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721B1 - 보강파이프에 의한 냉각 및 변형방지 구조를 갖는 방화문 - Google Patents

보강파이프에 의한 냉각 및 변형방지 구조를 갖는 방화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721B1
KR101000721B1 KR1020090084512A KR20090084512A KR101000721B1 KR 101000721 B1 KR101000721 B1 KR 101000721B1 KR 1020090084512 A KR1020090084512 A KR 1020090084512A KR 20090084512 A KR20090084512 A KR 20090084512A KR 101000721 B1 KR101000721 B1 KR 101000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oor
reinforcement
fire
core
fro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근
Original Assignee
장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경근 filed Critical 장경근
Priority to KR1020090084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67Devices blocking doors or windows inside its frame in case of 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2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liquids, e.g. bri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외를 드나들기 위한 출입문으로 사용되는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문의 내부 공간에는 냉각수가 주입된 보강파이프를 삽입 형성하되, 상기 보강파이프에는 감압밸브를 장착 형성하여 이들을 방화문의 내부에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분할 장착하거나, 격자 또는 경사상으로 배치 형성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내부에 삽입된 보강파이프에 의해 방화문이 뒤틀리거나 휨이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화염이나 유독성 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보강파이프 내부의 냉각수는 고온의 열기를 흡수하는 냉각 기능을 갖고 있으면서도 감압밸브를 통해 증기를 배출시켜 방화문 내부에 대한 온도 저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보강파이프 내의 냉각수는 방화문 자체의 방음 효율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방화문, 패널, 내부 공간, 보강파이프, 냉각수, 감압밸브

Description

보강파이프에 의한 냉각 및 변형방지 구조를 갖는 방화문 {Fire door having cooling and deformation-preventing structure using auxiliary pipe}
본 발명은 실내,외를 드나들기 위한 출입문으로 사용되는 방화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화문의 내부 공간에 냉각수가 주입된 보강파이프를 이격 형성함으로써, 화재 발생시 상기의 보강파이프에 의해 방화문의 뒤틀림이나 휨이 방지되게 하면서도 냉각수를 통해 고온의 열기를 흡수함과 동시 보강파이프로부터 배출되는 증기를 통해 방화문에 대한 온도 저하 작용이 뛰어나도록 한 것이다.
통상의 방화문은 주로 일반 주택, 아파트, 공장, 사무실, 조립식 가설건물 등의 현관 출입문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외부의 화재가 실내로 번지는 것을 차단하거나 실내에서 발생한 화재가 외부로 진행되지 못하도록 금속 재질의 견고한 재질로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화재시 내부의 강한 열에 의해서도 출입문이 불에 타거나 변형되지 말아야 되는 기계적인 성질의 요건을 구비하여야 한다.
특히, 현재 빌딩이나 아파트가 초 고층화되어 화재발생 위험요소가 많이 증 가하고 있는바, 화재 발생시 화염과 연기가 확산하는 것을 막지 못하면 고층에서 생활하고 있는 사람들이 연기 질식이나 옮겨 붙는 불에 의해서 많은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하게 되므로 방화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또, 통상적으로 금속 재질인 방화문의 하중을 가볍게 하기 위해서 전면 패널과 배면 패널을 각기 분리 형성하고 그 이격된 공간에 벌집 모양의 하니콤 코어를 삽입하여 방화문의 중량은 가볍게 하면서도 단열 및 방음,방열 효과가 뛰어나게 하였다.
이와 같은 방화문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형상의 사각 틀체로 된 프레임 내에 설치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프레임의 일측 상,하부에는 각각 상기 방화문의 상,하단에 고정 장착된 힌지축과 대응하는 경첩을 갖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방화문은 전면 패널과 배면 패널 모두가 금속 판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실내 또는 실외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에 의한 고온의 열기가 상기 금속 판재로 된 전면 패널과 배면 패널로 그대로 전도되면서 금속 판재로 된 방화문의 열변형이 발생하는 것이고, 상기와 같이 방화문에 대한 열변형으로 인한 뒤틀림이나 휨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문틀과의 틈새를 통해 화염이나 유독성 가스 등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기존의 방화문은 상대적으로 방음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인데, 금속 판재로 된 전면 패널과 배면 패널을 맞대어 용접하고 이들 전면 패널과 배면 패널의 사이에 경량의 종이재로 된 하니콤 코어를 삽입하여 된 것이므로 실내 또는 실외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전면 패널과 배면 패널의 대응 접합 및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하니콤 구조의 코어로 된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의 내부공간에 냉각수가 채워진 상태의 보강파이프를 다수 삽입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방화문이 갖고 있던 제반의 문제점을 합리적으로 개선한 특징의 보강파이프에 의한 냉각 및 변형방지 구조를 갖는 방화문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 패널과 배면 패널을 절곡 형성하여 상호 대응 접합시키고, 이들 접합 상태의 전면 패널과 배면 패널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하니콤 구조의 코어를 삽입 형성하여 된 방화문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의 내부 공간에는 냉각수가 주입된 보강파이프를 삽입 형성하되, 상기 보강파이프에는 감압밸브를 장착 형성하여 이들을 방화문의 내부에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분할 장착하거나, 격자 또는 경사상으로 배치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내부에 삽입된 보강파이프에 의해 방화문이 뒤틀리거나 휨이 발생하지 아니하므로 화염이나 유독성 가스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보강파이프 내부의 냉각수는 고온의 열기를 흡수하는 냉각 기능을 갖고 있으면서도 감압밸브를 통해 증기를 배출시켜 방화문 내부에 대한 온도 저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보강파이프 내의 냉각수는 방화문 자체의 방음 효율을 가일층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전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D)은 금속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된 전면 패널(10)과 배면 패널(20)을 각기 구비한 상태에서 이들 전면 패널(10) 및 배면 패널(20)의 상호 접합에 의해 완성되는 것으로서, 이들 전면 패널(10)과 배면 패널(20) 간의 사 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다양한 방음 단열재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의 방음 단열재로서 바람직하게는 하니콤 구조의 종이재로 된 코어(30)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코어(30)는 방화문(D)의 경량화와 동시에 비어 있는 내부 공간부에 대한 보강 충전물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화문(D)의 내부 공간에 별도의 보강파이프(40)(40')를 다수 삽입하여 고정 형성한 것으로서, 상기의 보강파이프(40)(40')는 방화문(D) 전체에 대한 보강재의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냉각 및 화재시의 온도 저하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코어(30)의 내측에 내열성 발포재(31)를 채워 형성함에 따라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내열성 발포재(31)로 인해 전도열을 차단하면서도 평상시 방음 효과가 증대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내열성 발포재는 통상적으로 폴리에틸렌 계열의 발포재 또는 폴리프로필렌 계열의 발포재에 내열성 물질인 폴리아미드를 혼합 형성하여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전면 패널(10) 또는 배면 패널(20)의 내측면에 상기의 보강파이프(40)(40')를 일정 간격으로 배열 고정한 상태에서 이들 보강파이프(40)(40')의 사이에 하니콤 구조의 코어(30)를 채워 넣되 이들 코어(30)는 접착제를 통해 전면 패널(10) 및 배면 패널(20)의 내측면에 견고하게 접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어 상기 코어(30)의 하니셀 부분에 내열성 발포재(31)를 주입하여 발포 충전될 수 있도록 하고 개방상태인 전면 패널(10) 또는 배면 패널(20)과 대응하는 배면 패널(20) 또는 전면 패널(10)을 서로 대응 밀착시켜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접합함에 따라 본 발명의 방화문(D)이 완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보강파이프(40)(40') 내부에는 냉각수(41)가 주입되는 것인데, 상기의 냉각수(41)는 평상시 방음 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고 화재시에는 전면 패널(10)이나 배면 패널(20)로부터 전도되는 고온의 열기를 흡수시켜 방화문(D)에 대한 급격한 온도 상승을 지연 및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보강파이프(40)(40')는 내,외면에 아연 도금층을 형성함에 따라 냉각수(41)에 의해 보강파이프(40)(40')가 부식되는 것을 지연 및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의 냉각수(41)는 겨울철이나 냉장고 또는 냉동고와 같이 저온 창고에서 얼지 않도록 별도의 부동액을 혼합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의 부동액의 혼합량은 상기 냉각수(41)가 일반적인 동계 온도 또는 저장고의 온도 이하 점인 영하 15℃까지 동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일 것이다.
또한, 상기의 보강파이프(40)(40')에는 별도의 감압밸브(42)를 장착하여 화재에 의해 보강파이프(40)(40') 내부의 냉각수(41)가 팽창하는 것에 대하여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화재로 인하여 보강파이프(40)(40') 내부의 냉각수가 열기를 흡수하면서 상기의 냉각수(41)는 기화 현상으로 인해 팽창하게 되는데 상기 보강파이프(40)(40')는 냉각수(41)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기밀 밀봉상태일 것이므로 냉각수(41)가 팽창하면 보강파이프(40)(40')가 폭발할 수 있는 우려를 안고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에 따라 상기의 보강파이프(40)(40')에 별도의 감압밸브(42)를 장착함에 따라 화재로 인해 냉각수(41)가 팽창하여 보강파이프(40)(4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는 경우 상기의 감압밸브(42)가 자동으로 개방되면서 압력을 낮추어 주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감압 과정에서 배출되는 수증기는 방화문(D)의 내부 공간으로 확산되면서 결국 방화문(D) 전체에 대한 온도 저하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감압밸브(42)는 일반적인 체크 밸브의 형식을 취하는 공지의 구성품이므로 이에 대한 성세한 구조 및 작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보강파이프(40)(40')는 전기한 바와 같이 내부의 냉각수(41)를 저장하기 위하여 밀봉 구조를 갖고 있어야 할 것이므로 바람직하게는 도 4의 도시와 같이 개방된 보강파이프(40)(40')의 양 끝단을 전면 패널(10) 또는 배면 패널(20)의 내측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이들 상호 대응부에 용접부(43)를 형성함에 따라 상호 간에 일체화된 밀봉 구조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의 도시와 같이 양 끝단부가 개방된 상태의 보강파이프(40)(40')의 양 끝단부에 별도의 밀봉캡(44)을 결합 형성함으로써 보강파이프(40)(40')의 내부 기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상기의 밀봉캡(44)은 합성수지나 금속재 등 필요에 따라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할 것이고, 보강파이프(40)(40')와 밀봉캡(44) 간의 체결 형태 역시 가압 억지 끼움이나 나사 결합 또는 실란트 등을 이용한 밀봉 결합 등의 방법이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의 보강파이프(40)(40')는 방화문(D)의 내부 공간에 일정 간격을 갖고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보강파이프(40)(40')에 대한 설치 위치를 정확하고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 6의 도시와 같이 전면 패널(10) 또는 배면 패널(20)의 측부에 방화문(D)의 내측을 향하는 절곡돌출부(11)를 상,하로 이격 형성함에 이들 절곡돌출부(11)의 사이로 보강파이프(40)(40')의 끝단부를 유도 삽입함 으로써 설치 작업의 용이함과 균일성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보강파이프(40)(40')는 화재로 인해 고온의 열기가 방화문에 집중되는 경우 금속재로 된 방화문의 비틀림이나 휨이 방지되도록 다양한 배치 구조를 갖고 삽입될 수 있는 것인데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7의 도시와 같이 방화문(D)의 내부 공간에 대하여 상,하 분할 형태로 보강파이프(40)(40')를 이격 고정 설치할 수 있을 것이고 도 8의 도시와 같이 좌,우 분할 형태로 이격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며, 도 9의 도시와 같이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이격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 10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보강파이프(40)(40')를 경사상으로 배치하는 경우에도 방화문(D)의 상,하 및 좌,우 방향으로 작용하는 비틀림이나 휨으로부터 대응력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전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보강파이프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보강파이프 결합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보강파이프 결합부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보강파이프 배치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보강파이프에 대한 다른 배치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보강파이프에 대한 또 다른 배치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의 보강파이프에 대한 또 다른 배치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면 패널 11 : 절곡돌출부
20 : 배면 패널
30 : 코어 31 : 내열성 발포재
40,40' : 보강파이프 41 : 냉각수
42 : 감압밸브 43 : 용접부
44 : 밀봉캡
D : 방화문

Claims (11)

  1. 전면 패널(10)과 배면 패널(20)을 절곡 형성하여 상호 대응 접합시키고, 이들 접합 상태의 전면 패널(10)과 배면 패널(20)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코어(30)를 삽입 형성하여 된 방화문(D)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D)의 내부 공간에는 보강파이프(40)(40')를 삽입 형성하되, 상기 보강파이프(40)(40')의 내부에는 냉각수(41)를 주입하여 구성하고,
    코어(30)에는, 하니콤 구조의 종이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니콤 구조의 각 셀에는 내열성 발포재(31)를 충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파이프에 의한 냉각 및 변형방지 구조를 갖는 방화문.
  2. 전면 패널(10)과 배면 패널(20)을 절곡 형성하여 상호 대응 접합시키고, 이들 접합 상태의 전면 패널(10)과 배면 패널(20)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코어(30)를 삽입 형성하여 된 방화문(D)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D)의 내부 공간에는 보강파이프(40)(40')를 삽입 형성하되, 상기 보강파이프(40)(40')의 내부에는 냉각수(41)를 주입하여 구성하고,
    코어(30)에는, 하니콤 구조의 종이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니콤 구조의 각 셀에는 내열성 발포재(31)를 충전 형성하여 구성하며,
    보강파이프(40)(40')는, 방화문(D)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상,하로 이격 설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파이프에 의한 냉각 및 변형방지 구조를 갖는 방화문.
  3. 전면 패널(10)과 배면 패널(20)을 절곡 형성하여 상호 대응 접합시키고, 이들 접합 상태의 전면 패널(10)과 배면 패널(20)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코어(30)를 삽입 형성하여 된 방화문(D)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D)의 내부 공간에는 보강파이프(40)(40')를 삽입 형성하되, 상기 보강파이프(40)(40')의 내부에는 냉각수(41)를 주입하여 구성하고,
    코어(30)에는, 하니콤 구조의 종이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니콤 구조의 각 셀에는 내열성 발포재(31)를 충전 형성하여 구성하며,
    보강파이프(40)(40')는, 방화문(D)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좌,우로 이격 설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파이프에 의한 냉각 및 변형방지 구조를 갖는 방화문.
  4. 전면 패널(10)과 배면 패널(20)을 절곡 형성하여 상호 대응 접합시키고, 이들 접합 상태의 전면 패널(10)과 배면 패널(20)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코어(30)를 삽입 형성하여 된 방화문(D)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D)의 내부 공간에는 보강파이프(40)(40')를 삽입 형성하되, 상기 보강파이프(40)(40')의 내부에는 냉각수(41)를 주입하여 구성하고,
    코어(30)에는, 하니콤 구조의 종이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니콤 구조의 각 셀에는 내열성 발포재(31)를 충전 형성하여 구성하며,
    보강파이프(40)(40')는, 방화문(D)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격자 형태로 설치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파이프에 의한 냉각 및 변형방지 구조를 갖는 방화문.
  5. 전면 패널(10)과 배면 패널(20)을 절곡 형성하여 상호 대응 접합시키고, 이들 접합 상태의 전면 패널(10)과 배면 패널(20)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코어(30)를 삽입 형성하여 된 방화문(D)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D)의 내부 공간에는 보강파이프(40)(40')를 삽입 형성하되, 상기 보강파이프(40)(40')의 내부에는 냉각수(41)를 주입하여 구성하고,
    코어(30)에는, 하니콤 구조의 종이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니콤 구조의 각 셀에는 내열성 발포재(31)를 충전 형성하여 구성하며,
    보강파이프(40)(40')는, 방화문(D)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경사각을 갖도록 배치하여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파이프에 의한 냉각 및 변형방지 구조를 갖는 방화문.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90084512A 2009-09-08 2009-09-08 보강파이프에 의한 냉각 및 변형방지 구조를 갖는 방화문 KR101000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512A KR101000721B1 (ko) 2009-09-08 2009-09-08 보강파이프에 의한 냉각 및 변형방지 구조를 갖는 방화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512A KR101000721B1 (ko) 2009-09-08 2009-09-08 보강파이프에 의한 냉각 및 변형방지 구조를 갖는 방화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0721B1 true KR101000721B1 (ko) 2010-12-14

Family

ID=43512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512A KR101000721B1 (ko) 2009-09-08 2009-09-08 보강파이프에 의한 냉각 및 변형방지 구조를 갖는 방화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7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694B1 (ko) 2017-08-24 2017-11-20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방화문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화재발생시 이웃 두 세대가 공동으로 대피할 수 있는 건축물의 소방용 피난실
KR20180045927A (ko) * 2016-10-25 2018-05-08 주식회사 투인텍 소화 기능을 갖는 방화문
KR102031880B1 (ko) * 2019-01-03 2019-10-15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방화문용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문
KR20210146544A (ko) 2020-05-27 2021-12-06 (주)동광명품도어 방화문 변형 방지구 및 이를 적용한 방화문 작동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4593U (ko) 1986-12-25 1988-07-06
KR100714441B1 (ko) * 2005-07-06 2007-05-04 홍진석 방화도어 조립체와 방화도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4593U (ko) 1986-12-25 1988-07-06
KR100714441B1 (ko) * 2005-07-06 2007-05-04 홍진석 방화도어 조립체와 방화도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5927A (ko) * 2016-10-25 2018-05-08 주식회사 투인텍 소화 기능을 갖는 방화문
KR101902812B1 (ko) * 2016-10-25 2018-10-02 (주)투인텍 소화 기능을 갖는 방화문
KR101790694B1 (ko) 2017-08-24 2017-11-20 마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주식회사 방화문장치 및 이것을 이용한 화재발생시 이웃 두 세대가 공동으로 대피할 수 있는 건축물의 소방용 피난실
KR102031880B1 (ko) * 2019-01-03 2019-10-15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방화문용 잠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문
KR20210146544A (ko) 2020-05-27 2021-12-06 (주)동광명품도어 방화문 변형 방지구 및 이를 적용한 방화문 작동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0463B1 (ko) 커튼월
JP5658079B2 (ja) サッシ
KR101000721B1 (ko) 보강파이프에 의한 냉각 및 변형방지 구조를 갖는 방화문
KR20120048465A (ko) 단열성 벽체 프레임 및 이를 갖는 커튼월
KR200476203Y1 (ko) 지붕패널의 설치구조
KR20190027395A (ko) 방화문
KR101384768B1 (ko) 결로 방지 도어 프레임
KR20180027912A (ko) 비노출 타입 커튼월 유닛
KR102115829B1 (ko) 방화문의 결로 방지 구조
JP5991233B2 (ja) 内壁部の断熱構造および内壁パネル
KR101064235B1 (ko) 건축용 지붕판넬 설치구조
KR102347889B1 (ko) 복합성능 방화문
JP6726045B2 (ja) 戸体および建具
KR100672955B1 (ko) 내화 성능이 우수한 샌드위치 패널용 연결부재
KR101569656B1 (ko) 건축용 패널의 내화 보강 방법
KR20160148218A (ko) 건축자재용 난연성 샌드위치패널
KR101072874B1 (ko) 단열성 벽체 프레임 및 이를 갖는 커튼월
JP6981865B2 (ja) 建具
KR102175746B1 (ko)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외벽용 단열패널
KR20160117842A (ko) 차열 방화문
KR102175742B1 (ko)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내벽용 단열패널
CN210597669U (zh) 低温室的构成组件及低温室
KR102266276B1 (ko) 단열 커튼월 시스템
KR200430961Y1 (ko) 방화문 및 방화문용 문틀
KR100683570B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