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240B1 - 가변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240B1
KR100993240B1 KR1020057014446A KR20057014446A KR100993240B1 KR 100993240 B1 KR100993240 B1 KR 100993240B1 KR 1020057014446 A KR1020057014446 A KR 1020057014446A KR 20057014446 A KR20057014446 A KR 20057014446A KR 100993240 B1 KR100993240 B1 KR 100993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ation
light
mode
birefringent lens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4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0626A (ko
Inventor
그라함 존 우드게이트
조나단 해롤드
Original Assignee
에이유 오프트로닉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0302659A external-priority patent/GB0302659D0/en
Priority claimed from GB0316223A external-priority patent/GB2403813A/en
Application filed by 에이유 오프트로닉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에이유 오프트로닉스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110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05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lenticular lenses, e.g. arrangements of cylindrica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3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parallax b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0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 H04N13/322Image reproducers for viewing without the aid of special glasses, i.e.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s using varifocal lenses or 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공간 광 변조부, 모드 변환용 편광자 및 복굴절 렌즈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형 공간 광 변조부는 불규칙한 편광을 출력하기 위하여 배열된 유기 전계 발광 물질로 이루어진 픽셀 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모드 변환용 편광자는 각 편광 성분의 광을 통과시키는 제 1 동작모드 및 제 2 동작모드를 상호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복굴절 렌즈는 제 1 편광 성분의 광을 제 1 방향 분포로 변경하고 제 2 편광 성분의 광을 제 1 방향 분포와 다른 방향을 갖는 제 2 방향 분포로 변경하기 위하여 배치된 공간 광 변조부로부터 광을 제공받는다.
상기 복굴절 렌즈 및 모드 변환용 편광자는 연속하여 배치된다.
상기 공간 광 변조부로부터 편광된 광은 모드 변환용 편광자 및 복굴절 렌즈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편광자 모드는 표시장치로부터 출력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1 편광 성분 및 제 2 편광 성분들에 대응하는 광을 효과적으로 선택한다. 따라서, 편광자의 모드를 변환함으로써, 표시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제 1 및 제 2 방향분포 사이에서 상호 변환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복굴절 렌즈는 제 2 편광 성분의 광에 대해서는 아무런 광학적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이 결과 제 2 방향 분포는 복굴절 렌즈로 입력된 광의 방향 분포와 동일하다. 따라서 복굴절 렌즈가 광학적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모드와 복굴절 렌즈가 표시 장치의 광 방향 분포를 변경할 수 있는 모드 간에 상호 변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가변 표시 장치{SWITCHABLE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표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 안경(autostereoscopic) 방식의 3차원 입체 표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2차원(2D)/3차원(3D)의 사이에서 각 모드를 상호 변경할 수 있으며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고 휘도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은 모드 변환 가능한 무선통신장치뿐만 아니라 컴퓨터 모니터, 무선통신용 핸드셋(handset), 디지털 카메라, 랩탑 및 데스크탑 컴퓨터, 게임장치, 자동차용 응용장치 또는 기타 모바일 디스플레이 응용 장치 등에 사용될 수 있다.
기능 강화를 위하여 미세-광학 구성요소들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시스템으로는, 액정 표시(LCD) 프로젝터, 오토스테레오스코픽(autostereoscopic)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휘도 강화 반사형 표시장치(brightness enhancing reflective display) 등이 있다.
각 시스템에서,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등의 미세-광학 요소들은 공간 광 변조부의 적어도 하나의 픽셀과 함께 배열된다. 가능한 시스템의 평면도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백라이트(2)는 LCD 입력 편광자(6)로 광을 제공한다. 상기 광은 박막 트랜지스터(TFT) 기판(8)을 통과하고 개별적으로 위상(phase)을 조절할 수 있는 픽셀들 (12-26)을 포함하는 픽셀층(10)에 입사된다. 상기 픽셀(12-26)들은 열 방향 및 행 방향으로 배열되고 픽셀 개구(28) 및 서로 이격된 형태의 블랙 마스크(30)를 포함한다. 상기 광은 LCD 대향 기판(32) 및 렌즈 포함 기판(36)을 통과한다. 상기 렌즈 포함 기판(36) 상에는 복굴절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8)가 형성된다. 상기 복굴절 마이크로렌즈 어레이(38)는 등방성 렌즈 미세구조(40) 및 광축 방향(42)을 갖도록 배열된 복굴절 물질을 포함한다. 복굴절 렌즈를 통과한 출사광은 렌즈 기판(44)을 통과하고 이어서 편광 조절 부재(46)를 통과한다.
렌즈 어레이(38)의 각 복굴절 렌즈들은 실린더 형상을 갖는다. 상기 렌즈 어레이(38)는 렌즈 막(lens screen)에 대응하고 렌즈들의 기하 축(geometrical axis)은 페이지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1에서, 렌즈 간격은 픽셀 간격의 약 두 배가 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두 개의 오토스테레오스코픽 영상 표시가 가능할 수 있다.
제 1 작동 모드에서, 편광 조절 장치(46)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의 복굴절 물질의 정상 축(ordinary axis)에 평행한 편광 상태를 갖는 광을 투과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물질(예를 들면, 액정 물질)의 정상 굴절률은 등방성 미세구조(40)의 굴절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렌즈는 아무런 광학적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이로 인하여 표시출력은 렌즈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광 방향분포가 변화되지 않는다. 상기 제 1 작동 모드에서, 관측자는 양쪽 눈으로 모든 표시 픽셀(12-26)들을 관측할 수 있고, 2D 영상이 표현된다.
제 2 작동 모드에서, 편광 조절 장치(46)는 복굴절 렌즈의 이상 축(extra- ordinary axis)과 평행한 편광상태를 갖는 광을 투과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물질 (예를 들면, 액정 물질)의 이상 굴절률(extra-ordinary refractive index)은 등방성 미세 구조(40)의 굴절률과 다르다. 따라서 상기 렌즈들은 광학적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표시 출력의 방향분포는 변경된다. 이러한 방향 분배에 관해서는 종래에 잘 알려져 있다. 관측자가 정확하게 표시화면의 정면에 위치하면 관측자의 왼쪽 눈으로는, 왼쪽의 이미지 픽셀들(12,16,20,24)에 대응하는 왼쪽 이미지를 관측하게 되고, 관측자의 오른쪽 눈으로는 오른쪽 이미지 픽셀들(14,18,22,26)에 대응하는 오른쪽 이미지를 관측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2D에서 3D까지의 표시 모드의 변환 가능한 영상이 무 안경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어레이들은 특히 오토스테레오스코픽(autostereoscopic) 표시장치에 적합하다. 왜냐하면, 상기 렌즈들은 고효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작은 사이즈를 가지며 일반적인 리소그라피(lithography) 방식에 의하여 쉽게 제조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방향적으로 광을 스위칭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자적으로 변환 가능한 복굴절 렌즈를 제공하기 위한 시도들이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면, 2D 작동 표시 모드 및 3D 작동 표시 모드 간에 전자적으로 변환 가능하게 하는 시도 등이다.
전자적으로 모드의 변환이 가능한 복굴절 액정 마이크로렌즈들은 "European Optical Society Topical Meetings Diget Series: 13, 15-16 May 1997 L.G Commander et al (Electrode disigns for tuneable microlenses) pp48-58"에 개시되어 있다.
다른 방식의 2D/3D 모드 변환 가능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국 특허 US6,069,650 및 국제 공개 특허-98/21620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는, 모드 변환식 마이크로렌즈들로서 액정 물질로 채워진 렌즈 막이 사용되며 상기 마이크로렌즈들은 렌즈 막의 광학적 특성을 변경하는데 사용된다.
알려진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픽셀의 발광부의 정면 또는 후면에 반사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 픽셀 개구는 발광 영역 및 갭 영역으로 나뉘며 발광형 픽셀 개구를 포함한다. 발광 영역의 수직 개구율은, 예를 들면, 열 방향 전극 내의 요구되는 갭 폭의 크기에 의하여 제한 된다.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는 또한 LCD 표시장치에서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능동형 매트릭스 백플레인(backplane)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결과 개구율(발광영역/전체 픽셀영역)이 감소된다. 이러한 패널들은 국제공개특허 WO-03/015424호에 개시된 휘도 강화형 장치에 적합하다. 상기 휘도 강화형 장치에서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가 픽셀의 영상을 시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 또는 소정의 스크린 평면의 "창(window)"에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기 창(window)에서, 관측자는 패널의 수직 개구율 증가율에 대응하여 휘도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다. 스크린 창을 벗어나면, 관측자는 픽셀들의 갭들을 관측하게 되고, 표시영상은 감소된 휘도를 갖게 된다.
무기 및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등의 발광형 표시장치들은 주로 편광되지 않는 광을 출력한다. 상기 무기 및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들은 고분자 및 저분자로 이루어진 유기전계 발광 물질을 포함한다. 그러나 방향 분배 광 교환 시스템(directional distribution optical switching system)이 제 1 동작모드 및 제 2 동작모드를 각각 스위칭하여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편광모드를 변환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동작모드는 완전 확산면(lambertian)에 대응하고, 제 2 동작모드는 무 안경 방식의 3D 윈도우에 대응할 수 있다. 비 편광된 화상은 상기 방향 분배 광 교환 시스템과 결합되면 편광의 손실을 보여준다.
출사광이 실질적으로 랜덤하게 편광되게 하는 전극 층들로부터의 반사를 피하기 위하여 원형 편광자를 도입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원형 편광자는 전극들에 의한 외부광의 반사를 상쇄시킨다. 상기 원형 편광자는 일반적으로 선형 편광자 및 1/4 파장판를 포함한다. 이러한 원형 편광자는 출력광의 방향 분포를 변경할 수 있는 렌즈를 갖는 표시장치에 유용하게 응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렌즈는 3D 오토스테레오스코픽 효과나 휘도 강화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렌즈가 복굴절 렌즈일 경우에는, 상기 렌즈는 표시장치를 통과하는 광의 편광현상에 의존하여 작동되는 렌즈에 의한 광 변경 기능을 변환할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하지만, 역시 광의 편광에 의존하는 원형 편광자의 구현 방법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공간 광 변조부, 모드 변환용 편광자 및 복굴절 렌즈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형 공간 광 변조부는 불규칙한 편광을 출력하기 위하여 배열된 유기 전계 발광 물질로 이루어진 픽셀 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모드 변환용 편광자는 각 편광 성분의 광을 통과시키는 제 1 동작모드 및 제 2 동작모드를 상호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복굴절 렌즈는 제 1 편광 성분의 광을 제 1 방향 분포로 변경하고 제 2 편광 성분의 광을 제 1 방향 분포와 다른 방향을 갖는 제 2 방향 분포로 변경하기 위하여 배치된 공간 광 변조부로부터 광을 제공받는다.
상기 복굴절 렌즈 및 모드 변환용 편광자는 연속하여 배치된다.
상기 공간 광 변조부로부터 편광된 광은 모드 변환용 편광자 및 복굴절 렌즈를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편광자 모드는 표시장치로부터 출력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 1 편광 성분 및 제 2 편광 성분들에 대응하는 광을 효과적으로 선택한다. 따라서, 편광자의 모드를 변환함으로써, 표시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제 1 및 제 2 방향분포 사이에서 상호 변환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복굴절 렌즈는 제 2 편광 성분의 광에 대해서는 아무런 광학적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이 결과 제 2 방향 분포는 복굴절 렌즈로 입력된 광의 방향 분포와 동일하다. 따라서 복굴절 렌즈가 광학적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모드와 복굴절 렌즈가 표시 장치의 광 방향 분포를 변경할 수 있는 모드 간에 상호 변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편광 및 발광형 표시장치의 출력 편광을 방향 분배 광 교환 시스템(directional distribution optical switching systems)로의 입력 편광 상태와 일치시켜 고효율의 광학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편광의 일치는 발광 표시 픽셀들 내에 있는 단축 방향으로 정렬된 발색단에 의하여 얻어지게 된다. 출력 편광의 주축의 배열 방향은 복굴절 렌즈의 복굴절 물질의 배열방향과 동조하도록 설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 효율을 갖는 발광 방향 분배형 광 변환 표시장치가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LCD 표시장치에 있어 추가적인 이점을 갖는다. 예를 들면,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LCD 장치를 박형화 및 경량화시킬 수 있고 이러한 장점은 특히 모바일 장치에 있어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광학 장치는 발광형 표시 광 방향 변환 장치(emissive display light direction switching apparatus), 모드 변환용 편광자(switching polarizer) 및 복굴절 렌즈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형 표시광 방향 변환 장치는 발광형 공간 광 변조부(emissive spatial light modulator apparatus)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형 공간 광 변조부는 각 픽셀들이 실질적으로 편광된 광을 출력하는 발광 픽셀 영역으로 이루어진 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모드 변환용 편광자는 제 1 편광 성분의 광을 통과시키는 제 1 편광 모드 및 제 2 편광 성분의 광을 통과시키는 제 2 편광모드 간을 교환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복굴절 렌즈는 제 1 편광 성분의 광을 실질적으로 제 1 방향 분포로 변경하고, 제 2 편광 성분의 광을 제 1 방향 분포와 다른 제 2 방향 분포로 실질적으로 변경시키도록 동작한다.
상기 모드 변환용 편광자 및 복굴절 렌즈는 연속하여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편광 성분을 포함하는 광이 장치로 입력될 경우, 상기 모드 변환용 편광자가 제 1 편광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광은 제 1 편광 성분이 되고 실질적으로 제 1 광 분포로 출력된다. 또한, 상기 모드 변환용 편광자가 제 2 편광 모드로 설정되어 있다면,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광은 제 2 편광 성분이 되고 실질적으로 제 2 광 분포로 출력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추가로 다음과 같은 하나 이상의 특징들을 갖는다.
발광 물질은 고분자 유기 전계 발광 물질 또는 저분자 유기 전계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편광은, 선형 편광일 수 있고, 모든 픽셀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출력 편광은 단축방향으로 배열된 발색단에 의해 생성되고 복굴절 렌즈의 기하 광축(geometric optical axis)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클린-업 편광자(clean-up polarizer)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클린-업 편광자는 발광 표시 픽셀들 및 기타 다른 광학 요소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클린-업 편광자는 발광 표시 장치의 출력 편광의 주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투과 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국제공개특허 WO-03/015424에 개시된 표시장치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국제공개특허발명은 모든 청구항들을 포함하여 여기서 참조 될 수 있다. 그러나 표시장치가 유기 전계 발광 물질로 이루어진 픽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발광형 공간 광 변조부를 갖는 것에 차이가 있다. 상기 유기전계 발광 물질들은 각각 실질적으로 편광을 출력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국제공개특허발명에 개시된 표시장치의 장점들은 동일하게 본 발명에 적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발광형 공간 광 변조부, 복굴절 렌즈, 1/4 파장판 및 선형 편광자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형 공간 광 변조부는 각각의 픽셀이 불규칙한 편광을 출력하기 위하여 배열된 픽셀 어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복굴절 렌즈는 표시장치의 제 1 작동 모드에서는 상기 공간 광 변조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수용하여 제 1 편광 성분을 제 1 방향 분포로 변경하고 상기 표시장치의 제 2 작동 모드에서는 상기 공간 광 변조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수용하여 제 2 편광 성분을 상기 제 1 방향 분포와 다른 제 1 방향 분포로 변경시킨다.
상기 1/4 파장판은 상기 공간 광 변조부 및 복굴절 렌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선형 편광자는 상기 1/4 파장판으로부터 상기 복굴절 렌즈의 반대면 상에 배치된다.
1/4 파장판 및 선형 편광자의 조합으로, 원형 편광자의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상술한 방식에 의하여 반사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효과는 출력광의 광 분포를 조절할 수 있는 복굴절 렌즈를 가진 표시장치에서 가능하며, 상기 광 분포의 조절 기능은 모드에 따라 변환될 수 있다. 원형 편광자의 구성요소들, 즉 1/4 파장판 및 선형 편광자는 복굴절 렌즈의 반대 면에 위치하고, 이러한 배치관계는 두 가지 모드에 따른 복굴절 렌즈의 효과들이 편광에 좌우됨에도 불구하고, 복굴절 렌즈 효과를 적절하게 변경시킬 수 있게 하고 복굴절 렌즈의 두 가지 작동 모드에서 원형 편광자의 적절한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나아가, 상기 구성요소들의 배치관계는 다음과 같은 현저한 이점을 갖는다. 첫째로, 공간 광 변조부 및 복굴절 렌즈 사이에 원형 편광자가 전체적으로 배치되는 경우와 대비하여, 1/4 파장판만이 배치되면 된다. 이 결과, 공간 광 변조부 및 복굴절 렌즈 사이의 거리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점은 대단한 이점이 된다. 예를 들면, 휘도 강화 효과를 제공하는 렌즈의 경우, 표시 가시도는 픽셀면으로부터 렌즈가 이격된 거리 및 표시 픽셀의 수직 거리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본 발명에서 상기 이격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어 방향 모드에서 표시 가시도를 최적화시킬 수 있다. 반면에, 표준 2D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이격 거리를 최소화여도 가시도가 향상되지 않는다.
또 다른 이점은 손실과 관련된다. 비 편광 발광 표시장치는 편광형 발광 표시장치에 비하여 제조하기 쉽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다. 그러나 비 편광형 발광 표시장치와의 조합으로 사용하게 되면, 방향 분포의 변환가능한 조절을 하기 위한 복굴절 렌즈의 사용은 편광 조절 효과에 기인한 50%의 명목 출력(nominal output)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 1 특징에 따른 배치는 원형 편광자 및 변환형 복굴절 렌즈가 50%의 총 손실을 충족하게 해준다. 그러나 상기 원형 편광자 및 변환형 복굴절렌즈 단독 출력 값을 이론적으로 더해서는 상기 출력을 발생시킬 수 없다. 이것은, 각각에 대응하는 손실의 증가 없이 두 가지 요소가 병합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큰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발광형 방향 표시장치는 발광형 공간 광 변조부, 수동 복굴절 렌즈, 편광 회전자, 1/4 파장판 및 선형 편광자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형 공간 광 변조부는 픽셀 어레이를 포함하고 실질적으로 랜덤하게 편광된 편광을 출력한다. 상기 1/4 파장판은 픽셀 어레이 및 수동 복굴절 렌즈의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발광형 방향 표시장치는 발광형 공간 광 변조부, 능동 복굴절 렌즈, 1/4 파장판 및 선형 편광자를 포함한다.
상기 공간 광 변조부는 실질적으로 랜덤하게 편광된 편광을 출력한다. 상기 1/4 파장판은 픽셀 어레이 및 수동 복굴절 렌즈의 사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추가적인 특징을 갖는다.
발광 물질은 고분자 유기 전계 발광 물질 또는 저분자 유기 전계 발광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렌즈의 기하광학 축은 공간 광 변조부의 픽셀을 따라 배열된다.
상기 픽셀들은 열 및 행 방향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제 2 특징에 따른 상기 복굴절 렌즈 및 상기 복굴절 렌즈의 스위칭 배열(switching arrangement)은 국제공개특허 WO-03/015424에 개시된 표시 장치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국제공개특허는 청구항의 특징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 참조 되어 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따라, 렌즈 어레이는 어느 하나의 모드 또는 양 모드에서 표시 장치의 방향 분포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3D 오토스테레오스코픽 효과, 강화 휘도 효과, 또는 멀티유저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효과 등을 포함한 다양한 효과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제시된 효과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액정 표시소자를 이용한 2D-3D 교환식 무 안경 방식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광형 발광 표시소자를 이용한 2D-3D 교환식 무 안경 방식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편광형 발광 표시소자를 이용한 2D-3D 교환식 무 안경 방식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편광형 발광 표시소자를 이용한 2D-3D 교환식 무 안경 방식의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편광형 발광 표시소자를 이용한 휘도 강화형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랜덤하게 편광된 발광 OEL 표시소자의 전극으로부터의 정면 반사를 해제하기 위한 1/4 파장판을 포함하는 일 표시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구조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짧은 가시거리를 갖는 OEL 패널 구조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능동형 렌즈 및 1/4 파장판이 병합된 표시소자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된 1/4 파장판의 광축 배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를 도시한다. 픽셀 어레이(50)는 표시기판(48) 상에 형성되어 공간 광 변조부를 구성한다. 상기 표시기판(48)은 픽셀들이 독 립적으로 각각 하나의 전기 신호에 의하여 어드레스(address) 되기 위해서, 주소지정(adessing)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및 전극들을 포함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는 무기물질 또는 유기물질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필셀들은 수동 어드레스 체계에 의하여 어드레스 될 수 있다. 상기 수동 어드레스 체계에서는, 픽셀들은 어드레스 트랜지스터들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각 픽셀(50)들은 발광 영역(emissive region)을 포함한다. 상기 방사 영역에는, 발색단을 갖는 발광 물질이 단축방향으로 정렬되어 발광 편광이 실질적으로 선형이고 전체 픽셀에 대하여 동일한 방향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각 픽셀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편광 방향을 갖도록 배열된다.
상기 픽셀(50)의 발광 물질은 유기 전계 발광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분자 유기 전계 발광 물질이나 저분자 유기전계 발광 물질일 수 있다. 상기 발광 물질은 특정 방법에 의하여 상기 발광 물질의 분자들을 배열하여 편광 발광이 이루어지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사성 물질은 "비접촉식 광 배향막 상의 이방성 액정 네트워크로부터 편광된 전계발광" (A.E.A. Contoret, S.R. Farrarr, P.O.Jackson, S.M.Khan, L.May,M. O'Neill, J.E.Nicholls, S.M.Kelly and Richards, Adv. Master. 2000, 12, No. 13, July 5 p 971) 에 개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문헌은 실제 응용 시스템에서 11:1의 편광비율(polarisation ratio)이 얻어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나아가, 커버기판(52)이 픽셀들에 부착된다. 상기 커버기판(52)은 베리어층(barrierr layer)들 및 콘트라스트 강화 블랙마스크 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임의 의 편광자(54)가 상기 커버기판(5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예를 들면, 편광 물질이 픽셀층 또는 픽셀층 근처에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커버기판(52)의 안쪽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알려진 편광형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중의 하나는 11:1의 편광비율을 갖는다. 45%의 편광효율을 갖는 특정 편광자와의 조합으로, 총 편광량은 광원 총량의 82.5%가 될 수 있다. 반면에, 클린업 편광자와 조합되면 총 편광량은 45%가 된다.
추가기판(56)은 편광자(54) 상에 배치되고 상기 기판의 표면에는 복굴절 마이크로렌즈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굴절 렌즈들은 렌즈 막 릴리프구조(relief structure)와 같은 표면 릴리프 구조를 갖는다. 상기 표면 릴리프 구조는 복굴절 물질과 등방성 물질의 경계면에 형성된다. 복굴절 렌즈는 배향을 갖는 복굴절 물질(42) 및 등방성 물질(40)을 포함한다. 상기 복굴절 물질은, 예를 들면, 기판(56)의 상면 및 등방성 물질 표면의 수평 배향막들 사이에 샌드위치된 형태로 존재하는 네마틱 액정과 같은 배향된 액정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배향막들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복굴절 물질은 반응성 메소겐(reactive mesogen) 액정 등과 같은 UV 경화형 액정 물질일 수 있다. 상기 복굴절 렌즈의 두 층 상의 액정재료의 상대적 배향 방향은 평행하거나 비 평행할 수 있다. 또한, 두 층 사이에서 트위스트(twist ) 되어 입사된 편광이 표면 릴리프 구조에 닿기 전에 상기 복굴절 렌즈 내부에서 회전하게 된다. 등방성 물질의 굴절률 및 분산율은 복굴절 물질의 굴절률 및 분산율 중 어느 하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복굴절 마이크로렌즈들의 구현방법은 국제공개특허 WO-03/015,424에 설명되어 있으며 여기서 참조 된다.
상기 복굴절 렌즈의 형성에 이어, 편광 스위치 셀(polarisation switch cell)이 기판(41) 상에 형성된다. 상기 스위치는 최종적으로 선형 출력 편광자(66)를 통과한 편광을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위치는 투명 ITO 전극들 사이에 개재된 네마틱 액정 물질층(60) 및 배향막(5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셀로부터 출력되는 출력광을 변환하기 위하여, 전압(62)이 액정 셀을 가로질러 인가된다.
도 2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작동된다. 발광소자는 실질적으로 선형으로 편광된 출력 편광을 발생시킨다. 상기 편광형 발광 픽셀 어레이(50)로부터 출력된 출력 편광은 선형 편광자(54)에 의하여 소멸된다. 상기 선형 편광자(54)는 발광 물질의 편광 방향의 장축에 대하여 평행한 투과방향을 갖는다. 이러한 편광 상태는 복굴절 렌즈(42) 안에서 액정물질의 배향 방향에 대하여 45°의 각도로 배열되고, 이 결과 렌즈에 의하여 두 개의 직교 성분이 결정된다. 제 1 모드에서는 모드에서는, 편광 스위칭 물질(60)은 출력 편광자(66)을 통하여 투과된 편광이 복굴절 렌즈(42) 내의 액정물질의 일반적인 굴절률과 같도록 배열된다. 복굴절 렌즈(42) 내의 상기 액정물질의 굴절률은 실질적으로 등방성 물질(40)의 굴절률과 동일하고, 이 결과, 비록 어느 정도 잔류하는 약간의 광학적 효과가 있을 수 있어 정확한 굴절률의 일치는 불가능하더라도 렌즈 효과는 없다. 따라서 출력 영상은 픽셀층으로부터의 광 출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 분포를 갖는다.
제 2 모드에서는, 상기 스위치(62)는 물질(60)의 상태를 조절하여 편광자(66)를 통하여 투과된 편광이 복굴절 물질(42)의 이상굴절률(extraordinary refractive index)을 나타내도록 한다. 따라서 렌즈 표면에서는 등방성 물질에 대한 굴절률 변화(index)단계가 있고 렌즈는 광학적 기능을 갖는다. 이것은 광학 출력의 방향분포를 변경한다. 상기 렌즈는 윈도우 영역에서 픽셀의 이미지가 보이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복굴절 물질의 광축의 방향(지도방향 또는 이상축 방향)은 복굴절 광축으로서 부르도록 한다. 이것은 기하 광학에 의하여 정의되는 일반적인 렌즈 광축과 혼동되어서는 안 된다.
렌즈 내의 액정의 배향 방향은 셀의 두께방향과 평행하게 설정된다. 상기 액정 배향은 렌즈 표면에서의 배향은 원통형의 렌즈들의 기하(geometric) 렌즈 축에 평행일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복굴절 광축은 셀을 통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배열될 수도 있다. 이 결과, 발광 표시광 및 클린업 편광자의 편광의 방향은 기하 렌즈 축과 다르게 된다. 이것은, 예를 들면, 편광형 발광 장치의 제조에 있어 제작 공차를 완화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편광형 발광 조건에 의하여 시야각에 제한을 둔다면 표시장치의 시야각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상기 렌즈들은 표시 픽셀의 행 간격의 두 배의 간격을 갖도록 행으로 배열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윈도우 평면을 바라보면, 패널의 교차하는 픽셀 컬럼들을 볼 수 있고 입체 영상을 관찰할 수도 있다. 이러한 광 출력에 관해서는 국제공개특허 WO-03/015424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렌즈는 표시장치의 열 방향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정확히 일치하지는 않는다.)의 간격을 갖는 원통형 렌즈의 열을 따라 배열될 수도 있다. 만약, 픽셀 개구율이 수직방향으로 100% 미만이면, 작동되는 방향 모드에 따라, 렌즈들은 픽셀의 중앙으로부터의 렌즈의 포커싱에 기인한, 낮은 밝기를 갖는 영역에 의하여 분리된 영역을 만들어 낸다. 상기 분리된 영역으로부터의 표시화면은 상대적으로 높은 밝기를 갖게 될 것이다.
도 2의 장치는 50%의 휘도를 갖는다. 왜냐하면, 렌즈에 입력되는 편광상태가 복굴절 마이크로렌즈들의 복굴절 광축에 대해서 각각 평행 및 직교인 두 개의 직교 성분으로 결정되기 때문이다.
도 3에는 최대 휘도 모드로 동작되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비교하면, 편광 스위치의 위치 및 복굴절 마이크로렌즈 어레이가 반대로 되어 있다. 편광형 발광 표시소자 및 클린업 편광자(54)로부터의 출력 편광은 편광 스위칭 메커니즘(60, 58, 62) 상의 입사광이 된다. 제 1 동작 모드에서는, 복굴절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42)에 입사되는 편광이 렌즈 표면에서 굴절률을 갖는 보통의 광 성분에 평행하도록 편광 스위치가 동작하지 않는다. 또한, 등방성 물질(40)과 굴절률이 동일하여 실질적으로 렌즈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 상기 광은, 무-반사 필름 등을 포함하는 최종 기판(68)을 통과한다. 따라서 상기 광은 발광형 패널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 분포를 갖는다.
제 2 동작 모드에서는, 편광 스위치가 패널로부터의 편광을 회전시켜 복굴절 마이크로렌즈들의 복굴절 광축에 평행하게 되어 상기 렌즈는 광학적 기능을 갖는 다.
본 구성에서는, 모든 광은 정확히 렌즈 축으로 보이게 되므로 시스템 내에서의 광 손실이 없다.
이러한 구성은 추가 막들의 두께로 인하여 증가된 가시거리를 갖게 된다. 상기 두께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기판(64)을 제거하고 상기 복굴절 렌즈로서, 경화형 액정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추가 기판(70)은 편광자(54) 상에 형성되고 ITO 및 상기 편광자(54)의 반대편에 형성된 배향막(58)을 포함한다. 복굴절 마이크로렌즈 및 등방성 물질은 ITO 코팅(72)을 갖는 기판(68)에 형성된다. 상기 복굴절 마이크로렌즈 어레이(42)는 반응성 메소겐(mesogen) 등의 UV경화 물질로부터 만들어지고, 배향막(74)은 상기 마이크로렌즈 표면에 형성된다. 액정(60)과 같은 변환가능한 편광 조절물질(switchable polarization modulating material)은 마이크로렌즈 배향막(42), ITO 및 배향막(58) 사이에 샌드위치 구조로 배치된다. 이와 다르게, ITO 코팅(72)은 UV 경화형 복굴절 마이크로렌즈(42) 표면이 배향막(74)과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전압은 전원(62)에 의하여 ITO 코팅막에 인가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픽셀 면으로부터의 렌즈 분리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이것은 작은 픽셀 사이즈를 갖는 표시장치에 특히 유리하다. 또한, 상기 기판(70)은 제거되어 배향막(58)들은 편광자(54)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편광형 발광 표시소자를 이용한 가변성 휘도 강화 표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픽셀층(50) 내의 편광형 발광 픽셀들은 발광 영역(80) 및 상기 발광영역(80)들 사이에 형성된 갭 영역(82)을 포함한다. 상기 갭 영역(82)은, 예를 들어, 전극들과 어드레싱 트랜지스터(adressing transistor)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들은 상기 표시소자에 대하여 복수의 열 방향으로 배열된다. 렌즈들의 간격은 픽셀 열들의 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된다.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마찬가지로 구성되고 동작한다. 제 1 동작 모드에서, 상기 렌즈는 광학적 기능을 수행할 수 없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발광 영역(80)으로부터 출력된 광은 원통형 렌즈 어레이의 렌즈들에 의하여 조정되지 않는다. 제 2 동작 모드에서는, 상기 렌즈들은 광학적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각 픽셀들은 각각의 렌즈들에 의하여 표시영역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위치한 윈도우 영역으로 화상을 표시한다. 관측자가 상기 윈도우 영역에서 픽셀들의 이미지에 시선을 고정하면 화면은 수정되기 전의 화면에 비하여 증가한 휘도를 갖게 될 것이다. 만약, 관측자가 이미지들 사이의 갭 영역에 시선을 고정하면, 표시화면은 수정되기 전의 화면에 비하여 감소된 휘도를 갖게 될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표시 휘도는 제 1 방향으로 픽셀의 개구율이 100 미만인 영역에서 유리하게 증가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국제공개특허 WO-03/015424호에 개시된 표시 장치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개 특허는 여기서 참조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공개 특허에 개시된 공간 광 변조부는 발광형 공간 광 변조부로 대체된다. 상기 발광형 공간 광 변조부는 유기 전계 발광 물질로 이루어진 픽셀 어레이를 포함한다. 각각의 픽셀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편광된 광을 출력하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공개문헌 WO-03/015424호에 개시된 발명은 공간 광 변조부를 대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에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6은 비 편광 표시소자를 갖는 휘도 강화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상기 표시장치는 표시기판(48) 상에 형성된 픽셀 어레이층(50)을 포함하여 공간 광 변조부를 구성한다. 상기 공간 광 변조부는 실질적으로 랜덤한 편광을 출력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발광형 표시장치와 구조 및 배치가 동일하다. 픽셀(50)의 발광 물질은, 예를 들어, 고분자 유기전계 발광 물질 또는 저분자 유기전계 발광 물질 등의 유기 전계 발광 물질들을 포함한다. 이와 다르게, 상기 픽셀 어레이(50) 및 기판(48)은 발광형 공간 광 변조부가 각 픽셀들이 랜덤한 편광을 출력할 수만 있다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픽셀 어레이(50)는 100% 미만의 수직 개구율을 갖고 1/4 파장판(84)을 향하여 발광한다. 상기 광은 실질적으로 랜덤하게 편광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강도를 갖는 제 1 및 제 2 분해 선형 성분들은 렌즈 어레이(42)로 입사된다. 복굴절 물질의 광축에 평행한 제 1 분해 선형 성분은 렌즈 표면에서 위상 변화 단계를 나타내고, 따라서 픽셀 개구로부터 출사된 광은 지정된 관측 지점에서 윈도우를 향하도록 유도된다. 복굴절 물질의 광축에 직교하는 분해 성분은 굴절 표면에서의 굴절률과 일치하고, 따라서 실질적으로 렌즈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나서 상기 광은 변환용 편광 회전자 (58, 62)를 통과한다. 오프(off) 상태에서 제 1 분해 선형 편광은 회전하게 되고 출력 편광자(66)에 의하여 소멸되게 된다. 반면에 제 2 분해 선형 편광은 회전하면서 출력 편광자(66)를 투과하게 된다. 전기장이 층(60)에 인가되면 회전하지 않는 상태가 되고, 이 결과 제 1 편광은 투과하고 제 2 편광은 흡수된다. 따라서 표시부는 종래의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제 1 동작 모드에서, 표시부의 정면에 배치된 외부 광원(86)으로부터 입사된 광은 편광자(66)에 의하여 편광되고, 회전자(58-62)에 의하여 회전되게 된다. 이 결과, 렌즈(40, 42)에서는 위상 변화가 일어나지 않게 되고, 원편광(circular polarization) 상태로 전환될 때 광은 파장판(84)을 통과한다. 도 9는 복굴절 렌즈의 광축 배열과 조합되는 1/4 파장판의 광축 배열을 더욱 자세하게 보여주는 도면이다. 동작을 단순화하여 표시하기 위하여, 외부 광원(86)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의 광 경로는 굽은 형태로 표시하지 않았다. 또한, 상기 광 경로는 도 6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방향 모드를 보여준다. 외부광원(86)으로부터 입사된 광은 편광 전송 방향(92)을 갖는 편광자(66)로부터 편광방향(93)을 갖는다. 상기 광은 편광 스위치(미 도시)를 통과하고, 이 결과 편광상태(94)의 광은 기판(41)을 통과한다. 편광상태(97)의 광은 복굴절 렌즈(42)의 복굴절 광축(96) 상으로 입사된다. 예를 들면, 복굴절 렌즈의 배열은 평행하지 않으므로 기판(56)에서의 배열방향(98)이 형성되고 기판(56)에서의 편광 방향(99)이 형성된다. 1/4 파장판(84)의 광축 방향(100)은 방향(98)으로부터 45도 정도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광축 방향(100)은 1/4 파장판에 근접한 표면상의 복굴절 렌즈(98) 내의 복굴절 물질이 배열된다. 1/4 파장판은 실질적으로 원편광 상태(101)를 발생시킨다. 상기 광은 픽셀층(50)으로부터 원편광 상태(102)를 갖으면서 반사되고, 편광 상태의 출력(104)을 제공하기 위하여 1/4 파 장판 축(100)을 보인다. 따라서 1/4 파장판은 반사 경로 상에서 방향(99)에 대하여 90도 방향으로 편광된 광을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 편광 상태(106,108)는 렌즈에서 복굴절 광축(96, 98)과 직교한다. 편광 스위치에서, 편광 상태는 회전하지 않고 따라서 편광 상태O(110)는 기판(64)을 통과하고 편광자(66)로 입사되어 실질적으로 흡수된다.
픽셀층(50)의 전극들로부터 반사되면서, 위상 변이가 발생한다. 그리고나서, 광은 파장판(84)을 거쳐 역으로 통과되어 입력에 대하여 직교하는 선형 편광을 생성하고, 이 결과 렌즈 표면에서는 위상 변화가 발생한다. 상기 편광 상태의 광은 회전자(58-62)에 의하여 다시 회전하게 되고 입력 편광자(66)에 의하여 소멸되게 된다. 스위치 상태에서는, 동일한 위상 전이가 반사판에서 발생되고, 이 결과 반사광은 1/4 파장판 및 편광자의 조합에 의하여 다시 취소되게 된다. 따라서, 휘도 강화 전환 또는 무안경 디스플레이 기능(오토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 기능; autostereoscopic display)은 유지하면서, 반사판으로부터의 정면 반사광은 취소된다.
이와 같은 외부 편광자의 도입은 유리한 면이 있다. 즉, 외부 포위 광 하에서 렌즈의 선명도(visibility)는 감소된다. 표시영역의 정면으로 입사된 외부 광원은 내부 편광자를 통과하고, 상기 광은 렌즈에서는 프레넬(fresnel) 반사를 하게 되고 다른 표면에서는 위상변화(예를 들면, ITO와 같은 반사막으로부터의 위상변화)를 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광은 출력 편광자를 통하여 되돌아 온다. 따라서, 외부 편광자는 각 방향으로 통과하는 부분 광들을 흡수하고, 따라서 렌즈 반사 를 감소시킨다. 이것은 표시 콘트라스트를 유리하게 증가시킨다.
강화 휘도 모드에서의 표시 장치의 가시도, 또는 3D 모드에서의 소정의 시야 거리는 픽셀과 렌즈 층의 이격도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픽셀층 및 렌즈층 사이에 추가된 추가 막들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4 파장판은 도포된, 또는 배향된 경화성 액정과 같이 얇은 파장판일 수 있다. 이러한 경화성 액정의 예로서는 RM257(Merck사 제조)을 들 수 있다. 상기 경화성 액정은 적절한 배향막 상에서 배향되어 UV경화 될 수 있다. 이러한 1/4 파장판 막은 두께가 2㎛ 미만인 것이 대표적이다. 해당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다중막은 1/4 파장판의 분광 효능(spectral efficacy)을 증가시킬 수 있다.
기판(56)은, 예를 들면 마이크로 시트 박막(Schott A.G)일 수 있고, 렌즈(42) 내에 경화된 액정 물질을 사용하게 되면 제거되어 질 수도 있다. 에워싸인 막인 대응 기판(52)의 구조적 안정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OEL 소자는 렌즈들과 함께 조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립 과정이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제 1 표면에 ITO 층을 갖는 기판(41)은 등방성 렌즈 구조(40)를 갖는다. 상기 등방성 렌즈 구조(40)는 UV코팅 또는 엠보싱 방식 등의 공지의 수단에 의하여 제 2 표면에 형성된다. 상기 표면은 폴리이미드 등의 배향막으로 코팅되거나, 회절성 배향막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회절 막 구조는 표면 릴리프 구조를 엠보싱하기 위한 방식으로 형성되므로 한번의 엠보싱 단계를 필요로 한다.
도 7b는 렌즈(40)의 표면에 형성된 경화성 액정 물질층(42)을 도시한 단면도 이다. 상기 렌즈 표면의 배향은 등방성 렌즈 상의 배향막에 의하여 고정된다. 반대 면의 배향은 제 2 기판(미도시) 상의 배향막에 의하여 고정되거나, 메움 부재(plain shim)상의 회절 구조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반대 면의 배향은 액정 물질의 완화된 배향 상태일 수 있다(예를 들어, 물질 내에 고정되지 않은 무배향). 만약, 제 2 기판이 사용되면, 장치의 전체적인 두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렌즈가 고화(solidification)된 이후에 상기 고정수단들은 제거될 수 있다.
도 7c는 파장판의 부착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파장판은 경화형 액정 고분자 등의 도포된 파장판일 수도 있고, 엷은 적층 막일수도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파장판은 대응기판(52)에 부착될 수도 있다.
도 7d는 디스플레이 대응기판(52)에 부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복합 대응기판은 이어서 OEL 발광 기판에 부착되어 도 7e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캡슐구조를 형성한다. 컬러필터가 대응기판에 적용될 경우에는 상기 컬러필터들은 평면 유리(52) 또는 조립된 복합 기판에 적용되어 진다.
도 7f는 조립장치에 스위치 셀을 최종적으로 설치하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편광 회전자 및 수동 복굴절 렌즈는 도 8의 단면상에 보여지는 능동 렌즈로 대체될 수도 있다. 발광 픽셀층(50)은 1/4 파장판(84)을 통하여 광을 제공하여 상기 광을 투명전극(92, 94)을 포함하는 능동 렌즈 및 액정층(88)에 광을 전송한다. 표면 릴리프 렌즈(90)는 액정(88)의 정상 굴절률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다. 제 1 동작 모드에서, 전기장은 셀에 인가 되지 않고, 상기 렌즈는 렌즈 표면에서 위상 단계가 발생되지 않도록 배열된다. 따라서 렌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는 시각창(viewing windows)을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반면에 제 2 동작 모드에서는, 전기장이 전극들(92, 94) 사이에 인가되고 이 결과 액정물질(88)이 재배열되어 렌즈표면에서 굴절률 조화(index match)가 발생된다. 주위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은 전술한 바와 같이, 1/4 파장판 및 편광자(66)의 조합에 의하여 소멸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장치들은 다음과 같은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첫째, 오토스테레오스코픽(무안경 방식) 표시 수단에 사용 되어질 수 있다. 상기 오토스테레오스코픽 표시 수단은 풀 컬러 3D 입체 동영상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입체 동영상은 일 작동 모드 하에서는 육안으로 보여질 수 있다. 또 다른 작동 모드 하에서는 풀 해상도(full resolution)의 2D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둘째, 고휘도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일 작동 모드 하에서는 무-방향성 휘도 성능을 나타내고, 또 다른 작동 모드 하에서는 방향성 휘도 성능을 나타낸다.
셋째, 다중 관측자용 표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다중 관측자용 표시 수단은 일 작동 모드 하에서, 일 관측자에 대해서는 풀 컬러의 제 1 2D 영상을 제공하고, 또 다른 관측자에 대해서는 제 2 2D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작동 모드 하에서는, 모든 관측자들에게 동일한 2D 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강화된 휘도 성능을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에 적용함으로써, 표시장치의 수명이 증가될 수 있다. 휘도 강화로 인하여 표시 픽셀의 전기 구동 부하(load)를 감소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휘도 레벨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픽셀들의 전기적 구동 부하를 감소시키게 되면,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재료들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단독으로 또는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발광 표시소자를 사용하는 모드 가변성 방향성 표시장치는 고효율의 광학적 효과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고해상도, 고휘도의 2D 모드 및 고휘도의 3D 모드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표준 휘도의 2D 모드, 강화 휘도의 2D 모드 사이에서 효율적 및 선택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또한, 효과적으로 광 개구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D 모드의 광 혼선(optical cross talk)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발광형 표시소자를 사용하므로 제조시 백라이트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표시장치의 박형화가 가능하다. 각 구성요소들이 종래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표시장치는 광범위한 작동 환경에서 다양하게 작동 될 수 있다.

Claims (8)

  1. 각각의 픽셀이 불규칙한 편광을 출력하기 위하여 배열된 픽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발광형 공간 광 변조부;
    상기 공간 광 변조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수용하여,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의 제 1 작동 모드에서는 상기 공간 광 변조부로부터 출사된 광 중 제1 편광이 제1 방향 분포를 갖도록 상기 제1 편광을 투과시키고, 2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상기 표시장치의 제 2 작동 모드에서는 상기 공간 광 변조부로부터 출사된 광 중 상기 제1 편광과 수직한 방향으로 편광된 제2 편광이 상기 제1 방향 분포와 다른 제2 방향 분포를 갖도록 상기 제2 편광을 투과시키는 복굴절 렌즈;
    상기 공간 광 변조부와 상기 복굴절 렌즈 사이에 배치된 1/4 파장판;
    상기 복굴절 렌즈를 기준으로 상기 1/4 파장판의 반대측에 배치된 선형 편광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 렌즈는 상기 제1 편광이 상기 제 1 방향 분포를 갖도록 상기 제1 편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제2 편광이 상기 제 2 방향 분포를 갖도록 상기 제2 편광을 투과시키는 수동 복굴절 렌즈이고,
    상기 표시장치는 상기 복굴절 렌즈와 상기 선형 편광자 사이에 배치된 모드 변환용 편광 회전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드 변환용 편광 회전자는 상기 제1 작동 모드에서 상기 제1 편광이 상기 선형 편광자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편광의 편광 상태를 변환하고,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제2 편광이 상기 선형 편광자를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편광의 편광 상태를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굴절 렌즈는 상기 제1 작동 모드와 상기 제2 작동 모드 사이를 변환할 수 있는 능동 복굴절 렌즈이고,
    상기 능동 복굴절 렌즈는 상기 제1 작동 모드에서 상기 제1 편광이 상기 선형 편광자를 통과할 수 있는 편광 상태를 갖도록 상기 제1 편광의 편광 상태를 변환하고,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제2 편광이 상기 선형 편광자를 통과할 수 있는 편광 상태를 갖도록 상기 제2 편광의 편광 상태를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광 변조부는 유기 전계 발광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삭제
  6. 각각의 픽셀이 불규칙한 편광을 출력하기 위하여 배열된 픽셀 어레이를 포함하는 발광형 공간 광 변조부;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제1 작동 모드 및 2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제2 작동 모드를 상호 변환할 수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작동 모드에 각각 대응하는 편광들을 투과시키는 모드 변환용 편광자; 및
    상기 공간 광 변조부로부터 출사된 광을 수용하여, 상기 공간 광 변조부로부터 출사된 광 중 제1 편광이 제1 방향 분포를 갖도록 상기 제1 편광을 투과시키고, 상기 공간 광 변조부로부터 출사된 광 중 제2 편광이 상기 제1 방향 분포와 다른 제2 방향 분포를 갖도록 상기 제2 편광을 투과시키는 복굴절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복굴절 렌즈와 상기 모드 변환용 편광자는 연속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 분포는 입력 광 분포와 동일하여 상기 복굴절 렌즈는 광학기능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삭제
KR1020057014446A 2003-02-05 2004-02-04 가변 표시 장치 KR100993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302659.8 2003-02-05
GB0302659A GB0302659D0 (en) 2003-02-05 2003-02-05 Display apparatus
GB0316223A GB2403813A (en) 2003-07-10 2003-07-10 Display apparatus
GB0316223.7 2003-07-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626A KR20050110626A (ko) 2005-11-23
KR100993240B1 true KR100993240B1 (ko) 2010-11-10

Family

ID=32852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4446A KR100993240B1 (ko) 2003-02-05 2004-02-04 가변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66485B2 (ko)
EP (1) EP1590699B1 (ko)
JP (1) JP4410244B2 (ko)
KR (1) KR100993240B1 (ko)
DE (1) DE602004003474T2 (ko)
WO (1) WO20040704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03814A (en) * 2003-07-10 2005-01-12 Ocuity Ltd Directional display apparatus with birefringent lens structure
EP1815288B1 (en) * 2004-11-18 2009-08-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wo and three dimensional view display
GB0500420D0 (en) 2005-01-10 2005-02-16 Ocuity Ltd Display apparatus
JP4334495B2 (ja) * 2005-03-29 2009-09-30 株式会社東芝 立体画像表示装置
KR20060130887A (ko) * 2005-06-09 2006-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투사형 3차원 영상을 위한 스크린 및 프로젝션 시스템
TW200718173A (en) * 2005-07-14 2007-05-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KR101128519B1 (ko) * 2005-08-04 2012-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해상도 오토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
TW200720703A (en) 2005-09-09 2007-06-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Lenticular device for an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WO2007039846A2 (en) 2005-10-05 2007-04-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figurable multi-view display device
EP1966643B1 (en) * 2005-12-20 2011-03-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witchable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CN101346674B (zh) * 2005-12-22 2012-06-27 视瑞尔技术公司 全息再现场景中不均匀亮度感知补偿的方法
EP1994767B1 (en) * 2006-03-03 2011-02-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ing controllable liquid crystal lens array for 3d/2d mode switching
KR101255209B1 (ko) * 2006-05-04 2013-04-23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레이스 방식으로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고해상도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US20110090413A1 (en) * 2006-08-18 2011-04-2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3-dimensional image display
WO2008023285A1 (en) 2006-08-24 2008-02-2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urvature reduction for switchable liquid crystal lens array
CN101170709B (zh) * 2006-10-23 2010-12-01 奇美电子股份有限公司 控制显示面板的多数个显示区域的方法及显示器
KR100777747B1 (ko) * 2006-12-12 2007-11-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자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ATE471529T1 (de) * 2006-12-19 2010-07-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utostereoskopische anzeigeeinrichtung und system damit
EP2095158A1 (en) * 2006-12-19 2009-09-0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lens structure for a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KR101350475B1 (ko) * 2007-04-12 2014-01-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고효율 2차원/3차원 겸용 영상 표시장치
GB2457691A (en) 2008-02-21 2009-08-26 Sharp Kk Display with regions simultaneously operable in different viewing modes
CN102549483B (zh) * 2009-08-07 2016-05-18 瑞尔D股份有限公司 具有被更新的消隐间隔的立体平板显示器
EP2494407A1 (en) * 2009-10-30 2012-09-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djuster for adjusting the direction of a light beam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such adjuster
KR20130080017A (ko) 2010-05-21 2013-07-1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멀티-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TWI424230B (zh) * 2010-11-15 2014-01-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立體顯示裝置及其製作方法
WO2012083525A1 (zh) * 2010-12-21 2012-06-28 海尔集团公司 图像投影装置
WO2012090785A1 (ja) * 2010-12-27 2012-07-05 Dic株式会社 立体画像表示装置用複屈折レンズ材料、及び、立体画像表示装置用複屈折レンズの製造方法
TWI435119B (zh) * 2011-03-03 2014-04-21 Futis Internat Ltd 微結構光相位膜及柱狀透鏡
MX2013012069A (es) 2011-04-19 2014-01-20 Koninkl Philips Nv Panel de salida de luz y dispositivo con el mismo.
DE102011056836B4 (de) * 2011-06-22 2020-12-24 Lg Display Co., Ltd. Organische lichtemittierende Anzeigevorrichtung
TW201305624A (zh) * 2011-07-27 2013-02-01 Hon Hai Prec Ind Co Ltd 導光板修復方法
KR101851627B1 (ko) * 2011-08-20 2018-06-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렌티큘러 어레이방식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1852194B1 (ko) * 2011-09-16 2018-04-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영상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928969B2 (en) 2011-12-06 2015-01-06 Ostendo Technologies, Inc. Spatio-optical directional light modulator
US8854724B2 (en) * 2012-03-27 2014-10-07 Ostendo Technologies, Inc. Spatio-temporal directional light modulator
KR101876558B1 (ko) * 2011-12-08 2018-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무안경 방식의 2차원/3차원 영상 표시장치
US9179126B2 (en) 2012-06-01 2015-11-03 Ostendo Technologies, Inc. Spatio-temporal light field cameras
WO2014060983A1 (en) 2012-10-18 2014-04-24 Koninklijke Philips N.V. Arrangement for an analysis system, analysis system having the arrangement and method for use of the arrangement
KR101975570B1 (ko) 2012-11-06 2019-08-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그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4854489B (zh) * 2012-12-14 2019-09-17 默克专利股份有限公司 双折射rm透镜
JP6013176B2 (ja) * 2012-12-27 2016-10-25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3dディスプレイおよびディスプレイの駆動方法
WO2014144989A1 (en) 2013-03-15 2014-09-18 Ostendo Technologies, Inc. 3d light field displays and methods with improved viewing angle depth and resolution
EP2887411A1 (en) 2013-12-23 2015-06-24 Nederlandse Organisatie voor toegepast- natuurwetenschappelijk onderzoek TNO Photoactive birefringent materials in OLEDs
KR102210375B1 (ko) * 2014-07-11 2021-02-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표시장치
US10082675B2 (en) 2014-10-21 2018-09-25 Reald Inc. High power handling polarization switches
KR102533793B1 (ko) 2014-10-21 2023-05-18 리얼디 인크. 고 출력 취급 편광 스위치
US11119353B2 (en) * 2017-06-01 2021-09-14 E-Vision Smart Optics, Inc. Switchable micro-lens array for augmented reality and mixed reality
KR102501203B1 (ko) * 2017-09-08 2023-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투명 패널 및 그 디스플레이 시스템
GB201810565D0 (en) 2018-06-27 2018-08-15 Univ Leeds Innovation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optical elements
TWI812011B (zh) * 2022-02-16 2023-08-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9650A (en) 1996-11-14 2000-05-30 U.S. Philips Corporation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US6304381B1 (en) 1999-02-17 2001-10-16 Minolta Co., Ltd. Illumination optical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0715A (ja) 1985-01-09 1986-07-21 Canon Inc 焦点距離可変レンズ
JPH01277203A (ja) * 1988-04-28 1989-11-07 Seiko Epson Corp 偏光素子
US5175651A (en) * 1989-03-17 1992-12-29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Of Michigan Multi-focus system for a low light level vision apparatus
EP0918248A3 (en) * 1993-04-07 1999-06-30 Ttp Group Plc Switchable lens
GB2293021A (en) * 1994-09-09 1996-03-13 Sharp Kk Polarisation dependent refractive device
US5537256A (en) * 1994-10-25 1996-07-16 Fergason; James L. Electronic dithering system using birefrigence for optical displays and method
US5666174A (en) * 1995-08-11 1997-09-09 Cupolo, Iii; Anthony M. Emissive liquid crystal display with liquid crystal between radiation source and phosphor layer
GB2354899A (en) 1999-10-02 2001-04-04 Sharp Kk Optical device for projection display
DE10025226A1 (de) * 2000-05-22 2001-11-29 4D Vision Gmbh Verfahren zur Erweiterung von auf Linsen oder Lentikularen basierenden autostereoskopischen Anordnungen zur Gewährleistung einer Umschaltung zwischen 2D- und 3D-Modus
GB0119176D0 (en) 2001-08-06 2001-09-26 Ocuity Ltd Optical switch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9650A (en) 1996-11-14 2000-05-30 U.S. Philips Corporation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US6304381B1 (en) 1999-02-17 2001-10-16 Minolta Co., Ltd. Illumination optical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66485B2 (en) 2008-12-16
WO2004070451A1 (en) 2004-08-19
JP4410244B2 (ja) 2010-02-03
EP1590699B1 (en) 2006-11-29
DE602004003474T2 (de) 2007-09-13
EP1590699A1 (en) 2005-11-02
JP2006520919A (ja) 2006-09-14
KR20050110626A (ko) 2005-11-23
DE602004003474D1 (de) 2007-01-11
US20060098285A1 (en)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240B1 (ko) 가변 표시 장치
CN112639592B (zh) 用于防窥显示器的光学堆叠
JP4944235B2 (ja) 切り替え可能な複屈折レンズアレイ及びこ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4654183B2 (ja) レンズアレイ構造
US7426068B2 (en) Display apparatus
JP2004538529A5 (ko)
JPH10153771A (ja) 液晶表示装置
CN100360987C (zh) 可切换显示设备
GB2314167A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polarized spectacles
GB2403813A (en) Display apparatus
JP2013054321A (ja) 液晶表示装置及び光制御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