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334B1 - 우.오수 분리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우.오수 분리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334B1
KR100993334B1 KR1020090121842A KR20090121842A KR100993334B1 KR 100993334 B1 KR100993334 B1 KR 100993334B1 KR 1020090121842 A KR1020090121842 A KR 1020090121842A KR 20090121842 A KR20090121842 A KR 20090121842A KR 100993334 B1 KR100993334 B1 KR 100993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pair
molds
delete delet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1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석동
Original Assignee
(주) 선암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선암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주) 선암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090121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도 내부에 고정시킨 합성수지재의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분리구조물에 의해 우.오수가 분리되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우.오수 분리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우.오수 분리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관거 바닥부에 고정된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분리구조물을 용이하게 형성하므로, 작업시간 및 작업공정의 단축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형틀을 합성수지재로 성형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키므로 분리구조물의 부식 및 강도저하를 방지함과 아울러 관거 바닥부에 고정된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하는 우.오수 분리수조물을 일체로 형성하므로 폭우시, 관거 내로 유입되는 빗물의 유속이나 수압에도 존치될 수 있도록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Figure R1020090121842
우수, 오수, 분리, 구조,

Description

우.오수 분리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Structure for separation rain or dirty water and methode there of}
본 발명은, 하수도로 유입되는 우수와 오수를 분리하여 흐르도록 하는 분리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도 내부에 고정시킨 합성수지재의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되는 분리구조물에 의해 우.오수가 분리되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우.오수 분리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제작되어 지하에 설치되는 하수도를 통해 일반 생활하수 및 오수 그리고 우수가 함께 하수종말처리장으로 보내어져 정화처리한 후, 하천으로 배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하수도로 유입되는 생활하수, 오수 및 우수를 구분하여 주지 못함에 따라 우수가 오수와 함께 하수종말처리장으로 공급되므로 하수종말처리장의 오수 처리 능력이 한계에 다다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건 출원인이 2009년 특허 제7680호로 우. 오수 분리용 다공 PC 패널 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출원한 바 있다.
선 출원된 특허는, 관거 내부에 다수의 다공 PE 패널을 안착한 상태에서 다공 PE 패널의 하부판과 관거 바닥부를 앵커볼트로 고정시킨 후, 상기 하부판이 잠기도록 충진부로 충진하고, 상기 다공 PE 패널 관통공에 강연선을 연결하는 방법으로 복수의 다공 PE 패널을 연결하여 설치하므로 우,오수를 분리함과 아울러 이로 인해 하수종말처리장의 오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철근콘크리트 블록인 다공 PE 패널의 중량을 감소시키면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복수의 관통공을 관통시켜 철근콘크리트 블록으로 형성된 다공 PE 패널 자체 중량이 무거워 관거 내부로 운반 및 조립이 어려워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복수의 다공 PE 패널의 관통공을 강연선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작업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관거 바닥부에 고정된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분리구조물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우.오수 분리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형틀을 합성수지재로 성형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키므로 분리구조물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우.오수 분리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거 바닥부에 고정된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하는 분리구조물을 일체로 성형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오수 분리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우.오수 분리구조물은, 관거의 바닥부에 고정되어 관거 내부로 유입되는 우.오수를 분리하여 흐르도록 하는 분리구조물로서,
상기 관거의 바닥부에 고정부재로 고정되도록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한 쌍의 형틀과;
상기 한 쌍의 형틀의 연결공에 양단부가 각각 장착되어 한 쌍의 형틀을 연결하면서 배근되도록 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길이만큼 이격된 한 쌍의 형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우.오수 분리구조물의 시공방법은,
제작된 한 쌍의 형틀을 연결하도록 다수의 연결공에 연결구를 각각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형틀에 관통된 체결안내공 간격으로 관거의 바닥부에 천공홀을 천공하고, 천공된 천공홀에 슬리브를 매설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관거의 바닥부에 고정된 슬리브와 체결안내공이 수직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형틀을 이동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형틀이 관거의 바닥부에 고정되도록 체결안내공을 통해 슬리브에 고정부재를 고정시키는 단계와;
양측을 폐쇄시킨 상기 한 쌍의 형틀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 우.오수 분리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관거 바닥부에 고정된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분리구조물을 용이하게 형성하므로, 작업시간 및 작업공정의 단축으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우.오수 분리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형틀을 합성수지재로 성형하여 수밀성을 향상시키므로 분리구조물의 부식 및 강도저하를 방지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우.오수 분리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관거 바닥부에 고정된 형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형성하는 우.오수 분리구조물을 일체로 형성하므로 폭우시, 관거 내로 유입되는 빗물의 유속이나 수압에도 존치될 수 있도록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우.오수 분리구조물은, 관거(10)의 바닥부(11)에 고정되어 관거(10) 내부로 유입되는 우.오수를 분리하여 흐르도록 하는 분리구조물(100)로서, 상기 관거(10)의 바닥부(11)에 고정부재(113)로 고정되도록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한 쌍의 형틀(110)(110')이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형틀(110)(110')의 연결공(112b')에 양단부가 각각 장착되어 한 쌍의 형틀(110)(110')을 연결하면서 배근되도록 하는 연결구(120)가 구성되며, 상기 연결구(120)의 길이만큼 이격된 한 쌍의 형틀(110)(11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형틀(110)(110')은, 상기 바닥부(11)에 밀착되면서 내부에 다수의 체결안내공(111a')이 관통된 수평부(111)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부(111) 단부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112)가 구비되며, 상기 수평부(111)의 체결안내공(111a')을 통해 바닥부(11)에 고정되는 고정부재(11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수평부(111)는, 상기 바닥부(11)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내부에 다수의 체결안내공(111a')이 관통되는 수평판(111a)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판(111a) 단부에 절곡되어 바닥부(11)에 밀착되는 확장판(111b)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확장판(111b)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부(112)는, 상기 수평부(111) 단부에 상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판(112a)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판(112a)에 돌출되는 다수의 보강리브(112b)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112b)는 격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리브(112b) 내부에 연결구(120)가 결합되도록 관통되는 다수의 연결공(112b')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형틀(110)(110')과 다른 한 쌍의 형틀(110a)(110a')을 연속으로 연결하는 연결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140)는, 상기 각 형틀 단부에 내측으로 요입되는 요입홈(141)이 구비되고, 상기 요입홈(141)에 장착되어 연속 연결되는 형틀(110)(110a)을 연결하면서 실링하는 연결부재(142)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형틀(110)(110')은 합성수지재 및 재생수지재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분리구조물(100)의 제작 및 시공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구조물(100)을 형성하는 형틀(110)(110')과 연결구(120)를 제작하는데, 상기 형틀(110)(110')은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결구(120)는 형틀(110)(110')을 연결하면서 형틀(110)(110') 내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130)의 압력에 의해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을 정도의 내구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나 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재로 사출 성형된 다수의 형틀(110)(110')을 관거(10)의 바닥부(11)로 이동시키는데, 상기 바닥부(11)에 수평부(111)의 확장판(111b)이 밀착된 상태로 대향하게 위치하며, 상기 확장판(111b)은 외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부(111) 단부에 상향으로 연장된 수직부(112)의 수직판(112a)에 보강리브(112b)가 돌출되는데, 상기 보강리브(112b)는 격자형으로 돌출되어 수직판(112a)을 보강하므로 수직판(112a)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112b)에 관통된 다수의 연결공(112b')에 연결구(120)를 장착하는데, 상기 연결구(120) 양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므로 연결공(112b')에서 이탈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결공(112b')으로 돌출된 연결구(120) 단부를 외력에 의해 다시 절곡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한 쌍의 형틀(110)(110')이 다수의 연결구(120)로 연결되면, 상기 형틀(110)(110')의 수평부(111)에 관통된 다수의 체결안내공(111a') 간격으로 관거(10)의 바닥부(11)에 천공기(미도시)로 천공홀(11')을 천공한 후, 상기 천공홀(11')에 슬리브(11")를 끼우고 타격하여 매설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의 과정으로 매설되어 고정된 슬리브(11")와 체결안내공(111a')이 수직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형틀(110)(110')을 이동시킨 후, 상기 형틀(110)(110')의 체결안내공(111a')에 고정부재(113)를 결합하여 슬리브(11")에 고정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13)는 앵커볼트로 슬리브(11")에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평부(111)의 확장판(111b)과 관거(10)의 바닥부(11) 사이를 마감재(미도시)로 마감할 수 있으며, 상기 확장판(111b) 저면에 요입홈(111b')을 형성하고, 이 요입홈(111b')에 실링재(111b")를 장착하여 바닥부(11)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실링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분리구조물(100)의 길이에 따라 한 쌍의 형틀(110)(110')과 다른 한 쌍의 형틀(110a)(110a')을 연결부(140)로 연속하여 연결하는데, 상기 연결부(140)의 요입홈(141)이 각 형틀(110)(110a) 단부에 내측으로 요입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형틀(110)의 요입홈(141)에 연결부재(142)를 장착한 후, 상기 연결부재(142)를 형틀(110a)의 수용홈(141)이 수용하도록 형틀(110a) 단부를 형틀(110) 단부에 밀착시키면 상기 형틀(110)(110a)의 수용홈(141)에 연결부재(142)가 위치하여 형틀(110)(110a)을 연결함과 동시에 실링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140)로 연속 연결하는 복수의 형틀(110)(110')과 복수의 다른 한 쌍의 형틀(110a)(110a') 및 연결부(140)로 연결하지 않은 시점과 종점의 형틀(110)(110')의 양측 단부를 폐쇄시킨 후, 상기 형틀(110)(110')과 다른 한 쌍의 형틀(110a)(110a') 및 형틀(110)(110')(110a)(110a')에 관거(10) 외부에서 고압으로 분사되는 콘크리트(130)를 타설하는데, 타설되는 콘크리트(130)가 바닥부(11) 및 경사진 확장판(111b) 하단부에서부터 수평부(111)를 통해 수직부(112)에 타설되고, 타설된 콘크리트(130)가 양생되어 분리구조물(100)을 완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확장판(111b)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평부(111)에 타설되는 콘크리트(130)가 바닥부(11')에 수직으로 형성할 때보다 넓은 면적으로 면접촉되도록 타설되어 양생되기 때문에 분리구조물(100)을 안정감있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관거(10) 바닥부(11) 완성된 분리구조물(100)에 의해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수유입관(미도시)으로 유입되는 오수와 우수유입공(미도시)으로 유입되는 우수가 섞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분리구조물(100)은 관거(10)의 크기 및 역할에 따라 적어도 1개 이상 복수 열로 설치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분리구조물(100)을 관거(10)의 측벽에 고정되도록 'ㄱ'자로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리구조물(100)이 바닥부(11)에 일체로 형성하므로, 폭우시, 관거 내로 유입되는 빗물의 유속이나 수압에도 존치될 수 있도록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혀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정면구성도
도 4는 도 3의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측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분리구조물 110,110': 형틀
111: 수평부 112: 수직부
113: 고정부재 120: 연결구
130: 콘크리트 140: 연결부
141: 요입홈 142: 연결부재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23)

  1. 관거의 바닥부에 고정되어 관거 내부로 유입되는 우.오수를 분리하여 흐르도록 하는 분리구조물로서,
    상기 관거의 바닥부에 고정부재로 고정되도록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한 쌍의 형틀과;
    상기 한 쌍의 형틀의 연결공에 양단부가 각각 장착되어 한 쌍의 형틀을 연결하면서 배근되도록 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길이만큼 이격된 한 쌍의 형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 분리구조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형틀은,
    상기 바닥부에 밀착되면서 내부에 다수의 체결안내공이 관통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 단부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평부의 체결안내공을 통해 바닥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 분리구조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수평부는,
    상기 바닥부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내부에 다수의 체결안내공이 관통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 단부에 절곡되어 바닥부에 밀착되는 확장판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 분리구조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확장판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 분리구조물.
  5. 청구항 2에 있어서, 수직부는,
    상기 수평부 단부에 상향으로 연장되는 수직판과;
    상기 수직판에 돌출되는 다수의 보강리브와;
    상기 보강리브 내부에 연결구가 결합되도록 관통되는 다수의 연결공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 분리구조물.
  6. 삭제
  7.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형틀과 다른 한 쌍의 형틀을 연속으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각 형틀 단부에 내측으로 요입되는 요입홈과;
    상기 요입홈에 장착되어 연속 연결되는 형틀을 연결하면서 실링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 분리구조물.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다수의 체결안내공과 연결공이 관통되도록 형틀을 제작하는 단계와;
    제작된 형틀을 한 쌍으로 대향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한 쌍의 형틀의 연결공에 양단부가 절곡된 연결구를 각각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형틀에 관통된 체결안내공 간격으로 관거의 바닥부에 천공홀을 천공하고, 천공된 천공홀에 슬리브를 매설 고정시키는 단계와;
    상기 관거의 바닥부에 고정된 슬리브와 체결안내공이 수직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형틀을 이동하는 단계와;
    상기 한 쌍의 형틀이 관거의 바닥부에 고정되도록 체결안내공을 통해 슬리브에 고정부재를 고정시키는 단계와;
    양측을 폐쇄시킨 상기 한 쌍의 형틀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 분리구조물 시공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형틀 단부에 요입홈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 분리구조물 시공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요입홈에 실링되는 연결부재를 장착하여 한 쌍의 형틀을 연속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오수 분리구조물 시공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090121842A 2009-12-09 2009-12-09 우.오수 분리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93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842A KR100993334B1 (ko) 2009-12-09 2009-12-09 우.오수 분리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1842A KR100993334B1 (ko) 2009-12-09 2009-12-09 우.오수 분리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621A Division KR101158034B1 (ko) 2010-06-30 2010-06-30 우.오수 분리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3334B1 true KR100993334B1 (ko) 2010-11-09

Family

ID=43409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1842A KR100993334B1 (ko) 2009-12-09 2009-12-09 우.오수 분리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3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1334Y1 (ko) * 2003-05-09 2003-07-28 강동열 콘크리트 철제패널 일체형 다중 격벽 물탱크
KR100406084B1 (ko) * 1999-04-13 2003-11-17 변무원 상수 및 하수처리장의 간막이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427772B1 (ko) 2001-05-18 2004-04-28 변무원 수돗물처리장의 정수지 간벽
KR100793388B1 (ko) 2007-01-08 2008-01-21 주식회사 젠트로 수처리장 간벽장치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084B1 (ko) * 1999-04-13 2003-11-17 변무원 상수 및 하수처리장의 간막이 벽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427772B1 (ko) 2001-05-18 2004-04-28 변무원 수돗물처리장의 정수지 간벽
KR200321334Y1 (ko) * 2003-05-09 2003-07-28 강동열 콘크리트 철제패널 일체형 다중 격벽 물탱크
KR100793388B1 (ko) 2007-01-08 2008-01-21 주식회사 젠트로 수처리장 간벽장치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561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수턱 및 그 시공 방법
KR200433220Y1 (ko) 집수정 구조체
KR20100052759A (ko) 슬리브
KR100734047B1 (ko) 집수정 구조체 및 그 설치 공정
KR101566229B1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KR100993334B1 (ko) 우.오수 분리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58034B1 (ko) 우.오수 분리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2634381B2 (ja) 分割型ボックスカルバート及びその組立方法
KR20090083661A (ko) 옹벽 축조용 블록
KR101549418B1 (ko) 쐐기 형상의 지수판 및 이를 사용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타설용 매립형 신축이음매 거푸집
KR200432040Y1 (ko) 집수정 구조체
KR20190002743U (ko) 콘크리트 복합맨홀
KR101208606B1 (ko) 관거의 맨홀 결합구조 및 이의 결합방법
CN202689365U (zh) 一种预制钢筋混凝土天沟
CN102650153B (zh) 一种预制钢筋混凝土天沟
CN207172363U (zh) 一体成型预制检查井的制造模具
CN104947799A (zh) 一种软索连接件、预制件和墙板
KR100821742B1 (ko) 측벽 보강형 집수정 구조체
KR100580279B1 (ko) 고강도 플래스틱을 이용한 부벽식 옹벽
KR200394420Y1 (ko) 콘크리트 타설용 지수판 및 그 지수판 고정구
KR200387721Y1 (ko) 맨홀과 하수관 연결용 프리캐스트 거푸집
KR100673995B1 (ko) 맨홀용 인버트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을 통해 생산되는맨홀용 조립식 인버트와 이 인버트를 사용하는 맨홀
CN204781348U (zh) 一种软索连接件、预制件和墙板
KR200217643Y1 (ko) 수로용 블록판넬 지지구
CN204983162U (zh) 一种软索连接件、预制件和墙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