을 연결하는 방식으로서, 터널 유닛들이 재킷에 의해서 해저면 위에 떠있는 형태이므로 일면 "잠수교 공법"이라고도 한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터널 유닛들을 드라이 도크(dry dock) 쪽의 단부에서만 밀어내는 것으로서, 길어지면 10Km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침매 터널유닛을 미는 힘은 10만 톤 정도가 필요하게 되며, 이와 같이 큰 추진력을 내는 장치는 실제로는 불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의 부유식 방식은 중간에 유압 잭을 이용해 싱크로나이즈 방식으로 밀어내야 하며, 수심이 얕은 경우에는 해저면 바닥을 정리해서 부유식으로 할 수 있지만, 수심이 깊은 경우에는 바닥의 정리가 불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해저 면에 뻘층이 형성된 경우, 파일을 박아서 올려 놓고 할 수 있지만 공정이 번거롭고 시공비용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도 있다.
그리고, 침매 터널 공법에 관련된 종래의 기술이 일본 특개평 제9-144038호(명칭: 수중 구조물의 축조방법)과 일본 특개평 제10-82062호(명칭: 침매함의 침설장치)에 제시되어 있다.
도 1에 종래기술에 의해 침매터널 유닛의 접속작업을 능률있게 하기 위하여 수중부와 육지를 차단하는 벽을 쌓고 입갱을 설치하여 입갱의 하단부에서 침매터널 유닛의 접속작업을 행하는 예가 도시된다.
일본 특개평 제9-144038호는 육지측으로부터 수저면에 복수의 침매 터널유닛을 순차 접속하면서 추진시켜서 침매 터널을 구축하는 경우, 침매 터널유닛의 접속작업이 확실하고 능률 좋게 이루어지도록 행하는 수중 구조물의 축조방법으로서 그 해결 수단으로서 육지(2)로부터 수중 부(1)측으로 향하여 하향 구배의 경사구(3)를 형성하고, 경사구의 하단부를 수평 저부(3a)로 형성하여 이 수평 저부(3a)로부터 수직 벽부(4, 4a)의 전후 통로구를 통하여 침매 터널유닛(5)을 수중부의 수저면상에 순차접속하면서 추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경사구(3)에서는 침매 터널유닛(5)을 부상시켜서 이동시키고, 침하시켜서 수평 저부(3a)에 설치한 다음, 수직 벽부(4, 4a)의 전후 통로구 사이에서 선행하는 침매 터널유닛과 접속하게 되며, 전후 통로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수밀 패킹을 접합부의 외주부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수직 벽부의 사이를 배수시킨 다음, 대기상태의 수직 벽부(3) 내에서 접합부의 수밀 패킹작업과 연결 작업을 실시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 제10-82062호에는 침매 터널유닛을 침설하는 때에, 침매 터널유닛을 침강시킨 후, 예인선의 와이어를 빠르게 분리하고, 예인선과는 별개로 기존의 침매 터널유닛과의 접합부로 침매 터널유닛을 위치시킬 수 있는 침매 터널유닛의 침설 장치가 제시되어 있다.
도 2에 종래기술에 의해 침매터널 유닛의 양 측면에 복수의 워터 롤러로 무한궤도를 구성한 구동장치를 설치한 예가 도시된다.
이와 같은 일본 특개평 제10-82062호는 복수의 워터 롤러(로 무한궤도를 구성하는 구동장치(7)를 설치하고, 이 구동장치를 침매 터널유닛(6)의 양 측면 전후위치에 장착한다. 그리고 침매 터널유닛(6)을 침강시킨 후, 예인선으로부터 와이어를 분리시키고, 구동장치(7)에 의해 침매 터널유닛(6)을 자체 이동시켜서 기존의 침매 터널유닛과 접속시킨다. 이때, 수직 서스펜션 실린더(9b)와 경사 서스펜션 실린더(9a)를 작동시키면, 침매 터널유닛의 상하 높이 및 수평자세를 조정할 수 있고, 기존 침매 터널유닛에 대한 위치조정을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모두 침매 터널유닛을 육상 제작한 다음, 별도의 기계장치를 이용하여 유닛 연결부를 배수처리하고 대기 중에서 유닛끼리 연결하거나, 침매 터널유닛을 해상 운반하고 해안가로부터 먼 위치에서 깊은 수중에 가라앉혀서 침매 터널유닛끼리 연결하는 방식으로서 이와 같은 시공방식들은 모두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도크의 제작없이 침매터널의 제작장에서 수중으로 직접 침매터널 유닛을 압출할 수 있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크의 제작없이 침매터널의 제작장에서 또는 드라이 도크에서 침매 터널유닛 간의 연결작업이 이루어지거나, 해안가의 웨트 도크에서 침매 터널 유닛 간의 연결작업이 이루어지고, 수중으로의 압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시공 기술의 간편성과 경제적인 이익을 크게 얻을 수 있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또 다른 목적은 드라이 도크에서 대기중에 침매 터널유닛 간의 연결작업이 이루어지거나, 해안가의 얕은 수심의 웨트 도크에서 유닛 간의 연결작업이 쉽게 이루어짐으로써 유닛 연결부의 품질향상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그에 따른 침매 터널 전체의 시공 품질 향상을 이룰 수 있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침매 터널유닛을 수중에 길게 접속 연결하여 침매 터널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에 침매 터널유닛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 내에 배치된 침매 터널유닛을 피트에 종으로 설치된 다수의 수직 유압 잭을 이용하여 상기 침매 터널유닛을 상승시키고, 상기 피트 내에 횡으로 배치된 다수의 수평 유압 잭을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을 전방으로 전진시킨 다음, 상기 수직 유압 잭을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을 하강시키고, 상기 수평 유압 잭을 이용하여 수직 유압 잭을 후방으로 원위치 이동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에서 직접 수중으로 압출하거나 또는 드라이 도크의 도어를 통하여 수중으로 압출하는 단계;
상기 수중으로 압출된 침매 터널유닛의 후방에 새롭게 제작된 침매 터널유닛을 배치하여 접속하는 단계;
상기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 전방의 침매 터널의 경로 상에 다수의 수중 압출 수단들을 설치하여 상기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진 압출되는 침매 터널유닛들을 일정 높이로 떠받치도록 하고, 침매 터널의 경로 상에 물속의 전 구간에 걸쳐서 상기 침매 터널유닛들을 압출 전진시켜 서로 연결된 복수의 침매 터널유닛을 수중으로 압출하는 단계; 및
원하는 길이의 침매 터널이 완성되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원하는 길이의 침매 터널이 완성되기까지 수중으로 압출된 침매 터널유닛의 후방에 새롭게 제작된 침매 터널유닛을 연속 배치하여 접속하고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라이 도크는 상기 침매 터널의 윗면보다 얕은 깊이의 완전 침매 해저면, 상기 침매 터널의 윗면과 아랫면 중간에 해당하는 깊이를 갖는 중간 침매 해저면 또는 상기 침매 터널의 아랫면에 해당하는 깊이를 갖는 바닥 침매 해저면을 굴착하여 해안가에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라이 도크에 침매 터널유닛을 배치하는 단계는 드라이 도크에 인접한 제작장에서 침매 터널유닛을 제작하여 공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라이 도크에 침매 터널유닛을 배치하는 단계는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와는 별도의 제작장에서 제작된 침매 터널유닛을 드라이 도크 내에 이송시켜 배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매 터널유닛들을 접속하는 단계는 드라이 도크 내의 대기 중에서 침매 터널유닛 간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중 압출 수단들은 수중 콘크리트 피트 내에 각각 별개의 수직 유압 잭과 수평 유압 잭들을 구비하여 상기 드라이 도크 피트 내의 수직 유압 잭과 수평 유압 잭의 동작에 연동하여 침매 터널유닛의 압출 작동을 이루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로 연결된 복수의 침매 터널유닛을 수중으로 압출하는 단계는 드라이 도크 내에 물이 없는 대기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침매 터널유닛을 수중에 길게 접속 연결하여 침매 터널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안가의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또는 웨트 도크에 침매 터널유닛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또는 웨트 도크 내에 배치된 침매 터널유닛을 피트에 종으로 설치된 다수의 수직 유압 잭을 이용하여 상기 침매 터널유닛을 상승시키고, 상기 피트 내에 횡으로 배치된 다수의 수평 유압 잭을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을 전방으로 전진시킨 다음, 상기 수직 유압 잭을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을 하강시키고, 상기 수평 유압 잭을 이용하여 수직 유압 잭을 후방으로 원위치 이동 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또는 웨트 도크 전방의 수중으로 압출하는 단계;
상기 수중으로 압출된 침매 터널유닛의 후방에 새롭게 제작된 침매 터널유닛을 배치하여 접속하는 단계;
상기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또는 웨트 도크 전방의 침매 터널의 경로 상에 다수의 수중 압출 수단들을 설치하여 상기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또는 웨트 도크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진 압출되는 침매 터널유닛들을 일정 높이로 떠받치도록 하고, 침매 터널의 경로 상에 물속의 전 구간에 걸쳐서 상기 침매 터널유닛들을 압출 전진시켜 서로 연결된 복수의 침매 터널유닛을 수중으로 압출하는 단계; 및
원하는 길이의 침매 터널이 완성되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원하는 길이의 침매 터널이 완성되기까지 수중으로 압출된 침매 터널유닛의 후방에 새롭게 제작된 침매 터널유닛을 연속 배치하여 접속하고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웨트 도크에 침매 터널유닛을 배치하는 단계는 인근 제작장에서 침매 터널유닛을 제작하여 예인하고 가라앉혀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웨트 도크에 침매 터널유닛을 배치하는 단계는 별도의 제작장에서 제작된 침매 터널유닛을 예인하고 가라앉혀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매 터널유닛들을 접속하는 단계는 해안가의 웨트 도크 수중(水中)에서 침매 터널유닛 간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중 압출 수단들은 수중 콘크리트 피트 내에 각각 별개의 수직 유압 잭과 수평 유압 잭들을 구비하여 상기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또는 웨트 도크의 피트 내에 구비된 수직 유압 잭과 수평 유압 잭의 동작에 연동하여 침매 터널유닛의 압출 작동을 이루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로 연결된 복수의 침매 터널유닛을 수중으로 압출하는 단계는 해안가의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또는 웨트 도크 수중(水中)으로부터 침매 터널 전체 구간에 걸쳐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침매 터널유닛을 연속으로 접속하여 수중에 침매 터널을 압출 시공하는데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에 있어서,
해안가 피트 내에 종으로 배치된 다수의 수직 유압 잭; 및
상기 피트 내에 횡으로 배치된 다수의 수평 유압 잭;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수직 유압 잭을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을 상승시키고, 상기 수평 유압 잭들을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을 전방으로 전진시킨 다음, 상기 수직 유압 잭들을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을 하강시키고, 상기 수평 유압 잭들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 유압 잭들을 후방으로 원위치 이동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안가 피트는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드라이 도크 또는 웨트 도크 내에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라이 도크는 전방 측벽에 상기 침매 터널유닛이 통과하는 도어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둘레에는 침매 터널유닛과의 사이에서 수밀 작용을 제공하는 씨일이 장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 또는 상기 웨트 도크의 전방에는 침매 터널의 경로 상에 위치되어 상기 침매 터널유닛들을 일정 높이로 떠받치도록 된 다수의 수중 압출 수단들이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중 압출 수단들은 수중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피트를 구비하고, 상기 콘크리트 피트 내에는 각각 종으로 배치된 수직 유압 잭과 횡으로 배치된 수평 유압 잭들을 구비하며, 상기 드라이 도크 또는 웨트 도크 내의 수직 유압 잭과 수평 유압 잭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중 압출 수단들은 콘크리트 피트의 상단 모서리에 침매 터널유닛이 지지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중 압출 수단은 침매 터널의 전체 구간에 걸쳐서 배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침매 터널유닛을 연속으로 접속하여 수중에 침매 터널을 압출 시공하는데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에 있어서,
해안가 피트 내에 종으로 배치된 수직 유압 잭;
상기 피트 내에 횡으로 배치된 수평 유압 잭; 및
상기 수직 유압 잭의 로드에 연결되고, 상부면에는 전방으로 향하여 제1 경 사면이 형성된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수평 유압 잭의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제1 경사면에 면접하는 제2 경사면을 하부면에 형성하고, 상부면은 침매 터널유닛의 하부면에 밀착된 제2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유압 잭과 제1 슬라이더를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을 상승시키고, 상기 수평 유압 잭과 제2 슬라이더를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을 전방으로 전진시킨 다음, 상기 수직 유압 잭과 제1 슬라이더를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을 하강시키고, 상기 수평 유압 잭의 제2 슬라이더를 상기 수직 유압 잭의 제1 슬라이더 상에서 후방으로 원위치 이동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안가 피트는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드라이 도크 또는 웨트 도크 내에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딩 부는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의 표면에 각각 마찰계수가 작은 테프론 판이 라이닝되고, 상기 테프론 판 사이의 마찰계수는 제2 슬라이더의 상부면과 침매 터널유닛의 하부면 과의 마찰계수보다 작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안가 피트는 그 전방에 침매 터널의 경로 상에 위치되어 상기 침매 터널유닛들을 일정 높이로 떠받치도록 된 다수의 수중 압출 수단들이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중 압출 수단들은 수중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피트 내에 각각 종으로 배치된 수직 유압 잭과 횡으로 배치된 수평 유압 잭들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 유압 잭의 로드에는 상부 면에 전방으로 향하여 하향으로 제1 경사면이 형성된 제1 슬라이더가 배치되고, 상기 수평 실린더의 로드에는 제1 슬라이더의 제1 경사면에 면접하는 제2 경사면을 하부면에 형성하고, 상부면은 침매 터널유닛의 하부면에 밀착된 제2 슬라이더가 연결되며, 상기 해안가 피트 내의 수직 유압 잭과 수평 유압 잭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딩 부는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의 표면에 각각 마찰계수가 작은 테프론 판이 라이닝되고, 상기 테프론 판 사이의 마찰계수는 제2 슬라이더의 상부면과 침매 터널유닛의 하부면 과의 마찰계수보다 작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중 압출 수단들은 콘크리트 피트의 상단 모서리에 침매 터널유닛이 지지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중 압출 수단은 침매 터널의 전체 구간에 걸쳐서 배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에 의하면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해안가의 드라이 도크 또는 웨트 도크 내에서 침매 터널유닛들의 연결작업이 이루어지고, 다수의 수평 유압 잭 및 수직 유압 잭들을 구비한 압출 장치를 통하여 수중으로의 압출 작업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의 해안으로부터 먼 깊은 수심에서 침매 터널유닛들의 연결작업을 실행하는 방식에 비하여 침매 터널유닛들의 연결을 쉽게 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른 공사 기간의 단축은 물론 시공 원가의 절감을 통한 경제적인 이익을 크게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침매 터널유닛 간의 연결작업이 대기(大氣) 중에서 또는 해안가의 얕은 수심에서 쉽게 이루어짐으로써 침매 터널유닛 연결부의 품질향 상을 이룰 수 있음은 물론, 침매 터널 전체의 시공 품질 향상을 이룰 수 있어서 고품질의 침매 터널 구축이 가능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100)은 다수의 침매 터널유닛을 연속으로 접속하여 하나의 긴 침매 터널을 수중으로 압출 시공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100)은 도 3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dry dock)의 압출 장치(200) 위에 침매 터널유닛(Immersed tunnel unit)(110a)을 배치하는 단계(S10)가 이루어진다.
도 4에 본 발명에 따라 드라이 도크에 설치된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를 도시한 측 단면도를 나타낸다.
상기 침매 터널유닛(110a)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 도크(114)에서 건축되고, 하나의 긴 침매 터널(110)을 구성하는 단위 유닛으로서 이들의 전,후단을 서로 접속하여 하나의 긴 침매 터널 구조물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드라이 도크(114)는 해안가에 조성되는데, 이는 상기 침매 터널의 윗면보다 얕은 깊이의 완전 침매 해저면(12a), 상기 침매 터널의 윗면과 아랫면 중간에 해당하는 깊이를 갖는 중간 침매 해저면(12b) 또는 상기 침매 터널의 아랫면에 해당하는 깊이를 갖는 바닥 침매 해저면(12c)을 굴착하여 이루어진다.
도 5에 본 발명에 따른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의해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에서 직접 침매 터널의 유닛을 압출하는 경우 제작장과 압출 장치를 도시한 측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침매 터널유닛(110a)의 제작장은 침매터널이 설치될 해안가의 육상에 건축되고, 그 바닥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침매 터널유닛(110a)을 압출하기 위한 압출장치(200)가 다수 건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침매 터널유닛(110a)은 제작장의 압출장치(200) 위에서 직접 건축될 수도 있지만, 압출장치(200)가 설치된 곳 옆에서 제작하여 이송장치(에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36071호에 개시된 케이슨의 제작 이동장치 참조)로 압출장치(200)로 이송하여 압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은 침매 터널유닛(110a)을 드라이 도크(114)의 압출 장치(200)에 배치하는 단계(S10)는 드라이 도크(114)에 인접하여 직접 침매 터널유닛(110a)을 제작하여 배치하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에 직접 압출장치(200)를 설치하고 그 위에 침매 터널유닛(110a)을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침매 터널유닛(110a)은 이후에 설명되는 압출 장치(200)의 상부측으로 제작장(미 도시)에서 직접 이동된다. 즉, 먼저 내륙 쪽에서 해수 쪽으로 일정길이의 직선으로 배치된 제작장이 준비되며, 내륙 쪽에서부터 순차적으로 해양 쪽을 향해 침매 터널의 베이스 플레이트를 제작하고, 해양 쪽으로 이동시키면서 그 위에 측벽과 상부 벽에 삽입되는 철근을 배근한 다음,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을 시공하여 콘크리트 타설하고 양생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이 내륙 쪽에서 해수 쪽으로 일정길이의 직선으로 배치된 제작장을 이용하여 제작된 침매 터널(110)은 최종적으로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114) 내의 압출 장치(200) 위에 놓인다. 이와 같이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에서 직접 또는 드라이 도크(114)에 인접한 제작장에서 침매 터널유닛을 순차적으로 제작하는 것에 관한 상세한 기술은,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2775호(명칭: 해양구조물의 이송장치, 이의 이송방법 및 해양구조물의 베이스 슬라브용 거푸집 시스템)에 기재된 바와 같은 기술을 이용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114) 내의 대기 중에서 직접 침매 터널유닛(110a)을 제작하여 접속하는 경우, 침매 터널유닛(110a) 간 연결은 밀봉하여도 되고, 죠인트 없이 강결하여 연속체 터널형식으로도 하여도 된다.
그리고 이와 다르게는 상기 침매 터널유닛(110a)은 상기 드라이 도크(114)와 는 별도의 제작장에서 제작된 침매 터널유닛(110a)을 육상 운송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침매 터널유닛(110a)은 그 이송방향으로 배치된 이동 통로와 그 이동 통로의 상부에서 미끄러져 이동하는 복수의 대차(미 도시)들과, 안내 대(미 도시)들을 포함하고, 안내 대를 일정 스트록(stroke)으로 밀어주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이송장치에 의해서 별도의 제작장으로부터 드라이 도크(114) 측으로 이송되어 압출 장치(200)의 수직 유압 잭 상부에 위치되고 압출 장치(200)의 작동으로 수평 이동가능한 상태로 배치된다.
이와 같이 드라이 도크(114)와는 별도의 제작장에서 침매 터널유닛(110a)을 제작하고, 이를 드라이 도크(114)로 이송하는 것에 관련된 상세한 기술은 예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36071호(명칭: 케이슨의 제작 이동장치 및 그 방법)에 기재된 바와 같은 기술을 이용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인접 또는 별도의 제작장에서 제작한 침매 터널유닛(110a)을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에서 직접 공급받거나 또는 드라이 도크(114)로 공급받아 기존의 침매 터널유닛에 연결할 때도 꼭 밀봉 가스켓 등을 이용한 밀봉 죠인트 연결이 아니라, 기존 침매 터널유닛의 끝 단부 및 신규 침매 터널유닛의 시작 단부 쪽에 미리 빼놓은 철근을 이어서 연결 죠인트 부를 현장 타설로 강결시키는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온도수축팽창을 흡수하기 위한 밀봉죠인트가 중간에 일정간격으로 있을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에서 직접 침매 터널유닛(110a)을 배치하여 수중으로 압출하거나 또는 드라이 도크(114)의 내부에 침매 터널유닛(110a)을 배치한 다음, 상기 침매 터널유닛(110a)을 드라이 도크(114)의 도어(114a)를 통하여 수중으로 압출하는 단계(S20)가 이루어진다. 상기 압출 단계(S20)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출 장치(200)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출 장치(200)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압출 장치(200)가 도 6에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장치(200)는 드라이 도크(114)의 피트(115) 또는 제작장의 피트(115) 내에 종으로 설치된 다수의 수직 유압 잭(230)을 이용하여 그 위에 놓여진 침매 터널유닛(110a)을 상승시키고, 이와 같이 상승시킨 상태에서 피트(115) 내에 횡으로 설치된 수평 유압 잭(240)을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을 전방으로 전진시킨 다음, 수직 유압 잭(230)을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을 하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승하여 전진된 침매 터널유닛(110a)은 드라이 도크(114)의 도어(114a) 하측 프레임 또는 이후에 설명되는 수중 압출 수단(260)의 상부에 놓이게 되고, 이와 같이 전진된 상태의 침매 터널유닛(110a) 아래에서 수직 유압 잭(230)을 하강시켜 전진된 침매 터널유닛(110a)의 하부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수평 유압 잭(240)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 유압 잭(230)을 다시 후방으로 원위치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다시 수직 유압 잭(230)을 작동시켜서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의 침매 터널유닛(110a)을 상승시키고, 재차 전진시키며, 다시 하강시켜 분리시키고, 수직 유압 잭(230)을 원위치시키는 과정을 다수 회 반복하게 됨으로써 드라이 도크(114) 측으로부터 도어(114a)를 통하여 도는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에서 직접 침매 터널유닛(110a)을 물속 또는 해저로 점차 압출시킨다.
이때, 압출하는 단계에서 침매터널 유닛(110a)의 제작장에서 직접 압출하는 경우에는 침매 터널유닛(110a)이 좌,우로 편이를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트(115)의 좌, 우 상단부를 침매터널 유닛(110a)의 좌, 우측면까지 연장하여 좌,우 측벽(116, 117)을 침매 터널유닛(110a) 높이의 1/2 정도까지 오도록 설치하고, 좌, 우측벽(116, 117)의 내면에 가이드 롤러(118)를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한다.
따라서, 제작장에 다수의 피트(115)를 설치하고 수중으로 직접 압출하는 경우에는 피트(115)의 좌, 우 측벽(116, 117)에 의해 침매터널 유닛(110a)의 좌, 우로 발생하는 편이를 방지하고 그러한 편이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해 가이드 롤러(118)에 고무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제작한 완충재를 감아서 충격을 흡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일단 수중으로 침매 터널유닛(110a)이 압출된 다음에는, 그 후방에 새롭게 제작된 침매 터널유닛(110a)을 배치하여 접속하는 단계(S30)가 이루어진다. 상기 침매 터널유닛(110a)들을 접속하는 단계(S30)는 침매 터널유닛(110a)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114) 내의 대기 중에서 전후방 동축(同軸)으로 배치된 침매 터널유닛(110a)들을 밀봉 접속시키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은 접속 공정은 침매 터널유닛(110a)의 접속부를 에워싸도록 밀봉 가스켓(미 도시)을 설치하고, 이를 콘크리트 방수처리하여 일체로 침매 터널유닛(110a)들을 연결한다.
상기 밀봉 가스켓은 예를 들면 탄성력과 밀봉성이 우수한 고무 가스켓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침매 터널유닛(110a)들을 대기(大氣) 중에서 서로 방수 연결하는 공정과 기술은 당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통상적인 기술을 이용하면 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대기 중에서 서로 접속 연결된 침매 터널유닛(110a)들은 침매 터널유닛(110a)의 제작장 또는 침매터널이 설치되는 해안에 설치된 드라이 도크 및 웨트 도크에서 압출하므로, 종래의 방식과 같이 제작장으로부터 침매터널의 설치장소까지 운반하는 일련의 작업이 생략된다.
따라서, 종래의 작업 방식에 비하여 육상이나 가까운 해안에서 침매 터널유닛(110a)들의 연결 작업을 쉽게 할 수 있고, 그에 따른 공사 기간의 단축은 물론 시공 원가의 절감을 통한 경제적인 이익을 크게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수중 연결 공정에 비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 연결부의 품질향상을 이룰 수 있음 은 물론, 그에 따른 침매 터널 전체의 시공 품질 향상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침매 터널유닛(110a)을 수중으로 압출하는 단계(S40)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압출 단계(S40)는 압출 장치(200)의 작동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상기 침매 터널유닛(110a)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114)의 전방으로 전진된 침매 터널유닛(110a)은 침매 터널유닛(110a)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114)의 전방에 마련된 다수의 침매 터널유닛(110a) 받침용 수중 압출 수단(260)들에 의해서 떠받쳐진다.
이와 같이 수중 압출 수단(260)들은 침매 터널유닛(110a)의 전진 경로에 설치되어 침매 터널유닛(110a)들을 일정 높이로 떠받치도록 된 것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저 면에 시공된 콘크리트 피트(262) 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침매 터널유닛(110a)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114)로부터 전진 압출된 침매 터널유닛(110a)을 하부에서 떠받친다.
또한 상기 수중 압출 수단(260)들은 각각 콘크리트 피트(262)의 내부에 별개의 수직 유압 잭(270)과 수평 유압 잭(280)들을 구비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114) 내의 수직 유압 잭(230)과 수평 유압 잭(240)의 동작에 연동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의 압출 작동을 이루도록 된 것인데, 즉 침매 터널유닛(110a)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114) 내의 수직 유압 잭(230)이 상승하면 수중 압출 수단(260)에 구비된 수직 유압 잭(270)이 동시에 상승하고, 하강하면 동시에 하강하며, 침매 터널유닛(110a)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114) 내의 수평 유압 잭(240)이 전진하면, 수중 압출 수단(260) 내의 수평 유압 잭(280)이 동시에 전진하고, 후진하면 동시에 연동하여 후진하여 서로 연결된 침매 터널유닛(110a)들을 전진 압출시킨다.
이와 같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침매 터널유닛(110a)을 수중으로 압출하는 단계(S40)는 침매 터널유닛(110a)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114) 내에 물이 없는 대기상태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복수의 침매 터널유닛(110a)은 그 길이가 길지 않아서 물속으로의 전진이동시 물에 의한 저항이 적은 초기 구간에 적용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원하는 길이의 침매 터널(110)이 완성되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S50)를 통하여 원하는 길이의 침매 터널(110)이 완성되기까지 수중으로 압출된 침매 터널유닛(110a)의 후방에 새롭게 제작된 침매 터널유닛(110a)을 연속 배치하여 접속하고 압출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압출 작업이 최종적으로 종료되면, 드라이 도크(114)와 압출 장치(200) 및 수중 압출장치(260)를 통하여 해저에 하나의 긴 침매 터널(110)이 완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100)의 변형 예로서 웨트 도크(130)를 이용한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10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1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해안가의 웨트 도크(130)에 침매 터널유닛(110a)을 배치하는 단 계(S6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침매 터널유닛(110a)을 웨트 도크(130)에 배치하는 단계(S10)는 상기 드라이 도크(114)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웨트 도크(130)에 인접하여 직접 침매 터널유닛(110a)을 제작하여 배치할 수 있거나, 별도의 제작장에서 제작된 침매 터널유닛(110a)을 육상 운송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인 사항은 이미 상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지만,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웨트 도크(130) 공법에서는 제작장으로부터 예인된 침매 터널유닛(110a)은 웨트 도크(130) 내에서 물속으로 가라앉게 되며, 웨트 도크(130)의 내부 측에 배치된 압출 장치(230)의 위로 놓이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웨트 도크(130)의 내부에 침매 터널유닛(110a)을 배치한 다음에는 상기 침매 터널유닛(110a)을 수중 전방으로 압출하는 단계(S70)가 이루어진다. 상기 압출 단계(S70)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출 장치(200)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압출 장치(200)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압출 장치(200)는 드라이 도크(114)에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채택할 수 있으며, 이는 웨트 도크(130)의 피트(132) 내에 종(縱)으로 설치된 다수의 수직 유압 잭(230)을 이용하여 그 위에 놓여진 침매 터널유닛(110a)을 상승시키고, 이와 같이 상승시킨 상태에서 피트 내에 횡(橫)으로 설치된 수평 유압 잭(240)을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을 전방으로 전진시킨 다음, 수직 유압 잭(230)을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을 하강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승하여 전진된 침매 터널유닛(110a)은 웨트 도크(130)의 전방 측에 설치되는 수중 압출 수단(260) 측으로 이동되고, 이와 같이 전진된 상태의 침매 터널유닛(110a) 아래에서 수직 유압 잭(230)을 하강시켜 전진된 침매 터널유닛(110a)의 하부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수평 유압 잭(240)을 이용하여 수직 유압 잭(230)을 다시 후방으로 원위치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 유압 잭(230)을 다시 작동시켜서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의 침매 터널유닛(110a)을 상승시키고, 재차 전진시키며, 다시 하강시켜 분리시키고, 수직 유압 잭(230)을 원위치시키는 과정을 다수 회 반복하게 됨으로써 수중에서 웨트 도크(130)의 전방측으로 향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을 점차 압출시킨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수중으로 압출된 침매 터널유닛(110a)의 후방에 새롭게 제작된 침매 터널유닛(110a)을 배치하여 접속하는 단계(S80)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침매 터널유닛(110a)들을 접속하는 단계(S80)는 해안가에 마련된 웨트 도크(130)의 수중(水中)에서 침매 터널유닛(110a) 간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데, 이와 같은 작업은 종래의 해양 멀리에 위치된 깊은 수심에서 이루어지는 방식보다 현저히 유리하다.
즉 종래의 해안으로부터 먼 수중에서 침매 터널유닛(110a)들의 연결작업을 실행하는 방식에 비하여 수심이 낮고, 작업하기 편리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들의 연결을 쉽게 시공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공사 기간의 단축은 물론 시공 원가의 절감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침매 터널유닛(110a) 간의 연결작업이 해안가의 웨트 도크(130) 내에서 쉽게 이루어지면, 침매 터널유닛 연결부의 품질향상을 이룰 수 있고, 그에 따라서 침매 터널(110) 전체의 시공 품질 향상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음으로 서로 연결된 복수의 침매 터널유닛(110a)을 수중으로 압출하는 단계(S90)가 이루어지는데, 이는 상기 웨트 도크(130) 전방의 침매 터널(110)의 경로 상에 다수의 수중 압출 수단(260)들을 설치하여 상기 웨트 도크(130)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진 압출되는 침매 터널유닛(110a)들을 일정 높이로 떠받치도록 하고, 침매 터널(110)의 경로 상에서 물속의 전 구간에 걸쳐서 상기 침매 터널유닛(110a)들을 압출 전진시킨다.
상기 수중 압출 수단(260)들은 수중 콘크리트 피트(262) 내에 각각 별개의 수직 유압 잭(270)과 수평 유압 잭(280)들을 구비하는 것으로, 이들은 상기 웨트 도크(130)의 피트(132) 내에 구비된 수직 유압 잭(230)과 수평 유압 잭(240)의 동작에 연동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의 압출 작동을 이룬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서로 연결된 복수의 침매 터널유닛(110a)을 해안가의 웨트 도크(130) 수중(水中)으로부터 침매 터널(110) 전체 구간에 걸쳐서 동시적으로 연동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복수의 침매 터널유닛(110a)은 물속으 로의 압출 이동시, 전진이동에 따른 물에 의한 저항을 쉽게 극복할 수 있어서 침매 터널유닛(110a)들이 길게 연결된 후기 구간에 적용하면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으로 원하는 길이의 침매 터널(110)이 완성되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S100)를 포함하고, 원하는 길이의 침매 터널(100)이 완성되기까지 수중으로 압출된 침매 터널유닛(110a)의 후방에 새롭게 제작된 침매 터널유닛(110a)을 연속 배치하고 접속하여 압출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압출 작업이 최종적으로 종료되면, 웨트 도크(130)의 압출 장치(200) 및 수중압출장치(260)를 통하여 해저에 하나의 긴 침매 터널(110)이 완성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침매 터널(110)의 연속 압출 공법(100)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2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장치(200)는 도 4, 도 5, 도 6,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장의 피트(115), 드라이 도크(114)의 피트(115) 또는 웨트 도크(130)내의 피트(132)(이하, 간단히 "해안가 피트"라 한다)내에 종으로 배치된 다수의 수직 유압 잭(230)들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 유압 잭(230)들은 그 로드(232)가 상부측에 위치되고, 실린더 몸체(236)는 하부 측에 위치되어 피트의 하부 면에 힌지 수단(235)에 의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
또한 상기 수직 유압 잭(230)의 로드(232) 상단에는 상기 침매 터널유닛(110a)의 하부 면을 떠받치는 받침 판(234)이 힌지 수단(233)에 의해 회전가능하 도록 연결되며, 비록 도 10에서는 복수의 수직 유압 잭(230)이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개의 수직 유압 잭(230)들이 해안가 피트(115)(132)에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그리고 상기 압출 장치(200)는 상기 해안가 피트(115)(132) 내에 횡으로 배치된 다수의 수평 유압 잭(240)을 포함하는데 상기 수평 유압 잭(240)은 상기 수직 유압 잭(230)의 일측에 각각 로드(242) 선단이 연결되고, 실린더 몸체(246)는 고정대(248)에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수평 유압 잭(240)은 각각 상기 수직 유압 잭(230)에 대응하여 배치된 것으로서, 그 로드(242)가 상기 수직 유압 잭(230)의 실린더 몸체(236) 중간에 힌지 연결되고, 그 실린더 몸체(236)는 후방 측 해안가 피트(115)(132) 측벽에 위치되어 고정대(248)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또는 다르게는 상기 수평 유압 잭(240)은 그 로드(242)가 침매 터널유닛(110a)의 하부 면을 떠받치는 받침 판(234)에 힌지 연결되고, 그 실린더 몸체(246)는 경사진 상태로 후방 피트 측벽에 위치되어 고정대(248)에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수평 실린더(240)의 배치 구조 모두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피트(115)가 드라이 도크(114)에 설치된 경우, 상기 드라이 도크(114)는 전방 측벽에 상기 침매 터널유닛(110a)이 통과하는 도어(114)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114)의 둘레에는 침매 터널유닛(110a)과의 사이에서 수밀 작용을 제공하는 씨일((seal)(120)이 장착되어 상기 드라이 도크(114)의 내부로 물이 침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씨일(120)은 "ㄴ"형의 단면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탄성력을 갖는 고무 재료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압출 장치(200)는 상기 해안가 피트(115)(132) 내에 마련된 다수의 수직 유압 잭(230)을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을 상승시키고, 상기 수평 유압 잭(240)들을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을 전방으로 전진시킨 다음, 상기 수직 유압 잭(230)들을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을 하강시키고, 상기 수평 유압 잭(240)들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 유압 잭(230)들을 후방으로 원위치 이동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1 싸이클(cycle)로 하여 반복 작동하고 그 1 싸이클 마다 침매 터널유닛(110a)을 전진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해안가 피트(115)(132)의 전방에 다수의 수중 압출 수단(260)들이 설치된 구조인데, 상기 수중 압출 수단(260)들은 도 11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침매 터널(110)의 경로 상에 위치되어 상기 해안가 피트(115)(132)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진 압출되는 침매 터널유닛(110a)들을 일정 높이로 떠받치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수중 압출 수단(260)들은 침매 터널(110)의 경로 상에서 물속의 전 구간에 걸쳐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며, 이후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침매 터널유닛(110a)들을 압출 전진시키고, 해저 전체 구간에 걸쳐서 침매 터널(110)을 떠받쳐 지지하는 영구 구축물이다.
상기 수중 압출 수단(260)들은 도 4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피트(262)를 포함하고, 내부에 수직 유압 잭(270) 및 수평 유압 잭(280)을 구비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을 받친다. 즉 상기 수중 압출 수단(260)은 그 각각의 콘크리트 피트(262) 내에 별개의 수직 유압 잭(270)과 수평 유압 잭(280)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수직 유압 잭(270)과 수평 유압 잭(280)들은 모두 해안가 피트(115)(132) 내의 수직 유압 잭(230)과 수평 유압 잭(240)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한다.
상기 수중 압출 수단(260)의 수직 유압 잭(270)은 그 실린더 몸체(274)의 하단이 콘크리트 피트(262)의 내측 바닥면에 힌지 수단(275)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고, 그 로드(276)의 상단에는 각각 침매 터널유닛(110a)의 하부 면을 떠받치는 받침 판(278)이 힌지 수단(277)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중 압출 수단(260)의 수평 유압 잭(280)은 그 실린더 몸체(284)가 상기 콘크리트 피트(262)의 내측에서 수평으로 배치되고 그 후단은 콘크리트 피트(262)의 측벽에 힌지 수단(285)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그 로드(286)의 전단은 상기 수직 유압 잭(270)의 실린더 몸체(274) 중간에 힌지 수단(287)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또는 상기 수평 유압 잭(280)의 로드(286) 전단은 침매 터널유닛(110a)의 하부 면을 떠받치는 받침 판(278)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구조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수중 압출 수단(260)은 내부에 구비된 수직 유압 잭(270)을 이용하여 해안가 피트(115)(132) 측으로부터 전달된 침매 터널유닛(110a)을 상승시키고, 상기 수평 유압 잭(280)들을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을 전방으로 밀어 전진시킨 다음, 상기 수직 유압 잭(270)들을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을 하강시키고, 상기 수평 유압 잭(280)들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 유압 잭(270)들을 후방으로 원위치 이동시키는 일련의 과정을 1 싸이클(cycle)로 하여 반복 작동하며, 해안가 피트(115)(132) 내의 수직 유압 잭(230)과 수평 유압 잭(240)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수중 압출 수단(260)들은 콘크리트 피트(262)의 상단 모서리에 침매 터널유닛(110a)을 올려놓고, 그 하부 측에서 수직 유압 잭(270)과 수평 유압 잭(280)들이 동작하며, 침매 터널(110)의 전체 구간에 걸쳐서 배치되어 동작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압출 장치(200)는 먼저 해안가에 마련되는 침매 터널유닛(110a)의 제작장, 드라이 도크(114) 또는 웨트 도크(130)의 피트(115)(132) 내에 구비된 수평 유압 잭(240)과 수직 유압 잭(230)들이 동작하여 그 상부 측의 침매 터널유닛(110a)을 물속으로 압출시킨다. 일단 물속으로 압출된 침매 터널유닛(110a)은 상기 해안가 피트(115)(132)의 전방 측에 위치된 수중 압출 수단(260)의 콘크리트 피트(262) 상단 위에 놓여서 지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해안가 피트(115)(132)의 내부에 새로운 침매 터널유닛(110a)이 배치되고, 이미 압출된 선행(先行) 침매 터널유닛(110a)의 후단에 새로운 침매 터널유닛(110a)이 밀봉 접속되면, 해안가 피트(115)(132)의 수평 유압 잭(240)은 수중 압출 수단(260)의 수평 유압 잭(280)들과 연동하고, 해안가 피트(115)(132)의 수직 유압 잭(230)은 수중 압출 수단(260)의 수직 유압 잭(270)들과 연동하여 서로 연결된 복수의 침매 터널유닛(110a)들을 압출 전진시키고, 침매 터널(110)의 경로 상에 배치된 또 다른 수중 압출 수단(260) 상으로 침매 터널유닛(110a)을 밀어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작동을 계속하여 차례차례 침매 터널유닛(110a)들을 압출 전진시키게 되면, 원하는 전체 구간에 걸쳐서 침매 터널(110)을 길게 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침매 터널(110)의 길이가 너무 길어지게 되어 모든 수중 압출 수단(260)에 수직 및 수평 유압 잭(270)(180)들을 둘 수 없을 때는 경제성을 감안하여 일정 간격으로 중간 중간에 일부 수중 압출 수단(260) 위에만 수직 및 수평 유압 잭(270)(280)들을 설치하고, 나머지 수중 압출 수단 위에서는 롤러형 터널받침(미 도시)을 설치하여 수동적으로 롤러(미 도시)가 굴러서 침매 터널(110)이 압출되도록 하는 구조도 포함한다. 이때 추가적인 압출력이 필요하다면 해안가 피트(115)(132) 내에 윈치(미 도시)나 별도의 대형 수평 유압 잭을 설치하여 후속 신규 침매 터널유닛의 끝단에서 수중 압출 수단(260)들의 수직 및 수평 유압 잭(270)(280)들과 함께 연동시켜 압출시키는 것도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압출 장치(200)에 의하면 해안가 피트(115)(132)에서 침매 터널유닛(110a)들의 연결 접속작업이 이루어지고, 다수의 수평 유압 잭(240)(280) 및 수직 유압 잭(230)(270)들을 통하여 수중으로 침매 터널의 압출 작업이 연속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 실시 예의 압출 장치(300)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출 장치(300)는 해안가 피트(115)(132) 내에 종(縱)으로 배치된 다수의 수직 유압 잭(320)과 횡(橫)으로 배치된 다수의 수평 유압 잭(330)을 구비한다.
상기 해안가 피트(115)(13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내부의 수직 유압 잭(320), 수평 유압 잭(330) 및 슬라이딩 부(340)가 대기 중에서 동작하는 침매 터널유닛(110a)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114) 내에 위치되거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물속에 잠겨서 동작하는 웨트 도크(13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유압 잭(320)과 수평 유압 잭(330)에는 슬라이딩 부(340)가 장착되는데, 상기 슬라이딩 부(340)는 수직 유압 잭(320)의 로드(322)에 연결되고, 상부면에는 전방으로 향하여 하향의 제1 경사면(342a)이 형성된 제1 슬라이더(342)와, 상기 수평 유압 잭(330)의 로드(332)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슬라이더(342)의 제1 경사면(342a)에 면접하는 제2 경사면(346a)을 하부면에 형성하고, 상부면은 침매 터널유닛(110a)의 하부 면에 밀착된 제2 슬라이더(346)를 포함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압출 장치(300)는 도 12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 유압 잭(320)과 제1 슬라이더(342)를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을 상승시키고, 상기 수평 유압 잭(330)과 제2 슬라이더(346)를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을 전방으로 전진시킨 다음, 상기 수직 유압 잭(320)과 제1 슬라이더(342)를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을 하강시키고, 상기 수평 유압 잭(330)의 제2 슬라이더(346)를 상기 수직 유압 잭(320)의 제1 슬라이더(342) 상에서 후방으로 원위치 이동시키는 1 싸이클의 과정을 반복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을 연속 압출시킨다.
즉, 상기에서 상기 수직 유압 잭(320)과 제1 슬라이더(342)를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을 상승시킨 다음, 이 상태에서 상기 수평 유압 잭(330)을 동작시키면 제2 슬라이더(346)의 제2 경사면(346a)이 제1 슬라이더(342)의 제1 경사면(342a)을 따라서 하향 전진이동하면서 침매 터널유닛(110a)을 전방으로 전진시킨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수직 유압 잭(320)과 제1 슬라이더(342)를 하강시키면 침매 터널유닛(110a)이 하강하여 전진한 상태로 해안가 피트(115)(132) 상단에 놓여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수평 유압 잭(330)의 제2 슬라이더(346)를 상기 수직 유압 잭(320)의 제1 슬라이더(342) 상에서 후방으로 원위치 이동시키면, 상기 수평 유압 잭(330)의 제2 슬라이더(346)는 침매 터널유닛(110a)의 하부에서 후진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을 전진시킨 상태로 제2 슬라이더(346)만 후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침매 터널(110)을 연속 압출시킨다.
이와 같은 상기 슬라이딩 부(340)는 제1 경사면(342a)과 제2 경사면(346a)의 표면에 각각 마찰계수가 작은 테프론 판(미 도시)이 라이닝되고, 상기 테프론 판 사이의 마찰계수는 제2 슬라이더(346a)의 상부면과 침매 터널유닛(110a)의 하부면 과의 마찰계수보다 작은 것이어서 원활한 슬라이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해안가 피트(115)(132)의 전방에 위치하는 침매 터널(110)의 경로 상에 다수의 수중 압출 수단(360)들을 배치하고 있는데, 상기 수중 압출 수단(360)들은 그 위로 이동하는 상기 침매 터널유닛(110a)들을 일정 높이로 떠받치도록 된 구조이다.
도 14에 본 발명에 의한 수중 압출 수단을 침매 터널의 종방향으로 절단하여 바라본 종방향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수중 압출 수단(360)들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 해저면을 굴착하여 설치되는 콘크리트 피트(362)를 갖추고, 상기 콘크리트 피트(362)의 내부에는 각각 종(縱)으로 배치된 수직 유압 잭(370)과 횡(橫)으로 배치된 수평 유압 잭(380)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수직 유압 잭(370)의 로드(372)에는 상부 면에 전방으로 향하여 제1 경사면(392a)이 형성된 제1 슬라이더(392)가 배치되고, 상기 수평 실린더(380)의 로드(382)에는 제1 슬라이더(392)의 제1 경사면(392a)에 면접하는 제2 경사면(396a)을 하부면에 형성하고, 상부면은 침매 터널유닛(110)의 하부면에 밀착된 제2 슬라이더(396)가 연결된다. 또한 이와 같은 상기 수중 압출 수단(360)의 수직 유압 잭(370)과 수평 유압 잭(380)들은 상기 해안가 피트(115)(132) 내의 수직 유압 잭(320)과 수평 유압 잭(330)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하게 됨으로써 침매 터널(110)을 연속 압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중 압출 수단(360)은 제1 경사면(392a)과 제2 경사면(396a)의 표면에 각각 마찰계수가 작은 테프론 판(미 도시)이 라이닝되고, 상기 테프론 판 사이의 마찰계수는 제2 슬라이더(396a)의 상부면과 침매 터널유닛(110a)의 하부면 과의 마찰계수보다 작은 것이어서 원활한 슬라이딩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중 압출 수단(360)의 수직 유압 잭(370)과 수평 유압 잭(380)들이 해안가 피트(115)(132) 내의 수직 유압 잭(320)과 수평 유압 잭(330)에 연동하면, 수직 유압 잭(370)과 제1 슬라이더(392)를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을 높이(△h) 만큼 상승시킨 다음, 이 상태에서 상기 수평 유압 잭(380)을 동작시키면 제2 슬라이더(396)의 제2 경사면(396a)이 제1 슬라이더(392)의 제1 경사면(392a)을 따라서 하향 전진이동하면서 침매 터널유닛(110a)을 전방으로 전진시킨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수직 유압 잭(370)과 제1 슬라이더(392)를 하강시키면 침매 터널유닛(110a)이 하강하여 전진한 상태로 콘크리트 피트(362) 상에서 전방으로 위치 이동하여 놓여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수평 유압 잭(380)의 제2 슬라이더(396)를 상기 수직 유압 잭(370)의 제1 슬라이더(372) 상에서 후방으로 원위치 이동시키면, 상기 수평 유압 잭(380)의 제2 슬라이더(396)는 침매 터널유닛(110a)의 하부에서 후진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을 전진시킨 상태로 두고서 제2 슬라이더(396)만 후진한다.
따라서 상기 수중 압출 수단(360)은 이와 같은 작동을 해안가 피트(115)(132) 내의 수직 유압 잭(320)과 수평 유압 잭(330)에 연동하여 반복함으로써 침매 터널(110)을 연속으로 높이(△h) 만큼 상승시켜서 전진 압출시키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해안가로부터 멀리 떨어진 깊은 수심에서 행하던 종래의 침매 터널유닛(110a) 연결작업에 비하여 침매 터널유닛(110a)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114) 내의 대기(大氣) 중에서 또는 웨트 도크(130) 내의 얕은 수심에서 침매 터널유닛(110a)들의 연결을 쉽게 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른 공사 기간의 단축은 물론, 시공 원가의 절감을 통한 경제적인 이익을 크게 얻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하면 침매 터널유닛(110a) 간의 연결작업이 쉽게 이루어짐으로써 침매 터널유닛(110a) 연결부의 품질향상을 이룰 수 있고, 침매 터널(110) 전체의 시공 품질 향상을 이룰 수 있어서 고 품질의 침매 터널(110)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실시 예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 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권 리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그와 같은 단순한 실시 예의 수정 또는 설계변형 구조들은 모두 명백하게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속하게 됨을 미리 밝혀 두고자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해 침매터널 유닛의 접속작업을 능률있게 하기 위하여 수중부와 육지를 차단하는 벽을 쌓고 입갱을 설치하여 입갱의 하단부에서 침매터널 유닛의 접속작업을 행하는 예;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해 침매터널 유닛의 양 측면에 복수의 워터 롤러로 무한궤도를 구성한 구동장치를 설치한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발명에 따른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5는 도 5에 본 발명에 따른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의해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에서 직접 침매 터널의 유닛을 압출하는 경우 제작장과 압출 장치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 장치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장에서 침매 터널유닛을 직접 바다로 압출하는 때에 제작장에 설치되는 피트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를 도시한 측 단면도;
도 10은 도 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에 구비된 수중 압출 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변형 실시 예의 압출 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변형 실시 예의 압출 장치에 구비된 수중 압출 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100'..... 본 발명에 따른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
10,60.... 드라이 도크 또는 웨트 도크에 침매 터널유닛을 배치하는 단계
20,70.... 드라이 도크 또는 웨트 도크내에 배치된 침매 터널유닛을 압출하는 단계
30,80.... 압출된 침매 터널유닛의 후방에 새로운 침매 터널유닛을 접속하는 단계
40,90.... 서로 연결된 복수의 침매 터널유닛을 압출하는 단계
50,100.... 원하는 길이의 침매 터널이 완성되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
110.... 침매 터널 110a.... 침매 터널유닛
114.... 드라이 도크 114a.... 드라이 도크 도어
200,300.... 본 발명의 압출 장치
230,270.... 수직 유압 잭 240,280.... 수평 유압 잭
260,360.... 수중 압출 수단 320,370.... 수직 유압 잭
330,380.... 수평 유압 잭 342,392.... 제1 슬라이더
342a,392a.... 제1 경사면 346,396.... 제2 슬라이더
346a,396a.... 제 경사면 △h... 침매 터널 상승 높이

Claims (23)

  1. 침매 터널유닛을 수중에 길게 접속 연결하여 침매 터널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 내의 피트에 상기 침매 터널유닛의 하부면을 떠받치는 받침판이 힌지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로드가 상부측에 위치되고, 그 실린더 몸체는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피트의 하부면에 힌지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수직유압잭들과, 상기 수직유압잭의 일측에 각각 그 로드 선단이 연결되고, 그 실린더 몸체는 상기 피트 측벽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고정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다수의 수평유압잭을 포함하는 압출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압출장치 위에 침매 터널유닛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 내에 배치된 침매 터널유닛을 피트에 종으로 설치된 다수의 수직 유압 잭을 이용하여 상기 침매 터널유닛을 상승시키고, 상기 피트 내에 횡으로 배치된 다수의 수평 유압 잭을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을 전방으로 전진시킨 다음, 상기 수직 유압 잭을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을 하강시키고, 상기 수평 유압 잭을 이용하여 수직 유압 잭을 후방으로 원위치 이동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에서 직접 수중으로 압출하거나 또는 드라이 도크의 도어를 통하여 수중으로 압출하는 단계;
    상기 수중으로 압출된 침매 터널유닛의 후방에 새롭게 제작된 침매 터널유닛을 배치하여 접속하는 단계;
    상기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 전방의 침매 터널의 경로 상에 콘크리트 피트 내부에 별개의 수직유압잭과 수평유압잭들을 구비하여 상기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 내의 수직유압잭과 수평유압잭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침매 터널유닛을 압출하는 다수의 수중 압출 수단들을 설치하여 상기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진 압출되는 침매 터널유닛들을 일정 높이로 떠받치도록 하고, 침매 터널의 경로 상에 물속의 전 구간에 걸쳐서 상기 침매 터널유닛들을 압출 전진시켜 서로 연결된 복수의 침매 터널유닛을 수중으로 압출하는 단계; 및
    원하는 길이의 침매 터널이 완성되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원하는 길이의 침매 터널이 완성되기까지 수중으로 압출된 침매 터널유닛의 후방에 새롭게 제작된 침매 터널유닛을 연속 배치하여 접속하고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도크는 상기 침매 터널의 윗면보다 얕은 깊이의 완전 침매 해저면, 상기 침매 터널의 윗면과 아랫면 중간에 해당하는 깊이를 갖는 중간 침매 해저면 또는 상기 침매 터널의 아랫면에 해당하는 깊이를 갖는 바닥 침매 해저면을 굴착하여 해안가에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
  3. 삭제
  4. 침매 터널유닛을 수중에 길게 접속 연결하여 침매 터널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해안가의 웨트 도크에 피트를 설치하고, 상기 침매 터널유닛의 하부면을 떠받치는 받침판이 힌지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로드가 상부측에 위치되고, 그 실린더 몸체는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피트의 하부면에 힌지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수직유압잭들과, 상기 수직유압잭의 일측에 각각 그 로드 선단이 연결되고, 그 실린더 몸체는 상기 피트 측벽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고정대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다수의 수평유압잭을 포함하는 압출장치를 상기 피트에 설치하고, 상기 피트 위에 침매 터널유닛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웨트 도크 내에 배치된 침매 터널유닛을 피트에 종(縱)으로 설치된 다수의 수직 유압 잭을 이용하여 상기 침매 터널유닛을 상승시키고, 상기 피트 내에 횡(橫)으로 배치된 다수의 수평 유압 잭을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을 전방으로 전진시킨 다음, 상기 수직 유압 잭을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을 하강시키고, 상기 수평 유압 잭을 이용하여 수직 유압 잭을 후방으로 원위치 이동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웨트 도크 전방의 수중으로 압출하는 단계;
    상기 수중으로 압출된 침매 터널유닛의 후방에 새롭게 제작된 침매 터널유닛을 배치하여 접속하는 단계;
    상기 웨트 도크 전방의 침매 터널의 경로 상에 콘크리트 피트 내부에 별개의 수직유압잭과 수평유압잭들을 구비하여 상기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또는 드라이 도크 내의 수직유압잭과 수평유압잭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침매 터널유닛을 압출하는 다수의 수중 압출 수단들을 설치하여 상기 웨트 도크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진 압출되는 침매 터널유닛들을 일정 높이로 떠받치도록 하고, 침매 터널의 경로 상에 물속의 전 구간에 걸쳐서 상기 침매 터널유닛들을 압출 전진시켜 서로 연결된 복수의 침매 터널유닛을 수중으로 압출하는 단계; 및
    원하는 길이의 침매 터널이 완성되었는지를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원하는 길이의 침매 터널이 완성되기까지 수중으로 압출된 침매 터널유닛의 후방에 새롭게 제작된 침매 터널유닛을 연속 배치하여 접속하고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웨트 도크에 침매 터널유닛을 배치하는 단계는 인근 제작장에서 침매 터널유닛을 제작하여 예인하고 가라앉혀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웨트 도크에 침매 터널유닛을 배치하는 단계는 별도의 제작장에서 제작된 침매 터널유닛을 예인하고 가라앉혀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침매 터널유닛들을 접속하는 단계는 해안가의 웨트 도크 수중(水中)에서 침매 터널유닛 간의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
  8. 삭제
  9. 침매 터널유닛을 연속으로 접속하여 수중에 침매 터널을 압출 시공하는데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에 있어서,
    해안가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드라이 도크 또는 웨트 도크의 피트 내에 종으로 배치된 되고, 상기 피트의 하부 면에 힌지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실린더 몸체와, 상기 실린더 몸체로부터 상승, 하강하고, 그 상부에 위치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에 힌지 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침매 터널유닛의 하부 면을 떠받치는 받침 판을 구비하는 다수의 수직 유압 잭; 및
    상기 피트 내에 횡으로 배치된 되고, 상기 피트 측벽에 위치되어 고정대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실린더와; 상기 수직 유압잭의 실린더 몸체 중간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에서 전진, 원위치하는 로드로 구성되는 다수의 수평 유압 잭;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수직 유압 잭을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을 상승시키고, 상기 수평 유압 잭들을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을 전방으로 전진시킨 다음, 상기 수직 유압 잭들을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을 하강시키고, 상기 수평 유압 잭들을 이용하여 상기 수직 유압 잭들을 후방으로 원위치 이동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해안가 피트는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드라이 도크 또는 웨트 도크 내에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 도크는 전방 측벽에 상기 침매 터널유닛이 통과하는 도어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의 둘레에는 침매 터널유닛과의 사이에서 수밀 작용을 제공하는 씨일이 장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 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침매 터널유닛의 제작장, 드라이 도크 또는 상기 웨트 도크의 전방에는 침매 터널의 경로 상에 위치되어 상기 침매 터널유닛들을 일정 높이로 떠받치도록 된 다수의 수중 압출 수단들이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압출 수단들은 수중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피트를 구비하고, 상기 콘크리트 피트 내에는 각각 종으로 배치된 수직 유압 잭과 횡으로 배치된 수평 유압 잭들을 구비하며, 상기 드라이 도크 또는 웨트 도크 내의 수직 유압 잭과 수평 유압 잭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압출 수단들은 콘크리트 피트의 상단 모서리에 침매 터널유닛이 지지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압출 수단은 침매 터널의 전체 구간에 걸쳐서 배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
  16. 침매 터널유닛을 연속으로 접속하여 수중에 침매 터널을 압출 시공하는데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에 있어서,
    해안가 피트 내에 종으로 배치되고, 상기 피트의 하부 면에 힌지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되는 실린더 몸체와, 상기 실린더 몸체로부터 상승, 하강하고, 그 상부에 위치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에 힌지 수단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침매 터널유닛의 하부 면을 떠받치는 받침 판을 구비하는 수직 유압 잭;
    상기 피트 내에 횡으로 배치되고, 상기 피트 측벽에 위치되어 고정대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실린더와; 상기 수직 유압잭의 실린더 몸체 중간에 힌지 연결되고 상기 실린더에서 전진, 원위치하는 로드로 구성되는 수평 유압 잭; 및
    상기 수직 유압 잭의 로드에 연결되고, 상부면에는 전방으로 향하여 제1 경사면이 형성된 제1 슬라이더와, 상기 수평 유압 잭의 로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제1 경사면에 면접하는 제2 경사면을 하부면에 형성하고, 상부면은 침매 터널유닛의 하부면에 밀착된 제2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유압 잭과 제1 슬라이더를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을 상승시키고, 상기 수평 유압 잭과 제2 슬라이더를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을 전방으로 전진시킨 다음, 상기 수직 유압 잭과 제1 슬라이더를 이용하여 침매 터널유닛을 하강시키고, 상기 수평 유압 잭의 제2 슬라이더를 상기 수직 유압 잭의 제1 슬라이더 상에서 후방으로 원위치 이동시키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해안가 피트는 드라이 도크 또는 웨트 도크 내에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는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의 표면에 각각 마찰계수가 작은 테프론 판이 라이닝되고, 상기 테프론 판 사이의 마찰계수는 제2 슬라이더의 상부면과 침매 터널유닛의 하부면 과의 마찰계수보다 작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해안가 피트는 그 전방에 침매 터널의 경로 상에 위치되어 상기 침매 터널유닛들을 일정 높이로 떠받치도록 된 다수의 수중 압출 수단들이 설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압출 수단들은 수중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피트 내에 각각 종으로 배치된 수직 유압 잭과 횡으로 배치된 수평 유압 잭들을 구비하고, 상기 수직 유압 잭의 로드에는 상부 면에 전방으로 향하여 하향으로 제1 경사 면이 형성된 제1 슬라이더가 배치되고, 상기 수평 실린더의 로드에는 제1 슬라이더의 제1 경사면에 면접하는 제2 경사면을 하부면에 형성하고, 상부면은 침매 터널유닛의 하부면에 밀착된 제2 슬라이더가 연결되며, 상기 해안가 피트 내의 수직 유압 잭과 수평 유압 잭의 동작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는 제1 경사면과 제2 경사면의 표면에 각각 마찰계수가 작은 테프론 판이 라이닝되고, 상기 테프론 판 사이의 마찰계수는 제2 슬라이더의 상부면과 침매 터널유닛의 하부면 과의 마찰계수보다 작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압출 수단들은 콘크리트 피트의 상단 모서리에 침매 터널유닛이 지지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 압출 수단은 침매 터널의 전체 구간에 걸쳐서 배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
KR1020080027890A 2008-03-26 2008-03-26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 KR101002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890A KR101002697B1 (ko) 2008-03-26 2008-03-26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890A KR101002697B1 (ko) 2008-03-26 2008-03-26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439A KR20090102439A (ko) 2009-09-30
KR101002697B1 true KR101002697B1 (ko) 2010-12-21

Family

ID=41359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890A KR101002697B1 (ko) 2008-03-26 2008-03-26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6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0835A (zh) * 2016-03-21 2016-08-24 广州供电局有限公司 电缆冷缩中间接头界面压力的测量方法
WO2018192128A1 (zh) * 2017-04-21 2018-10-25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工程船及水下物运输安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29129A (zh) * 2010-09-06 2010-12-29 中铁大桥局集团有限公司 用于顶推施工的新型滑道梁
CN105604079B (zh) * 2016-03-22 2017-11-28 中铁隧道集团二处有限公司 一种适用于大流速条件下的隧道沉管管节出坞施工方法
KR102504211B1 (ko) * 2022-04-22 2023-02-28 (주)에스앤피이엔지 지하구조물의 개량 다운업 시공방법
KR102484762B1 (ko) * 2022-04-22 2023-02-06 (주)에스앤피이엔지 지하구조물의 개량 다운업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959B1 (ko) * 2005-11-22 2006-12-14 삼성물산 주식회사 일체형 수직/수평 유압잭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운반장치 및 그 케이슨 운반차량
KR100752775B1 (ko) * 2006-07-11 2007-08-29 김근택 해양구조물의 이송장치, 이의 이송방법 및 해양구조물의베이스 슬래브용 거푸집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959B1 (ko) * 2005-11-22 2006-12-14 삼성물산 주식회사 일체형 수직/수평 유압잭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운반장치 및 그 케이슨 운반차량
KR100752775B1 (ko) * 2006-07-11 2007-08-29 김근택 해양구조물의 이송장치, 이의 이송방법 및 해양구조물의베이스 슬래브용 거푸집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90835A (zh) * 2016-03-21 2016-08-24 广州供电局有限公司 电缆冷缩中间接头界面压力的测量方法
WO2018192128A1 (zh) * 2017-04-21 2018-10-25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工程船及水下物运输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439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2697B1 (ko) 침매 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
KR0172616B1 (ko) 수중에서의 인공구조물 제작방법 및 장치
CN112728212A (zh) 一种污水海域排放管的海上沉管及水下安装施工方法
JP3135833B2 (ja) 水中構造物の構築方法
KR101002698B1 (ko) 수중터널의 연속 압출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압출 장치
CN106120858B (zh) 一种钢壳外包的沉管管段浮态制作方法
KR100336071B1 (ko) 케이슨의 제작 이동 장치 및 그 방법
US4310052A (en) Offshore structure for production of hydrocarbons
CN113585345B (zh) 一种近海内河交汇区沉管隧道施工工艺
CN109537632B (zh) 一种海底隧道建设方法
CN102587316A (zh) 沉箱式高桩海堤及其施工方法
CN104973210A (zh) 水上人工结构设施施工建设技术
KR20090132210A (ko) 수압 잭을 이용한 수중교량 압출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장치
KR101035067B1 (ko) 지중 터널과 수중 터널의 연결용 수중 드라이 도크 및 이를이용한 터널구축방법
CN102873748B (zh) 大型混凝土构件预制装置及大型混凝土构件的预制方法
KR20100120326A (ko) 선형의 변곡점 또는 환기구가 있는 물속다리(水中橋梁)
JP3378982B2 (ja) 水底トンネルの基礎構造
JP2000120095A (ja) 水底トンネルの構築方法
CN220184134U (zh) 无掩护海域水下精准挖泥设备
JP4925092B2 (ja) 水際工事用仮設足場
CN217621305U (zh) 一种用于工厂法沉管预制的结构基础
CN215367409U (zh) 可重复利用的斜坡预制沉管管节平台装置
JP2001214419A (ja) ケーソンによる海洋構造物の設置工法
CN116277467A (zh) 一种流水线预制沉管隧道的干坞系统及其预制方法
JP3443789B2 (ja) 水底トンネルの滑り支承の支承台及びそ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