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448B1 -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 - Google Patents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448B1
KR100995448B1 KR1020100015533A KR20100015533A KR100995448B1 KR 100995448 B1 KR100995448 B1 KR 100995448B1 KR 1020100015533 A KR1020100015533 A KR 1020100015533A KR 20100015533 A KR20100015533 A KR 20100015533A KR 100995448 B1 KR100995448 B1 KR 100995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inge pin
pallet
vertical fram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훈
Original Assignee
김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훈 filed Critical 김경훈
Priority to KR1020100015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4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2Collapsible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1/00Bundles of articles held together by packaging elements for convenience of storage or transport, e.g. portable segregating carrier for plural receptacles such as beer cans or pop bottles; Bales of material
    • B65D71/0088Palletisable loads, i.e. loads intended to be transported by means of a fork-lift truck
    • B65D71/0092Palletisable loads, i.e. loads intended to be transported by means of a fork-lift truck provided with one or more rigid supports, at least one dimension of the supports corresponding to a dimension of the load, e.g. skids
    • B65D71/0096Palletisable loads, i.e. loads intended to be transported by means of a fork-lift truck provided with one or more rigid supports, at least one dimension of the supports corresponding to a dimension of the load, e.g. skids the dimensions of the supports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load, e.g.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63Overall construction of the pallet
    • B65D2519/00273Overall construction of the pallet made of more tha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8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29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made of more tha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313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 B65D2519/00323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made of more tha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5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 B65D2519/00572Structures connecting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the pallet to each other, i.e. load supporting surface, base surface and/or separate spacer with separate auxiliary element, e.g. screws, nails, bayo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단으로 적재되어 있는 파레트들이 쉽게 무너지지 않도록 하고, 아울러 수직프레임과 브라켓을 연결하는 힌지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 네모서리면을 따라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힌지핀으로 체결 구성되어,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접혀지는 수직프레임으로 구성한 접철식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힌지핀이 통과하기 위한 통과구멍을 형성하고, 그 타측에는 수직으로 장홈을 함몰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수직프레임에는 상기 통과구멍을 통과한 힌지핀이 끼워지기 위한 체결구멍을 형성하되, 상기 힌지핀의 길이는 상기 브라켓의 장홈이 가지는 깊이와, 상기 브라켓의 수용공간이 가지는 폭이 더해진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 힌지핀의 끝단이 상기 브라켓의 장홈에 접촉되고 나면 상기 힌지핀의 선단은 상기 브라켓의 통과구멍을 빠져나가도록 구성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Pallet for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단으로 적재되어 있는 파레트들이 쉽게 무너지지 않도록 하고, 아울러 수직프레임과 브라켓을 연결하는 힌지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파레트는 다수의 물품들을 적재시켜 운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농산물을 이송하는 등 산업이나 농업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파레트의 종류로는 그 형태에 따라 플래이트타입과, 박스타입으로 나뉘어진다.
후자에 해당하는 박스타입의 파레트는 다수개의 바닥프레임들과, 상기 바닥프레임 상단에 수직으로 각각 세워지며 파레트의 네면을 이루게 되는 측벽들로 구성한 것으로서, 이러한 박스타입의 파레트는 상기 측벽들이 적재된 물품의 이탈을 막아줌으로서 플래이트 타입의 파레트에 비해 물품을 보다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상기 측벽에 의해 파레트의 부피가 증가함으로서 플레이트 타입에 비해 보관이나 운반과정에서 많은 문제점을 노출시켰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 0333232 호(명칭: 자동차 부품용 접철식 파레트)(이하, 선행기술이라 함)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측벽을 이루는 전,후,좌,우측판들과 이를 지지하는 제 1, 2기둥들이 핀을 중심으로 절첩되도록 구성하고 있고, 상기 구성을 통해 파레트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하지만 상기 선행기술로 구성된 파레트는 다수개를 다단으로 적재시키거나 혹은 운반과정에서 파레트에 편중된 힘이 작용하면 파레트가 무너져 내리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측판과 기둥들을 연결하는 핀의 경우에는 측판의 잦은 접철 동작에 따라 핀이 외부로 빠져나오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단으로 적재되는 파레트들의 무너짐을 방지할 수 있는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수직프레임과 브라켓을 연결하는 힌지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 네모서리면을 따라 설치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힌지핀으로 체결 구성되어, 상기 힌지핀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접혀지는 수직프레임으로 구성한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는 상기 힌지핀이 통과하기 위한 통과구멍을 형성하고, 그 타측에는 수직으로 장홈을 함몰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수직프레임에는 상기 통과구멍을 통과한 힌지핀이 끼워지기 위한 체결구멍을 형성하되, 상기 힌지핀의 길이는 상기 브라켓의 장홈이 가지는 깊이와, 상기 브라켓의 수용공간이 가지는 폭이 더해진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 힌지핀의 끝단이 상기 브라켓의 장홈에 접촉되고 나면 상기 힌지핀의 선단은 상기 브라켓의 통과구멍을 빠져나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는 동일한 구조로 하여 복수개를 수직으로 다단 적재시켜 구성하되, 위쪽에 위치하는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의 브라켓 하면에는 경사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아래에 위치하는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의 수직프레임 상면에는 상기 경사돌기가 끼워지기 위한 체결구멍이 관통 형성된 고정구를 끼워 구성하며, 상기 고정구의 체결구멍 주연부를 따라 상기 경사돌기의 외면에 면 접촉하는 경사지지편들을 하향으로 경사지게 더 연장 형성되어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의 일측 상면에는 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의 일측면에는 상기 브라켓의 홈에 걸려지는 걸림돌기를 더 돌출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는 상, 하 수직으로 적재되는 두개의 접철시 파레트 사이에 고정구를 끼워넣도록 함으로서 다단으로 적재되는 파레트들의 무너짐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과 브라켓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이 브라켓의 수용공간내에 위치하며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수직프레임의 접철과정에서 힌지핀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가진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상, 하 수직으로 적재된 두개의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를 연결 고정하는 고정구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를 구성하는 브라켓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브라켓에 수직프레임이 조립된 상태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브라켓에 수직프레임이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파레트 측벽을 구성하는 수직프레임 상면에 고정구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구에 다른 파레트의 브라켓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경사돌기가 끼워지도록 구성하여 다단으로 적재된 파레트가 쉽게 무너지지 않도록 한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를 구현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직프레임과 브라켓을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을 브라켓의 내부 수용공간에 내설되도록 하여 접철 과정에서 힌지핀이 브라켓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한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를 구현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100)는 박스타입으로서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프레임(10)과, 상기 바닥프레임(10) 위에 각각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며 파레트(100)의 기둥을 구성하게 되는 수직프레임(30)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30)과 바닥프레임(10)을 연결 고정하는 브라켓(2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수직프레임(30)은 상기 브라켓(20)에 힌지핀(50)으로 체결되어, 상기 힌지핀(50)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내측으로 접혀지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수직프레임(30)의 접힘 구조를 통해 파레트(100)의 보관이나 운반과정에서 파레트가 가지는 부피를 줄여줄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100)는 동일한 구조로 제작된 두개 이상의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100, 200)를 다단으로 적재시켜 사용하게 되는 데, 이때 두개의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100, 200) 사이에는 고정구(40)를 조립시켜 상, 하 수직으로 적재된 두개의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100, 200)가 편중된 힘에 의해 무너지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첨부된 도 2는 상, 하 수직으로 적재된 두개의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를 연결 고정하는 고정구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두개의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100, 200) 중에서 아래쪽에 위치하는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100)의 수직프레임(30) 상단에는 고정구(40)가 끼워진다. 상기 고정구(40)는 사각 형태로 중앙으로는 사각구멍(42)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사각구멍(42)의 주연부를 따라 경사지지편(44)이 하향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두개의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100, 200) 중에서 위쪽에 위치하는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200)의 브라켓(20) 하단에는 경사돌기(46)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경사돌기(46)는 아래쪽의 접철식 파레트(100) 수직프레임(30)에 조립되어 있는 고정구(40)의 사각구멍(42)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때 상기 경사돌기(46)의 외면에는 상기 고정구(40)의 경사지지편(44)이 면 접촉하며 고정구(40)가 경사돌기(46)를 감싸도록 구성하게 됨으로서 고정구(40)와 경사돌기(46)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 하 수직으로 적재되는 두개의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100, 200)를 무너짐 없이 안전하게 적재시킬 수 있게 된다.
첨부된 도 4는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를 구성하는 브라켓의 구성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하고 있는 브라켓에 수직프레임이 조립된 상태를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5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20)은 동일한 구조로 하여 바닥프레임(10)의 네 모서리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하나의 브라켓 구조를 대표하여 기술하면 상기 브라켓(20)은 "ㄷ"단면 형태를 가지며 중앙으로는 수직프레임(30)이 삽입되기 위한 수용공간(22)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힌지핀(50)이 통과하기 위한 통과구멍(24)이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통과구멍(24)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수직프레임(30)을 브라켓(20)에서 분리할 때, 상기 통과구멍(24)으로 힌지핀(50)이 역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는 인출구멍(26)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20)의 타측 내면에는 수직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장홈(28)이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상기 브라켓(20)의 수용공간(22)에 끼워지는 수직프레임(30)의 양측에는 상기 브라켓(20)의 통과구멍(24)을 통과한 힌지핀(50)이 끼워지기 위한 체결구멍(3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브라켓(20)과 수직프레임(30) 간의 조립은 상기 브라켓(20)의 수용공간(22)으로 수직프레임(30)을 일정깊이 끼워넣어 수직프레임(30)의 체결구멍(32)과 브라켓(20)의 통과구멍(24)을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시키도록 한다. 이어서, 상기 브라켓(20)의 통과구멍(24)으로 힌지핀(50)을 통과시키게 되면 상기 힌지핀(50)은 수직프레임(30)의 체결구멍(32)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힌지핀(50) 의 길이(L)는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브라켓(20)의 장홈(28)이 가지는 깊이(D1)와 수용공간(22)이 가지는 폭(D2)이 더해진 거리(D)와 동일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힌지핀(50) 의 끝단이 장홈(28)에 삽입되고 나면 상기 힌지핀(50)의 선단은 브라켓(20)의 통과구멍(24)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통과구멍(24)을 빠져나간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서 결과적으로 도 6에서와 같이 수직프레임(30)을 브라켓(20)의 수용공간(22)에 완전히 삽입하여 조립할 때, 상기 힌지핀(50)이 통과구멍(24)에 걸리지 않고, 상기 통과구멍(24) 아래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서 힌지핀(50)의 외부 노출을 차단시켜 수직프레임(30)의 접철 과정에서 힌지핀(50)이 브라켓(20)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브라켓(20)의 일측 상면에는 홈(60)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20)의 수용공간(22)에 끼워지는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일측면에는 상기 브라켓(20)의 홈(60)에 걸려지는 걸림돌기(62)를 더 돌출 형성하여 상기 브라켓(20)에 삽입된 수직프레임(30)이 사용과정에서 외력에 의해 넘어지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수행토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의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먼저,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100)를 조립할 때에는 바닥프레임(10)의 네 모서리면에 브라켓(20)을 용접이나 볼트 등으로 고정 설치하고, 이어서 상기 브라켓(20)에 수직프레임(30)을 끼워넣은 다음, 힌지핀(50)으로 수직프레임(30)을 브라켓(20)에 조립토록 한다.
하나의 브라켓(20)과 수직프레임(30)간의 조립구조를 대표하여 기술하면 브라켓(20)의 수용공간(22)으로 수직프레임(30)을 일정깊이 끼워넣어 수직프레임(30)의 체결구멍(32)과 브라켓(20)의 통과구멍(24)을 서로 동일선상에 위치시키도록 한 다음, 상기 브라켓(20)의 통과구멍(24)으로 힌지핀(50)을 통과시켜 힌지핀(50)을 수직프레임(30)의 체결구멍(32)에 끼워넣도록 한다.
이때 상기 힌지핀(50)의 길이(L)는 상기 브라켓(20)의 장홈(28)이 가지는 깊이(D1)와, 수용공간(22)이 가지는 폭(D2)이 더해진 거리(D)와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체결구멍(32)에 끼워진 힌지핀(50)의 끝단이 장홈(28)에 삽입되고 나면 상기 힌지핀(50)의 선단은 브라켓(20)의 통과구멍(24)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통과구멍(24)을 빠져나간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수직프레임(30)을 브라켓(20)의 수용공간(22)에 완전히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 힌지핀(50)은 통과구멍(24)에 걸리지 않고, 상기 통과구멍(24) 아래에 위치하게 됨으로서 힌지핀(50)의 외부 노출을 차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수직프레임(30)의 접철 과정에서 힌지핀(50)이 브라켓(20)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방식으로 조립 완료된 여러 개의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100, 200)들을 수직으로 다단 적재시키고자 할 때에는 고정구(40)를 이용하여 두개의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100, 200)를 무너짐 없이 연결 고정토록 한다.
구체적으로 아래쪽에 위치하는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100)의 수직프레임(30) 상단에 고정구(40)를 끼워넣은 다음, 상기 고정구(40)의 사각구멍(42)으로 위쪽에 위치하는 접철식 파레트(200)의 브라켓(120) 하단에 연장 형성되어 있는 경사돌기(46)를 끼워넣게 되면 상기 경사돌기(46)의 외면에는 상기 고정구(40)의 경사지지편(44)이 면 접촉하며 고정구(40)가 경사돌기(46)를 감싼 상태로 고정하게 됨으로서 서 상, 하 수직으로 적재되는 두개의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100, 200)를 무너짐 없이 안전하게 적재시킬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10: 바닥프레임 20: 브라켓
22: 수용공간 24: 통과구멍
28: 장홈 30: 수직프레임
50: 힌지핀 L: 힌지핀의 길이
D1: 장홈의 깊이 D2: 수용공간의 폭 D: 장홈의 깊이와 수용공간의 폭이 더해진 거리

Claims (3)

  1. 바닥프레임(10)과, 상기 바닥프레임(10) 네모서리면을 따라 설치되는 브라켓(20)과, 상기 브라켓(20)의 수용공간(22)에 삽입된 상태에서 힌지핀(50)으로 체결 구성되어, 상기 힌지핀(50)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접혀지는 수직프레임(30)으로 구성한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0)의 일측에는 상기 힌지핀(50)이 통과하기 위한 통과구멍(24)을 형성하고, 그 타측에는 수직으로 장홈(28)을 함몰 형성하여 구성하며;
    상기 수직프레임(30)에는 상기 통과구멍(24)을 통과한 힌지핀(50)이 끼워지기 위한 체결구멍(32)을 형성하되;
    상기 힌지핀(50)의 길이(L)는 상기 브라켓(20)의 장홈(28)이 가지는 깊이(D1)와, 상기 브라켓(20)의 수용공간(22)이 가지는 폭(D2)이 더해진 거리와 동일하게 형성하여 상기 힌지핀(50)의 끝단이 상기 브라켓(20)의 장홈(28)에 삽입되고 나면 상기 힌지핀(50)의 선단은 상기 브라켓(20)의 통과구멍(24)을 빠져나가도록 구성하여, 상기 수직프레임(30)이 상기 브라켓(20)의 수용공간(22)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힌지핀(50)은 상기 장홈(28)을 타고 이동하며 상기 통과구멍(24)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여 접철과정에서 상기 힌지핀(50)이 상기 브라켓(20)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는 동일한 구조로 하여 복수개를 수직으로 다단 적재시켜 구성하되;
    위쪽에 위치하는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200)의 브라켓(120) 하면에는 경사돌기(46)를 돌출 형성하고;
    아래에 위치하는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100)의 수직프레임(30) 상면에는 상기 경사돌기(46)가 끼워지기 위한 사각구멍(42)이 관통 형성된 고정구(40)를 끼워 구성하며;
    상기 고정구(40)의 사각구멍(42) 주연부를 따라 상기 경사돌기(46)의 외면에 면 접촉하는 경사지지편(44)들을 하향으로 경사지게 더 연장 형성되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0)의 일측 상면에는 홈(60)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일측면에는 상기 브라켓(20)의 홈(60)에 걸려지는 걸림돌기(62)를 더 돌출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


KR1020100015533A 2010-02-22 2010-02-22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 KR100995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533A KR100995448B1 (ko) 2010-02-22 2010-02-22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533A KR100995448B1 (ko) 2010-02-22 2010-02-22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5448B1 true KR100995448B1 (ko) 2010-11-18

Family

ID=43409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533A KR100995448B1 (ko) 2010-02-22 2010-02-22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44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5072A (ja) * 2002-07-05 2004-02-05 Palenet Co Ltd 運搬用パレ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35072A (ja) * 2002-07-05 2004-02-05 Palenet Co Ltd 運搬用パレッ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81410A (en) Rigid, collapsible and nestable container
US10407209B1 (en) Pallet apparatus for transportation of car glass
JP6358584B2 (ja) 分解可能な自己組立構造
US10138017B2 (en) Loaded pallet container
SK8884Y1 (sk) Skladateľný viacposchodový obal s flexibilnými vložiteľnými bunkami na prepravu tovaru
KR101384458B1 (ko) 조립식 파레트의 측벽 고정 클램프
KR102086963B1 (ko) 조립식 파레트
US20110011312A1 (en) Pallet for containing and transporting objects
KR20180070855A (ko) 내구성을 향상시킨 접이식 포장 및 수송용 박스형 팔레트
KR100995448B1 (ko) 농산물 이송용 파레트
KR101613010B1 (ko) 철재 박스
JP2005035650A (ja) 輸送用パレット
JP4662274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KR20120006530U (ko) 무꺽쇠 박스
KR200465192Y1 (ko) 화물포장이 용이한 팔레트
CZ30126U1 (cs) Rozložitelný kvádrovitý zásobník
KR200399814Y1 (ko) 파레트 적재용 브라켓
WO2019207491A1 (en) Stillage box
KR200373841Y1 (ko) 플라스틱제의 접철식 상자
KR102241222B1 (ko) 조립식 파렛트
JP2013166577A (ja) 組立式コンテナ
KR102030772B1 (ko) 자동차 도어 운송용 케이지
KR200299017Y1 (ko) 수출포장박스
KR101855072B1 (ko) 박스 겸용 조립식 파레트의 결합방법 및 그 결합구조
KR20230040609A (ko) 수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