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5602A - 탈취 장치 - Google Patents

탈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5602A
KR20100065602A KR1020080124002A KR20080124002A KR20100065602A KR 20100065602 A KR20100065602 A KR 20100065602A KR 1020080124002 A KR1020080124002 A KR 1020080124002A KR 20080124002 A KR20080124002 A KR 20080124002A KR 20100065602 A KR20100065602 A KR 20100065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odorizing
gas
deodorant
generating unit
gas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규
Original Assignee
박민규
박노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민규, 박노송 filed Critical 박민규
Priority to KR1020080124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5602A/ko
Publication of KR20100065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6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5Vaporisers for active compon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거공간 또는 변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 장치로서, 토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어 탈취액을 수용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로부터 탈취액을 제공받아 탈취기체를 생성하며, 상기 탈취기체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주거공간 또는 변기로 토출시키는 기체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냄새, 악취, 탈취

Description

탈취 장치{DEODORIZING APPARATUS FOR ELIMINATING ODORS}
본 발명은 탈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공간에서 냄새는 그 내부에 거주하는 사람의 기분을 좌우할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의 증감, 업무나 학습 능률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 때문에, 사무실, 주거용 거실 및 화장실 등과 같은 주거공간에 고체나 액체상태의 방향제를 장착하여 공기 중에 자연 발현시키거나 분사하여 악취 제거 및 탁한 실내 분위기를 정화하고 있다.
상기 주거공간에서 주로 사용되는 탈취 장치로는, 용기나 접시등에 향액을 담은 상태에서 자연 증발시키거나 심지를 향액에 함침시켜 자연발현하는 장치와, 전열기구를 이용하여 향을 훈증하는 장치와, 전동기와 팬을 구비하여 향을 확산시키는 장치 등이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탈취 장치들에서 발현하는 향은 그 장치들과 비교적 가까운 거리 내에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주거공간의 악취와 실내의 탁한 분위기를 제대로 정화할 수 없으므로, 그 효율성과 실용성에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화장실에 구비되는 변기는 사용자가 배설물을 처리하기 위한 필수적인 위생 설비이지만, 사용자가 배설물을 처리한 후에는 변기 내부에서 배설물로 인한 악취가 심하게 풍기게 된다.
이러한 변기에서 발생되는 냄새 및 인체의 배설물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하여 변기와 인접한 벽면이나 선반에 향을 발현하는 탈취 장치가 구비된다.
하지만, 탈취 장치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변기에서 배설물의 처리를 마친 후에 사용하게 되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배설물을 처리하는 동안에는 배설물로 인한 악취가 변기 내에서 지속적으로 풍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거공간 전체에 탈취성분이 골고루 퍼지게 하여 주거공간의 악취와 탁한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정화하도록 하는 탈취 장치를 제공하는데 제 1목적이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배설물을 처리하는 동안에도 배설물로 인한 악취가 변기 내에서 풍기지 않게 하는 탈취 장치를 제공하는데 제 2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주거공간 또는 변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 장치로서, 토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어 탈취액을 수용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로부터 탈취액을 제공받아 탈취기체를 생성하며, 상기 탈취기체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주거공간 또는 변기로 토출시키는 기체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저장부와 상기 기체생성부는 서로 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의 배출구는 상기 배관의 일측과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구에는 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체생성부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탈취액을 공급받아 수용하는 저장조와, 초음파 발생으로 상기 탈취액을 기화시키도록 상기 저장조의 내부에 구비되는 진동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체생성부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탈취액을 공급받아 수용하는 저장조와, 상기 탈취액을 가열하여 기화시키도록 상기 저장조의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조는 상기 탈취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체생성부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탈취액을 상기 토출구 측으로 가압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가압된 탈취액을 제공받아 상기 토출구의 외부로 분무시키는 노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노즐은 상기 주거공간 또는 변기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펌프와 호스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변기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굴곡 형성된 훅크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체생성부는 상기 변기 사용의 유/무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 또는 압력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탈취기체를 상기 본체 외부로 강제 토출시키는 송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송풍부는 상기 기체생성부에서 생성된 탈취기체를 상기 토출구로 이송하도록 상기 기체생성부에 구비되는 제 1팬과, 상기 제 1팬을 통해 이송된 상기 탈취기체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도록 상기 토출구와 마주하는 제 2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탈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와 같이 탈취 장치와 비교적 가까운 거리 내에만 탈취성분의 영향이 미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은 주거공간 전체에 탈취성분을 골고루 퍼지게 하여 주거공간의 악취와 탁한 분위기를 확실히 정화시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탈취 장치는 이동이 간편하며, 비교적 넓은 공간에서도 효율적으로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탈취 장치를 변기에 사용하게 되면, 사용자가 변기를 이용해 배설물을 처리하는 동안에도 종래와 같이 자신의 배설물로 인해 악취가 풍기지 않으므로, 항시 쾌적한 환경에서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장치의 실시예에서 본체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장치의 실시예에서 본체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장치의 실시예에서 저장부와 기체생성부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장치의 실시예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장치(10)는 본체(20), 저장부(30) 및 기체생성부(70) 등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본체(20)는 토출구(21)를 가지며, 이 본체(20)의 내부는 저장부(30)와 기체생성부(70) 등을 수용하기 위한 중공부를 가진다.
본체(20)는 후면에 저장부(30)를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도어(24)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20)는 주거공간에서 본 탈취 장치(10)의 이동이 쉽도록 양 측면에 손잡이(22)를 가진다.
상기 저장부(30)는 본체(20) 내에 구비되고 탈취액을 수용한다.
본 발명에서 저장부(30)는 아로마액 또는 식물추출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탈취액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탈취액은 나노베이퍼(nanovapor)사에서 개발한 탈취액(www.nanovapor.com참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저장부(30)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에서, 저장부(30)는 제 1저장부(30a) 및 제 2저장부(30b)로 이루어진다. 실시예와 같이, 제 1저장부(30a) 및 제 2저장부(30b)를 구비한다면, 저장부가 하나일 때 보다 탈취액의 저장량을 두 배로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탈취액을 자주 충진할 필요없이 장치(10)를 장기간 가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저장부(30)의 배출구(31)에는 밸브가 더 구비된다.
실시예에서, 밸브는 가압밸브(40)로서 저장부(30)로부터 탈취액의 배출량을 소량씩 배출하도록 조절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밸브(40)는 케이스(46), 접촉판(41), 개폐판(45), 로드(44), 스프링(43) 및 가이드(42) 등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케이스(46)는 저장부(30)가 액체배출구(31)부터 끼워져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저장부(30)와 접촉하는 부위가 오목하게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액체배출구(31)와 연통하는 유로(47)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판(41), 로드(44) 및 개폐판(45)은 일체로 형성되되, 접촉판(41)은 하기된 결속부(60)의 지지판(61)과 접촉되면서 상부로 동작하고, 로드(44)는 접촉판(41)의 상면에 고정되어 접촉판(41)의 동작과 함께 상부로 연동되며, 개폐판(45)은 상기 로드(44)와 더불어 상부로 연동되면서 저장부(30)의 액체배출구(31)와 연통되는 케이스(46) 내의 유로(47)를 개방한다.
그리고 스프링(43)은 로드(44)의 외주면에 코일형으로 구비되고, 접촉판(41)의 상면과 케이스(46)의 내부에 형성된 턱(48)의 하부를 탄력적으로 지지한다.
가이드(42)는 접촉판(41)이 하기된 결속부(60)의 지지판(61)에 안정적으로 접촉되게 안내하는 것으로, 스프링(43)과 접촉판(41)의 외부에 원통형으로 구비된다.
한편, 결속부(60)는 저장부(30)의 배출구(31)가 가압밸브(40)에 끼워진 상태로 안착되는 것이다.
실시예에서, 결속부(60)는 기체생성부(70)와 연결된 제 1배관(50)의 일측 끝단에 구비된다. 이 결속부(60)는 가압밸브(40)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상면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결속부(60)의 내부는 제 1배관(50)과 연통되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 내에는 평탄한 지지판(61)이 구비된다.
여기서, 가압밸브(40)의 접촉판(41)이 지지판(61)에 접촉했을 경우, 가압밸 브(40)의 구체적인 동작은 하기와 같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밸브(40)의 개폐판(45)이 저장부(30)의 배출구(31)와 연통되는 유로(47)를 차단한 상태에서, 배출구(31)에 끼워진 가압밸브(40)를 결속부(60)에 삽입시키게 되면, 가압밸브(40)는 도 3b의 상태가 된다.
도 3b에서, 가압밸브(40)의 접촉판(41)이 결속부(60)의 지지판(61)과 접촉하면, 상기 접촉판(41)은 상부로 이동하고, 이 접촉판(41)과 연동되는 로드(44)와 개폐판(45)도 역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개폐판(45)이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케이스(46)의 유로(47)가 개방되면서 저장부(30)에 수용된 탈취액이 소량으로 배출구(31)를 통해 결속부(60)로 유입될 수 있다.
기체생성부(70)는 저장부(30)로부터 탈취액을 제공받아 탈취기체를 생성하며, 상기 본체(20)의 토출구(21)를 통해 탈취기체를 주거공간으로 토출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체생성부(70)는 상기 가압밸브(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결속부(60)에 수용된 탈취액을 상기 제 1배관(50)을 통해 탈취액을 공급받는다.
이 때, 기체생성부(70)는 결속부(60)와 거의 동일한 높이에서 나란하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기체생성부(70)가 상기 결속부(60)와 나란하게 구비되어야 하는 이유는, 가압밸브(40)의 개방으로 저장부(30)로부터 탈취액을 일정량의 탈취액을 지속적으로 제공받은 결속부(60) 내부의 탈취액 수위와 상기 결속부(60)로부터 제 1배관(50)을 통해 탈취액을 제공받은 기체생성부(70) 내부의 탈취액 수위가 대기압 차에 의해 서로 동일한 수위로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예에서, 기체생성부(70)는 저장조(71)와 진동자(72) 등으로 구성된다.
먼저, 저장조(71)는 제 1배관(50)으로부터 제공된 탈취액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중공을 가지며, 측면에 제 1배관(50)과 연결된 액체인입구(73)를 가지고, 진동자(72)가 구비되는 면의 상부에는 제 2배관(51)과 연결된 기체인출구(74)를 가진다.
이러한 저장조(71)는 탈취액의 수위를 감지하도록 내부에 수위감지센서를 가진다.
도 4에서는, 저장조(71) 내부에 수용된 탈취액의 부족상태를 감지하는 저수위감지센서(75)가 구비된다.
상기 저수위감지센서(75)에서 탈취액의 부족상태가 감지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위감지센서(75)는 감지된 신호를 진동자제어부(76)에 제공하고, 상기 진동자제어부(76)는 전원(78)으로부터 전원회로(77)에 제공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진동자(72)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이렇게 저수위감지센서(75)가 탈취액을 부족상태를 감지하게 되면, 유체가 부족한 상태에서 진동자가 작동되어 파손되거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저장조(71) 내에는 저수위감지센서(75)와 더불어 탈취액의 공급 과잉을 방지하도록 고수위감지센서(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 고수위감지센서는 저장부(30)의 배출구(31)에 상기 결속부(60)로 탈취액을 소량으로 배출하는 가압밸브(40)가 구비되지 않아서 상기 결속부(60)로 제공되는 탈취액의 배출량을 조절하지 못할 경우, 상기 결속부(60)에서 저장조(71)로 제공되는 탈취액이 일정 수준이상으로 과잉된 상태라면, 이 상태를 감지하므로서 상기 저장조(71)로부터 탈취액이 흘러 넘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수위감지센서에서 저장조(71) 내에 수용된 탈취액의 공급 과잉이 감지되면 저수위감지센서(75)와 마찬가지로, 고수위감지센서는 감지된 신호를 진동자제어부(76)에 제공하고, 진동자제어부(76)는 전원(78)으로부터 전원회로(77)에 제공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진동자(72)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아울러, 도면에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진동자제어부(76)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LED 또는 스피커 등과 같은 표시수단을 통해 불빛 또는 소리로서 사용자에게 탈취액의 부족을 알릴 수도 있다.
상기 진동자(72)는 전원의 인가와 더불어 초음파를 발생시켜 탈취액을 기화시키는 것으로, 저장조(71)의 일측 하단에 구비된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는 진동자(72)를 대신해 탈취액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여 기화시키므로서 탈취기체를 생성하는 히터를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아울러, 도면에 별도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기체생성부(70)는 저장부(30)에서 공급되는 탈취액을 가압하는 펌프와, 이 펌프에 의해 가압된 탈취액을 제공받아서 토출구(21)를 향해 분무시키는 노즐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노즐은 주거 공간에서 악취의 근원지에 근접할 수 있도록 상기 펌프와 호스로 연결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장치(10)는 송풍부(80)를 더 포함한다.
이 송풍부(80)는 토출구(21)를 통해 탈취기체를 상기 본체(20) 외부로 강제 토출시킨다.
실시예에서, 송풍부(80)는 제 1팬(81)과 제 2팬(82)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제 1팬(81)은 기체생성부(70)의 측면에 구비된다. 이 제 1팬(81)은 소형 프로펠러로 이루어진다. 제 1팬(81)은 지속적인 회전으로 본체(20) 하부에 형성된 공기흡입구(23a)로 공기를 흡입하고, 이 공기흡입구(23a)로 흡입된 공기에 의한 송풍력으로 기체배출구(74)측에서 배출되는 탈취기체를 제 2배관(51)으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제 2팬(82)은 본체(20)의 토출구(21) 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제 1팬(81)보다 강한 송풍력을 가지도록 크로스 플로우 팬(cross flow fan)으로 이루어진다.
제 2팬(82)은 지속적인 회전으로 본체(20) 상부에 형성된 공기흡입구(23b)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이 공기흡입구(23b)로 흡입된 공기에 의한 송풍력으로 제 2배관(51)의 끝단으로 배출되는 탈취기체를 주거공간으로 토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장치(10)의 동작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저장부(30)를 결속부(60)에 결합시키면 저장부(30)의 배출구(31)에 구비된 가압밸브(40)가 개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압밸브(40)가 개방되면, 저장부(30)에 수용된 탈취액이 결속부(60)로 일정량으로 인입되고, 결속부(60)로 인입된 탈취액은 제 1배관(50)을 따라 기체생성부(70)로 인입된다.
이 후, 기체생성부(70)는 탈취액으로 탈취기체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탈취기체는 제 1팬(81)의 송풍력으로 제 2배관(51)을 따라 토출구(21)로 이동한다.
상기 토출구(21)로 이송된 탈취기체는 제 2팬(82)의 강한 송풍력으로 주거공간의 비교적 먼 거리까지 확산된다. 이렇게 토출구(21)에서 확산된 탈취기체는 주거공간의 악취와 탁한 분위기를 효과적으로 정화시킨다.
특히, 나노베이퍼사의 탈취액을 본 발명의 탈취액으로 사용할 경우, 최근 들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새집 증후군의 발병 원인인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 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 나노베이퍼사의 탈취액은 휘발성 유기화합물 중에서도 유해성분인 포름알데히드 성분을 제거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장치를 변기에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먼저, 변기(140)는 도 7에서, 물을 저장하는 수조(141), 수조(141)로부터 물을 제공받아 인입된 배설물을 세척하는 세척조(142), 세척조(142)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대(143), 상기 좌대(143) 및 세척조(142)를 덮을 수 있는 커버(144)로 구성된다.
상기한 변기(140)의 수조(141)에는 탈취 장치(10')가 구비된다. 이러한 탈취 장치(10')는 전술된 탈취 장치(10)에 비해 그 크기를 축소하여 상기 수조(141)에 설치가 용이하게 구성하였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취 장치(10')는 본체(20'), 저장부(30') 및 기체생성부(70')로 이루어진다.
우선, 본체(20')는 하부에 토출구(21')를 가지며, 본체(20')의 내부는 저장부(30')와 기체생성부(70')를 수용하기 위한 중공이 형성된다.
본체(20')의 후면에는 저장부(30')를 인입 또는 인출하기 위한 도어(미도시)가 구비된다. 본체(20')는 변기(140)에 설치가 용이하게 하는 훅크부재(120)를 가진다.
실시예에서, 훅크부재(120)는 본체(20')의 후면에 한 쌍으로 구비되고, 이 훅크부재(120)는 본체(20')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끝단부가 굴곡 형성되는 굴곡부(미도시)를 가진다. 상기 훅크부재(120)의 굴곡부는 상기 수조(141)의 뚜껑을 제거한 뒤 이 수조(141)의 모서리 상단에 걸리도록 하므로서, 본체(20')가 수조(141)의 측면에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저장부(30')는 본체(20') 내에 구비되어 탈취액을 수용하는 것이다.
이 저장부(30')는 전술된 탈취 장치(10)와 마찬가지로 복수개로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30')에 수용되는 탈취액은 전술된 탈취 장치(10)와 마찬가지로 나노베이퍼 사의 탈취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저장부(30')는 전술된 탈취 장치(10)에서 저장부(30)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배출구(31')에 가압밸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저장부(30')의 배출구(31')에 가압밸브가 구비된다면, 저장 부(30')와 기체생성부(70')를 연결하는 배관(53)의 일단부에 가압밸브가 안착되는 상기 결속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체생성부(70')는 저장부(30')로부터 배관(53)을 통해 탈취액을 제공받아 탈취기체를 생성하며, 본체(20')의 토출구(21')에 의해 탈취기체를 변기(140)의 세척조(142)로 토출시킨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기체생성부(70')는 펌프(150)와 노즐(151)로 이루어진다.
먼저, 펌프(150)는 저장부(30')로부터 공급되는 탈취액을 상기 토출구(21') 측으로 가압한다. 그리고 노즐(151)은 펌프(150)에 의해 가압된 탈취액을 제공받아 토출구(21')의 외부로 분무시킨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151)은 세척조(142)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펌프(150)와 호스(130)로 연결된다. 실시예에서, 노즐(151)은 세척조(142)의 측면으로 돌출되지만, 세척조(142)의 전면으로 돌출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노즐(151)을 통해 세척조(142) 내에 탈취기체를 분사시키게 되면, 사용자가 변기(140)에서 배설물을 처리하는 동안에도 배설물로 인한 악취가 변기(140)의 세척조(142) 내부에서 풍기지 않기 때문에, 항시 쾌적한 상태에서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기체생성부(70')를 전술된 탈취 장치(10)의 기체생성부(70)의 실시예와 같이, 저장조 및 진동자로 구성하거나 저장조 및 히터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이렇게 기체생성부(70')를 저장조 및 진동자로 구성하거나 저장조 및 히터로 구성하였을 때 동작은 전술된 탈취장치(10)에서 기체생성부(70)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변기(140)에는 위치감지센서(90)가 구비된다.
실시예에서, 위치감지센서(90)는 변기(140)의 수조(141)에 구비되되, 사용자가 앉는 좌대(143)와 인접하게 설치된다. 이 위치감지센서(90)는 사용자가 유효범위 내에 근접하면 이를 감지하고, 이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110)에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위치감지센서(90)에서 감지된 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기체생성부(미도시)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감지센서(90)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였다면, 이 감지된 신호가 제어부(110)에 전달되고, 상기 제어부(110)는 전원(78')으로부터 전원회로(77')에 제공되는 전류를 소통시켜 상기 펌프(150)를 온시킨다.
반면, 위치감지센서(90)에서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0)에 신호가 제공되지 않을 뿐더러, 전원(78')으로 전원회로(77')에 제공되는 전류 또한 차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펌프(150)가 오프상태로 동작하지 않는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 위치감지센서(90) 대신 압력감지센서(100)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140)의 좌대(143)에 압력감지센서(100)가 구비된다.
이 압력감지센서(100)는 사용자가 좌대(143)에 앉았을 때, 그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110)에 그 신호를 제공하며, 이 감지된 신호의 유/무에 따라 상기 기체 생성부(미도시)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압력감지센서(100)가 좌대(143)에 앉은 사용자의 압력을 감지하였다면, 전술된 위치감지센서(90)와 마찬가지로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110)에 전달하고, 제어부(110)는 전원(78')으로부터 전원회로(77')에 제공되는 전류를 소통시켜 펌프(150)를 온시킨다.
반면, 압력감지센서(100)에서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전원(78')으로 전원회로(77')에 제공되는 전류가 차단되어 상기 펌프(150)가 동작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장치(10')의 동작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위치감지센서(90)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 이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달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펌프(150)를 가동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펌프(150)가 가동되면, 저장부(30')에 수용된 탈취액이 배관(53)을 따라 펌프(150)에 인입된다.
이 후, 펌프(150)는 인입된 탈취액을 가압하고, 이렇게 가압된 탈취액은 토출구(21') 외부에 위치한 호스(130)로 유입되고, 호스(130)로 유입된 탈취액은 상기 호스(130)의 끝단에 위치한 노즐(151)에서 분무된다.
이렇게 노즐(151)에서 분무된 탈취성분은 사용자가 변기(140)를 이용해 배설물을 처리하는 동안에도 자신의 배설물로 인한 악취가 풍기지 않으므로, 항시 쾌적한 환경에서 화장실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장치의 실시예에서 본체의 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장치의 실시예에서 본체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장치의 실시예에서 저장부와 기체생성부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장치의 실시예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장치에서 저수위감지센서에 감지된 신호에 의해 진동자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장치를 변기에 적용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탈취 장치를 변기에 적용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 탈취 장치 20,20'; 본체
21,21'; 토출구 22; 손잡이
23a,23b; 공기흡입구 24; 도어
30,30'; 저장부 30a; 제 1저장부
30b; 제 2저장부 31,31'; 저장부의 배출구
40; 가압밸브 41; 접촉판
42; 가이드 43; 스프링
44; 로드 45; 개폐판
46; 케이스 47; 유로
48; 턱 50; 제 1배관
51; 제 2배관 53; 배관
60; 결속부 61; 지지판
70,70'; 기체생성부 71; 저장조
72; 진동자 73; 액체인입구
74; 기체인출구 75; 저수위감지센서
76; 진동자제어부 77,77'; 전원회로
78,78'; 전원 80; 송풍부
81; 제 1팬 82; 제 2팬
90; 위치감지센서 100; 압력감지센서
110; 제어부 120; 훅크부재
130; 호스 140; 변기
141; 수조 142; 세척조
143; 좌대 144; 커버
150; 펌프 151; 노즐

Claims (12)

  1. 주거공간 또는 변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탈취 장치로서,
    토출구를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구비되어 탈취액을 수용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부로부터 탈취액을 제공받아 탈취기체를 생성하며, 상기 탈취기체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주거공간 또는 변기로 토출시키는 기체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와 상기 기체생성부는 서로 배관으로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의 배출구는 상기 배관의 일측과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생성부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탈취액을 공급받아 수용하는 저장조와, 초음파 발생으로 상기 탈취액을 기화시키도록 상기 저장조의 내부에 구비되는 진동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생성부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탈취액을 공급받아 수용하는 저장조와, 상기 탈취액을 가열하여 기화시키도록 상기 저장조의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는 상기 탈취액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생성부는 상기 저장부로부터 공급되는 탈취액을 상기 토출구 측으로 가압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의해 가압된 탈취액을 제공받아 상기 토출구의 외부로 분무시키는 노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주거공간 또는 변기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펌프와 호스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변기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일단부가 굴곡 형성된 훅크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생성부는 상기 변기 사용의 유/무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 또는 압력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 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를 통해 상기 탈취기체를 상기 본체 외부로 강제 토출시키는 송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부는 기체생성부에서 생성된 탈취기체를 상기 토출구로 이송하도록 상기 기체생성부에 구비되는 제 1팬과, 상기 제 1팬을 통해 이송된 상기 탈취기체를 상기 토출구를 통해 토출하도록 상기 토출구와 마주하는 제 2팬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취 장치.
KR1020080124002A 2008-12-08 2008-12-08 탈취 장치 KR201000656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002A KR20100065602A (ko) 2008-12-08 2008-12-08 탈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002A KR20100065602A (ko) 2008-12-08 2008-12-08 탈취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602A true KR20100065602A (ko) 2010-06-17

Family

ID=42364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002A KR20100065602A (ko) 2008-12-08 2008-12-08 탈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560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991B1 (ko) * 2019-06-27 2020-01-08 김기춘 피톤 치드 소독 분무 장치
CN111920996A (zh) * 2020-08-20 2020-11-13 赵萍 一种便于水雾均匀扩散的香薰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3991B1 (ko) * 2019-06-27 2020-01-08 김기춘 피톤 치드 소독 분무 장치
CN111920996A (zh) * 2020-08-20 2020-11-13 赵萍 一种便于水雾均匀扩散的香薰机
CN111920996B (zh) * 2020-08-20 2021-12-14 台州市路桥万驰机械厂 一种便于水雾均匀扩散的香薰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0320709B2 (en) Ultrasonic surface treatment device and method
AU2011340598B2 (en) An apparatus for drying and sanitizing hands
EP2227258A2 (en) Adaptive emanator of a fluid
JP2014057952A (ja) 霧発生装置
US10557257B1 (en) Sanitizing and smart smell detection device for handheld bidet sprayer and air freshening
JP2016205125A (ja) トイレ設備
KR20080002305U (ko) 비데용 노즐 살균장치
KR200417522Y1 (ko) 손 소독기
KR100743269B1 (ko) 손 소독기
KR100899230B1 (ko) 살균램프가 구비된 손소독기
KR20100065602A (ko) 탈취 장치
KR20100013178A (ko) 살균 및 악취제거가 가능한 음이온 발생 비데
JP6883126B2 (ja) 医療・介護用容器の処理装置
KR100648298B1 (ko) 은나노 분무 신발 소독장치
KR200237931Y1 (ko) 자동분무탈취기
KR101191973B1 (ko) 좌변기용 변좌 세정액 분사장치
KR20100005243U (ko) 자가 세정형 노즐 소독 장치가 구비된 비데기
KR20110045504A (ko) 위생 좌변기 및 이를 이용한 좌변기 위생관리방법
JPH11192180A (ja) 殺菌水噴霧装置
KR102425102B1 (ko) 양변기용 제습 시스템
KR100428954B1 (ko) 자동분무탈취기
KR20120002912U (ko) 살균 램프가 구비된 손 소독기 및 침상변기 소독기
JP2018087466A (ja) 除菌剤噴霧装置、便座装置、便器及び除菌・臭気対処方法
WO1998044960A1 (fr) Agent purifiant, appareil et procede permettant de former un agent purifiant, et procede de purification utilisant l'agent
KR102261970B1 (ko) 신발 소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