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004B1 - 부품실장방법 - Google Patents

부품실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004B1
KR101000004B1 KR1020040111956A KR20040111956A KR101000004B1 KR 101000004 B1 KR101000004 B1 KR 101000004B1 KR 1020040111956 A KR1020040111956 A KR 1020040111956A KR 20040111956 A KR20040111956 A KR 20040111956A KR 101000004 B1 KR101000004 B1 KR 1010000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mounting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3098A (ko
Inventor
오태석
김효원
Original Assignee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1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004B1/ko
Publication of KR20060073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0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13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with orientation of the component while holding it; Drive mechanisms for gripping tools, e.g. lifting, lowering or turning of gripping too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을 소정 영역으로 분할하여 부품을 실장할 수 있는 부품실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부품실장방법은 분할경계선(a1)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50)의 중복영역(OV)을 설정하는 단계(S10)와, 중복영역(OV)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51)를 제1 및 제2패드군(52, 53)으로 분류하는 단계(S20)와, 중복영역(OV)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분할영역(A1, A2)을 설정하는 단계(S30)와, 제1분할영역(A1)을 이송부(40)에 의해 작업위치(W)로 이송한 후 제1분할영역(A1)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51)에 부품을 순차적으로 실장하는 단계(S40)와, 제2분할영역(A2)을 작업위치(W)로 이송한 후 제2분할영역(A2)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51)에 부품을 실장하는 단계(S50)와, 제1 및 제2분할영역(A1, A2)에 각각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51)에 부품 실장이 완료되면 인쇄회로기판(50)을 배출하는 단계(S60)로 구성된다.
표면실장장치, XY 갠트리, 헤드, 비젼, 부품 실장, 분할 실장

Description

부품실장방법{Parts Mounting Method}
도 1은 종래의 부품실장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부품실장방법이 적용된 부품실장장치의 평면도,
도 3a 내지 도 3e는 도 2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의 영역을 분할하여 부품을 실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인쇄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부품실장방법 중 인쇄회로기판의 영역을 분할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부품실장방법 중 인쇄회로기판의 분할된 영역에 각각 부품을 실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부품실장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베이스 프레임 10: XY 갠트리
20: 헤드 30: 비젼
40: 이송부 50: 인쇄회로기판
60: 제어부 100: 제1부품실장장치
200: 제2부품실장장치
본 발명은 부품실장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실장장치에서 부품을 실장할 수 있는 작업영역 보다 큰 인쇄회로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경우에 인쇄회로기판을 소정 영역으로 분할하여 부품을 실장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부품실장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부품실장장치는 크게 XY 갠트리(1), 헤드(2) 및 이송부(3)로 구성된다.
이송부(3)는 인쇄회로기판(4)을 부품실장장치의 작업영역(1a)으로 이송하고, 인쇄회로기판(4)이 도 1에서 일점쇄선으로 표시된 작업영역(1a)으로 이송되면, 헤드(2)에 의해 인쇄회로기판(4)에 부품이 실장된다. 부품을 인쇄회로기판(4)에 실장하는 헤드(2)는 XY 갠트리(1)에 의해 X, Y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부품공급부(도시 않음)로부터 공급되는 부품을 흡착한 후 인쇄회로기판(4)에 실장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여 헤드(2)가 인쇄회로기판(4)에 부품을 실장하게 된다.
헤드(2)가 인쇄회로기판(4)에 부품을 실장하기 위해서는 인쇄회로기판(4)이 부품실장장치의 작업영역(1a)의 내측에 위치하여야 한다. 즉, 인쇄회로기판(4)의 크기는 XY 갠트리(1)에 의해 X, Y축방향으로 이동되는 헤드(2)의 이동거리 영역인 작업영역(1a) 보다 적거나 같아야 부품실장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작업영역보다 큰 인쇄회로기판인 경우에 부품을 실장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 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의 부품실장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품실장장치의 작업영역 보다 큰 인쇄회로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경우에 인쇄회로기판을 소정 영역으로 분할하여 부품을 실장할 수 있는 부품실장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부품실장방법은 인쇄회로기판의 정보를 이용하여 분할경계선을 산출한 후 산출된 분할경계선을 이용하여 중복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와, 중복영역이 설정되면 중복영역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를 제1 및 제2패드군으로 분류하는 단계와, 제1 및 제2패드군이 분류되면 중복영역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분할영역을 설정하는 단계와, 제1 및 제2분할영역이 설정되면 제1분할영역을 작업위치로 이송한 후 제1분할영역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에 부품을 순차적으로 실장하는 단계와, 제1분할영역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에 부품이 실장되면 제2분할영역을 작업위치로 이송한 후 제2분할영역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에 부품을 실장하는 단계와, 제1 및 제2분할영역에 각각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에 부품실장이 완료되면 인쇄회로기판을 배출하는 단계로 구비되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부품실장방법 중 인쇄회로기판의 영역을 분할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부품실장방법 중 인쇄회로기판의 분할된 영역에 각각 부품을 실장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품실장방법은 인쇄회로기판(50: 도 2에 도시됨)의 정보를 이용하여 분할경계선(a1: 도 3a에 도시됨)을 산출한 후 산출된 분할경계선(a1)을 이용하여 중복영역(OV: 도 3c에 도시됨)을 설정하는 단계(S10)와, 중복영역(OV)이 설정되면 중복영역(OV)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51)를 제1 및 제2패드군(52, 53: 도 3c에 도시됨)으로 분류하는 단계(S20)와, 제1 및 제2패드군(52, 53)이 설정되면 중복영역(OV)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분할영역(A1, A2: 도 3d 및 도 3e에 도시됨)을 설정하는 단계(S30)와, 제1 및 제2분할영역(A1, A2)이 설정되면 제1분할영역(A1)을 작업위치(W: 도 2에 도시됨)로 이송한 후 제1분할영역(A1)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51)에 부품(도시 않음)을 순차적으로 실장하는 단계(S40)와, 제1분할영역(A1)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51)에 부품이 실장되면 제2분할영역(A2)을 작업위치(W)로 이송한 후 제2분할영역(A2)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51)에 부품을 실장하는 단계(S50)와, 제1 및 제2분할영역(A1, A2)에 각각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51)에 부품 실장이 완료되면 인쇄회로기판(50)을 배출하는 단계(S6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e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부품실장장치의 작업영역(W) 보다 큰 대형 인쇄회로기판(50)에 부품(도시 않음)을 실장하기 위해 먼저, 인쇄회로기판(50)의 정보를 이용하여 분할경계선(a1)을 산출한 후 산출된 분할경계선(a1)을 이용하여 중복영역(OV)을 설 정하는 단계(S10)를 실시한다.
중복영역(OV)을 설정하는 단계(S10)는 먼저, 인쇄회로기판(50)의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50)에 형성된 다수개의 패드(51)에 부품을 실장하는 순서를 설정하는 초기설정단계(S11)를 실시한다. 초기설정단계(S10)는 인쇄회로기판(50)에 관련된 정보를 제어부(60)의 주변장치(도시 않음)인 정보입력매체(도시 않음)인 플로피디스크나 CDROM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입력받아 비휘발성 메모리나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매체(도시 않음)에 저장한다. 여기서, 정보입력 또는 저장매체등과 제어부(60)로 정보를 입력하는 키보드나 마우스 등과 같은 매체나 처리된 매체를 표시하는 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장치 등은 일반적인 구성으로 도면이나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기재하지 않았음을 미리 밝힌다.
저장수단에 저장된 인쇄회로기판(50)에 관련된 정보는 인쇄회로기판(50)을 설계하는 캐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작되며, 캐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작된 인쇄회로기판(50)에 관련된 정보로는 부품(도시 않음)에 실장된 패드의 크기, 위치좌표 및 인쇄회로기판(50)의 길이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러한 정보가 포함된 인쇄회로기판(50)에 관련된 정보가 입력되면 도 2에 도시된 부품실장장치의 작업자가 인쇄회로기판(50)에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부품실장 순서를 설정하여 부품실장장치의 초기설정을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초기설정 작업을 통해 부품실장순서가 설정되면 제어부(60)는 인쇄회로기판(50)을 분할하기 위한 분할경계선(a1)을 산출하는 단계(S12)를 실시한다. 분할경계선(a1)은 도 3a에서와 같이 인쇄회로기판(50)의 길이방향의 한 변을 2등분한 중심 점을 기준으로 산출한다. 즉, 도 3a에서와 같이 제어부(60)는 입력된 인쇄회로기판(50)에 관련된 정보 중 인쇄회로기판(50)의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50)의 한 변의 길이를 2등분하여 중심점을 산출하고 그 중심점을 이용하여 분할경계선(a1)을 산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60)는 인쇄회로기판(50)의 길이가 'n'이면 'n/2'가 되는 중심점을 산출하고, 그 중심점을 기준으로 인쇄회로기판(50)의 분할경계선(a1)을 산출한다.
분할경계선(a1)이 산출되면 제어부(60)는 분할경계선(a1)을 이용하여 중복영역(OV)을 설정하는 단계(S13)를 실시한다. 중복영역(OV)을 설정하기 위해 제어부(60)는 분할경계선(a1)을 기준으로 도 3b에서와 같이 소정 거리(m/2)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1 및 제2경계선(a2, a3)을 각각 설정한다. 제1경계선(a2)은 도면을 바라보는 방향을 기준으로 분할경계선(a1)의 우측에 위치하며, 제2경계선(a3)은 분할경계선(a1)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설정한다. 여기서, 소정 거리(m/2)는 작업영역(W) 보다 큰 인쇄회로기판(50)에 부품을 실장하는 작업을 분할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인쇄회로기판(50)의 크기와 작업영역(W)의 크기 정보를 비교하여 제어부(60)가 설정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자가 수동적으로 인쇄회로기판(50)의 크기와 작업영역(W)의 크기를 비교하여 설정할 수 있다.
소정 거리(m/2)를 작업자가 수동적으로 설정하는 경우에 초기설정단계(S10)에서 제어부(60)의 주변장치를 이용하여 입력되고 저장되며, 수동적으로 설정된 소정 거리(m/2)가 저장되면 제어부(60)는 분할경계선(a1)을 산출한 후 분할경계선(a1)을 기준으로 설정된 소정 거리(m/2)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경계선(a2, a3)을 산출하게 된다.
제어부(60)에 의해 제1 및 제2경계선(a2, a3)이 설정되면, 제어부(60)는 도 3c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경계선(a2, a3)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50)의 중복영역(OV)을 설정하게 된다. 즉, 제어부(60)는 인쇄회로기판(50)에서 제1 및 제2경계선(a2, a3)으로 둘러싸진 영역(도 3c에서 점으로 해칭(hatching)된 영역)을 중복영역(OV)으로 설정하게 된다.
중복영역(OV)이 설정되면 제어부(60)는 중복영역(OV)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51)를 제1 및 제2패드군(52, 53: 도 3c에 도시됨)으로 분류하는 단계(S20)를 실시한다. 중복영역(OV)에 위치한 패드(51)를 제1 및 제2패드군(52, 53)으로 분류하기 위해 제어부(60)는 중복영역(OV)이 설정되면 중복영역(OV)에 패드(51)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S21)를 실시한다. 중복영역(OV)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제어부(60)는 도 3c에서와 같이 제1경계선(a2)이나 제2경계선(a2)에 접하거나 걸쳐있는 패드(51) 또는 제1경계선(a2)이나 제2경계선(a2)의 내측에 위치한 패드(51)들이 있는지 여부를 각각의 패드(51)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한다.
중복영역(OV)에 패드(51)가 있으면, 제어부(60)는 중복영역(OV)의 일측 한변 즉, 제2경계선(a3)에 접하거나 걸쳐 있는 패드(51)를 제2패드군(52)으로 분류하고 나머지 중복영역에 위치한 패드(51)를 제1패드군(51)으로 분류하는 단계(S22)를 실시한다. 즉, 도 3c에서와 같이 제2경계선(a3)에 인접되거나 걸쳐있는 패드(51)를 제외한 나머지 중복영역(OV)에 위치한 패드(51)들을 제1패드군(52)으로 분류하고, 중복영역(OV)에 위치한 나머지 패드(51)들을 제2패드군(53)으로 분류한다. 여기서, 제2경계선(a3)에 인접되는 패드(51)를 확인하는 기준은 제2경계선(a3)에 패드(51)의 한 변이 밀착되어 접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중복영역(OV)에 위치한 패드(51)를 제1 및 제2패드군(52, 53)으로 분류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제어부(60)는 중복영역(OV)에 위치한 패드(51)가 제1 및 제2패드군(52,53)으로 분류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23)를 실시한다.
제1 및 제2패드군(52, 53)의 분류가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 제어부(60)는 도 3d 및 도 3e에서와 같이 중복영역(OV)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분할영역(A1, A2)을 설정하는 단계(S30)를 실시한다. 인쇄회로기판(50)을 제1 및 제2분할영역(A1, A2)으로 설정하기 위해 제어부(60)는 제1 및 제2패드군(52, 53)이 분류되면 제1패드군(52)을 포함하여 중복영역(OV)과 중복영역(OV)의 타측에 위치한 인쇄회로기판(50)의 영역을 제1분할영역(A1)으로 설정하고, 제2패드군(52)과 중복영역(OV)의 일측에 위치한 인쇄회로기판(50)의 영역을 제2분할영역(A2)으로 설정한다.
제1 및 제2분할영역(A1, A2)이 설정되면 제1분할영역(A1)을 이송부(40)에 의해 작업위치(W)로 이송한 후 제1분할영역(A1)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51)에 부품을 순차적으로 실장하는 단계(S40)실시한다.
도 3d에 점선으로 표시된 제1분할영역(A1)에 위치한 제1패드군(52)과 다수개의 패드(51)들에 부품을 순차적으로 실장하기 위해 먼저, 제어부(60)는 이송부(40)를 구동하여 인쇄회로기판(50)의 제1분할영역(A1)을 작업위치(W)로 이송하는 단계(S41)를 실시한다. 제1분할영역(A1)을 작업위치(W)로 이송시 제1분할영역(A1)이 작업위치로(W)로 이송되면, 이송부(40)에 의해 작업위치(W)에 정지되지만 관성에 의 해 더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톱퍼(41)가 사용된다.
스톱퍼(41)는 도 2에서와 같이 이송부(40)에 설치되며, 각각의 스톱퍼(41)는 도 2에 상세히 기재되지 않았지만 핀(도시 않음)과 실린더(도시 않음) 등으로 구성하여 실린더에 의해 핀이 수직으로 상승하면, 핀이 인쇄회로기판(50)의 측면을 지지하여 관성에 의해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50)의 제1분할영역(A1)을 작업위치(W)에 안착시킨다.
제1분할영역(A1)이 작업위치(W)로 이송되면 제어부(60)는 헤드(20)를 제어하여 제1분할영역(A1)에 위치한 제1패드군(52)을 포함한 다수개의 패드(51)에 부품(도시 않음)을 순차적으로 실장하는 단계(S42)를 실시한다. 여기서, 헤드(20)는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XY 갠트리(10)에 의해 제1분할영역(A1)을 이동하여 부품을 실장하며, 비젼(30)은 부품의 실장상태를 검사하기 위해 설치된다.
제1분할영역(A1)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51)와 제1패드군(52)에 먼저 부품을 실장하기 위해 부품실장순서를 설정하는 작업시 작업자는 제1분할영역(A1)을 먼저 실장할 수 있도록 부품실장작업순서를 설정해야 한다. 즉, 작업자는 도 3a에 도시된 인쇄회로기판(50)에서 우측에 위치한 패드(51)들을 먼저 부품실장할 수 있도록 부품실장순서를 설정한다. 또한, 중복영역(OV)에 위치한 제1패드군(52)을 먼저 실장하기 위해 제어부(60)는 미리 설정된 부품실장순서를 무시하고 제1패드군(52)을 먼저 실장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설정한다. 즉, 제2패드군(53) 중 제1패드군(52) 보다 먼저 실장되는 패드(51)가 있다면 제어부(60)는 해당되는 패드(51)의 실장순서를 제1패드군(52) 보다 나중에 실장할 수 있도록 부품실장순서를 설정하게 된다.
부품실장순서에 따라 헤드(20)에 의해 제1분할영역(A1)의 부품실장작업이 완료되면 제어부(60)는 제1분할영역(A1)의 부품실장작업이 완료 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43)를 실시한다. 확인결과, 제1분할영역(A1)의 부품실장작업이 완료되면 도 3e에 도시된 제2분할영역(A2: 점으로 해칭된 영역)을 작업위치(W)로 이송한 후 제2분할영역(A2)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51)에 부품을 실장하는 단계(S50)를 실시한다.
제2분할영역(A2)에 위치한 제2패드군(53)과 다수개의 패드(51)에 부품을 실장하기 위해 제어부(60)는 제2분할영역(A2)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51)에 부품을 실장하는 단계(S50)에서 먼저, 제1분할영역(A1)의 부품실장작업이 완료되면 이송부(40)에 의해 인쇄회로기판(50)의 제2분할영역(A2)을 작업위치(W)로 이송하는 단계(S51)를 실시한다. 제2분할영역(A2)을 작업위치(W)로 이송시 이송부(40)에 설치된 스톱퍼(41)에 의해 제2분할영역(A2)을 작업위치(W)에 정지시킨다. 여기서, 스톱퍼(41)는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되어 제2분할영역(A2)이 작업위치(W)로 이송되면 스톱퍼(41)를 구동시켜 인쇄회로기판(50)을 작업위치(W)에 안착시킨다.
제2분할영역(A2)이 작업위치로 이송되면 제어부(60)는 헤드(20)를 구동하여 제2분할영역(A2)에 위치한 제2패드군(53)을 포함한 다수개의 패드(51)에 부품을 순차적으로 실장하는 단계(S52)를 실시한다. 부품의 실장작업이 완료되면 제어부(60)는 제2분할영역(A2)의 부품실장작업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53)를 실시한다.
확인 결과, 제1 및 제2분할영역(A1, A2)에 각각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51)에 부품 실장이 완료되면 제어부(60)는 이송부(40)를 각각 구동하여 인쇄회로기판(50)을 배출하는 단계(S60)를 실시하여, 작업영역(W) 보다 큰 인쇄회로기판(50)을 분할하여 부품을 실장하게 된다.
인쇄회로기판(50)을 분할하여 부품을 실장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50)을 분할하여 부품을 실장하기 위해 제1부품실장장치(100)와 제2부품실장장치(200)를 일렬로 설치한 후 제어부(160)에 의해 인쇄회로기판(50)을 제1 및 제2분할영역(A1, A2)으로 분할한다. 인쇄회로기판(50)이 분할되면, 제어부(160)는 제1이송부(140)을 구동하여 인쇄회로기판(50)의 제1분할영역(A1)을 제1부품실장장치(100)의 제1작업위치(W1)로 이송한다. 제1작업위치(W1)로 제1분할영역(A1)이 이송되면 제1분할영역(A1)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51)에 부품을 실장한다. 여기서, 부품은 제1헤드(120)에 의해 패드(51)에 부착되며, 제1헤드(120)는 제1XY 갠트리(110)에 의해 이동하고, 제1XY 갠트리(110)는 제어부(160)에 의해 제어된다.
제1분할영역(A1)의 부품실장작업이 완료되면, 제어부(160)는 제2이송부(240)를 구동하여 제2분할영역(A2)을 제2부품실장장치(200)의 제2작업위치(W2)로 이송시킨다. 제2작업위치(W2)로 제2분할영역(A2)이 이송되면, 제2헤드(220)에 의해 제2분할영역(A2)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51)에 부품을 실장할 수 있다.
패드(51)에 부품을 실장하는 제2헤드(220)는 제2XY 갠트리(210)에 의해 이동하며, 제2XY 갠트리(210)는 제어부(160)에 의해 구동되고, 제1 및 제2비젼(130, 230)은 부품의 실장오류를 감지하기 위해 적용된다. 또한, 제1 및 제2스톱퍼(141, 241)는 제1 및 제2이송부(140, 240)에 의해 각각 인쇄회로기판(50)의 제1 및 제2분할영역(A1, A2)에 정지하더라도 관성에 의해 제1 및 제2작업영역(W1, W2)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안착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이상과 같이 부품실장장치의 작업영역보다 인쇄회로기판이 큰 경우에 인쇄회로기판을 작업영역에 맞도록 분할하여 부품을 실장함으로써 작업영역보다 큰 인쇄회로기판에 부품을 보다 용이하게 실장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부품실장방법은 헤드의 이동거리인 작업영역 보다 큰 인쇄회로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경우에 인쇄회로기판을 소정 영역으로 분할하여 부품을 용이하게 실장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Claims (8)

  1. 인쇄회로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의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의 한 변의 길이를 2등분하여 중심점을 산출하고, 산출된 중심점을 이용하여 분할경계선을 산출하는 단계;
    인쇄회로기판의 크기와 부품실장장치의 작업영역의 크기를 비교하여 중복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거리를 설정한 후, 상기 분할경계선을 기준으로 타측으로 상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1경계선을 설정하고, 상기 분할경계선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상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제2경계선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경계선과 상기 제2경계선으로 둘러싸진 영역을 상기 중복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중복영역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를 제1 및 제2패드군으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패드군이 분류되면, 상기 분류된 제1패드군을 포함하여 상기 중복영역과 상기 중복영역의 타측에 위치한 인쇄회로기판의 영역을 제1분할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분류된 제2패드군과 상기 중복영역의 일측에 위치한 인쇄회로기판의 영역을 제2분할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분할영역이 설정되면 제1분할영역을 이송부에 의해 작업위치로 이송한 후 제1분할영역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에 부품을 순차적으로 실장하는 단계;
    상기 제1분할영역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에 부품이 실장되면 상기 제2분할영역을 작업위치로 이송한 후 제2분할영역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에 부품을 실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및 제2분할영역에 각각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에 부품실장이 완료되면 인쇄회로기판을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품실장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패드군으로 분류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된 중복영역에 패드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된 중복영역에 패드가 있으면, 상기 제2경계선에 접하거나 걸쳐 있는 패드를 제2패드군으로 분류하고, 나머지 중복영역에 위치한 패드를 제1패드군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영역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에 부품을 순차적으로 실장하는 단계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제1 및 제2분할영역으로 설정되면 이송부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의 제1분할영역을 작업위치로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분할영역이 작업위치로 이송되면 제1분할영역에 위치한 제1패드군을 포함한 다수개의 패드에 부품을 순차적으로 실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분할영역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에 부품을 순차적으로 실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분할영역을 제1이송부에 의해 제1부품실장장치의 제1작업위치로 이송하여 제1분할영역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에 부품을 실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할영역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에 부품을 실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1분할영역의 부품실장작업이 완료되면 이송부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2분할영역을 작업위치로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분할영역이 작업위치로 이송되면 제2분할영역에 위치한 제2패드군을 포함한 다수개의 패드에 부품을 순차적으로 실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방법.
  8.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분할영역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에 부품을 실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2분할영역을 제2이송부에 의해 제2부품실장장치의 제2작업위치로 이송하여 제2분할영역에 위치한 다수개의 패드에 부품을 실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품실장방법.
KR1020040111956A 2004-12-24 2004-12-24 부품실장방법 KR101000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956A KR101000004B1 (ko) 2004-12-24 2004-12-24 부품실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956A KR101000004B1 (ko) 2004-12-24 2004-12-24 부품실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098A KR20060073098A (ko) 2006-06-28
KR101000004B1 true KR101000004B1 (ko) 2010-12-09

Family

ID=37166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956A KR101000004B1 (ko) 2004-12-24 2004-12-24 부품실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00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837B1 (ko) 1997-07-01 2001-09-06 가타오카 마사타카 칩부품 장착장치
KR100338909B1 (ko) 1998-07-16 2002-05-30 모리시타 요이찌 전자부품의 실장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837B1 (ko) 1997-07-01 2001-09-06 가타오카 마사타카 칩부품 장착장치
KR100338909B1 (ko) 1998-07-16 2002-05-30 모리시타 요이찌 전자부품의 실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098A (ko)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7986B2 (en) Method of programming a programmable electronic device by an in-line programming system
US200702149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een printing
US8651262B2 (en) Circuit board inspection apparatus
KR20100121488A (ko) 기판 지지 부품을 배치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00027873A1 (en) Board appearance inspection method and device
JP6152248B2 (ja) ペースト塗布装置及びペースト塗布方法並びにダイボンダ
EP2359941A1 (en) Inkjet drawing apparatus
JP2018536190A (ja) 高解像度電子パターニングのためのスティッチレス直接イメージング
KR101749153B1 (ko) 부품실장장치 및 부품실장방법
KR101000004B1 (ko) 부품실장방법
TWI492792B (zh)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and substrate manufacturing apparatus
KR20120070517A (ko) 전자 부품 장착 장치, 및, 전자 부품 장착 방법
JP4551319B2 (ja) 部品実装方法及び部品実装機
JPH1168395A (ja) 表面実装機
JP2010135463A (ja)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方法
EP1542523A1 (en) Part mounting recognition mark recognition device and method
JP5038970B2 (ja) 実装条件決定方法、実装条件決定装置、部品実装方法、部品実装機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335207B1 (ko) 전자 부품 장착 장치, 전자 부품 장착 방법 및 기판 높이 데이터 편집 장치
JP4491650B2 (ja) 基板位置決め装置
JPH10166236A (ja) 板状ワークの位置決め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板状ワークの加工システム
CN100584184C (zh) 基板识别方法及元件安装系统
KR20170030486A (ko) 컴퓨터화된 직접 기록 시스템 및 방법
JP5200905B2 (ja) 液滴吐出ヘッドによる直線の描画方法
US65930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patterns on substrates
JP4589160B2 (ja) 電子部品の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