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292B1 - 광고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광고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292B1
KR100993292B1 KR1020080036248A KR20080036248A KR100993292B1 KR 100993292 B1 KR100993292 B1 KR 100993292B1 KR 1020080036248 A KR1020080036248 A KR 1020080036248A KR 20080036248 A KR20080036248 A KR 20080036248A KR 100993292 B1 KR100993292 B1 KR 100993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exposure
information
user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6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0641A (ko
Inventor
하길수
석소미
최진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Priority to KR1020080036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292B1/ko
Publication of KR20090110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04Monitoring of content usage, e.g.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copied or the amount which has been watch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에 노출된 광고에 대한 광고 상세 정보 제공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상세 정보 제공 횟수가 상기 광고에 설정된 제한 횟수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세 정보 제공 횟수가 상기 제한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광고의 상세 정보 제공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비를 효율적으로 책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광고, 제한 횟수, 비활성화, 상세 정보, 셋탑박스

Description

광고 관리 방법 및 장치{Advertisement managing method and device}
본 발명은 광고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사용자들의 요청에 따라 제공되는 상세 정보의 제한 횟수를 이용한 효율적인 광고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과거 방송 서비스는 아날로그 방식으로 제공되었으나 고화질 방송, 인터랙티브 방송 및 다양한 부가 서비스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커지면서 디지털 방송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중이다.
현재 디지털 방송 표준은 유럽의 DVB-MHP(Digital Video Broadcasting - Multimedia Home Platform)와 미국의 ATSCDASE(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 Digital TV Application Software Environment)로 양분되어 발전하고 있다.
최근에 디지털 방송 표준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비디오와 오디오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압축 처리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TV 방송의 다채널화가 가능하게 되었고, 각 채널 내에서도 전송량의 증대로 인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발달에 따라 광고, 날씨, 뉴스, 증권, 이메일,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Electric Program Guide: EPG), TV 쇼핑, 뱅킹, 전화 서비스 및 인터넷 검색과 같이 단지 방송을 시청하는 것뿐만 아니라 방송과 직접, 간접적으로 관련된 데이터(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활성화에 따라 근래에는 방송 중에 재생되고 있는 프로그램과 별도로 화면상에 광고를 이미지 형태로 노출시켜 사용자의 선택을 유도하고 사용자가 리모콘을 이용하여 광고 이미지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광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방송 서비스에서 별도의 광고를 노출 시키는 방식에 있어서, 광고 노출 기간에 따라 광고비가 책정되고 있다.
그러나, 소정 광고 노출의 효과는 단지 노출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상세 정보를 얻기 위한 적극적인 행위를 하는 경우에 의미가 있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점을 고려함이 없이 광고 노출 기간만으로 광고비를 부과하기 때문에 광고주에게 효용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자가 화면상에 표시된 광고를 선택한 횟수에 따라 광고비를 책정하는 종량제 방식이 제안되기도 하나, 종량제 방식은 사용자들의 광고 선택 횟수를 짐작할 수 없어, 광고주 입장에서는 예상 가능한 광고비 예산의 범위가 넓어 예산 측정을 하고 마케팅 비용을 관리하는 것이 사실상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과다한 광고비를 우려하여 광고 노출 시간을 줄일 경우 효율적인 광고를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광고 선택 횟수에 제한을 두어 광고비로 지출될 최대 액수를 예상할 수 있도록 하는 광고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 노출된 광고에 대한 광고 상세 정보 제공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상세 정보 제공 횟수가 상기 광고에 설정된 제한 횟수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세 정보 제공 횟수가 상기 제한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광고의 상세 정보 제공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고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서버에서 광고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로 하나 이상의 광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노출된 제1 광고에 대한 사용자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노출된 제1 광고에 대한 사용자 선택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광고에 대한 사용자 선택 횟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사용 자 단말로 제1 광고 비활성화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광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제1 광고 비활성화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광고에 대한 사용자 선택을 비활성화하는 광고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광고 관리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 노출시킨 상기 광고에 대한 상세 정보 제공 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부; 및 상기 상세 정보 제공 횟수가 상기 노출 제어 정보에 따른 제한 횟수보다 적은지 또는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한 경우 상기 광고의 상세 정보 제공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노출 제어부를 포함하는 상세 정보 제공 횟수를 이용한 광고 관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들의 광고 선택 횟수에 따른 광고비로 지출될 최대 액수를 예상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 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럭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광고 관리 장치는 방송사 시스템에 포함되며,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셋탑박스)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고 관리 장치(100)는 저장부(110), 단말 통신부(13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되, 저장부(110)는 광고 데이터 저장부(112) 및 노출 제어 정보 저장부(1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부(150)는 카운팅부(152), 노출 제어부(154) 및 메인 제어부(156)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0)에는 광고를 위한 광고 데이터가 저장되며,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 노출 시간, 노출 채널 정보, 제한 횟수와 같은 노출 제어 정보가 저장된다. 노출 제어 정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저장부(110)의 광고 데이터 저장부(112)에는 광고 데이터가 저장된다. 광고 데이터로는 화면에 표시되는 광고 이미지 및 사용자가 해당 광고 이미지를 선택하는 경우에 표시되는 상세 정보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세 정보 데이터는 사용자가 선택한 광고에 상응하는 제품에 대한 상세 정보, 해당 제품과 관련된 참여 및 구매를 위한 인터페이스, 해당 광고주의 유사 제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노출 제어 정보 저장부(114)에는 상술한 노출 제어 정보가 저장되며, 제어부(150)는 노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각 광고의 화면 노출을 제어한다. 물론, 광고 데이터 저장부(112) 및 노출 제어 정보 저장부(114)는 하나의 매체로 구현되어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각 독립된 저장 매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단말 통신부(130)는 사용자 단말과 연결이 설정되어 제어부(150)의 제어 하에 광고 데이터 및 각 광고에 상응하는 노출 제어 정보를 사용자 단말로 전송한다.
제어부(150)는 광고 데이터의 노출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광고는 제한 횟수가 미리 설정된다. 여기서 제한 횟수는 특정 채널에서의 광고 이미지 노출 횟수, 사용자의 광고 이미지 선택이 있는 경우에 해당 광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횟수, 광고와 관련된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참여 횟수 및 해당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구매 횟수에 대해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채널에서만 제공되는 소정 광고에 대해 노출 제한 횟수가 100회로 설정되는 경우, 채널 전환에 의해 해당 광고가 포함된 채널이 선택된 경우, 선택된 채널에 포함된 광고 이미지가 노출되며, 사용자가 해당 채널을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시청하는 경우 유의미한 노출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유의미한 노출이 100회 노출되는 경우에 제어부(150)는 해당 채널에서 더 이상 동일한 광고를 노출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임의의 한 광고에 100회의 상세 정보 제한 횟수가 설정됨을 가정하면 사용자들이 해당 광고를 선택하여 상세 정보를 요청한 횟수가 총 100회가 될 경우 광고비가 추가되는 이벤트가 더 이상 발생(즉, 해당 광고에 대한 상세 정보가 제공되는 것)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해당 광고의 광고주는 최대로 100회에 따른 상세 정보 제공에 의한 광고비만을 지불하게 되어, 광고비의 최대 지출을 예상할 수 있어 마케팅 비용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임의의 광고에 대해 사용자 참여 제한 횟수가 100회로 설정되는 경우, 광고 이미지 선택 등에 의해 광고에서 제공하는 제품과 관련된 참여 인터페이스가 출력될 수 있으며, 상기한 참여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의견 입력, 앙케이트 조사 와 같은 사용자 참여 횟수가 100회에 도달하는 경우 더 이상 해당 광고를 노출시키지 않게 된다. 이는 광고와 관련된 제품의 구매 횟수가 100회로 설정되는 경우 구매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제품을 구매한 횟수가 100회에 도달하는 경우 더 이상 해당 광고를 노출시키지 않는 방식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한 횟수를 이용한 광고 관리 방식의 각 예시들은 관련 도면(도 2 내지 도 6)들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하며, 하기에서는 사용자의 광고 이미지 선택에 따른 상세 정보 제공 횟수에 제한 횟수가 설정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사용자의 광고 이미지 선택이 있는 경우, 사용자 단말은 광고 관리 장치(100)로 사용자의 선택 정보를 전송하며, 광고 관리 장치(100)의 제어부(150)는 현재 사용자들에게 노출되고 있는 광고의 상세 정보 제공 횟수(즉, 사용자의 광고 선택 횟수)를 카운팅하고, 광고 상세 정보가 해당 광고에 설정된 제한 횟수만큼 제 공되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만일 사용자들의 요청에 의해 제공된 상세 정보의 제공 횟수가 설정된 제한 횟수와 동일하게 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후술할 예들에 따른 정해진 규칙에 따라 해당 광고에 따른 상세 정보가 더 이상 제공되지 않도록 처리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노출 제어 정보에는 각 광고의 노출 시간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은 노출 시간을 체크하여 노출 시작 시간에 광고 이미지를 화면상에 출력하며, 설정된 노출 시간이 경과되면 해당 광고의 노출을 정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시간의 노출 시간을 갖는 광고의 최초 노출 시점부터 시간을 체크하여 1시간이 흐르면 해당 광고의 노출을 중지한다.
제어부(150)의 각 기능부들의 주된 기능을 설명하자면, 카운팅부(152)는 현재 사용자들에게 노출되는 광고에 따른 상세 정보의 총 제공 횟수를 카운팅한다. 즉, 광고가 최초 사용자들에 노출된 시점부터 사용자들에 의해 요청되어 제공된 상세 정보의 제공 횟수가 카운팅된다.
노출 제어부(154)는 카운팅부(152)에 의해 카운팅된 상세 정보 제공 횟수가 해당 광고에 대해 미리 설정된 제한 횟수보다 작은지 또는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만일 상기한 상세 정보 제공 횟수와 제한 횟수가 동일하게 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해당 광고에 대한 상세 정보가 더 이상 제공되지 않도록 상세 정보 제공 모드를 비활성화한다.
광고 비활성화를 위해 노출 제어부(154)는 노출 제어 정보 저장부(150)에서 비활성화 제어 정보를 추출하며, 추출된 비활성화 제어 정보가 사용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비활성화 제어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은 현재 화면상에 노출된 광고 이미지를 비활성화한다. 비활성화하는 방법으로는 해당 광고의 노출을 중지하는 방식 또는 사용자가 선택하더라도 상세 정보가 제공되지 않도록 하거나, 상세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동일 광고주의 다른 광고 매체(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를 노출하는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광고주의 다른 대체 광고는 비활성화, 즉 사용자 선택(리모콘 입력)에 반응하지 않는 대체 광고 이미지이다.
상세 정보를 제공하지 상기한 처리방법의 상세한 설명은 관련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의 메인 제어부(156)는 카운팅부(152) 및 노출 제어부(154) 등 전반적인 제어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어부의 각 기능부는 반드시 모두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필요는 없으며, 그 일부 또는 모두는 프로그램과 같이 소프트웨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고 관리 장치(100)는 각 광고 데이터 및 비활성화 제어정보를 제외한 노출 제어 정보를 해당 광고가 노출되는 시점에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이 노출 제어 정보에 따라 미리 설정된 노출 시간 동안 광고 이미지 또는 광고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광고 관리 장치(100)가 각 광고 데이터의 노출 시간 등을 모니터링하여 실시간으로 광고 데이터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광고 이미지 선택이 있는 경우, 광고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고 관리 장치(100)는 셋톱박스(set-top box), PVR(Personal Video Recorder: 개인용 비디오 녹화기) 등의 사용자 단말에게 방송 데이터 등을 전송하는 서버(예를 들어, 리턴패스 서버 등)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됨이 없이 컴퓨터, 노트북, UMPC 및 이동 통신 단말 등에 본 발명과 같은 방식으로 광고 데이터를 전송하고, 해당 광고의 상세 정보를 제한 횟수에 따라 제어하는 서버라면, 웹서버, 통신사 서버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광고 관리 장치(100)의 주된 기능들은 광고 관리 방법에 따른 이하의 실시예를 통해 더욱 자명하게 될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UI)을 예시한 예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광고 관리 방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광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의 실시예는 방송 화면에 광고를 노출시키고, 사용자가 해당 광고를 선택할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하되, 이는 방송 시스템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웹 페이지에 표시되는 배너 광고와 같이 상세 정보의 제공 횟수에 따라 광고비가 책정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 모든 시스템에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음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자명 해질 것이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광고 관리 장치(100)가 a, b 두 개의 광고의 노출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설명하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그 이상의 광고가 정해진 순서 없이 랜덤하게 선택되어 노출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a, b 두 개의 광고는 각각 제한 횟수가 m(임의의 자연수)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2 내지 도 6을 통해 광고 관리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로 광고 a, b를 미리 설정된 노출 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제공하고, 사용자의 광고 선택이 있는 경우, 해당 광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전송하며, 상세 정보 제공 횟수의 카운팅을 통해 광고 a를 비활성화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광고 노출 시간이 설정되지 않는 경우를 예시한 실시예에 따른 도 2를 참조하면, 단계 S210에서 광고 a(광고 이미지)가 방송화면의 일부에 노출된다(도 3의 참조번호 310 참조).
단계 S220에서 해당 방송을 시청하는 시청자들 중 임의의 사용자 단말에 의해 광고 a를 선택하는 이벤트가 발생하면, 단계 S230에서 그에 따른 상세 광고 화면이 해당 단말에 노출되고, 단계 S240에서 상세 정보 제공 횟수가 1만큼 증가하게 된다.
이후, 단계 S250에서 상세 정보 제공 횟수가 a 광고의 제한 횟수인 m이 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고, 만일 상세 정보 제공 횟수가 제한 횟수와 동일한 경우 단계 S260에서 현재 노출되고 있는 광고 a의 노출이 중지되고 다음 순서의 광고인 b 가 방송 화면에 노출된다(도 3의 참조번호 330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 선택에 의해 광고 a에 대한 상세 정보 제공 횟수가 제한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다음 시간대에서는 모든 사용자 단말의 방송 화면에서 광고 b가 노출된다.
이하에서는, 각 광고마다 광고 노출 시간이 설정되는 경우의 광고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a, b 각 광고마다 1시간씩의 광고 노출 시간이 설정되는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10 내지 단계 S450은 도 2에 따른 단계 S210 내지 단계 S250과 동일하게 진행된다. 다만, 단계 S410에서 최초 광고 a의 노출 시작 시점부터 시간이 모니터링되어 설정된 노출 시간이 경과되는지의 여부가 체크된다. 만일, 미리 설정된 노출 시간만큼 해당 광고가 노출된 경우 사용자로의 광고 노출은 중지된다.
여기서, 시간의 모니터링은 광고 노출 시작 시점부터 시간을 체크하는 개념일 수도 있으나, 광고 노출 시점의 시간이 저장되고 노출 마감 시간이 설정되어 노출 마감 시간이 될 경우를 감지하는 방식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450에서의 판단 결과, 만일 상세 정보 제공 횟수가 제한 횟수와 동일할 경우 단계 S460에서 현재 노출되고 있는 광고 a의 노출은 설정된 노출 시간만큼 계속 유지하되 사용자들에게 더 이상 상세 정보가 제공되지 않도록 비활성화된다.
차후, 단계 S470에서 노출 시간만큼 광고 a의 노출이 진행되면 광고 a의 노출은 중지되고 다음 순서의 광고인 b가 방송 화면에 노출된다.
본 실시예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계 S460에서 광고 a의 노출이 중지되고, 설정된 노출시간 중 나머지 시간 동안은 아무런 광고도 노출시키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로는, 광고 a에 설정된 노출시간 중 노출이 진행된 시간을 뺀 나머지 시간(이하 T'이 다음 광고인 b에게 할당되어, 단계 S460에서 b의 노출시간이 1시간+T' 설정되고 곧바로 광고 b가 노출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는 광고 a에 할당된 노출시간보다 이른 시간에 제한 횟수만큼 사용자들의 광고 a에 대한 선택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은 것이다. 본 예와는 달리, 설정된 노출시간이 모두 경과할 때까지 제한 횟수보다 적게 사용자들로의 상세 정보 제공이 수행된 경우에는, 총 상세 정보 제공 횟수에 대한 광고비만이 책정될 것이며 다음 순서인 광고 b가 노출됨은 당연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510 내지 단계 S550은 도 4에 따른 단계 S410 내지 단계 S450과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다.
이후, 단계 S560에서 광고 a에 미리 설정되어 저장된 대체 광고 데이터에 따른 대체 광고 이미지(600)가 광고 a를 대체하여 노출된다(도 6의 참조번호 630 참조).
이후, 단계 S570에서 노출 시간만큼 대체 광고 이미지의 노출이 진행되면 다음 순서의 광고인 b가 방송 화면에 노출되기 시작한다(참조번호 650 참조).
상기에서는 광고 관리 장치(100)가 노출 제어 정보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광고 a의 노출시키고, 광고 a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며, 제한 횟수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광고 a를 비활성화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광고 데이터 및 비활성화 제어 정보를 제외한 노출 제어 정보를 미리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방식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700에서 광고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 복수의 광고 데이터(광고 a 및 b)와 각 광고 데이터에 대한 노출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702에서 사용자 단말은 노출 제어 정보에 포함된 각 광고 a 및 b의 노출 시간 및 노출 채널 정보를 모니터링한다.
광고 a의 노출 시간이 도래한 경우 단계 S704에서 광고 a에 대한 이미지를 화면상에 출력하며, 단계 S706에서 사용자의 광고 a 선택에 따라 해당 광고의 상세 정보를 노출시킨다.
여기서 광고의 상세 정보는 해당 광고에 대한 제품 설명, 구매 정보, 광고주 사이트로의 접속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단계 S708에서 사용자 단말은 광고 관리 장치로 사용자의 광고 a에 대한 선택 정보를 전송한다.
단계 S710에서 광고 관리 장치는 광고 a에 대한 사용자 선택 횟수를 1만큼 증가시키며, 단계 S712에서 사용자 선택 횟수가 제한 횟수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714에서 사용자 선택 횟수가 제한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광고 관리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로 광고 a의 비활성화 제어 정보를 전송하며, 단계 S716에서 사용자 단말은 광고 a를 비활성화한다.
여기서 광고 a의 비활성화는 사용자의 선택이 있더라도 광고 a에 대한 상세 정보 제공을 중지하거나, 광고 a의 대체 광고 이미지를 노출시키거나, 다음 순서에 해당하는 광고 b를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횟수를 카운팅하여 광고 a를 비활성화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광고 관리 장치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광고 a의 노출 정보, 상세 정보 확인을 위한 광고 a 이미지에 대한 선택 정보, 참여 정보 및 구매 정보와 같은 이벤트 정보를 수신하고, 각 이벤트 정보 중 하나에 대해 설정된 제한 횟수 카운팅을 통해 사용자 단말에서의 광고 a에 대한 노출을 비활성화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는 점을 당업자는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광자기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관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기능 블럭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UI)을 예시한 예시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도 5에 따른 광고 관리 방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고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광고 관리 장치
110 : 저장부
112 : 광고 데이터 저장부
114 : 노출 제어 정보 저장부
130 : 단말 통신부
150 : 제어부
152 : 카운팅부
154 : 노출 제어부
156 : 메인 제어부

Claims (13)

  1.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방송 시스템에서 광고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광고 데이터 및 상기 광고 데이터에 대한 노출 시간 정보 및 노출 채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노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상기 광고 데이터는 화면에 출력되는 광고 이미지 및 대체 광고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사용자 단말에 노출된 광고 이미지에 대한 광고 상세 정보 제공 횟수를 카운팅하는 단계;
    상기 상세 정보 제공 횟수가 상기 광고에 설정된 제한 횟수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상세 정보 제공 횟수가 상기 제한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광고의 상세 정보 제공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비활성화는 상기 노출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 동안 사용자의 리모콘 입력에 응답하지 않으며 상기 노출된 광고 이미지에 대응되는 대체 광고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인 광고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세 정보 제공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는,
    상기 광고의 노출을 중지하고,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른 다음 광고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관리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에 미리 설정된 노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대체 광고의 노출을 중지하고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른 다음 광고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관리 방법.
  6.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방송 시스템에서 광고를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사용자 단말로 광고 데이터 및 상기 광고 데이터에 대한 노출 시간 정보 및 노출 채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노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광고 데이터는 화면에 출력되는 광고 이미지 및 대체 광고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b)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노출된 제1 광고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c) 상기 노출된 제1 광고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선택 횟수가 미리 설정된 횟수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1 광고 이미지에 대한 사용자 선택 횟수가 상기 미리 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1 광고 비활성화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광고에 대한 상세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제1 광고 비활성화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광고 노출을 비활성화하며, 상기 비활성화는 상기 노출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 동안 사용자의 리모콘 입력에 응답하지 않으며 상기 노출된 제1 광고 이미지에 대응되는 대체 광고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인 광고 관리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 제2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12. 사용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방송 시스템의 광고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 광고 데이터 및 상기 광고 데이터에 대한 노출 시간 정보 및 노출 채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노출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말 통신부-상기 광고 데이터는 화면에 출력되는 광고 이미지 및 대체 광고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상기 사용자 단말에 노출시킨 상기 광고에 대한 상세 정보 제공 횟수를 카운팅하는 카운팅부; 및
    상기 상세 정보 제공 횟수가 상기 노출 제어 정보에 따른 제한 횟수보다 적은지 또는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동일한 경우 상기 광고의 상세 정보 제공 모드를 비활성화하는 노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비활성화는 상기 노출 시간 정보에 따른 시간 동안 사용자의 리모콘 입력에 응답하지 않으며 상기 노출된 광고 이미지에 대응되는 대체 광고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인 광고 관리 장치.
  13. 삭제
KR1020080036248A 2008-04-18 2008-04-18 광고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0993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248A KR100993292B1 (ko) 2008-04-18 2008-04-18 광고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6248A KR100993292B1 (ko) 2008-04-18 2008-04-18 광고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641A KR20090110641A (ko) 2009-10-22
KR100993292B1 true KR100993292B1 (ko) 2010-11-09

Family

ID=41538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6248A KR100993292B1 (ko) 2008-04-18 2008-04-18 광고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2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4676B1 (ko) * 2011-01-13 2013-11-01 앨컴스(주) 사용자 배포 유도형 광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130191207A1 (en) * 2012-01-20 2013-07-25 Bradley Hopkins Smallwood Cross-medium advertising network
WO2016043535A1 (ko) * 2014-09-19 2016-03-24 황교찬 상호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631271B1 (ko) * 2014-11-25 2016-06-16 주식회사 포워드벤처스 순환 광고 디스플레이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20210133814A1 (en) * 2019-10-30 2021-05-06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 and System for Use of Automatic Content Recognition to Trigger Dynamic Ad Insertion in Response to Repeat Playout of Ad
CN113837483A (zh) * 2021-09-29 2021-12-24 深圳市易平方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无线接收装置的广告流量预估处理方法、装置、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641A (ko) 2009-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0061B2 (en) Verifying and encouraging asset consumption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220414708A1 (en) Advertisement Feedback and Customization
JP5059507B2 (ja) 広告提示方法、広告提示装置
JP5824007B2 (ja) キーワード検索に基づく媒体挿入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5781029B2 (ja) 放送網のアセット配信のためのターゲット・インプレッション・モデル
US10405037B2 (en) Advertisement modification method and apparatus
US8255949B1 (en) Television program targeting for advertising
US7730509B2 (en) Asset delivery reporting in a broadcast network
US20130298147A1 (en) Advertisements based on viewer feedback
US200900552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imating a Qualiifed Impression Count for Advertising Data in a Communication System
US8276174B2 (en) Displaying advertisements on blank television output
KR100993292B1 (ko) 광고 관리 방법 및 장치
JP2013034236A (ja) インターネット・プロトコル・テレビジョン・ネットワークに広告データを挿入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30276010A1 (en) Content serving
AU2010290905B2 (en) Advertisement selection
US2012030420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vertisement correlation
US11580563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nding data to end user data delivery vehicles
US20110202946A1 (en) Interactive Broadcast System
US20080243604A1 (en) Method to dispose of compensation offers on a digital video recorder
JP712991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20027942A1 (en) Real-time Guaranteed Campaign Delivery Optimization Using Broadcast Schedules and Historic Viewing Data
KR20090068369A (ko) 콘텐트 아이템 배포
JP2021141521A (ja) 広告配信装置、広告配信方法、及び、広告配信プログラム
JP2002238062A (ja) 広告視聴記録方法および広告視聴記録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