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982B1 -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982B1
KR101001982B1 KR1020100092002A KR20100092002A KR101001982B1 KR 101001982 B1 KR101001982 B1 KR 101001982B1 KR 1020100092002 A KR1020100092002 A KR 1020100092002A KR 20100092002 A KR20100092002 A KR 20100092002A KR 101001982 B1 KR101001982 B1 KR 101001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ortion
negative electrode
positive electrode
battery
stack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2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6292A (ko
Inventor
이정용
Original Assignee
이정용
주식회사 레오모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용, 주식회사 레오모터스 filed Critical 이정용
Priority to KR1020100092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982B1/ko
Publication of KR20100106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6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2Gases with free flow by convection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배터리 셀이 적층되는 적층프레임과, 상기 적층프레임을 에워싸는 통형의 몸체블럭을 구비하되, 상기 각 배터리 셀은, 양극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양극부; 음극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음극부; 및 상기 양극부와 음극부 사이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고 그 양극부와 음극부를 절연시키는 절연부를 구비하여서, 하측에 위치되어 있는 배터리 셀에, 상측에 위치될 인접한 배터리 셀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향한 방향으로 안착시키는 방법에 의해, 상기 각 배터리 셀의 적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Battery stack assembly}
본 발명은 자동차에 채용되는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 셀의 적층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는 적층되어 있는 배터리 셀(103)이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관통공(101a)이 형성되어 있는 통형의 몸체블럭(101)과 상기 몸체블럭9101)의 외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관통공(101a)과 소통되는 공기유입구(102a)를 가지는 복수의 공기유입리브(102)를 구비한다.
상기 공기유입리브(102)의 공기유입구(102a)를 통해 상기 몸체블럭(10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배터리 셀(103)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쿨링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에 의한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근자에는 대체에너지 개발 및 환경오염 방지 등의 목적으로 전기자동차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연료전지가 생성하는 전기로 모터를 구동시켜 자동차 휠을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연료전지에 의해 생성된 전기는 배터리 셀(103)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전기자동차는 전기와 필수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에 방전 등의 이유로 물과의 접촉을 최대한 피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특히, 홍수가 잦은 지역의 경우 물이 배터리 셀(103)에 접촉됨으로써 전기자동차의 사용불능 등의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103)은 각각 양극과 음극을 가지며, 상기 몸체블럭(101)의 내부에 배치되는 적층프레임(F)에 극성이 맞도록 각각 개별적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적층구조에 의하면, 그 적층에 소요되는 시간이 불필요하게 증대됨으로써 적층작업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터리 셀의 적층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배터리 셀이 적층되는 적층프레임과, 상기 적층프레임을 에워싸는 통형의 몸체블럭을 구비하되, 상기 각 배터리 셀은, 양극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양극부; 음극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음극부; 및 상기 양극부와 음극부 사이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고 그 양극부와 음극부를 절연시키는 절연부를 구비하여서, 하측에 위치되어 있는 배터리 셀에, 상측에 위치될 인접한 배터리 셀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향한 방향으로 안착시키는 방법에 의해, 상기 각 배터리 셀의 적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양극부와 음극부를 절연시키는 절연부가 단차지게 형성되고 양극부에는 양극단자가 돌출되고 음극부에는 음극단자가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배터리 셀의 적층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Ⅲ-Ⅲ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Ⅲ-Ⅲ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는 적층프레임(F)과 몸체블럭(1)과 공기유입블럭(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적층프레임(F)에는 복수의 배터리 셀(3)이 적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 배터리 셀(3)은 양극부(31)와 음극부(32)와 절연부(33)를 구비한다. 상기 양극부(31)에는 양극단자(311)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음극부(32)에는 음극단자(321)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부(33)는 상기 양극부(31)와 음극부(32)를 절연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양극부(31)와 음극부(32) 사이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절연부(33)가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양극단자(311) 및 음극단자(321)의 돌출로 인하여, 각 배터리 셀(3)의 적층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즉, 하측에 위치되어 있는 배터리 셀(3)에, 상측에 위치될 인접한 배터리 셀(3)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향한 방향으로 안착시키기만 하면, 하측에 위치된 배터리 셀(3)의 양극단자(311)에 상측에 위치된 배터리 셀(3)의 양극부(3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마찬가지로 하측에 위치된 배터리 셀(3)의 음극단자(321)와 상측에 위치된 배터리 셀(3)의 음극부(32)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각 배터리 셀(3)의 극성연결작업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 몸체블럭(1)은 상기 적층프레임(F)을 에워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통 형상을 가진다. 이러한 몸체블럭(1)에는 관통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11)은 아래에서 설명될 공기유입구(2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몸체블럭(1)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상기 공기유입블럭(2)은 상기 몸체블럭(1)의 양측 외측면에 각각 하나의 유니트로 마련도는 것으로, 상단은 상기 몸체블럭(1)의 각 외측면에 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몸체블럭(1)의 각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외부에서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게 하는 공기유입구(22)를 형성시킨다. 상기 공기유입블럭(2)의 상단과 하단 사이 부분은 상기 몸체블럭(1)의 외측면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공기유입구(22)와 관통공(11)을 소통시키는 소통공간(21)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는, 상기 공기유입구(22)를 통해 상기 소통공간(21)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관통공(11)을 통해 상기 몸체블럭(1)의 내부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고압의 공기가 상기 몸체블럭(1)의 내부에 머물러 있게 한다. 따라서, 홍수시 물이 상기 공기유입구(22) 측으로 유입된다 하더라도 상기 몸체블럭(1)의 내부의 공기압력에 의해 상기 물이 상기 관통공(11)을 통해 상기 몸체블럭(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정화용 필터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공기정화용 필터는 상기 공기유입블럭(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공기유입블럭(2)에는 삽입리브(23)(24)가 상하로 이격되어 있는 한 쌍의 삽입리브(23)(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정화용 필터는 외부에서 슬라이딩되어 상기 삽입리브(23)(24)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공기유입블럭(2)에 결합되고 반대의 동작과정을 통해 상기 공기유입블럭(2)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공기정화용 필터는 상기 소통공간(21) 내의 공기유동경로 상에 배치되어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의 공기를 상기 몸체블럭(1)의 내부로 유입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결국, 공기정화용 필터가 구비되는 본 실시예에 의하면, 그 공기정화용 필터만 주기적으로 교체 및 관리를 해 줌으로써 상기 배터리 셀(3)의 청소 등을 포함한 관리를 대체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배터리 셀(3)의 사후관리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몸체블럭 11:관통공
2:공기유입블럭 21:소통공간
22:공기유입구 23,24:삽입리브
3:배터리 셀 31:양극부
311:양극단자 32:음극부
33:절연부 321:음극단자
F:적층프레임

Claims (1)

  1. 복수의 배터리 셀이 적층되는 적층프레임과, 상기 적층프레임을 에워싸는 통형의 몸체블럭을 구비하되,
    상기 각 배터리 셀은:
    양극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양극부;
    음극단자가 돌출되어 있는 음극부; 및
    상기 양극부와 음극부 사이에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고 그 양극부와 음극부를 절연시키는 절연부를 구비하여서,
    하측에 위치되어 있는 배터리 셀에, 상측에 위치될 인접한 배터리 셀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향한 방향으로 안착시키는 방법에 의해, 상기 각 배터리 셀의 적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
KR1020100092002A 2010-09-17 2010-09-17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 KR101001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002A KR101001982B1 (ko) 2010-09-17 2010-09-17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2002A KR101001982B1 (ko) 2010-09-17 2010-09-17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285A Division KR101015138B1 (ko) 2008-12-08 2008-12-08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292A KR20100106292A (ko) 2010-10-01
KR101001982B1 true KR101001982B1 (ko) 2010-12-16

Family

ID=43128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002A KR101001982B1 (ko) 2010-09-17 2010-09-17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98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2861A (ja) 1998-12-18 2002-10-02 エア エナジー リソースィ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金属−空気バッテリのための均一なシェル
JP2005294023A (ja) 2004-03-31 2005-10-20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32861A (ja) 1998-12-18 2002-10-02 エア エナジー リソースィ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金属−空気バッテリのための均一なシェル
JP2005294023A (ja) 2004-03-31 2005-10-20 Nissan Motor Co Ltd 組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6292A (ko) 2010-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132B1 (ko) 전지 연결 장치
CN103378319B (zh) 电池模块
KR100696685B1 (ko) 이차 전지 모듈
US20120156535A1 (en) Frame of a Cell of a Redox Flow Battery
US20140193674A1 (en) Battery module
US11418640B2 (en) Aluminum-air battery units and stacks
JP2007165286A (ja) 燃料電池スタック構造
JP2021180183A (ja) 蓄電素子
CN102187508B (zh) 燃料电池
KR102018256B1 (ko) 이차 전지용 배터리 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JP4995876B2 (ja) 燃料電池車両
US20140205876A1 (en) Electrical storage device and spacer
JP2008204939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17076513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KR101791427B1 (ko) 내면에 전해액 유도부가 형성된 캡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001982B1 (ko)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
KR101015138B1 (ko)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
KR101170002B1 (ko)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
KR100985521B1 (ko) 배터리 스택 어셈블리
JP2009146830A (ja) 燃料電池スタック
CN110870120A (zh) 燃料电池堆和具有燃料电池堆的车辆
JP2009245785A (ja) 組電池
JP6233220B2 (ja) 燃料電池
KR100590107B1 (ko) 이차 전지
CN107112571B (zh) 带有突出的双极板的燃料电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