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152B1 -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 - Google Patents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152B1
KR100996152B1 KR1020100030397A KR20100030397A KR100996152B1 KR 100996152 B1 KR100996152 B1 KR 100996152B1 KR 1020100030397 A KR1020100030397 A KR 1020100030397A KR 20100030397 A KR20100030397 A KR 20100030397A KR 100996152 B1 KR100996152 B1 KR 100996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chment
frame
hole
extruded
type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드맥스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00030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품간의 끼워맞춤으로 조립 제작이 가능하고, 집수구의 크기를 집수구멍의 크기에 따라 쉽게 증감시킬 수 있으며, 가벼워 설치 취급이 용이한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중앙에 관통된 집수구멍과, 상기 집수구멍의 내벽에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각기 절개부를 갖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집수구 분할판 삽입공과, 상기 집수구멍의 외벽에 상기 집수구 분할판 삽입공을 향하여 형성된 나사구멍이 구비되어 있는 사각통형의 집수구 틀체와; 상기 대향하는 집수구 분할판 삽입공에 각기 삽입되는 원형의 결합부를 양단에 갖는 집수구 분할판; 및 상기 나사구멍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집수구 분할판을 체결 조임력으로 고정하는 고정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Prefabricated catch pit using extruded membe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도로, 교량 등에 설치되는 집수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식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집수구의 크기를 필요에 따라 증감시킬 수 있으며, 가벼워 취급이 용이한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나 교량의 양측에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집수구를 매입 설치하여, 내리는 빗물 등의 노면수가 지면에 고이지 않고 용이하게 하수처리시설로 배출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집수구는 하나의 집수구멍을 갖게 되고, 이 집수구멍을 여러개로 분할시키기 위해 격자형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격자형 집수구멍을 제작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집수구 몸체에 다수개의 격자판을 용접으로 설치하는 공정을 갖는다.
따라서 용접에 의한 집수구의 제작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는 문제를 갖게 된다. 또한 용접 숙련자에 의해서만 집수구의 제작이 가능하다는 단점을 갖게 된다.
또한 종래의 집수구는 집수구멍의 대소 크기에 대응하여 각각 제작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품간의 끼워맞춤으로 조립 제작이 가능하고, 집수구의 크기를 집수구멍의 크기에 따라 쉽게 증감시킬 수 있으며, 가벼워 설치 취급이 용이한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중앙에 관통된 집수구멍과, 상기 집수구멍의 내벽에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각기 절개부를 갖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집수구 분할판 삽입공과, 상기 집수구멍의 외벽에 상기 집수구 분할판 삽입공을 향하여 형성된 나사구멍이 구비되어 있는 사각통형의 집수구 틀체와; 상기 대향하는 집수구 분할판 삽입공에 각기 삽입되는 원형의 결합부를 양단에 갖는 집수구 분할판; 및 상기 나사구멍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집수구 분할판을 체결 조임력으로 고정하는 고정볼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집수구 틀체의 모서리부측 외벽에 각기 연결공 절개부를 갖는 집수구 틀체 연결공이 복수개 이상 형성되고, 서로 이웃한 집수구 틀체를 서로 연결시켜 주기 위해 상기 집수구 틀체 연결공에 삽입되는 제1 또는 제2집수구 틀체 연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집수구 틀체 연결구는 양단에 원형 결합부를 갖는 8자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집수구 틀체 연결구는 링부와, 상기 링부의 둘레에 90도 간격마다 형성된 원형 결합부를 형성하여 4개의 집수구 틀체를 중앙에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집수구 틀체 연결구의 링부에 볼트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 삽입공에 도난방지용 볼트가 삽입되고, 상기 도난방지용 볼트에 원형고리가 나사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집수구 틀체, 집수구 분할판 및 제1,2집수구 틀체 연결구는 모두 알루미늄으로 압출 제작된 길이재를 절단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에 의하면, 집수구 틀체를 제1 및 제2집수구 틀체 연결구를 사용하여 여러개로 조립시킬 수 있는 구조이므로 집수구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집수구멍의 크기를 분할하는 분할판을 끼워맞춤되는 조립식으로 설치되므로 종래와 같이 용접작업이 없어져 제작 공정이 간단해진다.
또한 집수구 틀체, 분할판 및 제1,제2집수구 틀체 연결구가 모두 알루미늄으로 압출되어 절단 제작된 것이므로, 조립 생산성이 대폭 향상되고, 가벼워 취급이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집수구 틀체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집수구 틀체 연결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집수구 틀체 연결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를 2개 사용하여 설치된 평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를 4개 사용하여 설치된 평면 구성도.
도 7은 도 6의 A-A선에서 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의 적용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의 다른 적용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10)는 집수구 틀체(20), 집수구 분할판(30)을 포함한다.
집수구 틀체(20)는 일정 높이를 갖는 사각통형의 구조로서 중앙에 관통된 집수구멍(21)과, 집수구멍(21)의 내벽에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각기 절개부(23)를 갖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집수구 분할판 삽입공(22)과, 집수구멍(21)의 외벽에 상기 집수구 분할판 삽입공(22)을 향하여 형성된 나사구멍(24)이 구비되어 있다. 이때 집수구 틀체(20)는 알루미늄으로 압출 제작된 것을 길이방향으로 절단하여 제작된 것이 될 수 있다.
집수구 분할판(30)은 집수구멍(21)을 여러개의 작은 크기로 분할하기 위한 것이다. 집수구 분할판(30)은 집수구 틀체(20)의 대향하는 집수구 분할판 삽입공(22)에 각기 삽입되도록 양단에 원형의 결합부(31)를 가지고 있다.
이때 집수구 분할판(30)은 집수구 틀체(20)의 나사구멍(24)에 나사 체결된 고정볼트(40)의 체결 조임력으로 고정 설치된다.
한편,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10)는 도 5와 같이 집수구 틀체(20)를 2개로 구성하거나 도 6과 같이 4개로 구성할 수 있도록 도 3의 제1집수구 틀체 연결구(50) 또는 도 4의 제2집수구 틀체 연결구(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1집수구 틀체 연결구(50)와 제2집수구 틀체 연결구(60)의 길이는 집수구 틀체(20)의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집수구 틀체 연결구(50,60)를 사용하기 위해 도 2와 같이 집수구 틀체(20)의 모서리부측 외벽에 각기 연결공 절개부(26)를 갖는 집수구 틀체 연결공(25)이 복수개 이상 형성되고, 이웃한 집수구 틀체 연결공(25,25)에 제1집수구 틀체 연결구(50) 또는 제2집수구 틀체 연결구(60)가 끼움되어 결합되게 구성된다.
여기서 제1집수구 틀체 연결구(50)는 도 3과 같이 양단에 원형 결합부(51,51)를 갖는 8자형 단면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제2집수구 틀체 연결구(60)는 도 과 같이 링부(61)와, 상기 링부(61)의 둘레에 90도 간격마다 형성된 원형 결합부(6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집수구 틀체 연결구(60)는 도 7과 같이 그의 링부(61)에 볼트 삽입공(61a)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 삽입공(61a)에 도난방지용 볼트(70)가 삽입되고, 상기 도난방지용 볼트(70)에 원형고리(80)가 나사 체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집수구 분할판(30) 및 집수구 틀체 연결구(50,60)는 모두 알루미늄으로 압출 제작된 길이재를 절단하여 제작된 것이 될 수 있다.
미설명 부호 '100'은 '집수관'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10)는 도 2와 같이 하나의 집수구 틀체(20)를 사용할 경우 분할판 삽입공(22)에 분할판(30)의 양단 결합부(31)가 끼워 넣어진 후 고정볼트(40)로 고정하여 간단하게 조립 제작이 이루어진다. 즉, 용접이 필요없이 분할판(30)의 끼움결합 후 볼트 고정으로 간단하고 용이하게 제작된다.
한편, 도 5와 같이 2개의 집수구 틀체(20)를 사용할 경우 제1집수구 틀체 연결구(50)를 이웃한 집수구 틀체 연결공(25,25)에 끼워넣은 후 고정볼트(40)로 고정하여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10)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집수구 틀체 연결공(25,25)에는 제1집수구 틀체 연결구(50)의 양쪽 원형 결합부(31)가 삽입된다.
다른 한편, 도 6과 같이 4개의 집수구 틀체(20)를 사용할 경우 제1집수구 틀체 연결구(50)와 제2집수구 틀체 연결구(60)를 조립시켜서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10)를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제2집수구 틀체 연결구(60)는 원형 결합부(62)가 4개의 집수구 틀체(20)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된 집수구 틀체 연결공(25)에 끼워져 고정볼트(42)로 고정된다. 따라서 제2집수구 틀체 연결구(60)는 4개의 집수구 틀체(20)의 정중앙에 조립된다. 이후 추가적으로 제2집수구 틀체 연결구(60)에 도난방지용 볼트(70)를 삽입하고 그 끝단에 원형 고리(80)를 나사 체결한 후 원형 고리(80)에 체인(90)을 걸어 고정구조물에 고정시킴으로써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10)는 집수구 틀체(20), 분할판(30), 고정볼트(40)를 통해 기본적인 집수구를 간단하게 조립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집수구의 크기에 따라 제1집수구 틀체 연결구(50)를 이용하여 일방향으로 2개 이상의 집수구 틀체(20)를 배열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제2집수구 틀체 연결구(60)를 함께 사용한다면 집수구 틀체(20)를 횡과 열로 연속 배열시켜 집수구의 크기를 더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10)는 알루미늄으로 제작될 경우 가벼워 취급 설치가 용이한 이점을 갖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10)는 도 8 및 도 9와 같이 도로변을 따라 길게 구비되어 있는 집수구 통로에 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8(가)는 집수구 통로의 상면에서 본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8(나)는 도 8(가)의 횡단면을 나타낸다. 따라서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10)는 도 8과 같이 분할판(30)이 집수구 통로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구조로 집수구 틀체(20)가 연속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설치되거나, 도 9와 같이 분할판(30)이 집수구 통로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집수구 틀체(20)가 연속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다.
20: 집수구 틀체
21: 집수구멍
22: 분할판 삽입공
23: 절개부
25: 집수구 틀체 연결공
30: 분할판
31: 원형 결합부
40: 고정볼트
50: 제1집수구 틀체 연결구
51: 원형 결합부
60: 제2집수구 틀체 연결구
62: 원형 결합부

Claims (6)

  1. 중앙에 관통된 집수구멍(21)과, 상기 집수구멍(21)의 내벽에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각기 절개부(23)를 갖는 적어도 한쌍 이상의 집수구 분할판 삽입공(22)과, 상기 집수구멍(21)의 외벽에 상기 집수구 분할판 삽입공(22)을 향하여 형성된 나사구멍(24)이 구비되어 있는 사각통형의 집수구 틀체(20)와;
    상기 대향하는 집수구 분할판 삽입공(22)에 각기 삽입되는 원형의 결합부(31)를 양단에 갖는 집수구 분할판(30); 및
    상기 나사구멍(24)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집수구 분할판(30)을 체결 조임력으로 고정하는 고정볼트(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 틀체(20)의 모서리부측 외벽에 각기 연결공 절개부(26)를 갖는 집수구 틀체 연결공(25)이 복수개 이상 형성되고, 서로 이웃한 집수구 틀체(20,20)를 서로 연결시켜 주기 위해 상기 집수구 틀체 연결공(25)에 삽입되는 제1 또는 제2집수구 틀체 연결구(50 또는 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집수구 틀체 연결구(50)는 양단에 원형 결합부(51,51)를 갖는 8자형 단면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집수구 틀체 연결구(60)는 링부(61)와, 상기 링부(61)의 둘레에 90도 간격마다 형성된 원형 결합부(62)를 형성하여 4개의 집수구 틀체(20)를 중앙에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집수구 틀체 연결구(60)의 링부(61)에 볼트 삽입공(61a)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 삽입공(61a)에 도난방지용 볼트(70)가 삽입되고, 상기 도난방지용 볼트(70)에 원형고리(80)가 나사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구 틀체(20), 집수구 분할판(30) 및 제1,2집수구 틀체 연결구(50,60)는 모두 알루미늄으로 압출 제작된 길이재를 절단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
KR1020100030397A 2010-04-02 2010-04-02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 KR100996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397A KR100996152B1 (ko) 2010-04-02 2010-04-02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397A KR100996152B1 (ko) 2010-04-02 2010-04-02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6152B1 true KR100996152B1 (ko) 2010-11-23

Family

ID=43410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397A KR100996152B1 (ko) 2010-04-02 2010-04-02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1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3769A (zh) * 2019-08-08 2019-11-15 陈天华 可快速拼接的无边框雨水篦安装套件
CN112359874A (zh) * 2020-11-18 2021-02-12 中建八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地下室集水坑结构的施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53769A (zh) * 2019-08-08 2019-11-15 陈天华 可快速拼接的无边框雨水篦安装套件
CN112359874A (zh) * 2020-11-18 2021-02-12 中建八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地下室集水坑结构的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8425B1 (en) Tubular beam for the construction of temporary structures
WO2008156934A3 (en) Concrete form system for low-clearance applications
KR101464304B1 (ko) 교량 점검로
US6679012B1 (en) Earthquake energy eliminator
KR101658065B1 (ko) 배수 능력이 향상되는 교량용 선배수 장치
AU2012313343B2 (en) Anchor assembly
KR101329635B1 (ko) 고강도 스틸 그레이팅
KR100996152B1 (ko) 압출재 절단형 조립식 집수구
CA2936011A1 (en) Glass fence support system
WO2016183184A1 (en) Cell for stormwater management system
AU2015203840A1 (en) Barrier connection system and connector for use therein
RU2514283C2 (ru) Ограждение
DK179266B1 (en) A connector element for use in a flashing assembly for roof windows mounted side-by-side and a connector set including such a connector element
KR20080004691U (ko) 유형 측구 제조용 거푸집
US4183185A (en) Prefabricated modular building
KR20130096803A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RU2454513C2 (ru) Набор конструкционных деталей, содержащий множество панельных элементов
KR20090013986A (ko) 가드레일 주변 식물 성장 억제 및 동물 침입 방지용덮개구조
US9157210B2 (en) Architectural wall drain assembly
KR101437672B1 (ko) 조립식 피시빔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04084379A (ja) パイプフェンス
KR200281572Y1 (ko) 스테인레스 스틸 그레이팅
RU2733135C1 (ru) Открытый канал с дренажной системой для отвода жидкости
RU2092666C1 (ru) Опалубочный щит
KR200292337Y1 (ko) 콘크리트 구멍을 구성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