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8896B1 - 단말기 및 발신자 식별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발신자 식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8896B1
KR100998896B1 KR1020030032329A KR20030032329A KR100998896B1 KR 100998896 B1 KR100998896 B1 KR 100998896B1 KR 1020030032329 A KR1020030032329 A KR 1020030032329A KR 20030032329 A KR20030032329 A KR 20030032329A KR 100998896 B1 KR100998896 B1 KR 100998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terminal
call
called party
vo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0113A (ko
Inventor
홍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2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8896B1/ko
Publication of KR20040100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0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8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8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자가 누구인지 질문하기 위한 내용을 착신자가 음성으로 녹음하여 상기 발신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질문에 해당하는 답변을 들음으로써, 발신자가 누구인지 또는 용건은 무엇인지를 사전에 파악을 하여 착신자가 통화 연결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단말기 및 발신자 식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신자식별, 음성정보, HLR

Description

단말기 및 발신자 식별 방법{Terminal and the Method for identifying the caller the same}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발신자 식별 제어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발신자 식별 제어방법에 따른 실시예로서, 전반적인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본 발명은 발신자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호(Call) 착신이 있는 경우에 발 신자가 누구인지를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방법으로서, 그룹 벨소리를 출력하거나 CID(Caller ID; 발신자 아이디)를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이 있다.
이때 CID는 사용자 단말이 CID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에 발신자의 단말기 번호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해 주며, 그룹 벨소리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CID를 수신했을 때, 그 단말기 번호가 속한 그룹의 그룹 벨소리를 울려서 발신자의 그룹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발신자의 일부 정보를 표시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기도 하는데, 이동통신 사업자는 호출 신호 수신시 착신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발신자의 등록 정보 중에서 발신자의 전화 번호를 표시되는 발신자 식별(caller line identification :CLID) 서비스 등이 있다.
또한, 발신자의 전화 번호에 따라 각 발신자에 따른 호출 신호를 틀리게 하여, 전화가 수신되면 그 설정된 호출 신호를 이용하여 전화가 수신된 것을 알려주는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
이때 제공되는 호출 신호는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서 만들거나 또는 다양한 종류의 호출 신호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하는 호출 신호를 다운로드 받아서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착신자는 통화 개시 이전에 발신자가 누구인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통화를 원하지 않는 발신자일 경우 통화 거부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발신자의 정보를 오직 발신번호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 함으로써, 해당번호가 착신자의 전화번호 리스트에 등록되어있지 않는 한 착신자는 수신된 번호가 누구의 번호인지 또는 왜 무슨 용건으로 전화를 했는지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발신자가 누구인지 질문하기 위한 내용을 착신자가 음성으로 녹음하여 상기 발신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질문에 해당하는 답변을 들음으로써, 발신자가 누구인지 또는 용건은 무엇인지를 사전에 파악을 하여 착신자가 통화 연결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단말기 및 발신자 식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는, 오디오부와; 착신자가 발신자의 명칭 및 통화 용건을 상기 발신자에게 문의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 음성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발신자의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송수신부와; 상기 착신자가 상기 발신자를 식별하기 위한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발신자의 단말기로부터 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RF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발신자의 명칭 및 통화 용건을 문의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를 상기 발신자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음성정보 처리부와; 상기 RF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발신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의 음성 데이터에 대한 답변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답변 음성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부로 출력하여 상기 착신자에게 상기 발신자의 명칭 및 통화 용건을 알리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답변 음성 데이터는 상기 음성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신자 식별 기능은 상기 단말기로 호를 송신하는 모든 발신자 단말기들을 식별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발신자 단말기만을 식별할 수 있고, 상기 발신자 식별 기능은 상기 단말기 내에서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특정 키 신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메뉴 선택을 통해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의 발신자 식별 방법은, 발신자의 명칭 및 통화 용건을 상기 발신자에게 문의하기 위한 착신자의 음성 데이터를 녹음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착신자가 상기 발신자를 식별하기 위한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자의 단말기로부터 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문의 음성 데이터를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송신한 질문 음성 데이터에 대한 답변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답변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여 상기 착신자에게 상기 발신자의 명칭 및 통화 용건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블록 구 성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은 일반 유선전화(170)를 통해 컴퓨터(180)와 연결하거나 또는 컴퓨터(180)와 직접 연결하기 위해 공중전화 교환망(PSTN)/종합정보 통신망(ISDN)(160)과 연결되는 이동통신 교환국(150)과,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150)에 연결되는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130)(140)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130)(140)에 연결되는 다수의 기지국(111)(121)과 상기 기지국(111)(121)에 무선링크를 통해 연결되는 다수의 단말기(110)(120)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기지국(111)(121)은 다수의 단말기(110)(120)와 이동통신 교환국(150)사이에 무선 링크와 유선 링크에 적합하도록 신호 포맷을 바꿔주는 역할을 하며 상기 단말기(110)(120)의 송수신 전계 강도(전파 수신 세기)를 측정하여 이동통신 교환국(150)에 제공해준다.
상기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130)(140)는 다수 기지국(111)(121)의 각 요소별 기능과 셀 운용자 사이의 접속 수단이 되며 다수 기지국 운용의 관리, 기지국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서비스 상태의 관리, 호 트래픽에 대한 자원의 할당과 구성, 기지국 운용에 관한 정보 수립, 기지국 운용, 감시 및 고장에 관련된 하부 장치 감시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통신 교환국(150)은 다수의 기지국 제어기(130)(140) 및 다수의 이동통신 단말기(110)(120)에 회선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고 부가적인 기능으로 채널 전환(handoff)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은 임의의 사용자가 단말기(110)(120)를 이용하여 전화를 걸거나 수신하면 다수의 여러 기지국(111)(121)중 어느 하나의 기지국과 연결된다.
이동통신 망에서 특정 단말기나 또는 유선 단말기의 발신자가 특정 착신자의 번호를 호출하면, 해당 단말기는 기지국(111)(121) 및 기지국 제어기(130)(140)를 통하여 이동통신 교환국(150)에 연결된 홈 위치 등록기(HLR)(151) 또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152)에 자신의 등록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및 ESN :electronic serial number 등)를 등록한다.
이때, 이동통신 사업자가 착신측 단말기에게 발신자 전화번호를 알려주는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에는 기지국(111)(121) 및 기지국 제어기(130)(140)는 이동통신 교환국(150)을 통해 메시지 서비스센터(MSC)나 홈 위치 등록기(151) 또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152)에 등록되어 있는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착신측 단말기로 전송하는 호출 신호(PAGE MESSAGE)에 포함하여 전송한다.
상기 착신측 단말기는 수신된 전화번호를 갖고 있다가 최종 트래픽 채널 (TRAFFIC CHANNEL)이 개설되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 장치에 그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홈 위치 등록기(151) 또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152)는 단순히 착신자에게 발신자의 번호만을 송신하며, 실질적인 화면 표시는 단말기에서 제공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발신자 식별 제어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의 내부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블록 구성도를 표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10)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소정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을 구비하며, 데이터 저장부(290)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0)의 동작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 및 발신자 식별 제어와 관련된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구비하고 있다.
오디오부(220)는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0)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입력받음과 동시에 그 음성 데이터를 증폭하여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기계적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진동 처리부(235)는 단말기의 모드가 진동 모드일 때 진동 모터를 구동하여 단말기를 진동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인지시킨다.
RF 송수신부(250)는 단말기의 송수신단으로부터 음성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 등이 포함된 RF 신호를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한편, 기지국으로부터 RF 신호를 수신 받아 중간주파수(IF) 신호로 변환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210)로 출력한다.
키 입력부(230)는 단말기의 측면에 구비된 키 및 키패드상에 구비된 다수의 숫자 키와 기능 키를 모두 포함하며, 상기 키들에 대한 키 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0)로 출력하며, LCD 표시부(240)는 상기 키 입력부(230)에서 입력되는 키 데이터에 대한 표시데이터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210)로부터 입력받아 표시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 상태와 시간 등을 표시한다.
기저대역신호 처리부(220)는 RF 송수신부(250)에서 입력되는 중간주파수 신 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입력되는 소정의 기저대역신호를 중간주파수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음성정보 데이터베이스(200)는 착신자의 정보 및 용건을 발신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착신자의 음성녹음 정보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음성정보 처리부(280)는 음성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음성정보 데이터를 참조하여 송수신 되는 음성정보를 처리한 다음 그 결과를 마이크로 프로세서(210)로 출력한다.
상기 소정의 음성정보 데이터 처리는 착신자의 통화가 연결되기 전에 처리되는 데이터로서 녹음 및 청취가 가능하도록 처리해준다.
음성정보 처리부(28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는 해당 음성정보에 대한 정확한 메시지를 정하여 임의의 발신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예를 들어 음성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음성정보 데이터가 발신자의 이름과 전화를 건 용건을 물어보는 내용의 데이터라면, 발신자의 이름과 용건에 대한 정확한 메시지를 정하여 임의의 발신자가 이를 듣고 발신자 자신의 이름과 용건을 정확히 알려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임의의 발신자가 자신의 이름과 용건을 알려주면 음성정보 처리부(280)가 이를 처리하여 음성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한다.
그런 다음 착신자가 나중에 발신자가 누구인지 전화를 건 용건은 무엇인지 알 수가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210)는 음성정보 처리부(280)로부터 소정의 데이터를 입 력받아 오디오부(245)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착신자의 전화번호 리스트에 발신자의 정보가 없을 경우에는 착신이 불가능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착신을 억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음성정보 데이터베이스(200)와 음성정보 처리부(280) 등은 홈 위치 등록기(151)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정보센터에 구성하여 실시해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발신자의 사전 정보가 정보센터에서 처리되어 저장된 다음 곧바로 착신자에게 연결을 시도하여 발신자의 해당 정보(발신자의 이름과 용건)를 착신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착신자는 해당 정보를 확인한 다음 누구로부터 무슨 용무를 갖고 전화가 왔었는지 파악함으로써 전화를 취사선택할 수 있다.
이때 착신자는 해당 정보가 자신이 원하지 않는 정보이거나 또는 정보가 부실한 경우 발신자의 전화를 거절할 수 있다.
그외의 경우에는 해당 착신자가 수신요구를 할 경우 특정 디지트 신호를 받아서 수락할 수 있다.
상기 착신자가 수신요구를 하면 정보센터는 이를 발신자의 통화연결 정보와 연결하여 발신 및 착신자의 통화를 연결시켜 줌으로써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에서 발신자의 경우 해당 착신자와의 연결 전까지 대기요금을 착신자의 요금으로 할당하여 발신자의 비용부담을 줄여주는 방안도 가능하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발신자 식별 제어방법에 따른 실시예로서, 전반적인 동작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상기 도 3 에서 동작이 시작되면 착신자는 자신에게 전화를 걸어오는 발신자를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를 설정(301)한다.
서비스 설정(301)은 착신자 자신의 단말기에 설정할 수도 있고, 홈 위치 등록기(151)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정보센터에 설정할 수도 있다.
서비스 설정(301)내용은 착신자 자신에게 전화를 걸어오는 모든 발신자를 대상으로 할 수도 있고, 착신자 자신의 리스트에 등록되어있는 상대방 발신자만을 대상으로 할 수도 있다.
서비스 설정(301)을 착신자 자신의 단말기에 설정할 경우에는 단말기의 키 입력부(230)에 있는 특정키를 할당하여 활성화시킬 수도 있고, 또는 단말기의 메뉴 상에서 해당 설정모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설정할 수도 있다.
서비스 설정(301)을 홈 위치 등록기(151)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정보센터에 설정할 경우에는 홈 위치 등록기(151)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정보센터에 발신자 식별 서비스 등록을 업데이트(302)한다.
발신자 식별 서비스 등록을 업데이트(302)한 다음 임의의 발신자로부터 호 신호가 수신(303)되면 발신자 식별 정보를 해당 발신자에게 요구(304)한다.
상기 해당 발신자에게 요구(304)하는 내용은 예를 들어 발신자의 성명과 간단한 용건 등이 될 수 있다.
이외에도 착신자가 발신자로부터 알기를 원하는 요구사항을 모두 요구할 수 있다.
상기 요구(304)사항에 대해 발신자가 응답(305)을 하였으면 응답 데이터를 해당 처리부에서 처리한 다음 저장(306)한다.
즉, 서비스 설정(301)이 착신자 자신의 단말기에 설정되어 있으면 단말기의 음성정보 처리부(280)에서 처리한 다음 음성정보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하고, 홈 위치 등록기(151)와 같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정보센터에 설정되어 있으면 해당 정보센터의 음성정보 처리부에서 처리한 다음 음성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상기 해당 정보센터의 음성정보 처리부에서 처리한 다음 음성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306)이 되었으면 저장된 내용을 착신자의 단말기로 전달(307)해준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신자가 누구인지 질문하기 위한 내용을 착신자가 음성으로 녹음하여 상기 발신자에게 전달하고, 상기 발신자로부터 상기 질문에 해당하는 답변을 들음으로써, 발신자가 누구인지 또는 용건은 무엇인지를 사전에 파악을 하여 착신자가 통화 연결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착신자의 전화번호 리스트에 등록되어있는지 상관없이 착신자는 수신된 발신자의 전화번호가 누구의 번호이며 또는 왜 무슨 용건으로 전화를 했는지 알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해준다.

Claims (9)

  1. 오디오부;
    착신자가 발신자의 명칭 및 통화 용건을 상기 발신자에게 문의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가 저장된 음성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발신자의 단말기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송수신부;
    상기 착신자가 상기 발신자를 식별하기 위한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상기 발신자의 단말기로부터 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RF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발신자의 명칭 및 통화 용건을 문의하기 위한 음성 데이터를 상기 발신자의 단말기로 송신하는 음성정보 처리부; 및
    상기 RF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발신자의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의 음성 데이터에 대한 답변 음성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답변 음성 데이터를 상기 오디오부로 출력하여 상기 착신자에게 상기 발신자의 명칭 및 통화 용건을 알리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답변 음성 데이터는, 상기 음성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식별 기능은, 상기 단말기로 호를 송신하는 모든 발신자 단말기들을 식별하거나 또는 기 설정된 발신자 단말기만을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자 식별 기능은, 상기 단말기 내에서 상기 단말기에 구비된 특정 키 신호가 입력되거나 또는 메뉴 선택을 통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발신자의 명칭 및 통화 용건을 상기 발신자에게 문의하기 위한 착신자의 음성 데이터를 녹음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착신자가 상기 발신자를 식별하기 위한 기능을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의 단말기로부터 호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문의 음성 데이터를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송신한 문의 음성 데이터에 대한 답변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답변 음성 데이터를 출력하여 상기 착신자에게 상기 발신자의 명칭 및 통화 용건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단말기의 발신자 식별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30032329A 2003-05-21 2003-05-21 단말기 및 발신자 식별 방법 KR100998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329A KR100998896B1 (ko) 2003-05-21 2003-05-21 단말기 및 발신자 식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329A KR100998896B1 (ko) 2003-05-21 2003-05-21 단말기 및 발신자 식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113A KR20040100113A (ko) 2004-12-02
KR100998896B1 true KR100998896B1 (ko) 2010-12-09

Family

ID=37377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329A KR100998896B1 (ko) 2003-05-21 2003-05-21 단말기 및 발신자 식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88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616A1 (ko) * 2018-03-06 2019-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메시지 수신 알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161B1 (ko) * 2006-08-24 2008-05-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착신 호 가로채기 서비스 방법
US9088647B2 (en) * 2013-10-08 2015-07-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voice-based contact upd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616A1 (ko) * 2018-03-06 2019-09-12 삼성전자 주식회사 메시지 수신 알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1425081B2 (en) 2018-03-06 2022-08-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ssage reception notif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0113A (ko)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77721B1 (en) Conference call
JP2773676B2 (ja) 携帯電話機
KR100998896B1 (ko) 단말기 및 발신자 식별 방법
US20040203661A1 (en) Method for providing receiver situation mode service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erforming the same
US20050159146A1 (en) Method for registering absent subscriber messages and setting absent subscriber mode
EP1645146B1 (en) System,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delivering services
JP4403349B2 (ja) 電話の加入者管理装置、電話端末、通信システムおよび着信履歴情報の管理方法
KR20000044484A (ko) 무선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 상태 표시 방법
KR10067516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호 연결실패 알림 방법
KR20040046053A (ko) 휴대 전화 배경이미지의 자동변경 방법 및 이를 이용한휴대전화 단말기
KR100315693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통화 요금 계산 장치 및 방법
KR20030065123A (ko) 휴대폰의 로밍시 시간 표시 방법
JP3239876B2 (j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無線通信装置の着信制御方法
KR100594080B1 (ko) 발신번호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49151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긴급 통화임을 알리기 위한 방법
JP3698922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の自動応答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の自動応答制御方法
KR20010037171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음성사서함 서비스 구현 방법
JP3562430B2 (ja) 移動体通信システムとその携帯電話機への着信通知方法
KR100644035B1 (ko) 부가서비스 지원 여부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제공하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100813809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호 처리 방법
KR100421958B1 (ko) 휴대폰의 사용자상태메시지 처리방법
KR100241779B1 (ko) 씨티-2 단말기에서 직접통화 서비스 접속방법
JP3689808B2 (ja) 携帯電話装置報知代用装置
JPH1075484A (ja) 無線電話システム
KR10095363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수신자 응답 확인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