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910B1 - 팬터그래프 승하강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팬터그래프 승하강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910B1
KR100995910B1 KR1020080045541A KR20080045541A KR100995910B1 KR 100995910 B1 KR100995910 B1 KR 100995910B1 KR 1020080045541 A KR1020080045541 A KR 1020080045541A KR 20080045541 A KR20080045541 A KR 20080045541A KR 100995910 B1 KR100995910 B1 KR 100995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vidual
control
pantograph
pantographs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5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6071A (ko
Inventor
윤용열
민경철
박춘우
정용근
한은경
Original Assignee
(주)이머젼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머젼윤 filed Critical (주)이머젼윤
Publication of KR20090036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6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1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using bow-type collectors in contact with trolley wire
    • B60L5/22Supporting means for the contact bow
    • B60L5/28Devices for lifting and resetting the coll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18Current collectors for power supply lin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using bow-type collectors in contact with trolley wire
    • B60L5/22Supporting means for the contact bow
    • B60L5/24Pantograp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urrent-Collector Devices For Electrically Propell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팬터그래프 승하강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에 구비되는 복수의 팬터그래프들의 상승 또는 하강을 제어하는 팬터그래프 승하강 제어장치는, 상기 전동차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차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팬터그래프들 모두의 상승 및 하강을 제어하기 위한 총괄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총괄제어 스위치와, 상기 총괄 제어스위치와는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팬터그래프들 각각의 하강 또는 상승을 일정단위로 하여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개별제어신호들을 각각 발생하는 복수의 개별제어스위치들을 구비하는 승하강 제어부와; 상기 전동차를 구성하는 복수의 구동차들에 각각 개별적으로 적어도 하나씩 구비되며, 상기 승하강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상기 총괄제어신호 또는 개별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구동차들 각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팬터그래프들의 총괄 상승/하강 또는 개별 하강/상승을 각각 수행하는 복수의 개별 구동부들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팬터그래프 이상발생시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이상이 발생된 팬터그래프의 확인 및 조치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팬터그래프의 고장으로 인한 전동차의 운행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전동차, 팬터그래프, 상승, 하강, 제어

Description

팬터그래프 승하강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pantograph}
본 발명은 전동차의 팬터그래프 승하강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동차의 복수의 팬터그래프들을 운전실에서 총괄적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팬터그래프 승하강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차는 팬터그래프(pantograph)를 통하여 전차선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차량으로, 견인 및 승차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동력을 분산설치하는 방식으로 운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실이 구비되어 있는 제어차(TC)가 앞쪽과 뒤쪽에 각각 배치되고, 추진장치가 장착된 구동차(M1,M2)와 추진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부수차(T,T1)를 혼합하여 양쪽 제어차들(TC) 사이에 배치하여 운행된다.
상기 제어차(TC)는 동력장치는 없고, 운전실을 구비하여 전동차를 제어하는 차량을 말하고, 상기 구동차(M1,M2) 중 제1구동차(M1)는 동력장치를 구비하며, 제2구동차(M2)는 동력장치와 집전장치를 구비한 차량이다. 또한, 부수차(T)는 부수차량이며, 부수차(T1)은 보조전원장치를 가진 차량을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동차에서 팬터그래프(pantograph)(20)는 동력차의 지붕에 적어도 1개 이상(일반적으로 2개)이 설치되어 전차선(전력공급선)(10)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장치이다. 상기 팬터그래프(20)는 대략 마름모형상의 링크부재로 이루어지며, 공기압 및 탄성력 등을 이용하여 상승 및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팬터그래프(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를 공급받는 습판체(1), 상기 습판체(1)를 지지하는 상부프레임(2) 및 하부프레임(3), 상기 습판체(1)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주베어링(4) 및 실린더(5), 및 팬터그래프를 전동차의 지붕에 고정시키기 위한 기본프레임(6)을 구비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팬터그래프에는 상승된 상태에서 전력공급선에 접촉된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탄성력을 부여하는 스프링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팬터그래프(20)는 제어차(TC) 내의 운전자가 총괄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제어차 내에 팬터그래프 총괄 상승스위치 및 총괄하강스위치 만을 구비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제어차 내의 운전자가 상기 총괄 상승스위치를 작동하게 되면, 모든 구동차(M2)들에 구비된 모든 팬터그래프들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총괄하강스위치를 작동하게 되면, 모든 구동차(M2)의 모든 팬터그래프들이 하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종래의 전동차에 있어서는 모든 팬터그래프에 대하여 하나의 스위치(총괄 상승스위치 또는 총괄하강 스위치)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일부의 팬터그래프에 이상 발생시 대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즉 이상이 발생된 팬터그래프를 찾기 위해서는 승무원이 직접 팬터그래프가 장착된 구동차(M2)로 이동하여 팬터그래프 회로차단기(PanVN)를 차단하여 부동처리를 한 후, 제어차(TC)의 운전실로 돌아와 상기 총괄상승 스위치 또는 총괄하강스위치를 작동하여 이상여부를 확인하는 절차를 순차적 및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특히 승객이 많거나 전동차가 지하구간에 정차한 경우에는 조치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팬터그래프 승하강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팬터그래프의 이상발생시 이상이 발생된 팬터그래프를 효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팬터그래프 승하강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팬터그래프의 고장으로 인한 전동차의 운행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는 팬터그래프 승하강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팬터그래프의 승하강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팬터그래프 승하강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들의 일부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화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전동차에 구비되는 복수의 팬터그래프들의 상승 또는 하강을 제어하는 팬터그래프 승하강 제어장치는, 상기 전동차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차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팬터그래프들 모두의 상승 및 하강을 제어하기 위한 총괄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총괄제어 스위치와, 상기 총괄 제어스위치와는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팬터그래프들 각각의 하강 또는 상승을 일정단위로 하여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개별제어신호들을 각각 발생하는 복수의 개별제어스위치들을 구비하는 승하강 제어부와; 상기 전동차를 구성하는 복수의 구동차들에 각각 개별적으로 적어도 하나씩 구비되며, 상기 승하강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상기 총괄제어신호 또는 개별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구동차들 각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팬터그래프들의 총괄 상승/하강 또는 개별 하강/상승을 각각 수행하는 복수의 개별 구동부들을 구비한다.
상기 총괄 제어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팬터그래프들 모두의 상승을 제어하기 위한 총괄상승 제어스위치 및 상기 복수의 팬터그래프들 모두의 하강을 제어하기 위한 총괄하강 제어스위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별제어스위치들은 상기 복수의 팬터그래프들 각각의 하강을 구동차 단위로 제어하기 위한 개별 하강제어스위치들이거나, 상기 복수의 팬터그래프들 각각의 상승을 구동차 단위로 제어하기 위한 개별 상승 제어스위치들일 수 있다.
상기 팬터그래프 승하강 제어장치는, 상기 승하강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개별 구동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승하강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상기 총괄제어신호를 상기 복수의 개별 구동부들에 전달하기 위한 총괄신호배선 및 상기 개별제어신호들 각각을 상기 복수의 개별구동부들 각각에 전달하기 위한 개별신호배선 들을 구비하되, 상기 총괄 신호배선은 상기 승하강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개별 구동부들 모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개별신호배선들 각각은 상기 승하강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개별구동부들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별 구동부들 각각은, 상기 승하강 제어부에 연결된 상기 개별신호배선들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선택연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팬터그래프 이상발생시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이상이 발생된 팬터그래프의 확인 및 조치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팬터그래프의 고장으로 인한 전동차의 운행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할 의도 외에는 다른 의도 없이,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승하강 제어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승하강 제어장치(100)는, 승하강 제어부(110), 및 복수(제1 내지 제n ; n은 자연수)의 개별구동부들(120,130,140)을 구비한다.
상기 승하강 제어부(110)는, 상기 전동차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차(TC)의 내부 운전실에 구비된다. 상기 승하강 제어부(110)는 총괄제어스위치 및 복수의 개별제어스위치들을 구비한다.
상기 총괄제어스위치는 상기 전동차의 구동차들(M2)에 구비된 복수의 팬터그래프들 모두의 상승 및 하강을 제어하기 위한 총괄제어신호를 발생하도록 동작된다. 상기 총괄 제어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팬터그래프들 모두의 상승을 제어하기 위한 총괄상승 제어스위치 및 상기 복수의 팬터그래프들 모두의 하강을 제어하기 위한 총괄하강 제어스위치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개별제어스위치들은 상기 총괄 제어스위치와는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팬터그래프들 각각의 하강 또는 상승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개별제어신호들을 각각 발생하도록 동작된다. 즉 상기 개별 제어스위치들은 구동차(M2)를 기준으로 각각의 팬터그래프들을 개별적으로 승하강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종래의 팬터그래프의 고장시에 고장이 발생한 팬터그래프를 파악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복수의 개별제어스위치들은 상기 복수의 팬터그래프들 각각의 하강을 제어하기 위한 개별 하강제어스위치들이거나, 상기 복수의 팬터그래프들 각각의 상승을 제어하기 위한 개별 상승 제어스위치들일 수 있다. 물론 상기 개별하강 제어스위치들 및 개별상승제어스위치들 모두를 구비할 수도 있으나, 비용절감이나 효율 성 측면에서 이들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일 것이다.
즉 총괄 상승제어스위치 및 총괄 하강 제어스위치가 구비되기 이미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이상 발생시 총괄 상승 후 개별 하강을 시도하거나, 총괄 하강 후 개별 상승을 시도하는 방식으로 고장난 팬터그래프 또는 고장난 팬터그래프를 구비한 구동차(M2)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개별제어스위치가 개별 하강스위치인 경우, 개별하강제어신호가 발생되며, 상기 개별제어스위치가 개별상승스위치인 경우 개별상승제어신호가 발생된다.
여기서 상기 개별제어 스위치들 중 어느 하나의 개별제어스위치는 하나의 구동차(M2)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팬터그래프의 하강 또는 상승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개별제어스위치는 구동차(M2) 단위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구동차(M2)에 2개의 팬터그래프가 구비되고, 이들 구동차(M2)가 3 개 인 경우, 상기 개별제어스위치는 3개일 수 있다. 상기 개별제어스위치가 팬트그래프들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팬터그래프들의 개수만큼 구비될 수도 있으나, 구동차(M2)를 기준으로 하여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이다.
상기 복수의 개별 구동부들(120,130,140)은 상기 전동차를 구성하는 복수의 구동차들(M2)에 각각 개별적으로 적어도 하나씩 구비되며, 상기 승하강 제어부(110)에서 발생되는 상기 총괄제어신호 또는 개별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구동차들(M2) 각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팬터그래프들의 총괄 상승/하강 또는 개별 하강/상승을 각각 수행한다. 하나의 개별구동부(예를들면, 제1개별구동부(120))를 기준으로 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상기 개별 제어스위 치는 개별 상승 제어스위치인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제1개별구동부(120)는 상기 승하강 제어부(110)에서 총괄제어신호(총괄상승제어신호 또는 총괄하강제어신호)가 전달되면,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제1개별구동부(120)가 위치된 구동차(M2)의 적어도 하나의 팬터그래프를 구동하게 된다. 상기 총괄 상승제어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터그래프를 상승시키게 되고, 상기 총괄하강제어신호가 전달되면,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팬터그래프를 하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개별구동부(120)는 상기 승하강 제어부(110)에서 상기 제1개별구동부(1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팬터그래프를 개별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개별상승제어스위치가 동작하여 개별상승제어신호가 전달되면, 이에 응답하여 상기 제1개별구동부(12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팬터그래프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들 동작은 제2 내지 제 n 개별구동부(130,14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팬터그래프 승하강 제어장치는, 추가적으로, 상기 승하강 제어부(110)와 상기 복수의 개별 구동부들(120,130,14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승하강 제어부(110)에서 발생되는 상기 총괄제어신호를 상기 복수의 개별 구동부들(120,130,140)에 전달하기 위한 총괄신호배선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개별제어신호들 각각을 상기 복수의 개별구동부들(120,130,140) 각각에 전달하기 위한 개별신호배선들을 구비한다.
상기 총괄신호배선은 상기 승하강 제어부(110)와 상기 복수의 개별 구동부들(120,130,140) 모두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또한 상기 개별신호배선들 각각은 상기 승하강 제어부(110)와 상기 복수의 개별구동부들(120,130,140)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개별신호배선들은 상기 복수의 개별구동부들(120,130,140) 각각에 구비된 선택연결부를 통해 상기 승하강 제어부(110)와 상기 복수의 개별 구동부들(120,130,140)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구동차(M2)는 그 위치가 가변적이다. 즉 구동차(M2)는 10량 편성의 경우 전동차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3번째, 5번째, 9번째에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어느 하나의 구동차(M2)는 3번째, 또는 5번째, 또는 9번째에 위치될 수 있어 그 위치가 가변적이다. 따라서, 그 위치가 가변되더라고, 상기 제어차에 구비된 승하강 제어부(110)와 개별구동부들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이는 상기 선택연결부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이는 도 4에서 다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구현회로도이다.
도 4에는 개별제어스위치가 개별상승스위치인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개별제어스위치가 개별하강스위치인 경우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도 4의 간단한 변경을 통해 구현가능함은 명백하다. 따라서 개별 하강스위치가 구비되는 경우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 4는 팬터그래프가 장착된 구동차(M2)가 3개인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차(TC)의 승하강제어부(110) 내에 총괄상승제어스위치(PanUS)(111), 총괄하강 제어스위치(PanDS)(115), 및 개별상승제어스위치들(EPanUS1,EPanUS2,EPanUS3)(112,113,114)을 구비한다. 상기 개별상승제어스위치 들(112,113,114)은 팬터그래프가 장착된 구동차(M2)의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구비될 수 있다. 이외에소 상기 승하강 제어부(110)는 브레이크 스위치, 비상스위치, 선두제어릴레이(HCR;Head Control Relay), 후미제어릴레이(TCR;Tail Control Relay) 등이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구동차(M-a) 내의 제1개별구동부(120)는 상기 팬터그래프의 구동을 위한 구동회로들이 구비된다. 예를 들면, 회로차단기(PanVN)(121), 팬터그래프 제어계전기(PanR)(122), 팬터그래프 전자 밸브(PanV)(123)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선택연결부(126)가 구비된다. 기타 회로의 안정을 위한(신호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다이오드(Dd100,Dd101,Dd102)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외에 도시되지 않거나 설명되지 않은 회로들은 종래와 동일하거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상술한 동작을 위해 용이하게 구현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주회로차단기(MCB;Main Circuit Braker)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팬터그래프 제어계전기(122)는 상승코일(124) 및 하강코일(125)을 별도로 구비하는 키프 릴레이(Keep Relay)로써 한번 전환되면 전원을 제거하여도 그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2개별구동부(130), 및 제3 개별구동부(140)의 경우에도 상기 제1개별구동부(12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다만 구분을 위하여 도면부호를 달리하여 표시하였다. 즉 상기 제2구동차(M-b) 내의 제2개별구동부(130)는 상기 팬터그래프의 구동을 위한 구동회로들이 구비된다. 예를 들면, 회로차단기(PanVN)(131), 팬터그래프 제어계전기(PanR)(132), 팬터그래프 전자 밸브(PanV)(133), 선택연결부(136)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3구동차(M-c) 내의 제3 개별구동부(140)는 상기 팬터그래프 의 구동을 위한 구동회로들이 구비된다. 예를 들면, 회로차단기(PanVN)(141), 팬터그래프 제어계전기(PanR)(142), 팬터그래프 전자 밸브(PanV)(143), 선택연결부(136)가 구비된다.
상기 승하강 제어부(110)의 총괄상승제어스위치(111)은 총괄신호배선을 통해 제1개별구동부(120), 제2개별구동부(130), 제3개별구동부(140)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선구조로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 제어부(110)의 총괄하강제어스위치(115)은 총괄신호배선을 통해 제1개별구동부(120), 제2개별구동부(130), 제3개별구동부(140)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선구조로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승하강제어부(110)의 제1개별상승제어스위치(112)는 개별신호배선(a)를 통해 상기 제1개별구동부(120)의 선택연결부(126)의 스위칭을 통해 상기 제1개별구동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제2개별상승제어스위치(113)는 개별신호배선(b)를 통해 상기 제2개별구동부(130)의 선택연결부(136)의 스위칭을 통해 상기 제2개별구동부(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또한, 제3개별상승제어스위치(114)는 개별신호배선(c)를 통해 상기 제3개별구동부(140)의 선택연결부(146)의 스위칭을 통해 상기 제3개별구동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개별구동부(120), 제2개별구동부(130), 및 제3개별구동부(140)는 구동차의 위치 변화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차의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이에 대응하여 각각의 선택연결부(126,136,146)를 통해 상기 개별상승스위치들(112,113,114)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총괄상승의 경우에는 상기 제어차(TC)의 총괄상승제어스위치(111)을 운전자가 동작시키게 되면, 총괄상승제어신호가 발생되어 다이오드(Dd100)을 거쳐, 팬터그래프 제어계전기(122,132,142)의 상승코일(124,134,144) 모두를 여자시킨다. 상기 상승코일(124,134,144)이 여자되면, 팬터그래프 제어계전기(122,132,142)가 폐로되고 전자밸브(123,133,143)가 여자되어 압력공기를 각각의 팬터그래프의 작용실린더에 공급하여 공기압력으로 팬터그래프를 상승시키게 된다. 즉 전동차에 구비되어 있는 모든 팬터그래프들을 상승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총괄하강의 경우에는, 총괄하강 제어스위치(115)를 동작시키게 되면, 총괄하강제어신호가 발생되어 각 개별 구동부들(120,130,140)에 전달되게 된다. 상기 총괄하강제어신호는 다이오드(Dd102)를 거쳐 팬터그래프 제어계전기(122,132,142)의 하강코일(125,135,145) 모두를 여자시킨다. 상기 하강코일(125,135,145)이 여자되면, 팬터그래프 제어계전기(122,132,142)가 개로되고 전자밸브(123,133,143)가 소자되어 각각의 팬터그래프의 작용실린더 안에 있던 압력공기가 토출되고 하강 스프링에 의해 팬터그래프가 하강하게 된다. 즉 전동차에 구비되어 있는 모든 팬터그래프들을 하강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개별상승 제어는 개별 상승제어스위치들(112,113,114)을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차(TC)의 개별 상승제어스위치들(112,113,114) 중 어느 하나(예를 들면, 112)를 운전자가 동작시키게 되면, 제1개별구동부(120)의 팬터그래프를 상승시키기 위한 개별상승제어신호가 발생된다.
상기 개별상승제어신호는 선택연결부(126) 및 다이오드(Dd101)을 거쳐 팬터그래프 제어계전기(122)의 상승코일(124)을 여자시킨다. 상기 상승코일(124)이 여자되면, 팬터그래프 제어계전기(122)가 폐로되고 전자밸브(123)가 여자되어 압력공기를 각각의 팬터그래프의 작용실린더에 공급하여 공기압력으로 팬터그래프를 상승시키게 된다. 즉 개별적으로 어느 하나의 구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팬터그래프들 만을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팬터그래프 이상발생시, 승무원이 운전실에서 각각의 구동차로 이동하는 등의 반복적, 순차적 조치 없이 운전실에서의 단순조작만으로 이상이 발생된 팬터그래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팬터그래프 이상발생이 개별상승 또는 개별하강을 통해 이상이 없는 팬터그래프 만을 상승투입하여 비상운전으로 가까운 역이나 정비소까지 이동할 수 있는 등의 효율적인 조치가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설명은 본 발명의 더욱 철저한 이해를 위하여 도면을 참조로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본적 원리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동차의 편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장착되는 팬터그래프의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승하강 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구현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C : 제어차, M2 : 구동차
110 : 승하강 제어부 120,130,140 : 개별 구동부들

Claims (5)

  1. 전동차에 구비되는 복수의 팬터그래프들의 상승 또는 하강을 제어하는 팬터그래프 승하강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차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차에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팬터그래프들 모두의 상승 및 하강을 제어하기 위한 총괄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총괄제어 스위치와, 상기 총괄 제어스위치와는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팬터그래프들 각각의 하강 또는 상승을 일정단위로 하여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개별제어신호들을 각각 발생하는 복수의 개별제어스위치들을 구비하는 승하강 제어부와;
    상기 전동차를 구성하는 복수의 구동차들에 각각 개별적으로 적어도 하나씩 구비되며, 상기 승하강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상기 총괄제어신호 또는 개별제어신호들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구동차들 각각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팬터그래프들의 총괄 상승/하강 또는 개별 하강/상승을 각각 수행하는 복수의 개별 구동부들을 구비하되,
    상기 총괄 제어스위치는 상기 복수의 팬터그래프들 모두의 상승을 제어하기 위한 총괄상승 제어스위치 및 상기 복수의 팬터그래프들 모두의 하강을 제어하기 위한 총괄하강 제어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개별제어스위치들은 상기 복수의 팬터그래프들 각각의 하강을 구동차 단위로 제어하기 위한 개별 하강제어스위치들이거나, 상기 복수의 팬터그래프들 각각의 상승을 구동차 단위로 제어하기 위한 개별 상승 제어스위치들이며,
    상기 복수의 개별 구동부들 각각은, 상기 승하강 제어부에서 발생된 상기 개별제어신호들 중 어느 하나의 개별제어신호가 전달되는 개별신호배선과 상기 복수의 개별 구동부들 중 어느 하나의 개별구동부를 선택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스위칭을 수행하는 선택연결부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 승하강 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팬터그래프 승하강 제어장치는, 상기 승하강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개별 구동부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승하강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상기 총괄제어신호를 상기 복수의 개별 구동부들에 전달하기 위한 총괄신호배선 및 상기 개별제어신호들 각각을 상기 복수의 개별구동부들 각각에 전달하기 위한 개별신호배선들을 구비하되, 상기 총괄 신호배선은 상기 승하강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개별 구동부들 모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개별신호배선들 각각은 상기 승하강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개별구동부들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팬터그래프 승하강 제어장치.
  5. 삭제
KR1020080045541A 2007-10-08 2008-05-16 팬터그래프 승하강 제어장치 KR1009959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00767 2007-10-08
KR1020070100767 2007-10-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071A KR20090036071A (ko) 2009-04-13
KR100995910B1 true KR100995910B1 (ko) 2010-11-22

Family

ID=40761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5541A KR100995910B1 (ko) 2007-10-08 2008-05-16 팬터그래프 승하강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9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624B1 (ko) * 2014-02-14 2015-07-30 현대로템 주식회사 중련편성 고속차량의 판토그래프 제어회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94378B (zh) * 2018-08-21 2020-02-21 中车南京浦镇车辆有限公司 一种无人驾驶地铁列车的受电弓远程控制电路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6886A (ja) 2002-08-30 2004-03-25 Toshiba Corp 電気車の集電制御装置
KR100679723B1 (ko) * 2005-03-04 2007-02-06 문원기 전동차용 팬터그래프 승강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6886A (ja) 2002-08-30 2004-03-25 Toshiba Corp 電気車の集電制御装置
KR100679723B1 (ko) * 2005-03-04 2007-02-06 문원기 전동차용 팬터그래프 승강제어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0624B1 (ko) * 2014-02-14 2015-07-30 현대로템 주식회사 중련편성 고속차량의 판토그래프 제어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6071A (ko) 2009-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35432B (zh) 受电弓升弓控制系统及方法
US20140338558A1 (en) Rail vehicle system
CN104271388B (zh) 电动的轨道车辆和用于其运行的方法
CN109808503B (zh) 一种高压系统控制方法、系统和列车
CN102596670A (zh) 轨道车辆的紧急制动装置
JP5937728B1 (ja) 電車用パンタグラフ自動降下システム
CN109501597B (zh) 一种自动升降受电弓的控制方法
CN103648826A (zh) 列车信息管理装置以及列车信息管理方法
CN107187318B (zh) Crh5型动车组中压供电控制方法
KR100679723B1 (ko) 전동차용 팬터그래프 승강제어시스템
KR100995910B1 (ko) 팬터그래프 승하강 제어장치
CN102666350B (zh) 电梯门控制器系统
WO2021184483A1 (zh) 落车制动控制装置及磁悬浮列车
CN114454723B (zh) 一种受电弓的控制系统和方法、机车
CN102089176A (zh) 集电弓装置
KR101512083B1 (ko) 고속열차 승강문 제어시스템 및 방법
CN207345549U (zh) 轨道车辆
CN115793607A (zh) 一种动车组控制系统
CN112829594B (zh) 单弓故障时列车的供电控制方法、系统、控制器及列车
CN101020426A (zh) 电机车接触线自动停送电装置
CN110853444B (zh) 一种城铁客车高压供电控制智能调试培训系统及方法
CN101318478B (zh) 自动分区开关
KR100829063B1 (ko) 다중 보조전원장치를 갖는 3량편성 디젤동차 차량의 연장급전 제어방법
CN109302167A (zh) 包括开关装置的电子电路
KR101261844B1 (ko) 고속철도 팬터그래프용 능동형 높이 상승 제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