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161B1 - Elevator control apparatus - Google Patents

Elevator control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161B1
KR100995161B1 KR1020087027243A KR20087027243A KR100995161B1 KR 100995161 B1 KR100995161 B1 KR 100995161B1 KR 1020087027243 A KR1020087027243 A KR 1020087027243A KR 20087027243 A KR20087027243 A KR 20087027243A KR 100995161 B1 KR100995161 B1 KR 100995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speed pattern
floor
stop layer
next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72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80111527A (en
Inventor
마사야 사카이
다카하루 우에다
고우이치 사사카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111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5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1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285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with the use of a speed pattern generator

Abstract

부하와 이동 거리에 따라서 최고 속도나 가속도를 변경하여, 운전 시간을 단축하고, 승객의 이동 시간을 단축하여 카의 운행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얻는 것으로, 인버터(4)로 급전되는 모터(5)에 의해, 승객카(7)에 로프를 거쳐서 연결된 균형추(8)를 갖는 권상기(6)를 구동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승객카(7)의 중량을 카 부하로서 계측하는 카 부하 검출 수단(2)과, 차회(次回) 정지층을 설정하는 차회 정지층 설정 수단(1)과, 카 부하 검출 수단(2)에 의해서 얻어지는 카 부하와 차회 정지층 설정 수단(1)에 의해 설정되는 차회 정지층에 근거하여 모터(5)의 허용될 수 있는 구동 범위 내로서 최단시간에 차회 정지층에 승객카(7)가 도달하는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하는 카 속도 패턴 생성 수단(3)을 구비한다. The power supply to the inverter 4 is obtained by changing the maximum speed or accel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load and the moving distance, shortening the driving time, and shortening the traveling time of the passenger, thereby increasing the driving efficiency of the car. In an elevator driving a hoisting machine 6 having a counterweight 8 connected by a motor 5 to a passenger car 7 via a rope, a car load detection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assenger car 7 as a car load. Set by the means 2, the next stop layer setting means 1 for setting the next stop layer, and the car load and next stop layer setting means 1 obtained by the car load detection means 2; And a car speed pattern generating means (3) for generating a car speed pattern in which the passenger car (7) reaches the next stop layer in the shortest time within an allowable driving range of the motor (5) based on the next stop layer. do.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ELEVATOR CONTROL APPARATUS}Elevator control device {ELEVATOR CONTROL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모터의 발생 토크와 회전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성도, 2 is a characteristic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ted torque and the rotational speed of a mo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엘리베이터의 기계계(機械系) 모델 도출을 위한 개략도, 3 is a schematic diagram for deriving a mechanical system model of an elevator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카 속도 패턴과 모터의 토크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4 is a diagram showing a car speed pattern and a torque pattern of a motor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카 속도 패턴 연산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5 is a flowchart showing a car speed pattern calculation procedure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카 속도 패턴의 연산에 있어서, 각 파라미터의 관계 및 제약 조건을 나타내는 도면, 6 is a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parameter and constraints in the calculation of the car speed patter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카 속도 패턴 연산예를 나타내는 도면,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ar speed pattern calculation in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도 7의 하단의 도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lower view of FIG. 7; FIG.

도 9는 도 7의 중단의 카 속도 패턴으로 구동시의 카 이동 거리를 나타낸 도면,FIG. 9 is a diagram showing a car movement distance when driving with a stopped car speed pattern of FIG. 7;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구성도,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의 카 속도 패턴 연산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11 is a flowchart showing a car speed pattern calculation procedure in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의 카의 이동층과 그 발생 확률을 나타낸 도면, 12 is a view showing a mobile floor of a car and its occurrence probability in Example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서의 간략화된 속도 패턴 연산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 13 is a flowchart showing a simplified speed pattern calculation sequence in Embodiment 3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의 속도 패턴의 연산예를 나타내는 도면,14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calculation of a speed pattern in Embodiment 4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종래의 가변속 장치의 출력 주파수와 토크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5 is a diagram showing a relationship between an output frequency and a torque of a conventional variable speed apparatus.

본 발명은 부하에 따라 승강기 등의 모터에 부여하는 속도 패턴 등을 변경하여, 가속도나 최고 속도를 조정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that adjusts an acceleration or a maximum speed by changing a speed pattern or the like given to a motor such as an elevator according to a load.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에 관한 기술에 대하여,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5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의 출력 주파수(속도: 이하 주파수는 속도와 같은 의미)와 토크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에서, f0은 기저 주파수(정격 속도), Tmax는 최대 출력 토크값, Tx는 제 1 부하에 필요한 토크값, Ty는 제 2 부하(<제 1 부하)에 필요한 토크값, fx는 제 1 부하에 대해 출력할 수 있는 최대 출력 주파수, fy는 제 2 부하에 대해 출력할 수 있는 최대 출력 주파수를 각각 나타낸다. The technique regarding the conventional elevator control apparatus is demonstrated, referring FIG.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of the output frequency (speed: following frequency is synonymous with speed) and torque of the control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elevator. In Fig. 15, f0 is the base frequency (rated speed), Tmax is the maximum output torque value, Tx is the torque value required for the first load, Ty is the torque value required for the second load (<first load), and fx is the first. The maximum output frequency that can be output for the load, fy, represents the maximum output frequency that can be output for the second load, respectively.

기저 주파수 f0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는, 예컨대 제 1 부하(필요 토크 Tx)에 대한 최대 출력 주파수는, 주파수 fx보다 높은 주파수대에서 얻어지는 토크가 제 1 부하에 필요한 토크 Tx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주파수 fx 이하로 된다. 또한, 제 2 부하(필요 토크 Ty)에 대한 최대 출력 주파수는, 주파수 fy보다 높은 주파수대에서 얻어지는 토크가 제 2 부하에 필요한 토크 Ty보다 작아지기 때문에, 주파수 fy 이하로 된다. In a frequency band of the base frequency f0 or more, for example, the maximum output frequency for the first load (required torque Tx) becomes less than or equal to the frequency fx since the torque obtained in the frequency band higher than the frequency fx becomes smaller than the torque Tx required for the first load. . The maximum output frequency for the second load (required torque Ty)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requency fy since the torque obtained in the frequency band higher than the frequency fy becomes smaller than the torque Ty required for the second load.

이상으로부터, 크고 작은 각종 부하에 대하여 충분한 토크를 얻기 위해서는, 최대 부하에 대한 토크를 얻을 수 있는 출력 주파수 이하의 주파수로 운전 주파수를 설정하여 모터를 회전시키고 있었다. As mentioned above, in order to acquire sufficient torque with respect to various loads big and small, the motor was rotated by setting an operating frequency to the frequency below the output frequency which can obtain the torque with respect to a maximum load.

상술한 바와 같은 제어 장치에서는, 부하가 작은 경우는 최대 출력 주파수를 높게 설정할 수 있지만, 부하가 큰 경우에는 최대 출력 주파수를 낮게 설정하지 않으면 충분한 토크를 얻을 수 없어 승강기 등에서는 상승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최대 출력 주파수를 부하가 최대인 경우에 대해 충분한 토크를 얻을 수 있는 주파수로 설정하여 운전해야 했다. In the above-mentioned control apparatus, when the load is small, the maximum output frequency can be set high. However, when the load is large, there is a problem that unless the maximum output frequency is set low, sufficient torque cannot be obtained and the elevator cannot rise.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set the maximum output frequency to a frequency where sufficient torque can be obtained for the case where the load is maximum.

즉, 도 1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최대 출력 주파수를 fx로 설정하고, 부하가 작은 경우라도 최대 출력 주파수가 fx이었다. 이 때문에, 부하가 작은 경우에는 최대 출력 주파수가 낮기 때문에 가속에 시간이 걸려, 운전 시간이 단축 가능하지 않고 효율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다. That is,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5, the maximum output frequency was set to fx, and even when the load was small, the maximum output frequency was fx. For this reason, when the load is small, acceleration takes a long time because the maximum output frequency is low,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time is not shortened and the efficiency is bad.

이 문제점에 있어서는,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3-56308호 공보에서는, 정격 주파수 이상의 주파수를 전압, 전류로부터 전력값을 구하고, 정격 주파수에서의 전력값과 비교하여 속도 설정값을 가변속 장치에 출력하고 있다. In this problem,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3-56308 discloses a power value from a frequency and a current higher than the rated frequency from a voltage and a current, and outputs a speed set value to the variable speed device by comparing with the power value at the rated frequency. .

또한,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8-107699호 공보에서의 제어 장치에서는, 직류 전력을 가변 주파수, 가변 전압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인버터부를 갖는 가변속 장치에 있어서, 인버터부의 입력측의 직류 모선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 회로와, 인버터부의 출력측의 각 상의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 검출 회로와, 검출한 직류 모선 전압 및 검출한 각 상의 전류를 이용하여 인버터부에 접속된 부하의 대소를 자동 판별하고, 최대 출력 주파수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제어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Moreover, in the control apparatus in Unexamined-Japanese-Patent No. 8-107699, in the variable speed apparatus which has an inverter part which converts DC power into variable frequency and variable voltage AC power, it detects the DC bus voltage of the input side of an inverter part. The magnitude of the load connected to the inverter unit is automatically determined by using the voltage detection circuit, the current detection circuit for detecting the current of each phase on the output side of the inverter section, the detected DC bus voltage and the current of each phase detected, and the maximum output frequency It is provided with a control circuit for determining and outputting.

종래의 제어 장치에서는, 운전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부하에 따라 최고 속도를 변경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최고 속도를 높인 것만으로 운전 시간이 단축된다고는 할 수 없고, 이동 거리가 짧으면, 최고 속도보다 가속도를 높인 경우 쪽이, 운전 시간이 짧아진다고 생각된다. 이 때문에, 부하에 따라 최고 속도를 변경하는 것만으로는, 이동 거리에 따라 운전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the conventional control apparatus, the maximum speed wa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load in order to shorten the operation time. However, the driving time cannot be shortened only by increasing the maximum speed. If the moving distance is short, the driving time is considered to be shorter when the acceleration is increased than the maximum speed. For this reas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riving time becomes long depending on the moving distance only by changing the maximum speed in accordance with the load.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행해진 것으로서, 부하와 이동 거리에 따라서 최고 속도나 가속도를 변경하여, 운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shortening an operation time by changing the maximum speed or acceleration in accordance with a load and a moving distance.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제어 장치는, 인버터로 급전되는 모터에 의해, 승객카(passenger car)에 로프를 거쳐서 연결된 균형추를 갖는 권상기를 구동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승객카의 중량을 카 부하로서 계측하는 카 부하 검출 수단과, 차회(次回) 정지층을 설정하는 차회 정지층 설정 수단과, 상기 카 부하 검출 수단에 의해서 얻어지는 카 부하와 상기 차회 정지층 설정 수단에 의해서 설정되는 차회 정지층에 근거하여 상기 모터의 허용될 수 있는 구동 범위 내로서 최단시간에 차회 정지층에 상기 승객카가 도달하는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하는 카 속도 패턴 생성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The elevator control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 that drives a hoist having a balance weight connected to a passenger car via a rope by a motor fed by an inverter, the ca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assenger car as a car load. The motor based on the load detection means, the next stop layer setting means for setting the next stop layer, the car load obtained by the car load detection means, and the next stop layer set by the next stop layer setting means. And a car speed pattern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car speed pattern in which the passenger car reaches the next stop layer in the shortest possible time within the allowable driving range of.

또한, 상기 인버터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온도를 계측하는 구성 요소 온도 검출 수단과, 상기 구성 요소의 온도 상승 한계값을 설정하는 한계 온도 설정 수단과, 상기 구성 요소 온도 검출 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구성 요소 온도와 상기 한계 온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온도 상승 한계값에 근거하여 온도 상승 한계 허용값을 연산하는 온도 상승 허용값 연산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카 속도 패턴 생성 수단은, 상기 구성 요소의 온도 상승 한계 허용값과 상기 카 부하와 상기 차회 정지층에 근거하여 상기 모터의 허용될 수 있는 구동 범위 내에서 또한 상기 구성 요소가 예상되는 온도 상승량이 온도 상승 한계 허용값 이내에 최단시간에 상기 승객카가 차회 정지층에 도달하는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component temperature detection means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inverter, the limit temperature setting means for setting the temperature rise threshold value of the component, the component temperature obtained from the component temperature detection means and Further comprising a temperature rise allowance value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 temperature rise limit allowable value based on the temperature rise limit value set by said limit temperature setting means, and said car speed pattern generating means further includes a temperature rise limit allowance of said component. The passenger car is driven to the next stop layer within the shortest time within the allowable drive range of the motor and within the temperature rise limit tolerance value within the allowable driving range of the motor based on the value and the car load and the next stop layer. It is to create a car speed pattern to reach.

또한, 상기 속도 패턴 생성 수단은,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할 때에 카 최고 속도, 카 가속도, 카 가속도의 변화율의 상한을 정하는 것이다. The speed pattern generating means determines the upper limit of the rate of change of the car maximum speed, car acceleration, and car acceleration when generating the car speed pattern.

또한, 상기 카 속도 패턴 생성 수단은,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카 속도 구동 지령에 관련한 모터 토크 파형을 상기 구성 요소에 흐르는 전류값으로 환산하고, 그 전류값 파형이 상기 온도 상승 한계 허용값의 함수에 의해서 제약되는 조건에 근거하여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하는 것이다. Further, the car speed pattern generating means converts the motor torque waveform related to the car speed drive command applied to the motor into a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component, and the current value waveform is a function of the temperature rise limit tolerance value. The car speed pattern is generated based on the constraints.

또한, 상기 차회 정지층 설정 수단은, 상기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차회 정지층을 엘리베이터의 기동 회수와 카 출발층으로부터 다음에 정지하는 정지 결정층까지의 이동 거리의 통계량으로부터 구한 카의 평균 정지층으로 하는 것이다. Further, the next stop layer setting means may stop the average stop of the car obtained from the statistics of the number of times the elevator stop layer for generating the car speed pattern from the starting number of elevators and the stop determination floor to stop next. It is a layer.

또한, 상기 차회 정지층 설정 수단은, 상기 카의 평균 정지층을 각 출발층에서의, 정지 결정층으로의 이동 시간의 기대값이 최소로 되는 정지층으로서 설정하는 것이다. The next stop layer setting means sets the average stop layer of the car as a stop layer in which the expected value of the travel time from each start layer to the stop crystal layer is minimized.

또한, 상기 차회 정지층 설정 수단은, 상기 카의 평균 정지층을 승객 수요가 다른 시간대마다의 정지 결정층의 통계량에 근거하여 설정하는 것이다. The next stop floor setting means sets the average stop floor of the car based on the statistics of the stop decision floor for each time zone where passenger demand is different.

또한, 상기 카 속도 패턴 생성 수단은, 상기 차회 정지층과 상기 카의 평균 정지층을 비교하여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하는 것이다. The car speed pattern generating means generates a car speed pattern by comparing the next stop layer and the average stop layer of the car.

또한, 상기 카 속도 패턴 생성 수단은, 카가 정지 가능한 정지 가능층과 상기 카의 평균 정지층을 비교하여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하는 것이다. Further, the car speed pattern generating means generates a car speed pattern by comparing the stopable layer in which the car can stop and the average stop layer of the car.

(발명의 실시예)(Example of the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예 1) (Example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에서, 참조 부호 1은 차회 정지층을 설정하는 차회 정지층 설정 수단, 참조 부호 2는 카 부하 검출 수단, 참조 부호 3은 카 부하 검출 수단(2)에 의해서 얻어지는 카 부하와 차회 정지층 설정 수단(1)에 의해서 설정되는 차회 정지층으로부터 모터(5)의 허용될 수 있는 구동 범위 내로서 최단시간에 차회 정지층에 승객카(7)가 도달하는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하는 카 속도 패턴 생성 수단, 참조 부호 4는 인버터, 참조 부호 6은 승객카(7)에 로프를 거쳐서 연결된 균형추(8)를 갖는 권상기이다.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1,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 next stop layer setting means for setting a next stop layer, reference numeral 2 denotes a car load detection means, reference numeral 3 denotes a car load and a next stop layer setting obtained by the car load detection means 2; Car speed pattern generation for generating a car speed pattern in which the passenger car 7 reaches the next stop layer in the shortest time within the allowable driving range of the motor 5 from the next stop layer set by the means 1. Means, 4 is an inverter, 6 is a hoist with a counterweight 8 connected to the passenger car 7 via a rope.

차회 정지층 설정 수단(1)은 타는 장소 및 카 내에 차회 정지층을 등록하기 위한 장치를 마련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등의 통신 수단에 의해서 원격으로부터도 설정할 수 있다. The next stop floor setting means 1 can be realized by providing a device for registering the next stop floor in a ride place and a car. It can also be set remotely by communication means such as wireless.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는 모터 토크와 모터 회전수의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모터(5), 권상기(6), 카(7), 균형추(8)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하단은 모터 토크 패턴을 나타내고, 그 상단은 그 때의 카 속도 패턴을 나타낸다. 도 5는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처리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tor torque and the motor rotation speed.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motor 5, the hoist 6, the car 7, and the balance weight 8. The lower part of FIG. 4 shows a motor torque pattern, and the upper end shows a car speed pattern at that time. 5 is a flowchart showing a processing procedure for generating a car speed pattern.

도 2에서, 모터(5)는 모터 토크축과 곡선 상으로 둘러싸이는 사선부의 영역과 그 경계 상을 포함하는 영역 내에서의 동작이 가능하다. 이 영역은 볼록 집합이라면 좋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동작 영역을 볼록 집합이 되도록 근사하는 등 하면 좋다. 토크가 정(正)인 영역은 역행 상태, 부(負)인 영역은 회생 상태를 나 타낸다. 이 영역을 Ω로 나타낸다. In Fig. 2, the motor 5 is operable in an area including an oblique line region surrounded by a motor torque axis and a curve and on the boundary thereof. This area may be a convex set, but otherwise, the operating area may be approximated to be a convex set. The region in which the torque is positive represents the retrograde state, and the region in which the torque is positive represents the regenerative state. This area is represented by Ω.

도 3에서, Tm은 모터 토크, J는 권상기의 특성 모멘트, r은 권상기 반경, m1은 균형추 질량, m2는 카 질량, α는 카 가속도, ω는 권상기 회전 속도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g를 중력 가속도로 한다. 도면의 구성에 대하여 운동 방정식을 유도하는 것에 의해, 카 가속도와 모터 토크의 관계식이 다음 수학식과 같이 얻어진다. In Fig. 3, Tm is the motor torque, J is the characteristic moment of the hoist, r is the radius of the hoist, m1 is the counterweight mass, m2 is the car mass, α is the car acceleration, and ω is the rotation speed of the hoist. In addition, let g be gravity acceleration. By inducing a motion equation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of the figur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 acceleration and motor torque is obtained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8076963867-pat00001
Figure 112008076963867-pat00001

또, 도 3의 구성에서는, 카 가속도와 모터 토크의 관계식은 수학식 1과 같이 표시되지만, 양자의 관계가 일차 함수로 기술될 수 있는 구성이면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다음에, 모터의 회전 속도와 권상기 회전 속도를 동일하게 하고, v를 카 속도라고 하면, 모터의 회전 속도로부터 카 속도를 다음 수학식과 같이 연산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tructure of FIG. 3, although the relationship of car acceleration and motor torque is shown as Formula (1), if the relationship of both can be described as a linear function,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structure. Next, i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is equal to the rotational speed of the hoist and v is the car speed, the car speed can be calculated from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as shown in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08076963867-pat00002
Figure 112008076963867-pat00002

따라서, 도 2는 모터 토크와 카 속도의 관계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Therefore, FIG. 2 can be converted into a relationship between motor torque and car speed.

또, 모터의 회전수와 권상기 회전 속도를 같다고 했지만, 양자의 관계식이 일차 함수로 기술될 수 있는 변환이면 상기 수학식 2에 한정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예컨대 감속기 등을 이용한 경우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hoisting machine are the same, it is not necessary to be limited to the above equation 2 as long as the relational expression of both is a transformation that can be described as a linear function.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case where a speed reducer or the like is used.

도 4에서, 상단의 속도 패턴은 하단의 토크 패턴에 대하여, 상기 수학식 1과 그 적분값에 의해 연산되는 것이다. 또한, 도 4에서, t0∼t7은 시각, Δt1∼Δt7은 시간 구간, v0∼v7은 각 시각에 대한 카 속도, Tm0∼Tm7은 각 시각에 대한 모터 토크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Tm0=Tm3=Tm4=Tm7=TM0, Tm1=Tm2=TM1, Tm5=Tm6=TM2이다. 또한, v0=0, t0=0으로 한다. In FIG. 4, the velocity pattern at the upper end is calculated by the above Equation 1 and its integral value with respect to the torque pattern at the lower end. In Fig. 4, t0 to t7 represent time, Δt1 to Δt7 represent time intervals, v0 to v7 represent car speeds for each time, and Tm0 to Tm7 represent motor torques for each time. Where Tm0 = Tm3 = Tm4 = Tm7 = T M0 , Tm1 = Tm2 = T M1 , Tm5 = Tm6 = T M2 . In addition, v0 = 0 and t0 = 0.

이 도 4에서, 구간 Δt1, Δt3, Δt5, Δt7은 저크(카 가속도의 변화율)값 일정 주행, 구간 Δt2, Δt6은 가속도 일정 주행, 구간 Δt4는 속도 일정 주행 구간이다. 또한, 균형 토크 TM0은 상기 수학식 1에 α=0을 대입하여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In Fig. 4, the sections? T1,? T3,? T5, and? T7 are constant running of jerk (change rate of car acceleration) value, the sections? T2 and? T6 are acceleration constant travel, and the sections? T4 are speed constant travel section. In addition, the balance torque T M0 may be calculated as shown in Equation 3 by substituting α = 0 in Equation 1 above.

Figure 112008076963867-pat00003
Figure 112008076963867-pat00003

도 6에서, Δl1∼Δl7은 각각 구간 Δt1∼Δt7 사이의 카의 이동량이다. α1, α2는 각각 구간 Δt2, Δt6에서의 카 가속도의 절대값이며, 상기 수학식 1과 TM1, TM2를 이용하여 도면 중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또한, β1∼β4는 각각 구간 Δt1, Δt3, Δt5, Δt7의 저크의 절대값이며, 상기에서 계산한 α1, α2 및 Δt1, Δt3, Δt5, Δt7을 이용하여 도면 중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속도 v0∼v7은 상기에서 계산된 α1, α2, β1∼β4 및 Δt1∼Δt7을 이용하여 도면 중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In Fig. 6, Δl1 to Δl7 are the moving amounts of cars between the sections Δt1 to Δt7, respectively. α1 and α2 are absolute values of car accelerations in the intervals Δt2 and Δt6, respectively, and can be calculated as shown in the figure by using Equations 1, T M1 , and T M2 . Further, β1 to β4 are absolute values of jerks of the intervals Δt1, Δt3, Δt5, and Δt7, respectively, and can be calculated as shown in the figure using the above calculated α1, α2 and Δt1, Δt3, Δt5, Δt7. The speeds v0 to v7 can be calculated as shown in the figure by using the above calculated α1, α2, β1 to β4 and Δt1 to Δt7.

그리고, Δl1∼Δl7은 상기에서 계산된 v0∼v7, α1, α2, β1∼β4 및 Δt1 ∼Δt7을 이용하여 도면 중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시간 구간 Δt1∼Δt7과 모터 토크 TM1, TM2를 파라미터로서 Δl1∼Δl7을 기술할 수 있다. 카의 이동 거리를 L이라고 하면, L=Δl1+Δl2+Δl3+Δl4+Δl5+Δl6+Δl7이다. Δl1 to Δl7 can be calculated as shown in the figure using v0 to v7, α1, α2, β1 to β4 and Δt1 to Δt7 calculated above. Therefore, Δl1 to Δl7 can be described as time parameters Δt1 to Δt7 and motor torques T M1 and T M2 as parameters. If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r is L, then L = Δl 1 + Δl 2 + Δl 3 + Δl 4 + Δl 5 + Δl 6 + Δl 7.

실시예 1에서의 최단시간 속도 패턴의 연산법에 대하여, 도 5,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에서, 단계 21의 차회 정지층 설정 처리에서는, 차회 정지층 설정 수단(1)에 의해서 설정된 차회 정지층을 바탕으로 카의 이동 거리 L이 설정된다.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shortest time velocity pattern in Example 1 is demonstrated using FIG. 5, FIG. In Fig. 5, in the next stop layer setting process of step 21, the moving distance L of the car is set based on the next stop layer set by the next stop layer setting means 1.

다음에, 단계 22의 파라미터 판독 처리에서는, 균형추(8)의 중량 m1, 권상기(6)의 반경 r, 권상기(6)의 관성 모멘트 J, 중력 가속도 g의 값을 판독한다. Next, in the parameter reading process of step 22, the value of the weight m1 of the counterweight 8, the radius r of the hoisting machine 6, the moment of inertia J of the hoisting machine 6, and the gravity acceleration g are read.

다음에, 단계 23의 카 부하 검출 처리에서는, 카 부하 검출 수단(2)에 의해 카 중량 m2를 검출한다. Next, in the car load detecting process of step 23, the car weight m2 is detected by the car load detecting means 2.

다음에, 단계 24의 제약 조건 설정 처리에서는, 도 6에서의 제약 조건을 설정하고, 그 중 카 최고 속도의 상한값, 카 가속도의 상한값, 카 저크의 상한값을 결정한다. Next, in the constraint setting process of step 24, the constraints in Fig. 6 are set, and among them,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maximum speed of the car,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car acceleration, and the upper limit value of the car jerk are determined.

Figure 112008076963867-pat00004
Figure 112008076963867-pat00004

즉, 수학식 4에서 표시되는 제약식 중, v-, α1-, α2-, β1-, β2-, β3-, β4-를 지정한다(또, 이 명세서에서, 각 부호에 붙어 있는 -는, 수학식 4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편의상 각 부호의 상부에 바(bar)가 첨부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In other words, v-, α1-, α2-, β1-, β2-, β3-, and β4- are designated among the constraints expressed by the equation (4). As can be seen from Equation 4, for convenience, a bar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each code).

다음에, 단계 25의 최적화 문제 구해(求解) 처리에서는, 제약 조건인 상기 수학식 4를 바탕으로, 하기의 수학식 5에 의해 정의되는 목적 함수 T(운행 시간)를 최소화하는 최적화 문제를 푼다. 이 문제는 Δt1∼Δt7, TM1, TM2를 파라미터로 한 비선형 계획 문제로 되어, 수치적으로 푸는 것이 가능하다. Next, the optimization problem solving process of step 25 solves the optimization problem of minimizing the objective function T (run time)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5) based on the above equation (4) which is a constraint condition. This problem becomes a nonlinear planning problem with Δt1 to Δt7, T M1 and T M2 as parameters, and can be solved numerically.

Figure 112008076963867-pat00005
Figure 112008076963867-pat00005

다음에, 단계 26의 속도 패턴 생성 처리에서는, 단계 25의 최적화 문제 구해 처리로 구해된 Δt1∼Δt7, TM1, TM2와 도 6 중의 v1∼v6을 이용하여 하기의 수학식 6과 같이 속도 패턴 v를 생성한다. Next, in the speed pattern generation process of step 26, using the? T1 to? T7, T M1 and T M2 obtained by the optimization problem solving process of step 25 and v1 to v6 in FIG. Create v.

Figure 112008076963867-pat00006
Figure 112008076963867-pat00006

단, t1=Δ, t2=t1+Δt2, t3=t2+Δt3, t4=t3+Δt4, t5=t4+Δt5, t6=t5+Δt6, t7=t6+Δt7이다. T1 = Δ, t2 = t1 + Δt2, t3 = t2 + Δt3, t4 = t3 + Δt4, t5 = t4 + Δt5, t6 = t5 + Δt6, t7 = t6 + Δt7.

이상의 순서에 의해, 부하에 따라 제약 조건 내에서 가장 일찍 도달하는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한다. According to the above procedure, the car speed pattern which reaches the earliest within a constraint according to a load is produced | generated.

카 속도에 대한 제약은 엘리베이터의 최고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카 속도를 소망하는 범위 내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속도가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v-를 모터의 최대 회전수로부터 상기 수학식 2에 의해 유도되는 카 속도보다도 크게 지정함으로써, 카 최고 속도에 제약을 걸지 않고, 모터 특성의 범위 내에서 가장 일찍 도달하는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The restriction on the car speed has the effect of adjusting the maximum speed of the elevator, so that the car speed can be obtained within a desired range, thereby preventing the speed from becoming too high. On the other hand, by designating v- to be larger than the car speed derived from Equation 2 from the maximum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a car speed pattern is generated that reaches the earliest within the range of motor characteristics without being limited to the maximum car speed. can do.

카 가속도에 대한 제약에 있어서, 상한값을 작게 설정하는 것은 엘리베이터를 탄 기분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터의 발생 토크를 억제하기 때문에, 모터, 인버터의 과도한 운전을 회피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모터, 인버터의 발열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저크에 대한 제약은 상한값을 작게 하는 것으로 엘리베이터를 탄 기분의 개선 및 도 4의 속도 패턴으로 운행하는 경우에 최고 속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승객이 타고 있지 않을 때에는, 카 가속도 제약과 저크 제약의 상한값을 크게 함으로써 카의 운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이동 거리가 짧을 때에는, 카 최고 속도의 상한값을 크게 설정하는 것보다도, 카 가속도, 저크의 상한값을 크게 설정한 쪽이 일찍 도달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카 속도, 카 가속도, 카 가속도의 변화율(저크)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간이하게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할 수 있다. In the constraint on the car acceleration, setting the upper limit to a small value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mfort of the elevator. In addition, since the generated torque of the motor is suppressed, excessive operation of the motor and the inverter can be avoided, and energy saving can be realized. 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heat generation of the motor, inverter. The constraint on jerk is to reduce the upper limit, thereby improving the comfort of riding the elevator and increasing the maximum speed when driving in the speed pattern of FIG. 4. In addition, when the passenger is not riding, the driving efficiency of the car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upper limit values of the car acceleration constraint and the jerk constraint. Moreover, when the moving distance is short, the one which set car acceleration and the upper limit of jerk larger may reach earlier than setting the upper limit of car maximum speed large. Therefore, by setting any one of the car speed, car acceleration, and the rate of change (jerk) of the car acceleration, the car speed pattern can be easily generated.

토크 제약 조건은, 도 4의 속도 패턴 및 토크 패턴을 모터의 동작 범위 내로 하는 효과가 있다. 토크 제약 조건은 예컨대 Ω의 경계부를 직선을 조합시켜 근사하면, 연립 부등식 조건으로 되어 풀기 쉽게 된다. The torque constraint has the effect of bringing the speed pattern and torque pattern of FIG. 4 within the operating range of the motor. When the torque constraint is approximated, for example, by combining a straight line at the boundary of Ω, the system becomes an inequality condition and is easy to solve.

도 4와 같은 토크 패턴을 선택함으로써, 토크 제약 조건으로서 Tm1∼Tm7을 부가하는 것만으로, 전 시간 구간에서의 토크 패턴을 모터의 동작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계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By selecting the torque pattern as shown in Fig. 4, the torque pattern in the entire time section can be brought into the operating range of the motor only by adding Tm1 to Tm7 as torque constraint conditions. Thus, the amount of calculation can be reduced.

또, 도 4에서는, 시간 구간을 Δt1∼Δt7로 분할하여, 토크 패턴을 도 4의 하단과 같이 설정하고 있지만, 가속 초기로부터 최고 속도에 달하기까지의 토크 패턴이 각 시간 구간에서 볼록 함수(convex function)로 되고, 또한 감속 초기로부터 감속 정지까지의 토크 패턴이 각 시간 구간에서 오목 함수(concave function)로 되는 토크 패턴을 고르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토크 제약 조건을 시간 구간 단점에서의 토크 제약만으로 평가할 수 있다. In FIG. 4, the time interval is divided into Δt1 to Δt7 and the torque pattern is set as shown in the lower end of FIG. 4, but the torque pattern from the initial acceleration to the maximum speed is convex in each time interval. function), and the torque pattern from the initial deceleration to the deceleration stop becomes a concave function in each time interval, and as described above, the torque constraint can be evaluated only by the torque constraint in the time interval disadvantage. Can be.

또한, 시간 구간의 분할수를 바꾼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속도 패턴이라면 시간 구간 단점에서의 토크 제약이 만족되면 전 구간에서의 토크 패턴은 모터의 동작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 때, 카 속도는, 토크 패턴으로부터 카 가속도 패턴으로 변환 후, 그것을 적분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한, 운행거리는 상기 카 속도 패턴을 적분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카 가속도 제약, 저크 제약은 각 시간 구간에서의 각각의 최대값을 제한한다는 방법을 이용하면 상기와 같이 최적화 문제로서 정식화할 수 있다. 이 때, 토크 패턴을 매끄럽게 하거나, 시간 구간수를 늘리거나 하는 것으로, 보다 매끄러운 속도 패턴을 생성할 수 있어 탄 기분이 개선된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number of divisions in the time interval is changed, if the torque pattern as described above is satisfied, the torque pattern in the entire interval is within the operating range of the motor. At this time, a car speed can be calculated | required by converting from a torque pattern into a car acceleration pattern, and integrating it. Further, the travel distance can be obtained by integrating the car speed pattern. Car acceleration constraints and jerk constraints can be formulated as optimization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using the method of limiting each maximum value in each time interval. At this time, by smoothing the torque pattern or increasing the number of time intervals, a smoother speed pattern can be generated, resulting in improved riding comfort.

또, 최적화 문제의 정식화와 구해시에 있어서, 미지 변수를 토크와 시간 구간으로 했지만, 속도 패턴이 유일하게 정해지는 변수의 조합이면 다른 조합을 선택해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있다. 예컨대, 미지 변수를 가속도와 시간 구간으로 선택해도 최적화 문제로서 정식화할 수 있다. 이 때, 제약 조건식은 상기에서 말한 것과 등가인 것으로 된다. 또한, 목적 함수는 변하지 않는다. In formulating and obtaining an optimization problem, the unknown variables are torque and time intervals. However, as long as the speed pattern is a combination of the variables that are uniquely determined, other combinations have the same effects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even if an unknown variable is selected as an acceleration and a time interval, it can be formulated as an optimization problem. At this time, the constraint expression is equivalent to the above. Also, the objective function does not change.

또한, 카 하강시에 있어서의 최단시간 도달에 대한 최적화 문제의 정식화는 상기와 마찬가지의 사고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ormulation of the optimization problem for reaching the shortest time when the car descends can apply the same way of thinking as described above.

복수의 카 부하 및 제약 조건에 대하여, 단계 25의 최적화 문제 구해 처리, 단계 26의 속도 패턴 생성 처리에 의해 계산되는 속도 패턴, 또는 그에 상당하는 데이터를 미리 계산하여 속도 패턴 생성 수단(3) 내에 마련한 메모리에 테이블화하여 보존해 두고, 판독하여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이 때, 단계 25의 최적화 문제 구해 처리에 의한 연산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보다 염가인 연산 장치로 실현할 수 있다. With respect to the plurality of car loads and constraints, the speed pattern calculated by the optimization problem solving process of step 25, the speed pattern generation process of step 26, or data corresponding thereto is pre-calculated and provided in the speed pattern generating means 3. The same effects as described above can also be realized by storing the data in a table and storing the data in a table. At this time, since the calculation by the optimization problem determination process of step 25 is not required, it can be realized by a more inexpensive computing device.

도 7에 일례를 나타내면서 상기에서 설명한 순서에 따라서 결정된 속도 패턴 에 대하여 설명한다. A speed pattern determined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proced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에서, 상단, 중단, 하단은 각각 모터 토크 패턴, 카 속도 패턴, 도 2를 상기 수학식 2에 의해 모터 토크와 카 속도로 변환한 도면(토크 제약의 선)이다. 중단의 카 속도 패턴은 상단의 모터 토크 패턴에 의해 얻어진다. 또한, 도 7 하단의 토크 특성도 내의, 육각형으로 표시되어 있는 곡선은, 상단의 모터 토크 패턴과 중단의 카 속도 패턴에 대한 모터의 구동 궤적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은 3 패턴 나타내고 있지만, 각각 카 중량 m2와 균형추의 중량 m1의 비율을 바꾼 것을 나타내고 있고, 본 실시예에 따라서 속도 패턴을 구한 것이다. In Fig. 7, upper, middle, and lower ends are motor torque patterns, car speed patterns, and Fig. 2 are converted to motor torque and car speed according to Equation 2 (line of torque constraint). The car speed pattern of the suspension is obtained by the upper motor torque pattern. Moreover, the curve shown by the hexagon in the torque characteristic diagram of FIG. 7 lower stage has shown the drive locus of the motor with respect to the motor torque pattern of the upper end, and the car speed pattern of the interruption. Although these three patterns are shown, it shows that the ratio of the car weight m2 and the weight m1 of the counterweight is changed, respectively, and the speed pattern was calculated | required according to this Example.

이 때, 카 최고 속도, 저크, 가속도는 어떤 패턴에 있어서도 임의 상한값(3 패턴에 대해 동일)으로 했다. 이 중, 카 최고 속도에 대해서는 그 상한값을 모터의 출력 가능한 회전수보다도 크게 설정함으로써, 모터의 구동 가능한 영역 내에서 가능한 한 크게 얻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동 거리도 모든 패턴에서 같게 하고 있다. 도 4의 형상의 토크 패턴(속도 패턴)을 부여한 경우, 모터의 구동 궤적은 도 7 하단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육각형으로 된다. 이들의 속도 패턴이 제약 조건인 상기 수학식 4를 만족시키고 있는 것을 도 8에 의해 설명한다. At this time, the maximum speed of car, jerk, and acceleration were made into arbitrary upper limits (same with respect to 3 patterns) also in any pattern. Among these, the maximum speed of the car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so that the maximum speed of the car can be obtained as large as possible within the driveable area of the motor. In addition, the moving distance is the same in all patterns. When the torque pattern (speed pattern) of the shape of FIG. 4 is provided, the drive locus of a motor will become a hexagon as shown in the lower figure of FIG. It is demonstrated by FIG. 8 that these speed patterns satisfy the above equation (4) which is a constraint condition.

도 8은 도 7 하단의 모터 구동 궤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모터의 구동 궤적은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간과 함께 육각형의 변 상을 이동한다. 도면 중의 기호는 도 4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카 최고 속도 대해서는 v3 또는 v4의 점 상에서의 속도로 된다. 카 가속도에 대해서는 도면 중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양이 카 가속도의 절대값량과 비례한다. FIG. 8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motor driving trajectory at the bottom of FIG. 7. The drive trajectory of the motor moves the hexagonal phase with time as shown in the figure. Symbols in the drawings correspond to FIG. 4. Therefore, the maximum speed of the car is the speed on the point of v3 or v4. About car acceleration, the quantity shown by the arrow in a figure is proportional to the absolute value of car acceleration.

또한, 카 저크에 있어서는 도면 중에 나타내는 변의 경사의 절대값량이 저크 시간(가속도/저크)에 반비례한다. 도 7 하단에 있어서, 모든 모터 구동 궤적이 모터 토크 제약 영역 내에 존재함으로써, 모터의 구동 가능한 영역 내에서 속도 패턴이 생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v3 또는 v4에서 모터 토크 제약 영역의 경계 상에 존재함으로써, 가능한 한의 최고 속도를 내는 패턴을 생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In the car jerk, the absolute value of the inclination of the side shown in the figur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jerk time (acceleration / jerk). In the lower part of FIG. 7, it can be seen that the speed pattern is generated in the driveable area of the motor because all the motor drive trajectories exist within the motor torque constraint area.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by being present on the boundary of the motor torque constraint region at v3 or v4, a pattern is generated which produces the highest possible speed.

카 가속도, 카 저크에 있어서는, 도 7 중단의 모든 속도 패턴이 가속시의 경사가 같고, 가속 라운딩 오프(acceleration rounding-off)의 형상도 같기 때문에, 설정된 상한값으로 제약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 7 중단의 속도 패턴을 적분한 그래프(카 이동 거리)를 나타낸다. 이 도면으로부터, 모든 패턴에 대하여 이동 거리는 지정한 값으로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상기 수학식 4의 제약 조건식을 만족시키는 가운데, 가속도, 저크가 상한값 내에 존재하여, 가장 일찍 도달하는 속도 패턴을 카 부하에 따라 생성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In car acceleration and car jerk, it is understood that all the speed patterns of FIG. 7 interruption have the same inclination during acceleration, and the shape of the acceleration rounding-off is also limited, which is limited to the set upper limit value. 9, the graph (car movement distance) which integrated the speed pattern of FIG. 7 interruption is shown. From this figure, it turns out that the moving distance becomes the designated value with respect to all the patterns. From the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acceleration and jerk exist within the upper limit while generating the speed pattern that arrives at the earliest in accordance with the car load while satisfying the constraint expression of the above expression (4).

(실시예 2) (Example 2)

본 실시예에서 이하에 설명하는 발명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모든 방법에 추가되어 얻는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도 1의 구성에, 구성 요소 온도 검출 수단으로서의 전자 부품 온도 검출 수단(11), 한계 온도 설정 수단(12), 온도 상승 허 용값 연산 수단(13)을 새롭게 마련한 것이다. The invention described below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obtained in addition to all the method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Fig. 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Embodiment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nic component temperature detection means 11, the limit temperature setting means 12, and the temperature rise allowable value calculation means 13 as the component temperature detection means are employed in the configuration of Fig. 1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It is a new arrangement.

도 10에서, 전자 부품 온도 검출 수단(11)은 인버터 등의 전자기기나 이것을 구성하는 전자 부품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며, 예컨대 서미스터 등의 온도센서가 있다. 한계 온도 설정 수단(12)은 상술한 전자기기가 정상으로 동작하는 것을 보증하는 온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온도 상승 허용값 연산 수단(13)은 상기 전자 부품 온도 검출 수단(11)에 의해서 검출된 온도와 한계 온도 설정 수단(12)에 의해서 설정된 온도를 비교함으로써, 전자기기의 온도 여유를 연산하기 위한 것이다. In FIG. 10, the electronic component temperature detection means 11 is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an inverter and the electronic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ame, and there is a temperature sensor such as a thermistor. The limit temperature setting means 12 is for setting the upper limit value or the lower limit value of the temperature which ensures that the above-mentioned electronic device operates normally. The temperature increase allowance value calculating means 13 calculates the temperature margin of the electronic device by comparing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electronic component temperature detecting means 11 with the temperature set by the limit temperature setting means 12. .

다음에, 본 실시예에서의 최단시간 속도 패턴의 연산법에 대하여, 도 11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에서, 도 5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낸 부분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도 5와 같은 처리를 한다. 실시예 2에서의 최단시간 속도 패턴의 연산법은 상기 실시예 1의 연산법의 제약 조건에 전자기기의 온도 상승량을 고려한 것이며, 전자기기의 열에 의한 파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2에서, 인버터 소자의 온도 상승량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Next,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shortest time velocity pattern in a present Example is demonstrated using the flowchart of FIG. In Fig. 11, the parts indica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Fig. 5 perform the same processing as in Fig. 5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The calculation method of the shortest time velocity pattern in Example 2 considers the temperature rise amount of an electronic device in the constraint of the calculation method of Example 1, and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destruction by the heat of an electronic device. In Example 2, the temperature rise amount of an inverter element is demonstrated as an example.

인버터의 온도 상승량의 수속값(W에서 나타냄)은, 수속할 때까지 인버터에 흐르는 전류 패턴의 절대값량의 시간 적분값을 수속 시간으로 나눈 시간 평균값(Is로 나타냄)에 비례한다. 즉, k를 비례 정수라고 하면, 하기의 수학식 7이 성립한다. The convergence value (indicated by W) of the temperature rise amount of the inverter is proportional to the time average value (indicated by Is) obtained by dividing the time integration valu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current pattern flowing through the inverter by the convergence time until convergence. In other words, if k is a proportional integer, the following equation (7) holds.

Figure 112008076963867-pat00007
Figure 112008076963867-pat00007

또한, k는 미리 실험 등을 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학식 7은 카의 한 번의 승강을 포함하는 임의의 시간 구간(Tint로 나타냄)에서의 인버터에 흐르는 전류 패턴(ia로 나타냄)의 절대값량의 시간 적분값을 Tint로 나눈 시간 평균값(Iint로 나타냄)이 Is 이하라고 말하는 구속을 기초로 엘리베이터를 구동하기를 계속하면, 온도 상승을 W 이하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 Iint는 하기의 수학식 8로 표시된다(설명의 간단화를 위해 적분 개시 시간은 0으로 함). In addition, it turns out that k performs experiment etc. previously. Here, Equation (7) is obtained by dividing the time integral valu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current pattern (indicated by i a ) flowing through the inverter in an arbitrary time interval (indicated by T int ) including one lift of the car by T int . If the time average value (indicated by I int ) continues to drive the elevator based on the constraint that is equal to or less than Is, it means that the temperature rise can be suppressed to W or less. In addition, I int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8 (integral start time is 0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Figure 112008076963867-pat00008
Figure 112008076963867-pat00008

여기서, 인버터의 전류값은 모터의 토크 지령값 및 모터의 회전 속도로부터 계산된다. Here, the current value of the inverter is calculated from the torque command value of the motor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motor.

다음에, 속도 패턴의 연산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시간 구간 Δt1∼Δt7과 모터 토크 TM1, TM2를 파라미터로 하여, α1, α2, β1∼β4, v0∼v7 및 이동 거리 L이 표현되고, 그들을 이용하여 도 4 상단의 속도 패턴 v가 상기 수학식 6에 의해 표시된다. 또한, 그 때의 토크 패턴 Tm도 도 4 하단 도면으로부터 Δt1∼Δt7과 모터 토크 TM1, TM2를 파라미터로서 표시된다. 이 때, 인버터에 흐르는 전류 패턴 ia는 이들 v 및 Tm의 함수로서 나타낼 수 있으므로 Δt1∼Δt7, TM1, TM2를 파라미터로서 나타낼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Next, the calculation method of a speed pattern is demonstrated.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α1, α2, β1 to β4, v0 to v7 and the moving distance L are expressed using the time periods Δt1 to Δt7 and the motor torques T M1 and T M2 as parameters, and FIG. The velocity pattern v at the top is represented by Equation 6 above. In addition, the time of the torque pattern is also displayed as a parameter Tm for Δt1~Δt7 and motor torque T M1, T M2 from the bottom of the drawing Fig. At this time, since the current pattern i a flowing through the inverter can be expressed as a function of these v and Tm, it can be seen that Δt1 to Δt7, T M1 and T M2 can be represented as parameters.

도 11에서, 단계 21의 차회 정지층 설정 처리, 단계 22의 파라미터 판독 처리, 단계 23의 카 부하 검출 처리 및 단계 26의 속도 패턴 생성 처리로 행해지는 처리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대로이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In Fig. 11, the processing performed by the next stop layer setting process in step 21, the parameter read process in step 22, the car load detection process in step 23, and the speed pattern generation process in step 26 are a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mit the description.

다음에, 단계 31의 온도 허용값 연산 처리에 있어서는, 도 10에서의 온도 상승 허용값 연산 수단(13)에 의해 인버터의 온도 여유를, 전자 부품 온도 검출 수단(11)에 의해서 검출된 인버터 온도와 한계 온도 설정 수단(12)에 의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인버터의 한계 온도의 차를 얻는 것에 의해 연산한다. 이 단계 31에 의해서 연산된 온도 여유량을 W-로 나타낸다. Next, in the temperature tolerance value calculation process of step 31, the temperature margin of the inverter is determined by the temperature rise tolerance value calculation means 13 in FIG. 10 and the inverte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electronic component temperature detection means 11. It calculates by obtaining the difference of the limit temperature of the inverter preset by the limit temperature setting means 12. FIG. The temperature margin calculated by this step 31 is denoted by W-.

다음에, 단계 32의 제약 조건 설정 처리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기 수학식 4로 표현되는 제약 조건에 대응하는 v-, α1-, α2-, β1-, β2-, β3-, β4-와 시간 구간 Tint를 지정한다. Next, in the constraint setting processing of step 32, v-, α1-, α2-, β1-, β2-, β3-, β4- corresponding to the constraint expressed by the above expression (4)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time interval T int .

다음에, 단계 33의 최적화 문제 구해 처리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최적화 문제를, 제약 조건식인 상기 수학식 4에 하기의 수학식 9를 추가하여 푼다. 또, 목적 함수는 상기 수학식 5와 마찬가지다. 수학식 9는 인버터 소자의 온도 상승량에 대한 제약 조건식이며, 온도 상승량을 W- 이하로 억제할 수 있고, 그 결과 열에 의한 인버터의 파괴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Next, in the optimization problem solving process of step 33, the optimization problem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is solved by adding the following equation (9) to the above equation (4) which is a constraint condition. The objective function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 expression (5). Equation (9) is a constraint condition for the temperature increase amount of the inverter element, and the temperature increase amount can be suppressed to W- or less, and as a result,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destruction of the inverter by heat.

Figure 112008076963867-pat00009
Figure 112008076963867-pat00009

또,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32의 제약 조건 설정 처리로 시간 구간 Tint를 지 정하고 나서 최적화 문제를 풀었지만, 이것을 지정하지 않고 Δt1∼Δt7의 함수로서 풀 수도 있다. 예컨대 목적 함수 T와 적당한 값 Ts를 이용하여, Tint=T+Ts로 하면, 시간 간격 Ts마다 엘리베이터가 기동될 때의 온도 상승량을 임의 값 이하로 제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러 가지 승객 발생 패턴에 대한 운행 패턴을 고려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ptimization problem is solved after specifying the time interval T int in the constraint setting process of step 32, but it can be solved as a function of? T1 to? T7 without specifying this. For example, by using the objective function T and the appropriate value Ts, T int = T + Ts can limit the amount of temperature rise when the elevator is started at every time interval Ts. Accordingly, driving patterns for various passenger generation patterns may be considered.

또, 동기 전동기에서 약하게 하여 자속 제어를 하지 않는 경우, 인버터 전류와 모터 토크는 비례하기 때문에, 전류값 대신에 토크값을 이용한 함수로 온도 상승량을 제약하는 것에 의해서도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토크값과 카 가속도는 비례하기 때문에, 카 가속도를 이용한 함수로 온도 상승량을 제약하는 것에 의해서도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the synchronous motor is not weak and magnetic flux control is performed, the inverter current and the motor torque are proportional to each other. Therefore, the same effect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obtained by restricting the temperature rise amount as a function using the torque value instead of the current value. Can be. In addition, since the torque value and the car acceleration are proportional, the same effects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obtained by restricting the amount of temperature rise as a function using the car acceleration.

또한, 카 가속도의 적분값은 카 속도로 되기 때문에, 카 가속도의 절대값의 적분값은, 카 가속시와 감속시를 고려하면 카 최고 속도의 2배의 값으로 되므로, 카 최고 속도에 의해 온도 상승량을 재는 것에 의해서도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integral value of the car acceleration becomes the car speed, the integral value of the absolute value of the car acceleration becomes twice the maximum speed of the car in consideration of the car acceleration time and the deceleration time. By measuring the increase amount, the same effect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obtained.

또한, 전자기기의 온도 상승량이 전자기기에 흐르는 전류값의 함수로서 표시되는 것이면,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정식화가 가능하고,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as long as the temperature rise of the electronic device is expressed as a function of the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electronic device, the same formulation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possible, and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실시예 3) (Example 3)

본 실시예에서 이하에 설명하는 발명은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설명한 모든 방법에 추가되어 얻는 것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nvention described below is obtained in addition to all the methods describ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본 실시예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도 1 또는 상기 실시예의 도 1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지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차회 정지층을 설정하는 차회 정지층 설정 수단(1)은 그 기능이 도 1 및 도 10의 경우와 다르다. 또한, 속도 패턴 생성 수단(3)은 연산 처리 장치로서 기능한다. Although the structure of this embodimen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FIG. 1 or FIG. 10 of the embodiment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next stop layer setting means 1 for setting the next stop layer functions. This is different from the case of FIGS. 1 and 10. In addition, the speed pattern generating means 3 functions as an arithmetic processing device.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상술한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각 처리 순서에서의 연산 처리는 상기 실시예 1, 2와 같은 순서로 실행하지만, 차회 정지층 설정 수단(1)에 의한 차회 정지층 설정 처리를 하는 단계 21에서의 차회 정지층의 설정 방법이 상기 실시예 1, 2와는 다르다. 이 처리에서는, 차회 정지층으로서, 임의 시간 구간의 카의 평균 정지층을 설정한다. 이 평균 정지층의 구체적인 계산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described above. The arithmetic processing in each processing sequence is executed in the same order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but the setting method of the next stop layer in step 21 of performing the next stop layer setting process by the next stop layer setting means 1 is described above. It differs from Example 1, 2. In this process, as the next stop layer, the average stop layer of the car in an arbitrary time interval is set. The specific calculation method of this average stop layer is mentioned later.

도 5에서, 파라미터 판독 처리를 하는 단계 21∼속도 패턴 생성 처리를 하는 단계 26까지의 순서는, 상기 실시예 1, 2와 마찬가지다. 이들의 연산 처리에서는, 상기 실시예 1, 2와 마찬가지로, 도 2에서 표시되는 모터의 구동 영역 내에서 도달 시간을 최소화하는 최적화 문제를 푸는 것에 의해 최고 속도, 가속도 및 저크가 구해지고, 그들을 이용하여 도 4에서 표시되는 속도 패턴이 연산된다. In Fig. 5, the steps from step 21 for performing parameter read processing to step 26 for performing speed pattern generation processing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n these arithmetic processing, similarly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maximum speed, acceleration and jerk are obtained by solving the optimization problem of minimizing the arrival time in the drive region of the motor shown in FIG. The velocity pattern shown in FIG. 4 is calculated.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차회 정지층 설정 처리를 하는 단계 21이 상기 실시예 1, 2와는 달리, 카의 평균 정지층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그 평균 정지층의 결정법의 일례로서 이하의 것이 있다. Incidentally, in the present embodiment, step 21 of performing the next stop floor setting proces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verage stop floor of the car is set unlike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nd the following is an example of the determination method of the average stop layer.

평균 정지층의 결정법의 일례를,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승강로 내에 최대 n 층의 정지층이 존재하는 경우의, 어떤 시간 구간 내에서의 출발층으로부터 정지 결정층까지의 카의 이동층과 그 발생 확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An example of the determination method of an average stop layer is demonstrated using FIG. FIG. 12 is a graph showing a moving layer of a car from a starting layer to a stopping crystal layer and a probability of occurrence thereof when a maximum of n stop layers exist in a hoistway.

여기서, k층의 이동이 발생하는 확률을 X(k)로 하고, k층의 이동 거리를 L(k)로 한다. 평균 정지층은 이들의 통계량을 이용하여 카의 평균적인 이동 시간이 작아지도록 적절하게 설정된다. 그 설정예의 일례로서, 카의 평균 정지층을 이동층의 기대값을 거리로 환산한 하기의 수학식 10 등으로서 설정할 수 있다. Here, the probability that the k-layer movement occurs is set to X (k), and the moving distance of the k-layer is set to L (k). The average stop layer is appropriately set so that the average travel time of the car is small using these statistics. As an example of the setting example, the average stop floor of the car can be set as Equation 10 below in which the expected value of the moving floor is converted into distance.

Figure 112008076963867-pat00010
Figure 112008076963867-pat00010

또한, 도 12의 통계량을 출발층마다 갖고, 각 출발층마다 평균 정지층을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해도 좋다. In addition, you may have the statistics of FIG. 12 for every starting floor, and the average stop layer may be set for each starting floor as mentioned above.

그 결과, 평균 정지층 이상으로 차회 정지층이 설정된 후 카의 이동 개시 후의 카 호출을 위해 차회 정지층이 변경된 경우에, 운행 시간을 종래 방법과 비교해서 단축할 수 있다. As a result, when the next stop layer is changed for the call after the start of the movement of the car after the next stop layer is set above the average stop floor, the running time can be shorten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또한, 차회 정지층은 하나, 또는 출발층마다 하나의 값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기동마다 차회 정지층을 연산할 필요가 없고, 파라미터로서 판독하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이에 따라, 제어 장치의 연산 순서를 도 13과 같이 간략화할 수 있어, 연산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next stop floor is fixed at one value for each one or starting floor, it is not necessary to calculate the next stop floor for each start of the elevator, and it is sufficient to read as a parameter. Accordingly, the calculation order of the control device can be simplified as shown in Fig. 13, so that the calculation amount can be reduced.

또한, 상기의 방법에 의해 미리 속도 패턴을 각 상황에 따라 구해 두고, 그것들을 메모리 등의 기억 장치에 기억하여 판독하고 이용하는 경우에, 기억 용량이 종래 방법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서 적게 된다. 이것에 의해서 제어 장치를 보다 염가인 것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peed patterns are obtained in advance according to each situation by the above method, they are stored in a storage device such as a memory, read out and used, and the storage capacity is smaller than that in the case of using the conventional method. Thereby, a control apparatus can be made more inexpensive.

(실시예 4) (Example 4)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3에서의 평균 정지층의 설정 순서에 있어서, 이하의 순서(ㄱ)∼(ㄷ)에, 카의 각 출발층에서의 정지 결정층으로의 이동 시간의 기대값을 최소로 하는 평균 정지층의 연산 순서를 나타낸다. 또, 카의 각 층으로의 이동 거리와 그 발생 빈도는 도 12의 통계 데이터를 갖는 것으로 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the setting procedure of the average stop layer in the third embodiment, the expected values of the travel time to the stop crystal layer in each of the starting layers of the car are shown in the following procedures (a) to (c). The calculation order of the minimum average stop layer is shown. In addition, it is assumed that the moving distance to each floor of the car 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thereof have statistical data shown in FIG.

순서(ㄱ):L(k), k=1, … , n의 각각을 차회 정지층으로 설정하고, 도 5의 순서로 최적화 문제를 푸는 것에 의해 카 속도 패턴(카 최고 속도, 카 가속도, 저크)을 연산한다. 이 때, 최적화 문제를 풀기 위해서 필요한 카 부하의 값은 적절하게 설정된다. 예컨대, 기동시에 카에 걸린 카 부하의 통계량을 이용하여, k층 이동시에서의 평균값으로 하거나, 전체(전층 이동시)의 평균값으로 할 수 있다. 이 결과, n개의(카 최고 속도, 카 가속도, 저크)의 조가 구해진다. L(k)에 대응하는 (카 최고 속도, 카 가속도, 저크)의 조를 V(k)로 둔다. Order (a): L (k), k = 1,... Car speed pattern (car maximum speed, car acceleration, jerk) is computed by setting each of n as a next stop layer, and solving the optimization problem in the order of FIG. At this time, the value of the car load necessary for solving the optimization problem is appropriately set. For example, the statistics of the car load applied to the car at the time of start-up can be used to set the average value in k floor movements or the average value of the entire floor movement. As a result, n pairs (car maximum speed, car acceleration, jerk) are obtained. The group of (car top speed, car acceleration, jerk) corresponding to L (k) is set to V (k).

순서(ㄴ):V(j)를 이용한 경우의, 도 12의 분포에 대한 카의 이동 시간의 기대값 T(V(j))를 연산한다. 이것은 다음 수학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단지, TL(V(j), L(k))는 V(j)을 이용했을 때에 L(k) 이동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나타낸다. Step (b): When V (j) is used, the expected value T (V (j)) of the travel time of the car with respect to the distribution in Fig. 12 is calculated. This can be obta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However, T L (V (j), L (k)) represents the time required for L (k) movement when V (j) is used.

Figure 112008076963867-pat00011
Figure 112008076963867-pat00011

순서(ㄷ): 상기 수학식 11의 T(V(j))가 최소로 되는 j를 이용하여 L(j)을 평균 정지층으로 결정한다. Step (c): L (j) is determined as the average stop layer by using j in which T (V (j)) in Equation 11 becomes the minimum.

또, 도 12에 나타낸 확률 X(k), k=1, 2 …, n을 연속적인 확률 밀도 함수 X(k), 0≤k≤n으로 치환해도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의논을 할 수 있다. Moreover, the probability X (k) shown in FIG. 12, k = 1, 2 ... , n can be replaced by the successiv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X (k) and 0? k?

본 실시예에서의 효과에 대하여,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Effects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4.

도면 중의 곡선은 각각 상기 실시예 1과, 이 실시예 4를 이용하여 생성된 엘리베이터의 속도 패턴에 대하여, 도중에서 카 호출이 들어가서 도중 층에 정지했을 때의 카 속도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도면 중의 A 및 B는 각각 실시예 4와 상기 실시예 1, 2를 이용하여 연산된 카 속도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The curves in the figure show the car speed patterns when the car call enters on the way and stops on the way floor for the speed patterns of the elevator generated using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fourth embodiment, respectively. A and B in the figure show car speed patterns calculated using Example 4 and Examples 1 and 2, respectively.

이 도 14에서, 실시예 1, 2에서는 평균 정지층보다도 큰 차회 정지층이 설정되고, 그에 따라 속도 패턴이 연산되어 있다. B에 나타내는 실시예 1, 2에서는 카 최고 속도의 상한을 높이기 위해서, 카 가속도를 작게 하고 있지만 도중에서 카 호출이 들어갔기 때문에, 카 최고 속도까지 높일 수 없고 감속하고 있는 모양을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4를 이용한 경우는 차회 정지층을 평균 정지층으로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실시예 1, 2와 비교하여 차회 정지층과 정지 결정층의 차가 작아지고 있다. In Fig. 14,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next stop layer larger than the average stop layer is set, and the speed pattern is calculated accordingly. In Examples 1 and 2 shown in B, in order to raise the upper limit of a car maximum speed, although the car acceleration is made small, since the car call entered on the way, it is showing that it cannot decelerate to the car maximum speed and decelerates. When Example 4 is used, since the next stop layer is set as the average stop lay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next stop layer and the stop crystal layer is smaller than that in Examples 1 and 2.

이 결과, 실시예 1, 2보다도 고 가속도로 또한 최고 속도까지 도달할 수 있으므로, 실시예 1, 2보다도 일찍 정지 결정층에 도달하고 있다. 반대로 도중에서 카 호출이 들어가지 않는 경우나, 평균 정지층 이하의 차회 정지층이 승객에 의해서 설정되어 있던 경우의 운행 시간은 실시예 1, 2를 이용한 쪽이 짧아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의 이동량, 각 정지 결정층에 대한 기동 빈도 및 카 부하의 통계량을 이용하여 카 이동 시간의 기대값이 최소가 되는 평균 정지층을 이용하여 속도 패턴을 구하고 있기 때문에, 승객의 이동 시간을 평균적으로 단축할 수 있다. As a result, since it is possible to reach higher acceleration and maximum speed than Examples 1 and 2, the stationary crystal layer is reached earlier than Examples 1 and 2. On the contrary, in the case where a car call does not enter in the middle or when the next stop layer below the average stop floor is set by the passenger, the time using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s shorter.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speed pattern is obtained by using the average stop floor where the expected value of the car travel time is minimum by using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car, the starting frequency for each stop determination layer, and the statistics of the car load, The travel time can be shortened on average.

또한, 정지 결정층의 확률 분포에 따라서는, 실시예 1, 2와 비교하여 단축되는 운행 시간의 총합이 운행 시간의 증가의 총합보다도 커지기 때문에, 본 실시예를 이용한 쪽이, 운행 효율이 좋아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차회 정지층에 평균 정지층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실시예 1, 2와 비교해서 이동 개시 후의 카 호출에 의한 극단적인 이동 거리의 변경이 없다. 즉, 긴 이동 거리에 대하여 설정된, 저 가속, 저 저크 및 고 최고 속도에 의한 운행 패턴이 짧은 이동 거리에 대하여 적용되는 빈도가 감소한다. 이에 따라 같은 이동 거리에 대한 도달 시간의 격차가 적어져, 이것에 의한 승객의 불쾌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he stop determination layer, since the total of the travel time shortened compared with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s larger than the total of the increase in the travel time, the use of this embodiment improves the running efficiency. Is effective. In addition, since the average stop layer is used for the next stop layer, there is no change in the extreme moving distance due to the car call after the start of movement as compared with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at is, the frequency with which the driving pattern with low acceleration, low jerk, and high maximum speed set for the long travel distance is applied for the short travel distance is reduced. As a result, the difference in arrival time with respect to the same travel distance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discomfort of the passenger.

(실시예 5) (Example 5)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3 및 4에서 설명한 평균 정지층의 설정 순서에서 이용한 도 12의 통계량을, 통근시나 퇴근시 등의 승객 수요가 다른 시간대마다 복수개 준비하고, 그것들을 이용하여 시간대마다의 평균 정지층을 상기한 방법 등으로 구하여 놓는다. 그리고, 그들의 평균 정지층을 대응하는 각 시간대마다 바꿔 평균 정지층으로 설정하여, 카 속도 패턴을 연산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statistics shown in Fig. 12 used in the procedure for setting the average stop floor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3 and 4 are prepared for each time zone having different passenger demands such as commuting or leaving work, The average stop layer is calculated | required by the method mentioned above. Then, the average stop floor is changed for each time zone corresponding to the average stop floor, and the car speed pattern is calculated.

이에 따라, 평균 정지층을 구하기 위해서 이용한 통계량이 실제의 승객 수요를 보다 정확히 반영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설정되는 평균 정지층이 실제의 평균 정지층에 보다 가까이 가기 때문에, 한층더 운행 효율의 개선을 실현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tatistics used to calculate the average stop floor more accurately reflect the actual passenger demand. Therefore, since the set average stop floor is closer to the actual average stop floor,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running efficiency.

(실시예 6) (Example 6)

본 실시예에서는, 차회 정지층으로서, 카의 평균 정지층에 대한 이동 거리와 카의 이동 전에 승객에 의해 설정되는 차회 정지층의 이동 거리를 비교하고, 카가 통과하는 구간의 상황에 따라서 차회 정지층을 설정하여 카 속도 패턴을 연산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the next stop layer, the moving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average stop floor of the car is compared with the moving distance of the next stop floor set by the passenger before the car is moved, and the next stop floor according to the situation of the section in which the car passes. Calculate the car speed pattern by setting.

이에 따라, 차회 정지층을 평균 정지층으로 설정하여 카 속도 패턴을 연산하는 경우보다도 확실히 일찍 도달하는 경우에, 차회 정지층을 평균 정지층으로 설정하여 구한 카 속도 패턴을 이용하는 것으로 정지 결정층으로의 도달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다음과 같은 경우가 이것에 해당한다. As a result, when the next stop layer is set to the average stop layer and arrives at a certain time earlier than the case of calculating the car speed pattern, the next stop layer is used as the average stop layer to obtain the car speed pattern. The arrival delay can be prevented. For example, this is the case.

카가 이동하기 전에 승객에 의해서 설정된 차회 정지층이 평균 정지층보다도 작을 때에는, 차회 정지층을 카가 이동하기 전에 승객에 의해서 설정된 차회 정지층으로 다시 설정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차회 정지층을 평균 정지층으로 설정한다.If the next stop floor set by the passenger before the car moves is smaller than the average stop floor, the next stop floor is set back to the next stop floor set by the passenger before the car moves; otherwise, the next stop floor is averaged. Set to stop layer.

이에 따라, 평균 정지층을 이용하여 카 속도 패턴을 연산하는 것으로 이동 시간이 확실히 지연되는 경우를 제거할 수 있어, 운행 효율이 더 개선되는데, 이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Accordingly, by calculating the car speed pattern using the average stop floor,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case where the travel time is reliably delayed, and the driving efficiency is further improved. This reason will be described below.

우선, 운행 시간에 대해서, 이동 거리가 줄어드는 것에 따라서 최고 속도를 크게 하는 것보다도 가속도와 저크를 각각 크게 하는 쪽이 일찍 도달한다. 이것은, 카의 이동 거리가 짧으면, 최고 속도로 운행하는 시간이 가속 시간이나 저크 시간에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줄어들기 때문이다. 또한, 도 4와 같은 카 속도 패턴으로 운행하면, 모터의 동작 궤적은 도 8과 같이 된다. 따라서 고 가속도, 고 저크를 내기 위해서는 모터에 고 토크가 요구되지만, 고 토크가 되는 것에 따라 최고 속도를 크게 할 수 없는 것을 도 2로부터 알 수 있다. First, with respect to the running time, the acceleration and the jerk are increased early rather than increasing the maximum speed as the travel distance decreases. This is because, when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r is short, the time for running at the highest speed is relatively short compared with the acceleration time or jerk time. Further, when driving in the car speed pattern as shown in FIG. 4, the operation trajectory of the motor is as shown in FIG. Therefore, although high torque is required for the motor to produce high acceleration and high jerk, it can be seen from FIG. 2 that the maximum speed cannot be increased as the high torque becomes high.

이상으로부터, 최적화 문제를 풀어 카 속도 패턴을 구할 때에는, 카의 이동 거리를 크게 잡아 구하는 경우보다도, 작게 잡아 구하는 경우 쪽이 고 가속도, 고 저크, 저 최고 속도의 해가 구해진다. 차회 정지층과 정지 결정층이 일치하면, 카는 정지 결정층에 최단시간에 도달하기 때문에, 카의 이동 거리가 평균 정지층 이하인 경우에 차회 정지층을 평균 정지층으로 설정한 속도 패턴으로 운행한 경우에 운행 도중에서 카 호출이 들어가지 않은 경우에는 반드시 운행 시간이 증가한다. As mentioned above, when solving the optimization problem and finding a car speed pattern, the solution of high acceleration, high jerk, and low maximum speed is calculated | required in the case of catching small rather than finding the car moving distance large. When the next stop layer and the stop crystal layer coincide, the car reaches the stop crystal layer in the shortest time. Therefore, when the moving distance of the ca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average stop layer, the car stops at the speed pattern in which the next stop layer is set as the average stop layer. If the car call is not entered during the operation, the running time must be increased.

또한, 카 호출이 들어간 경우에는 이동 거리가 단축되기 때문에, 상기한 이유(차회 정지층을 짧게 설정한 쪽이 저 최고 속도, 고 가속도, 고 저크의 해가 구해지는 것 및 이동 거리가 줄어드는 것에 따라서 최고 속도를 크게 하는 것보다도 가속도와 저크를 각각 크게 하는 쪽이 일찍 도달하는 것)로부터 차회 정지층을 평균 정지층으로 설정하지 않고 카 속도 패턴을 구한 쪽이 일찍 도달한다. 이에 따 라, 카의 이동 전에 설정된 차회 정지층에 의한 이동 거리가 평균 정지층보다도 작을 때에는, 차회 정지층을 카의 이동 전에 설정된 정지층으로 다시 설정하는 것이 더 빠르게 정지 결정층에 도달하고, 그 결과 운행 효율이 개선된다. In addition, since the travel distance is shortened when a car call is entered, the reason mentioned above (the shorter the next stop layer is set, the lower the maximum speed, the high acceleration, the solution of the high jerk, and the travel distance decreases. The car speed pattern is obtained earlier without setting the next stop layer as the average stop layer from the acceleration and jerk larger than the maximum speed. Accordingly, when the moving distance by the next stop layer set before the movement of the car is smaller than the average stop layer, resetting the next stop layer to the stop layer set before the movement of the car arrives at the stop determination layer more quickly. The result is improved running efficiency.

(실시예 7) (Example 7)

본 실시예에서는, 평균 정지층과 정지 가능층을 비교하여 승강 행정 내에 급행 영역을 갖는 경우 등에, 평균 정지층이 급행 영역 내에 설정되었을 때, 차회 정지층을 다시 설정하여 카 속도 패턴을 연산한다. 예컨대,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카가 이동하기 전에 승객에 의해서 설정된 정지 가능층인 차회 정지층이 급행 영역을 통과할 때에, 또한 거기까지의 이동 거리가 평균 정지층의 이동 거리 이상인 경우에는, 차회 정지층을 급행 영역 구간의 종단층으로 다시 설정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average stop floor is set in the express area, for example, when the average stop floor and the stoppable floor are compared, the next stop layer is set again to calculate the car speed pattern. For example, it is set as follows. When the next stop layer, which is a stopable floor set by the passenger, passes through the express zone before the car moves, and the distance to there is more than the average travel distance, the next stop layer is the end layer of the express zone section. Reset it with.

이에 따라, 카가 급행 영역 구간을 통과하는 경우에 평균 정지층 이상의 이동 거리를 이동하는 경우에, 차회 정지층에 평균 정지층을 설정하여 카 속도 패턴을 연산하는 것이 원인으로 되어 정지 결정층으로의 도달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행 시간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이 이유는 상기에서 말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즉, 차회 정지층을 길게 설정한 쪽이 고 최고 속도, 저 가속도, 저 저크의 해가 구해지는 것 및 이동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서 가속도와 저크를 각각 크게 하는 것보다도 최고 속도를 크게 하는 쪽이 일찍 도달하는 것에 의한다. As a result, when the car moves the moving distance of the average stop layer or more when passing through the express zone section, the average stop layer is set in the next stop layer and the car speed pattern is calculated. This delay can be prevented, and an increase in running time can be suppressed. This reason is the same as that mentioned above. That is, the longer the next stop layer is set, the higher the maximum speed, the low acceleration, the solution of the jerk is found, and the larger the maximum speed is to be increased than the acceleration and jerk, respectively, as the travel distance increases. By reaching

또한, 급행 영역을 갖는 경우뿐만 아니라, 정지 결정층이 이동 개시 전에 미리 결정되어 변경이 없는 경우에, 차회 정지층을 정지 결정층으로 하는 것에 의해 서도, 차회 정지층을 평균 정지층으로 설정하여 구한 카 속도 패턴을 이용하는 것으로 도달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top crystal layer is determined before the start of movement and there is no change, not only when the express region is provided, but also when the next stop layer is used as the stop crystal layer, the next stop layer is obtained by setting the average stop layer. Using the car speed pattern can prevent the delay of arrival.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버터로 급전되는 모터에 의해, 승객카에 로프를 거쳐서 연결된 균형추를 갖는 권상기를 구동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승객카의 중량을 카 부하로서 계측하는 카 부하 검출 수단과, 차회 정지층을 설정하는 차회 정지층 설정 수단과, 상기 카 부하 검출 수단에 의해서 얻어지는 카 부하와 상기 차회 정지층 설정 수단에 의해서 설정되는 차회 정지층에 근거하여 상기 모터의 허용될 수 있는 구동 범위 내로서 최단시간에 차회 정지층에 상기 승객카가 도달하는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하는 카 속도 패턴 생성 수단을 구비했으므로, 승객의 이동 시간이 단축되어, 카의 운행 효율이 높아진다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r load detecting means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assenger car as a car load in an elevator for driving a hoisting machine having a balance weight connected to a passenger car via a rope by a motor fed by an inverter. And an allowable drive of the motor based on the next stop layer setting means for setting the next stop layer and the next load layer set by the car load obtained by the car load detection means and the next stop layer setting means. Since a car speed pattern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car speed pattern in which the passenger car reaches the next stop layer within the shortest time is provided within the range, the travel time of the passenger is shortened and the driving efficiency of the car is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버터로 급전되는 모터에 의해, 승객카에 로프를 거쳐서 연결된 균형추를 갖는 권상기를 구동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승객카의 중량을 카 부하로서 계측하는 카 부하 검출 수단과, 차회 정지층을 설정하는 차회 정지층 설정 수단과, 상기 인버터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의 온도를 계측하는 구성 요소 온도 검출 수단과, 상기 구성 요소의 온도 상승 한계값을 설정하는 한계 온도 설정 수단과, 상기 구성 요소 온도 검출 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구성 요소 온도와 상기 한계 온도 설정 수단에 의해 설정된 온도 상승 한계값에 근거하여 온도 상승 한계 허용값을 연산하는 온도 상승 허용값 연산 수단과, 상기 구성 요소의 온 도 상승 한계 허용값과 상기 카 부하와 상기 차회 정지층에 근거하여 상기 모터의 허용될 수 있는 구동 범위 내에서 또한 상기 구성 요소가 예상되는 온도 상승량이 온도 상승 한계 허용값 이내에 최단시간에 상기 승객카가 차회 정지층에 도달하는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하는 카 속도 패턴 생성 수단을 구비했기 때문에, 온도 상승에 따른 전자기기 등의 구성 요소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승객의 이동 시간이 단축된다는 효과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levator for driving a hoist having a balance weight connected to a passenger car via a rope by a motor fed by an inverter, the car load detection means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assenger car as a car load, A next stop layer setting means for setting the next stop layer, a component temperature detection means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of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inverter, a limit temperature setting means for setting a temperature rise threshold of the component, and Temperature rise allowance value calculating means for calculating a temperature rise limit allowable value based on a component temperature obtained from a component temperature detection means and a temperature rise limit value set by said limit temperature setting means, and a temperature rise limit of said component Permissible drive of the motor based on an allowable value and the car load and the next stop layer Within the range and because the component is provided with a car speed pattern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car speed pattern in which the passenger car reaches the next stop layer in the shortest time within the temperature rise limit toleranc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ravel time of the passenger is shortened within the range to prevent the destruction of components such as electronic devices.

또한, 상기 속도 패턴 생성 수단은,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할 때에 카 최고 속도, 카 가속도, 카 가속도의 변화율의 상한을 정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를 탄 기분을 개선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speed pattern generating means determines the upper limit of the rate of change of the car maximum speed, car acceleration, and car acceleration when generating the car speed pattern, so that there is an effect that the comfort of the elevator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카 속도 패턴 생성 수단은,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카 속도 구동 지령에 관련된 모터 토크 파형을 상기 구성 요소에 흐르는 전류값으로 환산하고, 그 전류값 파형이 상기 온도 상승 한계 허용값의 함수에 의해서 제약되는 조건에 근거하여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하기 때문에, 구성 요소에 흐르는 전류 파형으로부터 그 온도 상승량을 예측하여, 전자기기 등의 구성 요소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승객의 이동 시간이 단축된다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car speed pattern generating means converts the motor torque waveform related to the car speed drive command applied to the motor into a current value flowing through the component, and the current value waveform is a function of the temperature rise limit tolerance value. Since the car speed pattern is generated based on the conditions constrained by the condition, the travel time of the passenger can be estimated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temperature rise amount can be predicted from the current waveform flowing through the component, and the destruction of the components such as electronic devices can be prevented. It has the effect of being shortened.

또한, 상기 차회 정지층 설정 수단은, 상기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차회 정지층을 엘리베이터의 기동 회수와 카 출발층으로부터 다음에 정지하는 정지 결정층까지의 이동 거리의 통계량으로부터 구한 카의 평균 정지층으로 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기동 회수마다 차회 정지층을 설정할 필요가 없어져서 연산 처리가 간략화되어, 속도 패턴의 생성 처리가 빠르게 되고, 또한, 평균 정지층 이상으 로 차회 정지층이 설정된 후 카의 이동 개시 후의 카 호출 때문에 차회 정지층이 변경된 경우에, 운행 시간이 종래 방법과 비교해서 단축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next stop layer setting means may stop the average stop of the car obtained from the statistics of the number of times the elevator stop layer for generating the car speed pattern from the starting number of elevators and the stop determination floor to stop next. Since the floor is used as a floor, it is not necessary to set the next stop floor for each number of start-ups of the elevator, and the calculation process is simplified, the speed pattern generation process is accelerated, and the next stop floor is set above the average stop floor. When the next stop floor is changed due to a car call after the start, the running time can be shorten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thod.

또한, 상기 차회 정지층 설정 수단은, 상기 카의 평균 정지층을 각 출발층에서의, 정지 결정층으로의 이동 시간의 기대값이 최소로 되는 정지층으로서 설정하기 때문에, 평균적으로, 승객의 이동 시간의 단축 효과가 커지는 차회 정지층을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next stop floor setting means sets the average stop floor of the car as a stop floor at which the expected value of the travel time from each departure floor to the stop determination floor is minimized.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ossible to set the next stop layer in which the shortening effect of time becomes large.

또한, 상기 차회 정지층 설정 수단은, 상기 카의 평균 정지층을 승객 수요가 다른 시간대마다의 정지 결정층의 통계량에 근거하여 설정하기 때문에, 평균 정지층이 승객 수요에 따라 설정되므로, 승객의 이동 시간의 단축 효과가 더 커진다는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next stop floor setting means sets the average stop floor of the car based on the statistics of the stop decision floor for each time zone where the passenger demand is different, the average stop floor is set according to the passenger demand, so that the passenger's movement The effect of shortening the time becomes larger.

또한, 상기 카 속도 패턴 생성 수단은, 상기 차회 정지층과 상기 카의 평균 정지층을 비교하여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하기 때문에, 차회 정지층을 평균 정지층으로 설정하여 속도 패턴을 연산하는 경우보다도 확실히 일찍 도달하는 속도 패턴을 연산하기 위한 정지층이 존재하는 경우에, 그 정지층을 차회 정지층으로 설정할 수 있어, 또한 운행 효율이 개선된다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car speed pattern generating means generates the car speed pattern by comparing the next stop layer and the average stop layer of the car, so that the speed stop pattern is set as the average stop layer, more reliably than when calculating the speed pattern. In the case where there is a stop layer for calculating an early arriving speed pattern, the stop layer can be set as the next stop layer, an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running efficiency is improved.

또한, 상기 카 속도 패턴 생성 수단은, 카가 정지 가능한 정지 가능층과 상기 카의 평균 정지층을 비교하여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하기 때문에, 평균 정지층이 정지 가능층이 아닌 경우에, 차회 정지층을 평균 정지층으로 설정하여 연산한 속도 패턴을 이용하여 운행하는 것으로 운행 시간이 지연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어, 운행 효율이 개선된다는 효과가 있다. Further, the car speed pattern generating means generates a car speed pattern by comparing the stopable layer in which the car can stop with the average stop layer of the car, so that the next stop layer is determined when the average stop layer is not the stopable layer. By using the speed pattern calculated by setting the average stop floor, it is possible to avoid the delay of the running time, thereby improving the running efficiency.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부하와 이동 거리에 따라서 최고 속도나 가속도를 변경하여 운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levator control apparatus capable of shortening the running time by changing the maximum speed or accel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load and the moving distance.

Claims (11)

승객카(passenger car) 및 균형추에 로프를 거쳐서 연결된 권상기를 구동하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In an elevator for driving a hoist connected to a passenger car and a counterweight via a rope, 상기 승객카의 중량을 카 부하로서 계측하는 카 부하 검출 수단과, Car load detection means for measuring the weight of the passenger car as a car load; 차회(次回) 정지층을 설정하는 차회 정지층 설정 수단과, Next stop floor setting means for setting the next stop floor, 상기 카 부하 검출 수단에 의해서 얻어지는 카 부하와 상기 차회 정지층 설정 수단에 의해서 설정되는 차회 정지층에 근거하여, 차회 정지층에 상기 승객카가 도달하는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하되, 카 부하가 최대 부하인 때에 최고 속도가 정격 속도가 되도록 카 속도 패턴을 설정하는 카 속도 패턴 생성 수단Based on the car load obtained by the car load detecting means and the next stop layer set by the next stop layer setting means, a car speed pattern at which the passenger car reaches the next stop layer is generated, wherein the car load is the maximum load. Car speed pattern generation means for setting the car speed pattern so that the maximum speed becomes the rated speed at the time 을 구비하고,And, 상기 카 속도 패턴 생성 수단은, 상기 카 부하에 근거하여, 상기 카 부하가 최대 부하인 때의 카 속도 패턴보다 운행 시간이 짧은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The car speed pattern generating means generates a car speed pattern having a shorter running time than the car speed pattern when the car load is the maximum load, based on the car loa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카 속도 패턴 생성 수단은, 상기 카 부하에 근거하여, 최고 속도를 상기 정격 속도 보다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운행 시간을 단축하는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The car speed pattern generating means generates a car speed pattern which shortens the running time by making the maximum speed larger than the rated speed based on the car loa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카 속도 패턴 생성 수단은,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할 때에 카 최고 속도, 카 가속도, 카 가속도의 변화율의 상한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The car speed pattern generating means determines the upper limit of the rate of change of the car maximum speed, car acceleration, and car acceleration when the car speed pattern is generated.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운행 시간의 단축은 운행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The control device of the elev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rtening of the running time minimizes the running tim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회 정지층 설정 수단은, 상기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하기 위한 차회 정지층을 엘리베이터의 기동 회수와 카 출발층으로부터 다음에 정지하는 정지 결정층까지의 이동 거리의 통계량으로부터 구한 카의 평균 정지층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The next stop layer setting means is a next stop layer for generating the car speed pattern as the average stop floor of the car obtained from the statistics of the number of start-ups of the elevator and the moving distance from the car start floor to the next stop determination floor. Elevator contro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차회 정지층 설정 수단은, 상기 카의 평균 정지층을 각 출발층에서의, 정지 결정층으로의 이동 시간의 기대값이 최소로 되는 정지층으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The next stop floor setting means sets the average stop floor of the car as a stop floor at which the expected value of the travel time from each start floor to the stop crystal floor is minimized.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차회 정지층 설정 수단은, 상기 카의 평균 정지층을 승객 수요가 다른 시간대마다의 정지 결정층의 통계량에 근거하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And said next stop floor setting means sets the average stop floor of said car based on the statistics of the stop decision floor for each time zone in which passenger demand differs.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카 속도 패턴 생성 수단은, 상기 차회 정지층과 상기 카의 평균 정지층을 비교하여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And said car speed pattern generating means generates a car speed pattern by comparing said next stop layer with said average stop floor of said car. 제 5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카 속도 패턴 생성 수단은, 카가 정지 가능한 정지 가능층과 상기 카의 평균 정지층을 비교하여 카 속도 패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And said car speed pattern generating means generates a car speed pattern by comparing the stopable floor on which the car can stop and the average stop floor of said car.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카 속도 패턴 생성 수단은 카 속도 패턴으로서 카 속도, 카 가속도, 또는 카 가속도의 변화율 중 적어도 하나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 The car speed pattern generating means calculates at least one of a car speed, a car acceleration, or a rate of change of the car acceleration as the car speed patter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카 부하 및 차회 정지층과 속도 패턴이 대응지어져 기재된 테이블이 상기 카 속도 패턴 생성 수단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장치.A table in which the car load, the next stop layer, and the speed pattern a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are provided in the car speed pattern generating means.
KR1020087027243A 2001-12-10 2002-12-09 Elevator control apparatus KR10099516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75697 2001-12-10
JPJP-P-2001-375697 2001-12-10
JP2002060752A JP4158883B2 (en) 2001-12-10 2002-03-06 Elevator and its control device
JPJP-P-2002-060752 2002-03-0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9934A Division KR20050106129A (en) 2001-12-10 2002-12-09 Elevator control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527A KR20080111527A (en) 2008-12-23
KR100995161B1 true KR100995161B1 (en) 2010-11-17

Family

ID=2662496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7243A KR100995161B1 (en) 2001-12-10 2002-12-09 Elevator control apparatus
KR1020057007778A KR100868129B1 (en) 2001-12-10 2002-12-09 Elevator control apparatus
KR1020057019934A KR20050106129A (en) 2001-12-10 2002-12-09 Elevator control apparatus
KR1020037010449A KR100568397B1 (en) 2001-12-10 2002-12-09 Elevator control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778A KR100868129B1 (en) 2001-12-10 2002-12-09 Elevator control apparatus
KR1020057019934A KR20050106129A (en) 2001-12-10 2002-12-09 Elevator control apparatus
KR1020037010449A KR100568397B1 (en) 2001-12-10 2002-12-09 Elevator control apparatus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158883B2 (en)
KR (4) KR100995161B1 (en)
CN (1) CN1302975C (en)
DE (1) DE10296269B4 (en)
WO (1) WO200305002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3992B2 (en) 2001-05-18 2010-11-16 Merck Sharpe & Dohme Conjugates and compositions for cellular delivery
US7837012B2 (en) 2003-09-29 2010-11-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elevator
CN101844718B (en) * 2003-11-21 2012-01-25 三菱电机株式会社 Elevator device
EP1688383A4 (en) 2003-11-21 2011-09-21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CN1918061B (en) * 2004-03-26 2011-07-20 三菱电机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system
EP1731466B1 (en) * 2004-03-29 2012-04-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ontrol device
JP2005280933A (en) * 2004-03-30 2005-10-13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control device
WO2005102896A1 (en) * 2004-03-30 2005-11-0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of elevator
CN100515899C (en) * 2004-03-30 2009-07-22 三菱电机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device
CN100486880C (en) * 2004-06-07 2009-05-13 三菱电机株式会社 Group management control device of elevators
JP4575076B2 (en) * 2004-08-05 2010-11-04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equipment
JP4959124B2 (en) * 2004-10-12 2012-06-20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Eleva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WO2006046295A1 (en) * 2004-10-28 2006-05-0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rotating machine for elevator
KR100652917B1 (en) * 2005-03-14 2006-12-01 경남산업건기(주) Speed control apparatus of lift for construction
JP4584019B2 (en) * 2005-05-10 2010-11-17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device
WO2007013141A1 (en) * 2005-07-26 2007-02-0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elevator
CN101044077A (en) 2005-08-25 2007-09-26 三菱电机株式会社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WO2007039928A1 (en) 2005-09-30 2007-04-1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apparatus
JP5143425B2 (en) * 2005-09-30 2013-02-13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WO2007055023A1 (en) 2005-11-14 2007-05-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control device
KR100735352B1 (en) * 2005-11-30 2007-07-0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Control device of elevator
KR100771719B1 (en) * 2006-03-28 2007-10-3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Control device for elevator
JP5068643B2 (en) * 2006-04-13 2012-11-07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equipment
KR100803872B1 (en) * 2006-04-27 2008-02-1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Control device of elevator
KR100994582B1 (en) * 2006-05-16 2010-11-1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Control device for elevator
KR100829319B1 (en) * 2006-06-30 2008-05-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control device
WO2008004300A1 (en) * 2006-07-06 2008-01-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Display device for elevator
JP4888093B2 (en) * 2006-12-06 2012-02-29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device
EP2112114B1 (en) 2007-02-14 2014-04-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N101573282B (en) * 2007-03-26 2011-07-06 三菱电机株式会社 Elevator apparatus
KR100858190B1 (en) * 2007-04-19 2008-09-10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Control device for elevator
US8196711B2 (en) 2007-07-12 2012-06-1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EP2181955B1 (en) 2007-08-28 2014-10-0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Indication unit of elevator
KR100905750B1 (en) * 2008-06-12 2009-07-01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Elevator control system
JP2010058865A (en) * 2008-09-01 2010-03-18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control device
FR2937432B1 (en) * 2008-10-22 2015-10-30 Schneider Toshiba Inverter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LIFTING LOAD
WO2010103643A1 (en) * 2009-03-12 2010-09-16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equipment
WO2011008207A1 (en) * 2009-07-15 2011-01-20 Otis Elevator Company Energy savings with optimized motion profiles
JP4818405B2 (en) 2009-07-21 2011-11-16 三菱電機株式会社 Fuel supply device
JP5554336B2 (en) * 2009-09-09 2014-07-23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device
JP5428900B2 (en) * 2010-01-28 2014-02-26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speed control device
WO2011108047A1 (en) 2010-03-03 2011-09-09 三菱電機株式会社 Control device for elevator
JP5058310B2 (en) * 2010-08-12 2012-10-24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Elevator control device
WO2012082134A1 (en) * 2010-12-17 2012-06-21 Otis Elevator Company Regenerative power control for passenger conveyors
JP5524893B2 (en) * 2011-04-01 2014-06-18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rotating machine control device
JP5668599B2 (en) * 2011-05-18 2015-02-12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speed control device
JP2015016933A (en) * 2013-07-09 2015-01-2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Drive control device of elevator
CN106573755B (en) 2014-09-09 2019-03-01 三菱电机株式会社 Lift appliance
CN114890258B (en) * 2022-05-05 2023-09-08 国新电梯科技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speed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elevator
CN116395512B (en) * 2023-03-28 2024-01-12 宁波汉科思液压有限公司 Hydraulic system and contro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5301A (en) 1989-07-03 1991-07-30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peed dictation system
JPH0356308A (en) 1989-07-21 1991-03-11 Hitachi Kiden Kogyo Ltd Article storehouse
JP3295553B2 (en) 1994-10-05 2002-06-24 三菱電機株式会社 Variable speed device
FI99108C (en) 1994-11-29 1997-10-10 Kone Oy A method of controlling an elevator
GB2310770B (en) * 1996-02-28 1998-02-04 Hitachi Ltd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C motor such as that in elevator with high driving efficiency
JP3251844B2 (en) * 1996-03-29 2002-01-28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device
JPH11228043A (en) * 1998-02-13 1999-08-24 Nippon Otis Elevator Co Cooling controller for elevator control motor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cooling control program
JP3350439B2 (en) * 1998-03-13 2002-11-25 株式会社東芝 Elevator control device
JP3577543B2 (en) * 1999-12-22 2004-10-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Control device for multiple elevators
JP4283963B2 (en) 2000-02-28 2009-06-24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control device
KR200196786Y1 (en) * 2000-04-12 2000-09-15 주식회사대기시트 A rear leg fixing structure of seat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838A (en) 2004-02-25
CN1302975C (en) 2007-03-07
JP4158883B2 (en) 2008-10-01
JP2003238037A (en) 2003-08-27
DE10296269T5 (en) 2004-03-04
KR20080111527A (en) 2008-12-23
KR20050046023A (en) 2005-05-17
WO2003050028A1 (en) 2003-06-19
CN1491179A (en) 2004-04-21
KR20050106129A (en) 2005-11-08
DE10296269B4 (en) 2019-12-24
KR100868129B1 (en) 2008-11-10
KR100568397B1 (en) 200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5161B1 (en) Elevator control apparatus
JP5313978B2 (en) Elevator control device
KR100947695B1 (en) Elevator device
EP1731467B1 (en) Control device of elevator
US7637353B2 (e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JPH09267977A (e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US7681697B2 (en) Elevator operation control device which controls the elevator based on a sensed temperature
EP1487730B1 (en) Method and aparatus for increasing the traffic handling performance of an elevator system
JPWO2008099470A1 (en) Elevator equipment
US7837012B2 (en) Control device for elevator
EP2558394B1 (en) Elevator system
JP2009149425A (en) Elevator control device
EP1721855A2 (en) Controller for elevator
JPH04361960A (en) Control device for self-driven elevator
JPS5842573A (en) Controller for elevator
EP1731466B1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5107021B2 (en) elevator
WO2015033386A1 (en) Elevator control device
KR100829319B1 (en) Elevator control device
JP5095223B2 (en) Elevator equipment
JPH05286655A (en) Control device of self-mobile elevator
KR100735352B1 (en) Control device of elevator
KR100881370B1 (en) Elevator control device
Hasan et al. EVALUATION OF INTELLIGENT CONTROLLERS FOR IMPROVING ELEVATOR ENERGY EFFICIENCY
KR19980037059A (en) Acceleration / Deceleration Pattern Generation Method of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