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247B1 - 변좌 세정장치, 이를 이용한 변좌 세정방법 및 변기 - Google Patents

변좌 세정장치, 이를 이용한 변좌 세정방법 및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247B1
KR100995247B1 KR1020100027801A KR20100027801A KR100995247B1 KR 100995247 B1 KR100995247 B1 KR 100995247B1 KR 1020100027801 A KR1020100027801 A KR 1020100027801A KR 20100027801 A KR20100027801 A KR 20100027801A KR 100995247 B1 KR100995247 B1 KR 100995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toilet seat
unit
pressure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7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일렛하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일렛하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일렛하우스
Priority to KR1020100027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247B1/ko
Priority to PCT/KR2011/001274 priority patent/WO2011122768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2Seats with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61L2/06Hot gas
    • A61L2/07Stea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oilet Supplies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변기를 청결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변좌의 표면을 세정하기 위한 변좌 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좌 세정방법 및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변좌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가 수용되는 저장용기, 상기 세정수를 급속 가열하여 스팀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가열유닛, 상기 가열유닛에서 배출되는 상기 스팀을 상기 변좌에 분사하기 위한 스팀분사유닛, 상기 세정수를 일정한 유량으로 상기 가열유닛에 공급하기 위한 유량조절유닛, 상기 세정수를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상기 유량조절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유닛,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유닛에 걸리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고압의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유량조절유닛으로부터 상기 세정수를 바이패스시켜 상기 저장용기로 안내함으로써 상기 유량조절유닛에는 상기 설정 압력이 걸리도록 하여 상기 세정수를 고압의 상태로 상기 가열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바이패스유닛을 포함하는 변좌 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좌 세정방법 및 변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변좌 세정장치, 이를 이용한 변좌 세정방법 및 변기{Washing apparatus for toilet seat, Wash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Toile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변좌 세정장치, 이를 이용한 변좌 세정방법 및 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살균기능을 갖는 세정수를 고온 고압의 스팀으로 변환시켜 변좌에 분사함으로써 상기 변좌의 청결함을 유지시킬 수 있는 변좌 세정장치, 이를 이용한 변좌 세정방법 및 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의 변좌는 오물뿐만 아니라 각종 세균에 오염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 변좌의 오물은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위생에도 좋지 좋지 못하다.
이에, 사용자는 변기를 사용하기 전에 휴지를 사용하여 상기 변좌를 닦은 후에 상기 변기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휴지를 사용하여 상기 변좌를 닦은 후에 상기 변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물이 제대로 닦이지도 않을뿐더러 상기 변좌의 세균은 그대로 남아있게 되어 위생이 불결하게 된다.
특히, 공중 화장실, 학교 화장실 등과 같이 불특정 다수의 사람이 사용하는 장소의 변기는 관리자의 관리상태가 소홀하기 때문에 더욱 불결한 상태에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살균기능을 갖는 세정수를 고온 고압의 스팀으로 변환시켜 변좌에 분사함으로써 상기 변좌의 청결함을 보다 효율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변좌 세정장치, 이를 이용한 변좌 세정방법 및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세정수를 항상 고압의 상태로 가열유닛으로 공급하여 세정수를 급속도로 스팀으로 변환시키고 고온 고압의 스팀을 상기 변좌에 분사시킬 수 있는 변좌 세정장치, 이를 이용한 변좌 세정방법 및 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변좌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가 수용되는 저장용기, 상기 세정수를 급속 가열하여 스팀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가열유닛, 상기 가열유닛에서 배출되는 상기 스팀을 상기 변좌에 분사하기 위한 스팀분사유닛, 상기 세정수를 일정한 유량으로 상기 가열유닛에 공급하기 위한 유량조절유닛, 상기 세정수를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상기 유량조절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유닛,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유닛에 걸리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고압의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유량조절유닛으로부터 상기 세정수를 바이패스시켜 상기 저장용기로 안내함으로써 상기 유량조절유닛에는 상기 설정압력이 걸리도록 하여 상기 세정수를 고압의 상태로 상기 가열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바이패스유닛을 포함하는 변좌 세정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바이패스 유닛은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유량 제어유닛을 연결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유량조절유닛에 걸리는 압력을 상기 설정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바이패스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압력조절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좌 세정장치는 상기 저장용기에 수용된 상기 세정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와,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외부로부터 상기 세정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수위조절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유닛은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세정수를 펌핑하는 전자펌프를 포함할 수 있으면, 상기 가열유닛은 고압으로 분사된 상기 세정수를 급속도로 가열하여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세라믹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저장용기에 수용된 세정수를 펌핑하여 유량조절유닛으로 공급하는 세정수 펌핑단계, 상기 유량조절유닛에 걸리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고압의 설정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압력유지단계, 상기 세정수를 상기 설정압력 상태로 가열유닛으로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단계, 상기 가열유닛으로 공급된 상기 세정수를 급속 가열하여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가열단계, 그리고, 상기 가열유닛에서 배출되는 스팀을 변좌에 분사하는 분사단계를 포함하는 변좌 세정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압력유지단계는 상기 유량조절유닛에 걸리는 압력이 상기 설정압력에 도달했는지 확인하는 압력확인단계와, 상기 유량조절유닛에 걸리는 압력이 상기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세정수를 상기 유량조절유닛에서 상기 저장용기로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좌 세정방법은 상기 저장용기에 수용된 상기 세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단계와, 상기 수위감지단계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외부로부터 상기 세정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수위조절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변기본체, 상기 변기본체에 구비되는 변좌를 덮는 변좌 뚜껑, 그리고 상기 변좌를 세정하기 위하여 세정수가 기화된 스팀을 상기 변좌에 분사하기 위한 변좌 세정장치를 포함하는 변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변좌 세정장치는 변좌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가 수용되는 저장용기, 상기 세정수를 급속 가열하여 스팀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가열유닛, 상기 가열유닛에서 배출되는 상기 스팀을 상기 변좌에 분사하기 위한 스팀분사유닛, 상기 세정수를 일정한 유량으로 상기 가열유닛에 공급하기 위한 유량조절유닛, 상기 세정수를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상기 유량조절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유닛,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유닛에 걸리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고압의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유량조절유닛으로부터 상기 세정수를 바이패스시켜 상기 저장용기로 안내함으로써 상기 유량조절유닛에는 상기 설정 압력이 걸리도록 하여 상기 세정수를 고압의 상태로 상기 가열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바이패스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좌 세정장치, 이를 이용한 변좌 세정방법 및 변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살균기능이 있는 세정수가 고온 고압 상태의 스팀으로 변환되어 변좌의 표면에 분사됨으로써 상기 변좌를 보다 효율적으로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바이패스유닛이 유량조절유닛에 걸리는 압력을 조절하게됨으로써 상기 유량조절유닛에서 가열유닛으로 항상 일정한 설정압력으로 상기 세정수를 분사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세정수가 급속 가열되어 스팀으로 변환된 후 항상 일정한 분사압으로 상기 변좌에 분사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바이패스유닛은 상기 유량조절유닛에 걸리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고압의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유량조절유닛으로부터 상기 세정수를 바이패스시켜 상기 저장용기로 안내함으로써 펌프유닛에 가해지는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상기 세정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와,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외부로부터 상기 세정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수위조절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세정수를 펌핑하는 펌프유닛에 안정적으로 상기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변기에 구비된 변좌 세정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변좌 세정장치게 구비된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럭도,
도 4는 도 2의 변좌 세정장치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도 5에 구비된 변좌 세정장치의 구성들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변좌 세정장치 및 상기 변좌 세정장치가 구비된 변기를 설명한다.
상기 변기는 변기본체(100), 상기 변기본체(100)에 구비되는 변좌(130)를 덮는 변좌뚜껑(140), 그리고 상기 변좌(130)를 세정하기 위한 변좌 세정장치(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변기는 일반 좌변기, 양변기뿐만 아니라 비데(Bidet)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변기본체(100)는 바닥면과 접촉하여 설치되는 변기 하부본체(110)와, 상기 변기 하부본체(110)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며 물이 저장되어 있는 변기 상부본체(120)를 포함한다.
상기 변좌(130)는 상기 변기 하부본체(110)의 상부에 설치되며,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엉덩이가 접촉하는 부분이다. 상기 변좌(130)는 상기 변기 하부본체(110)에 힌지결합되어 있다. 물론, 상기 변좌(130)는 상기 변좌 세정장치의 케이싱(210)의 표면에 힌지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변좌뚜껑(140)은 상기 변좌(130)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변좌(130)의 상면을 덮거나 개방시킬 수 있다. 물론, 상기 변좌뚜껑(140)도 상기 변좌 세정장치의 케이싱(201)의 표면에 힌지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변좌뚜껑(140)의 하면에는 상기 변좌(130)의 표면에 스팀을 분사하기 위한 스팀분사노즐(28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팀분사노즐(283)은 스팀이동배관(281)에 연결되고, 상기 스팀이동배관(281)은 상기 변좌 세정장치(200)에 구비된 가열유닛(240)과 연결된다.
상기 스팀분사노즐(283)과 상기 스팀이동배관(281)은 상기 변좌뚜껑(14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스팀분사노즐(283)과 상기 스팀이동배관(281)이 별도의 고정장치에 의하여 상기 변좌뚜껑(14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좌뚜껑(140)의 하부에는 상기 변좌뚜껑(140)의 하면과 상기 변좌(130)의 상면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지지돌기(141)가 구비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지지돌기(141)는 상기 변좌(130)의 상면과 상기 변좌뚜껑(140)의 하면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형성하여 상기 스팀분사노즐(283)에서 분사되는 스팀이 상기 변좌(130)의 상면에 골고루 퍼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변좌뚜껑(140)에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제1 근접센서(277)와, 상기 변좌뚜껑(140)이 상기 변좌(130)로부터 개방된 상태인지 덮힌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제2 근접센서(275)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근접센서(275)는 상기 변좌(130)로부터 상기 변좌뚜껑(140)의 이탈여부를 판단하기 용이하도록 상기 변좌(130)와 대향하는 상기 변좌뚜껑(140)의 저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상기 제1 근접센서(277)는 상기 변좌뚜껑(140)뿐만 아니라, 상기 변좌(130)나 상기 변기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변좌 세정장치(200)는 상기 변좌(130)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가 수용되는 저장용기(210), 상기 세정수를 급속 가열하여 스팀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가열유닛(240), 상기 가열유닛(240)에서 배출되는 상기 스팀을 상기 변좌(130)에 분사하기 위한 스팀분사유닛(28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변좌 세정장치는 상기 세정수를 일정한 유량으로 상기 가열유닛(240)에 공급하기 위한 유량조절유닛(230), 상기 세정수를 상기 저장용기(210)로부터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으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유닛(220),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에 걸리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세정수를 상기 저장용기(210)로 바이패스시킬 수 있는 바이패스유닛(2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세정수는 물과 세정액(살균제)의 혼합액이 바람직하며, 액상의 방향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정액은 액상의 수용성이며 증기로 상변환되어 분사가능하고 살균기능을 구비한 것이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저장용기(210)는 상기 변좌 세정장치의 케이싱(201)의 내부에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저장용기(210)에는 상기 세정수가 항상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면서 수용되어 있다. 상기 저장용기(21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세정수가 출입하는 입구와 출구가 형성된 상태로 상기 저장용기(210)의 상면이 막힌 박스형상을 가질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펌프유닛(220)은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세정수를 펌핑하는 전자펌프(221)와, 상기 전자펌프(221)가 설치되는 브래킷(223)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펌프(221)는 제어부(260)에서 발생하는 구형파에 의하여 제어되면서 일정간격으로 상기 세정수를 펌핑하게 된다.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은 유량조절유닛 케이스(233)와 상기 유량조절유닛 케이스(233)내에 설치되며 상기 펌프유닛(220)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조절밸브(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유량조절유닛 케이스(233)에는 상기 펌프유닛(220)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세정수가 유입되는 입구부(231)와, 상기 가열유닛(240)으로 상기 세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1 배출부()23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량조절유닛 케이스(233)의 일측에는 상기 바이패스유닛(250)으로 상기 세정수를 배출하기 위한 제2 배출부(237)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열유닛(240)은 상기 세정수를 가열하기 위한 세라믹 히터(247), 상기 세라믹 히터(247)를 수용하는 히터 케이스(245), 상기 세라믹 히터(247)의 온도를 센싱하는 온도센서(244), 그리고 상기 세라믹 히터(247)에 가해지는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과부하 퓨즈(246)를 포함한다.
상기 세라믹 히터(247)는 세라믹 PCT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를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세라믹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세정수를 가열할 수 있는 히터라면 모두 사용가능하다.
상기 히터 케이스(245)에는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으로 공급되는 세정수가 유입되는 히터 케이스 입구부(241)와, 상기 세정수가 상변화된 스팀을 상기 스팀분사유닛(280)으로 배출하기 위한 히터 케이스 출구부(14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히터 케이스 입구부(241)에는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상기 세라믹 히터(247)에 골고루 분사시키기 위한 필터부재(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스팀분사유닛(280)은 앞서 설명한 상기 스팀분사노즐(283)과 상기 스팀이동배관(281)을 포함한다. 상기 스팀이동배관(281)은 상기 히터 케이스 출구부(243)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스팀분사노즐(283)은 상기 스팀이동배관(281)과 연결되어 상기 스팀을 상기 변좌(130)에 고온 고압으로 분사하게 된다.
상기 바이패스유닛(250)은 상기 저장용기(210)와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을 연결하는 바이패스관(253)과, 상기 바이패스관(253) 상에 설치되어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에 걸리는 압력을 미리 설정된 설정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바이패스관(253)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압력조절밸브(255)를 포함한다.
상기 바이패스관(253)은 상기 압력조절밸브(255)와 상기 유량조절유닛(230)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바이패스관(251)과, 상기 압력조절밸브(255)와 상기 저장용기(210)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바이패스관(25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압력조절밸브(255)는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에 걸리는 압력이 상기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개방되어, 상기 세정수가 상기 바이패스관(253)을 따라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으로부터 상기 저장용기(210)로 이동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에 걸리는 압력을 낮혀줌으로써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으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상기 펌프유닛(220)에 가해지는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만약에,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에 걸리는 압력이 상기 설정압력 미만인 경우이면, 상기 압력조절밸브(255)는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에 걸리는 압력이 상기 설정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닫혀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바이패스유닛(250)은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에 상기 설정압력이 일정하게 걸리도록 하여 상기 세정수를 고압의 상태로 상기 가열유닛(240)으로 공급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변좌 세정장치는 상기 저장용기(210)에 수용된 상기 세정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271)와, 상기 수위센서(271)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외부로부터 상기 세정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수위조절밸브(27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수위센서(271)는 상기 저장용기(210)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수위조절밸브(273)는 외부에 설치되는 세정수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저장용기(210)로 상기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연결관로(291) 상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수위조절밸브(273)는 외부의 물 공급부와 연결되고, 상기 저장용기에는 별도의 세정액 공급유닛이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변좌 세정장치(200)에는 상기 저장용기(210)에 수용된 세정수와 상기 펌프유닛(220)을 연결하는 제2 연결관로(292)와, 상기 펌프유닛(220)과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을 연결하는 제3 연결관로(293)와, 상기 유량조절유닛(230)과 상기 가열유닛(240)을 연결하는 제4 연결관로(294)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4 연결관로(294)는 상기 가열유닛(240)에 상기 세정수를 고압으로 전달하기 위한 통로로서 상기 제4 연결관로(294)의 직경은 상기 제3 연결관로(293)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제1 근접센서(277), 상기 제2 근접센서(275), 상기 수위센서(271), 상기 온도센서(244), 상기 수위조절밸브(273), 상기 유량조절유닛(230), 상기 바이패스유닛(250), 상기 가열유닛(240)과 연결되어 이들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좌 세정장치의 작동 흐름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변기에 접근을 하게 되면, 상기 제1 근접센서(277)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게 된다(S100). 사용자가 상기 변기에 접근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제2 근접센서(275)는 상기 변좌뚜껑(140)이 상기 변좌(130)에 덮힌 상태인가를 감지하게 된다(S200).
만약, 상기 변좌뚜껑(140)이 상기 변좌(130)로부터 개방된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260)는 '변좌 뚜껑을 닫을 것'을 주문하는 안내방송을 제공하게 된다(S210). 이를 위해, 상기 변좌 세정장치는 상기 제어부(260)가 제공하는 안내메시지를 출력하는 스피커(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좌뚜껑(140)이 상기 변좌(130)를 닫고 있는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펌프유닛(220)을 작동시켜 상기 세정수가 상기 저장용기(210)로부터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세정수 펌핑단계를 수행한다(S300).
다음으로,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에 걸리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고압의 설정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압력유지단계가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세정수가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으로 공급되면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에 걸리는 압력, 즉 측정압력이 상기 설정압력에 도달했는지 확인하는 압력확인단계가 수행된다(S410).
이후에,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에 걸리는 측정압력이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서 상기 세정수를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에서 상기 저장용기(210)로 바이패스 시킬지를 결정하게 된다(S420).
여기서, 상기 측정압력이 상기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압력조절밸브(255)가 개방되어 상기 세정수가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에서 상기 저장용기(210)로 바이패스되는 과정이 수행된다.(S411, S421)
만약에, 상기 측정압력이 상기 설정압력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압력조절밸브(255)는 폐쇄되고, 상기 펌프유닛(220)으로부터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으로 상기 세정수가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과정이 수행된다(S413, S423).
다음으로,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에 걸리는 압력이 상기 설정압력과 동일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세정수가 상기 유량조절유닛(230)으로부터 상기 가열유닛(240)으로 공급되는 세정수 공급단계가 수행된다(S500).
여기서, 고압의 세정수가 상기 가열유닛(240)으로 분사됨으로써 상기 가열유닛(24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스팀이 상기 변좌(130)에 강한 분사압으로 분사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스팀이 상기 변좌(130)의 표면에 넓게 분사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상기 변좌(130)가 세정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열유닛(240)으로 공급된 세정수가 급속가열되어 스팀으로 변환되는 가열단계가 수행된다(S600).
마지막으로, 상기 가열유닛에서 배출되는 스팀이 상기 변좌(130)에 분사되는 스팀분사단계가 수행된다(S700).
한편, 상기 변좌 세정장치의 작동 흐름 중에는 상기 저장용기에 수용된 상기 세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단계와, 상기 수위감지단계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외부로부터 상기 세정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수위조절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용기에 수용된 상기 세정수의 수위를 항상 일정범위에서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세정수가 상기 펌프유닛에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좌 세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변좌 세정장치는 상술한 일 실시예의 변좌 세정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인한 저장용기(210), 펌프유닛(220), 유량조절유닛(230), 바이패스유닛(250), 가열유닛(240), 스팀분사유닛(280), 제어부(26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술한 구성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변조 세정장치는 상술한 일 실시예와는 달리 스팀이 분사된 후에 고온의 건조공기를 변좌에 분사하기 위한 공기분사유닛(310), 상기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공기가열히터(320) 및 상기 공기를 외부로부터 흡입하여 송풍하기 위한 팬모터 어셈블리(3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330)는 제어부(260)와 연결되어 있으며, 스팀분사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제어부(260)의 신호에 따라 작동하게 된다.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330)에 의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가열히터(320)를 경유하면서 고온의 건조공기로 가열된다. 물론, 상기 공기가열히터(320)로는 세정수를 가열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세라믹 히터를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기가열히터(32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건조공기는 상기 공기분사유닛(310)에 의하여 상기 변좌(130)에 일정시간 동안 분사된다. 상기 공기분사유닛(310)은 변좌뚜껑(140)의 하부면에 설치되는 공기분사노즐(313)과, 상기 공기분사노즐(313)과 상기 공기가열히터(320)를 연결하는 공기이동배관(311)을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고온의 건조공기가 상기 팬모터 어셈블리(330)의 송풍력에 의하여 상기 변좌(130)의 표면에 분사되게 된다. 물론, 상기 건조공기를 고압으로 분사하기 위하여 상기 건조공기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별도의 유량조절유닛 및 바이패스유닛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변좌 세정장치에 의하면, 일차적으로는 상기 변좌(130)를 스팀으로 세정하고, 이차적으로는 고온의 건조공기로 살균함과 동시에 스팀으로 인한 습기를 제거함으로써 변기가 청결하고 건조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변좌 세정장치는 외부로부터 저장용기로 물이 공급될때 세정액도 함께 공급되도록 하기 위하여 별도로 구비되는 세제공급유닛(279)을 더 포함한다.
수위센서(271)에서 감지된 세정액의 수위에 대한 정보가 상기 제어부(260)로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260)는 수위조절밸브(273)를 개방하여 물이 외부로부터 저장용기(210)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260)는 상기 세제공급유닛(279)을 제어하여 상기 물에 세정액이 혼합될 수 있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물과 세정액이 혼합된 세정수가 상기 저장용기(210)로 공급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변기본체 110: 변기 하부본체
120: 변기 상부본체 130: 변좌
140: 변좌 뚜껑 200: 변좌 세정장치
210: 저장용기 220: 펌프유닛
230: 유량조절유닛 240: 가열유닛
250: 바이패스유닛 260: 제어부
271: 수위센서 273: 수위조절밸브
280: 스팀분사유닛 310: 공기분사유닛
320: 공기가열히터 330: 팬모터 어셈블리

Claims (7)

  1. 변좌를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가 수용되는 저장용기;
    상기 세정수를 급속 가열하여 스팀으로 변환시키기 위한 가열유닛;
    상기 가열유닛에서 배출되는 상기 스팀을 상기 변좌에 분사하기 위한 스팀분사유닛;
    상기 세정수를 일정한 유량으로 상기 가열유닛에 공급하기 위한 유량조절유닛;
    상기 세정수를 상기 저장용기로부터 상기 유량조절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유닛;
    상기 유량조절유닛에서 배출되는 세정수를 상기 가열유닛에 전달하되, 상기 펌프유닛과 유량조절유닛을 연결하는 관로보다 가늘게 형성되어 고압으로 전달하기 위한 연결관로; 그리고,
    상기 유량조절유닛에 걸리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고압의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유량조절유닛으로부터 상기 세정수를 바이패스시켜 상기 저장용기로 안내함으로써 상기 유량조절유닛에는 상기 설정 압력이 걸리도록 하여 상기 세정수를 고압의 상태로 상기 가열유닛으로 공급하기 위한 바이패스유닛을 포함하는 변좌 세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유닛은 상기 저장용기와 상기 유량 제어유닛을 연결하는 바이패스관과, 상기 바이패스관 상에 설치되어 상기 유량조절유닛에 걸리는 압력을 상기 설정압력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바이패스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압력조절밸브를 포함하는 변좌 세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에 수용된 상기 세정수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수위센서와, 상기 수위센서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외부로부터 상기 세정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수위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변좌 세정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유닛은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세정수를 펌핑하는 전자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유닛은 고압으로 분사된 상기 세정수를 급속 가열하여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세라믹 히터를 포함하는 변좌 세정장치.
  5. 저장용기에 수용된 세정수를 펌핑하여 유량조절유닛으로 공급하는 세정수 펌핑단계;
    상기 유량조절유닛에 걸리는 압력이 미리 설정된 고압의 설정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압력유지단계;
    상기 세정수를 상기 압력유지단계에서 보다 좁은 관로를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설정압력 상태를 유지하면서 가열유닛으로 공급하는 세정수 공급단계;
    상기 가열유닛으로 공급된 상기 세정수를 급속 가열하여 스팀으로 변환시키는 가열단계; 그리고,
    상기 가열유닛에서 배출되는 스팀을 변좌에 분사하는 스팀분사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유지단계는 상기 유량조절유닛에 걸리는 압력이 상기 설정압력에 도달했는지 확인하는 압력확인단계와, 상기 유량조절유닛에 걸리는 압력이 상기 설정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세정수를 상기 유량조절유닛에서 상기 저장용기로 바이패스 시키는 바이패스단계를 포함하는 변좌 세정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에 수용된 상기 세정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단계와, 상기 수위감지단계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외부로부터 상기 세정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수위조절단계를 더 포함하는 변좌 세정방법.
  7. 변기본체;
    상기 변기본체에 구비되는 변좌를 덮는 변좌 뚜껑; 그리고,
    상기 변좌를 세정하기 위하여 세정수가 기화된 스팀을 상기 변좌에 분사하기 위한 상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변좌 세정장치를 포함하는 변기.
KR1020100027801A 2010-03-29 2010-03-29 변좌 세정장치, 이를 이용한 변좌 세정방법 및 변기 KR100995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801A KR100995247B1 (ko) 2010-03-29 2010-03-29 변좌 세정장치, 이를 이용한 변좌 세정방법 및 변기
PCT/KR2011/001274 WO2011122768A2 (ko) 2010-03-29 2011-02-23 변좌 세정장치, 이를 이용한 변좌 세정방법 및 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7801A KR100995247B1 (ko) 2010-03-29 2010-03-29 변좌 세정장치, 이를 이용한 변좌 세정방법 및 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5247B1 true KR100995247B1 (ko) 2010-11-18

Family

ID=43409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7801A KR100995247B1 (ko) 2010-03-29 2010-03-29 변좌 세정장치, 이를 이용한 변좌 세정방법 및 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95247B1 (ko)
WO (1) WO2011122768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354B1 (ko) 2012-01-11 2013-04-08 황현준 스팀 살균 기능을 가지는 비데
WO2022081087A1 (en) * 2020-10-13 2022-04-21 Rigel Technology (S) Pte. Ltd. Toilet seat and cov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4507B1 (en) 2014-08-27 2017-07-25 Jose L. Snell Toilet cleaner spray hose and deodoriz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746A (ja) * 2001-10-11 2003-04-22 Mariko Anzai 洋式便器に於ける便座洗浄装置
KR200311836Y1 (ko) 2002-11-26 2003-05-09 윤한철 스팀살균 좌변기 커버
JP2004324252A (ja) 2003-04-25 2004-1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衛生洗浄装置
KR100467911B1 (ko) * 2002-04-11 2005-01-24 (주) 지엔티 좌변기용 시트의 자동 살균 세척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16746A (ja) * 2001-10-11 2003-04-22 Mariko Anzai 洋式便器に於ける便座洗浄装置
KR100467911B1 (ko) * 2002-04-11 2005-01-24 (주) 지엔티 좌변기용 시트의 자동 살균 세척 시스템
KR200311836Y1 (ko) 2002-11-26 2003-05-09 윤한철 스팀살균 좌변기 커버
JP2004324252A (ja) 2003-04-25 2004-1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衛生洗浄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0354B1 (ko) 2012-01-11 2013-04-08 황현준 스팀 살균 기능을 가지는 비데
WO2022081087A1 (en) * 2020-10-13 2022-04-21 Rigel Technology (S) Pte. Ltd. Toilet seat and cov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122768A3 (ko) 2012-03-08
WO2011122768A2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0789C (en) An apparatus for drying and sanitizing hands
KR20080026208A (ko) 스팀장치에 사용하기 위한 보일러 시스템
JPS6027295B2 (ja) 手洗装置
JP2016205125A (ja) トイレ設備
KR101897245B1 (ko) 코핸드워시 드라이장치
KR100995247B1 (ko) 변좌 세정장치, 이를 이용한 변좌 세정방법 및 변기
WO1997003255A1 (en) Warm-water washing apparatus
KR101303449B1 (ko) 노즐 살균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비데
AU2006246037B2 (en) Process and system for the disposal of excretion containers
KR101191973B1 (ko) 좌변기용 변좌 세정액 분사장치
KR100585485B1 (ko) 비데 변좌 및 변기 제균장치
KR101683151B1 (ko) 자동 손 세척장치
JP2004313933A (ja) 霧洗浄器
KR100650055B1 (ko) 마이크소독기
JPH0417835A (ja) 内視鏡洗浄消毒装置
KR101250354B1 (ko) 스팀 살균 기능을 가지는 비데
JP2009225888A (ja) 浴室殺菌システム
KR20090025013A (ko) 비데
KR20090016751A (ko) 휴지 수분공급장치
US20230279600A1 (en) System for automatically washing and drying a reusable diaper
JP6709976B2 (ja) 便器装置
KR20140087347A (ko) 변좌 세척기능이 구비된 비데 및 그 제어방법
JP2004116151A (ja) 衛生洗浄装置
KR200333887Y1 (ko) 소독약액이 분사되는 온풍 손 살균 건조기
KR20100065602A (ko) 탈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