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6558B1 - 무안경 방식의 2차원/3차원 영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무안경 방식의 2차원/3차원 영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6558B1
KR101876558B1 KR1020110130900A KR20110130900A KR101876558B1 KR 101876558 B1 KR101876558 B1 KR 101876558B1 KR 1020110130900 A KR1020110130900 A KR 1020110130900A KR 20110130900 A KR20110130900 A KR 20110130900A KR 101876558 B1 KR101876558 B1 KR 101876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image
lens
light
polar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0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4333A (ko
Inventor
박형주
이동훈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0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6558B1/ko
Publication of KR20130064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4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6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6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2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 G02B30/25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stereoscopic type using polaris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2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 G02B30/27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of the autostereoscopic type involving lenticular arr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16Polarising elements involving passive liquid cryst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 G02F1/139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 G02F1/139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e.g. field-induced phase transition, orientation effect, guest-host interaction or dynamic scattering based on orientation effects in which the liquid crystal remains transparent the liquid crystal being selectively controlled between a twisted state and a non-twisted state, e.g. TN-LC ce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방향으로 선편광된 빛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제1 방향의 빛을 이와 직교하는 제2 방향의 선편광된 빛으로 선택적으로 바꾸는 편광자와, 장축과 단축 방향에 따라 굴절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셀을 이용해서 상기 편광자에서 공급되는 선편광된 빛을 굴절시키거나 그대로 투과시켜 2D 영상 및 3D 영상을 구현하는 액정렌즈를 포함하는 무안경방식의 2D/3D 영상표시 장치.

Description

무안경 방식의 2차원/3차원 영상 표시장치{2-Dimensional and 3-Dimensional Display Device without glasses}
본 발명은 무안경 방식으로 2차원 영상 및 3차원 영상을 표시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양안시차방식(stereoscopic technique) 또는 복합시차지각방식(autostereoscopic technique)을 이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한다. 양안시차방식은 입체 효과가 큰 좌우 눈의 시차 영상을 이용하며, 안경방식과 무안경방식으로 나뉘어질 수 있다. 안경방식은 직시형 표시소자나 프로젝터에 좌우 시차 영상의 편광 방향을 바꿔서 또는 시분할 방식으로 표시하고, 편광 안경 또는 액정셔터 안경을 사용하여 입체영상을 구현한다. 무안경 방식은 일반적으로 좌우 시차 영상의 광축을 분리하기 위한 패럴렉스 베리어, 렌티큘러 렌즈 등의 광학 부품을 표시 화면의 앞에 또는 뒤에 설치하여 입체영상을 구현한다.
무안경 방식의 일 예로, 렌티큘러 렌즈를 사용하는 방법은 렌티큘러 렌즈로 우안화상과 좌안화상을 분리하여 3차원 입체영상을 구현한다. 이러한 렌티큘러 렌즈를 사용하는 방법은 렌트큘라 렌즈의 광 분리를 온/오프할 수 없으므로 3차원 입체영상만 구현할 수 있고 3차원 입체영상과 2차원 평면영상의 전환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렌티큘러 렌즈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액정의 굴절율을 전기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렌티큘러 렌즈를 구현하여 3D/2D 영상의 절환이 가능한 렌티큘러 렌즈(이하, "액정 렌티큘러 렌즈"라 함)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액정 렌티큘러 렌즈(30)는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장치(31)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액정 렌티큘러 렌즈(30)는 도 1과 같이 액정분자들(34)이 수평 배향된 3D 영상모드에서 표시장치(31)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굴절시켜 우안화상에 해당하는 빛의 진행경로와 좌안화상에 해당하는 빛의 진행경로를 분리시킨다. 액정 렌티큘러 렌즈(30)의 액정분자들에 전계가 인가되는 2D 영상모드에서, 도 2와 같이 액정분자들(34)이 구동되어 액정분자들(34)이 세워지게 된다. 그 결과, 액정분자들(34)과 투명수지(35) 사이의 굴절율차가 거의 없어지게 되어 표시장치(31)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액정 렌티큘러 렌즈(30)를 그대로 통과한다.
이러한 액정 렌티큘러 렌즈(30)는 액정분자들(34)의 배열 방향을 2D 영상 및 3D 영상에 맞춰 조절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음각패턴(35a)과 투명전극(32) 상에 배향막을 형성하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하부 배향막(33)의 경우에는 평탄한 면 상에 형성됨으로 형성에 문제가 없지만, 오목하게 파여진 음각패턴(35a)의 곡면 형상으로 상판에 배향막을 균일한 두께로 형성하기가 어렵고, 상판에 배향막을 형성한다 하더라도 그 배향막에 대한 접촉식 러빙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기가 어렵다. 따라서, 액정 렌티큘러 렌즈에는 하판(40) 상에만 배향막이 형성되고 있기 때문에 액정 분자들의 스위칭 속도가 느리고 액정분자들이 균일하게 스위칭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렌티큘러 렌즈의 액정은 그 배열방향을 조절할 필요가 없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무안경 방식 2D/3D 영상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 방향으로 선편광된 빛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제1 방향의 빛을 이와 직교하는 제2 방향의 선편광된 빛으로 선택적으로 바꾸는 편광자와, 장축과 단축 방향에 따라 굴절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셀을 이용해서 상기 편광자에서 공급되는 선편광된 빛을 굴절시키거나 그대로 투과시켜 2D 영상 및 3D 영상을 구현하는 액정렌즈를 포함하는 무안경방식의 2D/3D 영상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표시패널은TN 모드로 동작하는 액정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TN모드로 동작하는 액정의 유전율 이방성에 따라 상기 제2 방향의 선평광된 빛을 상기 제1 방향의 선편광된 빛으로 편광시키거나, 그대로 투과시키는 액정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편광자는 패러데이 효과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선편광된 빛을 상기 제2 방향으로 선편광시키거나, 그대로 투과시키는 패러데이 회전자를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러데이 회전자는, 페러데이 효과를 나타내는 자성체로 이뤄진 자성체 박막과, 상기 자성체 박막의 양 편에서 상기 자성체 박막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서로 반대 방향의 전류를 공급하는 제1 전기배선 및 제2 전개배선을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액정렌즈는, 광경화성 액정의 장축 방향을 상기 제2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해 경화시킨 제1 렌즈층과, 볼록렌즈면을 경계면으로 상기 제1 렌즈층 위에 상기 액정의 단축 방향 굴절율과 동일한 굴절율을 갖는 제2 렌즈층을 포함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종전 액정 렌티큘러 렌즈를 구성하는 액정 분자들의 배열 방향을 영상에 맞춰 조절할 필요가 없고, 선편광된 빛의 편광축에 따라서 2D 영상 및 3D 영상을 구현하고 있다. 따라서, 종전과 같이 곡면에 배향막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고, 또한 액정 분자들의 반응속도나 균일하게 스위칭시켜야 하는 등의 문제 역시 해결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액정 렌티큘러 렌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방식 2D/3D 영상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 중 액정분자들로 구성된 편광자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3 중 페러데이 회전자로 구성된 편광자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3 중 액정렌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방식 2D/3D 영상 표시장치를 통해서 2D 영상 및 3D 영상이 표시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안경 방식 2D/3D 영상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준다.
도 3에서, 이 실시예의 영상표시 장치는, 표시패널(100), 편광자(200), 액정렌즈(300)를 포함해서 구성되며, 이들이 빛의 진행 경로상에서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표시패널(100)은 2D 영상과 3D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소자로서, 액정표시소자(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소자(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무기 전계발광소자와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포함한 전계발광소자(Electroluminescence Device, EL), 전기영동 표시소자(Electrophoresis, EPD) 등의 평판 표시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표시패널(100)은 액정표시소자의 표시패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패널(100)은 화소 어레이가 형성되어 있는 TFT기판과 컬러를 구현하는 컬러필터 기판이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협지된 구조를 이룬다. 이 표시패널(100) 중 TFT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의 표면에는 광흡수축이 90°를 이루는 편광판이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평방향 또는 수직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표시패널(100)로 입사된 빛은 입사된 빛의 광 흡수측과 90°를 이루는 방향으로 선편광되어 표시패널(100) 밖으로 나온다.
편광자(200)는 표시패널(100) 앞에 배치되며, 표시패널(100)에서 공급되는 빛을 그대로 투과시키거나 90°만큼 선편광시켜 위쪽에 배치된 액정렌즈(300)로 공급한다. 이 편광자(200)는 일 예로, TN 모드로 동작하는 액정층을 갖는 액정패널이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고, VA 모드, IPS 모드, FFS 모드와 같이 구동하는 액정패널 역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 편광자(200)는 패러데이 회전자로 구성된 패널일 수도 있다. 패러데이 회전자는 패레데이 효과에 따라 입사된 빛을 편광시키는 물질을 말하며,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액정렌즈(300)는 편광자(200) 앞에 배치되며, 편광자(200)로부터 입사된 빛의 편광 방향에 따라, 빛을 그대로 투과시켜 2D 영상을 표시하거나, 우안영상에 해당하는 빛과 좌안영상에 해당하는 빛의 진행경로를 분리시켜 3D 영상을 표시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로 편광자(200) 및 액정렌즈(300)의 구성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TN 모드로 동작하는 액정패널로 구성된 편광자(200)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에서, 편광자(200)는 하부기판(210)과 상부기판(220) 사이에 액정층(250)이 협지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하부기판(210)과 상부기판(220) 각각은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이뤄져 있다. 그리고, 하부기판(210)과 상부기판(220)의 표면 각각에는 하부전극(210)과 상부전극(220)이 기판(210, 220)의 표면 전체에 형성돼 있으며, ITO, IZO와 같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로 이뤄져 있다.
그리고, 이 두 전극(210, 220) 사이에 액정층(250)이 배치되어 있다. 액정층(250)을 이루는 액정분자들은 포지티브 액정(Positive Liquid Crystal)들로 이뤄져 있다. 포지티브 액정은 액정분자의 장축방향 유전율(ε∥)이 단축 방향 유전율(ε┴)보다 큰 Δε>0으로 정의되는 액정이다. 이 액정들은 도시되지 않은 상부 및 하부 배향막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프리틸트(pre-tilt)되어 있다. TN 모드에서 이 액정들은 전계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입사된 빛의 수직방향(ⓧ) 선평광을 90°만큼 회전시켜 수평방향(↔) 선편광으로 변화시키도록 배열되어 있고(도 5a), 전계가 인가되면 빛을 그대로 투과시키도록 배열된다(도 5b). 이에 따라, 도 5a에서 예시하는 바처럼, 전계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편광자(200)는 수직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빛을 수평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빛으로 선편광시켜서 투과한다. 그리고, 도 5b에서 예시하는 바처럼, 전계가 인가된 상태에서, 편광자(200)는 수직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빛을 그대로 투과시켜 투과된 빛의 편광축 역시 수직 방향을 이룬다.
도 6은 페러데이 회전자로 이뤄진 편광자(200a)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에서, 편광자(200a)는 하부기판(210a)과 상부기판(220a) 사이에 패러데이 회전자(FS1~FS3)가 협지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하부기판(210)과 상부기판(220) 각각은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이뤄져 있다. 그리고, 하부기판(210)의 표면에는 자성체 박막(ML)과 이 자성체 박막(ML)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1 전기배선(EBL1)과 제2 전기배선(EBL2)으로 이뤄진 제1 내지 제3 패러데이 회전자(FS)들이 배치돼 있다. 이 실시예에서, 패러데이 회전자가 3개가 배치된 형태로 편광자(200a)가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표시패널(100)의 크기에 맞춰 적절한 개수로 조절될 수 있다.
자성체 박막(ML)은 페러데이 효과를 나타내는 자성체(예, garnet)를 투명한 수지에 분산시켜서 형성되며, 박막 두께를 가져 빛이 투과할 수가 있다. 이 자성체 박막은 하부기판(210a) 위에 일정한 폭을 갖고 띠 형태를 이루고 있다. 이 자기 박막(ML)의 양측에는 자기 박막(ML)과 나란하게 제1 전기배선(EBL1)과 제2 전기배선(EBL2)이 배치되어 있다. 이 전기 배선(EBL1, EBL2)은 전도성이 우수한 구리(Copper)나 알루미늄(Al)으로 이뤄진 박막으로 형성된다.
이처럼 구성된 패러데이 회전자(FS1~FS3)는 유전체로 이뤄진 유전체층(270a)에 덮어져 있다.
한편, 페러데이 효과는 물체에 걸린 자기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선편광된 빛이 입사되면, 물질을 통과하여 나오는 빛은 통과한 거리에 비례하여 회전되어 나오는데, 주어진 거리에서 그 각은 자기장의 크기에 비례하는 현상을 말하며,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θ=VB의 관계를 만족하며, θ=회전된 각도, V=통과한 거리, B=자기장의 세기를 의미한다.
도 7은 이 같은 페러데이 효과에 의해서 선편광된 빛이 상술한 구조의 페러데이 회전자를 투과하면서 편광되는 원리를 설명한다. 이 도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선편광된 빛이 페러데이 회전자를 투과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7에서, 제1 전기배선(EBL1)에, +z 축 방향(⊙)으로 전류를 흐르게 하면, 제1 전기배선(EBL1) 주변에 제1 유도 자기장(B1)이 형성된다. 이 제1 유도 자기장(B1)의 방향은 플레밍 오른손 법칙에 의해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동시에, 제2 전기배선(EBL2)에는 반대 방향인 -z 방향(ⓧ) 전류를 흐르게 하면, 제2 전기배선(EBL2) 주변에는 제2 유도 자기장(B2)이 형성된다. 이 제2 유도 자기장(B2)의 방향은 플레밍 오른손 법칙에 따라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도 7과 같이 전류를 제1 전기배선(EBL1)과 제2 전기배선(EBL2)에 각각 공급하면, 자성체 박막(ML) 전체에는 양 측변에서 서로 반대방향(anti-parallel)으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y축 방향으로 흐르는 수직 자기장(BP)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직 자기장(BP)의 방향과 선편광된 빛의 진행방향은 서로 동일하게 됨으로, 페러데이 효과에 따라 페러데이 회전자를 투과하면서 편광축이 회전해 수직방향(ⓧ) 선편광이 수평방향(↔) 선편광으로 바뀌게 된다.
이하, 도 8을 참조로 액정렌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서, 액정렌즈(300)는 두 기판(310, 32) 사이에 제1 렌즈층(330)과 제2 렌즈층(340)으로 이뤄진 액정셀(LCC)을 협지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하부기판(310)과 상부기판(320) 각각은 유리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이뤄져 있다.
하부기판(310) 위로는 볼록렌즈면(330a)을 갖는 제1 렌즈층(330)이 형성돼 있다. 이 제1 렌즈층(330)은 광경화성 액정을 수평방향으로 배향한 상태에서 경화시켜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제1 렌즈층(330)을 이루고 있는 액정들은 층에 상관없이 모든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배향된 형태를 영구적으로 유지한다. 광경화성의 반응성 모노모(reactive monomor) 또는 반응성 메조겐(reactive mesogen)은 편광된 UV를 조사하게 되면, 이중 광경화성 액정은 UV의 편광된 빛에 맞춰 초기 배향된 상태를 유지한 채 경화돼, 제1 렌즈층(330)을 구성한다.
이처럼 구성된 제1 렌즈층(330)의 액정의 굴절율 이방성 때문에 방향에 따라 제1 굴절율(ne)과 제2 굴절율(no)을 나타낸다. 액정은 장축 방향에서 제1 굴절율(ne)을 나타내지만 단축방향에서는 제1 굴절율(ne)보다 작은 제2 굴절율(no)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1 렌즈층(330)을 이루고 있는 액정은 수평 방향(도면의 x축 방향), 즉 액정의 장축방향과 도면의 x축 방향이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렌즈층(330)은 수평 방향(도면의 x축 방향)에서 제1 굴절율(ne)을 나타낸다. 이와 비교해서, 도면의z축 방향은 액정의 단축이 배열된 방향과 동일하므로, 이 방향(도면의 z축 방향)에서는 제2 굴절율(no)을 나타낸다.
이처럼 구성된 제1 렌즈층(330) 위로는 볼록렌즈면(330a)을 덮고 있는 제2 렌즈층(340)이 형성돼 있다. 이 제2 렌즈층(340)은 투명한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액정의 단축방향 굴절율과 동일한 제2 굴절율(no)을 갖는다.
이하, 도 9 및 도 10을 참조로 이처럼 구성된 2D/3D 영상표시 장치에서 2D 영상 및 3D 영상이 표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9에서, 하나의 렌즈에 대해 3개의 픽셀(px1~px3)이 대응하고, 편광자(200)는 페러데이 회전자(FS)를 협지해 구성한 것으로 설명한다.
자계가 형성되는 3D 영상 모드에서, 표시패널(100)은 수직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빛을 편광자(200)로 공급한다. 자계가 형성된 상태에서, 즉 패러데이 회전자의 제1 전기배선(EBL1)과 제2 전기배선EBL2)에 역방향의 전류를 공급하면, 페러데이 회전자는 빛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자기장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패러데이 효과에 의해, 수직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며 편광자(200)로 입사된 빛은 편광축이, 수직방향(ⓧ)에서 수평방향(↔)으로 바껴서 편광자(200)를 투과한다.
결과적으로, 액정렌즈(300)에는 수평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선편광된 빛이 공급된다. 한편, 액정렌즈(300)의 액정셀(LCC)은 액정이 수평방향으로 배향된 상태를 이루고 있어, 도 10에서 예시하는 바처럼 액정의 장축과 빛의 편광축이 수평방향(↔)으로 서로 동일하다. 이처럼, 빛의 편광축과 액정의 장축 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제1 렌즈층(330)은 제1 굴절율(ne)을 나타낸다.
이와 비교해서, 볼록렌즈면(330a)을 경계로 그 위에 배치된 제2 렌즈층(340)은 제2 굴절율(no)을 가지고 있어, 블록렌즈면(330a)에서 빛은 스넬의 법칙에 따라 굴절해 우안영상에 해당하는 빛의 진행경로와 좌안영상에 해당하는 빛의 진행경로로 나눠져 서로 다른 초점으로 수렴해, 3D 영상이 표시된다.
자계가 형성되지 않는 2D 영상 모드에서, 표시패널(100)은 수직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빛을 편광자(200)로 공급한다. 자계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즉 제1 전기배선(EBL1)과 제2 전기배선(EBL2)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으면, 페러데이 회전자는 공급된 빛을 그대로 투과시킨다. 따라서, 수직방향(ⓧ)의 편광축을 가지며 편광자(200)로 입사된 빛은 편광자(200)를 그대로 투과해 수직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빛으로 액정렌즈(300)에 공급된다.
한편, 액정렌즈(300)의 액정셀(LCC)은 액정이 수평방향으로 배향된 상태를 이루고 있어, 도 10에서 예시하는 바처럼 액정의 단축과 빛의 편광축이 수직방향(ⓧ)으로 서로 동일하다. 이처럼, 빛의 편광축과 액정의 단축 방향이 동일하기 때문에, 제1 렌즈층(330)은 제2 굴절율(no)을 나타낸다.
이와 비교해서, 볼록렌즈면(330a)을 경계로 그 위에 배치된 제2 렌즈층(340)은 제2 굴절율(no)을 가지고 있어, 제1 렌즈층(330)과 제2 렌즈층(340) 사이에 굴절율 차이가 없다. 따라서, 블록렌즈면(330a)에서 빛은 그대로 투과해 2D 영상이 표시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6)

  1. 제1 방향으로 선편광된 빛으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과,
    상기 제1 방향의 빛을 이와 직교하는 제2 방향의 선편광된 빛으로 선택적으로 바꾸는 패러데이 회전자를 포함하는 편광자와,
    장축과 단축 방향에 따라 굴절율 이방성을 갖는 액정셀을 이용해서 상기 편광자에서 공급되는 선편광된 빛을 굴절시키거나 그대로 투과시켜 2D 영상 및 3D 영상을 구현하는 액정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패러데이 회전자는,
    기판상에 일정한 폭을 갖고 띠 형태로 형성되는 자성체 박막; 및
    상기 자성체 박막의 양 편에 상기 자성체 박막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3D 영상 모드에서 서로 반대 방향의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자성체 박막에 수직 자기장을 형성하는 제1 전기배선 및 제2 전기배선을 포함하는 무안경방식의 2D/3D 영상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은 TN 모드로 동작하는 액정패널인 무안경방식의 2D/3D 영상표시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렌즈는, 광경화성 액정의 장축 방향을 상기 제2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향해 경화시킨 제1 렌즈층과,
    볼록렌즈면을 경계면으로 상기 제1 렌즈층 위에 상기 액정의 단축 방향 굴절율과 동일한 굴절율을 갖는 제2 렌즈층을 포함하는 무안경방식의 2D/3D 영상표시 장치.
KR1020110130900A 2011-12-08 2011-12-08 무안경 방식의 2차원/3차원 영상 표시장치 KR101876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900A KR101876558B1 (ko) 2011-12-08 2011-12-08 무안경 방식의 2차원/3차원 영상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0900A KR101876558B1 (ko) 2011-12-08 2011-12-08 무안경 방식의 2차원/3차원 영상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333A KR20130064333A (ko) 2013-06-18
KR101876558B1 true KR101876558B1 (ko) 2018-07-10

Family

ID=48861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0900A KR101876558B1 (ko) 2011-12-08 2011-12-08 무안경 방식의 2차원/3차원 영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65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1967A (ko) 2013-11-28 2015-06-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143373B1 (ko) 2013-12-11 2020-08-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위처블 렌즈 장치와 그를 이용한 2d/3d 영상 표시장치
KR102111044B1 (ko) 2013-12-20 2020-06-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환형 터치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193610B1 (ko) * 2013-12-24 2020-12-2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위처블 렌즈 장치와 그를 이용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KR20150092424A (ko) 2014-02-04 2015-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50093014A (ko) * 2014-02-06 2015-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TWI502222B (zh) * 2014-02-18 2015-10-01 Au Optronics Corp 可切換透鏡單元及其製造方法及包含其的可切換式平面立體顯示器
KR102303956B1 (ko) * 2014-09-30 2021-09-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위처블 편광렌즈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2d/3d 영상 표시장치
KR102367515B1 (ko) 2014-11-19 2022-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백라이트 유닛 제조방법
CN105068354A (zh) * 2015-08-11 2015-11-18 重庆卓美华视光电有限公司 裸眼3d显示装置
KR102457205B1 (ko) 2015-08-31 2022-10-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제어 패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입체 영상 표시 장치
CN105807471B (zh) * 2016-05-06 2019-03-19 南京大学 一种曲面液晶层像素结构的电子纸
CN106054415A (zh) * 2016-05-26 2016-10-26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透镜光栅、3d显示器及电子装置
CN105866865A (zh) 2016-05-27 2016-08-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
CN105824159B (zh) 2016-06-02 2020-04-0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辅助面板和显示装置
CN107247333B (zh) * 2017-06-26 2020-12-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可切换显示模式的显示系统
CN107643641A (zh) * 2017-10-31 2018-01-30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液晶透镜以及3d显示装置
CN108227227A (zh) * 2018-01-10 2018-06-29 宁波视睿迪光电有限公司 立体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CN109061884A (zh) * 2018-10-29 2018-12-21 北京枭龙科技有限公司 焦深可调的透视型近眼显示光学系统
KR102355017B1 (ko) 2021-08-23 2022-01-21 이민호 렌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780B1 (ko) * 1990-08-16 1992-08-17 제일약품 주식회사 신규한 퀴놀론 카르복실산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JP2002107684A (ja) * 2000-09-27 2002-04-10 Ricoh Co Ltd 表示装置
KR20050075778A (ko) * 2004-01-16 2005-07-22 하경수 광학 필터
JP2006520919A (ja) * 2003-02-05 2006-09-14 オキュイティ・リミテッド 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06780B1 (ko) * 1990-08-16 1992-08-17 제일약품 주식회사 신규한 퀴놀론 카르복실산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
JP2002107684A (ja) * 2000-09-27 2002-04-10 Ricoh Co Ltd 表示装置
JP2006520919A (ja) * 2003-02-05 2006-09-14 オキュイティ・リミテッド 表示装置
KR20050075778A (ko) * 2004-01-16 2005-07-22 하경수 광학 필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06-520919호(2006.09.14.) 1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4333A (ko) 201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6558B1 (ko) 무안경 방식의 2차원/3차원 영상 표시장치
KR102143373B1 (ko) 스위처블 렌즈 장치와 그를 이용한 2d/3d 영상 표시장치
KR100483352B1 (ko) 박판 편광판과 위상차판을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JP5750099B2 (ja) 自動立体視表示装置
KR20140023844A (ko) 입체영상 표시장치
KR20160092150A (ko) 표시 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 방법
US9497444B2 (en) Stereoscopic display device
WO2012048485A1 (zh) 2d/3d切换的液晶透镜组件及显示装置
KR101233895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857819B1 (ko) 액정 프리즘
US20140029087A1 (en) Switchable lens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2-dimensional and 3-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60091726A1 (en) Polarization control unit and 2d and 3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140015187A (ko) 스위처블 렌즈 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2d/3d 영상 표시장치
KR101440382B1 (ko) 하이브리드 액티브 리타더 패널 및 이를 구비하는 입체영상표시장치
KR102061234B1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위한 액정 렌즈 패널
KR20190040952A (ko) 액티브 리타더 역할을 하는 패널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입체 영상 구현 시스템
KR20160039101A (ko) 스위처블 편광렌즈 및 그 제조방법과, 그를 이용한 2d/3d 영상 표시장치
US20130120675A1 (en) Polarization assembly an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1961942B1 (ko) 편광제어 셀,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940763B1 (ko) 하이브리드 입체 영상 표시장치
KR101254655B1 (ko) 편광 소자를 내장한 입체 영상 표시장치
US9769464B2 (en) Image display device
US9256074B2 (en) Liquid crystal optical element and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KR102041152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702078B1 (ko) 3디 영상 구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