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610B1 - 스위처블 렌즈 장치와 그를 이용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처블 렌즈 장치와 그를 이용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610B1
KR102193610B1 KR1020130162272A KR20130162272A KR102193610B1 KR 102193610 B1 KR102193610 B1 KR 102193610B1 KR 1020130162272 A KR1020130162272 A KR 1020130162272A KR 20130162272 A KR20130162272 A KR 20130162272A KR 102193610 B1 KR102193610 B1 KR 102193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ens layer
refractive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2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4460A (ko
Inventor
박형주
전욱
이영복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2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610B1/ko
Publication of KR20150074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4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610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위처블 렌즈 장치는 제 1 필름; 상기 제 1 필름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 2 필름; 상기 제 1 필름에 부착되고, 볼록면들을 구비한 제 1 렌즈층; 상기 제 1 렌즈층의 볼록면들을 평탄화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볼록면에 대응하는 오목면들을 가지는 제 2 렌즈층; 및 상기 제 1 렌즈층 내부에 형성되는 충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위처블 렌즈 장치와 그를 이용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Switchable Lens Device, and Stereoscopic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위처블 렌즈 장치(Switchable Lens Device)와 그를 이용한 입체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비용저감 및 화상품질을 높일 수 있는 입체영상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더욱 실감나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영상을 표시하는 화소 수를 증가시킨 고해상도 영상표시장치 개발에서 나아가, 입체감을 가지는 영상을 보여줄 수 있는 3D 영상표시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3D 영상표시장치는 TV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의료영상, 게임, 광고, 교육, 군사 등 여러 분야로 적용분야를 넓혀가고 있다.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여러 종류가 있지만, 대표적으로사람의 양안에 시각 차이를 갖는 서로 다른 두 영상을 각각 보여줌으로써 입체감을 느끼게 하는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 방식이 있다. 양안시차 방식을 이용하면 사람은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통해 실제로 물체를 관찰할 때와 유사한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 즉, 입체영상은 사람의 두 눈이 약 65mm 정도 떨어져서 존재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양안시차를 이용하여 입체감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에 착안해 눈에 보이는 실제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두 눈에 입력할 수만 있다면 입체감은 쉽게 표현된다. 예컨대, 특성이 동일한 2대의 카메라를 양안 간격만큼 벌려 놓고 촬영한 후 왼쪽 카메라로 찍은 좌영상은 왼쪽 눈에만 보이게 하고, 오른쪽 카메라로 찍은 우영상은 오른쪽 눈에만 비춰줌으로써 입체감을 표현할 수 있는 것이다.
최근에는 안경을 사용하지 않는 무안경식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대한 기술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무안경식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패럴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 또는 렌티큘러렌즈(LenticularLens)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렌티큘러렌즈방식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좌우안용 이미지 정보가 담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및 상기 영상의 광경로를 변경하여 입체영상을 구현하는 렌티큘러렌즈필름을 포함한다. 이때, 표시장치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 CRT)이나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등의 평면영상을 표시하는 모든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능하며, 일례로 액정표시장치의 RGB 화소는 각각(RR,RL),(GR ,GL),(BR ,BL)과 같이 좌우안 용으로 구분되고, 렌티큘러렌즈필름은 통상 반원통 형상의 랜티큘러렌즈가 평면상에 규칙적으로 배열된 형태를 나타낸다. 그 결과 렌티큘러렌즈방식 무안경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표시장치로부터 출사된 빛이 렌티큘러렌즈필름의 작용에 의해 관찰자 좌우안에 각각 도달되고, 이를 통해 관찰자는 양안시차에 의한 입체영상을 인식하는 것을 원리로 한다.
본 발명은 2D 영상과 3D 영상을 모두 표시할 수 있는 스위처블 렌즈 장치와 그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제작 비용을 줄이고 및 화상품질을 높이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위처블 렌즈 장치는 제 1 필름; 상기 제 1 필름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 2 필름; 상기 제 1 필름에 부착되고, 볼록면들을 구비한 제 1 렌즈층; 상기 제 1 렌즈층의 볼록면들을 평탄화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볼록면에 대응하는 오목면들을 가지는 제 2 렌즈층;및 상기 제 1 렌즈층 내부에 형성되는 충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처블 렌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입체영상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상기 표시장치 상에 배치된 편광제어 유닛; 및 상기 편광 제어 유닛 상에 배치된 상기 스위처블 렌즈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편광 제어 유닛은 2D 모드시 상기 표시장치로부터의 빛을 그대로 투과시키고, 3D 모드시 상기 표시장치로부터의 빛을 선평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렌즈층은 수평 방향으로 배향된 액정분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스위처블 렌즈 장치 및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스위처블 렌즈 장치의 렌즈셀이 2개의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 제 1 렌즈층과 단일 굴절률의 제 2 렌즈층을 포함하고, 제 1 렌즈층 내부에 충진부를 형성함으로써 스위처블 렌즈 장치 및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고 화상품질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스위처블 렌즈 장치를 포함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TN모드 액정패널로 구성된 편광제어 유닛(200)의 구성를 보여주는 도면;
도 3a는 편광제어 유닛(200)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 편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편광제어 유닛(200)에 전압이 인가되었을 때 편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충진부를 포함하는 스위처블 렌즈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평면영상 및 입체영상이 구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입체영상 표시장치(1000)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표시장치(100)는 영상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로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OLED), 전기영동 표시장치(Electrophoresis, EPD) 등의 영상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표시장치(100)가 액정 표시장치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장치(100)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포함하는 화소 어레이가 형성되어 있는 어레이 기판과(Array Substrate)(미도시), 컬러를 구현하는 컬러필터들이 형성되어 있는 컬러필터 기판(Color Filter Substrate)(미도시)과,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배치된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표시장치(100)의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기판의 표면에는 광흡수축이 서로 90°를 이루는 편광판이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수평방향 또는 수직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에서 표시패널(100)로 입사된 빛은 입사된 빛의 광 흡수측과 90°를 이루는 방향으로 선 편광되어 표시장치(100)를 통과한다.
편광제어 유닛(200)은 표시장치(100) 상에 배치되며, 표시장치(100)를 통과한 빛을 그대로 투과시키거나 90°만큼 선 편광시킨 후 스위처블 렌즈 장치(300)에 입사시킨다. 이 편광제어 유닛(200)은 TN 모드(Twisted Nematic mode), VA 모드 (Vertical Alignment mode), IPS 모드(In-Plane Switching mode), FFS 모드(Fringe Field Switching mode)가 적용된 액정패널로 구성 될 수 있다.
스위처블 렌즈 장치(300)는 편광제어 유닛(200) 상에 배치되며, 편광제어 유닛(200)에서 공급된 빛의 편광 방향에 따라, 빛을 그대로 투과시켜 2D 영상을 표시하거나, 우안 영상에 해당하는 빛과 좌안 영상에 해당하는 빛의 진행경로를 분리시켜 3D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하, 도 2 및 도 3a, 도 3b를 참조하여 편광제어 유닛(20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TN 모드 액정패널로 구성된 편광제어 유닛(200)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편광제어 유닛(200)의 전압인가 여부에 따른 빛의 편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편광제어 유닛(200)은 제 1 기판(210) 상에 형성되는 제 1 전극(215)과, 제 1 전극(215)과 대향하며 제 2 기판(220) 상에 형성되는 제 2 전극(225)과, 제 1 전극(215)과 제2 전극(225)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230)을 포함한다.
제 1 기판(210)과 제 2 기판(220) 각각은 글라스 또는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제 1 전극(215)과 제 2 전극(225)은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GZO(Gallium-doped Zinc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다.
액정층(230)을 이루는 액정분자들은 포지티브 액정(Positive Liquid Crystal)들로 이루어 진다. 이 액정들은 제 1및 제 2 전극들(215, 225)에 각각 부착된 배향막들(미도시)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프리틸트(pre-tilt)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TN 모드에서 액정들은 편광제어 유닛(200)에 전계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제어 유닛(200)은 수직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빛을 수평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빛으로 선편광시켜서 투과시킨다.
그리고, 편광제어 유닛(200)에 전계가 인가된 경우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의 편광축을 갖는 빛을 그대로 투과시켜 투과된 빛의 편광축 역시 수직 방향(ⓧ)이 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스위처블 렌즈 장치(300)에 대해서 설명 한다.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스위처블 렌즈 장치(300)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면, 스위처블 렌즈 장치(300)는 제 1 필름(310) 및 제 2 필름(320)을 포함하고, 제 1 필름(310)과 제 2 필름(320) 사이에 배치되는 렌즈부(330)를 포함한다.
렌즈부(330)는 볼록면(334)을 구비하는 제 1 렌즈층(332)과 제 1 렌즈층(332)의 볼록면(334)과 제 2 필름(3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볼록면(334)에 의해 오목면을 갖는 제 2 렌즈층(336)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렌즈층(332)은 연속되는 볼록면(334)을 갖는 렌즈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필름(310)은 100㎚ 이하의 낮은 위상차(low retardation), 등방성 및 일축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필름(310)은 또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Cellulose, TAC),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를 포함하는 재료로부터 선택 될 수 있다.
제 2 필름(320)은 100㎚ 이하의 낮은 위상차(low retardation)와, 등방성 및일축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된다. 제 2 필름(320)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를 포함하는 재료로부터 선택 될 수 있다.
제 1 필름(310)은 제 2 필름(320)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도 있고, 제 2 필름(320)과 다른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렌즈부(330)의 제 1 렌즈층(332)은 광경화성 액정(338)을 수평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배향한 상태에서 경화시켜 형성하며, 따라서, 제 1 렌즈층(332)을 이루고 있는 액정들은 모든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배향된 형태를 영구적으로 유지한다. 반응성 메조겐(reactivemesogen)과 같은 광경화성 액정(338)은 광 반응에 의해 분자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초기 액정 분자들의 배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광경화성 액정(338)에 편광된 UV(ultraviolet)를 조사하면, 광경화성 액정은 UV의 편광된 빛에 맞춰 초기 배향된 상태를 유지한 채 경화되어 제 1 렌즈층(3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렌즈부(330)의 제 1 렌즈층(332)은 액정분자의 굴절률 이방성 때문에 방향에 따라 제 1 굴절률(ne)과 제 2 굴절률(no)을 갖는다. 즉, 제 1 렌즈층(332)은 액정분자의 장축 방향에서는 제 1 굴절률(ne)을 갖지만 단축방향에서는 제 1 굴절률(ne)보다 작은 제 2 굴절률(no)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경화성 액정이 수평방향(도면의 x축방향)으로 배향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렌즈층(332)의 액정분자의 단축은 수직 방향(도면의 z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서 제 2 굴절률(no)을 갖게 되고, 액정분자의 장축은 수평방향(도면의 x축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서 제1 굴절률(ne)을 갖게 된다.
제 2 렌즈층(336)은 제 1 렌즈층(332)의 볼록면(334)을 평탄하게 덮도록 제1 렌즈층(332)과 제 1 필름(310) 상에 형성된다. 제 2 렌즈층(336)은 제 1 렌즈층(332)의 액정분자의 단축 방향 굴절률(no)과 동일한 제2 굴절률(no)을 가지는 등방성 물질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렌즈층(336)은 투명한 광경화성 수지로 형성 할 수 있다.
스위처블 렌즈 장치(300)는 제 1 필름(310) 상부에 형성되고 제 1 렌즈층(332) 내부에 형성된 충진부(340)를 더 포함한다.
충진부(340)는 수직 방향(도면의 z축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이 사각형상인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의 양쪽 가장자리가 렌즈와 맞닿도록 형성된 경우, 제 1 렌즈층(332) 내부에 충진부(340)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형상은 1/2 프레넬 렌즈 타입(1/2 Fresnel Lens Type)과 동일한 모양을 가지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제 1 렌즈층(332)은 반원통의 모양을 가지며, 제 1 렌즈층(332) 내부에 형성된 충진부(340)의 부피만큼 광경화성 액정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게 되므로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제작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레넬 렌즈 제작공정이 까다롭기 때문에 발생할 수 있는 많은 문제들을, 제 1 렌즈층(332)을 반원통형의 렌즈로 제작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스위처블 렌즈 장치(300)은 액정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프레넬 렌즈 타입 렌즈보다 공정은 쉽고, 비용은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추가로, 상기 베이스부의 단면은 사각형 외에도, 사다리꼴, 삼각형, 원형일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진부는 베이스부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342)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돌출부(342)는 수직 방향(도면의 z축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이 사각형, 사다리꼴, 삼각형, 원형일 수 있다.
베이스부와 돌출부(342)는 각각 형성하거나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충진부(340)는 제 2 굴절률(no)과 동일한 굴절률을 가지는 등방성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충진부(340)의 굴절률을 제 1 필름(310)의 굴절률 보다 낮게 형성하는 경우, 편광제어 유닛(200)에서 스위처블 렌즈 장치(300)로 입사하는 빛이 제 1 필름(310)과 충진부(340)의 경계면에서 전반사 되는 각도를 크게 만듦으로써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입체영상 표시장치에서 2D 영상 및 3D 영상이 표시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입체영상 표시장치에서 2D 영상 및 3D 영상이 표시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2D 영상 모드에서, 편광제어 유닛(200)의 하부 전극(215) 및 상부 전극(225)에 전압이 인가되면, 표시패널(120)로부터 입사되는 편광축이 수직방향(ⓧ, 도면의 z축 방향)인 빛은 편광상태가 편광제어 유닛(200)에 의해 변하지 않고 편광제어 유닛(200)을 통과하여 스위처블 렌즈 장치(300)로 진행한다.
그리고, 스위처블 렌즈 장치(300)에 입사된 빛은 제 1 렌즈층(332)의 액정분자가 수평방향으로 배향된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입사된 빛의 편광방향은 액정분자의 단축 방향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렌즈층(332)은 제 2 굴절률(no)로 작용하고 제 2 렌즈층(336)의 굴절률(no)과 동일하므로, 광은 제 1 렌즈층(332)과 제 2 렌즈층(336)의 경계면에서 굴절없이 진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평면 영상이 구현된다.
반면 3D 모드에서는, 편광제어 유닛(200)의 하부 전극(215) 및 상부 전극(225)에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표시패널(100)로부터 편광제어 유닛(200)에 입사되는 편광축이 수직방향(ⓧ)인 빛은 액정의 배열방향을 따라 빛의 편광축이 수평방향(↔)으로 변화되어 편광제어 유닛(200)에 입사된다.
그리고, 스위처블 렌즈 장치(300)에 입사된 빛은 제 1 렌즈층(332)의 액정분자가 수평방향으로 배향된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입사된 빛의 편광방향은 액정분자의 장축 방향과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렌즈층(332)은 제 1 굴절률(ne)로 작용하고 제 2 렌즈층(336)의 굴절률(no)과 상이하므로, 입사된 빛은 제 1 렌즈층(332)의 볼록면(334)에서 굴절하여 시청자의 좌안과 우안으로 각기 진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양안시차를 가지는 3차원 입체영상이 구현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스위처블 렌즈 장치 및 입체영상 표시장치에 의하면 스위처블 렌즈 장치의 렌즈셀이 2개의 상이한 굴절률을 갖는 제1 렌즈층과 단일 굴절률의 제 2 렌즈층을 포함하기 때문에 무안경 방식으로 입체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표시장치 336 : 제 2 렌즈층
200 : 편광제어 유닛 340 : 충진부
300 : 스위처블 렌즈 장치 342 : 돌출부
332 : 제 1 렌즈층

Claims (8)

  1. 제 1 필름;
    상기 제 1 필름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제 2 필름;
    상기 제 1 필름에 부착되고, 볼록면들을 구비한 제 1 렌즈층;
    상기 제 1 렌즈층의 볼록면들을 평탄화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볼록면에 대응하는 오목면들을 가지는 제 2 렌즈층;및
    상기 제 1 렌즈층 내부에 형성되는 액정 및 충진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부의 상면 및 측면은 상기 액정과 직접 접촉하고,
    상기 액정은, 장축 방향에 대한 제1 굴절률(ne) 및 단축 방향에 대한 제2 굴절률(no)을 갖는 이방성을 갖고,
    상기 충진부 및 상기 제2 렌즈층은, 상기 제2 굴절률(no)을 가지며,
    입사되는 빛의 편광 방향이 상기 액정의 단축 방향과 동일한 경우, 상기 충진부, 상기 액정, 및 상기 제2 렌즈층이 상기 제2 굴절률(no)로 작용하여, 상기 빛을 굴절없이 진행시키는 2D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입사되는 빛의 편광 방향이 상기 액정의 장축 방향과 동일한 경우, 상기 액정이 상기 제1 굴절률(ne)로 작용하고, 상기 충진부 및 상기 제2 렌즈층이 상기 제2 굴절률(no)로 작용하여 상기 빛을 굴절시키는 3D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상기 제 2 렌즈층과 동일한 굴절률인 상기 제2 굴절률(no)을 가지는 등방성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은 광경화성의 이방성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베이스부 및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일 가장자리가 상기 제 1 렌즈층의 볼록면과 맞닿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장치.
  6.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상기 표시장치 상에 배치된 편광제어 유닛; 및
    상기 편광 제어 유닛 상에 배치되며,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렌즈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편광 제어 유닛은,
    상기 2D 모드시 상기 표시장치로부터의 빛을 그대로 투과시키고,
    상기 3D 모드시 상기 표시장치로부터의 빛을 선편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층의 액정은 수평 방향으로 배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20130162272A 2013-12-24 2013-12-24 스위처블 렌즈 장치와 그를 이용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2193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272A KR102193610B1 (ko) 2013-12-24 2013-12-24 스위처블 렌즈 장치와 그를 이용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272A KR102193610B1 (ko) 2013-12-24 2013-12-24 스위처블 렌즈 장치와 그를 이용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460A KR20150074460A (ko) 2015-07-02
KR102193610B1 true KR102193610B1 (ko) 2020-12-22

Family

ID=5378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2272A KR102193610B1 (ko) 2013-12-24 2013-12-24 스위처블 렌즈 장치와 그를 이용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61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30568B (zh) * 2011-06-15 2016-08-17 三星显示有限公司 液晶透镜及包括该液晶透镜的显示装置
KR101876558B1 (ko) * 2011-12-08 2018-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무안경 방식의 2차원/3차원 영상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460A (ko)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3373B1 (ko) 스위처블 렌즈 장치와 그를 이용한 2d/3d 영상 표시장치
TWI435116B (zh) 立體顯示器及其影像顯示方法
US20140049706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Device
JP2007219526A (ja) 立体画像変換パネル及びこれを有する立体画像表示装置
US20150362741A1 (en) Stereoscopic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233895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US20160091726A1 (en) Polarization control unit and 2d and 3d imag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TWI471608B (zh) 裸眼與眼鏡可切換式立體顯示裝置
US9448414B2 (en) Polarization control unit
US20140029087A1 (en) Switchable lens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2-dimensional and 3-dimensional imag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50241711A1 (en) 3d display apparatus
KR20140015187A (ko) 스위처블 렌즈 장치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2d/3d 영상 표시장치
KR20130106719A (ko) 액정 프리즘
TW201423236A (zh) 可切換二維顯示模式與三維顯示模式之顯示裝置及其液晶透鏡
KR102061234B1 (ko) 표시 장치 및 이를 위한 액정 렌즈 패널
KR20120139020A (ko) 입체 영상 시청용 콘택트 렌즈
KR101861616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30120675A1 (en) Polarization assembly and three-dimensional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KR102193610B1 (ko) 스위처블 렌즈 장치와 그를 이용하는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1961942B1 (ko) 편광제어 셀,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입체영상 표시장치
KR102041152B1 (ko) 영상표시장치
KR101913201B1 (ko) 평면 및 입체 영상 구현 표시장치
US9769464B2 (en) Image display device
KR101938692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KR101932100B1 (ko) 입체 영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