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550B1 -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함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550B1
KR100993550B1 KR1020080132532A KR20080132532A KR100993550B1 KR 100993550 B1 KR100993550 B1 KR 100993550B1 KR 1020080132532 A KR1020080132532 A KR 1020080132532A KR 20080132532 A KR20080132532 A KR 20080132532A KR 100993550 B1 KR100993550 B1 KR 1009935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member
guide
frame
hinge
heigh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2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3774A (ko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스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스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스웰
Priority to KR1020080132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550B1/ko
Publication of KR20100073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Landscapes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 내측에 힌지부재를 양측으로 탄성 지지되게 장착하고, 이 힌지부재의 상측에 높낮이조절홈부를 구비하여 직승하강 작동하는 가이드부재를 다단으로 상승시키는 구조로써, 수납함에 다단으로 승하강되는 보조테이블을 구비함에 따라 이 보조테이블을 책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를 유지한 채 작업공간을 넓힐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수납한, 보조테이블, 승하강장치, 다단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함{HEIGHT CONTROL DEVICE AND HEATER AND CABINET THEREWITH}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써 보조테이블을 지지하는 프로파일을 다단으로 상승 및 자유낙하 하도록 하여 이 보조테이블을 책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를 유지한 채 작업공간을 넓힐 수 있도록 한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수평 배치된 소정 면적의 상판과, 상기 상판의 저면 양측에 적어도 한 쌍 이상의 다리 역할을 하는 측판을 수직 결합하고 보조서랍장을 하측에 구비하여, 상판에 책이나 컴퓨터 등을 올려놓고 보조서랍장에 기타 사무용품 등을 보관하는 것으로 회사 및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는 가구이다.
그런데 이러한 책상은 일반적으로 상판의 넓이가 한정된 것이어서 컴퓨터를 사용할 경우 프린터나 기타 주변기기 등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책상면의 여 유 공간이 좁아 다른 사무를 보는데 상당한 불편함이 따르게 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별도의 보조 책상을 구비하는 추세이다.
기존에 제안된 책상은 높이가 항상 동일한 보조책상을 연이어 설치하기 때문에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보조책상의 구입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양측을 탄성적으로 프레임에 지지하도록 하는 힌지부재에 가이드부재를 힌지부재의 높낮이조절홈부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 다단으로 상승 유도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조테이블을 지지하는 프로파일을 다단으로 상승 및 자유낙하 하도록 하여 이 보조테이블을 책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를 유지한 채 작업공간을 필요할 때만 넓힐 수 있는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내부 타측에 타단이 지지되는 힌지부재, 상기 힌지부재의 상면 에 폐곡선을 이루도록 함몰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재의 왕복 회동을 통해 직선 승하강되는 가이드부재를 최저점에서 최고점까지 다단으로 상부 안내함과 더불어 최고점에서 최저점 위치로 복귀 유도하는 높낮이조절홈부, 상기 힌지부재의 회동방향에 대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대응되는 내측에 탄성적으로 접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높낮이조절홈부를 따라 설정위치까지 상부방향 이동시 회동되는 상기 힌지부재에 의해 압축되는 제 1탄성부재 및 상기 힌지부재의 회동방향에 대해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대응되는 내측에 탄성적으로 접함으로써 상기 제 1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정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힌지부재의 타측을 상기 프레임에 대해 지지하는 제 2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높낮이조절홈부는 최저점으로부터 최고점까지 동일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경사진 다수 개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부방향 이동시 상기 제 1탄성부재를 압축 유도하며 상기 힌지부재를 일방향으로 회동 유도하는 상향안내통로, 이웃한 상기 상향안내통로의 대응되는 단부끼리 연결하여 상기 제 1탄성부재의 탄성 복원을 통해 상기 힌지부재를 타방향으로 회동 유도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를 위치 이동시키는 연결통로, 최고점에서 상기 제 1탄성부재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되어 하강하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연결통로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상기 제 2탄성부재를 압축 유도하며 상기 힌지부재를 타방향으로 회동 유도하는 하향경사통로 및 상기 하향경사통로에서 최저점까지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수직 낙하하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안내하며 상기 제 2탄성부재의 점차적 탄성 복원을 통해 상기 힌지부재를 초기 위치로 유도하는 하향수직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높낮이조절홈부는 상기 힌지부재의 힌지부위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통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내부 일측에 힌지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힌지돌기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구를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은 내부 타측에 막음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힌지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막음부재는 내측에 지지턱을 형성하여 회동하는 상기 힌지부재를 지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수납함은: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포켓, 상기 포켓에 수직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측에 가이드부재를 형성한 프로파일, 상기 프로파일의 상측에 형성되는 보조테이블 및 상기 포켓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다단으로 높이 설정 가능함으로써 상기 보조테이블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부재는 상기 프로파일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편 및 상기 결합편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높낮이조절홈부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가이드핀을 수용하기 위해 삽입홀을 통공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로파일의 수직 슬라이드 이송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레일을 형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함은 양측을 탄성적으로 프레임에 지지하도록 하는 힌지부재에 가이드부재를 힌지부재의 높낮이조절홈부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해 다단으로 상승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조테이블을 지지하는 프로파일을 다단으로 상승 및 자유낙하 하도록 하여 이 보조테이블을 책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를 유지한 채 필요시에만 작업공간을 넓힐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함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수납함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수납함의 일부 내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와 보조테이블의 연결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의 분 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의 장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의 평면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함은 둘레면을 형성하고, 수납되는 서랍들을 지지하며 이송 안내하는 측판(12) 및 이 측판(12)의 상측에 커버링하는 상판(14) 등으로 이루어진 본체(10)로써 외형을 형성한다.
이 본체(10)는 서랍을 내·외부로 이송 안내하는 위해 다양한 방식을 적용한다. 물론, 본체(1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본체(10)에는 포켓(100)이 구비된다. 특히, 포켓(100)은 본체(10)의 측면에 형성된다. 이때, 포켓(100)은 본체(10)의 일측면에 하나 형성되거나, 양측면에 각각 하나씩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본체(10)의 측판(12)은 포켓(100)을 형성한다. 이때, 포켓(100)은 보조테이블(400)을 지지하는 프로파일(200)을 수용하고, 보조테이블(400)은 최소한 양측 가장자리에서 프로파일(200)에 지지됨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포켓(100)은 양 측판(12)에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포켓(100)은 각 측판(12)의 외측면에 형성될 경우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사용자나 타 가구에 긁힘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각 측판(12)의 내측면에 형 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포켓(100)은 프로파일(200)을 수용하기 위해 상부로 개방된 유입구(110)를 상측에 형성하고, 승하강되는 가이드부재(300)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측면으로 개방된 개방구(120)를 통공한다. 여기서, 포켓(100)이 측판(12)의 내측면에 형성됨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상판(14)은 유입구(110)와 일치되는 위치에 연통구(16)를 상·하 연통되게 형성한다. 그래서, 프로파일(200)은 연통구(16)를 통해 유입구(110)로 유입되어 포켓(100)에 삽입된다.
아울러, 포켓(100)은 본체(10)의 측판(12)에 용접이나 볼팅 등의 방식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고, 측판(12)에 일체로 금형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포켓(10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포켓(100)에는 프로파일(200)이 수직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프로파일(200)은 보조테이블(4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프로파일(200)은 상측에 보조테이블(400)을 연결한다. 더불어, 프로파일(200)은 하측에 가이드부재(300)를 형성한다. 이 가이드부재(300)는 포켓(100)에 수납되는 프로파일(200)의 하측 부분에 형성된다. 가이드부재(300)는 높낮이조절홈부(530)를 따라 다단으로 상부 방향 이동함에 따라 프로파일(200)을 다단으로 높낮이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프로파일(200)의 상측에는 보조테이블(400)이 장착되는데, 보조테이블(400)은 양측에 프로파일(200)을 연결하여 견고하게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프로파일(200)은 보조테이블(400)의 하측에 단순히 끼워지거나 볼팅 등에 의해 체 결되거나 또는 보조테이블(400)과 일체로 형성된다. 프로파일(20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연통구(16)와 유입구(110)는 프로파일(200)을 수용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특히, 보조테이블(400)은 책상에 연결되어 필요에 따라 작업공간을 확장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프로파일(200)은 높낮이 조절장치(500)에 의해 높낮이 조절되고, 이에 따라 보조테이블(400)은 책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를 유지한 채 사용 가능하게 된다.
즉, 높낮이 조절장치(500)는 포켓(100) 내부에 장착되고, 프로파일(200)의 하측에 형성된 가이드부재(300)를 다단으로 높이 설정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500)는 프레임(510), 힌지부재(520), 높낮이조절홈부(530), 제 1탄성부재(540) 및 제 2탄성부재(550)를 포함한다.
프레임(510)은 유입구(110)를 통해 포켓(100) 내측에 수납된다. 특히, 프레임(510)은 포켓(100) 내부에 억지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프레임(510)은 원형 틀 또는 다각 틀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편의상, 사각 틀 형상으로 도시한다. 특히, 프레임(510)은 포켓(100)의 상측 가장자리 또는 본체(10)의 상판(14)과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어 견고하게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프레임(510)의 내측에는 힌지부재(520)가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힌지부재(520)의 일단(도 6에서 하측에 해당)은 이에 대응되는 프레임(510)의 내부 일측에 힌지 연결된다. 그래서, 힌지부재(520)는 일단을 기준으로 허용 범위 내에서 호 궤적을 따라 왕복 회동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힌지부재(520)의 타단(도 6에서 상측에 해당)은 이에 대응되는 프레임(510)의 내부 타측에 지지된다. 따라서, 힌지부재(520)는 프레임(510) 내부에 안정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힌지부재(520)는 얇고 긴 막대 형상으로 도시하나,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힌지부재(520)의 상측면에는 높낮이조절홈부(530)가 함몰 형성된다. 이 높낮이조절홈부(530)는 힌지부재(520)의 상측면에 폐곡선 상으로 함몰 형성된다. 특히, 이 높낮이조절홈부(530)는 프로파일(200)과 함께 수직 승하강하는 가이드부재(300)를 수용하고, 가이드부재(300)는 상승 및 하강함에 따라, 힌지부재(520)는 가이드부재(300)의 미는 힘에 의해 일방향(도 6에서 좌측방향에 해당) 또는 타방향(도 6에서 우측방향에 해당)으로 호 궤적을 따라 강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높낮이조절홈부(530)는 가이드부재(300)를 최저점(531)에서 최고점(532)까지 다단으로 상부 안내함과 더불어 최고점(532)에서 최저점(531) 위치로 복귀 유도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힌지부재(520)는 회동 방향에 대해 일측에 제 1탄성부재(540)를 형성하고, 이 일측과 정반대되는 타측에 제 2탄성부재(550)를 형성한다.
이때, 제 1탄성부재(540)와 제 2탄성부재(550)는 대칭되게 형성되어 각각 대응하는 프레임(510)의 내측에 접하여 탄성적으로 힌지부재(520)를 지지한다. 그래서, 외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제 1탄성부재(540)와 제 2탄성부재(550)는 대응되는 프레임(510)의 내측에 접하게 됨에 따라 힌지부재(520)는 프레임(510)의 중앙에 위치하게끔 유도된다.
여기서, 제 1탄성부재(540)와 제 2탄성부재(550)는 각각 힌지부재(520)의 상측 가장자리에서 프레임(510)의 테두리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프레임(510)에 접한 후 힌지부재(520)의 하측 가장자리에 접할 때까지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 1탄성부재(540)와 제 2탄성부재(550)의 각 끝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이는, 제 1탄성부재(540)와 제 2탄성부재(550)가 프레임(510) 테두리 방향으로 밀리면서 압축력을 받을 경우 펴지면서 눌림에 따라 충분한 탄성 복원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제 1탄성부재(540)와 제 2탄성부재(550)는 판 스프링 등 다양한 탄성요소를 적용할 수 있다.
특히, 제 1탄성부재(540)는 가이드부재(300)가 높낮이조절홈부(530)를 따라 설정위치까지 상부방향 이동시 회동되는 힌지부재(520)에 의해 탄성적으로 압축되며, 다단으로 이동하는 가이드부재(300)가 각 단계에 위치시 탄성 복원된다.
그리고, 제 2탄성부재(550)는 제 1탄성부재(5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정위치로 이동하는 힌지부재(520)의 타측을 프레임(510)에 대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높낮이조절홈부(530)는 상향안내통로(533), 연결통로(534), 하향경사통로(535) 및 하향수직통로(536)를 포함한다.
상향안내통로(533)는 최저점(531)으로부터 최고점(532)까지 동일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경사진 다수 개로 이루어져 가이드부재(300)의 상부방향 이동시 제 1탄성부재(540)를 압축 유도하면서 힌지부재(520)를 일방향으로 회동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최저점(531)은 높낮이조절홈부(530)의 최하측 포인트를 말하고, 최고점(532)은 높낮이조절홈부(530)의 최상측 포인트를 말한다.
그리고, 연결통로(534)는 이웃한 상향안내통로(533)의 대응되는 단부끼리 연결하여 제 1탄성부재(540)의 탄성 복원을 통해 힌지부재(520)를 타방향으로 회동 유도함으로써 가이드부재(300)를 수평 위치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가이드부재(300)는 제 1탄성부재(54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 1탄성부재(540)를 향하는 연결통로(534)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할 때마다 해당하는 단계에 이른다.
또한, 하향경사통로(535)는 최상부에 형성되는 상향안내통로(533)와 연결되고, 최고점(532)에서 제 1탄성부재(540)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되어 하강하는 가이드부재(300)가 연결통로(534)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제 2탄성부재(550)를 압축 유도하며 힌지부재(520)를 타방향으로 회동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가이드부재(300)는 하향경사통로(535)를 통해 하향함에 따라 힌지부재(520)를 제 2탄성부재(550) 방향으로 강제 회동 유도하기 때문에 쉽게 하강하지 않게 된다. 이는, 보조테이블(400)이 갑자기 내려오면서 사용자의 손이 상판(14)과의 사이에 끼이는 등의 상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하향수직통로(536)는 하향경사통로(535)와 최저점(531)을 연결하고,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수직 낙하하는 가이드부재(300)를 안내하며 제 2탄성부 재(550)의 점차적 탄성 복원을 통해 힌지부재(520)를 초기 위치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편의상, 상향안내통로(533)는 4개 형성되고, 연결통로(534)는 3개 형성된 것으로 한다. 그래서, 프로파일(200)과 보조테이블(400)은 3단으로 높낮이 조절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높낮이조절홈부(530)는 최저점(531)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상향안내통로(533), 연결통로(534), 상향안내통로(533), 연결통로(534), 상향안내통로(533), 연결통로(534), 상향안내통로(533), 최고점(532), 하향경사통로(535) 및 하향수직통로(536)로 이루어진 폐곡선을 형성한다.
물론, 상향안내통로(533)는 필요한 만큼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높낮이조절홈부(530)는 힌지부재(520)의 힌지부위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연결통로(534)의 가장자리에 수용홈부(537)를 더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수용홈부(537)는 제 1탄성부재(540)를 향하는 연결통로(534)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하부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다. 이 수용홈부(537)는 강제 상승 중 각 단계에서 가이드부재(300)를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수용한다. 이는, 제 1탄성부재(540)가 탄성 복원시 제 2탄성부재(550)가 해당되는 프레임(510)의 내측 방향으로 밀리면서 압축될 경우에도 가이드부재(30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함이다.
특히, 연결통로(534)의 일측 가장자리는 상부에 위치한 상향안내통로(533)와 연결되고, 연결통로(534)의 타측 가장자리는 하부에 위치한 상향안내통로(533)와 연결된다. 그래서, 가이드부재(300)는 연결통로(534)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 고정 되어야 상부에 위치한 상향안내통로(533)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510)은 내부 일측에 힌지돌기(562)를 형성하고, 힌지부재(520)는 이 힌지돌기(562)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구(564)를 형성한다. 이때, 연결구(564)는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하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프레임(510)은 내부 타측에 막음부재(572)를 형성하여 힌지부재(520)의 이탈을 방지하고, 이 막음부재(572)는 내측에 지지턱(574)을 형성하여 회동하는 힌지부재(520)를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막음부재(572)는 힌지부재(520)의 이동되는 호 궤적과 동일한 곡률의 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힌지부재(520)의 상측 단부를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그리고, 힌지부재(520)는 가이드부재(300)의 누르는 힘에 의해 프레임(510)의 외측으로 이탈될 수 있다. 그래서, 지지턱(574)은 힌지부재(520)의 상측의 후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가이드부재(300)는 프로파일(2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편(310) 및 이 결합편(310)에 연장 형성되어 높낮이조절홈부(530)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320)으로 이루어진다.
즉, 가이드부재(300)는 프로파일(2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포켓(100)의 두께를 프로파일(200)과 프레임(510)의 두께를 합한 두께만큼 최대한 얇게 형성하기 위해 프로파일(200)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 결합편(310)은 포켓(100)의 개방구(120)를 통해 프로파일(200)과 결합된다.
상기 프로파일(200)은 상기 가이드핀(320)을 수용하기 위해 삽입홀(210)을 통공한다.
여기서, 힌지부재(520)는 프로파일(200)의 전측에 위치하고, 가이드부재(300)는 프로파일(200)의 후측에 위치한다. 그래서, 삽입홀(210)은 가이드부재(300)의 가이드핀(320)을 삽입하여 높낮이수용홈부(537)에 수용하도록 하는 역할과 아울러 가이드핀(320)을 지지하여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프로파일(200)이 포켓(100) 내부에서 승하강시 힌지부재(520)와의 간격을 유지해야 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프레임(510)은 프로파일(200)의 수직 슬라이드 이송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레일(512)을 형성한다. 이 가이드레일(512)은 프레임(510)의 양측에 형성되어 프로파일(200)의 양측을 수용한다.
이하, 상기한 구성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함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보조테이블(400)을 상부방향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먼저, 가이드핀(320)은 최저점(531)에서 상향안내통로(533)를 따라 상승하게 됨과 동시에 힌지부재(520)는 좌측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힌지부재(520)는 가이드핀(320)이 힌지돌기(562)에서 수직한 임의의 선을 따라 이동할 수 있을 만큼 힌지돌기(562)를 기준으로 좌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제 1탄성부재(540)는 압축하게 된다.
특히, 가이드핀(320)은 임의의 수직궤적선(C)을 따라 승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도 8을 참조하면, 가이드핀(320)이 연결통로(534)로 이동하게 되면, 제 1탄성부재(540)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 복원되고, 이로 인해 힌지부재(520)는 원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 1탄성부재(540)와 제 2탄성부재(550)는 대응되는 프레임(510)의 각 내측면에 접하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가이드핀(320)이 최고점(532)에 위치하게 되면, 제 1탄성부재(540)는 프레임(510)의 일측 내부 방향으로 밀리면서 소정 압축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이드핀(320)은 최고점(532)에서 자중, 프로파일(200)과 보조테이블(400)의 하중에 의해 하강하려는 힘이 발생된다. 이때, 가이드핀(320)은 하향경사통로(535)의 내측벽을 밀게 되고, 이로 인해 힌지부재(520)는 타측으로 회동하게 됨과 동시에 제 2탄성부재(550)는 압축된다.
마지막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가이드핀(320)은 하향경사통로(535)를 지나서 하향수직통로(536)에 위치한다. 그래서, 가이드핀(320)이 최저점(531)까지 수직 하강하면서 힌지부재(520)는 초기 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11에서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수납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수납함의 일부 내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와 보조테이블의 연결관계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의 장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의 평면 작동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00: 포켓
200: 프로파일 210: 삽입홀
300: 가이드부재 310: 결합편
320: 가이드핀 400: 보조테이블
500: 높낮이 조절장치 510: 프레임
520: 힌지부재 530: 높낮이조절홈부
540: 제 1탄성부재 550: 제 2탄성부재
562: 힌지돌기 564: 연결구

Claims (10)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내부 타측에 타단이 지지되는 힌지부재;
    상기 힌지부재의 상면에 폐곡선을 이루도록 함몰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재의 왕복 회동을 통해 직선 승하강되는 가이드부재를 최저점에서 최고점까지 다단으로 상부 안내함과 더불어 최고점에서 최저점 위치로 복귀 유도하는 높낮이조절홈부;
    상기 힌지부재의 회동방향에 대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대응되는 내측에 탄성적으로 접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높낮이조절홈부를 따라 설정위치까지 상부방향 이동시 회동되는 상기 힌지부재에 의해 압축되는 제 1탄성부재; 및
    상기 힌지부재의 회동방향에 대해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대응되는 내측에 탄성적으로 접함으로써 상기 제 1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정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힌지부재의 타측을 상기 프레임에 대해 지지하는 제 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홈부는,
    최저점으로부터 최고점까지 동일 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경사진 다수 개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부방향 이동시 상기 제 1탄성부재를 압축 유도하며 상기 힌지부재를 일방향으로 회동 유도하는 상향안내통로;
    이웃한 상기 상향안내통로의 대응되는 단부끼리 연결하여 상기 제 1탄성부재의 탄성 복원을 통해 상기 힌지부재를 타방향으로 회동 유도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를 위치 이동시키는 연결통로;
    최고점에서 상기 제 1탄성부재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결되어 하강하는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연결통로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상기 제 2탄성부재를 압축 유도하며 상기 힌지부재를 타방향으로 회동 유도하는 하향경사통로; 및
    상기 하향경사통로에서 최저점까지 수직방향으로 연결되어 수직 낙하하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안내하며 상기 제 2탄성부재의 점차적 탄성 복원을 통해 상기 힌지부재를 초기 위치로 유도하는 하향수직통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홈부는 상기 힌지부재의 힌지부위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상기 연결통로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수용하는 수용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내부 일측에 힌지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힌지부재는 상기 힌지돌기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지는 연결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내부 타측에 막음부재를 형성하여 상기 힌지부재의 이탈을 방지하고;
    상기 막음부재는 내측에 지지턱을 형성하여 회동하는 상기 힌지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
  6. 본체;
    상기 본체의 측면에 형성되고, 상부 방향으로 개방되는 포켓;
    상기 포켓에 수직 승하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하측에 가이드부재를 형성한 프로파일;
    상기 프로파일의 상측에 형성되는 보조테이블; 및
    상기 포켓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다단으로 높이 설정 가능함으로써 상기 보조테이블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함.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 조절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부 일측에 일단이 힌지 연결되고, 내부 타측에 타단이 지지되는 힌지부재;
    상기 힌지부재의 상면에 폐곡선을 이루도록 함몰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재의 왕복 회동을 통해 직선 승하강되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최저점에서 최고점까지 다단으로 상부 안내함과 더불어 최고점에서 최저점 위치로 복귀 유도하는 높낮이조절홈부;
    상기 힌지부재의 회동방향에 대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대응되는 내측에 탄성적으로 접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재가 상기 높낮이조절홈부를 따라 설정위치까지 상부방향 이동시 회동되는 상기 힌지부재에 의해 압축되는 제 1탄성부재; 및
    상기 힌지부재의 회동방향에 대해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의 대응되는 내측에 탄성적으로 접함으로써 상기 제 1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정위치로 이동하는 상기 힌지부재의 타측을 상기 프레임에 대해 지지하는 제 2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수납함.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프로파일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편; 및
    상기 결합편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높낮이조절홈부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수납함.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가이드핀을 수용하기 위해 삽입홀을 통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수납함.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로파일의 수직 슬라이드 이송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레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수납함.
KR1020080132532A 2008-12-23 2008-12-23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함 KR100993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532A KR100993550B1 (ko) 2008-12-23 2008-12-23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2532A KR100993550B1 (ko) 2008-12-23 2008-12-23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774A KR20100073774A (ko) 2010-07-01
KR100993550B1 true KR100993550B1 (ko) 2010-11-10

Family

ID=42636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2532A KR100993550B1 (ko) 2008-12-23 2008-12-23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5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7453A (ja) 2000-07-11 2002-01-22 Shin Nippon Mokko Kk 天板を上下に移動できるテーブル
KR200269754Y1 (ko) 2001-11-26 2002-03-25 김형득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의 위치 조정장치
JP2008232194A (ja) 2007-03-16 2008-10-02 Nifco Inc 支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7453A (ja) 2000-07-11 2002-01-22 Shin Nippon Mokko Kk 天板を上下に移動できるテーブル
KR200269754Y1 (ko) 2001-11-26 2002-03-25 김형득 의자용 팔걸이 받침대의 위치 조정장치
JP2008232194A (ja) 2007-03-16 2008-10-02 Nifco Inc 支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774A (ko)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02953B2 (ja) 昇降作業台
KR100826605B1 (ko) 모니터장치
US11129470B2 (en) Height adjustable table
CN208676561U (zh) 一种双侧滑动的桌面式可升降电脑桌
EP2357415A1 (en) Lifting mechanism of fry device and frying pan
KR100993550B1 (ko) 높낮이 조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납함
US9877584B2 (en) Multifunctional storage device
CN106766620A (zh) 冰箱及其瓶座
KR101231239B1 (ko) 휴대 전자기기용 거치대
CN106766602A (zh) 冰箱及其瓶座
KR100879401B1 (ko) 다기능 테이블
KR100943198B1 (ko) 각도 조절 용이성 및 지지안정성을 갖는 독서대
CN105690838A (zh) 压合装置
KR101866934B1 (ko) 서랍장을 구비한 책상 조립체
KR102142108B1 (ko) 간편 장착구조를 갖는 가구용 콘센트 기구
KR20160056421A (ko) 책상상판의 각도조절가능한 책상
KR102295759B1 (ko) 정보통신기기용 모듈의 완충지지 로울러장치
CN210727064U (zh) 一种计算机键盘托架
KR101375876B1 (ko) 서랍식 독서 거치대가 구비된 책상
CN204402221U (zh) 简易安装调节式趟门滑轮
CN205410410U (zh) 一种可快速装拆的隔板
CN221012370U (zh) 一种电脑升降架
CN220228621U (zh) 一种微型投影仪的支架升降调节机构
CN209235376U (zh) 增高台
KR101666763B1 (ko) 모니터 승강장치 및 키보드 조절 기능을 구비한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