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2643B1 - 굴착 마모 부품용 커플링 - Google Patents

굴착 마모 부품용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643B1
KR100992643B1 KR1020047000151A KR20047000151A KR100992643B1 KR 100992643 B1 KR100992643 B1 KR 100992643B1 KR 1020047000151 A KR1020047000151 A KR 1020047000151A KR 20047000151 A KR20047000151 A KR 20047000151A KR 100992643 B1 KR100992643 B1 KR 100992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lock
latch
wea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0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0790A (ko
Inventor
라렌 에프. 존스
크리스토퍼 엠. 카펜터
데이비드 엠. 그라프
Original Assignee
에스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700472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9264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US09/899,535 external-priority patent/US6735890B2/en
Application filed by 에스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에스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40030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0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25Mountings therefor using adap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08Teeth
    • E02F9/2816Mountings therefor
    • E02F9/2833Retaining means, e.g. pins
    • E02F9/2841Retaining means, e.g. pins resili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83Wear elements for buckets or implement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CMINING OR QUARRYING
    • E21C3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machines for slitting or completely freeing the mineral from the seam, not provided for in groups E21C25/00 - E21C33/00, E21C37/00 or E21C39/00
    • E21C35/18Mining picks; Holders therefor
    • E21C35/183Mining picks; Holders therefor with inserts or layers of wear-resisting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69Redundant disconnection blocking means
    • F16B2200/71Blocking disengagement of catches or ke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18Interfitted members including separably interposed 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Earth Drill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테이퍼진 개구(30)와 상보적으로 테이퍼진 로크(16)가 제공된 마모 조립체로서, 로크(16)는 해머링에 대한 요구를 제거하도록 개구(30)로 및 개구로부터 프라이될 수 있다. 로크(16)에는 바디(70) 및 래치(72)가 형성되고 래치는 래치(72)가 개구(95)에 로크(16)를 해제가능하게 유지하도록 개구(95)에 있는 정지부(95)와 결합될 수 있는 홀딩 위치와, 래치(72)가 정지부(48)와 해제되는 해제 위치 사이로 가동된다.

Description

굴착 마모 부품용 커플링{COUPLING FOR EXCAVATING WEAR PART}
본 발명은 굴착기 등에 마모 부품을 부착하기 위한 신규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발명은 종종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위(up)" 및 "아래(down)"와 같이 상대적인 용어로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용어는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모 조립체의 배향에 대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나, 마모 조립체는 모든 종류의 배향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상대적인 용어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치형부 및 덮개와 같은 마모 부품은 다양한 굴착기의 채굴 엣지(예를 들면, 전방 단부 로더용 버켓의 전방 립)를 따라 오랫동안 고정되어 모이는 흙의 재료를 깨뜨리고 채굴 엣지가 일찍 마모되는 것을 보호한다. 마모 부품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고 빈번한 교체가 요구되는 재료의 양을 감소시키기 위해, 마모 부품은 통상적으로 다중 부품으로 이루어진다. 일 예로서, 마모 부품은 어댑터, 마모 포인트 또는 팁, 및 어댑터에 마모 부재를 제거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로크를 포함할 수 있다.
어댑터는, 용접이나 기계적 부착에 의해서 또는 버켓 립의 통합 부분으로서 주조되어서, 굴착기의 채굴 엣지에 고정되는 베이스이다. 어댑터 자체가 특히 대형 치형부에서 다수의 부재들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어댑터는 하나로 이루어진 구성 요소이다. 어떤 경우에서든, 어댑터는 마모 부재를 제위치에 고정적으로 홀딩하도록 형성된 전방으로 돌출된 노우즈부(nose)를 포함한다. 굴착 치형부에서, 마모 부재는 포인트 또는 팁이며 상기 포인트 또는 팁은 채굴 엣지로 좁아지는 상부 및 바닥 벽을 구비한 일반적인 쐐기형 형상을 갖는다. 포인트의 베이스 단부는 어댑터 노우즈부를 수용하도록 후방으로 개방된 소켓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핀의 형태인 로크가 통로로 삽입되는데, 상기 통로는 포인트의 마주 보는 벽들에 제공된 개구와 정렬되는 어댑터 노우즈부에 제공된 개구에 의해 형성된다. 통로는 노우즈부의 중앙 부분을 관통하도록 수직 또는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또는 예를 들면 참조 문헌으로 첨부된 미국 특허 제 4,965,945호에 공개된 바와 같은 외부 로크를 수용하도록 노우즈부의 외부에 형성된다.
로크를 수용하는 통로는 선형이거나 또는 곡선형일 수 있지만, 로크의 면들(sides)과 상기 로크를 수용하는 통로의 벽들은 종래에는 일반적으로 평행한 표면들로서 정의되었다. 그 결과, 로크가 치형부로 삽입되거나 치형부로부터 제거될 때, 로크의 면들이 면 대 면 접촉으로 통로의 벽들에 미끄러진다. 더욱이, 정의된 통로에 로크를 유지하여서 포인트가 손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포인트의 손실은 어댑터의 때 이른 마모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굴착물을 처리하도록 의도된 하류 기계류(downstream machinery)를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로크를 정의된 통로 내에 타이트하게 끼워서, 로크의 방출 또는 손실을 방지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로크의 이러한 슬라이딩 작용은 상당한 마찰 저항을 발생시킨다. 종래에는, 로크를 통로 내로 억지로 밀어넣고 통로로부터 억지로 빼내기 위해서 대형 해머를 필요로 했다. 이는 이 기술 분야에서의 조작자에 대해 성가시고 시간을 많이 소모하는 일이 되었다.
본 발명은 반복된 해머 치기(hammer blow)가 요구되지 않고 로크가 마모 조립체(예를 들면, 치형부)로 삽입되거나 치형부로부터 제거되도록 하는 신규한 구성에 의해 로크를 삽입 및 제거하는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퍼진 로크가 상보적인 개구내에 수용되고 로크가 프라이 도구(prying tool)에 의해 삽입 및 제거될 수 있다. 이 같은 협력적인 로크 및 개구의 사용은 굴착 작동시 사용가능한 다른 유형의 마모 부재들(예를 들면, 포인트 및 덮개)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마모 조립체가 가지는 테이퍼진 개구는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로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구성에서, 개구는 전방 및 후방 벽들이 개구의 유입 단부로부터 멀리 연장함에 따라서 상기 전방 및 후방 벽들이 수렴하도록 테이퍼진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개구는 일반적으로 3개의 수직한 방향으로 좁아진다. 바람직하게는 개구는 또한 로크를 개구에 해제가능하게 보유하기 위한 정지부 및 로드 하에서 로크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것에 도움이 되는 노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서, 로크는 일반적으로 테이퍼진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나의 단부를 향하여 수렴된다. 로크의 테이퍼진 형상에 의해, 일반적으로 평행한 측벽들을 구비한 로크와는 달리, 로크가 통로 내로 및 밖으로 배치될 때 로크가 통로의 측벽들과 면 대 면 접촉으로 미끄러지지 않으며 높은 마찰 저항을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로크는 해머를 사용하지 않고 통로 내로 및 통로 밖으로 프라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서, 프라이 도구는 로크의 래치를 해제하여 개구로부터 로크를 당기도록 회전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마모 부재(예를 들면, 포인트)는 이어부(ear)를 가지며 이어부는 어댑터 노우즈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소켓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다. 이어부가 포함하는 테이퍼진 슬롯 또는 개구는, 테이퍼진 로크가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상기 테이퍼진 로크를 수용 및 지지하는데, 상기 테이퍼진 로크가 슬롯 내로 부분적으로만 끼워졌을 때에는 슬롯의 면들에 대한 마찰 슬라이딩이 발생하지 않는다. 로크와 슬롯 사이의 완전한 면 대 면 맞물림은 로크가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만 발생한다. 로크가 구비하는 래치는, 치형부의 사용 동안 제 위치에 로크를 홀딩하도록 치형부에 제공된 형성부와 협력한다.
도 1은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치형 포인트부(tooth point)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치형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치형부의 종방향 축선으로부터 측방향 외측으로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포인트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포인트의 하나의 후방 측부 외부의 부분 측 사시도이다.
도 4는 치형부의 로크를 수용하도록 포인트에 형성된 슬롯으로 하방으로 본 부분 평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로크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로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로크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치형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로크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로크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의 로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포인트를 구비한 로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로크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로크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로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로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로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탄성 부재가 생략된 로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19는 로크되지 않은 위치에서 래치를 구비한 도 18의 로크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20은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포인트와 로크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비한 치형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로크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로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포인트와 로크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비한 치형부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로크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로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포인트와 다른 로크를 구비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로크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6의 로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는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포인트와 로크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비한 치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로크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로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2는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포인트와 로크의 또 다른 실시예를 구비한 도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로크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34는 도 32의 로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5는 래칭된 상태에서 래치를 구비한 도 32의 로크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36은 래칭되지 않은 상태에서 래치를 구비한 도 32의 로크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37은 프라이 도구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38은 프라이 도구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9는 프라이 도구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로크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이다.
도 40은 노우즈 및 거의 로크의 래치가 생략되고 작동을 위해 제 위치에 있는 프라이 도구를 구비한 마모 조립체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41은 래치를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도구가 회전하는 것을 제외하고 도 38과 동일한 도면이다.
도 42는 본 발명에 따른 마모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3은 마모 부재와 어댑터 사이의 로크 조립부를 구비한 마모 조립체의 부분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굴착기용 마모 조립체, 특히 굴착기의 채굴 엣지에 마모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커플링 구성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구성으로, 본 발명의 커플링은 어댑터(12), 마모 부재(14), 및 어댑터에 마모 부재를 홀딩(holding)하기 위한 로크를 포함한다. 로크의 수 개의 변형예가 동일한 어댑터(12) 및 마모 부재(14)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아래 공개되어 있다(비록 소정의 작은 변형이 실시예의 일부를 위해 제시되었지만). 어댑터 및 마모 부재에서의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이 또한 덮개와 같이, 다른 마모 부재에 관한 것이지만, 마모 부재가 굴착 치형부용 팁 또는 포인트로서 아래 설명된다.
제 1 실시예에서, 치형부(10)는 어댑터(12), 포인트 또는 팁(point or tip; 14) 및 로크(16)(도 1 내지 도 7)를 포함한다. 어댑터는 장착 단부(18)(전부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장착 단부는 용접, 기계적 부착 또는 립의 일 부분으로서 캐스팅됨으로써 굴착기의 전방 립에 고정되도록 적용된다. 통상적으로, 장착 단부 는 한 쌍의 분기된 레그를 포함하고 한 쌍의 분기된 레그는 립에 걸쳐 제 위치에 용접된다. 비록 하나의 피스로 된 어댑터가 도시되었지만, 어댑터(12)는 또한 립에 고정된 베이스 성분 및 전방 돌출 노우즈부(forwardly projecting nose)를 형성하는 전방 성분을 구비한 다중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중 피스 어댑터에서, 성분들은 통상적으로 제거가능한 로크 부재에 의해 서로 부착된다. 소정의 경우, 어댑터의 노우즈부(20)는 포인트(14)(또는 다른 마모 부재)를 지지하도록 립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다. 노우즈부는 특별한 포인트를 지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필요한 또는 원하는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오직 일 예로서, 노우즈부는 미국 특허 제 4,469,648호에 공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미국 특허 제 4,469,648호는 참조문헌으로 본 명세서에서 참조된다. 이러한 예에서, 노우즈부는 로크(16)의 전방면에 접하고 외부 로킹 조립체를 형성하도록 하나의 측벽을 따라 후방 직면 레지(22)를 포함한다.
외부 로킹 조립체가 어댑터로 치형 포인트를 고정하기 위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의 테이퍼진 로크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는 노즈 및 포인트의 중앙 부분을 통하여 수직 또는 수평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경우, 개구의 테이퍼진 형상은 포인트에서가 아닌 어댑터 노우즈에 주로 형성된다. 더욱이, 개구는 덮개의 장착 부분 또는 굴착기에 고정된 보스 등의 다른 마모 부재 조립부와 같은 다른 구성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조립체에서, 개구는 더 넓은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즉 핀형 로크를 수용하도록 적용되지 않음) 및/또는 로크를 수용하도록 마모 부재의 다양한 부분에 개방 유입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성에 따라, 포인트(14)는 채굴 엣지(27)(예를 들면 도 8 참조) 및 측벽(28, 29)으로 수렴되는 상부 및 바닥 벽(24, 26)을 구비한 일반적인 쐐기형 구성을 가진다. 소켓(30)은 어댑터(12)(도 1 내지 도 4)의 노우즈부(20)를 수용하도록 후방 벽(32)에서 개방된다. 소켓(30)의 내부 벽(34)은 노우즈부의 형상을 보상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예에서, 소켓 및 노우즈는 본 명세서에 참조문헌으로 첨부된 미국 특허 제 4,335,532호에 공개된 바와 같은 나선형 나사부(helical threads)가 형성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어떠한 노우즈부 및 소켓 형상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구성에서, 이어부(38)는 후방벽(32)을 넘어 소켓(30)의 후방으로 연장한다. 이어부(38)의 내부면(40)은 슬롯 또는 개구(42)를 포함한다. 어댑터의 레지(22) 및 측부(43)와 협동하는 슬롯은 어댑터에 포인트를 홀딩하는 로크를 수용하기 위한 통로(41)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하나의 구성에서, 슬롯(42)은 로크를 수용하도록 유입 단부(45)를 형성하도록 이어부(38)의 상 측부(44)를 따라 개방된다. 그리고나서 슬롯은 이어부의 바닥 단부(46)(도 2 내지 도 4)를 향하여 수렴되거나 테이퍼진다. 바닥 단부(46)는 미세한 입자들이 슬롯으로 밀려들어가 로크에 상방 압력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슬롯(42)은 이어부(38)를 통하여 완전히 연속되고 개방 바닥 단부(도시안됨)를 형성한다. 이 같은 배치에서, 슬롯(42)은 상부로부터 바닥부로 연속적으로 테이퍼질 수 있거나, 슬롯의 바닥 단부가 선형 형상으로 로크 아래로 연장하거나 실제로 어떠한 형상을 가지는 스템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슬롯에는 로크를 슬롯에 홀딩하는 정지부가 더 제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정지부(48)는 포인트(14) 상의 돌출부로서 형성되어서 슬롯(42)의 맨 위 상에서 소켓(30)의 후방으로 연장하고, 로크를 슬롯에 홀딩하도록 래치와 협력한다. 정지부(48)가 슬롯(42)의 전방벽(50)으로부터 연장하는 것으로서 도시되었지만, 이와 달리 정지부는 적절히 구성된 로크를 구비한 어댑터(12)로부터 또는 포인트의 측벽(54) 또는 후방 벽(52)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더욱이, 비록 도시되지 않았지만, 정지부는 래치의 돌출부를 수용하는 캐비티, 또는 돌출되어 로크의 개구로 조립되는 래치일 수 있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비록 하나의 방향으로의 테이퍼링만이 본 발명의 장점을 제공하지만, 슬롯 또는 개구(42)가 3방향으로 테이퍼져 로크(16)에 대한 용이한 삽입 및 제거를 제공하도록 상대적으로 형성된 로크 및 로드(도 1 내지 도 4)를 견뎌내는 더 큰 베어링 표면을 수용한다. 첫번째, 전방 및 후방 벽(50, 52)은 바닥 벽(56)을 향하여 연장할 때 좁아진다. 후방 벽(52)은 로크와 결합되어 포인트를 어댑터에 홀딩하는 제 1 베어링 표면이며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평평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방 및 후방 벽이 로크를 수용하도록 적용된 슬롯의 길이를 따라 수렴되는 한, 전방 및 후방 벽(50, 52)은 평형, 만곡형, V형 이거나 또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슬롯의 길이의 실질적으로 모두 또는 모두에 걸쳐 좁아지는 벽이 바람직한 반면, 벽은 길이의 일 부분에만 걸쳐 좁아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렴되지 않는 형상에 의해 발생된 저항이 슬롯으로 및 슬롯으로부터 로크를 프라이하는 능력을 방해하지 않는 경우 슬롯의 작은 길이(예를 들면, 슬롯의 바닥 단부)는 좁아지지 않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슬롯의 부분들은 매우 다양한 형상(예를 들면, 선형, 다양한 각도로 하방으로 발산, 비규칙적, 또는 하방으로 수렴)을 가질 수 있으며 로크가 개구로 및 개구로부터 프라이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사용하는 동안 로크를 위한 충분한 지지를 제공하도록 완전히 삽입될 때 슬롯의 충분한 부분이 좁아질 수 있고 로크와 결합되는 한 매우 다양한 형상이 수렴되거나 로크와 결합되지 않는다.
두번째, 전방 및 후방 벽(50, 52)의 폭 각각은 전방 및 후방 벽이 바닥 벽(56)으로부터 슬롯의 개방 상 단부로 연장할 때, 넓어져, 전방 및 후방 벽(50, 52)이 슬롯(42)의 바닥부 보다 상부가 더 넓다. 즉, 측벽(54)은 수직 축선(57)으로 기울어져 측벽(54) 및 수직 축선(57)이 바닥 벽(56)을 향하여 수렴된다. 이러한 배치에서, 슬롯의 측벽(54)은 포인트의 측벽(28, 29)을 이등분하는 소켓(30)의 중앙면에 대해 경사지고 소켓의 종축선(즉, 소켓내의 노우즈의 삽입 축선)을 따라 연장하여, 측벽(54)이 슬롯의 유입 단부(45)로부터 연장할 때 슬롯의 측벽(54)이 소켓의 중앙면을 향하여 좁아진다. 스넝 결합(snug engagement)은 로크가 통로(41)로 완전히 조립될 때 바람직한 반면, 로크가 통로(41)로 그리고 통로로부터 프라이되지 않도록 로크가 측벽(54) 및 어댑터(12)의 측부(43) 사이에 타이트하게 홀딩되지 않는 경우 측벽(54)은 축선(57)에 대해 거의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슬롯(42)은 또한 바닥 벽(56)이 후방으로 확대되고 후방 벽(52)의 부분들이 전방 벽(50)의 대응하는 부분 보다 더 넓어지도록 전방 벽(50)으로부 터 후방 벽(52)으로 넓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슬롯(42)의 확대가 보통 어댑터로 포인트를 홀딩하는 이러한 표면에 적용되는 더 큰 힘을 견뎌내는 더 큰 표면 영역을 제공하도록 전방 벽(50) 보다 더 넓은 후방 벽(52)을 발생시킨다. 전방 벽(50)은 포인트(14)의 바디(58)로 이어부(38)의 커플링에 대한 더 큰 강도를 제공하도록 후방 벽(52) 보다 더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벽(50)으로부터 후방 벽(52)으로의 슬롯의 확대가 바람직하지만, 원하는 경우 제거될 수 있다.
노치(60)는 이어부(38)의 강도의 지나친 약해짐없이 후방 벽(52)의 베어링 표면을 증가시키고 특히 무거운 로딩하에서, 로크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슬롯(42)의 상부 후방 코너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부가 레지(ledge; 22)로부터 측방향으로 오프셋되기 때문에, 포인트(14)상의 전방으로 향하는 힘이 로크에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는 노치(60)에 수용되는 돌출부와 로크의 일반적인 직사각형의 횡단면에 의해 견딜 수 있으며, 이는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슬롯(42)과 같이, (1) 전방 및 후방면(62, 64)이 슬롯의 개방 단부를 향하여 연장할 때 전방 및 후방면(62, 64)이 발산하고, (2) 전방 및 후방면(62, 64)이 슬롯의 개방 단부를 향하여 연장할 때 전방 및 후방면(62, 64)이 넓어지고, (3) 후방면(64)이 전방면(62)의 대향 부분들 보다 더 넓어지도록, 노치(60)는 또한 3개의 방향으로 테이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치의 다른 배치가 가능하다. 후방 벽(52)은 또한 후방 벽의 표면 영역을 더 증가시키도록 상 단부에서 부가적인 내측 연장부(66)가 제공되고 어댑터 상의 포인트의 장착을 방해하지 않고 레지(22)에 더 직접 대향되는 일 부분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60)의 사용이 바람직하지만, 노치의 사용이 로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수단에 의해 대체되거나 소정의 사용을 위해 제거될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서, 로크(16)는 바디(70), 래치(72) 및 탄성 부재(도 1 및 도 5 내지 도 7)를 포함한다. 바디(70)는 전방 및 후방면(76, 78)을 포함하며, 로크가 슬롯으로 완전히 삽입 될 때, 전방 및 후방면은 슬롯(42)의 전방 및 후방 벽(50, 52)에 대응하여 접하는 것이, 즉 로크(16)의 전방면(76)이 전방 벽(50)과 접하고 후방면(78)이 후방 벽(52)하고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 및 후방면(76, 78) 및 전방 및 후방 벽(50, 52)이 부분적으로만 결합될 수 있는 반면, 전방 및 후방면 및 전방 및 후방 벽이 슬롯(42)의 길이를 따라 서로 실질적으로 완전한 베어링 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강제하에 있을 때 또는 해제 및 마모가 치형 조립체에서 발전할 때, 로크는 포인트의 이어부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로크(16)는 슬롯(42)에 정합적으로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로크(16)는 3개의 방향으로 테이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번째, 로크의 바닥면(80)을 향하여 연장될 때 전방 및 후방면(76, 78)이 좁아진다. 두번째, 바디(70)의 측부면(82, 84)이 바닥면(80)을 향하여 연장할 때 바디의 측부면도 좁아진다. 세번째, 측부면(82, 84)이 전방면(76)을 향하여 연장할 때 측부면이 좁아진다. 이러한 테이퍼진 구성으로, 로크는 해머링없이 치형부 내측 및 외측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핀과 통로의 측부 사이에 상당한 마찰이 발생하는 평행한 측부를 구비한 종래의 로크 핀과 달리, 로크가 완전히 슬롯(42)에 완전히 세팅될 때까지 로크(16)의 표면(76, 78, 80, 82)은 마주하는 벽(50, 52 및 43, 54)과 면 대 면 마찰 슬라이딩 접촉으로 가압되지 않는다. 전방 및 후방 표면(76, 78)의 테이퍼는 완전히 조립되지만 삽입하는 동안 면 대 면 슬라이딩 마찰 접촉을 피하는 경우, 종방향(즉, 가장 큰 로딩 방향)으로 로크와 슬롯 사이의 유용한 조립을 제공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다른 두 개의 직교 방향으로 로크의 테이퍼링이 바람직한 반면, 개구로 그리고 개구로부터 로크가 프라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로크는 측벽(54)과 측부(43) 사이에서 매우 타이트하게 수용되지 않는 경우, 측면(82, 84)은 수직 방향[즉, 버튼 표면(80)을 향하여 테이퍼지지 않는]으로 거의 평행할 수 있다. 더욱이, 충분한 표면적이 예상되는 로드를 위한 후방면(78)과 후방벽(52) 사이에 존재하는 경우, 측면(82, 84)은 또한 종방향[즉, 전방면(76)을 향하여 테이퍼링되는 측면(82, 84) 없이]으로 거의 평행할 수 있다.
돌출부(86)가 노치(60)내에 조립하도록 측면(82)의 상단부에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로크(16)가 슬롯(42)내에 완전히 조립될 때 돌출부(86)가 노치(60)내에 정합 조립된다. 로크가 어댑터(12)의 레지(22)와 결합되도록 이어부(38)로부터 내측으로 연장하도록 바디(70)는 슬롯(42) 보다 측방향으로 더 넓다. 상술된 바와 같이, 이어부(38) 및 레지(22)의 오프셋 구성은 로크상에 토크가 배치되는데, 토크는 노치(60)에 돌출부(86)의 수용 및 바디(70)의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단면에 의해 저지된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바디(70)는 전방 지지부(87)를 더 포함하는데, 전방 지 지부는 포인트(14)의 후방 벽(32)과 접하도록 슬롯(42) 위로 전방으로 연장한다. 로크와 포인트 사이의 부가적인 결합은 슬롯(42)에 있는 로크의 장착을 안정되게 한다. 그리고나서, 마모 또는 다른 이유 때문에 치형부내에서의 전개가 느슨하게 되는 경우, 로크는 로크의 손실을 감소하도록 포인트에 안정적으로 홀딩된다.
래치(72) 및 탄성 부재(74)는 바디(70)의 상부에 형성된 리세스(90)내에 각각 수용된다. 래치(72)는 하단부에 피봇 핀(92)을 포함하는데, 하단부는 피봇 축선(97)을 형성하도록 홀(93)내에 수용된다. 따라서, 래치는 로크가 슬롯(42)내에 홀딩되는 래칭 상태와 로크가 슬롯으로부터 이동할 수 있는 언래칭 상태에서 축선(97)에 대해 이동한다. 쇼울더(shoulder; 94)는 래칭 상태에서 정지부(48)와 결합하도록 래치(72)의 중간 부분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95)는 정지부(48)의 수용부를 수용하도록 쇼울더(94) 위에 형성된다.
래치(72)의 상부(101)는 바디(70)의 상부에 걸쳐 측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방면(103)은 프라이 표면을 형성하는데, 프라이 표면에 의해 래치(72)가 언래칭 상태로 이동할 수 있다. 바디(72)의 상부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 레일(105)은 상부(101)의 하부면(109)에 있는 상보적인 홈(107)에 수용된다. 이 레일 및 홈(105, 107) 구성은 바디의 래치의 이동을 안정화하여, 래치가 리세스(90)의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홀(93)에 피봇 핀(92)을 유지한다. 홈(107)의 후방 단부는 래치의 외향 피봇팅을 제한하도록 가이드 레일(105)의 후방 단부에서의 인접 접촉하는 후방 벽(도시안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부(101)는 로킹된 상태에서 전방 지지부(87)의 후방으로 약간 이격되어 후방 벽(32)과의 접촉이 래치에 가압되지 않는다.
탄성 부재(74)는 리세스(90)의 지지면(96)과 래치(72) 사이에 끼워져 명목적으로 래칭된 상태로 래치를 바이어싱한다. 탄성 부재(74)는 네오프렌 또는 러버와 같은 일래스토머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탄성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다른 스프링(도시안됨)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래치(72)와 지지면(96)에 의해 인가된 압축력에 의해 제위치에 홀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즉 인접부(111)는 탄성 부재(74)가 항상 압축 로드하에 있도록 래치(72)가 정지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탄성 부재(74)는 이러한 성분 중 하나로 일래스토머를 몰딩하거나 접착함으로써 래치(72) 및/또는 지지면(96)에 고정될 수 있다. 래치(72)는 특히 탄성 부재가 압축력에 의해서만 유지될 때 상방으로 느슨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호하도록 탄성 부재(74)의 적어도 일 부분 위에 놓이는 핑거(finger; 106)를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슬롯(42)으로부터 로크(16)를 제거하도록, 래치가 탄성 부재(74)의 바이어스에 대해 언래칭 상태로, 즉 쇼울더(94)가 정지부(48)로부터 해제되는 상태로 지지면(96)을 향하여 이동한다.
이용될 때, 포인트(14)는 어댑터(12)에 조립되어 노우즈부(20)가 소켓(30)(도 1)내로 수용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이어부(38)에 형성된 슬롯(42)은 레지(22)의 후방으로 위치된다. 포인트가 어댑터 노우즈에 완전히 배치될 때, 로크(16)는 슬롯(42), 레지(22) 및 측부(43)에 의해 형성된 통로(41)로 삽입된다. 슬롯(42)과 로크(16)의 테이퍼진 구성 때문에, 로크는 해머링없이 슬롯으로 조립된다. 소정의 구성에서 도구없이 로크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는 반면, 어댑터로 포인트의 타이트한 조립을 위한 요구가 도구 없이 로크가 슬롯(42)내의 위치로 수동으로 완전히 조립되는 것을 통상적으로 방지한다. 로크는 프라이 도구(T)의 이용을 통하여 설정 위치로 프라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라이 도구의 자유 단부(F)는 도구에 대해 설정되어 자유 단부가 후방 벽(32)과 결합되고 도구의 자루(S)가 래치(72)의 상부(101)의 상면에 놓인다(도 1). 프라이 도구(T)의 자유 단부(F)는 부가 탭(예를 들면, 도 42에서와 같이) 또는 조립체에 이미 존재하는 소정의 형상에 의해 고정된다. 프라이 도구(T)는 그리고나서 펄크럼으로서 작용하는 도구의 자유 단부로 수동 압력을 통하여 후방 및 하방[일반적으로 화살표(102)의 방향으로]으로 가압되어 래치의 상부(101)에 하방으로 가압되어 제위치에 로크(16)가 설정된다. 로크가 통로(41)로 이동할 때, 정지부(48)는 래치가 정지부를 클리어할 때 까지 탄성 부재(74)에 대해 후방으로 래치(72)를 가압하는데, 이때 래치는 래칭된 상태로 스냅되어 슬롯(42)에 로크를 홀딩한다. 비록 프라이가 바람직하지만, 로크는 원하는 경우 해머로 삽입될 수 있다. 비록 해머가 사용된 경우, 로크의 삽입 과정 중 로크는 로크(16) 및 슬롯(42)의 테이퍼링에 의해 매우 용이하게 된다.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서, 로크(16)는 슬롯(42)에 정합 수용되어 로크(16)의 전방, 후방 및 측면(76, 78, 82)이 각각 슬롯(42)의 전방, 후방 및 측벽(50, 52, 54)에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다가, 전방 지지부(87)는 포인트(14)의 후방 벽(32)과 접한다.
로크(16)가 어댑터(12)의 레지(22)와 결합되도록 슬롯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로크(16)가 슬롯(42) 보다 더 넓다. 대부분의 조립체에서, 로크의 삽입은 로크(16)의 전방면(76)이 어댑터(12)의 레지(22)와 후방면(78)에 대해 가압되 어 어댑터(12)로 포인트(14)를 더 멀리 당기도록 슬롯(42)의 후방 벽(52)에 가압된다.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서, 전방면(76)은 레지(22)에 대향되고 후방면(78)은 후방 벽(52)에 대향되어 포인트를 어댑터에 홀딩한다. 로크가 슬롯(42)에 수용되어 래치(72)와 정지부(48)의 결합에 의해 유지되기 때문에, 로크는 슬롯(42)내에 위치하고 성분의 마모가 전방면(76)과 레지(22) 사이의 갭 또는 느슨함을 발생시키는 경우 여전히 포인트를 어댑터에 홀딩한다.
로크(16)가 어댑터로부터 포인트를 제거하고자 할 때 로크(16)는 프라이 도구(T)에 의해 슬롯(42)으로부터 프라이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프라이 도구의 자유 단부는 후방 벽(32)과 래치(72)의 프라이 표면(103) 사이로 삽입된다. 그리고나서 프라이 도구의 상단부는 포인트(14)의 후방이 펄크럼을 형성하면서, 전방 및 하방[일반적으로 화살표(104)의 방향으로]으로 가압되어, 자유 단부(F)가 후방 및 하방으로 회전한다. 프라이 도구의 이러한 이동은 첫번째로 래치를 후방 언래칭 상태로 가압하고, 그리고나서 슬롯으로부터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방으로 로크를 가압한다. 홀(93)에서의 피봇 핀(92)의 상호 연결은 로크가 래치와의 결합을 통하여 슬롯으로부터 프라이되도록 한다. 비록 프라이가 로크(16)의 바람직한 제거 방법이지만, 슬롯(42)이 이어부(38)를 통하여 완전히 연장되는 일 부분을 포함하는 경우, 래치가 첫번째로 도구에 의해 해제되는 경우, 로크가 해머링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후술되는 로크(16) 및 다른 것에 대한 래치 조립체가 테이퍼진 로크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여기서 다양한 로크를 위해 상술된 래치 구성이 로크에 사용될 수 있으며 로크는 테이퍼지지 않은 바디를 가지고 및/또는 해머링에 의해 치형 조립체로 삽입되거나 치형 조립체로부터 제거되도록 의도된다.
더욱이, 래치는 또한 굴착 마모 조립체내에 로크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여기서 로크 바디는 기다란 핀 형상이 아닌 형상(예를 들면 볼록 형상)을 갖는다. 일 예로서만, 여기서 설명된 래치 구성이 개구에 로크를 유지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 공개된 래치 배치 대신, 본 명세서에 참조문헌으로 첨부된 미국 특허 제 5,653,048호에 설명된 바와 같은 블록 형상 로크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로크(16)를 사용하여, 로크(16)에 있는 리세스(96) 및 홀(93)과 같은, 리세스 및 홀이 유사한 래치 및 탄성 부재를 수용하도록 블록형 로크 바디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나서 래치는 키퍼(keeper)와 결합된 래칭 상태와 로크의 제거를 허용하도록 언래칭 상태 사이에서 반드시 동일한 방식으로 이동된다. 본 명세서에 공개된 다른 래치 구성은 또한 핀 형 바디에 대향된 것으로서 블록형 바디로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로크(125)는 통로(41)로 삽입되어 어댑터(도 8)로 포인트를 홀딩한다. 로크(125)는 바디(127), 래치(129)와 탄성 부재(131)(도 9 내지 11)를 포함한다.
바디(127)는 전방면(133), 후방면(135) 및 측면(137, 139)을 갖는다. 로크(16)에 대해, 로크(125)는 3개의 방향으로 테이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전방 및 후방면(122, 125)이 바닥면(141)을 향하여 연장할 때 전방면 및 후방면이 수렴된다. (2) 측면이 바닥면(141)을 향하여 연장할 때 측면(137, 139)이 수렴된 다. 그리고 (3) 측면(137, 139)이 전방면(133)을 향하여 연장할 때 측면이 수렴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크(16)의 바디에 대해 상술된 다른 구조적 변형도 로크(125)의 바디(127)에 적용가능하다.
리세스(141)는 래치(129) 및 탄성 부재(131)를 수용하도록 바디(127)의 상부에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L형 후드(143)는 리세스의 후방 측부를 따라 다른 레그(147)와 리세스(141)에 걸쳐 하나의 레그(145)와 함께 연장하도록 형성된다. 레그(147)의 하단부는 슬롯(42)의 후방 벽(52)과 접하고 로딩하에서 로크의 회전을 견디도록 더 큰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노치(44)에 수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그(145)는 탄성 부재(131)를 마모로부터 보호하고 통로(41)로부터 로크(125)를 리프팅하도록 지지부를 제공한다. 또한, 전방 지지부(148)는 포인트에 로크의 장착을 안정화하도록 하는 포인트(14)의 후방 벽(32)과 접촉하도록 레그(145)를 넘어 돌출된다.
탄성 부재(131)는 네오프렌, 러버 등으로 구성되는 일래스토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부재가 제위치에 일래스토머를 기계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로크 또는 접착제로 고정되지만, 탄성 부재가 리세스내로 몰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래치(129)는 탄성 부재(131)의 전방면(149)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래치(129)는 슬롯(42)에 로크(125)를 홀딩하도록 포인트(14)의 정지부(48)를 수용하여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리세스(151) 및 쇼울더(153)를 포함한다. 프라이 표면(157)을 구비한 프라이 돌출부(155)는 래치(129)의 상단부에 형성된다.
사용중, 포인트가 어댑터 노우즈부(20)(도 8)에 배치될 때 로크(125)가 슬롯(42)으로 삽입된다. 제 1 실시예에서, 프라이 도구는 로크(125)와 포인트(14)의 후방 벽(32) 사이에 삽입되어 후방 및 하방으로 회전하여 프라이 도구가 로크(125)를 슬롯(42)으로 하방으로 가압한다. 로크(125)의 후방면(135)은 슬롯(42)의 후방 벽(52)과 결합되고 전방면(133)은 로크가 삽입될 때 노우즈부(20)로 포인트(14)를 타이트하게 당기도록 어댑터(12)의 레지(22)에 대해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크(125)의 이러한 하방 운동은 쇼울더(153)가 정지부(48)와 결합될 때까지 계속된다. 인정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쇼울더(153)가 정지부(48)를 지나 이동할 때 탄성 부재(131)는 래치(129)를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여, 로크가 슬롯(42)으로 완전히 삽입될 때 쇼울더(153)가 정지부(48)와 결합되어 래치 상태로 역으로 스냅되도록 한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로크(125)는 로크(16)와 동일한 방식으로 슬롯(42)에 세팅된다.
슬롯(42)으로부터 로크(125)를 제거하기 위해, 프라이 도구는 로크(125)와 포인트(14)의 후방 벽 사이에 다시 삽입된다. 프라이 도구는 전방 및 하방으로 회전하여 프라이 도구의 자유 단부는 래치(129)의 프라이 표면(157)과 결합되어 정지부(48)로부터 쇼울더(153)를 후퇴시켜 통로(41)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로크(125)를 당긴다. 도구는 프라이 표면(157a 또는 157b)을 가압한다. 비록 이러한 실시예에는 래치용 피봇 핀이 없지만, 래치가 프라이 도구에 의해 상단부에서 후방으로 가압될 때 래치(125)는 바닥 단부에 대한 유사한 피봇 운동으로 필수적으로 이동한다. 래치(129)의 상부면(159)은 바디(127)의 레그(145)와 접하여 슬롯(42)으로부터 로크(125)의 제거를 위한 지지부를 제공한다.
로크(125a)(도 12 내지 15)는 로크들(16 및 125)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한 것이다. 로크(125a)는 바디(127a), 래치(129a) 및 탄성 부재(131a)를 포함한다. 로크(125)와 동일한 방식으로, 바디(127a)는 3개의 방향으로 테이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127a)는 또한 리세스의 후방 측부를 따라 후부 레그(147a)와 리세스(141a)에 걸쳐 하나의 레그(145a)를 가지는 일반적인 L형 후드에 의해 상부 부분을 따라 경계진 리세스(141a)를 포함한다. 레그(147a)의 바닥 단부는 레그(147)와 같이 노치로 수용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돌출부는 노치 및 돌출부의 다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사각형이 아닌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다. 로크가 슬롯(42)으로 완전히 삽입될 때 전방 지지부(148a)는 레그(145a)와 래치(129a)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포인트(14)의 후방 벽(32)과 접한다.
로크(16) 처럼, 래치(129a)는 바디(127a)에 형성된 홀(93a)내에 조립되는 하부 피봇 핀(92a)을 포함한다. 래치(129a)는 쇼울더(94a)를 포함하고 로크가 완전히 삽입된 위치에 있을 때 쇼울더는 정지부(48)와 래칭 상태로 탄성 부재(131a)에 의해 전방으로 바이어싱된다. 탄성 부재(131) 처럼, 탄성 부재(131a)는 래치(129a)가 후방으로 가압될 때 조립체의 압축을 수용하도록 홀(132a)이 형성된다. 홀(132a)은 사용하는 동안 미세물이 홀로 컴팩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압축가능한 포옴으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129a)는 후방면(135a)(도 14 및 도 15)에 팽창 포트(134a)가 도시되어 있으며, 팽창 포트는 탄성 부재(131a)가 팽창하도록 부가적인 공간을 허용하며, 즉 탄성 부재는 러버와 같은 비 압축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필요하고 래치가 홀(132a)에 의해 제공된 것보다 후방으로 가압될 때 팽창하기 위한 더 많은 공간이 필요할 수 있다. 다른 팽창 포트도 바디의 강도가 의도적인 사용을 위해 절충되지 않는 한 바디에 형성된다. 더욱이, 이같은 팽창 포트는 여기서 공개된 임의의 실시예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탄성 부재는 포옴 러버와 같은 압축가능한 재료로 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부 레그(145a)는 리세스(141a)의 측벽(148a)을 따라 연장하는 홈(146a)을 형성한다. 도 1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릿지(150a)는 홈내에서 조립되도록 래치(129a)의 상부를 따라 형성되어 유지되고 래치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유사하게, 탄성 부재(131a)는 리세스(141a)내에 부품을 더 잘 유지하도록 또한 홈(146a)내에 수용되는 릿지(152a)를 포함한다. 탄성 부재는 벌브형 형성부(bulb-like formation; 153a)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벌브형 형성부는 리세스(141a)로부터 탄성 부재의 전방 이동을 방지하도록 레그(145a, 147a)의 삽입시 유사한 형상의 캐비티내에 조립된다. 또한, 로크(125)와 같이, 탄성 부재(131a)는 접착제 또는 몰딩에 의해 성분을 서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형부로부터 로크(125a)의 삽입 및 제거는 로크(125)에 대해 상술된 것과 필수적으로 동일하다.
로크(16 및 125)에 유사한 또 다른 실시예에서, 로크(125b)는 3개의 방향으로 테이퍼지는 것이 바람직한 바디(127b)를 포함한다. 바디(127b)는 탄성 부재(131b) 및 래치(129b)를 수용하도록 적용되는 리세스(141b)를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래치(129b)는 시트 금속 재료로 이루어지며 시트 금속 재료는 탄성 부재(131b)의 외측 엣지에 합치하도록 형성된다. 래치(129b)의 강도가 다른 실시예의 강도 보다 일반적으로 작지만, 이러한 래치는 제작하기가 용이하고 경제적이며 래치 및 탄성 부재가 접착제 또는 몰딩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바닥 피봇(132b)은 래치의 바닥부와 탄성 부재를 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형성되어 바디(127b)의 원형 캐비티(134b)로 조립된다. 피봇(132b)의 전방부는 플랫(flat; 136)을 포함하고 플랫은 래치의 전방 피봇팅을 제한하도록 바디(127b)상의 정지 표면(138b)에 접한다.
바디(127b)는 상부 레그(145b)와 하부 레그(147b)를 구비한 후드(153b)를 포함한다. 상부 레그(145b)는 상부 부재 위에 놓여 상부 부재를 보호하며, 래치가 굴착 치형부로부터 로크를 제거하기 위한 지지부를 제공하도록 해제 위치로 수축될 때 래치(129b) 위에 놓인다. 하부 레그(147b)는 탄성 부재 및 래치의 형상을 더 잘 유지하도록 특별한 지지부를 제공하기 위해 탄성 부재의 상부 둘레를 둘러싼다. 하부 레그(147b)의 바닥부는 포인트의 노치를 수용하도록 의도되지만,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해 다른 형상을 도시된다. 로크(125a) 처럼, 전방 지지부(148b)는 래치(129b) 및 상부 레그(145b)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로크(125c)는 바디(127c) 및 탄성 부재(131c)의 구성에서의 로크(125b)와 유사하다. 래치(129c)는 래치(129b)와 유사하지만, 시트 금속의 제조 대신 캐스팅, 단조 등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이 있다.
로크(125c)에서, 캐치(132c)가 해제 또는 언로킹 상태에서 래치를 일시적으로 홀딩하도록 후드(143c)의 상부에 형성된다. 특히, 프라이 도구는 포인트(14)의 후방면(32)과 로크(125c) 사이에 삽입되고 래치(129c)를 후방으로 가압하도록 전방으로 회전한다. 이러한 프라이 운동은 래치를 후방 및 상방으로 가압하여 래치의 상부가 캐치(132c)에 걸린다. 그리고나서 프라이 도구는 슬롯(42)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로크를 프라이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에에서, 로크(166)는 어댑터(도 16)의 포인트를 홀딩하도록 통로(41)내로 삽입된다. 로크(166)는 바디(168), 래치(170) 및 탄성 부재(172)(도 17 내지 도 18)를 포함한다.
바디(168)는 전방면(174), 후방면(176) 및 측면(178)을 포함한다. 상술된 로크와 같이, 로크(166)는 3개의 방향으로 테이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디(168)의 전방 및 후방면(174, 176)이 바닥면(182)을 향하여 연장할 때 전방 및 후방면(174, 176)이 수렴된다. 또한, 바디의 측면이 바닥면(186)을 향하여 연장할 때 바디(168)의 측면(178, 180)도 수렴된다. 마지막으로, 측면이 전방면(174) 보다 더 넓은 후방면(176)을 제공하도록 전방면(174)을 향하여 연장할 때 측면(178, 180)이 좁아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측면(178)은 슬롯(42)의 측면(54)에 일반적으로 평행하다. 위의 로크(16)와 같이, 전방, 후방 및 측면(174, 176, 178, 180)은 형상 및 방위에서 다양할 수 있다. 돌출부(184)는 노치(60)내에 조립되도록 측면(178)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하며, 전방 지지부(185)는 후방면(32)과 접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된다.
채널(186)로서 형성된 리세스는 로크(166)의 상부 부분에 형성된다. 채널(186)은 상부 및 바닥면(187, 188)에 의해 형성되고 상방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만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채널은 원하는 경우 선형 형상을 가진다. 채널은 로크 바디(168)를 통하여 연장하고 전방 및 후방면(174, 176)으로 개방된다. 채널은 후방 방향으로 상방으로 스윙되도록 배향되어 후방면(176)에 있는 채널 개구가 전방면(174)에 있는 채널 개구 보다 바디(168)의 상부면(189)에 더 근접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돌출부(184)의 상부면(190)은 채널의 바닥 벽(192)의 연장부이다.
래치(170)는 채널(186)로 슬라이딩되도록 아아치형 형상을 갖는다. 더 상세하게는, 래치(170)는 전방부(194)와 후방부(198)를 포함한다. 전방부는 자유 단부(196)를 가지며, 자유 단부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래칭된 상태로 포인트(14)의 정지부(48)와 결합되도록 적용된다. 후방 부분(198)은 돌출부(184)에 의해 제공된 채널(186)의 더 넓은 바닥면(188)의 장점을 가지도록 전방 부분(194) 보다 더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채널(186)의 상부면(187)은 일반적으로 후방 부분(198)과 동일한 폭을 갖는다. 플랜지형 베이스 요소(201)는 탄성 부재(172)용 지지부를 형성하도록 전방 및 후방 부분(194, 198)의 삽입시 제공된다.
상기 로크와 같이, 탄성 부재(172)가 네오프렌, 러버 등으로 이루어진 일래스토머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탄성 부재(172)는 채널(186)의 상부면(187)과 래치(170)의 후방면(198)의 상부면(203) 사이와, 바디(168)의 커버 요소(211)의 바닥면(209)과 베이스 요소(201)의 가압면(205) 사이의 짧은 만곡 세그먼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탄성 부재(172)는 래치(172)를 전방으로 래칭 상태로 바이어싱하도록 가압면(205)에 대해 가압하여 자유 단부(196)가 정지부(48)와 결합되어 슬롯(42)에 있는 로크(166)를 홀딩하도록 전방면(174)을 넘어 수직방향으로 돌출된다. 정지 요소(213)는 래치(170)의 전방 운동을 제한하도록 베이스 요소(201)의 자유 단부(215)와 접하도록 상부면(187)의 자유 단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래치 및 탄성 부재는 압축력하에서 항상 탄성 부재를 유지함으로써 바디(168)에 홀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탄성 부재(172)는 베이스 요소(201) 및 커버 요소(211)로 단부(217, 219)에 고정하거나, 기계적 수단에 의해 고정하도록 접착제가 제공될 수 있다.
로크(166)는 로크(16)(도 12)와 동일한 방식으로 슬롯(42)으로 삽입된다. 프라이 도구는 포인트(14)의 후방 벽(32)과 로크(166) 사이로 삽입되며, 상부면(189) 상에서 하방으로 가압되도록 후방 및 하방으로 회전된다. 로크(166)를 제거하기 위해, 프라이 도구의 자유 단부는 래치(170)의 후방 단부에서 슬롯(221)과 결합된다. 프라이 도구의 펄크럼은 어댑터(12)의 장착 단부(18)의 전방면(223) 또는 이어부(38)의 상단부(44)일 수 있다. 더욱이, 인덴트(indent; 227)는 바디(168)의 상단부가 전방에 제공되어, 제 2 프라이 도구가 원하는 경우 슬롯(42)으로부터 로크를 당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로크(235)는 어댑터(12)(도 19)로 포인트(14)를 홀딩하도록 슬롯(42)으로 삽입된다. 로크(235)는 바디(237), 래치(239) 및 탄성 부재(241)를 포함한다.
바디(237)는 전방 및 후방면(243, 245), 측면(247, 249), 및 바닥면(251)을 포함한다. 상기 로크와 같이, 로크 바디는 3개의 방향으로 테이퍼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즉, 전방 및 후방면이 바닥면(251)을 향하여 연장할 때 전방 및 후방면(243, 245)이 수렴되고, 측면들이 바닥면(251)을 향하여 연장하고 측면들이 전방면(243)을 향하여 연장할 때 측면(247, 249)이 수렴된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전방, 후방 및 측면(243, 245, 247, 249)이 로크(16)의 대응면에 대해 상술된 방식으로 변화될 수 있다. 측면(247)은 노치(44)에 조립되도록 돌출부(250)를 포함한다. 전방 지지부(252)는 후방면(32)과 접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된다.
바디(237)의 상부 부분은 리세스(253)를 포함한다. 리세스의 바닥부는 오목형의 만곡된 가이드 레일(255)로서 형성된다. 가이드 벽(255)은 일반적으로 전방면(243)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원형 세그먼트이다. 래치(239)는 홀(259)내에 조립되는 피봇 핀(도시안됨)에 의해 바디(237)에 가동적으로 고정된다. 바닥면(261)은 가이드 벽(255)에 대응하도록 만곡되어 래치가 핀에 대해 스윙될 때 바닥면과 가이드 벽이 서로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쇼울더(263)는 통상적으로 포인트(14)의 정지부(48)와 결합하도록 전방으로 돌출된다. 탄성 부재(241)는 네오프렌 또는 러버와 같은 일래스토머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디(237)상의 정지 부재(265)와 래치(239)의 후방 가압 벽(267) 사이에 조립되는 짧은 만곡 세그먼트로서 형성된다. 가압 벽(267)은 리세스(253)에 탄성 부재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인덴트(269)에 형성된다. 래치는 성분을 서로 홀딩하는, 가압력하에서 탄성 부재를 연속적으로 홀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는 정지 부재(265)와 가압 벽(267) 중 하나 또는 둘다에 탄성 부재(241)를 홀딩하도록 적용될 수 있으며, 탄성 부재는 성분들 중 하나에 몰딩될 수 있거나 성분들이 기계적 수단에 의해 서로 홀딩될 수 있다.
핑거(271)는 래치의 상부로부터 그리고 정지 부재(265)에 걸쳐 후방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핑거(271)는 쇼울더(263)의 이동을 전방으로 제한하도 록 정지 부재(265)와 접한다. 게다가, 프라이 도구는 어댑터(12)의 장착 단부(18)와 로크(235) 사이에 삽입될 수 있어 프라이 도구의 자유 단부는 프라이 핑거(271)(도 22)의 단부와 결합된다. 그리고나서 도구가 프라이 핑거를 상방으로 리프팅하도록, 펄크럼으로서 어댑터를 사용하여 후방 및 하방으로 흔들린다. 이러한 리프팅이 래치(239)를 피봇 핀(257)에 대해 회전시켜 정지부(48)와의 결합으로부터 쇼울더(263)를 수축시킨다. 프라이 도구의 이러한 요동은 탄성 부재(241)가 완전히 압축되어 로크(235)가 슬롯(42)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승될 때 까지 계속된다. 정지 부재(265)는 슬롯(42)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로크(235)를 당기도록 래치(239)의 회전에 대한 지지부를 제공한다. 로크는 로크(16)에 대해 상술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슬롯(42)에 삽입된다.
로크(280)는 또한 구성이 로크(235)와 유사하다(도 18 내지 도 20). 로크(235)와 같이, 로크(280)는 3개의 다른 방향으로 테이퍼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방면(284), 후방면(286) 및 측면(288, 290)을 포함한다. 전방 및 후방면(284, 286) 뿐만 아니라 측면(288, 290)이 바닥면(292)을 향하여 연장할 때 전방 및 후방면(284, 286) 뿐만 아니라 측면(288, 290)이 수렴된다. 측면(288, 290)이 전방면(284)을 향하여 연장할 때 측면(288, 290)도 수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디(282)의 구성이 로크(16)에 대해 상술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다양할 수 있다. 리세스(294)는 래치(296)를 수용하도록 바디의 상부 부분에 형성된다. 로크(235)에 있는 래치(239)와 같이, 래치(296)는 홀(302)에 수용된 피봇 핀(도시안됨)에 대해 스윙된다. 그러나, 로크(235)와 달리, 로크(280)는 탄성 부재를 가지지 않는다. 대신, 패스너(304), 바람직하게는 나사가 래치를 래칭 및 언래칭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 제공된다.
더 상세하게는, 래치(296)는 4개의 원형 측부를 구비한 컴팩트한 구성을 갖는다. 피봇 핀(298)은 래치의 상부 및 전방 코너에 있는 내측면(306)으로부터 돌출된다. 바닥 측부(308)는 로크(235)의 가이드 벽(255)과 같이 바디(282)의 가이드 벽(310)에 대응하도록 만곡된다. 슬롯(312)은 패스너(304)를 수용하도록 측부(314)로부터 래치의 중앙 부분으로 연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패스너는 간단하게 느슨하게 될 수 있으며 제거되지 않아 래치가 래칭 상태와 언래칭 상태 사이에서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포인트가 어댑터상에 있을 때 조차 래치의 상부 부분이 노출되기 때문에, 패스너가 느슨하게 될 때 래치가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래칭 상태와 언래칭 상태 사이에서 래치를 이동시키고 슬롯(42)으로부터 로크를 프라이하기 위해 노치(316)가 래치의 후방 측부(318)에 제공된다.
래치(296)의 중앙 부분이 클램핑 표면(320)을 형성하도록 리세싱되며, 나사가 나사형 보어(324)에 조여질 때, 클램핑 표면에 대해 패스너(304)의 헤드가 지지된다. 쇼울더(326)는 래칭 상태에서 정지부(48)와 결합되도록 슬롯(312)의 개방 단부 아래 전방 측부(314)로부터 돌출된다. 바디(282)는 래치의 스윙을 제한하기 위해 전방 및 후방 정지부(328, 330)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전방 정지부(328)는 플랜지의 형태이며 플랜지는 슬롯(312)의 개방 단부와 정렬된다. 래치가 래칭 상태에 도달할 때 베어링 표면(332)은 정지부(328)의 하단부와 접한다. 전방 정지부는 미세물이 슬롯으로 유입되어 래치의 이동을 차단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차폐부로서 추가적으로 작용한다. 후방 정지부(330)는 보스의 상부 후방 코너에 있는 범퍼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래치가 쇼울더(326)가 포인트(14)의 정지부(48)와 해제되는 언래칭 상태로 스윙될 때 후방 측부(318)는 후방 정지부와 접한다. 패스너(304)의 나사형 스템은 또한 치형부의 사용 동안 스크류가 때 이르게 느슨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코네티컷에 소재한, 록키 힐의 록타이트 코포레이션(Loctite Corporation of Rocky Hill)로부터, "262"와 같은 로크 타이트 코팅으로 나사형 보어(324)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스너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중합 물질일 수도 있다.
로크(280)를 삽입하기 위해, 래치(296)는 언래칭 상태로 패스너(304)에 의해 고정된다. 로크(280)는 로크(16)에 대해 상술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슬롯(42)으로 프라이된다. 로크가 슬롯(42)으로 완전히 삽입될 때, 래치는 래칭 상태로 이동하여 패스너(304)에 의해 고정된다. 로크는 패스너(304)를 첫번째로 느슨하게 함으로써 제거된다. 도 2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패스너(304)의 헤드는 포인트(14)의 이어부(38)상으로 접근가능하다. 그리고나서, 프라이 도구는 로크와 어댑터의 장착 단부(18) 사이로 수직으로 삽입되어 프라이 도구의 자유 단부가 노치(316)내로 수용된다. 그리고나서 프라이 도구는 역으로 가압되어 어댑터의 자유 단부(18)의 전방이 펄크럼으로서 작용한다. 프라이 도구의 이러한 운동은 래치를 언래칭 상태, 즉 후방 측부(318)가 후방 정지부(330)와 접하고 그리고나서 슬롯(42)으로부터 로크(280)를 상승시키는 상태로 스윙하게 된다. 이와 달리, 프라이 도구는 노치로 측방향으로 삽입되어 펄크럼으로서 이어부(38)의 상부를 사용하여 하방으로 가압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로크(280')는 바디(282')(도 29 내지 도 31)의 하부에 테이크 업 부재(take-up member; 334')가 제공된다. 탄성 부재는 예를 들면 네오프렌, 고무 등의 일래스토머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개구(336')에 접착되거나 몰딩된다. 동일한 로크[예를 들면 로크(125)]용 로크 바디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 요구되지만, 테이크 업 부재는 또한 다른 공개된 로크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테이크 업 부재가 마모가 발생된 후 조차 타이트한 조립 배치로 포인트 및 어댑터를 유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로크(340)는 또 다른 실시예, 즉 일반적으로 로크(280)에 유사한 실시예이다. 특히, 로크(340)는 바디(342), 래치(344), 탄성 부재(346) 및 제 2 래치(348)이다. 바디(342)는 피봇 축선(352)에 대해 스윙하는 래치(344)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350)를 형성한다. 축선은 관통 홀(356)을 수용하고 래치에 있는 나사형 보어(도시안됨)와 결합되는 패스너(354)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크(280)에 있는 래치처럼, 래치(344)는 자유롭게 스윙하며 탄성 부재에 의해 래칭 상태로 바이어싱되지 않는다. 차라리, 탄성 부재(346)는 래치를 로킹 위치에 고정하도록 제 2 래치(348)를 래칭 상태로 바이어싱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 2 래치(348) 및 탄성 부재(346)가 서로 몰딩되거나 이와 달리 접착제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고정되는 단일 부재로서 제조된다. 탄성 부재(346)는 조립되도록 형성되고 래치(344)에 중공형 부분(도시안됨)으로 제한한다. 제 2 래치는 래치(344)의 후방 부분에 형성된 개구(358)로 후방 수직으로 바이어싱된다. 제 2 래치는 바디(342)에 형성된 돌출부(362)와 결합되도록 적용되는 쇼울더(360)를 포함한다. 이러한 위치에서, 제 2 래치(348)는 개구(358)의 하부 엣지(364)에 놓여 래치가 래칭 상태로부터 언래칭 상태를 향하여 회전하기 시작하는 경우 하부 엣지가 제 2 래치와 접한다. 그리고나서, 쇼울더(360)는 돌출부(362)와 접하여 언로킹 상태로의 래치의 이동을 방지한다.
로크를 제거하기 위해, 프라이 도구가 제 2 래치(348)를 래치(344)의 전방 및 내부로 삽입하여 돌출부(362)로부터 해제한다. 제 2 래치가 내측으로 가압되면서, 프라이 도구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 래치가 돌출부(362)의 전방면(366)과 접한다. 조작자는 핑거(368)가 포인트(14)의 정지부(48)를 해제할 때까지 래치를 계속적으로 회전한다. 래치는 필요한 경우 회전을 보조하기 위해 전방 단부에 돌출부(37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팽창 포트(372, 373)는 또한 제 2 래치가 전방으로 가압될 때 탄성 부재(346)의 팽창을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가능한 프라이 도구(400)가 래치를 해제하여 슬롯으로부터 로크를 상방으로 당기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37 내지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라이 도구는 바디의 전방 단부에 말단 또는 프라이 돌출부(403) 및 원통형 바디(402)를 구비하는, 일반적인 원형 형상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프라이 돌출부는 바디(402)의 원통형 벽(405)의 연장부인 원통형 벽 부분(406)을 갖는다. 원통형 벽 부분(406)은 도구에 대해 약 180도 연장하는 것(비록 다른 연장이 가능하지만)이 바람직하며, 플랫(407)은 프라이 돌출부(403)를 형성하도록 도구를 가로질러 직경방향으로 연장한다. 플랫(407)은 프라이 구조물(409)을 형성하도록 원통형 벽 부분을 구비한 두 개의 원형 코너를 형성하는데, 프라이 구조물은 로크의 래치를 해제하고 및/또는 로크를 개구로부터 당기기 위해 사용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라이 구조물 및 프라이 돌출부는 각각 상이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라이 구조물은 주변 벽(405)의 경계의 외측으로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연장하며, 원통형 벽 부분은 도구가 회전할 때 프라이 구조물이 원하는 프라이를 수행하는 한, 바디와 무관할 수 있으며[벽(405)의 연장부로서가 아님) 또는 비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또는 플랫은 비평형일 수 있다.
바디의 후방 단부는 도구를 회전시키기 위해 드라이버에 부착하도록 형성부를 포함한다. 형성부는 도구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드라이빙 도구(동력 또는 수동)와 결합되도록 적용되는 플랫을 구비한 소켓(예를 들면 사각 소켓)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프라이 도구(400)는 토크 렌치 등의 자루부의 단부에 조립되도록 적용된다. 이와 달리, 로크를 제거하기 위한 프라이 도구(400)는 로크를 삽입하기 위한 프라이 도구(T)를 구비한 단일 조립체의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그레그형 만곡부(dogleg bend)를 가지는 자루부가 수동 작동을 위한 두 개의 프라이 도구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사용중, 프라이 도구(400)는 바디와 래치를 가지는 테이퍼형 로크와 관련하여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서, 도구는 도 39 내지 도 41에 도시되는데, 여기서 공개된 다른 로크가 프라이 도구와 협동하는 로크(408)의 형성부와 일치하는 어떠한 변형으로 사용되지만, 로크(408)로 작동된다. 로크(408)는 바디(410)와 피봇 핀(414)에 대해 스윙하는 피봇적으로 부착된 래치(412)를 포함한다. 프라이 도구(400)로 로크를 제거하도록, 도구는 래치의 전방에 대향되어[즉, 일반적으로 원형 코너 또는 교차부(426)에서] 플랫(407)으로 포인트(425)의 이어부(419)의 상부를 따른 제 1 세트이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도구의 원통형 벽 부분(406) 및/또는 원통형 벽(405)이 포인트의 바디와 이어부의 교차부를 따라 통상적으로 형성된 만곡된 형상에 일반적으로 대응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차부(426) 또는 도구(400)가 포인트(또는 다른 마모 부재)가 도구의 프라이 작용을 위한 충분한 지지부가 제공되는 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때 도구(400)는 회전(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계 방향)하여 프라이 구조물(409) 중 하나가 결합되어 해제 위치, 즉 테이퍼진 개구(420)에 있는 정지부(418)와 해제되는 위치로 래치(412)를 이동한다. 도구가 도 41에 있는 위치를 지나 계속적으로 회전할 때, 프라이 구조물은 개구로부터 로크를 당기도록 로크를 접합부(422)에 가압한다. 접합부(422)가 바디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한 반면, 래치에 제공될 수 있다. 인정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구는 오직 개구로부터 로크를 부분적으로만 당기지만, 이동이 이루어져 "시멘트형" 미세물로 로크의 고정이 해제될 때, 로크는 개구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로부터 로크를 당기는 것을 참조하면 개구로부터 로크의 이 같은 부분적인 당김을 포함하는 것이 고려된다. 로크가 도구의 프라이 작용에 의해 자유롭게 될 때 로크가 개구(420)로부터 제거되어 마모 부재(425)가 그때 어댑터 노우즈부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시멘트형" 미세물 또는 다른 이유 때문에 어댑터가 노우즈부에 부착되는 경우, 프라이 도구(400)는 이어부의 후방과 어댑터 사이에 위치될 수 있어 용이한 제거를 위해 마모 부재를 자유롭게 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유사하게, 도구는 또한 마모 조립체로부터 다른 마모 부재 또는 마모 캡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2에는 바디(427)와 이어부(419)를 포함하는 포인트의 형태로 마모 부재(425)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크(도시안됨)는 이어부에 형성된 개구(420)에 배치될 수 있다. 프라이 탭(433)은 프라이 도구(T)(도 1에 도시됨)용 안정된 앵커가 제공되도록 포인트의 상부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구는 로크의 상부에 대한 도구의 자루부(S)와 탭(433)의 하부 표면(435)에 대해 배치된 도구의 자유 단부(F)를 구비한 조립체로 일반적으로 측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나서 도구(T)의 핸들 부분상의 하방 압력이 로크를 개구로 완전히 프라이한다. 탭이 마모 부재(425)와 관련하여 도시되었지만, 이러한 탭 및 다른 탭이 본 명세서에 공개된 마모 부재의 다양한 위치에 제공될 수 있거나 로크를 삽입(또는 제거)하기 위한 프라이 도구용 앵커를 제공하도록 본 발명의 진보적 면을 포함하는 다른 마모 부재가 이용가능하다.
도 43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테이퍼형 로크와의 협동으로 이용될 수 있는 변형된 어댑터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로서, 어댑터가 로크(125c)와 사용중인 것이 도시되어 있다. 어댑터(442)의 노우즈(440)는 포인트의 이어부의 부분 및 로크를 수용하기 위한 측부에 함몰부(444)를 포함한다. 어댑터는 레지(446)를 더 포함하는데, 이 레지는 어댑터의 노우즈부와 이어부 사이에 형성된 개구로 로크를 삽입하도록 프라이 도구(T)용 앵커를 형성한다. 인정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로 크는 일차적으로 개구로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프라이 도구(T)가 레지(446)의 하부 표면(448)에 대해 자유 단부(F)와 로크의 상부에 대해 자루부(S)로 세팅된다. 그리고나서 도구(도시 안됨)의 핸들 부분이 래치가 개구의 정지부와 로킹될 때 까지 개구로 로크를 가압하도록 하방으로 가압된다. 레지가 어댑터(442)에만 도시되었지만, 이러한 레지 및 다른 레지 등이 본 명세서에 공개된 다른 어댑터 또는 개구로부터 로크를 삽입(또는 제거)하도록 프라이 도구용 앵커가 제공되도록 본 발명의 진보적 면으로 이용가능한 다른 지지 구조물에 제공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태는 치형 포인트가 아닌 마모 부재로 이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마모 부재는 미국 특허 제 5,088,214호(참조됨)에 공개된 것과 유사한 덮개 또는 미국 특허 제 5,653,048호(참조됨)에 공개된 것과 유사한 어댑터일 수 있다. 이 경우, 로크 및 개구는 포인트에 대해 상술된 양태로 형성될 수 있다. 로크는 마모 부재(위의 '214 및 '048 특허에 공개된 바와 같은)의 상부로부터 또는 마모 부재의 측부로부터 측방향으로 개구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타입의 조립체에서, 굴착 장비에 고정되는 지지 구조물이 어댑터에 대향되는 보스이며, 지지 구조물을 수용하는 지지 캐비티는 소켓 대신 마모 부재에 있는 슬롯이다. 다른 이 같은 조립된 지지 구조물 및 마모 부재는 또한 본 발명의 유용한 양태를 이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Claims (136)

  1. 굴착 작업용 마모 부재로서,
    전방 작업 단부 및 후방 장착 단부를 가지는 바디로서, 상기 장착 단부는 어댑터의 노우즈부를 수용하기 위한 후방 개방 소켓을 가지는, 바디, 및
    상기 바디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이어부로서, 로크를 수용하기 위한 테이퍼진 슬롯을 가지며, 상기 로크에 의해 상기 마모 부재가 상기 어댑터에 유지되는, 이어부를 포함하는,
    굴착 작업용 마모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수렴하는 전방 벽 및 후방 벽을 포함하는,
    굴착 작업용 마모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 및 상기 후방 벽은 길이 부분을 따라서 수렴하는,
    굴착 작업용 마모 부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은 비선형이고 상기 후방 벽은 선형인,
    굴착 작업용 마모 부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벽이 만곡되는(be curved),
    굴착 작업용 마모 부재.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이 두 개의 수직한 방향으로 테이퍼지는,
    굴착 작업용 마모 부재.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3개의 수직한 방향으로 테이퍼지는,
    굴착 작업용 마모 부재.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정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부는 상기 슬롯에 상기 로크를 해제가능하게 유지하는,
    굴착 작업용 마모 부재.
  18. 삭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이 노치를 포함하는,
    굴착 작업용 마모 부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전방 벽 및 후방 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노치는 상기 후방 벽에 인접한,
    굴착 작업용 마모 부재.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56. 삭제
  57. 삭제
  58. 삭제
  59. 삭제
  60. 삭제
  61. 삭제
  62. 삭제
  63. 삭제
  64. 삭제
  65. 삭제
  66. 삭제
  67. 삭제
  68. 삭제
  69. 삭제
  70. 삭제
  71. 삭제
  72. 삭제
  73. 삭제
  74. 삭제
  75. 삭제
  76. 삭제
  77. 삭제
  78. 삭제
  79. 삭제
  80. 삭제
  81. 삭제
  82. 삭제
  83. 삭제
  84. 삭제
  85. 삭제
  86. 삭제
  87. 지지 구조물과 마모 부재를 가지는 굴착 장비의 마모 조립체용 로크로서,
    일 단부를 향하여 테이퍼지는 바디,
    홀딩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해 상기 바디에 부착되는 래치로서, 상기 홀딩 위치에서 상기 마모 조립체에 상기 로크를 유지하도록 상기 래치가 상기 마모 조립체에 있는 정지부와 결합되며, 상기 해제 위치에서 상기 마모 조립체로부터 상기 로크의 제거를 허용하도록 상기 정지부로부터 해제되는, 래치, 및
    프라이 표면으로서, 상기 프라이 표면에 의해 도구가 상기 마모 조립체로부터 상기 로크를 당기는, 프라이 표면을 포함하는,
    굴착 장비의 마모 조립체용 로크.
  88. 제 87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부재를 상기 홀딩 위치를 향하여 바이어싱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굴착 장비의 마모 조립체용 로크.
  89. 제 88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부재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핀이 상기 래치가 이동하는 피봇 축선을 형성하도록 상기 바디에 있는 홀로 수용되는,
    굴착 장비의 마모 조립체용 로크.
  90. 삭제
  91. 제 8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위치 및 상기 해제 위치에 상기 래치 부재를 선택적으로 홀딩하는 패스너를 더 포함하는,
    굴착 장비의 마모 조립체용 로크.
  92. 삭제
  93. 제 8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및 상기 래치 중 하나는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 및 상기 래치 중 다른 하나는 상기 레일을 수용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 및 상기 홈은 상기 래치 및 상기 바디가 유지되도록 함께 협동하는,
    굴착 장비의 마모 조립체용 로크.
  94. 제 8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래치의 적어도 일 부분에 걸쳐 연장하는 후드를 포함하는,
    굴착 장비의 마모 조립체용 로크.
  95. 삭제
  96. 삭제
  97. 삭제
  98. 삭제
  99. 삭제
  100. 삭제
  101. 삭제
  102. 삭제
  103. 제 8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래치와 맞물려서 상기 래치를 상기 해제 위치에 해제 가능하게 유지하는 캐치를 포함하는,
    굴착 장비의 마모 조립체용 로크.
  104. 제 8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가 상기 홀딩 위치와 상기 해제 위치 사이의 이동을 위해 상기 채널에 가동적으로 수용되는,
    굴착 장비의 마모 조립체용 로크.
  105. 제 8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래치 부재와 맞물려서 상기 홀딩 위치에 상기 래치 부재를 위치시키는 정지부를 더 포함하는,
    굴착 장비의 마모 조립체용 로크.
  106. 제 87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는 상기 지지 구조물에 가압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굴착 장비의 마모 조립체용 로크.
  107. 제 87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위치에 상기 래치를 해제가능하게 홀딩하는 제 2 래치를 더 포함하는,
    굴착 장비의 마모 조립체용 로크.
  108. 제 107 항에 있어서,
    탄성 부재가 상기 홀딩 위치에서 상기 래치와의 결합을 향하여 상기 제 2 래치를 바이어싱하는,
    굴착 장비의 마모 조립체용 로크.
  109. 지지 구조물을 가지는 굴착 장비에 지지 캐비티를 가지는 마모 부재를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지지 구조물이 상기 지지 캐비티에 수용되도록 상기 지지 구조물에 상기 마모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마모 부재 및 상기 지지 구조물에 의해 형성된 개구 내로 로크를 프라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굴착 장비에 지지 캐비티를 가지는 마모 부재를 장착하는 방법.
  110. 제 109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 및 상기 개구 내로 프라이된 상기 로크는 상보적으로 경사지는 형상을 가지는,
    굴착 장비에 지지 캐비티를 가지는 마모 부재를 장착하는 방법.
  111. 제 110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는 홀딩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가동되는 래치를 가지며, 상기 로크는 상기 개구 내로 프라이되어 상기 래치가 상기 개구에 상기 로크를 유지하도록 상기 마모 부재와 상기 지지 구조물 중 하나 상의 정지부와 결합되는,
    굴착 장비에 지지 캐비티를 가지는 마모 부재를 장착하는 방법.
  112. 삭제
  113. 제 11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가 상기 개구 내로 프라이된 후 상기 개구에 상기 로크를 유지하도록 상기 정지부 뒤의 결합 위치로 상기 래치를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굴착 장비에 지지 캐비티를 가지는 마모 부재를 장착하는 방법.
  114. 제 10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은 어댑터의 노우즈부인,
    굴착 장비에 지지 캐비티를 가지는 마모 부재를 장착하는 방법.
  115. 굴착 장비에 고정되는 지지 구조물로부터 마모 부재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마모 부재의 지지 캐비티가 상기 지지 구조물에 수용되고 래치를 구비한 로크가 개구에 상기 로크를 유지하도록 정지부 뒤의 래치 조립부를 구비한 상기 개구에 세팅되며, 상기 방법은,
    해제 위치로 상기 래치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로크에 프라이 표면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로크를 당기는 단계, 및 상기 지지 구조물로부터 상기 마모 부재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굴착 장비에 고정되는 지지 구조물로부터 마모 부재를 제거하는 방법.
  116. 삭제
  117. 삭제
  118. 삭제
  119. 삭제
  120. 삭제
  121. 제 11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의 후방 면 상에서 상기 프라이 표면과 맞물리는 도구가,
    상기 래치를 상기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래치와 맞물리고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로크를 당기도록 상기 로크의 바디와 맞물리는,
    굴착 장비에 고정되는 지지 구조물로부터 마모 부재를 제거하는 방법.
  122. 제 1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물은 어댑터의 노우즈부인,
    굴착 장비에 고정되는 지지 구조물로부터 마모 부재를 제거하는 방법.
  123. 제 122 항에 있어서,
    상기 마모 부재는 굴착 치형부의 포인트인,
    굴착 장비에 고정되는 지지 구조물로부터 마모 부재를 제거하는 방법.
  124. 삭제
  125. 삭제
  126. 삭제
  127. 삭제
  128. 삭제
  129. 삭제
  130. 삭제
  131. 삭제
  132. 굴착 작업용 마모 부재로서,
    전방 단부,
    굴착 장비에 고정되는 노우즈부를 수용하는 후향 개방 소켓, 및
    상기 마모 부재를 상기 노우즈부에 유지하기 위해 로크를 수용하는 유입 단부를 가지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가 상기 유입 단부로부터 멀리 연장됨에 따라서, 상기 로크가 삽입되는 방향에 대해 횡단하는 두 개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개구의 길이를 따라서 상기 개구가 좁아지는,
    굴착 작업용 마모 부재.
  133. 삭제
  134. 삭제
  135. 삭제
  136. 삭제
KR1020047000151A 2001-07-06 2002-07-03 굴착 마모 부품용 커플링 KR100992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899,535 2001-07-06
US09/899,535 US6735890B2 (en) 2001-07-06 2001-07-06 Wear assembly
US36984602P 2002-04-05 2002-04-05
US60/369,846 2002-04-05
PCT/US2002/019794 WO2003004782A2 (en) 2001-07-06 2002-07-03 Coupling for excavating wear par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746A Division KR101017165B1 (ko) 2001-07-06 2002-07-03 굴착 마모 부품용 커플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0790A KR20040030790A (ko) 2004-04-09
KR100992643B1 true KR100992643B1 (ko) 2010-11-05

Family

ID=270047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0151A KR100992643B1 (ko) 2001-07-06 2002-07-03 굴착 마모 부품용 커플링
KR1020107004746A KR101017165B1 (ko) 2001-07-06 2002-07-03 굴착 마모 부품용 커플링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746A KR101017165B1 (ko) 2001-07-06 2002-07-03 굴착 마모 부품용 커플링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EP (1) EP1404925B1 (ko)
JP (4) JP4727920B2 (ko)
KR (2) KR100992643B1 (ko)
CN (1) CN100338316C (ko)
AR (2) AR034738A1 (ko)
AT (1) ATE452248T1 (ko)
AU (1) AU2002320130B2 (ko)
BR (1) BR0210854B1 (ko)
CA (1) CA2451306C (ko)
DE (1) DE60234771D1 (ko)
DK (1) DK1404925T3 (ko)
ES (1) ES2336897T3 (ko)
MX (1) MXPA04000163A (ko)
MY (1) MY135424A (ko)
NO (1) NO336692B1 (ko)
NZ (1) NZ530392A (ko)
PE (1) PE20030270A1 (ko)
PT (1) PT1404925E (ko)
WO (1) WO2003004782A2 (ko)
ZA (1) ZA2004000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52248T1 (de) * 2001-07-06 2010-01-15 Esco Corp Kupplung für ein bagger-verschleissteil
CN101253298B (zh) * 2005-08-30 2012-07-18 爱斯科公司 用于挖掘机的耐磨损总成
ES2927696T3 (es) * 2006-03-30 2022-11-10 Esco Group Llc Conjunto de desgaste
CN101558206B (zh) 2006-09-01 2011-12-14 麦塔洛吉尼亚股份有限公司 挖掘机的齿及适配器
CN102720244B (zh) * 2007-05-10 2015-05-06 爱斯科公司 用于挖掘设备的磨损组件
KR101013136B1 (ko) * 2009-02-25 2011-02-10 상 택 임 형광등 낙하 방지구의 조립구조
WO2011088511A1 (en) * 2010-01-20 2011-07-28 Bradken Resources Pty Limited Excavation tooth assembly
JOP20200150A1 (ar) 2011-04-06 2017-06-16 Esco Group Llc قطع غيار بأوجه مقواه باستخدام عملية التقسية المصلدة والطريقة والتجميع المرافق للتصنيع
SI2783052T1 (sl) * 2011-11-23 2021-04-30 Esco Group Llc Obrabni sestav
UA114099C2 (xx) 2012-01-31 2017-04-25 Зносостійкий матеріал і система та спосіб створення зносостійкого матеріалу
US8819967B2 (en) * 2012-03-21 2014-09-02 Hensley Industries, Inc. Adapter stabilization structure for bucket lip
ITBS20120065A1 (it) * 2012-04-16 2013-10-17 Usco S P A Dente e assieme di usura per una macchina movimento terra
US9139984B2 (en) * 2013-07-30 2015-09-22 Caterpillar Inc. Retainer systems for ground engaging tools
EP2913441A1 (en) * 2014-02-27 2015-09-02 Metalogenia Research & Technologies S.L. A locking device for the wear assembly of an earth moving machine
NO336855B1 (no) * 2014-03-12 2015-11-16 Kverneland Group Operations Norway As Låseanordning for slitedel
US9499958B2 (en) * 2014-05-15 2016-11-22 Caterpillar Inc. Replaceable wear member and replaceable wear member system
DE102014112539A1 (de) 2014-09-01 2016-03-03 Wirtgen Gmbh Verschleißschutzkappe
JP2019515161A (ja) * 2016-05-05 2019-06-06 エスコ・グループ・エルエルシー 土壌作業機器用摩耗部品
EA202191815A1 (ru) * 2016-06-13 2022-03-31 ЭСКО ГРУП ЛЛСи Манипуля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изнашиваемых грунтозацепляющих элементов, прикрепленных к землеройному оборудованию
US9856629B1 (en) * 2016-07-21 2018-01-02 Caterpillar Inc. Lip shroud for cast lip on a work implement
US10822770B2 (en) * 2018-05-25 2020-11-03 Caterpillar Inc. Adapter board with pry points
CN113365462B (zh) * 2021-04-19 2022-10-04 珠海雷特科技股份有限公司 免螺丝压线电源外壳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1289A (en) * 1962-02-23 1964-02-18 Esco Corp Retainer for excavating tooth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72785A (en) * 1969-12-22 1971-03-30 Minneapolis Electric Steel Cas Connecting apparatus for power shovel tooth adapters
JPS4936562B1 (ko) * 1970-10-16 1974-10-02
BR6308410D0 (pt) * 1972-10-31 1974-09-05 Poclain Sa Dente substituivel para instrumento de obras publicas, admitindo uma chaveta particular
JPS5022303U (ko) * 1973-06-20 1975-03-13
JPS5248401B2 (ko) * 1974-04-09 1977-12-09
DE2639989C2 (de) * 1976-09-04 1982-04-29 O & K Orenstein & Koppel Ag, 1000 Berlin Lösbare Befestigung eines rückwärts mit einer Hülse versehenen Baggerzahns an einem in die Hülse eingreifenden Zahnhalter
JPS5513265U (ko) * 1978-07-13 1980-01-28
US4335532A (en) * 1980-04-28 1982-06-22 Esco Corporation Excavating tooth
JPS5926760B2 (ja) * 1980-04-28 1984-06-30 エスコ・コ−ポレ−シヨン 掘削歯
US4329798A (en) * 1980-07-29 1982-05-18 Edwards Gerald D Tooth construction for digging buckets
JPS6038784Y2 (ja) * 1980-12-05 1985-11-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掘削刃取付構造
SE429566B (sv) 1982-03-22 1983-09-12 Bofors Ab Lassystem for slitdelar till jordbearbetningsverktyg
JPS5992772U (ja) * 1982-12-14 1984-06-23 藤森 高根 バケツト式土工機械のバケツトにおけるエツジの保護構造
SE450504B (sv) * 1983-07-26 1987-06-29 Bofors Wear Parts Ab Slitdelssystem for verktyg till jordbearbetningsmaskiner
CN86209610U (zh) * 1986-11-29 1987-12-16 埃斯科公司 铲齿
US4761900A (en) 1986-12-04 1988-08-09 Esco Corporation Excavating tooth assembly
US4835888A (en) * 1987-05-01 1989-06-06 Hemphill Charles W Excavating tooth and holder therefor
KR970001729B1 (ko) * 1989-07-27 1997-02-14 에스코 코포레이션 굴삭 투쓰 교체 포인트
US5068986A (en) * 1990-08-30 1991-12-03 Esco Corporation Excavating tooth point particularly suited for large dragline buckets
US5088214A (en) * 1991-01-17 1992-02-18 Esco Corporation Excavator wear edge
DE69427079T2 (de) * 1993-02-02 2001-08-02 Esco Corp., Portland Baggerzahn
FR2708973B1 (fr) * 1993-03-29 1995-10-27 Pasqualini Charles Dispositif et procédé de liaison entre des dents amovibles et des adapteurs formés aux extrémités d'outils et réceptacles en usage sur les engins de travaux publics.
US5709043A (en) * 1995-12-11 1998-01-20 Esco Corporation Excavating tooth
CN1204376A (zh) * 1995-12-11 1999-01-06 埃斯科公司 耐磨部件
ATE452248T1 (de) * 2001-07-06 2010-01-15 Esco Corp Kupplung für ein bagger-verschleisstei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1289A (en) * 1962-02-23 1964-02-18 Esco Corp Retainer for excavating toot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451306A1 (en) 2003-01-16
MXPA04000163A (es) 2005-06-06
JP2008303711A (ja) 2008-12-18
DE60234771D1 (de) 2010-01-28
AR067394A2 (es) 2009-10-07
PE20030270A1 (es) 2003-04-29
EP1404925A4 (en) 2006-03-15
CA2451306C (en) 2010-01-12
ZA200400020B (en) 2005-06-29
WO2003004782A2 (en) 2003-01-16
JP2004522027A (ja) 2004-07-22
KR20040030790A (ko) 2004-04-09
DK1404925T3 (da) 2010-03-15
JP2011122426A (ja) 2011-06-23
AU2007202390A1 (en) 2007-06-14
JP4727920B2 (ja) 2011-07-20
AR034738A1 (es) 2004-03-17
BR0210854A (pt) 2004-07-13
JP4791517B2 (ja) 2011-10-12
AU2002320130B2 (en) 2007-06-14
JP5335344B2 (ja) 2013-11-06
ATE452248T1 (de) 2010-01-15
AU2007202390B2 (en) 2009-05-28
EP1404925A2 (en) 2004-04-07
NZ530392A (en) 2006-03-31
WO2003004782A3 (en) 2003-11-06
CN1539047A (zh) 2004-10-20
MY135424A (en) 2008-04-30
KR101017165B1 (ko) 2011-02-25
NO20040025L (no) 2004-01-26
KR20100039439A (ko) 2010-04-15
PT1404925E (pt) 2010-03-04
EP1404925B1 (en) 2009-12-16
NO336692B1 (no) 2015-10-19
JP5248638B2 (ja) 2013-07-31
JP2009019498A (ja) 2009-01-29
ES2336897T3 (es) 2010-04-19
BR0210854B1 (pt) 2013-02-05
CN100338316C (zh) 2007-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643B1 (ko) 굴착 마모 부품용 커플링
US7367144B2 (en) Wear member for excavating equipment
KR101105975B1 (ko) 굴착기 에지용 마모 조립체
AU2002320130A1 (en) Coupling for excavating wear part
CA2652603C (en) Lock for securing wear parts to earth-working equipment
KR101497910B1 (ko) 마모 조립체
US7640685B2 (en) Coupling arrangement
AU2013205223B2 (en) Coupling for excavating wear part
US20040111927A1 (en) Tip and adapter assembly
AU2013202717B2 (en) Lock for securing wear parts to earth-work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