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375B1 - 인쇄용지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하는 프린터 - Google Patents

인쇄용지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하는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375B1
KR100999375B1 KR1020060076489A KR20060076489A KR100999375B1 KR 100999375 B1 KR100999375 B1 KR 100999375B1 KR 1020060076489 A KR1020060076489 A KR 1020060076489A KR 20060076489 A KR20060076489 A KR 20060076489A KR 100999375 B1 KR100999375 B1 KR 100999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rinter
paper
printing paper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6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4943A (ko
Inventor
박성민
Original Assignee
프리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프리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76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375B1/ko
Publication of KR20080014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4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3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27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in the printing section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54Locking devices applied to printing mechanisms

Landscapes

  • Unwinding Webs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롤 형태로 권취되어 있는 전사지를 사용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전사지의 풀림과 되감김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쇄용지 케이스와, 이를 채용하는 프린터 카트리지 및 프린터. 본 발명의 인쇄용지 케이스는 내외부를 관통하여 횡방향으로 연이어져 형성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 측면에 프린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구동축 결합부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케이스 본체와, 인쇄용지가 케이스 본체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권회되어 있으며 선단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어 있는 용지 롤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결합부는 하나 이상의 날개를 구비하여, 하나 이상의 구동날개를 구비하는 프린터 동력전달 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구동축 결합부의 날개는 폭에 비해 간격이 넓게 되어 있어서, 프린터의 구동날개와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 이상의 백래시가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린터, 기록지 롤, 용지 롤, 용지롤, 롤

Description

인쇄용지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하는 프린터{Print Paper Case and Printer Employ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프린터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린터의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용지롤 케이스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용지롤 케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슬립 및 동력전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c는 도 4a의 슬립 및 동력전달 장치의 측면도.
도 5는 용지롤 케이스가 설치되는 카트리지의 후방 수납부 하측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용지롤 케이스 조립과정에서 용지롤이 펼쳐져 다시 감기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설치된 상태에서 용지롤의 풀림 및 감김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용지롤 케이스의 브레이크 돌기와 카트리지의 걸림턱의 브레이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터 어셈블리의 정면도.
도 9b는 도 9a의 커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9c는 도 9a의 커터 어셈블리의 후방 사시도.
도 10a는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베이스 및 고정날 결합체의 정면도.
도 10b는 도 10a의 베이스 및 고정날 결합체의 사시도.
도 10c는 도 10a의 베이스 및 고정날 결합체의 후방 사시도.
도 11a는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슬라이더 및 가동날 결합체의 정면도.
도 11b는 도 11a의 슬라이더 및 가동날 결합체의 사시도.
도 11c는 도 11a의 슬라이더 및 가동날 결합체의 후방 사시도.
도 12는 커터 어셈블리의 캠 핀과 슬라이더 및 플래턴 지지대의 접속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a는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커터 어셈블리에서 기록지 절단시의 캠 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b는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커터 어셈블리에서 플래턴 승하강시의 캠 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a 내지 14e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프린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하우징, 4: 기록지배출구, 6: 프린터 프레임
10: 카트리지, 16: 개구부, 20: 용지롤 케이스, 21: 개구부
22: 전사지, 24: 공급릴, 26: 잉크리본, 28: 권취릴
30: 리브, 32: 개구부, 34: 크라운 편, 36: 아이들링 기어
38: 헤드 수납홈, 40: 방열판, 42: 방열팬, 54: 커터 어셈블리
58: 플래턴, 72: 배출롤러, 74: 배출종동롤러
102: 제1 커버, 104: 제2 커버, 106: 후크, 108: 걸림턱
110: 구동축 수용부, 112: 날개, 114: 제1 잠금돌기, 116: 제2 잠금돌기
120: 브레이크 돌기, 122: 탄성지지판, 129: 지지축
130: 슬립 및 동력전달 장치, 131: 회전축, 132: 제1 디스크
134: 제1 슬립 패드, 136: 동력전달 기어, 138: 제2 슬립 패드
140: 제2 디스크, 142: 스프링, 143, 144: 스톱퍼
146: 스프링, 148: 클러치, 149: 날개
152: 제3 잠금돌기, 154: 제4 잠금돌기, 158: 걸림턱
본 발명은 프린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롤 형태로 권취된 기록용지에 인쇄를 행하는 프린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열전사형 프린터는 염료가 도포된 열전사리본에 열을 가하여 열전사리본 상의 염료가 기록매체에 전사되어 정착되도록 하는 방식의 프린터를 말한다. 이러한 열전사형 프린터는, 염료의 열전사 방식에 따라, 염료가 승화되면서 전사되는 승화형 열전사 방식과, 염료가 감열기록헤드에 의해 용융되면서 전사되는 용융형 열전사 방식으로 구분되며, 승화형 열전사 방식은 회사 내에서 직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ID 카드 등의 발급을 위한 카드 프린터에 주로 사용되고 있고, 용융형 열전사 방식은 제품 정보를 담고 있는 바코드를 프린트하기 위한 바코드 프린터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열전사형 프린터는 플래턴에 의해 잉크리본 및 전사지를 감열기록헤드에 적정 압력으로 압착시킨 상태에서 잉크리본 및 전사지를 진행시키고, 감열기록헤드를 국부적으로 발열시켜 잉크리본 상의 잉크가 전사지에 전사되도록 하여 인쇄를 수행한다. 그리고, 컬러프린터의 경우, 어느 한 색상의 잉크로 인쇄를 수행한 후, 전사지를 반대방향으로 이송한 다음 다른 색상의 잉크로 인쇄를 행하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전사지에 3색의 잉크를 면순차방식으로 인쇄를 행함으로써 풀 칼라를 구현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열전사 프린터에 따르면, 기 절단된 인쇄용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인쇄용지 카세트가 필요하게 되며, 인쇄용지 카세트가 프린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넓은 설치면적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인쇄용지 카세트로부터 인쇄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급지롤러 및 관련 부품이 필요하게 되고, 특히 인쇄용지간의 마찰력으로 인해 2장이상의 인쇄용지가 급지되는 것을 방지하여 1장씩 급지되도록 하기 위한 역회전 롤러가 필요하게 되는 등, 급지를 위한 메카니즘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3색의 잉크를 면순차방식으로 인쇄를 행하는 과정에서 인쇄용지가 출구를 통해 부분적으로 빠져나왔다가 다시 들어가는 왕복운동을 반복하기 때문에 설치시 여유공간을 충분히 확보해야만 하며 이에 따라 설 치면적이 더욱 커지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전사지 카세트를 불필요하게 하여 프린터 자체의 크기와 설치면적을 감소시키고 급지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축시킬 수 있도록 롤 형태로 권취된 전사지를 사용하는 프린터가 제안된 바 있다. 예컨대, 본 출원인의 특허 제0520578호(발명의 명칭: 열전사리본 및 기록매체 일체형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열전사 프린터) 등록공보와 특허출원 10-2005-0077076호(발명의 명칭: 롤형 기록매체를 사용하는 프린터) 명세서에는 전사지가 감겨있는 용지롤과 미사용된 잉크리본이 감겨있는 공급릴과 사용된 잉크리본이 감겨지는 권취릴이 모두 하나의 카트리지 내부에 삽입설치되는 프린터가 기재되어 있다. 위 특허 및 특허출원에 기재된 프린터는 용지롤에 감긴 전사지의 풀림과 감김을 반복하면서 잉크리본에 도포된 복수 색상의 염료를 면순차방식으로 전사시킴으로써 인쇄를 행하고, 사용된 잉크리본을 회수하여 권취릴에 감는 한편으로 인쇄된 기록지 부분을 커터에 의해 절단한 후 배출구를 통해 배출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롤 형태로 권취된 전사지를 사용하는 프린터에 있어서는, 두께가 두꺼워 뻣뻣하다는 전사지의 물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보빈에 권취되어 있는 전사지가 카트리지 내지 케이스 내부에서 펼쳐지려는 성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보빈에 권취되어 있는 전사지가 보빈에서 풀림으로써 카트리지 내지 케이스 내주면에 밀착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현상은 예컨대 인쇄과정에서 전사지가 용지롤에 다시 감기는 동안과 같이 전사지에 인가되는 인장력이 약해질 때 순식간에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 인쇄 진행 과 정에 전사지를 용지롤에 되감고자 하는 경우, 카트리지 내지 케이스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더 펼쳐지고자 하는 현상으로 인해 전사지 롤이 정상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전사지의 되감김에 대해 큰 저항으로 작용함으로써 전사지 되감김에 장애가 발생하여 정상적인 인쇄 진행이 어렵게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롤 형태로 권취되어 있는 전사지를 사용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전사지의 풀림과 되감김이 원활하게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쇄용지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인쇄용지 케이스를 채용하는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러한 인쇄용지 케이스를 채용하는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쇄용지 케이스는 내외부를 관통하여 횡방향으로 연이어져 형성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 측면에 프린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구동축 결합부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케이스 본체와, 인쇄용지가 케이스 본체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권회되어 있으며 선단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어 있는 용지 롤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결합부는 하나 이상의 날개를 구비하여, 하나 이상의 구동날개를 구비하는 프린터 동력전달 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 달받을 수 있다. 구동축 결합부의 날개는 폭에 비해 간격이 넓게 되어 있어서, 프린터의 구동날개와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 이상의 백래시가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 본체 외주면에는 복수의 잠금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케이스 본체의 일 측면에 탄성지지판을 마련하여, 상기 용지 롤을 탄성 지지함으로써 모서리를 정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인쇄용지 카트리지는 내외부를 관통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이어져 형성된 제1 개구부를 구비하는 외부 케이스와, 외부 케이스 내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외부를 관통하여 횡방향으로 연이어져 형성된 제2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 측면에 프린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구동축 결합부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내부 케이스와, 인쇄용지가 상기 내부 케이스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권회되어 있으며 선단부가 제2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어 있는 용지 롤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 케이스 외주면에는 복수의 잠금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외부 케이스 내주면에는 상기 복수의 잠금돌기 중 인접한 잠금돌기들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서, 프린터에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인접한 잠금돌기들과 상기 돌기가 끼워짐으로 인해 내부 케이스의 회동이 제한되고, 프린터에 설치된 상태에서만 상기 돌기가 상기 인접한 잠금돌기들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내부 케이스 외주면에는 소정 형상의 브레이크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 고, 외부 케이스 내주면에는 상기 브레이크 돌기에 대응하여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내부 케이스가 외부 케이스 내에서 일정 각도 범위에서만 양방향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린터는 내외부를 관통하여 횡방향으로 연이어져 형성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 측면에 상기 프린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구동축 결합부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케이스 본체와, 상기 인쇄용지가 상기 케이스 본체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권회되어 있으며 선단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어 있는 용지 롤을 구비하는 인쇄용지 케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프린터는 인쇄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캡스턴과, 인쇄용지 위에 인쇄를 행하기 위한 기록헤드와, 인쇄용지를 기록헤드에 선택적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플래턴을 구비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프린터는 상기 인쇄용지 케이스의 구동축 결합부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동력전달 수단을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동력전달 수단은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정의 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 기어와, 상기 회전축 상에 고정되는 디스크와, 상기 동력전달 기어 및 상기 디스크 사이에 배치되는 슬립 패드와, 상기 동력전달 기어. 상기 슬립 패드, 및 상기 디스크를 압착시키며 스톱퍼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과,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마련되며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구동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클러치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축 결합부의 날개와 상기 클러치의 구동날개는 폭에 비해 간격이 넓게 되어 있어서,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 이상의 백래시가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인쇄용지 케이스는 소정의 카트리지 내에 격납된다. 이와 같은 경우, 인쇄용지 케이스 외주면에는 복수의 잠금돌기를 형성하고, 카트리지 내주면에는 상기 복수의 잠금돌기 중 인접한 잠금돌기들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프린터에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인접한 잠금돌기들 사이에 끼워진 상기 돌기를 상기 카트리지가 프린터에 설치될 때 프린터에 구비된 잠금해제 수단이 상기 인접한 잠금돌기들 사이로부터 이탈시키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클러치가 압축 스프링을 매개하여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이 클러치가 잠금해제 수단으로서 인쇄용지 케이스를 밀어서 상기 돌기를 상기 인접한 잠금돌기들 사이로부터 이탈되도록 하게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캡스턴은 상기 동력전달 수단을 구동하는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이와 같은 경우, 캡스턴이 인쇄용지 케이스에 야기하는 각속도보다 상기 동력전달 수단이 인쇄용지 케이스에 야기하는 각속도가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카트리지를 채용하는 프린터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는 승화형 열전사 프린터로서, 대략 반원통 형태로 되어 있으며, 본체(2) 하우징 전면에는 인쇄가 완료된 기록지를 배출하는 배출구(4)가 형성되다. 하우징의 일 측판(6)은 하단의 힌지(미도시됨)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개폐될 수 있어서 카트리지 교환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은 도 1에 도시된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 2의 우측을 '전방'이라 하고 좌측을 '후방'이라 칭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카트리지(10)는 전사지와 잉크리본을 일체로써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외주면이 대략 원통형으로 되어 있는 후방 수납부(12)와, 상기 후방 수납부(12)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이어진 전방 수납부(14)를 포함한다. 카트리지(10) 저면에서 후방 수납부(12)와 전방 수납부(14)가 만나는 부위는 프린터의 캡스턴(50) 및/또는 핀치롤러(52)와 커터 어셈블리(54)를 수용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만입된 요홈(18)이 하측으로부터 만입되어 형성되어 있다. 후방 수납부(12) 저면에는 전사지(22)를 관통시키기 위한 전사지 개구부(16)가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후방 수납부(12) 내측에는 그 내부에 전사지(22)가 감겨있는 용지롤 케이스(2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용지롤 케이스(20) 외주면에는 전사지(22)가 관통하여 인출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개구부(21)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쇄용 전사지는 용지롤 케이스(20) 내에 롤 형태로 감겨 있으며, 특히 용지롤 케이스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권회되어 있게 된다.
전방 수납부(14) 내측에는 미사용 잉크리본(26)이 감겨져 있고 프린팅 진행 시 잉크리본(26)을 풀어서 공급하는 공급릴(2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요홈(18)의 상측에는 사용된 잉크리본(26)을 감아서 회수하는 권취릴(28)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공급릴(24) 및 권취릴(28) 사이에는 카트리지(10)를 구조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리브(30)가 좌우로 연이어진 격벽 형태로 형성되고, 리브(30)의 하단에는 잉크리본(26)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32)가 마련되어 있다. 리브(30) 개구부(32) 후면 상단에는 링크리본(26)을 좌우로 펼쳐서 주름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크라운(34)이 리브(30) 내지 카트리지 프레임과 일체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리브(30)의 전방에서 카트리지(10)의 저면에는 프린터의 감열기록헤드(56)를 수용하기 위한 헤드 수납홈(38)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헤드 수납홈(38) 상측에는 감열기록헤드(56)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프린터의 방열팬(42)으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판(40)이 설치된다. 헤드 수납홈(38) 전방과 상방에는 감열기록헤드(56) 및 방열판(40)으로부터 공급릴(24)을 열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한 격벽(44)이 형성되며, 방열판(40)과 격벽(44) 사이의 공간은 통풍구로서 작용하게 된다. 격벽(44) 하단에는 잉크리본(26)을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부(46)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공급릴(24)에 감겨있는 잉크리본(26)은 격벽(44) 하단의 개구부(46)와 헤드 수납홈(38) 하측과, 리브(30) 하단의 개구부(32)를 관통한 후 아이들링 기어(36)를 거쳐 권취릴(28)에 감기게 된다.
한편, 프린터에 있어서, 카트리지(10) 저면의 요홈(18) 하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여 전사지(22) 배면에 마찰력을 인가하여 전사 지(22)가 미끄럼없이 이송될 수 있게 해주는 캡스턴(50)이 설치된다. 핀치롤러(52)는 미도시된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어 캡스턴(50)과 횡방향으로 연접하도록 설치된다. 캡스턴(50) 및 핀치롤러(52) 전방에는 인쇄가 완료된 전사지 부분(이하, '기록지'라 함)를 절단하기 위한 커터 어셈블리(54)가 설치된다.
카트리지(10)의 헤드 수납홈(38) 내측에는 감열기록헤드(56)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어 프린터 프레임(6)에 고정된다. 감열기록헤드(56)는 미세한 발열체가 일렬로 배치되어 있으며, 프린터 제어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각 발열체가 개별적으로 발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감열기록헤드(56) 하방에는 전사지(22) 및 잉크리본(26)을 감열기록헤드에 압착시켜 열전달 및 전사를 촉진하기 위한 플래턴(58)이 플래턴 지지대(60)에 의해 안착된 상태로 설치되며, 플래턴 지지대(60)는 전방이 힌지(62)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상태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커터 어셈블리(54)에 의해 승하강이 조절된다.
플래턴(58)과 기록지배출구(4) 사이에는 배출롤러(70)와 배출종동롤러(72)가 연접하여 설치된다. 배출롤러(70) 외주면에는 전사지가 평평하게 펴지도록 함과 아울러 전사지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전사지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프린터 내부에서 전사지가 주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출롤러(70)는 캡스턴(50)에 비해 약간 빠른 속도로(예컨대 1.1배의 속도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전사지에 지나친 인장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크기 이상의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 슬립이 일어나게 해주는 슬립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슬립 장치 자체는 예컨대 펠트(felt) 및 스프 링 등을 사용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용지롤 케이스(20)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용지롤 케이스(20)는 조립된 상태에서 원통 형태로 되어 있으며, 회전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된 제1 커버(102) 및 제2 커버(104)를 구비한다. 제1 커버(102) 및 제2 커버(104) 중 어느 하나의 양측면에는 복수의 후크(106)가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하나의 양측면에는 상기 후크(106)에 대응하여 걸림턱(108)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버(102) 또는 제2 커버(104) 내측에 용지롤을 삽입한 후 상기 후크(106)들이 각각에 대응하는 걸림턱(108)들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제1 커버(102)와 제2 커버(104)는 결합된다. 용지롤 삽입과 체결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제1 커버(102) 또는 제2 커버(104) 각각의 전면 모서리 부위에는 홈(102a, 104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지롤 케이스(20)는 프린터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며 슬립 기능을 가진 동력전달 장치(이하, '슬립 및 동력전달 장치'라 함)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구동을 위해, 용지롤 케이스(20)의 일 측면에는 슬립 및 동력전달 장치의 클러치(도 4a의 148)를 수용하기 위한 구동축 수용부(110)가 원통형 슬리브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축 수용부(110)의 내주면에는 한 개 이상의 날개(11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용지롤 케이스(20)에서 구동축 수용부(110)와 대향하는 반대측 측면에는 카트리지(10) 내에 설치되어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는 지지축(129)이 마련된다.
다른 한편으로, 용지롤 케이스(20)에서 구동축 수용부(110)가 형성되어 있는 측면에는 구동축 수용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의 제1 잠금돌기(114)가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용지롤 케이스(20)의 외주면 일측 모서리에는 다수의 제2 잠금돌기(116)가 원주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용지롤 케이스(20)의 일 측면에는 예컨대 장방형의 판 형상으로 되어 있는 브레이크 돌기(120)가 날선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용지롤 케이스(20)의 일 측면에는 측면 패널이 '디귿'자 형태로 절개되고 그 단부가 케이스 내측으로 볼록하게 반원통형으로 되어 있는 탄성지지판(122)이 한 개 이상 형성되어 있어서, 용지롤 케이스(20) 내측에서 권회되어 있는 용지롤의 모서리를 정렬시키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슬립 및 동력전달 장치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슬립 및 동력전달 장치(130)는 회전축(131)을 구비하며, 회전축(131)의 중앙 부분을 제외한 상측과 하측은 그 외주면이 축과 평행하게 D-모양으로 깎인 D-컷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 D-컷 부위에는 제1 디스크(132), 제1 슬립 패드(134), 동력전달 기어(136), 제2 슬립 패드(138), 및 제2 디스크(140)가 상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제1 디스크(132)는 상방으로 슬리브(133)가 마련되어 있고, 슬리브(133) 내측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142)이 삽입된 후 스프링 스톱퍼(143)에 의해 고정된다. 제1 디스크(132) 및 제2 디스크(140)의 중앙에는 D-컷이 형성된 회전축(131)의 단면과 동일한 형상의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제1 디스크(132) 및 제2 디스크(140)는 회전축(131)과 동일하게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동력전달 기어(136)와 제1 슬립 패드(134) 및 제2 슬립 패드(138)의 중앙에는 회전축(131)의 직경보다 미소하게 큰 내경을 갖는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외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 회전축(131) 외부에서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회전축(131)의 하부 D-컷 부위에는 스톱퍼(144)와, 압축 코일 스프링(146)과, 클러치(148)가 하방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삽입되어 설치된다. 클러치(148)의 외주면에는 구동축 수용부(110)의 날개(112)에 상응하여 하나 이상의 날개(149)가 형성되어 있다.
용지롤 케이스(20)의 구동축 수용부(110)에 형성되어 있는 각 날개(112)와 클러치(148)의 외주면에 형성된 각 날개(149)는 두께에 비해 날개간의 간격이 크게 되어 있어서, 클러치(148)의 외주면에 형성된 날개(149)가 구동축 수용부(110)의 날개(112)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회동시킴에 있어 백래시가 부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축 수용부(1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날개(112)와 클러치(148)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날개(149)는 각각 2개 또는 3개이며, 이에 따라 백래시는 약 120° 또는 약 180°에 가까운 각이 된다. 프린터 동작 과정에서 백래시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위와 같은 슬립 및 동력전달 장치(130)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회전축(131)의 상부 D-컷 부위에서 제1 디스크(132) 및 제2 디스크(140)는 삽입홀의 형상이 D-컷이 형성된 회전축(131)과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회전축(131)과 동일한 회전운동을 한다. 한편, 동력전달 기어(136)는 회전축(131)에 끼워진 상태에서 모터(미도시됨)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클러 치(148)은 회전축(131)과 동일한 회전운동을 한다. 이와 같은 슬립 및 동력전달 장치(130)가 조립된 상태에서, 제1 디스크(132), 제1 슬립 패드(134), 동력전달 기어(136), 제2 슬립 패드(138), 및 제2 디스크(140)는 압축 코일 스프링(142)의 복원력에 의해 압착된다. 따라서, 모터(미도시됨)로부터 동력전달 기어(136)에 회전력이 인가될 때, 회전저항이 크지 않다면, 동력전달 기어(136)는 압착되어 있는 제1 슬립 패드(134) 및 제2 슬립 패드(138)를 각각 매개하여 제1 디스크(132) 및 제2 디스크(140)를 회전시키게 되며, 제1 디스크(132) 및 제2 디스크(140)의 회전력은 회전축(131)을 통해 클러치(148)로 전달되고, 클러치(148)는 용지롤 케이스(2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프린터 캡스턴(50)의 동작으로 인하여, 회전축(131)과 동력전달 기어(136)의 회전 방향이나 회전속도가 상이한 경우에는 제1 슬립 패드(134) 및 제2 슬립 패드(138) 양면에서 압축 코일 스프링(142)의 압착력을 이기고 슬립이 발생하여 동력전달 기어(136)의 회전력이 제1 디스크(132), 제2 디스크(140) 및 회전축(131)에 온전하게 전달되지 않게 된다.
도 5는 용지롤 케이스(20)가 설치되는 카트리지(10) 후방 수납부(12)의 하측 내부를 보여준다. 카트리지(10)의 측면에서 용지롤 케이스(20)의 구동축 수용부(110)를 설치하기 위한 관통공(150) 하측에는 제3 잠금돌기(152)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내측 저면에는 제4 잠금돌기(154)가 탄성편(156)에 일체로서 성형되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카트리지(10)의 저면에는 예컨대 장방형의 판 형상으로 되어 있는 걸림턱(158)이 날선 형태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용지롤 케이스(20)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제2 커버(104) 에 용지롤을 삽입한 후 용지 선단부를 개구부(21) 외부로 인출한다. 이 상태에서, 용지롤의 감겨있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압박을 해제하면, 두께가 두꺼워 뻣뻣한 전사지의 물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용지롤이 제2 커버(104) 내부에서 펼쳐지게 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버(104) 내주면에 밀착되어 이전보다 큰 직경으로 제2 커버(104)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감긴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 커버(102)를 덮고 후크(106)들이 걸림턱(108)들에 끼워지도록 하면, 용지롤 케이스(20)의 조립이 완료된다.
조립이 완료된 용지롤 케이스(20)를 카트리지(10)에 설치하면, 용지롤 케이스(20)의 구동축 수용부(11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제1 잠금돌기(114) 중 인접하고 있는 두 개의 돌기 사이에 카트리지(10) 내주면의 제3 잠금돌기(152)가 끼이게 됨과 아울러, 용지롤 케이스(20)의 외주면 일측 모서리에 형성된 다수의 제2 잠금돌기(116) 중 인접하고 있는 두 개의 돌기 사이에 카트리지(10) 내주면의 제4 잠금돌기(154)가 끼이게 된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 운반이나 여타 취급 중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용지롤 케이스(20)가 카트리지(10) 내에서 회동하여 용지롤 선단부가 용지롤 케이스(20) 내부로 들어가거나 지나치게 많이 나오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사용자가 임의로 용지롤 선단부를 밀어넣거나 끌어당겨 나오게 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와 같은 카트리지(10)를 프린터 내부에 설치하면, 프린터 하우징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슬립 및 동력전달 장치(130)의 클러치(148)가 용지롤 케이스(20)의 구동축 수용부(110)에 결합될 때, 스프링(136)의 지지를 받으면서 용지롤 케이스(20)의 용지롤 접속부(138)를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용지롤 케이스(20)의 제1 잠금돌기(114)와 카트리지(10)의 제3 잠금돌기(152)간의 잠금이 해제된다. 이를 위해, 용지롤 케이스(20)에서 구동축 수용부(110)와 대향하는 반대측 측면에 마련되는 지지축(129)은 카트리지(10) 또는 프린터 하우징 내주면에서 스프링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설치 과정에서, 프린터 하우징의 측면 내측에 설치된 돌기(미도시)가 카트리지(10)의 제4 잠금돌기(154)를 외측으로 즉, 용지롤 케이스의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어내게 되고, 이에 따라 용지롤 케이스(20)의 제2 잠금돌기(116)와 카트리지(10)의 제4 잠금돌기(154)간의 잠금이 해제된다. 따라서, 카트리지(10)를 프린터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제1 내지 제4 잠금돌기(114, 116, 152, 154)에 구애받지 않고 모터 회전에 따라 용지롤 케이스(20)가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프린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용지 즉 전사지(22)는 인쇄 준비 과정에서 감열기록헤드(52) 측으로 인출되고 어느 한 색상에 대한 인쇄가 진행되는 과정에서는 용지롤 케이스(20) 측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캡스턴(50)과 클러치(148)는 동일한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여기서, 새로운 인쇄가 행해질 때마다 인쇄 시작단계에서 전사지(22)가 캡스턴(50)과 핀치롤러(52) 사이에 물리게 될 때까지는 전사지(22)의 이송이 슬립 및 동력전달 장치(130)에 의해 이루어지지만, 이후에는 전사지(22)의 이송이 캡스턴(50)에 의해 지배된다. 이를 위해,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슬립 및 동력전달 장치(130)에는 슬립장치(132~143)가 마련되는 한편으로, 용지롤 케이스(20)의 구동축 수용부(110) 내주 면에 형성된 날개(112)와 클러치(148)의 외주면에 형성된 날개(149) 사이에 백래시를 부여하고 클러치(148)가 용지롤 케이스(20)를 회전시키는 속도가 캡스턴(50)이 용지롤 케이스(20)을 회전시키는 속도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인쇄 시작단계에서 전사지(22)가 캡스턴(50)과 핀치롤러(52) 사이에 일단 물린 이후에는 클러치(148)가 무부하 운전 즉, 용지롤 케이스(20)에 회전력을 인가하지 않고 클러치(148)의 외주면에 형성된 날개(149)가 용지롤 케이스(20)의 구동축 수용부(110) 내주면에 형성된 날개(112) 사이에서 공회전하도록 하게 된다.
이를 위한 캡스턴(50)과 클러치(148)의 구체적인 회전속도비는 동축 수용부(110) 내주면에 형성된 날개(112)와 클러치(148)의 외주면에 형성된 날개(149) 간에 부여된 백래시 각도에 따라 정해지게 된다. 다음 표는 캡스턴(50)에 의한 용지롤 케이스(20) 회전속도와 클러치(148)에 의한 용지롤 케이스(20) 회전속도의 비율 관계를 예시적으로 보여준다.
백래시 각도 캡스턴에 의한
용지롤 케이스 회전속도
클러치에 의한
용지롤 케이스 회전속도
속비
180° 360°/기준시간 540°/기준시간 1:1.50
120° 360°/기준시간 480°/기준시간 1:1.33
90° 360°/기준시간 450°/기준시간 1:1.25
60° 360°/기준시간 420°/기준시간 1:1.17
30° 360°/기준시간 390°/기준시간 1:1.08
즉, 예컨대 백래시 각도가 120°인 경우, 캡스턴(50)이 용지롤 케이스(20)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속도보다 클러치(148)가 용지롤 케이스(20)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속도가 1.33배 높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용지롤의 풀림 및 감김 과정을 중심으로 하여 프린터의 인쇄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카트리지(10)가 프린터에 장착될 때 그리고 새로운 인쇄가 시작되기 직전에, 용지롤은 용지롤 케이스(20)에서 선단부가 일정 부분 밖으로 노출된 상태에 있게 된다(도 7a의 (1)단계). 이와 같은 상태에서, 프린트 버튼을 누르게 되면, 슬립 및 동력전달 장치(130)의 클러치(148)로부터 용지롤 케이스(20)의 구동축 수용부(110)로 전달되는 회전동력에 의해 용지롤 케이스(20)가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사지(22)가 용지롤 케이스(20) 외부로 노출된 부분은 카트리지(10) 내벽을 따라 이송되면서 그 선단부는 카트리지(10)의 전사지 개구부(16)를 통해 캡스턴(50) 쪽으로 이송된다(도 7a의 (2)단계). 전사지(22)의 이송이 계속되면, 전사지 선단부는 캡스턴(50)에 이르러 캡스턴(50)과 핀치롤러(52) 사이에 끼이게 되고, 그 직후, 용지롤 케이스(20)의 브레이크 돌기(120)가 카트리지(10)의 걸림턱(158)에 걸리게 된다(도 7a의 (3)단계).
이때부터 전사지(22)의 이송은 캡스턴(50)과 핀치롤러(52)에 의해 지배된다. 즉, 용지롤 케이스(20)의 브레이크 돌기(120)가 카트리지(10)의 걸림턱(158)에 걸려서 회전할 수 없기 때문에, 슬립 및 동력전달 장치(130)에서 회전축(131)과 클러치(148)도 회전할 수 없게 되고, 회전저항으로 인하여 동력전달 기어(136)와 제1 디스크(132) 및 제2 디스크(140) 사이에는 제1 슬립 패드(134) 및 제2 슬립 패드(138)를 각각 사이에 두고 슬립이 발생한다. 그리고, 용지롤 케이스(20)가 정지해 있는 상태에서 용지롤은 용지롤 케이스(20) 내주면에서 미끄러지면서 회전하여 캡스턴(50)과 핀치롤러(52)에 의해 끌려서 인출된다(도 7a의 (4)단계). 그리고, 이러한 전사지 이송은 전사지 선단부가 감열기록헤드(52)로부터 인쇄길이만큼 지날 때까지 계속된다(도 7b의 (5)단계).
전사지(22)가 도 7b의 (5)단계에 이른 위치에서 감열기록헤드(52)에 의한 인쇄가 개시된다. 이때부터 캡스턴(50)과 핀치롤러(52)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사지(22)는 용지롤 케이스(20) 쪽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전사지(22)의 뻣뻣한 물성으로 인하여, 캡스턴(50)에 의해 밀리는 전사지(22)는 용지롤 케이스(20)를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도 7b의 (6)단계). 이때, 슬립 및 동력전달 장치(130)의 클러치(148) 역시 회전을 하게 되지만, 용지롤 케이스(20) 자체가 회전하고 있고 클러치(148)가 캡스턴(50)보다 빠르게 회전하고 있으며 용지롤 케이스(20)의 구동축 수용부(110) 내주면에 형성된 날개(112)와 클러치(148)의 외주면에 형성된 날개(149) 사이에 백래시가 부여되어 있기 때문에, 클러치(148)의 날개(149)는 용지롤 케이스(20)의 날개(112)와 맞닿지 않고 무부하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캡스턴(50)은 최소 부하로 전사지(22)를 이송하면서 용지롤 케이스(2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전사지 이송과 인쇄는 전사지 선단부가 감열기록헤드(52)에 이를 때까지 계속된다(도 7b의 (7)단계).
전사지(22)가 도 7b의 (7)단계의 위치에 이르면, 다음 색상의 인쇄를 위해 캡스턴(50)과 핀치롤러(52)의 회전 방향이 바뀌어 다시 도 7b의 (5)단계에 이를 때까지 전사지가 이송되는데, 이때 클러치(148)의 날개(149)는 용지롤 케이스(20)의 날개(112)와 맞닿지 않고 무부하 회전하게 되며, 캡스턴(50)이 전사지(22)를 당기게 됨에 따라 용지롤 케이스(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카트리지(10) 내에서 전사지(22)는 카트리지(10) 내벽을 따라 이송되고 그 선단부가 도 7b의 (5)단계의 위치에 이를 때까지 이송이 계속된다.
전사지(22)가 도 7b의 (5)단계에 이른 위치에서 감열기록헤드(52)에 의한 다음 색상 인쇄가 개시되며, 모든 색상의 인쇄가 완료될 때까지 도 7b의 (5)단계 내지 (7)단계의 전사지 이송 과정이 반복된다. 모든 색상에 대한 인쇄가 완료되면, 커터 어셈블리(54)가 인쇄가 완료된 부분의 전사지를 절단하게 되며, 이어서 캡스턴(50)에 의해 용지롤 케이스(20)가 회전하여, 용지롤 케이스(20)는 도 7a의 (1)단계로 복귀한다.
한편, 이와 같은 전사지(22) 이송 과정에서 용지롤 케이스(20)의 브레이크 돌기(120)는 도 7a의 (3)단계와 같이 카트리지(10)의 걸림턱(158)에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용지롤 케이스(20)의 과도한 회전으로 인해 개구부(21)에서 전사지(22)에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있다. 즉, 만약 브레이크 돌기(120)가 없다면 용지롤 케이스(20)는 도 7a의 (3)단계에 도시된 것보다 더 회전하여 도 8의 (a)와 같은 상태에 이르게 되고, 이에 따라 전사지(22)가 용지롤 케이스(20)의 개구부(21)에서 예리하게 굴절되어 배출이 어려워질 수 있다. 그렇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브레이크 돌기(120)를 마련하는 경우 도 8의 (b)와 같이 전사지 측면 형상이 완만해져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방식의 브레이크는 파노라마 인쇄나 그밖에 폭(전사지 길이 방향의 크기)이 넓은 사진을 인쇄하는 경우에도 인쇄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도 9a 내지 도 9c는 도 2에 도시된 커터 어셈블리(54)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커터 어셈블리(54)는 베이스(200), 상기 베이스(200)의 전면에 취부되는 고정날(210), 상기 베이스(200)에 대향하여 습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슬라이더(220), 상기 슬라이더(220)의 배면에 취부되는 가동날(230), 베이스(200)와 슬라이더(220)의 밀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클립(240), 그리고 베이스(200)의 배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더(220)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 유닛(250)을 구비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면, 베이스(200)는 대략 평행사변형으로 된 지지면(202)과, 상기 지지면(202)의 상단부와 양단부로부터 각각 전면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상부 스톱퍼(205)와 가이드(206, 208)를 포함한다. 상부 스톱퍼(205)는 만일의 경우 슬라이더(220)가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방지하며, 가이드(206, 208)는 슬라이더(220)의 횡방향으로 움직임을 제한하면서 슬라이더(220)의 경사진 상하방향 왕복운동을 인도한다. 양측 가이드(206, 208)의 하측에는, 가이드(206, 208)로부터 돌출되어 다시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지지 돌기(207, 209)가 마련되어 있어서, 조립 상태에서 슬라이더(220)가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지지 돌기(207, 209)가 마련된 부위에는, 돌출부(207a, 209a)가 베이스(200) 지지면(202)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07a, 209a)는 고정날(210) 및 가동날(230)의 두께를 합한 것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이에 따라 슬라이더(220)가 베이스(200) 지지면(202)으로부터 전체적으로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를 정확히 유지하도록 하게 된다.
베이스(200) 지지면(202)의 상측에는 종이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길게 개구부(203)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00) 지지면(202)의 하측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캠을 동작시키는 캠 핀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공(204)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200) 지지면(202)에서 개구부(203)의 상부에는 고정날(210)이 그 날(212)이 하측에 있도록 나사(214, 216)를 사용하여 취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이드(206, 208)와 지지면(202)의 하변은 직교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경사져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206, 208)와 지지면(202)의 하변의 법선이 이루는 각(??)은 2°~ 15°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은 3°~ 12°이다.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은 5°~ 10°이다. 사진 인쇄용 열전사 프린터에 사용되는 응용예에 사용되는 커터 어셈블리(54)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은 약 8° 즉, 7°~ 9°가 된다.
`한편, 베이스(200) 전면에는 슬라이더(220)가 설치된다. 도 11a 내지 도 11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더(220)는 베이스(200)의 지지면(202)에 대응하여 평행사변형으로 되어 있다. 슬라이더(220)의 상측에는 절단할 종이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개구부(222)가 설치되어 있고, 하측에는 캠(224)이 관통공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캠(224)은 좌우 방향의 일직선 형태로 되어 있는 구동부(224a)와, 상기 구동부(224a)의 일 단으로부터 반원 형태로 이어져 있는 바이패스부(224b)를 포함한다.
슬라이더(220)의 개구부(222) 하측에는 가동날(230)이 그 날(232)이 상측에 있도록 나사(234, 236)를 사용하여 취부된다. 가동날(230)의 슬라이더(220)의 개구부(222)에 일부 중첩되는 상태에서 도 11a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낮아지게 부착되며, 이에 따라 절단 작업이 도 11a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다시 도 9c를 참조하면, 구동 유닛(250)은 모터(252), 웜 기어(254) 및 웜휠(255), 스퍼기어(256), 그리고 캠 핀(258)을 구비하며, 이들은 브라켓(259)에 의해 베이스(200)의 배면에 취부된다. 모터(252)의 양방향 회전력은 웜 기어(254) 및 웜휠(255)을 통해 스퍼기어(256)에 전달된다. 캠 핀(258)은 스퍼기어(256)의 전면에 형성 또는 부착되어 있으며, 베이스(200)의 관통공(204)과 슬라이더(220)의 캠(224)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가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 캠 핀(258)은 별도로 마련되는 스퍼기어(256) 대신에 웜휠(255)에 형성되거나 부착될 수도 있다. 모터(252) 회전에 따라 캠 핀(258)이 회전하면, 캠 핀(258)은 슬라이더(220)의 캠(224)에 끼워진 상태에서 슬라이더(220)를 상하로 승하강시킬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터 어셈블리(54)의 캠 핀(258)은 슬라이더(220)뿐만 아니라 플래턴 지지대(60) 및 플래턴(58)을 승하강시키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플래턴 지지대(60)의 배면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220)의 캠(224)과 대칭된 형태의 캠(6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캠(61)은 좌측 반원 형태의 바이패스부(61a) 하단에서 우측방향으로 구동부(61b)가 연이어진 형태로 되어 있다. 캠 핀(258)은 슬라이더(220)의 캠(224)과 플래턴 지지대(60)의 캠(61)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커터 어셈블리(54)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먼저, 나사(212, 214)를 사용하여 고정날(210)을 베이스(200)에 부착함과 아울러, 나사(232, 234)를 사용하여 가동날(230)을 슬라이더(220)에 부착한다. 그 다음, 베이스(200)의 하방으로부터 지지 돌기(207, 209)와 돌출부(207a, 209a) 사이의 공간으로 슬라이더(220)를 삽입한다. 삽입이 완료되면, 클립(240)에 의해 베이스(200)와 슬라이더(220)의 하측을 체결하고, 베이스(200)의 배면에 구동 유닛(250)을 설치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터 어셈블리(54)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도 13a를 참조하여 전사지 절단 동작을 설명한다. 정상상태(t=T0)에서, 캠 핀(258)은 슬라이더(220)의 캠(224)에 대하여 직선형 구동부(224a)와 반원형 바이패스부(224b)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며, 이때, 캠 핀(258)은 플래턴 지지대(60)의 캠(61)에 대해서도 반원형 바이패스부(61a)와 직선형 구동부(61b)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캠 핀(258)이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캠 핀(258)이 캠(224)의 직선형 구동부(224a) 내에서 습동하면서 캠(224)의 상부 모서리에 힘을 인가하게 되고, 슬라이더(22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된다(t=T1, T2). 이에 따라, 슬라이더(220)는 베이스(200)의 가이드(207, 209)에 의해 인도되면서 상측으로 상승한다. 슬라이더(220)가 상승함에 따라 고정날(210)과 가동날(230)이 엇갈리면서 종이를 절단하게 된다. 절단이 완료되면, 캠 핀(258)은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220)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은 절단 과정에서, 캠 핀(258)은 플래턴 지지대(60)의 캠(61)에 있어서는 반원형 바이패스부(61a)에서 습동하면서 플래턴 지지대(60)의 이동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도 13b를 참조하여 플래턴 지지대(60) 승하강 동작을 설명한다.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정상상태(t=T0)에서, 캠 핀(258)은 슬라이더(220)의 캠(224)에 대하여 직선형 구동부(224a)와 반원형 바이패스부(224b)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며, 이때, 캠 핀(258)은 플래턴 지지대(60)의 캠(61)에 대해서도 반원형 바이패스부(61a)와 직선형 구동부(61b)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캠 핀(258)이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캠 핀(258)은 슬라이더(220)의 캠(224)에 있어 반원형 바이패스부(224b)에서 습동하면서 슬라이더(220)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따라서 커터 어셈블리(54)의 동작에는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그렇지만, 플래턴 지지대(60)의 캠(61)에 있어서, 캠 핀(258)은 캠(61)의 직선형 구동부(61b) 내에서 습동하면서 캠(61)의 상부 모서리에 힘을 인가하게 되고, 플래턴 지지대(6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된다(t=T3, T4). 이에 따라, 플래턴 지지대(60)는 반대측에 있는 힌지(62)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열전사헤드(56)에 밀착되어 전사지(22)와 잉크리본(26)을 열전사헤드(56)에 압착시킴으로써 잉크리본(26)에 도포된 염료가 전사지(22)에 전사되도록 하게 된다. 전사지에 대한 잉크리본 염료 전사가 완료되면, 캠 핀(258)은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고, 이에 따라 플래턴 지지대(60)는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모터와 캠 핀만으로 커터 어셈블리의 슬라이더와 플래턴 승하강 동작을 모두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린터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인쇄는 전사지(22) 선단부가 감열기록헤드(52)로부터 인쇄길이만큼 지난 위치까지 즉, 도 14a에 도시된 위치로 이송된 상태에서 시작된다. 이 상태에서,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 어셈블리(54)에 있는 캠 핀(258)이 플래턴 지지대(6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플래턴 지지대(60)는 반대측에 있는 힌지(62)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플래턴(58)을 상승시켜 잉크리본(26) 및 전사지(22)를 사이에 두고 감열기록헤드(56)에 적정 압력으로 압착되게 한다.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캡스턴(50)과 이에 대응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핀치롤러(52) 사이에 물려 전사지(22)가 후방으로 이송된다. 전사지(22)의 뻣뻣한 물성으로 인하여, 캡스턴(50)에 의해 밀리는 전사지(22)는 용지롤 케이스(20)를 도면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카트리지(10) 내에서 전사지(22)는 용지롤 케이스(2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감기게 된다. 한편, 권취롤러(2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잉크리본(26)이 전사지와 동일한 속도로 진행되도록 하게 되며, 플래턴(58) 역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마찰력에 의해 전사지(22)와 잉크리본(26)이 등속도로 진행하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감열기록헤드(56)가 잉크리본(99)에 접하여 열을 가함으로써 잉크리본(26)을 승화 또는 용융시킴으로써 잉크리본(26) 상의 옐로우(Y) 색상 염료가 전사지에 전사되어 정착되는 프린팅 작업이 진행된다.
도 1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지 선단부가 감열기록헤드(56)와 플래턴(58) 사이의 인쇄지점에 이르러 옐로우(Y) 색상의 인쇄가 종료되면, 캡스턴(50) 및 핀치롤러(52)의 회전이 정지되고, 커터 어셈블리(54)에 있는 캠 핀(258)이 회전하여 플래턴 지지대(6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이에 따라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턴 지지대(60)는 반대측에 있는 힌지(6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플래턴(58)이 하강한다. 이때, 권취롤러(28)는 잉크리본 중 마젠타(M) 색상의 선단부가 감열기록헤드(56)와 플래턴(58) 사이의 인쇄지점에 이르게 됨을 리본센서(미도시됨)에 의해 검출될 때까지 추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 다음, 마젠타(M) 색상의 인쇄를 위해 캡스턴(50)과 핀치롤러(52)의 회전방향이 다시 바뀌어 용지롤 케이스(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전사지(22)가 다시 전방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클러치(148)의 날개(149)는 용지롤 케이스(20)의 날개(112)와 맞닿지 않고 무부하 회전하게 되며, 용지롤 케이스(20)는 캡스턴(50)이 전사지(22)를 당기는 힘에 의해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전사지(22) 선단부가 카트리지(10)의 캡스턴(50) 쪽으로 이송되어 도 14a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하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 어셈블리(54)에 있는 캠 핀(258)의 작용에 의해 플래턴(58)이 상승하여 잉크리본(26) 및 전사지(22)를 사이에 두고 감열기록헤드(56)에 적정 압력으로 압착되고, 캡스턴(50)과 용지롤(20)과 권취롤러(28)가 회전하면서 감열기록헤드(56)가 발열하여 마젠타(M) 색상의 인쇄가 이루어진다.
마젠타(M) 색상의 인쇄가 종료되면, 캡스턴(50) 및 핀치롤러(52)의 회전이 정지되고, 커터 어셈블리(54)에 있는 캠 핀(258)이 회전하여 플래턴 지지대(6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고 이에 따라 도 1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래턴 지지대(60)는 반대측에 있는 힌지(62)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플래턴(58)이 하강한다. 그 다음, 사이안(C) 색상의 인쇄를 위해 캡스턴(50)과 핀치롤러(52)의 회전방향이 다시 바뀌어 용지롤 케이스(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전사지(22)가 다시 전방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클러치(148)의 날개(149)는 용지롤 케이스(20)의 날개(112)와 맞닿지 않고 무부하 회전하게 되며, 용지롤 케이스(20)는 캡스턴(50)이 전사지(22)를 당기는 힘에 의해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전사지(22) 선단부가 카트리지(10)의 캡스턴(50) 쪽으로 이송되어 도 14a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하면,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 어셈블리(54)에 있는 캠 핀(258)의 작용에 의해 플래턴(58)이 상승하여 잉크리본(26) 및 전사지(22)를 사이에 두고 감열기록헤드(56)에 적정 압력으로 압착되고, 캡스턴(50)과 용지롤(20)과 권취롤러(28)가 회전하면서 감열기록헤드(56)가 발열하여 사이안(C) 색상의 인쇄가 이루어진다. 잉크리본에 블랙(B)이나 인쇄층 열화를 방지하기 위한 오버코팅(ov) 염료층이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이 염료층을 인쇄한다.
모든 염료층에 대한 인쇄가 종료되면, 도 1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스턴(50) 및 핀치롤러(52)와 용지롤(20)의 회전이 정지되고 커터 어셈블리(54)에 있는 캠 핀(258)의 작용에 의해 플래턴(58)이 하강한다. 이후, 캡스턴(50)에 의해 용지롤(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전사지가 전방으로 이송된다. 전사지 상에서 인쇄가 된 부분의 선단이 커터 어셈블리(54)에 이르면, 커터 어셈블리(54)에 있는 캠 핀(258)이 회전하여 슬라이더(220)의 캠(224) 상부내벽에 힘을 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22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날(210)과 가동날(230)이 서로 교차하면서 전사지(22)를 절단하게 된다. 절단이 완료되면, 캠 핀(258)이 원위치로 복귀하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220)가 원위치로 복귀한다. 이어서, 배출롤러(70) 및 배출 종동 롤러(72)가 회전하여 절단된 기록지를 배출구(4)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이상의 설명에서는 전사지와 리본공급릴 및 리본권취릴이 하나의 카트리지 내에 설치되는 프린터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리본공급릴 및 리본권취릴이 별도의 카트리지로 제작되고 전사지만이 카트리지에 마련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나아가, 별도의 독립적인 하우징을 구비하는 카트리지 형태로 설치하는 대신에, 용지롤 케이스(20)를 프린터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이상의 설명에서 카트리지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술한 부재들 중, 예컨대, 제3 잠금돌기(152), 제4 잠금돌기(154), 및 걸림턱(158) 등은 프린터에서 용지롤 케이스(20)를 수용하는 부위에 마련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 형태로 권취된 전사지를 사용하는 프린터에서, 두께가 두껍고 뻣뻣한 전사지의 물리적 특성으로 인하여 전사지가 전사지 케이스 내부에서 펼쳐짐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 예컨대 전사지가 보빈에서 풀림으로써 전사지의 이송이 방해받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용지롤 케이스를 직접 구동하는 동력전달 장치와 캡스턴을 동일한 모터로 구동하면서, 동력전달 장치와 캡스턴의 회전속도를 달리하고 동력전달 장치와 용지롤 케이스의 접속 부위에 회전날개의 백래시를 이용하는 클러치를 마련함으로써, 인쇄 진행을 위한 전사지의 왕복 이송과정에서 동력전달 장치가 무부하 운전하도록 하고 캡스턴이 최소부하로 전사지를 이송하도록 하게 되며, 전사지가 구겨짐이 없이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전사지가 보빈에 감기는 것이 아니라 케이스 내주면에 밀착되어 감겨져 있게 되기 때문에 용지롤의 직경이 증가되어, 감겨있는 상태의 유지 과정에서 발생되는 용지 구부러짐 즉, 용지 컬(curl) 양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카트리지와 용지롤 케이스 사이의 빈공간은 전사지 두께 정도만 있어도 무방하기 때문에, 프린터의 전체적인 크기를 증대시키지 않고 콤팩트하게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8)

  1. 프린터용 인쇄용지를 수납하는 인쇄용지 케이스로서,
    내외부를 관통하여 횡방향으로 연이어져 형성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 측면에 상기 프린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구동축 결합부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케이스 본체; 및
    상기 인쇄용지가 상기 케이스 본체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권회되어 있으며, 선단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어 있는 용지 롤;
    을 구비하는 인쇄용지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결합부가 하나 이상의 날개를 구비하여, 하나 이상의 구동날개를 구비하는 상기 프린터의 동력전달 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인쇄용지 케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결합부의 날개가 폭에 비해 간격이 넓게 되어 있어서, 상기 프린터의 구동날개와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 이상의 백래시가 부여되는 인쇄용지 케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결합부에 대향하는 반대측 측면의 중심에 지지축이 마련되어 있는 인쇄용지 케이스.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 외주면에 복수의 잠금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인쇄용지 케이스.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의 일 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용지 롤을 탄성 지지함으로써 상기 용지 롤의 모서리를 정렬시키는 탄성지지판;
    을 더 구비하는 인쇄용지 케이스.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본체가 각각 반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제1 및 제2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커버 중 어느 하나에 복수의 후크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후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후크를 상기 걸림턱에 끼움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커버가 체결되는 인쇄용지 케이스.
  8. 프린터 내부에 설치되는 인쇄용지 카트리지로서,
    내외부를 관통하여 좌우 방향으로 연이어져 형성된 제1 개구부를 구비하는 외부 케이스;
    상기 외부 케이스 내부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외부를 관통하여 횡방 향으로 연이어져 형성된 제2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 측면에 상기 프린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구동축 결합부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내부 케이스; 및
    상기 인쇄용지가 상기 내부 케이스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권회되어 있으며, 선단부가 상기 제2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어 있는 용지 롤;
    을 구비하는 인쇄용지 카트리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결합부가 하나 이상의 날개를 구비하여, 하나 이상의 구동날개를 구비하는 상기 프린터의 동력전달 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인쇄용지 카트리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결합부의 날개가 폭에 비해 간격이 넓게 되어 있어서, 상기 프린터의 구동날개와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 이상의 백래시가 부여되는 인쇄용지 카트리지.
  11.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결합부에 대향하는 반대측 측면의 중심에 상기 외부 케이스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축이 마련되어 있는 인쇄용지 카트리지.
  12.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 외주면에 복수의 잠금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케이스 내주면에 상기 복수의 잠금돌기 중 인접한 잠금돌기들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프린터에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인접한 잠금돌기들과 상기 돌기가 끼워짐으로 인해 상기 내부 케이스의 회동이 제한되고, 상기 프린터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돌기가 상기 인접한 잠금돌기들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인쇄용지 카트리지.
  13.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 외주면에 소정 형상의 브레이크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부 케이스 내주면에 상기 브레이크 돌기에 대응하여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가 상기 외부 케이스 내에서 일정 각도 범위에서만 양방향 회전할 수 있는 인쇄용지 카트리지.
  14.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의 일 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용지 롤을 탄성 지지함으로써 상기 용지 롤의 모서리를 정렬시키는 탄성지지판;
    을 더 구비하는 인쇄용지 카트리지.
  15.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가 각각 반원통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제1 및 제2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 커버 중 어느 하나에 복수의 후크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후크에 대응하는 복수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후크를 상기 걸림턱에 끼움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커버가 체결되는 인쇄용지 카트리지.
  16. 내외부를 관통하여 횡방향으로 연이어져 형성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일 측면에 상기 프린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구동축 결합부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케이스 본체와, 상기 인쇄용지가 상기 케이스 본체 내주면에 밀착되어 상기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권회되어 있으며 선단부가 상기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어 있는 용지 롤을 구비하는 인쇄용지 케이스;
    상기 인쇄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캡스턴;
    상기 인쇄용지 위에 인쇄를 행하기 위한 기록헤드; 및
    상기 인쇄용지를 상기 기록헤드에 선택적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플래턴;
    을 구비하는 프린터.
  17. 제16항에 있어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 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소정의 모터로부터 회전 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 기어와, 상기 회전축 상에 고정되는 디스크와, 상기 동력전달 기어 및 상기 디스크 사이에 배치되는 슬립 패드와, 상기 동력전달 기어. 상기 슬립 패드, 및 상기 디스크를 압착시키며 스톱퍼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과, 상기 회전축의 단부에 마련되며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구동날개가 형성되어 있는 클러치를 포함하는 동력전달 수단;
    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인쇄용지 케이스의 구동축 결합부가 상기 동력전달 수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 프린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 결합부의 날개와 상기 클러치의 구동날개가 폭에 비해 간격이 넓게 되어 있어서, 결합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 이상의 백래시가 부여되는 프린터.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지 케이스에서 상기 구동축 결합부에 대향하는 반대측 측면의 중심에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축이 마련되어 있는 프린터.
  20.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지 케이스 외주면에 소정 형상의 브레이크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프린터 내부에 상기 브레이크 돌기에 대응하여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인쇄용지 케이스가 일정 각도 범위에서만 양방향 회전할 수 있는 프린터.
  21.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지 케이스의 일 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용지 롤을 탄성 지지함으로써 상기 용지 롤의 모서리를 정렬시키는 탄성지지판;
    을 더 구비하는 프린터.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지 케이스가 소정의 카트리지 내에 격납되어 있는 프린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지 케이스에서 상기 구동축 결합부에 대향하는 반대측 측면의 중심에 지지축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지지축을 스프링을 매개하여 지지하는 프린터.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지 케이스 외주면에 소정 형상의 브레이크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트리지 내주면에 상기 브레이크 돌기에 대응하여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인쇄용지 케이스가 상기 카트리지 내에서 일정 각도 범위에서만 양방향 회전할 수 있는 프린터.
  25.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용지 케이스 외주면에 복수의 잠금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카트리지 내주면에 상기 복수의 잠금돌기 중 인접한 잠금돌기들 사이에 끼워질 수 있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프린터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프린터에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인접한 잠금돌기들 사이에 끼워진 상기 돌기를,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프린터에 설치될 때 상기 인접한 잠금돌기들 사이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잠금해제 수단;
    을 더 구비하는 프린터.
  26.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가 압축 스프링을 매개하여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클러치가, 잠금해제 수단으로서, 상기 인쇄용지 케이스를 밀어서 상기 돌기를 상기 인접한 잠금돌기들 사이로부터 이탈시키는 프린터.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캡스턴이 상기 동력전달 수단을 구동하는 상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프린터.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캡스턴이 상기 인쇄용지 케이스에 야기하는 각속도보다 상기 동력전달 수단이 상기 인쇄용지 케이스에 야기하는 각속도가 더 큰 프린터.
KR1020060076489A 2006-08-12 2006-08-12 인쇄용지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하는 프린터 KR100999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489A KR100999375B1 (ko) 2006-08-12 2006-08-12 인쇄용지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하는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6489A KR100999375B1 (ko) 2006-08-12 2006-08-12 인쇄용지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하는 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943A KR20080014943A (ko) 2008-02-15
KR100999375B1 true KR100999375B1 (ko) 2010-12-09

Family

ID=39341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6489A KR100999375B1 (ko) 2006-08-12 2006-08-12 인쇄용지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하는 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3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4943A (ko) 2008-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3361B2 (en) Printer cartridge unifying thermal ribbon and transfer medium and thermal transfer printer employing the same
JP4572846B2 (ja) プリンタ装置
KR101131359B1 (ko) 카트리지 및 프린터
US5622440A (en) Ink film cassette having a torque applying device therein
EP1798050A1 (en) Paper roll feed mechanism, paper roll feed cassett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206046B2 (en) Recording device with a second platen roller that rotates at a faster speed than a first platen roller
US20110129281A1 (en) Record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upply mechanism for a recording device
KR100999375B1 (ko) 인쇄용지 케이스 및 이를 채용하는 프린터
JP5932252B2 (ja) バックテンション機構を備えた印刷装置
KR100520578B1 (ko) 열전사리본 및 기록매체 일체형 카트리지를 구비하는열전사 프린터
JP2000263819A (ja) プリンター
JPS6221566A (ja) 画像記録装置
KR100907312B1 (ko) 모바일 기기용 프린터
WO2011131109A1 (zh) 容纸机构和具有该容纸机构的打印装置
JP3478076B2 (ja) テープ送り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印刷装置
KR20080006060U (ko) 모바일 기기용 프린터
KR100976723B1 (ko) 인쇄용지 수납장치
JP2007230158A (ja) インクリボンカートリッジ
KR20070054009A (ko) 용지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하는 프린터
JP3385926B2 (ja) テープ送り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テープ印刷装置
JP2000335029A (ja) カッタ付きプリンタ
KR20080014945A (ko) 크라운 형태의 주름방지편을 구비하는 프린터 카트리지
JP2000006485A (ja) プリンタ用記録紙
JPS61132368A (ja) カセツト装着装置
JP3427687B2 (ja) テープカートリッジおよびこれを搭載するテープ印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1216

Effective date: 2010082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