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2853B1 - 방송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853B1
KR100992853B1 KR1020060020940A KR20060020940A KR100992853B1 KR 100992853 B1 KR100992853 B1 KR 100992853B1 KR 1020060020940 A KR1020060020940 A KR 1020060020940A KR 20060020940 A KR20060020940 A KR 20060020940A KR 100992853 B1 KR100992853 B1 KR 100992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dance
broadcast
variable
wireless antenn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0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1442A (ko
Inventor
변호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0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853B1/ko
Priority to US11/698,816 priority patent/US7738850B2/en
Priority to CN2007100791417A priority patent/CN101034905B/zh
Publication of KR20070091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8Input circuits, e.g. for coupling to an antenna or a transmission lin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처리장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안테나와; 상기 무선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선국하는 RF모듈과;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해 임피던스값을 조정하는 가변부와; 각각의 방송채널에 해당하는 각각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한 임피던스가변값들을 기 저장하고, 선국되는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상기 임피던스값을 조정하도록 상기 가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무선안테나를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할 때, 방송채널의 전환에 따른 채널 간 수신 감도 차이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BROADCAST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방송신호처리장치의 제어 블록도,
도 2a, 도 2b, 도 2c, 도 2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는 방송신호처리장치의 가변부 제어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처리장치의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방송신호처리장치에서 전압정재파비(VSWR)를 나타내는 그래프 예시도,
도 5는 종래의 방송신호처리장치에서 전압정재파비(VSWR)를 나타내는 그래프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안테나 10 : 가변부
20 : RF모듈 30 : 방송신호처리부
40 : 방송출력부 43 : 디스플레이부
46 : 사운드출력부 50 : 제어부
53 : 임피던스제어부 56 : 마이컴
60 : 사용자입력부
본 발명은 방송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안테나를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할 때, 방송채널의 전환에 따른 채널 간 수신 감도 차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송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로 하여금 방송채널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된 방송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를 수신/처리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와, 수신되는 방송신호 중 선택된 방송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주파수를 선국하는 RF모듈과, RF모듈에서 선국된 방송주파수 즉 선택된 방송채널의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방송신호처리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송신호처리장치는, 최근 방송시스템의 발전 및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고정된 위치에 마련되지 않고 이동하면서 방송신호를 수신/처리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추세이다. 즉, 유선안테나가 아닌 무선안테나를 구비하여, 장소에 제한받지 않고 방송신호를 수신/처리할 수 있는 방송처리장치가 보급되고 있다.
이처럼, 무선안테나를 구비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가 수신/처리하는 대표적인 방송으로는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방송을 예로들 수 있다. 이러한 DMB방송은, 현재 서로 상이한 방송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CH7부터 CH13까지의 7개 방송채널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무선안테나를 구비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는, 소 정의 방송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주파수 대역에 대응하여 무선안테나의 길이를 한정하여 고정하고 있다. 즉, 종래의 방송신호처리장치는, 소정의 방송채널(예 : CH12)에 해당하는 방송주파수 대역(예 : 202MHz ~ 209MHz)에 대응하도록 무선안테나의 길이를 고정적으로 마련한다.
예를 들어, 방송신호처리장치가 방송채널 CH12에 해당하도록 무선안테나의 길이가 고정된다면, 무선안테나의 길이는 반파장 즉, 파장(λ)/2이고, 파장(λ)=전파속도(v)/주파수(f)이므로, 방송채널 CH12의 파장(λ≒148cm)은 전파 속도(v≒300000km/s)/주파수(f≒202MHz)이고 무선안테나의 길이는 파장(λ≒148cm)/2, 즉 74cm로 고정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무선안테나를 구비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가 수신할 수 있는 방송채널은 CH12 이외에도 CH12의 방송주파수와는 상이한 방송주파수를 사용하는 여러 방송채널들(CH7,CH8,CH9,CH10,CH11,CH13)이 존재한다. 헌데, 무선안테나의 길이가 하나의 방송채널(예 : CH12)에 고정되는 종래의 방송신호처리장치에서 다른 방송채널(예 : CH8)의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무선안테나 길이가 방송채널 CH12에 대응하도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수신 능력이 저하되어 방송채널 간의 수신 능력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무선안테나 길이가 방송채널 CH12에 대응하도록 고정된 종래의 방송신호처라장치에서 전압정재파비(VSWR)를 나타내는 도5의 그래프를 참조하여 방송채널 간의 수신 능력 차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5는 무선안테나 길이가 방송채널 CH12에 대응하도록 고정된 방송신호처리장치에서, 방송채널 CH12를 선국하는 경우 의 전압정재파비(a')와, 방송채널 CH8을 선국하는 경우의 전압정재파비(b')가 도시되고 있다. 안테나의 전압정재파비는 작은 값일수록 수신 능력이 향상되는 것을 뜻한다. 도5에서 알 수 있듯이, 무선안테나 길이가 방송채널 CH12에 대응하도록 고정되기 때문에, 방송채널 CH12에 대응하는 방송주파수 대역(f6~f7)을 수신하는 경우 무선안테나의 전압정재파비(a')는 매우 작은 값(R1)을 갖는다. 하지만, 방송채널 CH8에 대응하는 방송주파수 대역(f2~f3)을 수신하는 경우, 무선안테나의 길이가 방송채널 CH8에 대응하지 않고 방송채널 CH12에 대응하기 때문에 무선안테나와 RF모듈간의 임피던스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전압정재파비(b')는 상대적으로 큰 값(R2)을 갖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하였듯이, 종래의 방송신호처리장치에서 무선안테나의 길이를 하나의 방송채널(예 : CH12)에 대응하도록 고정하기 때문에, 무선안테나의 길이를 대응하도록 고정한 방송채널(예 : CH12) 이외의 방송채널을 선국하여 방송을 재생하는 경우, 임피던스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방송 상태가 고르지 못하고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안테나를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할 때, 방송채널의 전환에 따른 채널 간 수신 감도 차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송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방송신호처리장치에 있어서, 방송신호를 수신 하는 무선안테나와; 상기 무선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선국하는 RF모듈과;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해 임피던스값을 조정하는 가변부와; 각각의 방송채널에 해당하는 각각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한 임피던스가변값들을 기 저장하고, 선국되는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상기 임피던스값을 조정하도록 상기 가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방송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방송채널에 해당하는 각각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상기 임피던스가변값들을 기 저장하고 상기 기 저장한 임피던스가변값들 중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선택되는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가변값을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해 상기 임피던스값을 조정하도록 상기 가변부를 제어하는 임피던스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변부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 인덕터를 구비하는 임피던스정합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상기 임피던스제어부는,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도록 상기 임피던스정합회로부에 구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변 인덕터의 인덕턴스를 변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변부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 캐패시터를 구비하는 임피던스정합회로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상기 임피던스제어부는,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도록 상기 임피던스정합회로부에 구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변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를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변부는, 적어도 하나의 바렉터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임피던스정합회로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임피던스제어부는,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도록 상기 임피던스정합회로부에 구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렉터 다이오드의 용량을 변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변부는, 가변 인덕터와 가변 캐패시터와 바렉터 다이오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임피던스정합회로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임피던스제어부는,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도록 상기 임피던스정합회로부에 구비되는 상기 가변 인덕터의 인덕턱스와 가변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와 바렉터 다이오드의 용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변부는, 상기 무선안테나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길이조정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임피던스제어부는,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도록 상기 무선안테나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길이조정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출력부와; 상기 RF모듈을 통해 선국되는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방송출력부로 출력하는 방송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방송출력부는, 상기 선국되는 방송신호에 따른 방송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방송신호에 따른 방송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출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안테나와, 상기 무선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선국하는 RF모듈을 포함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선택되는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를 선국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가 상기 선국되는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한 임피던스값과 상이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가 상기 선국된 방송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임피던스값과 상이한 경우, 상기 선국된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상기 임피던스값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상기 선국된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상기 임피던스값이 되도록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가변 인덕터의 인덕턱스와 가변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와 바렉터 다이오드의 용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시켜,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상기 선국된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상기 임피던스값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안테나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길이조정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무선안테나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상기 선국된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상기 임피던스값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처리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와, 가변부(10)와, RF모듈(20)과, 방송신호처리부(30)와, 방송출력부(40)와, 제어부(50)와, 사용자입력부(60)를 포함한다.
안테나(1)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기능부로서, 무선안테나로 마련된다. 이러한 무선안테나(1)는, 방송신호를 제공하는 방송기지국(미도시)으로부터 제공되 는 방송채널들 중 어느 하나의 방송채널(예 : CH12)에 해당하는 방송주파수에 고정되는 길이를 갖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도 1 및 이후에 참조할 도면(도2a, 도2b, 도2c, 도2d)에서는 무선안테나(1)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방송 전용안테나이고, DMB 방송채널 CH12에 해당하도록 길이가 고정된다고 가정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즉, 무선안테나(1)의 길이는 반파장 즉 파장(λ)/2이고, 파장(λ)=전파속도(v)/주파수(f)이므로, DMB 방송채널 CH12의 파장(λ≒148cm)은 전파 속도(v≒300000km/s)/DMB 방송채널 CH12의 주파수(f≒202MHz)이고 무선안테나(1)의 길이는 파장(λ≒148cm)/2, 즉 74cm로 고정된다.
한편 DMB방송 전용안테나는, 2종류의 타입이 존재한다. DMB방송 전용안테나의 2종류 타입은, 수신하는 방송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별도의 증폭회로를 마련해야 하는 액티브(Active) 타입의 안테나와, 증폭회로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는 패시브(Passive) 타입의 안테나이다. 여기서, 도1에서는 무선안테나(1)가 별도의 증폭회로를 마련하지 않아도 되는 패시브(Passive) 타입의 안테나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실시예일 뿐이며 무선안테나(1)를 액티브(Active) 타입으로 마련하고 무선안테나(1)와 가변부(10) 사이에 증폭회로를 추가로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방송신호처리장치는 무선안테나(1)가 액티브(Active) 타입으로 마련되거나 패시브(Passive) 타입으로 마련되는 것에 구애받지 않는다.
RF모듈(20)은, 무선안테나(1)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방송주파수 대역을 갖는 방송신호로 선국하게 된다. 즉, RF모듈(20)은 무선안테나(1)를 통해 수신되는 복수의 방송주파수에 해당하는 방송신호들 중 방송출력부(40)를 통해 방송하고자 하는 방송채널에 대응하는 방송신호만을 선국하여 방송신호처리부(30)에 출력한다. 즉, 이러한 RF모듈(20)은 제어부(50)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방송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주파수를 선국하는 튜너라고도 할 수 있다.
방송출력부(40)는, RF모듈(20)을 통해 선국된 방송신호에 근거하는 방송을 출력하는 출력부로서, 선국된 방송신호에 따른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3)와, 선국된 방송에 따른 사운드를 출력하기 위한 사운드출력부(46)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신호처리부(30)는, RF모듈(20)에서 선국된 방송신호에 근거한 방송을 방송출력부(30)를 통해 출력하기 위해, 상기 방송신호를 처리하는 처리기능부이다. 이러한 방송신호처리부(30)는, 본 발명의 방송신호처리장치가 디지털방송을 지원하는 경우, RF모듈(20)에서 선국된 방송신호의 IF방송신호를 패킷단위의 소정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복조하여 출력하는 채널 디코더(미도시)와, 채널 디코더로부터 출력되는 소정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해당 방송채널의 사운드신호, 영상신호, 방송정보를 개별적인 비트열로 분리하여, 각각을 해당 기능부로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송신호처리부(30)는, 디멀티플렉서에서 분리된 사운드신호를 처리하여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후 사운드출력부(46)로 출력하는 사운드처리부(미도시)와, 디멀티플렉서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43)가 표시 가능한 포 맷의 신호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43)에 제공하는 영상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60)는, 사용자에 조작에 의해 방송채널을 전환하여 선택하기 위한 정보입력장치이다. 사용자입력부(60)는 사용자의 키조작을 위한 키입력부로서의 리모컨(미도시)과 리모컨(미도시)으로부터 송출되는 무선 키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수광부(미도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방송신호처리장치의 본체에 유선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변부(10)는,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사이에 마련되어,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해 임피던스값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가변부(10)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임피던스값을 조정하게 되고, 이처럼 가변부(10)의 임피던스값이 조정됨에 따라 무선안테나(1)의 특성 임피던스값이 변하게 된다. 가변부(10)의 구체적인 실시는 이후에 도2a, 도2b, 도2c, 도2d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50)는, 각각의 방송채널에 해당하는 각각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여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한 임피던스가변값들을 기 저장하고, 선국되는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가변부(10)의 임피던스값을 조정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50)는, 임피던스제어부(53)와 마이컴(56)을 포함한다.
마이컴(56)은, 각각의 방송채널에 해당하는 각각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가변값들을 기 저장한다. 즉, 마이컴(56)은 DMB 방송채널들 (CH7,CH8,CH9,CH10,CH11,CH12,CH13) 각각에 해당하는 각각의 방송주파수 대역에 대응하여 가변부(10)의 임피던스값을 조정하기 위한 임피던스가변값들을 기 저장한다.
여기서, 임피던스가변값이란, 무선안테나(1)의 길이가 어느 하나의 방송채널(예 : CH12)에 대응하도록 고정됨에 따라, 타 방송채널(예 : CH8)을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방송주파수가 달라지기 때문에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가 정합되지 않음을 보상하기 위해, 가변부(10)의 임피던스값을 조정하기 위한 제어값이다. 이러한 임피던스가변값은, 무선안테나(1)의 고정된 길이와 가변부(10)에 포함되는 회로소자들의 임피던스값들을 고려하여, 각각의 방송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주파수를 수신할 때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켜 전압정재파비를 바람직한 작은 값으로 조정하도록 가변부(10)에 포함되는 회로소자들의 임피던스값을 조정하는 실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실험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이컴(56)은 사용자입력부(60)를 통한 사용자에 조작에 의해, 방송채널의 전환이 선택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선택되는 방송채널을 선국하여 선국된 방송채널의 방송을 방송출력부(40)로 출력하도록 RF모듈(20)과 방송신호처리부(30)를 제어한다. 그리고, 마이컴(56)은 기 저장한 임피던스가변값들 중 사용자입력부(60)를 통해 선택되는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가변값을 판단하고, 판단된 임피던스가변값을 임피던스제어부(53)로 출력한다.
임피던스제어부(53)는 마이컴(56)으로부터 출력되는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 하여,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해, 가변부(10)의 임피던스값을 조정한다. 즉, 마이컴(56)은 사용자입력부(60)를 통해 선택되는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가변값을 임피던스제어부(53)로 출력함으로써, 임피던스제어부(53)로 하여금 가변부(10)의 임피던스값을 조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1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르는 방송신호처리장치는, 방송신호처리부(30)와 방송출력부(40)를 포함하여 방송재생기능을 구비하는 TV로서 도시되고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다. 즉, 본 발명의 방송신호처리장치는 방송신호처리부(30)와 방송출력부(40)를 포함하지 않고, 외부에 마련되는 방송재생장치로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셋톱박스인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송신호처리장치는 무선안테나(1)를 구비한 구성이라면, TV나 셋톱박스 이외에도 방송신호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장치 또는 휴대용 컴퓨터 등 다양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도2a, 도2b, 도2c, 도2d를 참조하여 가변부(10)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부(10)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 인덕터(L)를 구비하는 임피던스정합회로부(1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 인덕터(L)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전압크기에 따라 자신의 인덕턴스나 또는 상호 인덕턴스를 가변시킬 수 있는 회로소자이다. 즉, 가변부(10)로서 마련되는 임피던스정합회로부(11)는, 도 2a와 같이 하나의 가변 인덕터(L)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복수개의 가변 인덕터(L)들을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여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가변부(10)가 적어도 하나의 가변 인덕터(L)를 구비하는 임피던스정합회로부(11)로 마련되는 경우, 도1의 임피던스제어부(53)에 대응하여 도 2a의 임피던스제어부(53a)가 마련된다. 임피던스제어부(53a)는, 마이컴(56)으로부터 출력되는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해 임피던스정합회로부(11)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가변 인덕터(L)의 인덕턴스를 변경시킨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임피던스정합회로부(11)를 갖는 경우,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는 아래의 <식1>에 의해 얻어진다.
< 식 1 >
임피던스(Z) = R + jωL
여기서, R은 무선안테나(1)의 임피던스로서 무선안테나(1)의 길이에 비례하고, jωL 은 가변 인덕터(L)의 임피던스이고 ω는 2πf이므로 주파수(f)에 비례한다.
무선안테나(1)의 길이는 방송채널 CH12(74cm)에 고정되므로, 방송채널을 CH8로 전환하면 R은 고정되는데 반해 방송채널 CH8의 방송주파수가 CH12보다 작기 때문에 ω의 값은 작아져 임피던스(Z)가 작아져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때, 마이컴(56)은 기 저장한 임피던스가변값들 중 방송채널 CH8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가변값을 판단하여 이를 임피던스제어부(53a)로 출력하면, 임피던스제어부(53a)는 입력된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임피던스정합회로부(11)의 가변 인덕터(L)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임피던스제어부(53a)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가변 인덕터 (L)의 인덕턴스(L)가 가변되어 커짐으로, 임피던스(Z)가 커져 정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만약, 방송채널을 CH13으로 전환하면 CH13의 방송주파수가 CH12보다 크기 때문에 ω의 값은 커져 임피던스(Z)가 커져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 방송채널 CH13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임피던스제어부(53a)는 임피던스정합회로부(11)의 가변 인덕터(L)의 인덕턴스(L)를 작아지도록 변경시켜 임피던스(Z)가 작아져 정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마이컴(56)은 사용자입력부(60)를 통해 선택되는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가변값을 임피던스제어부(53a)로 출력함으로써, 임피던스제어부(53a)로 하여금 가변부(10)로서 마련되는 임피던스정합회로부(11)의 임피던스값을 조정하도록 한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부(10)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 캐패시터(C)를 구비하는 임피던스정합회로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 캐패시터(C)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전압크기에 따라 자신의 캐패시턴스를 가변시킬 수 있는 회로소자이다. 즉, 가변부(10)로서 마련되는 임피던스정합회로부(12)는, 도2b와 같이 하나의 가변 캐패시터(C)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복수개의 가변 캐패시터(C)들을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여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가변부(10)가 적어도 하나의 가변 캐패시터(C)를 구비하는 임피던스정합회로부(12)로 마련되는 경우, 도1의 임피던스제어부(53)에 대응하여 도 2b의 임피던스제어부(53b)가 마련된다. 임피던스제어부(53b)는, 마이컴(56)으로부터 출력되는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를 정 합시키기 위해 임피던스정합회로부(12)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가변 캐패시터(C)의 캐패시턴스를 변경시킨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임피던스정합회로부(12)를 갖는 경우,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는 아래의 <식2>에 의해 얻어진다.
< 식 2 >
임피던스(Z) = R + 1/jωC
여기서, R은 무선안테나(1)의 임피던스로서 무선안테나(1)의 길이에 비례하고, 1/jωC 은 가변 캐패시터(C)의 임피던스이고 ω는 2πf이므로 주파수(f)에 반비례한다.
무선안테나(1)의 길이는 방송채널 CH12(74cm)에 고정되므로, 방송채널을 CH8로 전환하면 R은 고정되는데 반해 방송채널 CH8의 방송주파수가 CH12보다 작기 때문에 ω의 값은 작아져 임피던스(Z)가 커져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때, 마이컴(56)은 기 저장한 임피던스가변값들 중 방송채널 CH8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가변값을 판단하여 이를 임피던스제어부(53b)로 출력하면, 임피던스제어부(53b)는 입력된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임피던스정합회로부(12)의 가변 캐패시터(C)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임피던스제어부(53b)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가변 캐패시터(C)의 캐패시턴스(C)가 가변되어 커짐으로, 임피던스(Z)가 작아져 정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마이컴(56)은 사용자입력부(60)를 통해 선택되는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가변값을 임피던스제어부(53b)로 출력함으로써, 임피던스 제어부(53b)로 하여금 가변부(10)로서 마련되는 임피던스정합회로부(12)의 임피던스값을 조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부(10)는 적어도 하나의 바렉터 다이오드(D)를 구비하는 임피던스정합회로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바렉터 다이오드(D)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의 전압크기에 따라 자신의 용량 즉 캐패시턴스를 가변시킬 수 있는 회로소자이다. 즉, 가변부(10)로서 마련되는 임피던스정합회로부(13)는, 도 2c와 같이 하나의 바렉터 다이오드(D)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는 복수개의 바렉터 다이오드(D)들을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하여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가변부(10)가 적어도 하나의 바렉터 다이오드(D)를 구비하는 임피던스정합회로부(13)로 마련되는 경우, 도1의 임피던스제어부(53)에 대응하여 도 2c의 임피던스제어부(53c)가 마련된다. 임피던스제어부(53c)는, 마이컴(56)으로부터 출력되는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해 임피던스정합회로부(13)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바렉터 다이오드(D)의 용량을 변경시킨다.
예를 들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임피던스정합회로부(13)를 갖는 경우,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는 아래의 <식3>에 의해 얻어진다.
< 식 3 >
임피던스(Z) = R + 1/jωC
여기서, R은 무선안테나(1)의 임피던스로서 무선안테나(1)의 길이에 비례하 고, 1/jωC 은 바렉터 다이오드(D)의 임피던스이고 ω는 2πf이므로 주파수(f)에 반비례한다.
무선안테나(1)의 길이는 방송채널 CH12(74cm)에 고정되므로, 방송채널을 CH8로 전환하면 R은 고정되는데 반해 방송채널 CH8의 방송주파수가 CH12보다 작기 때문에 ω의 값은 작아져 임피던스(Z)가 커져 정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때, 마이컴(56)은 기 저장한 임피던스가변값들 중 방송채널 CH8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가변값을 판단하여 이를 임피던스제어부(53c)로 출력하면, 임피던스제어부(53c)는 입력된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임피던스정합회로부(13)의 바렉터 다이오드(D)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임피던스제어부(53c)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바렉터 다이오드(D)의 용량(C)이 가변되어 커짐으로, 임피던스(Z)가 작아져 정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마이컴(56)은 사용자입력부(60)를 통해 선택되는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가변값을 임피던스제어부(53c)로 출력함으로써, 임피던스제어부(53c)로 하여금 가변부(10)로서 마련되는 임피던스정합회로부(13)의 임피던스값을 조정하도록 한다.
또한,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부(10)는 무선안테나(2)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길이조정모터(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안테나(2)는 길이조정모터(14)의 구동에 이해 그 길이가 연장 도는 단축되는 구성을 갖는다. 그리고, 길이조정모터(14)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어 무선안테나(2)의 길이를 연장 또는 단축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로서, 그 상세한 구성은 무선안테나 (2)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일반적인 모터와 유사 또는 동일할 수 있다.
이처럼, 가변부(10)가 길이조정모터(14)로 마련되는 경우, 도 1의 임피던스제어부(53)에 대응하여 도2d의 임피던스제어부(53d)가 마련된다. 임피던스제어부(53d)는, 마이컴(56)으로부터 출력되는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해 길이조정모터(14)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길이조정모터(14)를 갖는 경우, 방송채널을 CH8로 전환하면 마이컴(56)은 기 저장한 임피던스가변값들 중 방송채널 CH8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가변값을 판단하여 이를 임피던스제어부(53d)로 출력하고, 임피던스제어부(53c)는 입력된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길이조정모터(14)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임피던스제어부(53d)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해 길이조정모터(14)는, 무선안테나(1)의 길이를 연장시킴으로써 방송채널 CH8에 대응하도록 임피던스(Z)를 정합시킬 수 있다.
이처럼, 마이컴(56)은 사용자입력부(60)를 통해 선택되는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가변값을 임피던스제어부(53d)로 출력함으로써, 임피던스제어부(53d)로 하여금 가변부(10)로서 마련되는 길이조정모터(14)를 제어하여 무선안테나(1)의 길이를 조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 2a, 도 2b, 도 2c에서는, 각각의 회로소자인 가변 인덕터(L)와 가변 캐패시터(C)와 바렉터 다이오드(D) 중 어느 하나의 종류만을 포함하는 임피던스정합회로부(11,12,13)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는 일 실시예일 뿐이다. 즉, 가변부 (10)에는 가변 인덕터와 가변 캐패시터와 바렉터 다이오드를 모두 구비하거나 또는 가변 인덕터와 가변 캐패시터와 바렉터 다이오드 중 2개의 회로소자를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임피던스정합회로부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가변부(10)가 가변 인덕터와 가변 캐패시터와 바렉터 다이오드를 모두 구비하거나 또는 가변 인덕터와 가변 캐패시터와 바렉터 다이오드 중 2개의 회로소자를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임피던스정합회로부로 마련되는 경우, 임피던스제어부(53)는, 마이컴(56)으로부터 출력되는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해 임피던스정합회로부에 구비된 가변 인덕터의 인덕턱스와 가변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와 바렉터 다이오드의 용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도 2a, 도 2b, 도 2c, 도 2d에 도시된 가변부(10)로서 마련되는 구성이 각각 상이하므로, 각각의 도면 도 2a, 도 2b, 도 2c, 도 2d를 통해 설명한 각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임피던스가변값들 역시 상호 상이한 데이터일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a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가변부(10)로서 가변 인덕터(L)를 채택한다. 즉, 도 2a에 따르는 실시예에서의 임피던스가변값은, 각각의 방송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주파수를 수신할 때,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켜 전압정재파비를 바람직한 작은 값으로 조정하도록, 가변 인덕터(L)를 포함하는 가변부(10)의 임피던스값을 조정하는 실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실험치일 것이다.
그리고, 도 2b에 따르는 실시예에서는 가변부(10)로서 가변 캐패시터(C)를 채택한다. 즉, 도 2b에 따르는 실시예에서의 임피던스가변값은, 각각의 방송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주파수를 수신할 때,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켜 전압정재파비를 바람직한 작은 값으로 조정하도록, 가변 캐패시터(C)를 포함하는 가변부(10)의 임피던스값을 조정하는 실험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실험치일 것이다.
이상,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방송신호처리장치는, 사용자입력부(60)를 통해 선택되는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가변부(10)의 임피던스값을 조정함으로써, 방송채널 전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 부정합을 해결하여,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는 방송신호처리장치는, 무선안테나 길이가 하나의 방송채널에 대응하도록 고정되기 때문에 방송채널 간의 수신 능력 차이가 발생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방송신호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르는 방송신호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방송신호처리장치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안테나(1)와 무선안테나(1)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선국하는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해, 임피던스값을 조정하는 가변부(10)를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 사이에 마련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것을 실시예로 한다.
마이컴(56)은 사용자입력부(60)를 통한 사용자에 조작에 의해, 방송채널의 선택되면 선택되는 방송채널을 선국하도록 RF모듈(20)을 제어한다(S10). 이에, 마이컴(56)은 선택되는 방송채널을 선국하고 선국된 방송채널의 방송을 방송출력부(40)로 출력하도록 RF모듈(20) 및 방송신호처리부(30)를 제어한다. 이때, 마이컴(56)은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가 상기 선국되는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여 부정합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20). 이는,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가 상기 선국되는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여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 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한 임피던스값과 상이한지 여부를 마이컴(56)이 판단함으로써 S20단계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마이컴(56)은 각각의 방송채널에 해당하는 각각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여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한 임피던스값들을 기 저장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 간의 임피던스가 현재 선국된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값과 상이하여, 현재 선국된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여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가 부정합하다고 판단되면, 마이컴(56)은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 간의 임피던스를 선국된 현재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값이 되도록 조정한다(S30). 이에, 선국된 방송채널에 따른 방송신호를 수신하는데 있어서,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가 정합된다(S40).
여기서, S30단계에서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 간의 임피던스를 선국된 현재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값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은, 마이 컴(56)이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 간의 가변 인덕터의 인덕턱스와 가변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와 바렉터 다이오드의 용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시켜,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 간의 임피던스를 선국된 현재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값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S30단계에서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 간의 임피던스를 선국된 현재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값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은, 마이컴(56)이 무선안테나(1)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길이조정모터를 제어하여 무선안테나(1)의 길이를 조정하여,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 간의 임피던스를 선국된 현재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값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전술한 바와 간은 본 발명에 따르는 방송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있어서, 전압정재파비(VSWR)를 나타내는 도3의 그래프를 참조하여 방송채널 간의 수신 능력 차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무선안테나(1)의 길이가 방송채널 CH12에 대응하도록 고정된 방송신호처리장치에서, 방송채널 CH12를 선국하는 경우의 전압정재파비(a)와, 방송채널 CH8을 선국하는 경우의 전압정재파비(b)가 도시되고 있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무선안테나(1)의 길이가 방송채널 CH12에 대응하도록 고정되기 때문에, 방송채널 CH12에 대응하는 방송주파수 대역(f6~f7)을 수신하는 경우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가 정합되어 무선안테나(1)의 전압정재파비(a)는 매우 작은 바람직한 값(R1)을 갖는다. 그리고, 방송채널 CH8에 대응하는 방송주파수 대역(f2~f3)을 수신하는 경우, 방송채널 CH8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가변부 (10)의 임피던스가 조정됨에 따라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가 정합되어 무선안테나(1)의 전압정재파비(b)는 매우 작은 바람직한 값(R1)을 갖는다.
도 4를 참조하여 전술하였듯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처리장치 및 방송신호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사용자입력부(60)를 통해 선택되는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가변부(10)의 임피던스값을 조정함으로써, 방송채널 전환으로 인해 발생하는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 부정합을 해결하여, 무선안테나(1)와 RF모듈(20)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도록 한다. 이에, 방송신호처리장치 및 방송신호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무선안테나 길이가 하나의 방송채널에 대응하도록 고정되기 때문에 방송채널 간의 수신 능력 차이가 발생하고 방송 상태가 불안정해지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무선안테나를 통해 방송신호를 수신할 때, 방송채널의 전환에 따른 채널 간 수신 감도 차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송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8)

  1. 방송신호처리장치에 있어서,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안테나와;
    상기 무선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선국하는 RF모듈과;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해 임피던스값을 조정하는 가변부와;
    각각의 방송채널에 해당하는 각각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한 임피던스가변값들을 기 저장하고, 선국되는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여 기 저장된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상기 임피던스값을 조정하도록 상기 가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방송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방송채널에 해당하는 각각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상기 임피던스가변값들을 기 저장하고 상기 기 저장한 임피던스가변값들 중 상기 사용자입력부를 통해 선택되는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임피던스가변값을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해 상기 임피던스값을 조정하도록 상기 가변부를 제어하는 임피던스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 인덕터를 구비하는 임피던스정합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제어부는,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도록 상기 임피던스정합회로부에 구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변 인덕터의 인덕턴스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적어도 하나의 가변 캐패시터를 구비하는 임피던스정합회로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제어부는,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도록 상기 임피던스정합회로부에 구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변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적어도 하나의 바렉터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임피던스정합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제어부는,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도록 상기 임피던스정합회로부에 구비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바렉터 다이오드의 용량을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가변 인덕터와 가변 캐패시터와 바렉터 다이오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비하는 임피던스정합회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제어부는,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도록 상기 임피던스정합회로부에 구비되는 상기 가변 인덕터의 인덕턱스와 가변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와 바렉터 다이오드의 용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부는,
    상기 무선안테나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길이조정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임피던스제어부는,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임피던스가변값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도록 상기 무선안테나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해 상기 길이조정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
  13. 제4항과 제6항과 제8항과 제10항과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송출력부와;
    상기 RF모듈을 통해 선국되는 방송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방송출력부로 출력하는 방송신호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출력부는,
    상기 선국되는 방송신호에 따른 방송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방송신호에 따른 방송사운드를 출력하는 사운드출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
  15.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무선안테나와, 상기 무선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를 선국하는 RF모듈을 포함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선택되는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를 선국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가 상기 선국되는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여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기 위한 임피던스값과 상이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가 상기 선국된 방송채널에 대응하는 상기 임피던스값과 상이한 경우, 상기 선국된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상기 임피던스값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상기 선국된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상기 임피던스값이 되도록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가변 인덕터의 인덕턱스와 가변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와 바렉터 다이오드의 용량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변경시켜,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상기 선국된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상기 임피던스값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의 제어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안테나의 길이를 조정하기 위한 길이조정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무선안테나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기 무선안테나와 상기 RF모듈간의 임피던스를 상기 선국된 방송채널의 방송주파수에 대응하는 상기 임피던스값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신호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60020940A 2006-03-06 2006-03-06 방송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992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940A KR100992853B1 (ko) 2006-03-06 2006-03-06 방송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1/698,816 US7738850B2 (en) 2006-03-06 2007-01-29 Broadcasting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07100791417A CN101034905B (zh) 2006-03-06 2007-02-14 广播信号处理设备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0940A KR100992853B1 (ko) 2006-03-06 2006-03-06 방송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442A KR20070091442A (ko) 2007-09-11
KR100992853B1 true KR100992853B1 (ko) 2010-11-09

Family

ID=38472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0940A KR100992853B1 (ko) 2006-03-06 2006-03-06 방송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38850B2 (ko)
KR (1) KR100992853B1 (ko)
CN (1) CN10103490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193A (ko) * 2018-09-04 2020-03-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034906B (zh) * 2006-03-07 2010-05-26 日立电线株式会社 附带频率自动修正功能的可调谐接收装置
US7933574B2 (en) * 2007-11-16 2011-04-26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LNA adjustment to compensate for dynamic impedance matching
US8855554B2 (en) * 2008-03-05 2014-10-07 Qualcomm Incorporated Packaging and details of a wireless power device
JP2009253593A (ja) * 2008-04-04 2009-10-29 Sharp Corp アンテナ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信機
KR20130010089A (ko) 2008-04-21 2013-01-25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근거리 효율적인 무선 전력 송신
KR101477192B1 (ko) * 2008-08-21 2014-12-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입력 임피던스 매칭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입력 임피던스 매칭 시스템
US8497658B2 (en) 2009-01-22 2013-07-30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power control for wireless charging of devices
US7982492B2 (en) * 2009-06-13 2011-07-19 Triune Systems, Lp Adaptive termination
CN102945646B (zh) * 2012-11-09 2015-11-04 许巧智 基于收音机的具有翻译功能的导游系统及方法
JP5700055B2 (ja) * 2013-01-17 2015-04-1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アンテナ装置
US20140327508A1 (en) * 2013-05-06 2014-11-06 Qualcomm Incorporated Inductor tunable by a variable magnetic flux density component
JP6164390B2 (ja) * 2015-07-06 2017-07-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高周波モジュール
KR102369328B1 (ko) * 2015-07-15 2022-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447405B2 (ja) * 2015-08-04 2019-01-0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可変インダクタ
JP2018046353A (ja) * 2016-09-13 2018-03-22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6550A (ko) * 1994-07-30 1996-02-23 배순훈 차량탑재용 텔레비전의 수신감도 보정장치
KR19980013920A (ko) * 1996-08-05 1998-05-15 김광호 무선호출기의 상호 변조 방지회로 및 방법
KR0146683B1 (ko) * 1993-12-24 1998-08-17 정장호 주파수 스캔 기능을 갖는 무선호출 수신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1267A (en) * 1953-09-08 1958-11-18 William C Arrasmith Adjustable balanced doublet antenna with impedance matching means
GB2178616B (en) * 1985-07-26 1989-04-26 Marconi Co Ltd Impedance matching arrangement
CN1077578A (zh) * 1992-04-15 1993-10-20 宝雅制品有限公司 寻呼接收机
JP2000036702A (ja) * 1998-07-21 2000-02-02 Hitachi Ltd 無線端末
JP3689642B2 (ja) 2001-03-22 2005-08-3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用中間周波結合回路
KR20050028115A (ko) 2003-09-17 2005-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Dmb 수신기에서 수신감도 정량화 방법 및 그 장치
JP2005159827A (ja) * 2003-11-27 2005-06-16 Nec Access Technica Ltd 複数放送波を受信可能な携帯電話機
KR100576040B1 (ko) 2004-01-09 2006-05-02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안테나 튜닝 장치
KR100630453B1 (ko) 2004-06-14 2006-10-04 주식회사 니즈텍 차량용 위성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부스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6683B1 (ko) * 1993-12-24 1998-08-17 정장호 주파수 스캔 기능을 갖는 무선호출 수신기
KR960006550A (ko) * 1994-07-30 1996-02-23 배순훈 차량탑재용 텔레비전의 수신감도 보정장치
KR19980013920A (ko) * 1996-08-05 1998-05-15 김광호 무선호출기의 상호 변조 방지회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193A (ko) * 2018-09-04 2020-03-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KR102465127B1 (ko) 2018-09-04 2022-11-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38850B2 (en) 2010-06-15
US20070207753A1 (en) 2007-09-06
CN101034905A (zh) 2007-09-12
KR20070091442A (ko) 2007-09-11
CN101034905B (zh) 201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853B1 (ko) 방송신호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70042734A1 (en) Tuner and broadcasting signal receiver including the same
JP4124259B2 (ja) アンテナ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無線通信機
JPH1127593A (ja) ディジタル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電子プログラムガイド情報更新方法及び装置
US4881272A (en) Multi-band FM receiver for receiving FM broadcasting signals and TV broadcasting sound signals
US20090262034A1 (en) Antenna matching unit and high-frequency receiving unit including the same
JP3250785B2 (ja) テレビチューナ
JP2008061116A (ja) 無線受信機とアンテナ整合方法
JPH08307297A (ja) 車載用アンテナ整合装置
US7822396B2 (en) Radio receiver and method for detecting carrier waves
JP2010213061A (ja) 受信装置
KR100542569B1 (ko) 2rf 분배기 내장 튜너
JP3581788B2 (ja)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KR100669284B1 (ko) 오디오 시스템의 자동 튜닝 장치 및 방법
JP3570844B2 (ja) テレビチュ−ナ及びそのテレビチュ−ナを備えたテレビ受信機
KR101010838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기의 선호 방송 기억방법
JP3581786B2 (ja)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KR100447853B1 (ko) 방송 수신 장치의 자동 튜닝 시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그 제어방법
JP2005340994A (ja) アンテナ同調回路
KR20000003797A (ko) 신호 증폭기를 내장한 텔레비젼
JP3581787B2 (ja) テレビジョンチューナ
WO2002001860A1 (fr) Circuit integre pour terminal sans fil et recepteur de television dote d&#39;un circuit integre
KR101625675B1 (ko) 다중채널 선택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
KR19980017760A (ko) 텔레비전 튜너의 rf증폭 공용화장치
JP2012049945A (ja) 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