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099B1 - 토사백 옹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토사백 옹벽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099B1
KR100995099B1 KR1020080089577A KR20080089577A KR100995099B1 KR 100995099 B1 KR100995099 B1 KR 100995099B1 KR 1020080089577 A KR1020080089577 A KR 1020080089577A KR 20080089577 A KR20080089577 A KR 20080089577A KR 100995099 B1 KR100995099 B1 KR 100995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s
soil
group
backfill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9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0726A (ko
Inventor
연철수
연훈모
Original Assignee
(합)강산건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강산건업 filed Critical (합)강산건업
Priority to KR1020080089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099B1/ko
Publication of KR20100030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9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filled, bag-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75Textiles
    • E02D2300/0076Textiles non-wove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사백(B)을 단순히 적층시키지 않고 각종 기상 재해에 따른 붕괴에 대응하기 위하여 1군 내지 4군의 그리드(G1∼G4)를 공정의 중간 중간에 펼쳐지도록 한 후 토사백을 따라 철망(C)을 씌우면서 1군 내지 4군의 그리드(G1∼G4)와 철망(C)을 함께 결속시켜 서로 맞물리면서 짜여지도록 함으로써 우수에 의한 무너짐을 철저히 극복할 수 있는 토사백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토사백, 사면, 바닥 골재, 바닥 토사, 그리드, 뒷채움 골재, 뒷채움 토사, 철망, 부직포, 유공관

Description

토사백 옹벽 시공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SOIL BAG WALL}
본 발명은 토사백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사백을 단순히 적층시키지 않고 각종 기상 재해에 따른 붕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1군 내지 4군의 그리드를 공정의 중간 중간에 펼쳐지도록 후 토사백을 따라 철망을 씌우면서 1군 내지 4군의 그리드와 철망을 함께 결속시켜 서로 맞물리면서 짜여지도록 하여 우수에 의한 무너짐을 철저히 극복할 수 있는 토사백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도로 또는 철도, 제방, 터널 입구 등을 시공하는 지역에는 절토사면(切土斜面)이나 성토사면(盛土斜面)이 존재한다(이하, 斜面이라 함).
사면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낙석, 붕괴, 슬라이딩 등의 현상으로 파괴되는데, 대부분 강우, 강설, 동결, 융해 등으로 인한 물에 기인하게 된다.
따라서, 사면에는 그 붕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환경 친화적 녹화사업인 식생공법이 실시된다.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사면을 정리한 후 토사를 담은 백 즉, 토사백(土砂 Bag; 식생 가능한 백)을 층층이 쌓아 옹벽을 완성하여 더 이상의 붕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의 토사백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은 사면과 토사백이 서로 괴리되어 우수에 의한 이차적인 붕괴가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토사백을 단순히 적층시키지 않고 각종 기상 재해에 따른 붕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1군 내지 4군의 그리드를 공정의 중간 중간에 펼쳐지도록 한 후 토사백을 따라 철망을 씌우면서 1군 내지 4군의 그리드와 철망을 함께 결속시켜 서로 맞물리면서 짜여지도록 하여 우수에 의한 무너짐을 철저히 극복할 수 있도록 한 토사백 옹벽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면의 앞쪽 바닥에 바닥 골재 및 바닥 토사를 전후 차례로 쌓는 스텝과,
상기 바닥 골재 및 바닥 토사 위에 1군의 그리드를 펼치는 스텝과,
상기 1군의 그리드 위에 1군의 토사백, 1군의 뒷채움 골재 및 1군의 뒷채움 토사를 전후 차례로 쌓는 스텝과,
상기 1군의 토사백, 1군의 뒷채움 골재 및 1군의 뒷채움 토사 위에 2군의 그리드를 펼치는 스텝과,
상기 2군의 그리드 위에 2군의 토사백, 2군의 뒷채움 골재 및 2군의 뒷채움 토사를 전후 차례로 쌓는 스텝과,
상기 2군의 토사백, 2군의 뒷채움 골재 및 2군의 뒷채움 토사 위에 3군의 그리드를 펼치는 스텝과,
상기 3군의 그리드 위에 3군의 토사백, 3군의 뒷채움 골재 및 3군의 뒷채움 토사를 전후 차례로 쌓는 스텝과,
상기 3군의 토사백, 3군의 뒷채움 골재 및 3군의 뒷채움 토사 위에 4군의 그리드를 펼치는 스텝과,
상기 4군의 그리드 위에 4군의 토사백, 4군의 뒷채움 골재 및 4군의 뒷채움 토사를 전후 차례로 쌓는 스텝과,
상기 1군의 토사백 내지 4군의 토사백을 따라 철망을 씌우면서 상기 1군의 그리드 내지 4군의 그리드에 상기 철망을 결속시키는 스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방법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토사백을 단순히 적층시키지 않고 각종 기상 재해에 따른 붕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1군 내지 4군의 그리드를 공정의 중간 중간에 펼쳐지도록 한 후 토사백을 따라 철망을 씌우면서 다시 1군 내지 4군의 그리드와 철망을 함께 결속시켜 서로 맞물리면서 짜여지도록 하여 우수에 의한 무너짐을 철저히 없앨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사면에 씌워진 부직포로서 우수에 따른 사면의 약화를 미연에 방지하고, 1군 내지 4군의 뒷채움 토사로서 완충지대를 보강하며, 나아가 1군 내지 4군의 뒷채움 골재로서 우수의 배수를 유도하고, 특히 1군 내지 4군의 그리드와 철망을 서로 맞물리게 하면서 짜여질 수 있도록 하여 층층이 쌓여진 토사백의 핸디캡(쉽게 무너질 수 있는 한계)을 완벽히 극복하여 자연현상에 의한 붕괴를 방지하면서 자연림과 같은 녹화를 철저하게 보장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토사백 옹벽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토사백 옹벽 시공방법은 예를 들어 특허 제458948호에 개시된 보습기능을 갖춘 식생대용 토낭백[본 발명에서는 토사백(B)이라 함]을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선 등록된 보습기능을 갖춘 식생대용 토사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토사백(B)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상의 직조포로 이루어지며 흙을 담을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저장 공간이 형성된 토낭(10)과, 식물씨앗(30)들이 수납되며 토낭(10)에 부착되는 식생시트(21, 22)와, 이 식생시트(21, 22)에 식물씨앗(30)들과 함께 마련되며 식물씨앗(30)의 발아율을 높일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유지하는 보습제(40)를 갖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식생시트(21, 22)는 토낭(10)의 내벽에 직접 부착되는 수분해성 상부 식생시트(21)와, 이 상부 식생시트(21)에 부착되며 상부 식생시트(21) 사이에 식물씨앗(30) 및 보습제(40)가 균일하게 배치되도록 전역에 걸쳐 상부 식생시트(21)와 격자형태의 공간(S)을 형성하면서 부착되는 수분해성 하부 식생시트(22)를 구비하며, 보습제(40)는 격자형태의 공간(S)내에 배치되어 전체 보습제 중량에 대해 20∼35%로 마련되고 물을 흡수하면 겔 상태로 변하는 HI-Swell 백색분말 시리즈의 HS-100L 또는 HS-701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알갱이 형태의 고흡수성 수지(41)와, 전체 보습제 중량에 대해 20∼30%로 마련되며 고흡수성 수지(41)의 점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알긴산 분말(42)과, 전체 보습제 중량에 대해 5∼15%로 마련되며 고흡수성 수지(41)의 보습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구아검 분말(43)과, 전체 보습제 중량에 대해 20∼30%로 마련되며 물을 흡수하여 수배로 팽윤하며 결착기능을 수행하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롤로오스(CMC) 분말(44)이 혼합되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러한 토사백(B)은 토낭의 내벽에 부착되는 수분해성 상하부 식생시트 사이에는 식물씨앗과 비료 및 식물씨앗의 발아율을 높일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유지하는 보습제가 전역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어 본 발명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a 내지 도 3j는 본 발명에 따른 토사백 옹벽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 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토사백 옹벽 시공방법은 도 3a 내지 도 3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S)의 앞쪽 바닥에 바닥 골재(F1) 및 바닥 토사(F2)를 전후 차례로 쌓고(S10), 바닥 골재(F1) 및 바닥 토사(F2) 위에 1군의 그리드(G1)를 펼치며(S20), 이 1군의 그리드(G1) 위에 1군의 토사백(B1), 1군의 뒷채움 골재(D1) 및 1군의 뒷채움 토사(T1)를 전후 차례로 쌓은 후(S30), 1군의 토사백(B1), 1군의 뒷채움 골재(D1) 및 1군의 뒷채움 토사(T1) 위에 2군의 그리드(G2)를 펼친다(S40).
그리고, 2군의 그리드(G2) 위에 2군의 토사백(B2), 2군의 뒷채움 골재(D2) 및 2군의 뒷채움 토사(T2)를 전후 차례로 쌓고(S50), 2군의 토사백(B2), 2군의 뒷채움 골재(D2) 및 2군의 뒷채움 토사(T2) 위에 3군의 그리드(G3)를 펼치고(S60), 3군의 그리드(G3) 위에 3군의 토사백(B3), 3군의 뒷채움 골재(D3) 및 3군의 뒷채움 토사(T3)를 전후 차례로 쌓은 후(S70), 3군의 토사백(B3), 3군의 뒷채움 골재(D3) 및 3군의 뒷채움 토사(T3) 위에 4군의 그리드(G4)를 펼친다(S80).
이어서, 4군의 그리드(G4) 위에 4군의 토사백(B4), 4군의 뒷채움 골재(D4) 및 4군의 뒷채움 토사(T4)를 전후 차례로 쌓은 후(S90), 1군의 토사백(B1) 내지 4군의 토사백(B4)을 따라 철망(C)을 씌우면서 1군의 그리드(G1) 내지 4군의 그리드(G4)에 철망(C)을 결속시켜 토사백(B)을 이용한 옹벽의 시공을 완료한다(S10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토사백(B)을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에 대한 핵심 기술은 토사백(B)을 단순히 적층시키지 않고 각종 기상 재해에 따른 붕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1군 내지 4군의 그리드(G1∼G4)를 공정의 중간 중간에 펼친 후 토 사백(B)을 따라 철망(C)을 씌우면서 다시 1군 내지 4군의 그리드(G1∼G4)와 철망(C)을 함께 결속시켜 전체적으로 서로 맞물리면서 짜여지도록 하여 우수에 의한 무너짐을 철저히 극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나아가, 사면(S)을 따라 부직포(P)를 씌워 시공 중 사면(S)으로부터 토사가 무너져 공사를 방해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또한 시공 완료 후 우수의 침투로 인한 사면(S)의 지지력 약화를 없애 더욱 견고한 공사를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바닥 골재(F1) 위에 쌓여진 1군의 뒷채움 골재(D1) 속에 횡방향으로 유공관[U; 다수의 구멍들이 타공된 파이프]을 세팅시켜 1군 내지 4군의 뒷채움 골재(D1∼D4)로부터 유입되는 우수를 신속히 받아들이면서 횡방향으로 내보내 별도의 배수로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토사백(B)의 무너짐을 미연에 방지토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정으로 완성된 본 발명에 따른 토사백 옹벽은 본 발명은 도 3a 내지 도 3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S)에 씌워진 부직포(P)로서 우수에 따른 사면(S)의 약화를 미연에 방지하고, 1군 내지 4군의 뒷채움 토사(T1∼T4)로서 완충지대를 보강하며, 나아가 1군 내지 4군의 뒷채움 골재(D1∼D4)로서 우수의 배수를 유도하고, 특히 1군 내지 4군의 그리드(G1∼G4)와 철망(C)을 서로 맞물리게 하면서 짜여질 수 있도록 하여 층층이 쌓여진 토사백(B)의 핸디캡(쉽게 무너질 수 있는 한계)을 완벽히 극복하여 자연현상에 의한 붕괴를 방지하면서 자연림과 같은 녹화를 철저하게 보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사면(S)의 높이에 따라 토사백(B) 쌓기 등의 층수는 자유롭게 가감될 수 있음은 당업자의 이해의 범주로 한다.
본 발명은 사면을 보강하면서 녹화를 가능케 하는 옹벽 시공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선 등록된 보습기능을 갖춘 식생대용 토사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j는 본 발명에 따른 토사백 옹벽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B : 토사백 S : 사면
F1 : 바닥 골재 F2 : 바닥 토사
G1 : 1군의 그리드 G2 : 2군의 그리드
G3 : 3군의 그리드 B1 : 1군의 토사백
B2 : 2군의 토사백 B3 : 3군의 토사백
D1 : 1군의 뒷채움 골재 D2 : 2군의 뒷채움 골재
D3 : 3군의 뒷채움 골재 T1 : 1군의 뒷채움 토사
T2 : 2군의 뒷채움 토사 T3 : 3군의 뒷채움 토사
C : 철망 P : 부직포
U : 유공관

Claims (3)

  1. 사면(S)의 앞쪽 바닥에 바닥 골재(F1) 및 바닥 토사(F2)를 전후 차례로 쌓는 스텝(S10)과,
    상기 바닥 골재(F1) 및 바닥 토사(F2) 위에 1군의 그리드(G1)를 펼치는 스텝(S20)과,
    상기 1군의 그리드(G1) 위에 1군의 토사백(B1), 1군의 뒷채움 골재(D1) 및 1군의 뒷채움 토사(T1)를 전후 차례로 쌓는 스텝(S30)과,
    상기 1군의 토사백(B1), 1군의 뒷채움 골재(D1) 및 1군의 뒷채움 토사(T1) 위에 2군의 그리드(G2)를 펼치는 스텝(S40)과,
    상기 2군의 그리드(G2) 위에 2군의 토사백(B2), 2군의 뒷채움 골재(D2) 및 2군의 뒷채움 토사(T2)를 전후 차례로 쌓는 스텝(S50)과,
    상기 2군의 토사백(B2), 2군의 뒷채움 골재(D2) 및 2군의 뒷채움 토사(T2) 위에 3군의 그리드(G3)를 펼치는 스텝(S60)과,
    상기 3군의 그리드(G3) 위에 3군의 토사백(B3), 3군의 뒷채움 골재(D3) 및 3군의 뒷채움 토사(T3)를 전후 차례로 쌓는 스텝(S70)과,
    상기 3군의 토사백(B3), 3군의 뒷채움 골재(D3) 및 3군의 뒷채움 토사(T3) 위에 4군의 그리드(G4)를 펼치는 스텝(S80)과,
    상기 4군의 그리드(G4) 위에 4군의 토사백(B4), 4군의 뒷채움 골재(D4) 및 4군의 뒷채움 토사(T4)를 전후 차례로 쌓는 스텝(S90)과,
    상기 1군의 토사백(B1) 내지 4군의 토사백(B4)을 따라 철망(C)을 씌우면서 상기 1군의 그리드(G1) 내지 4군의 그리드(G4)에 상기 철망(C)을 결속시키는 스텝(S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백 옹벽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면(S)을 따라 부직포(P)가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백 옹벽 시공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골재(F1) 위에 쌓여진 상기 1군의 뒷채움 골재(D1) 속에 횡방향으로 유공관(U)이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사백 옹벽 시공방법.
KR1020080089577A 2008-09-11 2008-09-11 토사백 옹벽 시공방법 KR100995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577A KR100995099B1 (ko) 2008-09-11 2008-09-11 토사백 옹벽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9577A KR100995099B1 (ko) 2008-09-11 2008-09-11 토사백 옹벽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726A KR20100030726A (ko) 2010-03-19
KR100995099B1 true KR100995099B1 (ko) 2010-11-18

Family

ID=42180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9577A KR100995099B1 (ko) 2008-09-11 2008-09-11 토사백 옹벽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0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243B1 (ko) 2020-06-16 2022-05-26 주식회사 이엔케이이엔씨 셀구조체의 적층에 의한 자립식 옹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485557B1 (ko) * 2020-09-29 2023-01-06 김헌수 옹벽 구조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943B1 (ko) 2002-07-16 2005-10-05 주식회사 동호 식생토 코아롤을 구비한 개비온 매트리스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943B1 (ko) 2002-07-16 2005-10-05 주식회사 동호 식생토 코아롤을 구비한 개비온 매트리스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726A (ko) 2010-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5641B1 (ko) 씨앗부착 부직포식생포대를 이용한 환경복원공법
KR101162547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매트리스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KR101219289B1 (ko) 녹비 초생식물의 씨앗이 부착된 식생포대
KR102211322B1 (ko) 식생토낭을 이용한 사면보강 시공방법 및 사면보강 구조물
CN210031857U (zh) 一种生态路堤边坡构造
CN106522244B (zh) 一种路堤组合包边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959828B1 (ko) 이중 스틸케이지로 성토부와 식생부를 분리 시공한 식생 사면 조성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식생사면구조체
KR101162548B1 (ko) 녹화용 식생 보강 개비온 및 그 시공방법
CN108411856A (zh) 一种河道弃渣岸坡生态修复结构及方法
KR100995099B1 (ko) 토사백 옹벽 시공방법
KR101879729B1 (ko) 부직포가 포함된 식생용 칸막이 철망 및 이를 이용한 경사면 녹화공법
KR102310272B1 (ko) 식생토낭과 타공 금속판을 이용한 사면보강 시공방법 및 사면 보강 구조물
KR102334930B1 (ko) 매트리스 개비온을 이용한 자연 친화적 사면 녹화 시공 방법 및 구조물
KR101334975B1 (ko) 하천 사면 또는 절개지에 형성되는 식생돌망태 시공방법
KR100666908B1 (ko) 2중 접철식 상자형 게비온
CN107604928A (zh) 一种抗径流抗侵蚀生态防护毯复合结构体及其施工方法
KR101525404B1 (ko) 식생가능한 철망바구니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식생가능한 철망바구니
KR102334934B1 (ko) 식생철망바구니를 이용한 자연 친화적 사면 녹화 시공 방법 및 구조물
KR20070007688A (ko) 지오텍스타일-개비온 매트리스 복합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친환경 사면 구조물 구축방법
KR101311313B1 (ko) 친환경 개비온 철망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2261999B1 (ko) 친환경 식생 토낭 철망 키트를 이용한 배수로 및 경사면 사방복구 옹벽 쌓기 시공방법
JP2023544968A (ja) 擁壁構造物
CN208346749U (zh) 一种河道弃渣岸坡生态修复结构
KR20140123350A (ko) 식생토낭 및 이를 이용한 축조방법
KR101055295B1 (ko)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를 이용한 호안블록 시공법 및 그리드일체형 식생철망바구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