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7887B1 - 무단 시건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무단 시건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887B1
KR100997887B1 KR1020080137036A KR20080137036A KR100997887B1 KR 100997887 B1 KR100997887 B1 KR 100997887B1 KR 1020080137036 A KR1020080137036 A KR 1020080137036A KR 20080137036 A KR20080137036 A KR 20080137036A KR 100997887 B1 KR100997887 B1 KR 100997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ock
latch gear
fou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7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8701A (ko
Inventor
이명현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7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887B1/ko
Publication of KR20100078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14Specially controlled locking actions in case of open doors or in case of doors moved from an open to a closed position, e.g. lock-out prevention or self-cance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8Mounting of individual lock elements in the lock, e.g.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05B79/16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linking the rods to other lock parts, e.g. to leve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래치기어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지 아니하는 상태 즉, 도어 개방상태에서는 래치기어와의 간섭에 의해 승강 스토퍼가 상승하여 락레버 회전작용을 물리적으로 구속함으로써, 도어의 개방상태에서는 락의 설정이 불가하도록 구성한 무단 시건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스트라이커, 래치기어, 락레버, 스토퍼, 락노브

Description

무단 시건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Anti lock funtional having vehicle door lock divic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래치기어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지 아니하는 상태 즉, 도어 개방상태에서는 래치기어와의 간섭에 의해 승강 스토퍼가 상승하여 락레버 회전작용을 물리적으로 구속함으로써, 도어의 개방상태에서는 락의 설정이 불가하도록 구성한 무단 시건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래치기어와 상기 래치기어를 구속하는 파울레버가 축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파울레버가 설치된 축에는 핸들의 개방력을 인가받아 파울레버를 회전시키는 릴리즈 레버가 적층하여 설치되어, 사용자가 핸들을 통해 개방력을 제공하면 릴리즈 레버는 래치기어를 구속하고 있는 파울레버를 연동 회전시켜 파울레버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을 해제함으로써, 도어를 개방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어 잠금장치에는 도난 방지성을 갖기 위해 케이스의 내벽에 축 설치된 락레버의 회전에 의해 릴리즈 레버와 파울레버를 연동 또는 비연동시켜, 도어의 시건을 도모하는 센트롤락 구조가 부가하여 마련되며, 여기서 상기 센트롤락 상태를 설정하는 락레버는 키레버와 차량 내부에 설치된 락노브와 각각 연결되어 키레버 또는 락노브로부터 센트롤락의 설정에 요구되는 작용력을 인가받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키레버 또는 락노브의 조작에 의해 락레버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릴리즈 레버와 파울레버가 비연동 상태인 락이 설정되면, 사용자가 핸들을 통해 개방력을 제공하더라도 래치기어를 구속하고 있는 파울레버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관계로 도어는 잠김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반대로, 키레버 또는 락노브의 조작에 의해 락레버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릴리즈 레버와 파울레버가 연동 상태인 언락이 설정되면, 사용자가 핸들을 통해 개방력을 제공하여 릴리즈 레버를 회전시키면 래치기어를 구속하고 있는 파울레버도 함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도어는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의 사용과정에서, 사용자가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락노브를 무단 조작하여 락레버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어 잠금장치는 락이 설정되고, 이 상태에서 도어를 닫게 되면 도어는 락이 무단 설정된 상태로 잠기게 된다.
물론, 사용자가 차량에서 내리기 전 키를 소지한 경우에는 키실린더에 키를 삽입하여 락을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키를 차량에 두고 내린 경우에는 수리점 등에 별도 요청하여 도어 잠금장치의 락을 해제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는 매우 번거롭기도 하고, 또 시간적, 비용적 측면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아니하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래치기어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지 아니하는 상태 즉, 도어 개방상태에서는 래치기어와의 간섭에 의해 승강 스토퍼가 상승하여 락레버 회전작용을 물리적으로 구속함으로써, 도어의 개방상태에서는 락의 설정이 불가하도록 구성한 무단 시건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무단 시건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운팅홀이 형성된 래치기어와 상기 래치기어를 구속하는 파울레버가 축 설치되고, 상기 파울레버가 설치된 축에는 핸들로부터 제공되는 개방력에 인가받아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릴리즈 레버가 적층하여 설치되는 한편, 상기 래치기어가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직교하는 케이스의 내벽에는 좌우 회전을 통해 상기 파울레버와 릴리즈 레버의 연동 또는 비연동 상태를 설정하는 락레버와, 상기 락레버와 커넥션 로드를 통해 링크구조를 형성하는 키레버가 각각 축 설치되어, 상기 락레버의 정역 회전에 의해 파울레버와 릴리즈 레버가 연동하여 회전하는 언락과 파울레버와 릴리즈 레버가 비연동하는 락이 택일하여 설정되도록 구성된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어가 축 설치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직교되며 락레버와 키레버를 링크구조로 연결하는 커넥션 로드의 하부에는 승강 스토퍼가 마련되어,
상기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고 있던 래치기어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도어가 개방되면, 하강된 승강 스토퍼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래치기어에 간섭을 통해 상승하여 상부에 형성된 커넥션 로드를 물리적으로 가압하여 구속함으로써, 락레버의 회전을 통한 락의 설정이 불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호 대향하는 커넥션 로드의 저면과 승강 스토퍼의 상면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서, 상기 승강 스토퍼는 래치기어의 비간섭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울레버에는 좌측에 간섭부를 우측에 공회전부를 갖는 작용단이 형성되고, 이와 적층하여 설치되는 릴리즈 레버에는 장공형 슬롯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릴리즈 레버의 장공형 슬롯과 락레버 사이에는 락링크가 배설되며, 상기 릴리즈 레버에 형성된 장공형 슬롯에는 락링크의 일단에 형성된 락핀이 삽입되고 락링크의 타단은 락레버에 편심구조로 축 설치되어서,
상기 락레버의 정역회전에 따른 릴리즈 레버의 장공형 슬롯에 삽입된 락핀의 위치 변경에 의해 파울레버와 릴리즈 레버가 연동하여 회전되어 파울레버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이 해제되는 언락 상태와, 파울레버와 릴리즈 레버가 비연동하여 파울레버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이 유지되는 락 상태가 택일하여 설정되도록 구성한다.
한편, 상기 락레버가 설치된 케이스의 외벽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이 고 정돌기와 외접하는 락레버의 가장자리에는 공극부를 갖는 한 쌍의 설정홈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락레버는 공극부를 갖는 설정홈을 통해 고정돌기에 탄력적으로 고정되어, 정역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래치기어의 회전 상태에 따라 락레버와 연결된 커넥션 로드의 좌우 이송을 물리적으로 구속시켜, 도어의 개방상태에서는 락의 설정이 불가능하도록 구성한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습관적으로 락노브를 조작하여 락이 무단 설정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어서, 락의 무단 설정의 해제에 따른 시간 소요와 비용발생이 해소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전자적 수단을 요구하지 아니하는 기계적 수단인 승강 스토퍼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도어 잠금장치 단독으로 구현이 가능하고 또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단 시건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단 시건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단 시건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락레버의 정역회전에 의한 락핀의 위치변경에 따른 락과 언락의 전환 설정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단 시건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래치기어의 정역회전에 따른 락레버의 구속 또는 비구속 상태를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1)는,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P)에, 마운팅홀이 형성된 래치기어(10)와 상기 래치기어(10)를 구속하는 파울레버(20)가 축(11, 21) 설치되고, 상기 파울레버(20)가 설치된 축(21)에는 핸들(미도시)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개방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릴리즈 레버(30)가 적층하여 설치된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래치기어(10)가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P)와 직교하는 케이스(90)의 내벽에는 정역회전을 통해 상기 파울레버(20)와 릴리즈 레버(30)의 연동 또는 비연동 상태를 설정하는 락레버(40)와, 상기 락레버(40)와 커넥션 로드(70)를 통해 링크구조를 형성한 키레버(60)가 각각 축 설치된다.
상기 락레버(40)가 설치된 케이스(90)의 외벽에는 도 1과 도 2a와 도 3a와 같이 고정돌기(91)가 형성되고, 이 고정돌기(91)와 외접하는 락레버(40)의 가장자리에는 공극부(42a)를 갖는 한 쌍의 설정홈(42)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락레버(40)는 도 2a와 도 3a와 같이 공극부(42a)를 갖는 설정홈(42)을 통해 고정돌기(91)에 탄력적으로 고정되어, 별도의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고정구조 없이도 정역 회전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1)는, 락레버(40)의 정역회전 상태에 따라 파울레버(20)와 릴리즈 레버(30)와 연동하여 회전되어 파울레버(20)에 의한 래치기어(10)의 구속이 해제되는 언락과, 파울레버(20)와 릴리즈 레버(30)가 비연동하여 파울레버(20)에 의한 래치기어(10)의 구속이 유지되는 락이 택일하여 설정된다.
이를 상술하자면, 상기 파울레버(20)에는 좌측에 간섭부(22a)를 우측에 공회전부(22b)를 갖는 작용단(22)이 형성되고, 이와 적층하여 설치되는 릴리즈 레버(30)에는 장공형 슬롯(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릴리즈 레버(30)의 장공형 슬롯(31)과 락레버(40) 사이에는 락링크(50)가 배설되는데, 도면을 보면 상기 릴리즈 레버(30)에 형성된 장공형 슬롯(31)에는 락링크(50)의 일단에 형성된 락핀(51)이 삽입되고 락링크(50)의 타단은 락레버(40)에 편심구조로 축(52) 설치된다.
따라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락레버(4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릴리즈 레버(30)의 장공형 슬롯(31)에 삽입된 락링크(50)의 락핀(51)이 좌측으로 이송되 면, 락핀(51)의 선회궤적 상에는 파울레버(20)에 형성된 작용단(22)의 간섭부(22a)가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도 2c와 같이 핸들을 통해 개방력을 제공하여 릴리즈 레버(30)를 회전시키면, 장공형 슬롯(31)에 삽입된 락핀(51)은 선회하면서 파울레버(20)에 형성된 작용단(22)의 간섭부(22a)를 통해 파울레버(20)를 연동하여 회전시키게 되고, 이러한 파울레버(20)의 회전에 의해 파울레버(20)에 의한 래치기어(10)의 구속은 해제된다.
그리고, 파울레버(2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된 래치기어(10)는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S)의 구속을 해제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도어는 개방된다.(언락상태)
그러나, 도 3과 같이 락레버(4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릴리즈 레버(30)의 장공형 슬롯(31)에 삽입된 락링크(50)의 락핀(51)이 우측으로 이송되면, 락핀(51)의 선회궤적 상에는 파울레버(20)에 형성된 작용단(22)의 공회전부(22b)가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도 3c와 같이 핸들을 통해 릴리즈 레버(30)를 회전시키더라도, 락핀(51)은 파울레버(20)의 작용단(22)을 간섭하지 아니하고 요입된 공회전부(22b)를 통해 공회전하므로, 파울레버(20)에 의한 래치기어(10)의 구속이 유지되어 결과적으로 도어는 잠김상태를 유지한다.(락 상태)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1)는 상기 락레버(20)의 정역 회전에 의한 장공형 슬롯(31)에 삽입된 락핀(51)의 좌우 위치 변경에 의해, 파 울레버(20)와 릴리즈 레버(30)가 연동하는 언락과 비 연동하는 락이 택일하여 설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락과 언락을 위한 락레버(40)의 정역 회전시, 상기 락레버(40)와 키레버(60)를 연결하고 있는 커넥션 로드(70)의 좌우 이송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1)를 구현함에 있어,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는 락의 설정을 도모하는 락레버(40)와 연결된 커넥션 로드(70)의 좌우 이송이 물리적으로 구속되도록 구성하여,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습관적으로 이루어지는 락노브(미도시)의 조작에 의해 락레버(40)가 회전되어 센트롤락이 무단 설정되는 문제점이 해소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래치기어(10)가 축 설치한 베이스 플레이트(P)와 직교되며 락레버(40)와 키레버(60)를 링크구조로 연결하는 커넥션 로드(70)의 하부에 승강 스토퍼(80)를 마련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호 대향하는 커넥션 로드(70)의 저면과 승강 스토퍼(80)의 상면 사이에는 스프링(81)이 설치되어서, 상기 승강 스토퍼(80)는 래치기어(10)의 비간섭시 스프링(81)의 탄발력에 의해 하강하여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a와 같이 상기 래치기어(1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S)를 구속한 상태 즉, 도어 잠김상태에서는 승강 스토퍼(80)는 하강하여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 상태에서는 락레버(40)와 연결된 커넥션 로 드(70)의 자유로운 좌우 이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차량 내부에서는 락노브를 차량 외부에서는 키레버를 조작하여 락레버(40)를 회전시킴으로써, 락을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b와 같이 상기 래치기어(1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S)의 구속이 해제된 상태 즉, 도어 개방상태에서는 승강 스토퍼(80)는 래치기어(10)에 간섭되어서 상승된 상태를 이루며, 이때 상기 락레버(40)와 키레버(60)를 연결하고 있는 커넥션 로드(70)는 상승된 승강 스토퍼(80)에 의해 물리적으로 구속된다.
이와 같이 락레버(40)와 연결된 커넥션 로드(70)가 승강 스토퍼(80)에 의해 지지되어 물리적으로 구속되면, 락레버(40)의 회전을 통한 락의 설정이 불가능하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1)는, 도 4a와 같이 도어 잠금상태에서는 락레버(40)의 회전을 통한 락과 언락의 전환설정이 가능하나, 도 4b와 같이 도어 개방상태에서는 락레버(40)와 키레버(60)를 연결하고 있는 커넥션 로드(70)가 래치기어(10)의 간섭에 의해 상승된 승강 스토퍼(80)에 의해 지지를 통해 구속되어 락레버(40)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도어의 개방상태에서는 락과 언락의 전환설정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는 도어의 개방된 상태에서 락이 무단으로 전환 설정되는 문제점이 해소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단 시건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단 시건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락레버의 정역회전에 의한 락핀의 위치변경에 따른 락과 언락의 전환 설정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무단 시건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래치기어의 정역회전에 따른 락레버의 구속 또는 비구속 상태를 보여주는 작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10. 래치기어 11. 축
20. 파울레버 21. 축
22. 작용단 22a. 간섭부
22b. 공회전부
30. 릴리즈 레버 31. 장공형 슬롯
40. 락레버 41. 축
42. 설정홈 42a. 공극부
50. 락링크 51. 락핀
52. 축
60. 키레버 70. 커넥션 로드
80. 승강 스토퍼 81. 스프링
90. 케이스 P. 베이스 플레이트

Claims (4)

  1. 베이스 플레이트에, 마운팅홀이 형성된 래치기어와 상기 래치기어를 구속하는 파울레버가 축 설치되고, 상기 파울레버가 설치된 축에는 핸들로부터 제공되는 개방력에 인가받아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릴리즈 레버가 적층하여 설치되는 한편, 상기 래치기어가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직교하는 케이스의 내벽에는 좌우 회전을 통해 상기 파울레버와 릴리즈 레버의 연동 또는 비연동 상태를 설정하는 락레버와, 상기 락레버와 커넥션 로드를 통해 링크구조를 형성하는 키레버가 각각 축 설치되어, 상기 락레버의 정역 회전에 의해 파울레버와 릴리즈 레버가 연동하여 회전하는 언락과 파울레버와 릴리즈 레버가 비연동하는 락이 택일하여 설정되도록 구성된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래치기어가 축 설치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직교되며 락레버와 키레버를 링크구조로 연결하는 커넥션 로드의 하부에는 승강 스토퍼가 마련되어,
    상기 차체에 고정된 스트라이커를 구속하고 있던 래치기어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도어가 개방되면, 하강된 승강 스토퍼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래치기어에 간섭을 통해 상승하여 상부에 형성된 커넥션 로드를 물리적으로 가압하여 구속함으로써, 락레버의 회전을 통한 락의 설정이 불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시건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호 대향하는 커넥션 로드의 저면과 승강 스토퍼의 상면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서, 상기 승강 스토퍼는 래치기어의 비간섭시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하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시건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울레버에는 좌측에 간섭부를 우측에 공회전부를 갖는 작용단이 형성되고, 이와 적층하여 설치되는 릴리즈 레버에는 장공형 슬롯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릴리즈 레버의 장공형 슬롯과 락레버 사이에는 락링크가 배설되며, 상기 릴리즈 레버에 형성된 장공형 슬롯에는 락링크의 일단에 형성된 락핀이 삽입되고 락링크의 타단은 락레버에 편심구조로 축 설치되어서,
    상기 락레버의 정역회전에 따른 릴리즈 레버의 장공형 슬롯에 삽입된 락핀의 위치 변경에 의해 파울레버와 릴리즈 레버가 연동하여 회전되어 파울레버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이 해제되는 언락 상태와, 파울레버와 릴리즈 레버가 비연동하여 파울레버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이 유지되는 락 상태가 택일하여 설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시건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락레버가 설치된 케이스의 외벽에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이 고정돌기와 외접하는 락레버의 가장자리에는 공극부를 갖는 한 쌍의 설정홈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락레버는 공극부를 갖는 설정홈을 통해 고정돌기에 탄력적으로 고정되어, 정역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 시건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1020080137036A 2008-12-30 2008-12-30 무단 시건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100997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036A KR100997887B1 (ko) 2008-12-30 2008-12-30 무단 시건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036A KR100997887B1 (ko) 2008-12-30 2008-12-30 무단 시건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701A KR20100078701A (ko) 2010-07-08
KR100997887B1 true KR100997887B1 (ko) 2010-12-02

Family

ID=42639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7036A KR100997887B1 (ko) 2008-12-30 2008-12-30 무단 시건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88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172B1 (ko) 2007-11-13 2008-11-03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에 구비된 도어록의 록킹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172B1 (ko) 2007-11-13 2008-11-03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에 구비된 도어록의 록킹 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701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79078C (en) Safe with dual locking mechanism
CA2774965C (en) Lockable enclosure
WO2008104089A1 (en) Double lock override mechanism for vehicular passive entry door latch
US20180195315A1 (en) Freewheeling inertia mechanism for closure latch assembly
EP3589809B1 (en) Locking module
KR101806612B1 (ko) 차량용 잠금 방지 도어래치
KR100997887B1 (ko) 무단 시건 방지기능을 갖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US6742818B2 (en) Box lock with safety device
KR100535766B1 (ko) 글로브 박스의 록킹 장치
KR101089821B1 (ko) 도어 래치 어셈블리
US20150203265A1 (en) Rotary cable latch
KR100866172B1 (ko) 차량용 도어에 구비된 도어록의 록킹 방지 장치
KR102670960B1 (ko) 도어락 모티스
KR102552096B1 (ko) 차량용 도어 래치 장치
JP2001006035A (ja) 自動販売機の扉ロック装置
JP6550356B2 (ja) 自動解除ロック機構
WO2003040498A1 (en) Door lock
JP4559603B2 (ja) 自動車のトランクリッドロック装置
JP4453941B2 (ja) 自動2輪車用いたずら及び盗難防止装置
KR100318069B1 (ko) 자동차용 도어 래치의 오작동 방지장치
WO2023227826A1 (en) Swing handle arrangement with a locking function
JP6565820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1198668B1 (ko) 오버라이드 기능을 가지는 자동차용 도어 인사이드 핸들 어셈블리
KR100892498B1 (ko) 자동차의 도어 래치 록 방지구조
CN113700393A (zh) 锁,尤其应急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