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017Y1 - 수출포장박스 - Google Patents

수출포장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017Y1
KR200299017Y1 KR20-2002-0029644U KR20020029644U KR200299017Y1 KR 200299017 Y1 KR200299017 Y1 KR 200299017Y1 KR 20020029644 U KR20020029644 U KR 20020029644U KR 200299017 Y1 KR200299017 Y1 KR 2002990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ide plates
vertical
base plat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96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인창
Original Assignee
성우로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우로텍(주) filed Critical 성우로텍(주)
Priority to KR20-2002-0029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90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0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0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이나 해체가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고, 아울러 운반이나 보관에 있어서도 용이하며, 전체적인 제작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충분한 강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수출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베이스판(10)과, 이 베이스판(10)의 둘레부에 수직 설치되는 다수개의 측판(20, 25)과, 이 측판(20, 25)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판(40)을 포함하는 수출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과 측판(20, 25)은 돌출부와 오목부가 교호되어 이루어진 요철부(6)가 형성된 박판 형상의 세로재(2)와 가로재(4)가 교차되도록 조립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측판(20)과 측판(25)의 연결부위 또는 상기 측판(20, 25)과 베이스판(10)의 연결부위에는 브라켓(50, 60, 70, 80)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50, 60, 70, 80)에 의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50, 60, 70, 80)은 그 일측에 세로재(2)와 가로재(4)의 요철부(6)에 걸려지는 세로걸림부(53)와 가로걸림부(56)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서로 교차된 세로재(2)와 가로재(4) 사이에 상기 세로걸림부(53)와 가로걸림부(56)가 개재되어 세로재(2)와 가로재(4)의 요철부(6)에 각각 걸려져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포장박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수출포장박스{export package box}
본 고안은 수출포장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이나 해체가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고, 아울러 운반이나 보관에 있어서도 용이하며, 전체적인 제작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충분한 강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수출포장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나 기타 제품을 수출할 경우에는 수출포장박스를 이용하여 제품을 포장하게 된다. 이에 사용되는 수출포장박스는 팔레트로 이루어진 베이스판과, 이 베이스판의 둘레부에 수직설치된 다수개의 포스트와, 이 포스트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수출포장박스는 통상 목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충분한 하중을 지지하지 못하고, 목재에서 발생되는 수분이 장시간의 해상 운송 도중에 제품에 발청을 초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출포장박스는 목재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코스트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수출포장박스는 원칙적으로 박스조립을 위해 각종 부재에 대한 나사나 볼트 등을 일일이 체결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박스 조립이나 해체시에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어, 대량의 수출물량을 신속하게 처리하는 데에는 만족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코스트의 절감을 기할 수 있으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고, 조립 및 해체에 있어서 신속하고 용이함은 물론, 운반 및 취급에 있어서도 용이하도록 된 수출포장박스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립이나 해체가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고, 아울러 운반이나 보관에 있어서도 용이하며, 전체적인 제작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충분한 강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수출포장박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수출포장박스의 사시도
도 2는 전후측판의 측면부에 제1브라켓이 결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좌우측판의 측면부에 제2브라켓이 결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 부분의 확대로도서 도 2와 도 3의 브라켓에 의해 전후측판과 좌우측판이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1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1의 B 부분의 배면도로서 베이스판의 모서리에 제3브라켓이 결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도 1의 B 부분의 배면도로서 좌우측판의 하단부에 제4브라켓이 결합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6과 도 7의 제3 및 제4브라켓에 의해 베이스판에 좌우측판의 하단부가 연결된 사시도
도 9는 도 1의 C 부분의 확대도로서 상판연결부재에 의해 상판이 측판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도 1의 D 부분의 확대도로서 서로 이웃한 측판의 상단 모서리에 코너부재가 설치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도 1의 E 부분의 확대도로서 베이스판의 전후측에 측판지지부재가 설치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베이스판의 전후측에 측판지지부재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13은 도 1의 F 부분의 확대도로서 베이스판의 좌우측에 제2측판지지부재가 설치되는 상태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제2측판지지부재가 베이스판의 좌우측에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세로재 4. 가로재
6. 요철부 10. 베이스판
20. 전후측판 25. 좌우측판
40. 상판 50. 제1브라켓
60. 제2브라켓 70. 제3브라켓
80. 제4브라켓 90. 상판연결부재
100. 코너부재
본 고안에 따르면, 베이스판(10)과, 이 베이스판(10)의 둘레부에 수직 설치되는 다수개의 측판(20, 25)과, 이 측판(20, 25)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판(40)을 포함하는 수출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과 측판(20, 25)은 돌출부와 오목부가 교호되어 이루어진 요철부(6)가 형성된 박판 형상의 세로재(2)와 가로재(4)가 교차되도록 조립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측판(20)과 측판(25)의 연결부위 또는 상기 측판(20, 25)과 베이스판(10)의 연결부위에는 브라켓(50, 60, 70, 80)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50, 60, 70, 80)에 의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50, 60, 70, 80)은 그 일측에 세로재(2)와 가로재(4)의 요철부(6)에 걸려지는 세로걸림부(53)와 가로걸림부(56)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서로 교차된 세로재(2)와 가로재(4) 사이에 상기 세로걸림부(53)와 가로걸림부(56)가 개재되어 세로재(2)와 가로재(4)의 요철부(6)에 각각 걸려져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포장박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제2특징에 따르면, 상기 상판(40)을 이루는 가로재(4)와 세로재(2)의 단부에는 하향삽입부(92)와 수평걸림부(94)가 형성된 상판연결부재(90)가 설치되며, 상기 상판연결부재(90)의 하향삽입부(92)와 수평걸림부(94)를 측판(20, 25)을 이루는 세로재(2)와 가로재(4)의 요철부(6)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상판(40)을 측판(20, 25)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포장박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제3특징에 따르면, 서로 이웃하도록 연결된 상기 측판(20, 25)의 상단 모서리에는 하향삽입부(102)와 수평걸림부(104)가 형성된 코너부재(100)가 설치되며, 상기 코너부재(100)의 하향삽입부(102)와 수평걸림부(104)를 상기 측판(20, 25)을 이루는 세로재(2)와 가로재(4)의 요철부(6)에 결합하여, 서로 이웃한 상기 측판(20, 25)의 상단 모서리를 상기 코너부재(100)에 의해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포장박스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제4특징에 따르면, 상기 측판(20, 25)의 하단부는 힌지핀(1)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10)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핀(1)을 중심으로 측판(20, 25)을 베이스판(10)의 상면으로 절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포장박스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본 고안에 의한 수출포장박스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 내지 도 14는 도 1의 주요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수출포장박스는 베이스판(10)과, 이 베이스판(10)의 둘레부에 수직 설치되는 다수개의 측판(20, 25)과, 이 측판(20, 25)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판(40)으로 이루어진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베이스판(10)과 측판(20, 25)은 돌출부와 오목부가 교호되어 이루어진 요철부(6)가 형성된 박판 형상의 세로재(2)와 가로재(4)가 교차되도록 조립되어 이루어지고, 서로 이웃한 상기 전후측판(20)과 좌우측판(25)의 측면부에는 각각 제1브라켓(50)과 제2브라켓(60)이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판(25)의 하단부에는 제3브라켓(70)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판(10)의 모서리부에는 제4브라켓(80)이 설치된다.
상기 제1브라켓(5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에 세로걸림부(53)와 가로걸림부(56)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세로걸림부(53) 방향으로 절곡된 후크 형상의 끼움결합부(58)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브라켓(50)은 그 일측의 세로걸림부(53)가 상기 전후측판(20)을 이루는 세로재(2)의 요철부(6)에 걸려짐과 동시에 상기 가로걸림부(56)가 전후측판(20)을 이루는 가로재(4)의 요철부(6)에걸려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후측판(20)을 이루는 세로재(2)와 가로재(4)를 종횡으로 배치하고, 상기 세로재(2)와 가로재(4) 사이에 상기 제1브라켓(50)의 세로걸림부(53)와 가로걸림부(56)를 개재시킨 다음, 상기 세로재(2)와 가로재(4)의 각각의 요철부(6)에 상기 제1브라켓(50)의 세로걸림부(53)와 가로걸림부(56)를 걸어서, 상기 세로재(2)와 가로재(4)의 접촉면을 스폿용접하게 되면, 상기 제1브라켓(50)을 별도의 용접 공정 등을 거치지 않고도 상기 전후측판(20)의 측면부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6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에 세로걸림부(53)와 가로걸림부(56)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세로걸림부(53) 방향으로 절곡 성형된 후크 형상의 고리부(66)가 만곡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2브라켓(60)은 상기 제1브라켓(50)과 같은 방법으로 상기 좌우측판(25)의 측면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2브라켓(60)을 별도의 용접 공정 등을 거치지 않고도 상기 좌우측판(25)의 측면부에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측판(20)의 측면부에 고정된 제1브라켓(50)의 끼움결합부(58)에 상기 좌우측판(25)의 측면부에 고정된 제2브라켓(60)의 고리부(66)를 끼움 결합함으로써, 서로 이웃한 상기 전후측판(20)과 좌우측판(25)을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베이스판(10)의 모서리에 제3브라켓(70)이 설치되는 상태의 배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브라켓(70)은 그 하단부에 세로걸림부(53)와 가로걸림부(56)가 형성되고, 상기 세로걸림부(53)와가로걸림부(56)의 상측는 베이스판(10)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절곡된 지지판부(78)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부(78)에는 내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된 수평받침부(78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부(78)의 내측에는 수평 방향의 힌지핀 삽입부(78)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이러한 제3브라켓(70)도 상기 제1 및 제2브라켓(60)과 같은 방법으로 베이스판(10)을 이루는 세로재(2)와 가로재(4) 사이에 개재되어 고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3브라켓(70)도 별도의 용접 공정 등을 거치지 않고도 상기 베이스판(10)의 네 모서리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4브라켓(8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에 세로걸림부(53)와 가로걸림부(5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로걸림부(53)와 가로걸림부(56)의 타측에는 상기 제3브라켓(70)의 힌지핀 삽입부(78)에 대응되는 힌지핀 삽입부(8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4브라켓(80)도 전술한 브라켓(50, 60, 70)들과 동일한 방법으로 별도의 용접 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상기 좌우측판(25)의 하단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10)에 고정설치된 제3브라켓(70)의 힌지핀 삽입부(78)와 상기 좌우측판(25)의 하단부에 고정된 제4브라켓(80)의 힌지핀 삽입부(88)를 관통하도록 힌지핀(1)을 삽입하게 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단 둘레부에 좌우측판(25)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좌우측판(25)을 힌지핀(1)을 중심으로 베이스판(10)으로 절첩시킬 수 있다.
상기 전후 및 좌우측판(25)의 상단부에는 상판(40)이 설치되고, 상기 측판(20, 25)을 이루는 세로재(2) 사이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중간세로재(2)가배치된다. 상기 상판(40)은 길이 방향을 따라 돌출부와 오목부가 교호되어 이루어어진 요철부(6)가 형성된 가로재(4)와 세로재(2)를 대략 십자형으로 조립하여 제작된 것으로, 상기 상판(40)의 가로재(4)와 세로재(2)의 단부는 상기 측판(20, 25)의 중간세로재(2)의 단부와 만나도록 구성되며, 상기 상판(40)의 가로재(4)와 세로재(2)의 단부와 중간세로재(2)의 단부는 상판연결부재(90)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판연결부재(90)는 상판(40)을 이루는 세로재(2)와 가로재(4)의 단부에 고정설치되며, 그 하측에는 하향삽입부(92)와 수평걸림부(94)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판연결부재(90)의 하향삽입부(92)를 중간세로재(2)의 요철부(6)에 삽입하고 상기 수평걸림부(94)를 측판(20, 25)을 이루는 가로재(4)의 요철부(6)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상판(40)을 측판(20, 25)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측판(20)과 이에 이웃한 좌우측판(25)의 상단 모서리에는 코너부재(100)가 설치된다. 이러한 코너부재(100)는 그 하측에 하향삽입부(102)와 수평걸림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하향삽입부(102)를 측판(20, 25)을 이루는 세로재(2)의 요철부(6)에 각각 삽입하고, 상기 수평걸림부(104)를 측판(20, 25)을 이루는 가로재(4)의 요철부(6)에 결합하면, 상기 코너부재(100)를 측판(20, 25)의 상단 모서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코너부재(100)에 의해 서로 이웃한 측판(20, 25)의 상단 모서리가 지지된다. 또한, 상기 코너부재(100)의 상측에는 스톱퍼(106)가 상측으로 수직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톱퍼(106)는 다수개의 수출포장박스를 적재할 때, 상기 수출포장박스의 베이스판(10)의 하측에 걸려짐으로써, 서로 적재된 수출포장박스가 전후좌우로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후측판(20)을 이루는 세로재(2) 중에서 중간에 배치된 중간세로재(2)의 하측에는 걸림편(8a)이 설치되고, 상기 중간세로재(2)의 하측에 대응되는 위치의 베이스판(10)에는 제1측판지지부재(110)가 설치된다. 이러한 제1측판지지부재(110)는 수직의 지지판부(116)와, 이 지지판부(116)의 하측에 형성된 세로걸림부(53)와 가로걸림부(56)와, 상기 지지판부(116)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걸림턱(118)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측판지지부재(110)도 상기 브라켓(50, 60, 70, 80)들과 마찬가지로 그 세로걸림부(53)와 가로걸림부(56)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10)에 고정 설치된다. 이렇게 베이스판(10)에 고정된 상기 제1측판지지부재(110)의 걸림턱(116)을 중간세로재(2) 하측의 걸림편(8a)에 걸어서, 상기 중간세로재(2)의 하측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후측판(20)의 하단 중앙부가 외측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판(25)을 이루는 중간세로재(2)의 하단부는 제2측판지지부재(120)에 의해 지지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측판지지부재(120)는 지지판부(126)와, 이 지지판부(126)의 하측에 설치된 세로걸림부(53)와 가로걸림부(56)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2측판지지부재(120) 또하나 상기 측판지지부재(110)와 같은 방법으로 베이스판(10)의 좌우측면에 고정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좌우측판(25)을 이루는 중간세로재(2)의 하측이 상기 제2측판지지부재(120)의 지지판부(116)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좌우측판(25)의 하단 중앙부가 외측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수출포장박스의 조립 및 해체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베이스판(10)에 고정설치된 제3브라켓(70)의 힌지핀 삽입부(78)와 상기 좌우측판(25)의 하단부에 고정된 제4브라켓(80)의 힌지핀 삽입부(88)를 관통하도록 힌지핀(1)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베이스판(10)의 상단 둘레부에 좌우측판(25)의 하단부를 결합한다. 이어서, 상기 좌우측판(25)의 측면부에 고정된 제2브라켓(60)의 고리부(66)를 상기 전후측판(20)의 측면에 고정된 제1브라켓(50)의 끼움결합부(58)에 원터치 결합하여, 상기 전후측판(20)과 좌우측판(25)을 연결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전후측판(20)은, 상기 좌우측판(25)과는 달리, 상기 베이스판(10)에 힌지핀(1)으로 결합되어 있지는 않고, 상기 제3브라켓(70)의 지지판부(78)에 의해 그 하단부 양측이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판(10)의 외측으로 밀려나지 않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전후측판(20)도 좌우측판(25)과 같이 상기 제3 및 제4브라켓(70, 80)에 의해 베이스판(10)에 결합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판(40)의 세로재(2)와 가로재(4)의 단부에 설치된 상판연결부재(90)의 하향삽입부(92)를 상기 측판(20, 25)을 이루는 세로재(2)의 요철부(6)에 끼움과 동시에 상기 상판연결부재(90)의 수평걸림부(94)를 상기 측판(20, 25)을 이루는 가로재(4)의 요철부(6)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상판(40)을측판(20, 25)의 상단부에 결합한다. 또한, 상기 코너부재(100)의 하향삽입부(102)를 측판(20, 25)을 이루는 세로재(2)의 요철부(6)에 끼움과 동시에 상기 코너부재(110)의 수평걸림부(104)를 측판(20, 25)을 이루는 가로재(4)의 요철부(6)에 끼워서, 상기 코너부재(100)에 의해 측판(20, 25)의 상단모서리부를 지지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상기 수출포장박스의 내부에 물품을 수납하고, 상기 수출포장박스를 다단으로 적재하여 수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출포장박스의 상단 모서리부에 설치된 코너부재(100)는 그 상면에 스톱퍼(106)가 상향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스톱퍼(106)는 수출포장박스를 적재하였을 때, 상기 베이스판(10)에 걸려지므로, 다단으로 적재된 수출포장박스가 전후좌우로 요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브라켓(50)의 끼움결합부(58)로부터 제2브라켓(60)의 고리부(66)를 분리하여 상기 좌우측판(25)으로부터 전후측판(20)을 분리한다. 이때, 상기 좌우측판(25)은 제3 및 제4브라켓(70, 80)의 힌지핀 삽입부(78, 88)에 삽입된 힌지핀(1)에 의해 베이스판(10)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좌우측판(25)을 상기 힌지핀(1)을 중심으로 베이스판(10)의 상면으로 접고, 상기 전후측판(20)은 상기 절첩된 좌우측판(25)의 상측에 적재한다. 그리고, 이렇게 콤팩트하게 접혀젼 상기 수출포장박스를 다단으로 적재하여 운반 및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서로 적재된 상기 수출포장박스의 둘레부는 상기 베이스판(10)의 모서리부에 설치된 제3브라켓(70)의 지지판부(78)에 의해 지지되므로, 전후좌우로 요동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3브라켓(70)의 지지판부(78)에는 내측으로 수평하게 절곡된 수평받침부(78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수출포장박스를 콤팩트하게 절첩시켜서 다단을 적재하였을 때, 상기 수출포장박스가 수평받침부(78a)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수출포장박스는 얇은 금속 플레이트를 성형 가공하여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목재로 된 수출포장박스에 비하여 코스트가 절감됨은 물론 목재 못지 않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상기 베이스판과 측판에 별도의 용접 공정없이 브라켓을 설치하고, 이 브라켓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과 측판을 착탈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제작 공정수가 줄어들어 경제적임은 물론 조립 및 해체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출포장박스는 베이스판에 측판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측판을 절첩시켜서 다단으로 적재하여 운반 및 보관할 수 있으므로, 운반 및 취급에 있어서 매우 용이함은 물론 다단으로 적재하여 다량으로 운반하므로 운송비 등의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베이스판(10)과, 이 베이스판(10)의 둘레부에 수직 설치되는 다수개의 측판(20, 25)과, 이 측판(20, 25)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상판(40)을 포함하는 수출포장박스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0)과 측판(20, 25)은 돌출부와 오목부가 교호되어 이루어진 요철부(6)가 형성된 박판 형상의 세로재(2)와 가로재(4)가 교차되도록 조립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측판(20)과 측판(25)의 연결부위 또는 상기 측판(20, 25)과 베이스판(10)의 연결부위에는 브라켓(50, 60, 70, 80)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50, 60, 70, 80)에 의해 서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50, 60, 70, 80)은 그 일측에 세로재(2)와 가로재(4)의 요철부(6)에 걸려지는 세로걸림부(53)와 가로걸림부(56)가 각각 돌출 형성되며, 서로 교차된 세로재(2)와 가로재(4) 사이에 상기 세로걸림부(53)와 가로걸림부(56)가 개재되어 세로재(2)와 가로재(4)의 요철부(6)에 각각 걸려져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포장박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40)을 이루는 가로재(4)와 세로재(2)의 단부에는 하향삽입부(92)와 수평걸림부(94)가 형성된 상판연결부재(90)가 설치되며, 상기 상판연결부재(90)의 하향삽입부(92)와 수평걸림부(94)를 측판(20, 25)을 이루는 세로재(2)와 가로재(4)의 요철부(6)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상판(40)을 측판(20, 25)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포장박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서로 이웃하도록 연결된 상기 측판(20, 25)의 상단 모서리에는 하향삽입부(102)와 수평걸림부(104)가 형성된 코너부재(100)가 설치되며, 상기 코너부재(100)의 하향삽입부(102)와 수평걸림부(104)를 상기 측판(20, 25)을 이루는 세로재(2)와 가로재(4)의 요철부(6)에 결합하여, 서로 이웃한 상기 측판(20, 25)의 상단 모서리를 상기 코너부재(100)에 의해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포장박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20, 25)의 하단부는 힌지핀(1)에 의해 상기 베이스판(10)에 결합되며, 상기 힌지핀(1)을 중심으로 측판(20, 25)을 베이스판(10)의 상면으로 절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출포장박스.
KR20-2002-0029644U 2002-10-04 2002-10-04 수출포장박스 KR2002990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644U KR200299017Y1 (ko) 2002-10-04 2002-10-04 수출포장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9644U KR200299017Y1 (ko) 2002-10-04 2002-10-04 수출포장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9017Y1 true KR200299017Y1 (ko) 2003-01-14

Family

ID=49397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9644U KR200299017Y1 (ko) 2002-10-04 2002-10-04 수출포장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901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977Y1 (ko) 2014-07-14 2015-12-07 김구환 적층식 포장 박스
KR102043918B1 (ko) * 2019-07-05 2019-11-12 김태윤 조립이 용이한 고강도 팔레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977Y1 (ko) 2014-07-14 2015-12-07 김구환 적층식 포장 박스
KR102043918B1 (ko) * 2019-07-05 2019-11-12 김태윤 조립이 용이한 고강도 팔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9371A (en) Three-sided, stackable material handling crate
EP0662426A1 (en) Folding crate for holding packages
LT5287B (lt) Pakrovimo antbriaunis
JP2000503283A (ja) パレット
US4629086A (en) Collapsible and stackable material handling container
KR200299017Y1 (ko) 수출포장박스
US20030057342A1 (en) Shipping base for appliances
US3442231A (en) Material handling container
US7090078B2 (en) Shipping frame for securely transporting an engine assembly
US2985332A (en) Collapsible container
KR20090030382A (ko) 물품포장용 파레트의 좌우판 조립구조
KR100717693B1 (ko) 포장박스용 프레임 구조
NZ543919A (en) Container and set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JP2978612B2 (ja) 梱包用の箱体
KR200453055Y1 (ko) 스틸박스
CA1226825A (en) Collapsible and stackable material handling container
KR200157554Y1 (ko) 팰릿
JPS6121380Y2 (ko)
SU761384A1 (ru) Ящичный поддон &#39; &#39; 1
KR200141987Y1 (ko) 목재 파렛트용 지지틀
JPH0730502Y2 (ja) リターナブルラック
KR101844150B1 (ko) 가변형 파렛트용 가드
HU218149B (hu) Csomagolás háztartási készülékek, különösen nagy villamos háztartási gépek számára
KR20170002122U (ko) 중량물 포장용 조립식 박스
JP2568024B2 (ja) 碍子梱包用の妻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