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491B1 - 덧댐부를 가지는 신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 Google Patents

덧댐부를 가지는 신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491B1
KR100995491B1 KR20090038941A KR20090038941A KR100995491B1 KR 100995491 B1 KR100995491 B1 KR 100995491B1 KR 20090038941 A KR20090038941 A KR 20090038941A KR 20090038941 A KR20090038941 A KR 20090038941A KR 100995491 B1 KR100995491 B1 KR 1009954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t
heel
metatarsal
sole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038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9986A (ko
Inventor
박인식
Original Assignee
박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식 filed Critical 박인식
Priority to KR20090038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491B1/ko
Priority to PCT/KR2010/002805 priority patent/WO2010128785A2/ko
Priority to CN201080019839XA priority patent/CN102448341A/zh
Publication of KR20100119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9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4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midfoot, i.e. the second, third or fourth metatars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2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i.e. the joint between the first metatarsal and first phalang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1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 A43B7/143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under the foot situated under the joint between the fifth phalange and the fifth metatarsal bon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8Recesses or holes filled with supports or pad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40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 A43B7/1475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pads or holes on one or more locations, or having an anatomical or curved form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upport
    • A43B7/149Pads, e.g. protruding on the foot-fac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30Protecting the ball-joint against pressure while stan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발의 중족골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타 부분에 비해 얇게 형성한 본체와, 이 중족골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본체와 별개의 덧댐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이 개시된다. 이때, 덧댐부는 중족골부보다 더 후방인 중족부 영역까지 연장 설치되고, 발의 길이축으로 절단한 상태에서 볼 때 상기 덧댐부의 후방부가 전방부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행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동시에 압력을 많이 받는 중족골부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구성에 따라 발의 좌우 균형과 힘의 배분이 이루어져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덧댐부를 가지는 신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outsole of shose having forefoot rocker and shos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4단계 보행의 편의성 및 안정성을 높이면서 내구성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신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발의 구성요소들은 선 상태와 이동 상태에서 발의 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기본적인 고정 구조를 이루기도 하고, 각각의 상태에서 달라지는 서로 간의 결합에 의해 몇 가지 정형적인 형태와 구조를 이루게 된다.
보행 과정 중에 발이 이루는 형태는 각 시기에 따라 달라지며, 발이 보행중에 이루는 형태에 따라 보행 과정을 크게 4개의 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 동작을 기준으로 발뒤꿈치 닿기, 전체 닿기, 발뒤꿈치 들기, 앞발로 밀기를 보행의 4 단계라고 할 때, 발은 이들 4 보행 단계를 거치면서 주기적으로 단계가 반복되는 보행운동을 한다.
먼저, 보행의 제1 단계 동작인 발뒤꿈치 닿기에서 통상의 보행을 하는 발은 지면에 발뒤꿈치가 닿을 때 족배굴곡(Dorsiflexion)을 형성하게 되며, 보행의 제2 단계 동작인 전체 닿기에서 통상의 보행을 하는 발은 지면에 발 전체가 닿으면서 발목은 펴지는 족저굴곡(Plantarflexion)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3 단계인 뒤꿈치 들기에서 발목은 더욱 펴져 족저굴곡이 심화되면서 중족골두와 발가락 첫 마디를 이루는 기절골이 연결된 관절부분이 위쪽으로 굽혀지는 형태가 된다. 제4 단계인 앞발로 밀기에서는 족지부인 발가락이 족저굴곡을 이루고 제3단계에서 서로 굽혀져 각도를 이루던 종족골과 기절골이 펴지면서 발가락이 지면을 뒤로 밀고, 이후에 다시 보행의 제1 단계로의 이행을 준비하면서 족배굴곡을 형성하고 발이 지면에서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각 단계에서 보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발의 구성요소들은 서로 간의 관계에서 몇 가지 정형적인 형태를 이루게 되며, 이런 형태가 어떤 이유로든 제대로 구현되지 않을 경우, 보행은 비효율적이 되고, 한편으로, 발의 각 부분에 과도한 압력이나 힘이 작용하여 손상이나 기형이 발생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발의 필요한 부분이 충분히 사용되지 못하여 발의 기형과 함께 발의 기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신발은 발을 외부의 열이나 냉기, 외부 물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이동시 발에 미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긍정적인 작용을 하지만, 자연스러운 발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발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가령, 종래 신발의 밑창이 지면으로부터 발의 보호하고, 신발 자체의 내구성을 가지기 위해서 일정 수준의 기계적 강도를 가지는 단단한 부재로 이루어질 경우, 정지 상태에서는 큰 문제가 없지만 보행이나 주행을 할 때에는 단단한 부재는 발의 자연스런 움직임을 제한하여 필요 이상의 힘을 사용하게 하거나, 필요한 발의 보행 형태를 이루지 못하도록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보행의 제3 단계에서 발의 뒤꿈치 들기 작용, 즉, 족저굴곡을 이루도록 충분히 발의 변형이 충분히 이루어지는 것을 방해한다. 앞서 언급하듯이 제3 단계에서 발의 변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발에서 근육의 탄력을 축적하여 다음 제4 단계에서 종지부가 지면을 미는 기능을 충분히 하기 어렵다. 결국 보행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반대로, 밑창을 너무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하면 내구성이 떨어지고, 발의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또한, 재질에 따라서는 내구성도 갖추기 위해 비용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기성화는 주행이나 보행시 착지 충격을 줄여주기 위해 신발의 바닥재로 충격흡수용 탄성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들 충격흡수용 탄성재는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발의 착지시 발 중심으로부터 좌우로의 불안정성을 높이는 문제를 유발시키기 쉽다. 가령 발 뒤꿈치 중간에 공기실을 만들어 공기의 압축을 쿳션으로 활용하는 신발의 경우, 뒷꿈치가 착지할 때 발 좌우로 불균형이 심하여 발목 손상을 가져오기 쉽다.
본 발명은 보행에 있어서의 상술한 종래 신발의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경감시키기 위한 것으로, 4단계로 이루어지는 보행의 제 3단계에서 발꿈치 들기가 충분히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보행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신발 밑창 및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시에 압력을 많이 받는 중족부 부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신발 밑창 및 이를 채택한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보행시의 발의 좌우 균형과 힘의 배분이 이루어져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신발 밑창 및 신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발 밑창은,
발의 중족골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타 부분에 비해 얇게 형성한 본체와, 상기 중족골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상기 본체와 별개의 덧댐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덧댐부는 인체 중심을 기준으로 발의 외측 해당부가 발의 내측 해당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중족골부보다 더 후방인 중족부 영역까지 연장 설치되고, 발의 길이축으로 절단한 상태에서 볼 때 상기 덧댐부의 후방부가 전방부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밑창에는 발뒤꿈치에 해당하는 후족부에 굽이 형성되고, 굽은 인체 중심을 기준으로 내측이 외측보다 더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토마스 힐(Thomas heel)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굽은 후단에 쐐기형으로 탄성부가 두께 중간에 설치되는 사치 힐(SACH heel)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특히 뒷굽이 좁은 여성용 하이힐과 같은 신발에서, 상기 덧댐부는 중족골부보다 더 후방인 중족부 영역까지 연장 설치되고, 발의 길이축으로 절단한 상태에서 볼 때 상기 덧댐부의 후방부가 전방부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되며, 발뒤꿈치에 해당하는 후족부에는 지면과 닿는 부분의 내외측 방향 폭이 3cm 이하인 굽이 있고, 상기 덧댐부의 중족부 영역까지 연장 설치된 부분에는 내측과 외측에 돌출된 안정기둥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밑창의 얇게 형성된 부분의 내측면 특히 중족골두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부드럽고 복원력이 강한 탄성재가 설치될 수 있다. 탄성재는 탄성을 가지는 고무나 E.V.A(Ethylene Vinyl Acetate) 폼, 폴리우레탄 수지 등으로 압력을 받을 때 주변에 비해 더 쉽게 수축되어 중족골두 주변을 감쌀 수 있는 재질이면 가능하다. 또한, 자기형상기억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중족골두에 해당하는 부분이 압력이 걸릴 때 이 부분이 탄성재에 의해 지지되므로 중족골두 주변에 특정 점보다는 탄성재가 설치된 그 주변 전반에 압력이 분산될 수 있고, 충격에 대한 완화 작용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덧댐부는 내구성을 가지도록 강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중족골부의 구부러짐을 유연하게 하도록 발의 폭방향으로 깊은 골을 가질 수 있다. 즉,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골을 다수 가져 발뒤꿈치 들어올림 단계에서 골 부분 두께가 얇으므로 쉽게 구부러져 신발 전체로서는 중족부에 해당하는 부분은 밑창이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경우에도 다른 부분에 비해 구부러지기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중족골부의 후방부에는 덧댐부에 메타타살 바(metatarsal bar)가 발 폭방향으로 더 구비되며, 덧댐부는 중족골부의 후방부 영역이 중족골부의 전방부 영역에 비해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메타타살 바는 덧댐부의 상면 일부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된 상태에서, 메타타살 바가 설치된 부분에서 메타타살 바의 상면은 주변의 신발 밑창 상면에 비해 위로 돌출되거나, 덧댐부의 상면과 평편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신발은 이상의 신발 밑창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4단계로 이루어지는 보행의 제 3단계에서 발꿈치 들기가 충분히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보행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고, 동시에 압력을 많이 받는 중족골부 부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보행시의 발의 좌우 균형과 힘의 배분이 이루어져 안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궁극적으로 보행시의 보행의 4단계를 이루는 발의 형태가 보다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보행의 효율성을 제고하고, 보행에서 오는 병리를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해부학적으로, 발은 쇼파르 관절(chopart's joint)과 리스프랑(Lisfranc's)관절에 의해, 전족부, 중족부, 후족부의 세 부분으로 구분된다. 그러나, 신발 밑창은 전족부를 중족지절관절(MP관절)에 의해 발가락부(足指部)과 중족골부로 구분하고, 결국, 후족부(140)와, 중족부(130)와, 전족부의 중족골부(120)와, 전족부의 발가락부(110)의 네 부위로 구분하는 것이 편리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밑창을 단순히 발의 길이 축과 수직한 선에 의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4 부분으로 나누고 있다. 신발 밑창은 발의 전족부 가운데 중족골부(120)에 해당하는 부분을 타 부분에 비해 얇게 형성하고 있다. 이런 얇게 형성된 부분은 처음에 밑창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틀에 의해 얇게 형성하는 통상적이나 후발적으로 해당부분을 제거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후족부에는 굽(141)이 설치되어 있다.
밑창 본체에서 중족골부(120)에 매우 얇게 형성된 부분에는 덧댐부(150)가 설치된다. 덧댐부(150)는 본체에 별개 부품을 주로 접착제로 부착하여 설치한다. 덧댐부는 본체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즉, 덧댐부는 재질 및 형태면에서 본체부와 달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덧댐부 재질은 중족골부가 보행 3단계에서 압력이 집중되는 부분을 가지므로 압력에도 불구하고 쉽게 마모되지 않도록 질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4단계 보행에서 3단계인 발뒤꿈치 들기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밑창 본체에 비해 힘을 많이 주지 않고도 쉽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덧댐부 바닥면에는 발의 길이 축과 수직하게 (발의 좌우 폭방향으로) 골(15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4단계 보행의 3단계인 발뒤꿈치 들기 단계에서 발의 족저굴곡이 심화되는 형태에 맞추어 덧댐부도 아래로 볼록하게 구부러질 때 골(153)은 덧댐부(150)의 두깨가 얇은 부분을 이루어 쉽게 덧댐부가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밑창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실시예에서 나타난 신발의 밑창에 대해 발의 길이축과 평행한 면으로 절단한 종방향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서 밑창은 도3에서 나타나듯이 두께 방향(상하 방향)으로 2층으로 구분될 수 있는 본체(90)로 형성한다. (여기서는, 밑창의 본체가 2층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고 있으나, 도시되는 2층 구조는 밑창과 중창 혹은 밑창과 안창으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 위층에는 중족골부의 중족골두 부근에 완충재 혹은 탄성재(60)가 대체적으로 설치된다. 탄성재(60)로는 고무나 E.V.A(Ethylene Vinyl Acetate) 폼, 폴리우레탄 수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아래층에는 도1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중족골부에 매우 얇게 형성된 부분이 있고, 이 얇게 형성된 부분에는 덧댐부(50)가 설치된다. 덧댐부(50)는 본체(90)에 별개 부품을 주로 접착제로 부착하여 설치한다.
덧댐부(50)는 도2의 AA'와 같은 발의 길이축을 따라 종방향으로 절단할 경우, 후방부가 전방부에 비해 더 두꺼운 형태를 가지며, 끝단 부근까지 두꺼운 형태가 유지된다. 대략적 단면은 비행기 날개의 절단면이 나타내는 유선형과 비슷한 아래로 볼록한 형태를 가진다. 이런 면에서 덧댐부는 전족부 중족골부의 곡선형 바닥을 이루어 포어풋 록커(forefoot rocker)라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덧댐부(50)는 도2와 같은 평면에서 볼 때 외측이 내측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전족부 발가락부, 전족부 중족골부, 중족부, 후족부로 단순히 4 부분으로 나눌 때에 덧댐부(50)의 일부인 외측 후단부(51)는 중족골부(20)에서 확장되어 중족부(30) 전방에까지 위치한다.
한편, 발 뒤꿈치가 속하는 후족부(40)에는 밑창에 굽이 설치된다. 굽은 내측 전방이 중족부 일부까지 확장된 혹은 돌출된 연장부(41)를 가진다. 이런 형태의 굽은 토마스 힐(Thomas hill)로 알려져 있으며, 보행의 4 단계 가운데 첫번째 단계에서 발뒤꿈치가 지면에 닿은 후에 발이 회외의 형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신발 밑창이 바닥면에 닿을 때 토마스힐 굽은 내측이 외측에 비해 더 전방까지 확장되어 연장부(41)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발은 발뒤꿈치가 닿은 후 2단계인 발 전체닿기로 이행하면서 자연히 중족부(30)에서는 굽이 없는 외측으로 발이 쏠리게 되어 자연스럽게 회외의 상태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후족부(40)의 후단에는 뒷굽(70)과 밑창 본체(90) 사이에 도3에서 나타나듯이 쐐기 형태의 완충재(80)가 개재되어 있다. 이런 형태의 완충재는 보행의 4단계 가운데 첫번 째 단계에서 족배굴곡을 형성한 발의 뒤꿈치가 지면에 처음 닿을 때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단, 완충재는 뒷굽(70) 전체에 걸쳐 설치된 것이 아니고, 후단에만 (가령, 발의 종골의 내측방으로 튀어나온 부분 혹은 복사뼈 후방 1cm 이후에서 끝단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런 형태의 완충재(80)는 뒷굽(70) 전체에 걸쳐서 형성된 완충재(80)가 착지 단계에서 발의 좌우 유동성을 높여 안정성이 떨어지고, 이로 인하여 발이 측방으로 접히는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상의 도2 및 도3과 같은 구조를 가지는 신발 밑창을 가진 신발을 신고 보행을 할 때 이루어지는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맨발에 의한 자연스러운 보행 패턴을 살펴보면, 맨발 보행시에는 발을 바깥에서 안으로 플래핑 방식으로 움직여 걸음으로써, 보행시의 에너지 소비를 적게 하고, 그로 인해 장시간 보행을 가능하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플래핑 보행에서는, 발의 외측가장자리가 먼저 접지하고, 발바닥 전체가 접지되며, 지면에서 발뒤꿈치가 분리되고, 발가락 부분에 체중이 실리며 발가락 부분이 지면을 차낸다. 즉, 발은 뒤꿈치가 지면에 접촉한후 발바닥 전체가 접지될때까지는 회외(回外;발바닥의 내측이 위로 들려 몸 바깥쪽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회내(回內;발바닥의 외측이 위로 들려 몸 안쪽으로 회전하는) 상태로의 운동을 하고, 발바닥이이 지면에 접촉한후 발가락 부분이 지면을 차낼 때까지는 역으로 회내 상태에서 회외 상태로의 운동을 한다.
그런데, 종래의 일반적인 신발 밑창은 그 바닥면이 수평면에 해당하고, 발은발뒤꿈치 접지로부터 발바닥 접지로 이행할 때, 외측 가장자리를 경유하지 않고 발 바닥 전체가 접지하는 경우가 많고, 그 때문에 발의 외측 가장자리가 내측에 비해 먼저 접지하도록 회외 운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없는 등 자연스러운 맨발 보행에서 벗어나 발의 피로를 증가시키고 보행 효율을 떨어뜨리기 쉽다.
본 실시예의 신발 밑창을 이용하는 경우, 보행의 1 단계에서 발뒤꿈치가 발이 족배굴곡을 이룬 상태에서 지면에 닿는다. 발뒤꿈치 부분인 후족부(40) 후단에는 완충재(80)가 쐐기 형태로 설치되어 착지 단계의 충격을 완화시킨다.
이어서 보행의 2 단계에서 발이 족배굴곡에서 발목이 펴지면서 족저굴곡으로 변화되고, 발 전체가 지면에 닿게 된다. 이때 신발의 밑창은 단순히 평편한 상태가 아니고 후족부(40)에는 뒷굽(70)이 있으며, 특히 뒷굽(70)은 토마스힐 굽으로 되어 내측이 더 전방쪽으로 1cm 내지 1.5cm 확장되어 있다. 따라서, 발 전체가 지면에 닿는 이행기에 중족부에서는 토마스힐 굽으로 인하여 내측은 밑창이 두껍고 외측은 밑창이 얇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발은 외측으로 쏠리면서 발 외측이 접지하고, 회외(回外;발바닥의 내측이 위로 들려 몸 바깥쪽으로 회전하는)상태가 된다.
그러나, 몸을 바깥쪽으로 트는 것이 아니고 전방으로의 보행을 하기 위해서 회외 상태가 너무 심화되는 바람직하지 않다. 회외 상태의 심화는 회내 상태로의 전환시에 발 내측 종아치(ARCH) 높이가 지나치게 하강하는 것을 억제하는 발바닥 근육에도 부담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회외 상태에 이어서 바닥에 닿는 발이 중족부(30) 전단이나 전족부의 중족골부(20)에 이르면 덧댐부(50)는 후방부가 두껍고, 덧댐부(50)의 외측이 밑창에서 더욱 후방에 위치하므로 3단계 초기에는 발은 덧댐부(50) 외측 후단부(51)가 밑창을 두껍게 하는 효과에 의해 밑창이 얇은 내측으로 쏠리고 자연스럽게 회외 상태에서 회내 상태로 전환된다.
이어서, 도4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보행의 3 단계에서는 발뒤꿈치를 들어올리면서 밑창의 중족골부 특히 중족골두에 무게가 집중되고, 중족골과 이에 연결된 발가락의 기절골이 이루는 각도가 증가된다. 이 때 중족골부에는 통상의 단단하여 구부러지기 어려운 밑창이 일부 두께가 제거된 얇은 상태이고, 대신에 구부러지기 유리한 덧댐부의 골(53)이 있으므로 발뒤꿈치를 들어올리면서 밑창이 중족골과 기절골 사이의 각도를 증가시키는 데 신발의 저항은 종래에 비해 줄어든 상태가 된다.
더욱이, 중족골두 부분에는 밑창의 일부가 제거된 상태에서 발바닥과 면하는 위쪽(상측)으로는 중족골두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 완화하기 위한 부드러운 탄성재(60)가 설치된다. 이 탄성체는 중족골두가 발뒤꿈치 들어올리기 단계에서 더 아래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므로 기절골과 중족골의 각도는 더욱 커지고, 다음 단계를 위한 족저굴곡의 심화도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져 보행 효율 증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어서, 보행의 제 4 단계인 앞발로 밀기 단계에서는 족지부인 발가락이 작은 아치를 이루고 제3단계에서 서로 굽혀져 각도를 이루던 종족골과 기절골이 펴지면서 발가락이 지면을 뒤로 밀고, 이후에 다시 보행의 제1 단계로의 이행을 준비하면서 족배굴곡을 형성하고 발이 지면에서 떨어지게 된다.
족저굴곡이 심화된 상태이므로 발에 축적된 근육의 탄력을 이용하여 더 효율적으로 앞발로 지면을 밀게 된다. 또한, 압축된 탄성체에 축적된 탄성 에너지가 복원력을 작용시켜 발의 중족골을 위로 밀어올리는 작용을 함으로써 발가락이 지면을 미는 단계에서 지렛대의 원리를 고려한 앞발로 밀기에 용이한 발 형태를 가지도록 하는 한편, 발이 보행의 다음 단계인 제 1 단계로의 족배굴곡을 형성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이때, 3단계에서 회내 상태에 있으므로 4단계에서는 주로 발 내측(엄지발가락 쪽)에서 지면을 차는 작용이 이루어지며, 이 작용에 따라 발의 회내에서 회외로 전환되는 형태가 된다.
이러한 4 단계의 보행 과정을 보면, 본 실시예에서는 맨발의 자연스로운 보행과 유사하게 착지부터 바닥을 차기까지의 과정이 회외에서 회내로 회내에서 다시 회외로 전환되는 형태를 보인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회내에서 회외로의 전환과 회외에서 회내로의 전환이 신발의 밑창의 구조에 의해 많이 이루어지므로 발이 스스로 전환할 때에 비해 그 부담이 줄어들 수 있고, 특히, 발의 근육이 약화된 사용자들에게는 보행시 발의 부담까지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을 나타내는 신발 밑창 저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도시되지 않지만 여성용 하이힐 굽과 같은 좌우 폭이 좁고 높은 뒷굽을 후족부에 부착하는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뒷굽의 좌우 폭이 가령 3 cm 이하이고, 높이가 가령 5cm 이상인 경우, 보행에 있어서 도2의 실시예와 같은 토마스힐 굽과 전혀 다른 작용이 이루어진다. 이런 경우, 우선 고려되어야 하는 것이 보행에서 회외 및 회내 상태보다는 발의 안전한 착지가 된다. 뒷굽이 좁고 높을수록 발목은 좌우 안정화가 되지 않으므로 발목이 삐는(접히는) 문제가 다발하게 된다. 그리고, 실제로 발목을 삐지 않더라도 좌우 균형을 잡기 위해 신발 착용자는 매우 보행이 불편하게 된다.
이런 상황에서 뒷굽에 이어 닿게 되는 신발 밑창(290)의 중족골부(20)에 본 실시예와 같이 덧댐부(250)를 설치할 때 덧댐부(250)는 뒷쪽, 즉, 중족부쪽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 연장된 부분의 좌, 우측에 하방으로 지면을 향하여 돌출된 돌출부(안정기둥: 255,257)를 설치하면 이 돌출부 부분이 종족골부(20)보다 먼저 지면에 닿아 발바닥의 착지를 시간적으로 앞당기는 역할을 하고, 토머스 힐 굽과 같은 좌우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여성용 구두에서 착지하는 발의 좌우 폭방향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발의 피로와 발목 삠을 방지한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 실시예는 도3과 유사한 형태로 두께 방향으로 2층으로 구분될 수 있는 본체(390)로 형성된다. 위층에는 중족골부의 중족골두 부근에 완충재 혹은 탄성재(360)가 대체적으로 설치된다. 아래층에는 전체 길이 중에서 중족골부가 매우 얇게 형성되고, 이 얇게 형성된 부분에는 덧댐부(350)가 설치된다. 덧댐부(350)에는 후방부 상면에 안착홈(358)이 발의 좌우 폭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안착홈(358)의 크기에 대응하는 메타타살 바(359)가 삽입되어 있다. 이 메타타살 바에 의해 덧댐부의 후방부는 도3과 같은 실시예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부분은 보행시에 중족골의 후반부에서 발바닥을 눌러 지압을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 메타타살 바로 인하여 장단지 근육이 이완되어 스트레칭을 하는 효과를 거 둘 수 있으며, 메타타살 바는 올바른 보행자세와 선자세를 이룰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메타타살 바를 신발 밑창에 직접 설치함으로써 신발에 깔창 등의 형태로 별도의 신발 부속을 설치해야하는 번거로움을 방지할 수 있다.
도8은 도7과 조금 다른 형태의 메타타살 바를 설치한 신발 밑창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8의 실시예에서는 도7의 실시예와 같이 1층으로 된 밑창 본체(490)에 덧댐부(450)를 설치하고, 덧댐부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458)에 그 안착홈(458)의 깊이보다 더 두껍고, 상부가 볼록하게 돌출되는 메타타살 바(459)를 삽입하여 설치하였다. 메타타살 바가 설치된 곳에서 밑창은 천공된 형태를 보이고, 밑창의 본체로 이루어지는 주변의 밑창 상면보다 메타타살 바의 상면이 더 위쪽으로 도드라진다. 따라서, 발바닥의 중족골 하부에서 직접 도드라진 부분이 종아치 부분의 긴장된 근육을 눌러 이완시키는 작용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발 밑창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3은 도2의 실시예에서 나타난 신발 밑창에 대한 종방향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신발을 이용한 보행에서의 보행의 제3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을 나타내는 신발 밑창 저면도 및 단면도,
도7은 메타타살 바가 설치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신발 밑창 단면도,
도8은 메타타살 바가 설치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신발 밑창 단면도이다.

Claims (9)

  1. 삭제
  2. 발의 중족골부에 해당하는 부분을 타 부분에 비해 얇게 형성한 본체와, 상기 중족골부에 해당하는 부분에 상기 본체와 별개로 설치되는 덧댐부를 구비하며,
    상기 덧댐부는 발의 외측 해당부가 발의 내측 해당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중족골부보다 더 후방인 중족부 영역까지 연장 설치되고, 발의 길이축으로 절단한 상태에서 볼 때 상기 덧댐부의 후방부가 전방부에 비해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3. 제 2 항에 있어서,
    발뒤꿈치에 해당하는 후족부에 굽이 형성되고, 상기 굽은 내측이 외측보다 더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토마스 힐(Thomas heel)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4. 제 2 항에 있어서,
    발뒤꿈치에 해당하는 후족부에는 지면과 닿는 부분의 내외측 방향 폭이 3cm 이하인 굽이 있고, 상기 덧댐부가 중족부 영역까지 연장 설치된 부분에는 내측과 외측에 하방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5.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밑창의 얇게 형성된 부분의 상면 가운데 중족골두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상기 밑창에 비해 부드럽고 복원력이 강한 탄성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뒤꿈치에 해당하는 후족부에 굽이 형성되고,
    상기 굽은 후단에 쐐기형으로 탄성부가 두께 중간에 설치되는 사치 힐(SACH hee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7.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족골부의 후방부에는 상기 덧댐부에 상측에는 발의 좌우 폭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메타타살 바(metatarsal bar)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타살 바는 상기 덧댐부의 상면 일부에 형성된 안착홈에 안착되고, 상기 메타타살 바가 설치된 부분에서 상기 메타타살 바의 상면이 주변의 신발 밑창 상면에 비해 위로 돌출되거나, 상기 덧댐부의 상면과 평편한 상태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밑창.
  9. 제 2 항 내지 제 4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의 신발 밑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KR20090038941A 2009-05-04 2009-05-04 덧댐부를 가지는 신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KR100995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8941A KR100995491B1 (ko) 2009-05-04 2009-05-04 덧댐부를 가지는 신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PCT/KR2010/002805 WO2010128785A2 (ko) 2009-05-04 2010-05-03 덧댐부를 가지는 신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CN201080019839XA CN102448341A (zh) 2009-05-04 2010-05-03 具有附加鞋掌的鞋底和具有该鞋底的鞋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38941A KR100995491B1 (ko) 2009-05-04 2009-05-04 덧댐부를 가지는 신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986A KR20100119986A (ko) 2010-11-12
KR100995491B1 true KR100995491B1 (ko) 2010-11-19

Family

ID=43050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38941A KR100995491B1 (ko) 2009-05-04 2009-05-04 덧댐부를 가지는 신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95491B1 (ko)
CN (1) CN102448341A (ko)
WO (1) WO2010128785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680B1 (ko) 2013-10-14 2015-04-23 박인식 중족과 중족골의 압력을 분산시키는 중창과 이를 구비한 신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38739C2 (sv) * 2015-10-13 2016-11-08 Stinaa & J Fashion Ab Insole for high-heeled footwear
IT201800002726A1 (it) * 2018-02-15 2019-08-15 Health And Fashion Shoes Italia S P A Struttura di suola per calzatura.
JP6799881B2 (ja) * 2018-07-24 2020-12-16 株式会社Bmz 靴用インソール
BE1030987B1 (fr) 2022-10-25 2024-05-27 Dynamedic Orthèse de soutien et de protection des orteils et d'immobilisation de la chevil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132Y1 (ko) * 2003-06-16 2003-11-14 엠에스메디텍 중족골통환자용 신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5615U (ko) * 1990-01-12 1991-09-30
JP3095615B2 (ja) * 1994-04-25 2000-10-10 株式会社トクヤマ シリコーン系軟質裏装材用コーティング材
WO2002051273A2 (en) * 2000-12-22 2002-07-04 The Timberland Company Shoe construction
TWM245796U (en) * 2002-06-07 2004-10-11 Lar New Internat Corp Structure of shoe sole with shock absorption buffer effect
KR100661136B1 (ko) * 2004-12-29 2006-12-22 이선미 교정용 신발
US7380353B2 (en) * 2005-07-22 2008-06-03 Ariat International, Inc. Footwear sole with forefoot stabilizer, ribbed shank, and layered heel cushioning
CN201019890Y (zh) * 2007-04-16 2008-02-13 万得医疗器材用品(深圳)有限公司 矫正鞋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132Y1 (ko) * 2003-06-16 2003-11-14 엠에스메디텍 중족골통환자용 신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680B1 (ko) 2013-10-14 2015-04-23 박인식 중족과 중족골의 압력을 분산시키는 중창과 이를 구비한 신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28785A3 (ko) 2011-03-17
CN102448341A (zh) 2012-05-09
WO2010128785A2 (ko) 2010-11-11
KR20100119986A (ko) 201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42027B2 (ja) 履物ソール
RU2489069C2 (ru) Подошва для полуботинка,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кроссовки
US10433615B2 (en) Sole for dispersing pressure of midfoot and metatarsal bones and shoe having same
WO2004100693A1 (en) Cantilevered shoe construction
JP2016530042A (ja) トライアスロン用中敷き
KR20070049648A (ko) 깔창 및 이것을 구비하는 풋웨어 시스템
US20150335102A1 (en) Shoe sole adjustment pad
EP2454959A1 (en) A multicomponent sole support assembly for sports footwear
KR100995491B1 (ko) 덧댐부를 가지는 신발 밑창 및 이를 구비한 신발
JP2005013682A (ja) 履物及び履物用中敷き
EP2399475A2 (en) Footwear with Rocker Sole
KR100627678B1 (ko) 신발의 솔 구조
EP4248785A1 (en) Shoe sole with shock absorbing layer structure
KR200395056Y1 (ko) 충격 완화용 인솔
KR20120133367A (ko) 건강신발 및 방법
KR100952153B1 (ko) 기능성 신발
JP5458257B2 (ja) インソール及びインソールを製造する方法
US11020263B2 (en) Reverse insole
KR101116323B1 (ko) 보행 추진력 강화를 위한 바닥부 및 그 바닥부를 가지는 기능성 신발
KR101693773B1 (ko) 보행의 특성을 고려한 신발
KR101957213B1 (ko) 탄성력을 이용한 기능성 인솔
KR102332280B1 (ko) 족저근막염 안창
US20170354201A1 (en) Insole
WO2015066821A4 (en) Footwear heel design
KR20240021556A (ko) 발가락 압력저감형 신발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