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989B1 - 발광장치 - Google Patents

발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989B1
KR100989989B1 KR20080037761A KR20080037761A KR100989989B1 KR 100989989 B1 KR100989989 B1 KR 100989989B1 KR 20080037761 A KR20080037761 A KR 20080037761A KR 20080037761 A KR20080037761 A KR 20080037761A KR 100989989 B1 KR100989989 B1 KR 1009899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assembly
light
light transmitting
transmit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37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2078A (ko
Inventor
장언수
Original Assignee
장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언수 filed Critical 장언수
Priority to KR20080037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989B1/ko
Publication of KR20090112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9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98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연장 등에서 자신의 위치를 알리거나 공연의 흥미를 더하기 위해 사용되는 휴대용 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발광장치는, 상단에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가진 발광유닛; 상기 발광유닛의 발광소자측에 조립되고, 전면 및 후면에 반사면을 가지며, 그 테두리 부분에 투광면이 형성되는 투광부재; 및 상기 발광유닛 및 투광부재를 끼움결합시키는 조립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유닛은 발광유닛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조립체, 상기 투광부재의 하단이 끼움결합되는 제2조립체, 상기 제1 및 제2 조립체가 끼움결합되는 제3조립체를 가진다.
발광, 투광, 조립, 끼움

Description

발광장치{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발광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연장 등에서 자신의 위치를 알리거나 공연의 흥미를 더하기 위해 사용되는 휴대용 발광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음악, 뮤지컬, 연극 등을 진행하는 공연장의 경우 공연에 대한 관객들의 집중도를 높이기 위하여 무대 부분에는 환하게 밝은 조명을 비추고, 관람석 부분은 어둡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공연장에서 관람석 부분에서 각 관객이 자신의 위치를 알리거나 각종 공연의 흥미를 더하기 위하여 발광봉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발광장치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광장치는 선단에 LED 등과 같은 발광소자를 가진 발광유닛 및 이 발광유닛에서 발생된 빛을 외부로 전달하는 투광부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발광유닛을 구동시켜 빛을 발생시키면, 이 빛은 투광부재를 통해 외부로 조사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발광장치는 투광부재와 발광유닛의 조립 내지 결합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그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발광장치는 빛의 조사효율 내지 빛의 휘도 등이 충분하지 못하여 공연장에서 기대하는 발광의 효과를 얻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발광유닛와 투광부재 사이의 조립 내지 결합을 매우 간편하게 함으로써 그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발광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은은하고 미려한 빛을 조사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연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게 하는 발광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광장치는,
상단에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가진 발광유닛;
상기 발광유닛의 발광소자측에 조립되는 투광부재; 및
상기 발광유닛 및 투광부재를 끼움결합시키는 조립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유닛은 발광유닛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조립체, 상기 투광부재의 하단이 끼움결합되는 제2조립체, 상기 제1 및 제2 조립체가 끼움결합되는 제3조립체를 가진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립체는 탄력성 및 유연성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 투광부재의 전면 및 후면에는 반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투광부재의 가장자리 측면에 투광면이 형성된다.
상기 투광부재의 반사면은 실크스크린 방식 또는 샌딩처리 방식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광부재의 투광면은 경사구조 또는 수평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투광부재의 투광면에는 방사형의 섬유체가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투광부재의 하단에는 장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돌기는 그 일변의 길이가 타변의 길이 보다 긴 장방형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투광부재의 장착돌기는 상기 발광유닛의 발광소자와 직접 접촉하는 접촉면을 가진다.
상기 투광부재의 내부에는 광확산물질이 분산되어 개재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발광유닛와 투광부재를 단순 끼움결합방식으로 조립시킴으로써 그 제조공정이 매우 간편해지고,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투광부재를 사용하므로써 그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은은하고 미려한 빛을 조사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연의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유닛(10) 및 이 발광유닛(10)에 결합되는 투광부재(20)를 포함한다.
발광유닛(10)은 몸체(11) 및 몸체(11)의 상단에 구비된 발광소자(12)를 가지고, 발광소자(12)는 레이저 다이오드 또는 발광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지며, 몸체(11)의 내부에는 회로기판 및 배터리 등이 내장되어 있다. 몸체(11)의 하단에는 전원을 온/오프하는 스위치(13)가 배치되고, 몸체(11)의 상부 외주면에는 소정 형태의 결합홈(11a)이 형성된다.
투광부재(20)는 아크릴 등과 같이 빛의 투광이 용이한 투명재질로 이루어지고, 발광유닛(10)의 상부에 조립유닛(30)을 통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투광부재(20)는 다양한 외형을 가질 수 있고, 그 전면 및 후면에는 반사면(21)이 형성되며, 이 반사면(21)은 불투명한 재질로 실크스크린방식으로 형성되거나 샌딩처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투광부재(20)의 가장자리 측면에는 빛의 투광이 용이한 투광면(22)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발광소자(12)에서 발생된 일부의 빛이 투광면(22)을 통해 방출되고, 나머지의 빛은 반사면(21)을 통해 반사되어 투광면(22)으로 전달됨으로써 빛의 방출 내지 조사효율이 매우 양호해진다.
또한, 반사면(21)에는 부분적인 이미지가 각인됨으로써 빛의 투광이 용이한 부분적인 투광부(미도시)를 가질 수 있고, 이에 의해 소정의 이미지로 형성된 부분 투광부(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발산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조립유닛(30)은 투광부재(20)를 발광유닛(10)측에 끼움결합시키는 구성으로, 발광유닛(10)의 몸체(11)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조립체(31), 투광부재(20)의 하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조립체(32), 제1 및 제2 조립체(31, 32)가 끼움결합되는 제3조립체(33)를 가진다.
제1조립체(31)는 탄력성 및 유연성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주면에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31a)를 가지며, 이 결합돌기(31a)는 몸체(11)의 결합홈(11a)에 회전결합된다.
제2조립체(32)는 탄력성 및 유연성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주면에 투광부재(20)의 장착돌기(23)가 끼움결합된다.
특히, 투광부재(20)의 하단에는 장착돌기(23)가 형성되고, 장착돌기(23)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변의 길이가 타변의 길이 보다 긴 장방형의 단면으로 이루어진다. 도 3(a)는 투광부재(20)의 장착돌기(23)가 제2조립체(32)의 내주면에 끼워지기 전의 상태이고, 도 3(b)는 투광부재(20)의 장착돌기(23)가 제2조립체(32)의 내주면에 끼워진 후의 상태이다. 이에, 투광부재(20)의 장착돌기(23)가 제2조립체(32)의 내주면에 끼워질 경우 제2조립체(32)는 도 3(b)의 평단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원형으로 변형되면서 투광부재(20)의 장착돌기(23)를 견고하게 조여준다.
제3조립체(33)는 탄력성 및 유연성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주면에 제1 및 제2 조립체(31, 32)가 각각 끼움결합됨으로써 발광유닛(10)과 투광부재(20)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투광부재(20)의 투광면(22)은 그 외표면이 도 4(a)와 같은 경사구조(22a) 또는 도 4(b)와 같은 수평구조(22b)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한 투광면(22)의 외표면에 근접하여 방사형 단면의 섬유체(22c)가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그 빛의 조사범위를 더욱 넓힐 수도 있다.
투광부재(20)의 장착돌기(23)는 그 하단에 접촉면(23a)이 형성되고, 접촉면(23a)은 발광소자(11)의 상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한다. 이 접촉면(23a)은 발광소자(11)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투광부재(20)의 내부에는 마이크로 비드, 마이크로 로드 등과 같은 광확산 물질이 균일 또는 불균일하게 개재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발광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평단면도 및 측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a)는 투광부재의 하단이 제2조립체에 끼워지기 전의 상태이며, 도 3(b)는 투광부재의 하단이 제2조립체에 끼워진 후의 상태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발광유닛 12: 발광소자
13: 스위치 20: 투광부재
21: 반사부 22: 투광부
30: 조립유닛 31: 제1조립체
32: 제2조립체 33: 제3조립체

Claims (5)

  1.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상단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발광소자를 가지고, 상기 몸체의 상부 외주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발광유닛;
    상기 발광유닛의 발광소자측에 조립되는 투광부재; 및
    상기 발광유닛 및 투광부재를 끼움결합시키는 조립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조립유닛은 상기 발광유닛의 상단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조립체, 상기 투광부재의 하단이 끼움결합되는 제2조립체, 내주면에 상기 제1 및 제2 조립체가 끼움결합되는 제3조립체를 가지며, 상기 제1 내지 제3 조립체는 탄력성 및 유연성을 가진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조립체는 그 내주면에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를 가지고,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몸체의 결합홈에 회전결합되며,
    상기 투광부재의 전면 및 후면에 반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투광부재의 가장자리 측면에는 빛의 투광이 용이한 투광면이 형성되며, 상기 투광면의 외표면은 경사구조 또는 수평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광면의 외표면에 근접하여 방사형 단면의 섬유체가 부착되며,
    상기 투광부재의 하단에는 장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장착돌기는 그 일변의 길이가 타변의 길이 보다 긴 장방형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투광부재의 장착돌기는 그 하단에 접촉면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돌기의 접촉면은 상기 발광유닛의 발광소자의 상면과 직접 접촉하며, 상기 장착돌기의 접촉면은 상기 발광소자의 상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투광부재는 내부에 광확산물질이 분산되어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080037761A 2008-04-23 2008-04-23 발광장치 KR1009899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7761A KR100989989B1 (ko) 2008-04-23 2008-04-23 발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37761A KR100989989B1 (ko) 2008-04-23 2008-04-23 발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078A KR20090112078A (ko) 2009-10-28
KR100989989B1 true KR100989989B1 (ko) 2010-10-26

Family

ID=4155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37761A KR100989989B1 (ko) 2008-04-23 2008-04-23 발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9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0301B1 (ko) * 2019-01-11 2020-11-18 주식회사 시니어벤처스 Led 아크릴 레이 아트 체험용 장식공예학습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2002A (ja) * 1995-02-13 1996-08-30 Ryoji Wada 合図灯
KR20050079396A (ko) * 2004-02-05 2005-08-10 최병천 발광유희구 및 그 발광유희구를 갖는 막대사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2002A (ja) * 1995-02-13 1996-08-30 Ryoji Wada 合図灯
KR20050079396A (ko) * 2004-02-05 2005-08-10 최병천 발광유희구 및 그 발광유희구를 갖는 막대사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078A (ko)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1403B2 (en) Device for illuminating a generally flat surface
US7055991B2 (en) Low-power high-intensity lighting apparatus
WO2006129246A3 (en) Light-source with fabric diffusing layer
WO2013058014A1 (ja) 扁平型ランプ装置
JP2007185344A (ja) 遊技機における電飾装置
US20040095741A1 (en) Side-illuminated advertisement board
WO2006129244A3 (en) Light-source with fabric diffusing layer
US20180216808A1 (en) Flexible signalling device
KR101101213B1 (ko) 전방 및 후방 측면에서 발광되는 면발광 광고장치
JP3162954U (ja) 発光モジュール
KR100989989B1 (ko) 발광장치
TWM455385U (zh) 發光鞋底
JP5215081B2 (ja) 照明装置
JP2015204298A (ja) 応援道具
KR20120118534A (ko) 측면 발광 광고장치
TWI602488B (zh) 保護套
CN206803061U (zh) 一种光源模组及照明装置
JP3181918U (ja) 発光アセンブリ及びこれを備えた移動通信装置
JPH09258676A (ja) 発光具
KR20110011747U (ko) 경관 조명등용 발광모듈
KR200475486Y1 (ko) 조명등 커버
JP3220732U (ja) 拡大鏡改良構造
JPH03257728A (ja) プッシュ式パネルスイッチの発光構造
KR101241574B1 (ko) 조명장치
KR200490767Y1 (ko) 채광 휴대용 선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