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871B1 - 쉬스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 Google Patents

쉬스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871B1
KR100991871B1 KR1020100012101A KR20100012101A KR100991871B1 KR 100991871 B1 KR100991871 B1 KR 100991871B1 KR 1020100012101 A KR1020100012101 A KR 1020100012101A KR 20100012101 A KR20100012101 A KR 20100012101A KR 100991871 B1 KR100991871 B1 KR 100991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th
tubular member
clamp
tubular
sem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2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태석
조윤영
김지현
정연근
김형빈
추태헌
권순대
Original Assignee
추태헌
(주)유진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태헌, (주)유진기업 filed Critical 추태헌
Priority to KR1020100012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8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4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lintels, beams, or transoms to be encased separately;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관형 부재, 쉬스 장착구 및 단부 고정구를 통하여 쉬스를 철근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도록 된 쉬스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계관으로 이루어진 관형 부재와, 상기 관형 부재의 중앙에 쉬스를 고정시키도록 관형 클램프와 밴드 클램프를 구비한 쉬스 장착구 및, 상기 관형 부재를 철근에 결속하는 한쌍의 십자형 클램프를 구비한 단부 고정구를 포함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쉬스를 철근사이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타설시 또는 철근 배근 작업시에 외부로부터 쉬스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쉬스의 변형을 방지하여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고, 쉬스의 파손을 방지하여 후속 공정에서 강연선의 삽입이 용이하게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그에 따라서 고품질의 프리스트레스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쉬스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FIXING TENDON SHEATH IN CONCRETE FORM}
본 발명은 긴장재를 설치하기 위한 쉬스를 거푸집내에 고정하기 위한 장치 및 고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관형 부재, 쉬스 장착구 및 단부 고정구를 통하여 쉬스를 철근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또는 철근 배근 작업 시에 쉬스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쉬스의 변형을 방지하여 PS 강연선(이하 강연선이라 한다)과 같은 긴장재의 삽입 및 인장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쉬스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교량은 설계 시공과는 다른 외적 요인, 즉 기존 교량 빔의 단면 부족현상에 의해서 발생되는 빔의 처짐 현상과, 통과 차량의 대형화, 통행량의 급증과 같은 외전 요인과 교량 빔 자체의 노후화 등으로 인하여 빔의 강성이 크게 저하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콘크리트 교량의 경우,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하면 교량 구조물에 균열 및 부분 파손 등이 발생하므로 대부분의 노후 차량에 있어서는 예기치 못한 안전 사고의 위험이 상존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이와 같이 노후된 콘크리트 교량에 대해서는 사고 발생 후의 응급 보수 차원이 아닌 사고의 예방차원에서 구조물 처짐 변형이 발생하거나 강성이 저하된 교량 빔을 본래의 상태로 복원시키거나, 각 빔의 강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교량 빔의 보수및 보강 공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교량 구조물의 보수 방법으로는 보수하고자 하는 빔의 양측 단부에 콘크리트 지지부를 형성하고, 이 콘크리트 지지부에는 다수개의 강연선이 결합되는 정착구를 설치하며, 그 정착구에 강연선을 인장장치로 인장시켜서 수평 상태의 이하로 처진 빔의 변형 부분을 들어 올림으로써 교량의 처짐을 보정함과 동시에 저하된 빔의 강성을 보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교량을 구성하는 프리스트레스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외부 강연선으로 인장시켜서 보강하기 위해서는 빔에 강연선을 설치하는 것이 요구되는데, 이와 같은 강연선을 장착하기 위해서 쉬스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쉬스(SHEATH)는 통상적으로 PVC 관으로 제작되거나 또는 아연도금 강판 등을 파이프 형태로 성형하여 교량 빔의 제작 시에 거푸집 내부에 배근된 철근 사이에 고정하고, 콘크리트 타설한 다음, 쉬스의 내부 공간으로 강연선을 삽입하여 교량 빔에 설치하게 된다.
이에 관련되어 종래의 쉬스 고정구조(1)는 쉬스(10)를 철근(20)사이에 설치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철근 가닥(30)을 사용하여 교량 빔에 배근되는 철근(20)에 걸쳐지도록 하고, 철선(32)으로 고정하는 방식이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철근 가닥(30)과 철선(32)을 통해서 고정하더라도 콘크리트 타설시 쉬스(10)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시공 시 작업자가 밟아서 철근 가닥(30)과 철선(32)이 휘어지는 경우가 빈번하여 정확한 위치에 쉬스(10)가 고정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으로 고정하게 되면 쉬스(10)가 파손되기 쉬워서 그 내부에 콘크리트가 유입되기도 하며, 그와 같은 경우에는 후 공정에서 강연선을 삽입 및 인장하는 작업이 곤란하게 되어 프리스트레스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후속 작업 공정의 지연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쉬스관 배치방법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쉬스를 철근 사이에 고정시키되, 콘크리트 타설시 또는 철근 배근 작업시에 외부로부터 쉬스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쉬스의 변형을 방지하여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 쉬스의 파손을 방지하여 후속 공정에서 강연선의 삽입 및 인장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고품질의 프리스트레스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된 쉬스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길이를 갖는 관형 부재; 상기 관형 부재의 중간에 일측의 관형 클램프가 고정되고, 상기 관형 클램프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된 밴드 클램프가 쉬스를 에워싸서 고정하는 쉬스 장착구; 및 상기 관형 부재의 양측 단부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관형 부재와 철근을 십자형으로 교차시켜서 관형 부재를 철근에 고정하는 한쌍의 십자형 클램프를 포함하는 단부 고정구;를 구비하여 쉬스를 철근 사이에 고정하는 쉬스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형 부재는 비계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쉬스 장착구의 관형 클램프는 한쌍의 호형 클램프부재가 일측은 힌지축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나사고정식으로 결합되어 비계관을 에워싸서 그 중간에 고정되는 쉬스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쉬스 장착구의 밴드 클램프는 제1 및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반원형 철판 띠부재는 그 중앙 외측면이 상기 관형 클램프의 배면에 일체로 고정되며, 그 일측 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절개공을 형성하고, 타측 단부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 절곡 플랜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는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반원형 철판 띠부재의 절개공으로 삽입가능한 걸고리를 돌출 형성하고, 타측 단부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 절곡 플랜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반원형 철판 띠부재의 절개공으로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의 걸고리가 삽입되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의 각각의 절곡 플랜지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고정나사가 삽입되어 너트로 고정됨으로써 쉬스를 에워싸서 고정하는 쉬스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부 고정구의 십자형 클램프는 각각의 단면이 "J"형으로 형성되어 하단에는 걸이부를 형성하는 한쌍의 나란하게 배치된 양 측판과, 상기 양 측판의 상단을 상판이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판 중앙에 고정된 너트부재를 나사결합으로 관통하도록 높이조정볼트가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정볼트의 하단에는 호형 단면의 안착판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상기 몸체부의 하단 걸이부에는 철근 또는 관형 부재가 내부에 끼워지고, 상기 걸이부에 끼워진 철근 또는 관형 부재의 상부에서 이에 직교(直交)하는 방향으로 관형 부재 또는 철근이 상기 높이조정볼트의 안착판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높이조정볼트의 회전으로 안착판이 하강하여 상기 몸체부의 걸이부와의 사이에서 서로 십자형으로 교차된 철근과 관형부재 또는 관형 부재와 철근을 서로 압착하여 결속시키는 쉬스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조정볼트는 그 상단이 절곡되어 "ㄱ"형의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구성된 쉬스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정 길이를 갖는 관형 부재를 철근의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관형 부재의 양단에는 단부 고정구의 십자형 클램프를 각각 배치하여 상기 관형 부재와 철근을 십자형으로 교차시켜서 관형 부재를 철근에 고정시키되, 상기 각각의 십자형 클램프는 각각의 단면이 "J"형으로 형성되어 하단에는 걸이부를 형성하는 한쌍의 나란하게 배치된 양 측판과, 상기 양 측판의 상단을 상판이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의 상판 중앙에 고정된 너트부재를 나사결합으로 관통하도록 높이조정볼트가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정볼트의 하단에는 호형 단면의 안착판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상기 몸체부의 하단 걸이부에 철근 또는 관형 부재를 내부에 끼우고, 상기 걸이부에 끼워진 철근 또는 관형 부재의 상부에서 이에 직교(直交)하는 방향으로 관형 부재 또는 철근을 안착판 하부에 위치시켜 상기 높이조정볼트의 회전으로 철근과 관형부재 또는 관형 부재와 철근을 서로 압착하여 결속시키며; 상기 관형 부재의 중간에는 쉬스 장착구의 관형 클램프를 고정하고, 상기 관형 클램프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된 밴드 클램프에 쉬스를 채워서 고정시키는 쉬스 고정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형 부재는 비계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쉬스 장착구의 관형 클램프는 한쌍의 호형 클램프부재가 일측은 힌지축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나사고정식으로 결합되어 비계관을 에워싸서 그 중간에 고정되며, 상기 쉬스 장착구의 밴드 클램프는 제1 및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반원형 철판 띠부재는 그 중앙 외측면이 상기 관형 클램프의 배면에 일체로 고정되며, 그 일측 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절개공을 형성하고, 타측 단부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 절곡 플랜지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는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반원형 철판 띠부재의 절개공으로 삽입가능한 걸고리를 돌출 형성하고, 타측 단부는 관통공이 중앙에 형성된 절곡 플랜지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반원형 철판 띠부재의 절개공으로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의 걸고리가 삽입되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의 각각의 절곡 플랜지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고정나사가 삽입되어 너트로 고정됨으로써 쉬스를 에워싸서 고정하는 쉬스 고정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쉬스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에 의하면 쉬스를 철근 사이에 고정시키되, 비계관으로 이루어진 관형 부재와, 상기 관형 부재의 중앙에 쉬스를 고정시키도록 관형 클램프와 밴드 클램프를 구비한 쉬스 장착구및 상기 관형 부재를 철근에 결속하는 한쌍의 십자형 클램프를 구비한 단부 고정구를 구비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쉬스를 철근사이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시 또는 철근 배근 작업시에 외부로부터 쉬스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쉬스의 변형을 방지하여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쉬스의 파손을 방지하여 후속 공정에서 강연선의 삽입 및 인장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그에 따라서 고품질의 프리스트레스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쉬스 고정방식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쉬스 고정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쉬스 고정장치에 구비된 쉬스 장착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쉬스 고정장치에 구비된 단부 고정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동작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쉬스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철근 사이에 쉬스를 고정시키는 쉬스 고정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쉬스 고정장치(100)는 도 2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갖는 관형 부재(110)를 갖는다. 이와 같은 관형 부재(110)는 일정 길이의 비계관(1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형 부재(110)의 중간에 쉬스 장착구(130)가 구비되는데, 이와 같은 쉬스 장착구(130)는 일측의 관형 클램프(140)가 고정되고, 상기 관형 클램프(140)의 일측에는 일체로 연결된 밴드 클램프(150)가 쉬스(170)를 에워싸서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쉬스 장착구(130)는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관형 클램프(140)가 위치되고, 이에 일체로 밴드 클램프(150)가 고정된 것인데, 상기 관형 클램프(140)는 한 쌍의 호형 클램프부재(142a)(142b)가 일측은 힌지축(144)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나사고정식으로 볼트(146a) 및 너트(146b)를 통해 결합되어 비계관(112)을 에워싸서 그 중간에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관형 클램프(140)는 예를 들면 비계관(112)의 조립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비계관 클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현장에서 조달하기 쉽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은 관형 클램프(140)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된 밴드 클램프(150)는 쉬스(170)를 에워싸서 결속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152)(162)로 쉬스(170)를 에워싸는 둥근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반원형 철판 띠부재(152)는 그 중앙 외측면이 상기 관형 클램프(140)의 배면에 일체로 고정되며, 그 일측 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절개공(154)을 형성하고, 타측 단부는 관통공(156a)이 중앙에 형성된 절곡 플랜지(156)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162)는 그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반원형 철판 띠부재(152)의 절개공(154)으로 삽입가능한 걸고리(164)를 돌출 형성하고, 타측 단부는 관통공(166a)이 중앙에 형성된 절곡 플랜지(166)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반원형 철판 띠부재(152)의 절개공(154)으로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162)의 걸고리(164)가 삽입되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152)(162)의 각각의 절곡 플랜지(156)(166)에 형성된 관통공(156a)(166a)으로 고정나사(168a)가 삽입되어 너트(168b)로 고정됨으로써 쉬스(170)을 에워싸서 고정하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한쌍의 제1 및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152)(162)로 이루어진 밴드 클램프(150)는 제1 및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152)(162)가 분리 가능한 구조이어서 그 부피를 축소할 수 있고, 운반 및 보관하기 편리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쉬스 고정장치(100)는 상기 관형 부재(1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관형 부재(110)와 철근(110a)을 십자형으로 교차시켜서 관형 부재(110)를 철근(110a)에 고정하는 한쌍의 십자형 클램프(210)를 포함하는 단부 고정구(200)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단부 고정구(200)는 관형 부재(110)와 철근(110a)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것인데, 이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십자형 클램프(210)의 단면이 "J"형으로 형성되어 하단에는 걸이부(P)를 형성하는 한쌍의 나란하게 배치된 양 측판(212a)(212b)과, 상기 양 측판(212a)(212b)의 상단을 상판(214)이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몸체부(216)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몸체부(216)는 한쌍의 양 측판(212a)(212b)과 상판(214)이 서로 연결된 일체형의 "ㄷ"형의 단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철판을 절곡하여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부(216)의 상판(214) 중앙에는 관통구멍(214a)에 인접하여 너트부재(218)가 고정되며, 이와 같은 너트부재(218)에는 그 내부를 나사결합으로 관통하도록 높이조정볼트(22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높이조정볼트(220)는 그 상단이 절곡되어 "ㄱ"형의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이며, 그 하단에는 호형 단면의 안착판(222)이 상기 몸체부(216)의 내측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단부 고정구(200)는 도 5에서 관형 부재(110)의 우측 결합상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16)의 하단 걸이부(P)에 철근(110a)이 내부에 끼워지고, 상기 걸이부(P)에 끼워진 철근(110a)의 상부에서 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형 부재(110)가 상기 높이조정볼트(220)의 안착판(222)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는 다르게는 도 5에서 관형 부재(110)의 좌측 결합상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16)의 하단 걸이부(P)에 관형 부재(110)가 내부에 끼워지고, 상기 걸이부(P)에 끼워진 관형 부재(110)의 상부에서 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철근(110a)이 상기 높이조정볼트(220)의 안착판(222)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높이조정볼트(220)의 회전으로 안착판(222)이 하강하여 상기 몸체부(216)의 걸이부(P)와의 사이에서 서로 십자형으로 교차된 철근(110a)과 관형 부재(110) 또는 관형 부재(110)와 철근(110a)을 서로 압착하여 결속시키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쉬스 고정장치(100)를 이용하여 쉬스(170)을 철근(110a) 내에 고정시키는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쉬스 고정방법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갖는 관형 부재(110)를 철근(110a)의 사이에 배치하는데, 이와 같은 관형 부재(110)는 현장에서 구하기 용이한 비계관(112)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관형 부재(110)의 양단에는 단부 고정구(200)의 십자형 클램프(210)를 각각 배치하여 상기 관형 부재(110)와 철근(110a)을 십자형으로 교차시켜서 관형 부재(110)를 철근(110a)에 일체로 견고히 고정한다.
이때 상기 단부 고정구(200)는 각각의 십자형 클램프(210)가 단면이 "J"형으로 형성되어 하단에는 걸이부(P)를 형성하는 한쌍의 나란하게 배치된 양 측판(212a)(212b)과, 상기 양 측판(212a)(212b)의 상단을 상판(214)이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몸체부(216)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216)의 상판(214) 중앙에 고정된 너트부재(218)를 나사결합으로 관통하도록 높이조정볼트(220)가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정볼트(220)의 하단에는 호형 단면의 안착판(222)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단부 고정구(200)의 십자형 클램프(210)는 상기 몸체부(216)의 하단 걸이부(P)에 철근(110a) 또는 관형 부재(110)를 내부에 끼우고, 상기 걸이부(P)에 끼워진 철근(110a) 또는 관형 부재(110)의 상부에서 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형 부재(110) 또는 철근(110a)을 안착판(222) 하부에 위치시켜 상기 높이조정볼트(220)의 회전으로 철근(110a)과 관형 부재(110) 또는 관형 부재(110)와 철근(110a)을 서로 압착하여 결속시키게 된다. 따라서 관형 부재(110)가 철근(110a)의 사이에 일체로 고정된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쉬스(170)이 위치되어야 할 정확한 위치에 쉬스 장착구(130)를 고정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관형 부재(110)의 중간에 쉬스 장착구(130)의 관형 클램프(140)를 고정하는데, 상기 관형 클램프(140)는 한쌍의 호형 클램프부재(142a)(142b)가 일측은 힌지축(144)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나사고정식으로 볼트(146a) 및 너트(146b)를 통해 결합되어 비계관(112)을 에워싸서 그 중간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비계관(112)을 연결시키는 비계관 클램프 방식으로 비계관(112)에 장착하면, 쉽게 관형 클램프(140)를 관형 부재(110)의 중간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다음으로는 상기 관형 클램프(140)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된 밴드 클램프(150)에 쉬스(170)을 채워서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쉬스 장착구(130)의 밴드 클램프(150)는 제1 반원형 철판 띠부재(152)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공(154)에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162)의 걸고리(164)를 끼워서 회전시키면, 제1 반원형 철판 띠부재(152)의 절개공(154)과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162)의 걸고리(164)가 서로 걸려서 쉽게 연결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152)(162)가 형성하는 내측의 호형 공간에 쉬스(170)을 배치하고, 제1 및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152)(162)의 각각의 절곡 플랜지(156)(166)에 형성된 관통공(156a)으로 고정나사(168a)를 삽입한 다음 너트(168b)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152)(162)가 쉬스(170)을 에워싸서 고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고정하면 쉬스(170)을 철근(110a) 사이에 안정적으로 쉽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쉬스 고정장치(100) 및 그 고정방법에 의하면, 쉬스(170)을 철근(110a) 사이에 고정시키되, 비계관(112)으로 이루어진 관형 부재(110)와, 상기 관형 부재(110)의 중앙에 쉬스(170)을 고정시키도록 관형 클램프(140) 및 밴드 클램프(150)를 구비한 쉬스 장착구(130)를 이용하고, 상기 관형 부재(110)를 철근(110a)에 결속하는 한쌍의 십자형 클램프(210)를 구비한 단부 고정구(200)를 이용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쉬스(170)을 철근(110a) 사이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시 또는 철근(110a)의 배근 작업시에 외부로부터 쉬스(17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쉬스(170)의 변형을 방지하여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며, 쉬스(170)의 파손을 방지하여 후속 공정에서 강연선의 삽입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그에 따라서 고품질의 프리스트레스트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구조적인 안정성을 부가하기 위하여 보다 많은 수의 십자형 클램프(210)를 이용하여 관형 부재(110)와 철근(110a)을 서로 연결할 수 있고, 하나의 관형 부재(110)에 다수의 쉬스 장착구(130)를 이용하여 다수의 쉬스(170)을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단순한 고정구조의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본 발명에 따른 쉬스 고정장치
110.... 관형 부재 112...... 비계관
130.... 쉬스 장착구 140...... 관형 클램프
142a,142b.... 호형 클램프부재 144..... 힌지축
146a..... 볼트 146b...... 너트
150..... 밴드 클램프 152..... 제1 반원형 철판 띠부재
154...... 절개공 156,166..... 절곡 플랜지
156a,166a..... 관통공 162.....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
164...... 걸고리 170...... 쉬스
200...... 단부 고정구 210...... 십자형 클램프
212a,212b..... 측판 214...... 상판
214a...... 관통구멍 216..... 몸체부
218...... 너트부재 220...... 높이조정볼트
222..... 안착판 P...... 걸이부

Claims (7)

  1. 일정 길이를 갖는 관형 부재(110);
    상기 관형 부재(110)의 중간에 일측의 관형 클램프(140)가 고정되고, 상기 관형 클램프(140)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된 밴드 클램프(150)가 쉬스(170)를 에워싸서 고정하는 쉬스 장착구(130); 및
    상기 관형 부재(1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관형 부재(110)와 철근(110a)을 십자형으로 교차시켜서 관형 부재(110)를 철근(110a)에 고정하는 한쌍의 십자형 클램프(210)를 포함하는 단부 고정구(200);를 구비하여 쉬스(170)을 철근(110a) 사이에 고정하며,
    상기 쉬스 장착구(130)의 밴드 클램프(150)는 제1 및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152)(16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반원형 철판 띠부재(152)는 중앙 외측면이 상기 관형 클램프(140)의 배면에 일체로 고정되며, 일측 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절개공(154)을 형성하고, 타측 단부는 관통공(156a)이 중앙에 형성된 절곡 플랜지(156)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162)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반원형 철판 띠부재(152)의 절개공(154)으로 삽입가능한 걸고리(164)를 돌출 형성하고, 타측 단부는 관통공(156a)이 중앙에 형성된 절곡 플랜지(156)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반원형 철판 띠부재(152)의 절개공(154)으로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162)의 걸고리(164)가 삽입되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152)(162)의 각각의 절곡 플랜지(156)(166)에 형성된 관통공(156a)으로 고정나사(168a)가 삽입되어 너트(168b)로 고정됨으로써 쉬스(170)을 에워싸서 고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쉬스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110)는 비계관(1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쉬스 장착구(130)의 관형 클램프(140)는 한쌍의 호형 클램프부재(142a)(142b)가 일측은 힌지축(144)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나사고정식으로 볼트(146a) 및 너트(146b)를 통해 결합되어 비계관(112)을 에워싸서 그 중간에 고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쉬스 고정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고정구(200)의 십자형 클램프(210)는 각각의 단면이 "J"형으로 형성되어 하단에는 걸이부(P)를 형성하는 한쌍의 나란하게 배치된 양 측판(212a)(212b)과, 상기 양 측판(212a)(212b)의 상단을 상판(214)이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몸체부(216)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216)의 상판(214) 중앙에 고정된 너트부재(218)를 나사결합으로 관통하도록 높이조정볼트(220)가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정볼트(220)의 하단에는 호형 단면의 안착판(222)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상기 몸체부(216)의 하단 걸이부(P)에는 철근(110a) 또는 관형 부재(110)가 내부에 끼워지고,
    상기 걸이부(P)에 끼워진 철근(110a) 또는 관형 부재(110)의 상부에서 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형 부재(110) 또는 철근(110a)이 상기 높이조정볼트(220)의 안착판(222) 하부에 위치되며,
    상기 높이조정볼트(220)의 회전으로 안착판(222)이 하강하여 상기 몸체부(216)의 걸이부(P)와의 사이에서 서로 십자형으로 교차된 철근(110a)과 관형 부재(110) 또는 관형 부재(110)와 철근(110a)을 서로 압착하여 결속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쉬스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정볼트(220)는 그 상단이 절곡되어 "ㄱ"형의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회전시키기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쉬스 고정장치.
  6. 일정 길이를 갖는 관형 부재(110)를 철근(110a)의 사이에 배치하고;
    상기 관형 부재(110)의 양단에는 단부 고정구(200)의 십자형 클램프(210)를 각각 배치하여 상기 관형 부재(110)와 철근(110a)을 십자형으로 교차시켜서 관형 부재(110)를 철근(110a)에 고정시키되, 상기 각각의 십자형 클램프(210)는 각각의 단면이 "J"형으로 형성되어 하단에는 걸이부(P)를 형성하는 한쌍의 나란하게 배치된 양 측판(212a)(212b)과, 상기 양 측판(212a)(212b)의 상단을 상판(214)이 서로 일체로 연결하는 몸체부(216)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부(216)의 상판(214) 중앙에 고정된 너트부재(218)를 나사결합으로 관통하도록 높이조정볼트(220)가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정볼트(220)의 하단에는 호형 단면의 안착판(222)이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됨으로써 상기 몸체부(216)의 하단 걸이부(P)에 철근(110a) 또는 관형 부재(110)를 내부에 끼우고, 상기 걸이부(P)에 끼워진 철근(110a) 또는 관형 부재(110)의 상부에서 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형 부재(110) 또는 철근(110a)을 안착판(222) 하부에 위치시켜 상기 높이조정볼트(220)의 회전으로 철근(110a)과 관형 부재(110) 또는 관형 부재(110)와 철근(110a)을 서로 압착하여 결속시키며;
    상기 관형 부재(110)의 중간에는 쉬스 장착구(130)의 관형 클램프(140)를 고정하고, 상기 관형 클램프(140)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된 밴드 클램프(150)에 쉬스(170)을 채워서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쉬스 고정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부재(110)는 비계관(11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쉬스 장착구(130)의 관형 클램프(140)는 한쌍의 호형 클램프부재(142a)(142b)가 일측은 힌지축(144)으로 연결되고, 타측은 나사고정식으로 볼트(146a) 및 너트(146b)결합되어 비계관(112)을 에워싸서 중간에 고정되며, 상기 밴드 클램프(150)는 제1 및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152)(16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반원형 철판 띠부재(152)는 중앙 외측면이 상기 관형 클램프(140)의 배면에 일체로 고정되며, 일측 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절개공(154)을 형성하고, 타측 단부는 관통공(156a)이 중앙에 형성된 절곡 플랜지(156)를 형성하며,
    상기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162)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반원형 철판 띠부재(152)의 절개공(154)으로 삽입가능한 걸고리(164)를 돌출 형성하고, 타측 단부는 관통공(156a)이 중앙에 형성된 절곡 플랜지(156)를 형성하며, 상기 제1 반원형 철판 띠부재(152)의 절개공(154)으로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162)의 걸고리(164)가 삽입되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반원형 철판 띠부재(152)(162)의 각각의 절곡 플랜지(156)(166)에 형성된 관통공(156a)으로 고정나사(168a)가 삽입되어 너트(168b)로 고정됨으로써 쉬스(170)을 에워싸서 고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쉬스 고정방법.
KR1020100012101A 2010-02-09 2010-02-09 쉬스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KR100991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101A KR100991871B1 (ko) 2010-02-09 2010-02-09 쉬스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2101A KR100991871B1 (ko) 2010-02-09 2010-02-09 쉬스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1871B1 true KR100991871B1 (ko) 2010-11-04

Family

ID=43409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2101A KR100991871B1 (ko) 2010-02-09 2010-02-09 쉬스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8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1601A (ko) 2022-08-10 2024-02-19 현대건설(주) 포스트텐션과 3d 프린팅을 이용한 콘크리트 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1601A (ko) 2022-08-10 2024-02-19 현대건설(주) 포스트텐션과 3d 프린팅을 이용한 콘크리트 관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콘크리트 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6489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보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하여제작된 강합성보
KR100909839B1 (ko) 곡선강재틀의 곡선강재에 보강재를 설치하고, 프리플렉션을 도입한 곡선형프리플렉션강재빔틀의 제작방법
JP4929331B2 (ja) 鉄骨露出型柱脚部の施工方法
US8763333B1 (en) Method of making a dual panel composite truss
WO2018112015A1 (en) Rebar wall set-up bar
KR101858817B1 (ko) 연결보유닛의 설치시스템 및, 연결보유닛의 시공방법
JP4160581B2 (ja) アンカーボルトの位置保持用金具及び位置固定構造,それを利用した鉄骨柱の建て方方法
KR100991871B1 (ko) 쉬스 고정장치 및 고정방법
KR100840190B1 (ko) 연속교용 프리스트레스 강합성 콘크리트 상부플랜지를가지는 아이빔 세그멘트 연결방법
KR101807234B1 (ko) 교량의 상부슬래브 압축력 도입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교량 시공방법
KR20100057446A (ko) 수직 구조체 전도 방지 장치
JPH1171897A (ja) コンクリート打設用足場板支持装置
KR20170043687A (ko) 교량의 상부슬래브 압축력 도입장치 및 그것이 구비된 교량 시공방법
KR20070001410A (ko) 콘크리트 다주형 교량의 강재가로보 설치 구조
KR100400980B1 (ko) 강선을 이용한 교각 보강공법 및 그 장치
KR100719956B1 (ko) 교량점검대 지지장치
KR20040091350A (ko) 피에스에스 거더
KR101911731B1 (ko) 데크 단부에서 긴장 정착시킨 장스팬 내화 데크의 긴장재 정착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JP5103202B2 (ja) 梁上端主筋の受け架台および梁鉄筋の組立て方法
JP7270213B2 (ja) アーチ鉄筋の組立方法
KR102315988B1 (ko) 정착구의 다양한 배치가 가능한 지압판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거더 제조방법
KR0141551B1 (ko) 교량 빔의 보수방법 및 보수장치
KR101775583B1 (ko) 긴장재 중심축조정용 정착장치가 구비된 거더
JP4372642B2 (ja) 柱状構造物の構築方法
KR100440622B1 (ko) 교량빔의 보강공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