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688B1 -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 - Google Patents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688B1
KR100989688B1 KR1020100034260A KR20100034260A KR100989688B1 KR 100989688 B1 KR100989688 B1 KR 100989688B1 KR 1020100034260 A KR1020100034260 A KR 1020100034260A KR 20100034260 A KR20100034260 A KR 20100034260A KR 100989688 B1 KR100989688 B1 KR 100989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fastening
retaining wall
vegetation
vegetation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찬
김광호
서동수
Original Assignee
파센리테이닝(주)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센리테이닝(주), 주식회사 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파센리테이닝(주)
Priority to KR1020100034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6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9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filled, bag-lik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84Geogrids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녹화옹벽의 기반을 제공하는 식생백들이 상호간에 결속되도록 하여 이 결속력에 의해 토압에 대항하는 버팀력을 발생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는 다수개를 이루어 상기 식생백의 정면 상부에 횡방향으로 관통설치되고, 일측의 일부분이 정면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되고 타측의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되, 상기 절곡된 부분이 상호 마주보도록 식생백의 횡방향으로 관통설치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사이에 개재되며 양측에 상기 연결봉의 나선과 맞물려 결합되는 나선홈이 좌,우로 관통형성되는 연결캡과, 상기 연결봉의 절곡된 부분과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식생백의 전방에 축조되는 그라스포 백에 관통설치되는 고리 형상의 관통설치부가 형성되는 베이스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CONNECTING MEMBER OF VEGETATIONBAG FOR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녹화옹벽의 기반을 제공하는 식생백들이 상호간에 결속되도록 하여 이 결속력에 의해 토압에 대항하는 버팀력을 발생되도록 한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보강토 공법은 오래전부터 흙을 주체로 한 성토층 속에 인장력이 큰 스트립 형태 혹은 판상의 보강재를 일정한 간격 또는 전체적으로 해당하는 부위를 포설하고, 흙메움으로 이들을 매설하여 하나의 새로운 복합구조체를 형성시키는 공법으로서, 그 큰 목적으로서는 흙을 사용한 토질 구조물을 기계적으로 안정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공법이다.
이런 보강토 공법을 이용한 시공에는 연직벽체를 구축하기 위한 보강토 옹벽(MSEW,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Walls)과, 보강사면(RSS, Reinforced Steep Slopes, 또는 Reinforced Soil Slopes)을 그 예로 들 수 있는바, 옹벽과 같은 기능을 하는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경사각은 지역에 따라서 대략 80ㅀ이상의 직경사도로부터 90°의 수직을 이루고, 보강사면은 설계경사도에 따라서 70ㅀ이하의 경사도를 이루도록 구축한다.
상기 보강토 옹벽시공은 연직벽체의 수직도, 보강사면시공은 경사도를 유지하기 위해 기초 시공 전 상태와 시공단계에서의 규준틀(Leading Frame 또는 Better Board)이 설치된다.
상기 규준틀은 토층시공에 따른 각도를 기준하기 위한 것으로, 완경사부터 급경사에 이르는 지점의 최초 지반으로부터 설치되고, 토층이 연속적으로 시공되는 상태에서는 토층의 전면측 높이를 따라 설치되어 사용된다.
한편, 연직벽체나 사면의 시공에 따른 토층의 형성은 시공되는 위치로부터 전면부에 목재 또는 철망(Wire Mesh) 및 철근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가이드 프레임(Guide Frame)을 설치하고, 토체에 저항할 수 있는 보강재가 설치된 상태에서 프레임의 배면측으로는 토공(채움 및 다지기)을 실시하여 토층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토층의 형성은, 기초지반으로 설정된 위치에 규준틀을 세우고, 규준틀을 토대로 성토부분의 지면으로는 가이드 프레임이 설치된다. 또한, 가이드 프레임은 철근을 격자형태로 엮거나, 또는 목재를 이용하여 형틀을 만든 것으로, 규준틀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시킨 것이며, 시공하고자 하는 사면의 시작점에 횡으로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이 놓이는 지면으로부터는 보강재가 설치되며, 상기 보강재는 지오그리드(Geogrid)나 지오텍스타일(Geotextile)을 토층에 포설하거나, 보강재 전면을 감싸서 시공할 경우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상부로 보강재 일부분을 제쳐 둔 상태에서 가이드 프레임의 배면으로는 흙을 채우고 다져주며, 토체의 상부측, 즉 가이드 프레임의 전면측으로 제쳐둔 보강재를 보강토체 측으로 보내어 그 위에 일정량(두께 8∼15㎝정도)의 토공을 실시하여 토층을 형성시켜 준다.
상기 토층을 형성한 상태에서의 그 상면으로는 또 다른 가이드 프레임과 보강재를 설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토공의 반복적인 작업으로 수직 또는 경사도를 갖는 보강토체를 연속적으로 시공하면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연속적으로 실시되는 보강토체의 시공에 있어, 시공되는 보강토체의 소정 높이에 별도의 소정길이를 갖는 다른 규준틀을 경사도와 동일한 방향이 되게 결속하여 이를 보고서 시공의 각도를 측정하면서 시공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가이드 프레임과 보강재의 설치로서 토공을 실시하여 시공을 완성할 수 있다.
한편, 분리형 보강토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연직벽체의 시공에 대한 규준틀은 토층의 전면에 대해 수직으로 규준틀을 설치하고, 철근을 직각으로 엮어 제작한 가이드 프레임을 설치하여 가면서 상기와 같이 보강재와 토공으로서 지면으로부터 수직되는 벽체를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옹벽은 보강재가 외부로 노출되어 화재시 또는 외부에서 칼이나 기타 날카로운 장비로 인한 파손시 옹벽구조물 자체에 심각한 붕괴위험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블록식의 경우에는 횡방향 토압을 어느 정도 지지할 수 있으나, 랩핑(wrapping)이 매우 어려워 일반적으로 스틸 메쉬를 이용하는 실정이며, 녹화율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녹화옹벽이 제안된 바 있으며, 상기 녹화옹벽은 성토층(뒷채움층)에 일정 높이로 매설되는 다수의 지오그리드, 성토층의 앞에 종횡방향으로 축조되는 식생백, 상기 식생백의 앞에 종횡방향으로 축조되는 그라스포 백, 상기 그라스포 백의 앞에 식재(내지 스프레드)되는 녹화층으로 이루어진다.
종래 기술에 의한 옹벽은, 상기 그라스포 백이 그라스포 안에 식생토가 충진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녹화층이 그라스포 백을 식생기반으로 하여 원활하게 식생한다.
종래 옹벽에 있어서, 식생백은 상호간에 적층에 의해서만 축조되는 것이기 때문에 전방으로 토압이 발생할 경우 버팀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며, 따라서 녹화옹벽의 붕괴가 쉽게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녹화옹벽의 기반을 제공하는 식생백들이 상호간에 결속되도록 하여 이 결속력에 의해 토압에 대항하는 버팀력을 발생되도록 한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다수개를 이루어 상기 식생백의 정면 상부에 횡방향으로 관통설치되고, 일측의 일부분이 정면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되고 타측의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되, 상기 절곡된 부분이 상호 마주보도록 식생백의 횡방향으로 관통설치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사이에 개재되며 양측에 상기 연결봉의 나선과 맞물려 결합되는 나선홈이 좌,우로 관통형성되는 연결캡과, 상기 연결봉의 절곡된 부분과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식생백의 전방에 축조되는 그라스포 백에 관통설치되는 고리 형상의 관통설치부가 형성되는 베이스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는 녹화옹벽의 기반을 제공하는 식생백들이 상호간에 결속되도록 하여 이 결속력에 의해 토압에 대항하는 버팀력을 발생되도록 하여 옹벽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에 적용된 베이스부의 제 1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에 적용된 베이스부의 제 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에 적용된 매개부의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의 설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에 적용된 정착부재의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 질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연결부재가 적용되는 녹화옹벽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녹화옹벽은 예를 들어 성토층(뒷채움층)(1)에 일정 높이로 매설되는 다수의 지오그리드(2), 성토층(1)의 앞에 종횡방향으로 축조되는 식생백(3), 상기 식생백(3)의 앞에 종횡방향으로 축조되는 그라스포 백(4), 그라스포 백(4)의 앞에 식재(내지 스프레드)되는 녹화층(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오그리드(2)는 성토층(1)과의 마찰 저항을 통해 전방을 향하는 토압에 대항하는 힘을 발생하는 것으로, 식생백(3)에 감겨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식생백(3)은 그라스포의 내부에 흙이 충진된 것으로, 지오그리드(2)를 설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면에서처럼, 하나의 식생백(3)은 다수개의 그라스 포 백(4)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그라스포 백(4)은 녹화층(5)의 식생을 위한 것으로, 그라스포 백(4)의 내부에 식생토가 충진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종방향을 따라 적층되는 그라스포 백(4)에는 연결핀(6)으로 서로 결속하여 그라스포 백(4)간의 결속력을 증대함으로써 녹화옹벽의 쏠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10,20,30)는, 횡방향을 따라 나열되는 식생백(3)을 서로 결속하여 식생백(3) 간의 결속력을 증대함으로써 토압에 대항하는 버팀력을 발생되도록 하여 옹벽이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며, 이와 같은 구성의 연결부재(10,20,30)는 식생백의 정면 상부에 횡방향으로 관통설치됨으로써, 다수개로 나열배치되는 식생백(3)을 연쇄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30)는 연결봉(31)과, 연결캡(32)과, 베이스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봉(31)은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의 일부분이 정면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되고, 타측의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며, 이러한 연결봉(31)은 다수개를 이루어 상기 절곡된 부분이 상호 마주보도록 상기 색생백(3)의 정면 상부에 횡방향으로 관통설치된다.
상기 연결캡(32)은 상기 연결봉(31)들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결봉(31)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양측에 상기 연결봉(31)의 나선과 맞물려 결합되는 나선홈(32a)이 좌,우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봉이 연쇄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베이스부(33)는 일면에는 일단부가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관통설치부(33a)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설치부(33a)는 상기 식생백(3)의 전방에 축조되는 그라스포 백(4)에 관통설치되어 상기 식생백(3)과 그라스포 백(4)의 결속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성토층(1)으로부터 가해지는 토압으로부터 트라스포 백(4)을 보호하여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33)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저부에는 한쌍의 고정홈(33b)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봉(31)의 절곡된 부분이 삽입되도록 한 다음 용접을 통해 안정적으로 결합하거나,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봉(31)의 절곡되는 부분의 외주연에는 나선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부(33)에는 상기 연결봉(31)의 절곡된 부분이 관통되는 한쌍의 관통홀(33c)이 형성하여, 상기 연결봉(31)의 절곡된 부분이 상기 베이스부(33)의 관통홀(33c)을 관통되도록 한 다음 상기 연결봉(31)의 절곡된 부분에 형성된 나선에 너트(N)를 더 체결하여 상기 연결봉(31)과 베이스부(33)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하거나,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봉(31)의 절곡되는 부분의 외주연에는 결속홈(31a)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부(33)에는 상기 베이스부(33)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대칭되는 결속홈(33d)을 더 형성하며, 상기 베이스부(33)를 상기 연결봉(31)의 절곡된 부분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상기 연결봉(31) 및 베이스부(33)의 결속홈(31a,33d)에 결합용 와이어(W)를 다수회 권취하여 결속함에 따라 상기 연결봉(31)과 베이스부(33)가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녹화옹벽이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정착부재가 적용된 것으로, 상기 정착부재는 고정블럭(40)과, 홀더부(50)와, 인장부(60)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블럭(40)은 한쌍을 이루어 식생백(3)의 상측 및 하측과 수평선상에 위치되면서 상기 식생백(3)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성토층(1)에 매설되며, 정면에는 걸이부(41)가 횡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블럭(40)은 후술되는 홀더부(50)와, 인장부(60)를 매개로하여 지오그리드(2)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녹화옹벽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몰탈, 콘크리트, 리싸이클링 콘크리트 중 택일하여 제작하므로서, 중량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부(50)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는 상기 고정블럭(40)의 걸이부(41)에 고정되는 아치형상의 정착부(51)가 형성되고, 일면에는 도중이 일방향으로 수평하게 절곡된 고정홈(53)과 고정돌기(54)가 형성된다.
상기한 홀더부(50)는 상호간에 구비된 고정홈(53)에 고정돌기(54)가 슬라이딩방식으로 삽입됨에 따라 상호 결합되며, 이로 인해 상기 홀더부(50)의 정착부(51)는 원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고정블럭(40)의 걸이부(41)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홀더부(50)가 결합된 이후에는 고정홈(53)의 입구측에 스토퍼(미도시)를 추가로 설치하여 상기 홀더부(50)의 결합상태를 지속적으로 안정되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인장부(60)는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저항돌기(61)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는 상기 지오그리드(2)와 홀더부(50)에 각각 체결고정되는 고리부(62)가 연장형성된다.
상기 저항돌기(61)는 성토층(1)에 매설되어 토압에 대해 저항함에 따라 식생백(3)의 쏠림현상을 방지하는데 일조한다.
그리고, 상기 홀더부(50) 중 하부에 위치되는 홀더부(50)의 일측면에는 좌,우로 관통되는 나선홈(52)이 더 형성되고, 상기 나선홈(52)에는 일측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나선홈(52)에 나선결합되는 나선결합부(70)가 구비된다.
상기 나선결합부(70)의 일측에는 고정링(71)이 더 연장형성되어 상기 인장부(60)의 고리부(62)가 체결고정된다. 예컨대, 상기 나선결합부(70)는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홀더부(50)의 나선홈(52)을 따라 들어가면서 인장부(60)의 고리부(62)로부터 멀어지고,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홀더부(50)의 나선홈(52)을 따라 나오면서 인장부(60)의 고리부(62)와 가까워진다. 이에 따라, 상기 나선결합부(70)는 현장여건에 상관없이 인장부(60)의 고리부(62)와 거리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나선결합부(70)의 고정링(71)은 인장부(60)의 고리부(62)와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한 다음 상기 고리부(62)를 억지로 당겨 고정링(71)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인장부(60)가 지오그리드(2)를 비교적 팽팽하게 잡아당겨 식생백(3)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10)는 매개부(11)와, 정착봉(12)과, 삽입부(13)로 이루어지며, 정착부재는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매개부(11)는 다수개를 이루어 식생백(3)의 정면 상부에 횡방향으로 관통설치된다.
상기 정착봉(12)은 상기 매개부(11) 사이에 개재되어 양측이 상기 매개부(11)에 결합되며 도중에 상기 그라스포 백(4)을 향해 소정 길이로 돌출되는 장착부(12b)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3)는 그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앙부분이 상기 정착봉(12)의 장착부(12b)와 맞물려 결합되고, 도중이 상기 그라스포 백(4)을 향해 절곡되도록 두갈래로 나뉘어져 상기 그라스포 백(4)의 측면에 관통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13)의 절곡된 부분의 끝단부는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그라스포 백(4)에 용이하게 관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정착봉(12)의 장착부(12b)와 맞물리는 삽입부(13)의 중앙부분에는 고정홈(미도시)을 형성하여 상기 장착부(12b)가 상기 삽입부(13)의 고정홈에 수용되는 형태로 맞물리도록 하여 삽입부(13)와 장착부(12b)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개부(11)의 양측에는 곡선형의 물림부(11a)를 더 형성하고, 상기 정착봉(12)의 양측에는 상기 매개부(11)의 물림부(11a)와 맞물려 고정되는 곡선형의 물림부(12a)를 더 형성하여 상기 매개부(11)와 정착봉(12)을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착봉(12)의 물림부(12a)는 아래쪽을 향하도록 하여 상기 매개부(11)의 물림부(11a)를 상측에서 가압하면서 맞물리게 하여 매개부(11)와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거나,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매개부(11)와 정착봉(12)의 결합을 위한 또 다른 일 실시예로써, 상기 정착봉(12)의 양측에는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매개부(11)는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형으로 형성되면서 양측에 나선홈(11b)이 좌,우로 관통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정착봉(12)과 매개부(11)를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20)는 연결봉(21)과, 연결캡(22)과, 마감캡(23)으로 이루어지며, 정착부재는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연결봉(21)은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의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며, 이러한 연결봉(21)은 다수개를 이루어 상기 색생백(3)의 정면 상부에 횡방향으로 관통설치된다.
상기 연결캡(22)은 상기 연결봉(21)들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결봉(21)이 연쇄적으로 연결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좌,우로 관통되는 나선홈(22a)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봉(21)과 연결캡(22)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마감캡(23)은 상기 연결캡(23) 중 식생백(3)의 좌측단과 우측단에 위치되는 연결캡(22)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캡(22)의 나선홈(22a)에 맞물려 결합되며, 일측면에는 상기 식생백(3)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연결캡(22)의 일단부를 가압고정하여 상기 연결봉(21)이 식생백(3)의 내부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가압부(23a)가 형성된다.
1 : 성토층 2 : 지오그리드
3 : 식생백 4 : 그라스포 백
5 : 녹화층 6 : 연결핀
10,20,30 : 연결부재 11a,12a : 물림부
21,31 : 연결봉 22,32 : 연결캡
11b,22a,32a,52 : 나선홈 23 : 마감캡
23a : 가압부 33a : 관통설치부
33b,53 : 고정홈 40 : 고정블럭
41 : 걸이부 50 : 홀더부
51 : 정착부 54 : 고정돌기
60 : 인장부 61 : 저항돌기
62 : 고리부 70 : 나선결합부
71 : 고정링

Claims (10)

  1. 성토층(1)의 앞에 상기 성토층(1)에 매설되는 지오그리드(2)에 의해 감싸여진 상태로 다단으로 축조되고, 전방에 종횡방향으로 그라스포 백(4)이 축조되는 식생백(3)을 고정하기 위한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는, 다수개를 이루어 상기 식생백(3)의 정면 상부에 횡방향으로 관통설치되고, 일측의 일부분이 정면을 향해 수평하게 절곡되고 타측의 외주연에 나선이 형성되되, 상기 절곡된 부분이 상호 마주보도록 식생백(3)의 횡방향으로 관통설치되는 연결봉(31)과;
    상기 연결봉(31)의 사이에 개재되며 양측에 상기 연결봉(31)의 나선과 맞물려 결합되는 나선홈(32a)이 좌,우로 관통형성되는 연결캡(32)과;
    상기 연결봉(31)의 절곡된 부분과 결합되고, 일면에 상기 식생백(3)의 전방에 축조되는 그라스포 백(4)에 관통설치되는 고리 형상의 관통설치부(33a)가 형성되는 베이스부(33);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봉(31)의 절곡되는 부분의 외주연에는 결속홈(31a)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33)에는 상기 베이스부(33)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대칭되는 결속홈(33d)이 더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33)를 상기 연결봉(31)의 절곡된 부분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 다음 상기 연결봉(31) 및 베이스부(33)의 결속홈(31a,33d)에 결합용 와이어(W)를 더 결속하여 상기 연결봉(31)과 베이스부(33)가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성토층(1)의 앞에 상기 성토층(1)에 매설되는 지오그리드(2)에 의해 감싸여진 상태로 다단으로 축조되고, 전방에 종횡방향으로 그라스포 백(4)이 축조되는 식생백(3)을 고정하기 위한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0)는,
    다수개를 이루어 상기 식생백(3)의 정면 상부에 횡방향으로 관통설치되는 매개부(11)와;
    상기 매개부(11) 사이에 개재되어 결합되며 도중에 상기 그라스포 백(4)을 향해 돌출되는 장착부(12b)가 형성되는 정착봉(12)과;
    중앙부분이 상기 정착봉(12)의 장착부(12b)와 맞물려 결합되고, 도중이 상기 그라스포 백(4)을 향해 절곡되도록 두갈래로 나뉘어져 상기 그라스포 백(4)에 관통설치되는 삽입부(13);로 이루어지고,
    상기 매개부(11)의 양측에는 곡선형의 물림부(11a)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정착봉(12)의 양측에는 상기 매개부(11)의 물림부(11a)와 맞물려 고정되는 곡선형의 물림부(12a)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00034260A 2010-04-14 2010-04-14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 KR100989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260A KR100989688B1 (ko) 2010-04-14 2010-04-14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260A KR100989688B1 (ko) 2010-04-14 2010-04-14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9688B1 true KR100989688B1 (ko) 2010-10-26

Family

ID=4313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260A KR100989688B1 (ko) 2010-04-14 2010-04-14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6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287A (ja) * 1992-11-10 1994-05-27 Taiyo Gijutsu Kaihatsu Kk 盛土工法
KR100637581B1 (ko) * 2006-03-27 2006-10-24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도로 성토부 사면 보강구조
KR100728286B1 (ko) * 2007-03-29 2007-06-13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인장와이어 체결구
KR100752152B1 (ko) * 2006-12-29 2007-08-27 김광호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6287A (ja) * 1992-11-10 1994-05-27 Taiyo Gijutsu Kaihatsu Kk 盛土工法
KR100637581B1 (ko) * 2006-03-27 2006-10-24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도로 성토부 사면 보강구조
KR100752152B1 (ko) * 2006-12-29 2007-08-27 김광호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KR100728286B1 (ko) * 2007-03-29 2007-06-13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무지주 지하옹벽 거푸집 패널의 인장와이어 체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4633B2 (en) Modular block connecting techniques
KR100679873B1 (ko)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KR100974353B1 (ko) 옹벽 식생백의 수평연결재 체결고리
AU2024201313A1 (en) Thin stabilized segmental wall blocks, soil reinforcing system, and methods
US20060204343A1 (en) Composite form for stabilizing earthen embankments
RU188394U1 (ru) Усиле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з габионов
KR100752152B1 (ko) 녹화 옹벽의 시공방법
KR100763443B1 (ko) 식생 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89688B1 (ko) 옹벽 식생백의 체결고정을 위한 연결부재
KR100889257B1 (ko) 옹벽 전면의 녹화를 이용한 조립식 보강토 옹벽
KR101528725B1 (ko) 자연석을 이용한 경사면 보강공법
KR102116085B1 (ko) 환경친화적 옹벽구조물
KR100986795B1 (ko) 녹화옹벽 그라스포 백의 연결체결구
KR20180101986A (ko)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0497796B1 (ko) 바형 그리드 및 그를 이용한 블럭옹벽의 보강구조
JP2004332447A (ja) 補強土構造物
KR100794669B1 (ko) 보강토 옹벽용 철망 및 이를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AU2014349300B2 (en) Interlocking tie- back
KR20190142927A (ko) 옹벽구조물
US11767653B2 (en) Geosynthetic reinforced wall panels comprising soil reinforcing hoop members and retaining wall system formed therewith
KR102334837B1 (ko) 옹벽구조물
CA3121976C (en) Retaining-wall panel system and flexible reinforcement mechanical connection method therefor
JP2002054162A (ja) L形擁壁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擁壁
KR101782408B1 (ko)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WO2022133575A1 (en) Retaining-wall panel system and flexible reinforcement mechanical connection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