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402B1 -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상 통화 수행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상 통화 수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402B1
KR100991402B1 KR1020080064715A KR20080064715A KR100991402B1 KR 100991402 B1 KR100991402 B1 KR 100991402B1 KR 1020080064715 A KR1020080064715 A KR 1020080064715A KR 20080064715 A KR20080064715 A KR 20080064715A KR 100991402 B1 KR100991402 B1 KR 1009914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xt
page
image
signal
video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507A (ko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4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402B1/ko
Priority to US12/493,384 priority patent/US20100002068A1/en
Publication of KR20100004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8Interfacing a video terminal to a particular transmission medium, e.g. ISD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상 통화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화상 통화 중 텍스트 파일 선택 시, 선택된 텍스트 파일을 텍스트 이미지로 변환하고, 텍스트 이미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는 화상 통화 수행 시, 텍스트 파일로부터 변환된 텍스트 이미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송수신할 수 있다. 즉 텍스트 이미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수신함에 따라서, 통신 단말기는 화상 통화 중 텍스트 파일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로 인하여, 통신 단말기는 수신되는 텍스트 이미지를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통신 단말기, 화상 통화, 비디오 데이터, 텍스트 파일, 텍스트 이미지

Description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상 통화 수행 방법{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VIDEO TELEPHONY}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상 통화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 통화 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상 통화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는 통화 기능 이외에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어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즉 현재의 통신 단말기는 카메라 기능, 메시지 송수신 기능, 메모 관리 기능, MP3 기능, 무선 인터넷 기능 등의 각종 편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현재의 통신 단말기는 화상 통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화상 통화 기능을 이용하여 화상 통화 시, 통신 단말기는 실시간으로 비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송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 때 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화상 통화 기능은 교환기를 이용한 회선 교환 방식과 올-아이피(All-IP)망을 이용한 패킷 교환 방식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통화 기능은 ITU(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에서 정의하는 국제 표준인 H.323 또는 H.324M(Mobile) 프로토콜이 이동통신 시스템에 구현됨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여기서, H.323은 패킷 데이터망인 IP(Internet Protocol)망에서 화상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프로토콜이다. 그리고 H.324는 공중망을 기준으로 개발된 시스템 프로토콜이며, H.324M은 H.324를 이동통신용으로 개량한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통신 단말기는 화상 통화 시,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거나 미리 저장된 사용자 이미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할 뿐이다. 이로 인하여, 통신 단말기는 화상 통화 중 텍스트 파일 공유 시, 비디오 데이터와 별도로 텍스트 파일을 전송해야 한다. 예를 들면, 통신 단말기는 화상 통화를 위한 사용자 이미지를 전송하는 한편, 멀티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e)와 같은 형태로 텍스트 파일을 전송한다. 이에 따라, 화상 통화 중 텍스트 파일 수신 시, 통신 단말기에서 텍스트 파일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수행 방법은, 상기 화상 통화 중 텍스트 파일 선택 시, 상기 선택된 텍스트 파일을 텍스트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텍스트 이미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는, 화상 통화 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와, 상기 화상 통화 중 텍스트 파일 선택 시, 상기 선택된 텍스트 파일을 텍스트 이미지로 변환하고, 상기 텍스트 이미지를 상기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텍스트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상 통화 수행 방법은, 통신 단말기에서 화상 통화 수행 시, 텍스트 파일로부터 변환된 텍스트 이미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송수신할 수 있다. 즉 텍스트 이미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수신함에 따라서, 통신 단말기에서 화상 통화 중 텍스트 파일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로 인하여, 통신 단말기에서 수신되는 텍스트 이미지를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단말기들이 화상 통화 시, 텍스트 파일을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하기 설명에서, "텍스트 파일(text file)"이라는 용어는 통신 단말기에서 텍스트를 포함하도록 생성된 데이터를 의미한다. 이러한 텍스트 파일은 통신 단말기에서 각종 기능을 통해 자체적으로 작성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다. 이 때 텍스트 파일은 이메일(E-mail) 등과 같이 텍스트로 이루어진 개별적인 데이터일 수 있으며, MP3 파일 리스트 등과 같이 텍스트로 이루어진 파일명들의 리스트로 이루어진 데이터일 수 있다. "텍스트 이미지(text image)"라는 용어는 통신 단말기에서 특정 텍스트 파일로부터 변환된 영상을 의미한다. "비디오 데이터(video data)" 라는 용어는 통신 단말기에서 화상 통화 시 송수신하는 영상 신호을 의미한다. 이러한 비디오 데이터는 통신 단말기에서 화상 통화 시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를 대표하는 영상일 수 있다. 이 때 비디오 데이터는 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촬영된 영상 또는 통신 단말기에서 카메라를 통해 미리 촬영되거나 외부로부터 다운로드되어 미리 저장된 영상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들(100a, 100b), 즉 제 1 통신 단말기(100a) 및 제 2 통신 단말기(100b)는 상호 연결을 통해 화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들 사이의 화상 통화를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통신 단말기(100a) 및 제 2 통신 단말기(100b)는 110단계에서 호 연결(CALL CONNECTION)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화상 통화 요구 시, 제 1 통신 단말기(100a)는 호 연결 요청 메시지(CONNECT REQUEST message)를 전송한다. 그리고 호 연결 요청 메시지 수신 시, 제 2 통신 단말기(100b)는 호 연결 수락 메시지(CONNECTED ACK message)를 전송할 수 있다. 이 후 제 1 통신 단말기(100a)에서 호 연결 수락 메시지 수신 시, 제 1 통신 단말기(100a) 및 제 2 통신 단말기(100b) 사이에 호가 연결된다.
다음으로, 제 1 통신 단말기(100a) 및 제 2 통신 단말기(100b)는 120단계에서 연결된 호를 통해 제어 정보 협상(H.245 NEGOTIATION)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 1 통신 단말기(100a) 및 제 2 통신 단말기(100b)는 121단계에서 TERMINAL CAPABILITY SET 메시지를 교환하여,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의 처리 능력 을 설정한다. 이 때 제 1 통신 단말기(100a) 및 제 2 통신 단말기(10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로 송수신되는 텍스트 이미지의 처리 능력을 더 설정한다. 예를 들면, 제 1 통신 단말기(100a) 및 제 2 통신 단말기(100b)는 서로의 표시 규격 등을 파악하여, 이를 설정한다. 그리고 제 1 통신 단말기(100a) 및 제 2 통신 단말기(100b)는 123단계에서 MASTER/SLAVE DETERMINATION 메시지를 교환하여, 마스터 단말기와 슬레이브 단말기를 결정한다. 또한 제 1 통신 단말기(100a) 및 제 2 통신 단말기(100b)는 125단계에서 MULTIPLEX ENTRY SEND 메시지를 교환하여, 다중화 엔트리를 전달한다. 게다가 제 1 통신 단말기(100a) 및 제 2 통신 단말기(100b)는 127단계에서 OPEN LOGICAL CHANNEL 메시지를 교환하여,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논리 채널을 생성한다.
다음으로, 제 1 통신 단말기(100a) 및 제 2 통신 단말기(100b)는 130단계에서 협상된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 통화를 수행한다. 이 때 제 1 통신 단말기(100a) 및 제 2 통신 단말기(100b)는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 때 제 1 통신 단말기(100a) 및 제 2 통신 단말기(100b)는 텍스트 이미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화상 통화를 수행하는 통신 단말기(100a, 100b) 각각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기(100a, 100b)들은 휴대 전화기인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통신 단말기(100a, 100b)는 키 입력부(210), 무선 통신 부(220), 카메라부(230), 영상 처리부(240), 표시부(250), 메모리(260), 제어부(270) 및 오디오 처리부(280)를 포함한다.
키 입력부(210)는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 키들로 이루어진다.
무선 통신부(220)는 통신 단말기(100a, 100b)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22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 수신기 등을 포함한다. 특히 무선 통신부(22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상 통화를 위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카메라부(230)는 화상 통화를 위한 비디오 데이터를 촬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카메라부(230)는 촬영된 광학적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와, 카메라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처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 센서는 CCD 센서라 가정하며, 신호 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 센서와 신호 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영상 처리부(240)는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240)는 비디오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처리하며, 표시부(250)의 특성 및 크기에 맞춰 출력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240)는 비디오 코덱을 구비하며, 표시부(250)에 표시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를 원래의 비디오 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비디오 코덱 은 H.261 또는 H.263 방식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한다. 이 때 H.261은 영상 전화 및 영상 회의용 부호화 방식의 규격이며, H.263은 H.261에서 보다 개선된 부호화 방식의 규격이다.
표시부(250)는 영상 처리부(240)에서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화면으로 표시하며, 제어부(27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250)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표시부(250)는 LCD 제어부,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 LCD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입력부로 동작할 수도 있다.
메모리(260)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메모리는 통신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이 때 프로그램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상 통화를 위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 메모리는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메모리(26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수개의 텍스트 파일을 저장한다.
제어부(270)는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270)는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 등을 구비하는 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한다. 이 때 데이터 처리부는 모뎀(MODEM) 및 코덱(CODE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덱은 비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비디오 코덱 및 음성 등의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는 오디오 코덱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상 통화 시,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 때 제어부(270)는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270)는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270)는 사용자 이미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부(270)는 카메라부(230)를 통해 촬영되거나 메모리(26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7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상 통화 중 텍스트 파일 선택 시, 선택된 텍스트 파일을 텍스트 이미지로 변환한다. 선택적으로, 제어부(27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텍스트 이미지를 적어도 두 개의 페이지로 분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70)는 도 1의 121단계에서 설정된 표시 규격에 따라 텍스트 이미지를 분할할 수 있다. 게다가 제어부(27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텍스트 이미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280)는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 데이터를 스피커(SPK)를 통해 재생하거나, 마이크(MIC)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오디오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의 오디오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통신 단말기(100a, 100b)에서 제어부(27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에서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270)는 텍스트 변환부(310), 비디오 코덱(320), 오디오 코덱(330), 먹스/디먹스(MUX/DEMUX; MUltipleXer/DEMUltipleXer; 340) 및 모뎀(MODEM; 350)을 포함한다.
텍스트 변환부(3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텍스트 파일을 텍스트 이미지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텍스트 변환부(310)는 화상 통화 중 텍스트 파일 선택 시, 선택된 텍스트 파일을 텍스트 이미지로 변환한다. 그리고 텍스트 변환부(310)는 텍스트 이미지를 적어도 두 개의 페이지로 분할할 수 있다. 이 때 텍스트 변환부(310)는 도 1의 121단계에서 설정된 표시 규격에 따라 텍스트 이미지를 분할할 수 있다. 또한 텍스트 변환부(310)는 페이지들을 개별적으로 전송한다.
비디오 코덱(320)은 비디오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비디오 코덱(320)은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한다. 그리고 비디오 코덱(320)은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송신하기 위한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예를 들면, 비디오 코덱(320)은 카메라부(230)를 통해 촬영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또한 비디오 코덱(3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텍스트 변환부(310)에서 출력되는 텍스트 이미지를 복호화한다. 여기서, 비디오 코덱(320)은 H.261, H.263 또는 MPEC-4 방식에 따라 비디오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복호화한다. 이 때 H.261은 영상 전화 및 영상 회의용 부호화 및 복호화 방식의 규격이며, H.263 및 MPEC-4는 H.261에서 보다 개선된 부호화 및 복호화 방식의 규격이다.
오디오 코덱(330)은 오디오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오디오 코덱(330)은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한다. 그리고 오디오 코덱(330)은 오디오 처리부(280)를 통해 수신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복호화한다. 여기서, 오디오 코덱(330)은 AMR(Adaptive MultiRate) 또는 G.723.1 방식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를 부호화 및 복호화한다. 이에 더하여, 오디오 코덱(330)은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 데이터의 동기화를 위하여, 오디오 데이터의 수신 경로에 임의의 지연을 주어 비디오 데이터의 지연을 보정할 수 있다.
먹스/디먹스(340)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를 하나의 비트 스트림으로 다중화(multiplex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먹스/디먹스(340)는 비트 스트림을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로 역다중화(demultiplex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먹스/디먹스(340)는 논리 프레임 생성, 일련 번호 넘버링, 에러 감지, 재전송을 통한 에러 복구 기능 등을 수행한다. 여기서, 먹스/디먹스(340)는 H.223 방식에 따라 다중화 및 역다중화를 수행한다.
모뎀(350)은 비트 스트림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조하여 무선 통신부(22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뎀(350)은 무선 통신부(220)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비트 스트림으로 복조하여 먹스/디먹스(34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모뎀(350)은 V.34 방식에 따라 변조 및 복조를 수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어부(270)의 제어 하에 이루어지는 통신 단말기(100a, 100b)의 화상 통화 절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절차 수행 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여기서, 도 7a는 화상 통화 중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고, 도 7b 내지 도 7d는 화상 통화 중 텍스트 파일 전송 요구 시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 하고 있으며, 도 7e 및 도 7f는 화상 통화 중 텍스트 이미지 전송 시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화상 통화 절차는, 제어부(270)가 411단계에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통화 모드를 수행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즉 화상 통화 모드 시, 제어부(270)는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때 제어부(270)는 카메라부(230)를 통해 촬영되는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70)는 메모리(26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화상 통화 중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파일 전송 요구 시, 제어부(270)는 41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415단계에서 해당 텍스트 파일을 텍스트 이미지로 변환한다. 즉 화상 통화 중 도 7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위 메뉴를 통해 텍스트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요구가 발생하면, 제어부(270)는 이를 감지하고, 메모리(260)에 저장되어 있는 텍스트 파일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화상 통화 중 도 7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툴 바(tool bar)를 통해 텍스트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요구가 발생하면, 제어부(270)는 이를 감지하고, 메모리(260)에 저장되어 있는 텍스트 파일들을 표시할 수 있다. 이 후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텍스트 파일이 선택되면, 제어부(270)가 이를 감지하고, 선택된 텍스트 파일을 텍스트 이미지로 변환한다. 여기서, 제어부(270)는 H.324M 프로토콜에 적용 가능한 형태로 텍스트 이미지를 형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270)가 텍스트 파일을 텍스트 이미지로 변환하는 절차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도 4에서 텍스트 이미지 변환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텍스트 파일 선택 감지 시, 제어부(270)는 511단계에서 텍스트 파일의 유니코드(unicode)를 추출한다. 이 때 유니코드는 플랫폼, 프로그램, 언어에 상관없이 모든 문자에 제공되는 코드로서, 모든 브라우저 및 기타 제품들에 지원된다. 예를 들면, 텍스트 파일이 'HELLO'와 같은 텍스트를 포함하면, 제어부(270)는 'HELLO'에 대응하여 'ff fe 48 00 62 00 6c 00 6c 00 6f 00'와 같은 유니코드를 추출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513단계에서 이미지 속성을 결정한다. 이 때 이미지 속성은 텍스트의 색상, 텍스트의 배경(background) 색상, 배경 상에서 텍스트의 위치, 예컨대 텍스트의 좌표 및 텍스트 이미지의 사이즈 등을 포함하며, 이들 중 적어도 일부는 디폴트(default)로 설정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270)는 515단계에서 유니코드 및 이미지 속성을 이용하여 텍스트 이미지를 형성한 다음, 도 4로 리턴한다. 이 때 제어부(270)는 1 픽셀(pixel) 당 8 비트(bit)로 유니코드가 적용되도록 텍스트 이미지를 형성한다.
한편, 제어부(270)는 텍스트 파일에서 일정 단위로 텍스트를 구분하여 511단계 내지 515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파일이 텍스트의 리스트로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270)는 텍스트 파일에서 'The path of life'를 추출한 다음, 'The path of life'에 대하여 유니코드를 추출하고, 이미지 속성을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270)는 'The path of life'와 마찬가지로, 텍스트 파일에서 'Consolation', 'Prayer' 및 'Bless you'를 순차적으로 추출하여, 각각의 유니코드를 추출하고, 이미지 속성을 결정한다. 이 후 제어부(270)는 'The path of life', 'Consolation', 'Prayer' 및 'Bless지 you'에 대하여 추출된 유니코드 및 결정된 이미지 속성을 이용하여 단일 텍스트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270)는 417단계에서 텍스트 이미지에서 페이지를 분할한다. 이 때 제어부(270)는 도 1의 121단계에서 설정된 표시 규격에 따라 텍스트 이미지를 적어도 하나의 페이지로 분할한다. 즉 텍스트 이미지가 단일 페이지에 표시하는 것이 불가능하면, 제어부(270)는 텍스트 이미지를 적어도 두 개의 페이지로 분할한다. 여기서, 제어부(270)는 하기 <표 1>과 같은 표시 규격들 중 어느 하나의 해상도를 고려하여 텍스트 이미지를 분할한다.
표시 규격 해상도
SQCIF 128×96
QCIF 176×144
CIF 352×288
4CIF 704×576
16CIF 1408×1152
계속해서, 제어부(270)는 419단계에서 도 7e 및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텍스트 이미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한다. 여기서, 제어부(270)는 H.324M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텍스트 이미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한다. 이 때 텍스트 이미지가 적어도 두 개의 페이지로 이루어져 있으면, 제어부(270)는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의 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페이지를 전송한다. 그리고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제어부(270)는 도 7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두 개의 페이지 중 다른 페이지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는 특정 키 정보를 포함하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일 수 있다. 이 때 키 정보는 전송한 페이지의 다음 페이지를 요구하는 신호를 의미하는 넥스트 신호(next signal) 또는 전송한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를 요구하는 신호를 의미하는 포머 신호(former signal)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텍스트 이미지는 제 1 페이지 및 제 1 페이지에 연속하는 제 2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70)는 제 1 페이지를 전송한 다음 넥스트 신호를 수신하면, 제 2 페이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270)는 제 2 페이지를 전송한 다음 포머 신호를 수신하면, 제 1 페이지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부(270)가 텍스트 이미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하는 절차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도 4에서 텍스트 이미지 전송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텍스트 이미지 형성 감지 시, 제어부(270)는 611단계에서 해당 텍스트 이미지의 총 페이지 수(N)을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2710)는 현재 페이지(n)를 1, 즉 제 1 페이지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70)는 613단계에서 현재 페이지(n)를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한다. 이 때 제어부(270)는 현재 페이지(n)의 다음 페이지를 요구하는 신호를 의미하는 넥스트 신호로 간주하기 위한 키 정보, 현재 페이지(n)의 이전 페이지를 요구하는 신호를 의미하는 포머 신호로 간주하기 위한 키 정보 및 해당 텍스트 이미지의 총 페이지 수(N)와 현재 페이지(n)를 나타내는 페이지 정보 등을 안내하기 위한 키 정보 이미지를 현재 페이지(n)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DTMF 신호 수신 시, 제어부(270)는 61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617단계에서 DTMF 신호 수신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이 경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617단계에서 DTMF 신호 수신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지 않은 상태에서 DTMF 신호 수신 시, 제어부(270)는 최종 DTMF 신호 수신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615단계 및 617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그리고 617단계에서 DTMF 신호 수신 시점으로부터 기준 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619단계에서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DTMF 신호를 분석한다. 이 때 제어부(270)는 현재 페이지(n)를 전송한 이후에 기준 시간 내에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적어도 하나의 DTMF 신호의 키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조합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70)는 키 정보의 조합이 넥스트 신호, 포머 신호 또는 선택 페이지(m) 신호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면, 현재 페이지(n)를 전송한 이후에 수신된 DTMF 신호의 키 정보 조합이 '1'이면, 제어부(270)는 해당 DTMF 신호가 넥스트 신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현재 페이지(n)를 전송한 이후에 수신된 DTMF 신호의 키 정보 조합이 '2'이면, 제어부(270)는 해당 DTMF 신호가 포머 신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현재 페이지(n)를 전송한 이후에 수신된 DTMF 신호의 키 정보 조합이 '5' 또는 '15'이면, 제어부(270)는 해당 DTMF 신호가 선택 페이지(m) 요구 신호, 즉 해당 텍스트 이미지에서 제 7 페이지 또는 제 15 페이지를 요구하는 신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현재 페이지(n)를 전송한 이후에 수신된 DTMF 신호의 키 정보 조합이 '01'이면, 제어부(270)는 해당 DTMF 신호가 선택 페이지(m) 요구 신호, 즉 해당 텍스트 이미지에서 제 1 페이지를 요구하는 신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619단계에서 분석한 결과에 따라, 제어부(270)는 621단계에서 DTMF 신호가 넥스트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621단계에서 DTMF 신호가 넥스트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623단계에서 현재 페이지(n)를 1 만큼 증가시킨다. 예를 들면, 제 1 페이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한 다음 넥스트 신호 수신 감지 시, 제어부(270)는 현재 페이지(n)를 2, 즉 제 2 페이지로 결정한다.
한편, 621단계에서 DTMF 신호가 넥스트 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625단계에서 DTMF 신호가 포머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625단계에서 DTMF 신호가 포머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627단계에서 현재 페이지(n)를 1 만큼 감소시킨다. 예를 들면, 제 2 페이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한 다음 포머 신호 수신 감지 시, 제어부(270)는 현재 페이지(n)를 1, 즉 제 1 페이지로 결정한다.
한편, 625단계에서 DTMF 신호가 포머 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629단계에서 DTMF 신호가 선택 페이지(m) 요구 신호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 때 629단계에서 DTMF 신호가 선택 페이지(m) 요구 신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631단계에서 현재 페이지(n)를 선택 페이지(m)로 결정한다. 예를 들면, 제 1 페이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한 다음 제 15 페이지를 요구하는 선택 페이지(m)요구 신호 수신 감지 시, 제어부(270)는 현재 페이지(n)를 15, 즉 제 15 페이지로 결정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70)는 633단계에서 해당 텍스트 이미지에 현재 페이지(n)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제어부(270)는 현재 페이지(n)가 1 이상이고 해당 텍스트 이미지의 총 페이지 수(N) 이하에 해당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이 때 해당 텍스트 이미지에 현재 페이지(n)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613단계 내지 633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해당 텍스트 이미지에 현재 페이지(n)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635단계에서 텍스트 이미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하는 것을 종료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635단계에서 텍스트 이미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하는 것을 종료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70)는 도 4로 리턴한다. 예를 들면, 텍스트 이미지의 특정 페이지를 전송한 다음 DTMF 신호의 수신없이 설정된 시간 간격 경과 시, 제어부(270)는 텍스트 이미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하는 것을 종료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텍스트 이미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하는 것을 종료하기 위한 요구 발생 시, 제어부(270)는 텍스트 이미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하는 것을 종료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화상 통화를 종료하기 위한 요구가 발생하면, 제어부(270)가 42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화상 통화를 종료한다.
한편, 421단계에서 화상 통화를 종료하기 위한 요구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270)는 종료 요구가 감지될 때까지 411단계 내지 421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기에서 텍스트 이미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 시, 적어도 두 개의 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페이지를 전송한 다음,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페이지 중 다른 페이지를 전송하는 예를 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통신 단말기에서 적어도 두 개의 페이지 중 어느 하나의 페이지를 전송한 다음, 무선 통신부를 통해 신호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적어도 두 개의 페이지 중 다른 페이지를 전송함으로써, 본 발명을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통신 단말기에서 설정된 시간 간격이 경과하거나 입력부를 통해 발생하는 신호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페이지 중 다른 페이지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는 화상 통화 수행 시, 텍스트 파일로부터 변환된 텍스트 이미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송수신할 수 있다. 즉 텍스트 이미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수신함에 따라서, 통신 단말기는 화상 통화 중 텍스트 파일을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동작을 수행할 필요가 없다. 이로 인하여, 통신 단말기는 수신되는 텍스트 이미지를 용이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단말기들이 화상 통화 시, 텍스트 파일을 용이하게 공유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들 사이의 화상 통화를 위한 신호 흐름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도 2에서 제어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5는 도 4에서 텍스트 이미지 변환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도 6은 도 4에서 텍스트 이미지 전송 절차를 도시하는 순서도, 그리고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통화 절차 수행 시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예시도들이다.

Claims (20)

  1. 통신 단말기의 화상 통화 수행 방법에 있어서,
    화상 통화 중 텍스트 파일 선택 시, 상기 선택된 텍스트 파일을 텍스트 이미지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텍스트 이미지를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변환 과정은,
    상기 선택된 텍스트 파일에서 텍스트의 유니코드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텍스트 파일의 이미지 속성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추출된 유니코드 및 상기 결정된 이미지 속성으로 상기 텍스트 이미지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수행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속성은 상기 선택된 텍스트 파일에서 상기 텍스트의 색상, 상기 텍스트의 배경 색상, 상기 배경에서 상기 텍스트의 위치 및 상기 텍스트 이미지의 사이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수행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이미지는 제 1 페이지 및 상기 제 1 페이지에 연속하는 제 2 페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전송 과정은,
    상기 제 1 페이지를 전송하는 과정과,
    넥스트 신호 수신 시, 상기 제 2 페이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수행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과정은,
    포머 신호 수신 시, 상기 제 1 페이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수행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과정은,
    상기 넥스트 신호 및 상기 포머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키 정보를 나타내는 키 정보 이미지를 상기 텍스트 이미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수행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넥스트 신호 및 상기 포머 신호는 DTMF(Dual Tone Multi Frequency)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수행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과정은,
    상기 텍스트 이미지가 적어도 두 개의 페이지들로 이루어져 있으면, 상기 페이지들 중 어느 하나를 요구하는 선택 페이지 요구 신호 수신 시, 상기 요구되는 페이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수행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페이지 요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DTMF 신호의 조합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통화 수행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화상 통화 시,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와,
    상기 화상 통화 중 텍스트 파일 선택 시, 상기 선택된 텍스트 파일에서 텍스트의 유니코드를 추출하고 이미지 속성을 결정하여, 상기 추출된 유니코드 및 결정된 이미지 속성으로 텍스트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한 변환을 수행하는 텍스트 변환부와,
    상기 텍스트 이미지를 상기 비디로 데이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텍스트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속성은 상기 선택된 텍스트 파일에서 상기 텍스트의 색상, 상기 텍스트의 배경 색상, 상기 배경에서 상기 텍스트의 위치 및 상기 텍스트 이미지의 사이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텍스트 이미지는 제 1 페이지 및 상기 제 1 페이지에 연속하는 제 2 페이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페이지를 상기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하고, 넥스트 신호 수신 시, 상기 제 2 페이지를 상기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페이지를 상기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하고, 포머 신호 수신 시, 상기 제 1 페이지를 상기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이미지를 상기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 시, 상기 넥스트 신호 및 상기 포머 신호에 각각 대응하는 키 정보를 나타내는 키 정보 이미지를 상기 텍스 트 이미지에 포함시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넥스트 신호 및 상기 포머 신호는 DTMF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텍스트 이미지가 적어도 두 개의 페이지들로 이루어져 있으면, 상기 페이지들 중 어느 하나를 요구하는 선택 페이지 요구 신호 수신 시, 상기 요구되는 페이지를 상기 비디오 데이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페이지 요구 신호는 적어도 하나의 DTMF 신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
  19. 삭제
  20. 삭제
KR1020080064715A 2008-07-04 2008-07-04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상 통화 수행 방법 KR100991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715A KR100991402B1 (ko) 2008-07-04 2008-07-04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상 통화 수행 방법
US12/493,384 US20100002068A1 (en) 2008-07-04 2009-06-29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performing video telephon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715A KR100991402B1 (ko) 2008-07-04 2008-07-04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상 통화 수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507A KR20100004507A (ko) 2010-01-13
KR100991402B1 true KR100991402B1 (ko) 2010-11-03

Family

ID=41464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715A KR100991402B1 (ko) 2008-07-04 2008-07-04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상 통화 수행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002068A1 (ko)
KR (1) KR1009914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69243A (zh) * 2013-09-13 2015-03-25 联想(北京)有限公司 通信方法和电子设备
US9473627B2 (en) 2013-11-08 2016-10-18 Sorenson Communications, Inc. Video endpoints and related methods for transmitting stored text to other video endpoints
KR20220083960A (ko) 2020-12-12 2022-06-21 임승현 내담자들과 심리상담사를 이어주어, 화상 사이버상담을 하는 사업 ‘마음속말’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4046A (en) * 1993-09-17 1995-09-26 Penkey Corporation Universal symbolic handwriting recognition system
US6014464A (en) * 1997-10-21 2000-01-11 Kurzweil Educational Systems, Inc. Compression/ decompression algorithm for image documents having text graphical and color content
US6963360B1 (en) * 2000-11-13 2005-11-0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daptive and learning setting selection process with selectable learning modes for imaging device
US7496230B2 (en) * 2003-06-05 2009-02-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natural language translation of embedded text regions in images during information transfer
JP2005101936A (ja) * 2003-09-25 2005-04-14 Canon Inc 通信装置及び通信装置の制御方法
US7792064B2 (en) * 2003-11-19 2010-09-07 Lg Electronics Inc. Video-conferencing system using mobile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ame
JP2006080702A (ja) * 2004-09-08 2006-03-23 Nec Corp テレビ電話システム、通信端末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文字情報送信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KR100700814B1 (ko) * 2005-07-07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기기에서의 텍스트 파일 재생장치 및 방법
WO2007055326A1 (ja) * 2005-11-10 2007-05-18 Sharp Kabushiki Kaisha データ送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データ送信システム、データ送信装置制御プログラム、データ受信装置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該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20070119306A (ko) * 2006-06-15 2007-12-2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상 통화 중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507A (ko) 2010-01-13
US20100002068A1 (en)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5507B2 (en) Video call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of
US7999840B2 (en) Method for performing video communication ser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for
US20050208962A1 (en) Mobile phone, multimedia chat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773196B1 (ko) 통신 단말기, 그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EP1499085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tocol conversion.
US20020049860A1 (en) Tone detection elimination
CN101583009A (zh) 可视终端及其实现界面内容共享的方法
KR20070119306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화상 통화 중 문자 메시지를 송수신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991402B1 (ko) 통신 단말기 및 그의 화상 통화 수행 방법
KR100761588B1 (ko) 휴대 영상 전화 단말
KR100780801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8159970B2 (en) Method of transmitting image data in video telephone mode of a wireless terminal
JP2001326979A (ja) 無線携帯端末及び無線携帯端末の通信方法
JP2005168012A (ja) テレビ電話対応型インターネット電話機
JP2007281600A (ja)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切替方法
WO2012088789A1 (zh) 一种在可视电话中传送信息的方法及通信终端
JP4391362B2 (ja) 画像通信装置
US8774867B2 (en) Image display system, terminal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program
KR100830534B1 (ko) 화상 통화 단말기의 목록 운용 장치 및 방법
KR10070686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파일 전송 서비스를 지원하는 방법 및그 시스템
JP3593949B2 (ja) アダプタ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2007043227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2002335502A (ja) 映像音声情報通信システム、テレビ会議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テレビ会議通信情報転送方法及び記憶媒体
KR100397692B1 (ko) 청각 장애인이 사용가능한 화상을 이용한 전화기
KR100797120B1 (ko) 화상 통화 휴대 단말기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