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2408B1 -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2408B1
KR101782408B1 KR1020170028168A KR20170028168A KR101782408B1 KR 101782408 B1 KR101782408 B1 KR 101782408B1 KR 1020170028168 A KR1020170028168 A KR 1020170028168A KR 20170028168 A KR20170028168 A KR 20170028168A KR 101782408 B1 KR101782408 B1 KR 101782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unit
flat plate
panel
reinforcing
stiff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호
Original Assignee
송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준호 filed Critical 송준호
Priority to KR1020170028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2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2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2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시공 방법은 옹벽을 보강하는 철근, 지오그리드, 강연선과 같은 보강재를 지반에 설치시,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하여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강연선을 이용하여 지반에 압축력을 인가함으로써 능동적인 보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Methods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fastening unit for stiffener}
본 발명은 옹벽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보강토 옹벽을 보강하는 철근, 지오그리드, 강연선과 같은 보강재를 지반에 설치시,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하여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강연선을 이용하여 지반에 압축력을 인가함으로써 능동적인 보강이 가능한 시공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강토 옹벽은 흙과의 결속력이 큰 보강재를 흙 속에 삽입하여 흙과 보강재가 복합체를 이루게 함으로써 추가적인 구속압을 발생시켜 토체를 안정화시키는 옹벽이다.
이러한 보강토 옹벽은, 기존의 다른 옹벽과 비교하여, 시공이 간편하고, 기초 지반의 부등침하, 지진 등에 대해 안정적이다. 또한, 공사 현장에서 거푸집을 제작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기존의 옹벽과는 달리, 전면판(패널, 블록 등)과 보강재의 순차적인 조립에 의해 제작되므로 옹벽 구조물의 높이가 높고, 공사 물량이 클수록 공기(工期) 단축과 공사비 절감효과가 크며, 외관상으로도 미려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보강재로는 지오그리드, 띠, 부직포, 직포 등과 같은 토목섬유가 사용되거나 철근 등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지오그리드는 옹벽 전면(前面)에서 블록 사이에 설치되고 옹벽 후방의 뒤채움재에 매립된다. 그리고, 지오그리드의 후단은 소정의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사면 등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 장치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817901호 등에 그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고정 장치는 시공 과정이 복잡하고 공사비가 비싸지며, 사면에 앵커가 설치된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고 앵커가 없는 경우에는 적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장치는 지오그리드에만 적용이 가능하고 보강재로서 철근이 사용된 경우에는 사용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보강토 옹벽에서 전면판(패널)은 옹벽의 전면(前面)을 형성하고 토사 유실을 방지하는 소극적인 역할만 한다. 즉, 전면판(패널)은 옹벽을 보강하는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보강토 옹벽을 보강하는 철근, 지오그리드와 같은 보강재를 지반에 설치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강재로서 철근이 사용되는 경우와 지오그리드가 사용되는 경우에 모두 사용될 수 있는 보강재 고정 유닛을 이용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면판(패널)이 옹벽을 보강하는 역할도 하는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은, (a1) 블록(10) 또는 패널(20)의 후방에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설치하는 단계; (b1) 횡방향 보강근(125)이 다수 개의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서로 연결하도록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단계; 및, (c1) 종방향 보강근(123)의 후단을 보강재 고정유닛(110)에 연결하고 종방향 보강근(120)의 선단을 블록(10) 또는 패널(20)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강재 고정유닛(110)은 제1 평판(112)과 제2 평판(116)을 포함한다. 제1 평판(112)은 블록(10) 또는 패널(20)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제1 평판(112)에는 제1 관통공(113)(114)이 형성되며, 제1 관통공(113)(114)에는 종방향 보강근(123)의 후단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제2 평판(116)은 제1 평판(112)에 수직으로 결합된다. 제2 평판(116)에는 제2 관통공(117)이 형성되고, 제2 관통공(117)에는 횡방향 보강근(123)이 관통하여 설치된다.
제1 평판(112)은 높이(h)가 폭(w) 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평판(116)은 제1 평판(11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되, 제1 평판(112)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양측의 제2 평판(116)에는 제2 관통공(117)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횡방향 보강근(125)이 상기 양측의 제2 평판(116)을 관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c1) 단계에서, 종방향 보강근(120)은 그 선단이 횡방향 결속근(121)에 결합되고 그 후단이 보강재 고정유닛(110)에 결합되거나, 그 선단이 블록(10) 또는 패널(20)에 결합되고 그 후단이 횡방향 보강근(125)에 결합되거나, 그 선단이 횡방향 결속근(121)에 결합되고 그 후단이 횡방향 보강근(125)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은, (가) 사면을 절개하고 사면에 천공홀(40)을 형성하는 단계; (나) 천공홀(40)에 보강 수단(42)을 삽입하여 설치하되, 보강 수단(42)의 상단이 천공홀(40)의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단계; (다) 보강 수단(42)의 상단에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설치하는 단계; (라) 횡방향 보강근(125)이 다수 개의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서로 연결하도록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단계; 및, (마) 종방향 보강근(123)의 후단을 횡방향 보강근(125)에 연결하고, 종방향 보강근(123)의 선단을 블록(10) 또는 패널(20)에 연결하거나 횡방향 결속근(121)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 단계 이후에, (ㄱ)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 평판(112)의 하부가 콘크리트에 매설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ㄱ) 단계는 (라) 단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이루어지고, (마) 단계의 이후에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1 평판(112)의 상부를 매설한다. 상기 콘크리트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위에만 타설되거나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매설하도록 횡방향 보강근(125)을 따라 연속적으로 타설될 수도 있다.
상기 블록(10)은 철근홈(13)을 포함하고, 철근홈(13)은 블록(10)을 횡방향으로 관통하거나 블록(10)의 윗면에 횡방향으로 형성된다. 횡방향 결속근(121)이 철근홈(13)에 설치되어 이웃하는 블록(10)을 서로 결속시키고, 종방향 보강근(123)의 선단이 횡방향 결속근(121)에 결합되거나 블록(10)에 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은, (a2) 블록(10) 또는 패널(20)의 후방에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설치하는 단계; (b2) 횡방향 보강근(125)이 다수 개의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서로 연결하도록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단계; 및, (c2) 지오그리드(310)의 후단을 횡방향 보강근(125)에 연결하고 지오그리드(310)의 선단을 블록(10)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은, 상기 (a2) 단계 이전에, (ㄱ) 사면을 절개하고 사면에 천공홀(40)을 형성하는 단계; 및, (ㄴ) 천공홀(40)에 보강 수단(42)을 삽입하여 설치하되, 보강 수단(42)의 상단이 천공홀(40)의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a2) 단계 이후에, (a2')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 평판(112)의 하부가 콘크리트에 매설되도록 하고, 뒤채움재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와 동일한 높이로 블록(10) 또는 패널(20)의 후방을 메우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2') 단계는 (b2) 단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이루어진다. 그리고, (c2) 단계의 이후에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제1 평판(112)의 상부를 매설한다. 상기 콘크리트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위에만 타설되거나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매설하도록 횡방향 보강근(125)을 따라 연속적으로 타설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은 강연선(710)을 인장하여 옹벽에 압축력을 인가하는 공정을 갖는다는 특징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옹벽의 시공방법은, (a3) 바닥면에 지오그리드(310)를 설치하는 단계; (b3) 지오그리드(310) 위에 뒤채움재(f)를 채우되, 지오그리드(310)의 앞쪽 부분이 뒤채움재(f)의 앞면을 감싸도록 벤딩된 후 뒤채움재(f)의 윗면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을 덮도록 하는 단계; (c3) 뒤채움재(f)의 앞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패널(30)을 설치하고, 뒤채움재(f) 구간의 후단에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설치하는 단계; (d3) 패널(30)과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연결하는 강연선(710)을 설치하는 단계; (e3) 뒤채움재(f)의 앞면과 패널(30) 사이의 공간을 골재(720) 또는 현장 타설콘크리트로 채우는 단계; (f3) 뒤채움재(f)가 패널(30)의 상단과 동일 높이로 될 때까지 상기 (b3) 단계와 (e3)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및, (g3) 강연선(710)을 인장하여 패널(30)이 골재(720) 또는 현장 타설콘크리트 및 뒤채움재(f)에 압축력을 인가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옹벽의 시공방법은, (a4) 패널(30)을 설치하고 뒤채움재(f)를 소정 높이까지 채우는 단계; (b4) 패널(30)의 후방에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설치하고, 서로 이웃하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횡방향 보강근(125)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는 단계; (c4) 강연선(710)의 선단이 패널(30)의 관통공(32)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강연선(710)의 후단이 횡방향 보강근(125) 또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에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 (d4) 상기 (c4) 단계 이후에, 뒤채움재(f)를 채우는 단계; 및, (e4) 상기 (d4) 단계 이후에, 강연선(710)의 선단을 인장하여 패널(30)이 뒤채움재(f)에 압축력을 인가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보강토 옹벽을 보강하는 철근, 지오그리드와 같은 보강재를 지반에 설치하는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둘째, 보강재로서 철근이 사용되는 경우와 지오그리드가 사용되는 경우에 모두 사용될 수 있는 보강재 고정 유닛을 이용하므로, 그 적용 범위가 넓다.
셋째, 패널이 옹벽의 전면(前面)을 형성하고 토사 유실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뒤채움재 등에게 압축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패널은 옹벽의 구조적인 안정에 기여하는 능동적인 역할도 한다.
도 1a와 도 1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보강재 고정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에서 블록과 보강재(보강근) 및 보강재 고정유닛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a는 도 2의 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b는 블록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배치 구조를 갖는 옹벽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에서 블록과 보강재(보강근) 및 보강재 고정유닛의 또 다른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6은 도 5의 배치 구조를 갖는 옹벽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에서 블록과 보강재(보강근) 및 보강재 고정유닛의 또 다른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에서 블록과 보강재(보강근) 및 보강재 고정유닛의 또 다른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9a 내지 도 9c는 도 4의 옹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옹벽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블록과 보강재(보강근) 및 보강재 고정유닛이 도 7의 배치 구조를 갖는 옹벽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옹벽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블록과 보강재(보강근) 및 보강재 고정유닛이 도 8의 배치 구조를 갖는 옹벽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a 내지 도 12g는 도 10의 옹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에서 블록과 보강재(지오그리드) 및 보강재 고정유닛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배치 구조를 갖는 옹벽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5a 내지 도 15c는 도 14의 옹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옹벽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7a 내지 도 17g는 도 16의 옹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옹벽에서 패널과 보강재(보강근) 및 보강재 고정유닛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9는 패널과 보강재(보강근) 및 보강재 고정유닛의 또 다른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옹벽에서 패널과 보강재(지오그리드) 및 보강재 고정유닛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옹벽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2a는 도 21의 옹벽에 사용된 패널을 보여주는 도면.
도 22b는 도 22a의 XXII-XXII'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23과 도 24는 각각 패널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5a ~ 25e는 도 21의 옹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26 ~ 27은 각각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옹벽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28 ~ 29는 각각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옹벽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아울러, 각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보강재 고정유닛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보강재 고정유닛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보강재 고정유닛(110)은 제1 평판(112)과, 제1 평판(112)에 수직으로 결합된 제2 평판(116)을 포함한다. 제1,2 평판(112)(116)은 합성수지 또는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경우에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이 내부식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평판(112)은 블록(10)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제1 평판(112)에는 제1 관통공(1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관통공(113)에는, 도 2와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방향 보강근(123)의 후단이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도 10과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강수단(42)의 상단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방향 보강근(123)의 후단이 횡방향 보강근(125)에 결합되고 사면을 안정화시키는 보강수단(42)이 없는 경우에는 제1 관통공(113)이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제1 평판(112)은 폭(w) 보다 높이(h)가 큰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1 평판(112)의 하부를 콘크리트에 먼저 매립한 상태에서 종방향 보강근(123) 또는 지오그리드(310)를 설치하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인데, 이 점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더 설명하기로 한다.
제2 평판(116)은 제1 평판(112)에 수직으로 결합된다. 제2 평판(116)은 제1 평판(112)의 상부 또는 중앙 보다 위쪽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평판(112)이 사면 또는 콘크리트에 설치된 경우, 제2 평판(116)은 옹벽쪽을 향하게 된다. 제2 평판(116)에는 제2 관통공(117)이 형성되어 있다.
제2 평판(116)은 제1 평판(11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양측 제2 평판(116)의 제2 관통공(117)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횡방향 보강근(125)이 양측 제2 평판(116)의 제2 관통공(117)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b는 보강재 고정유닛의 변형예를 보여준다. 상기 보강재 고정유닛(110)은, 도 1a의 보강재 고정유닛(110)과 비교하여, 제1 관통공(114)이 홈으로 형성되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제1 관통공(114)이 제1 평판(112)의 상단에서 아래쪽으로 요입된 형상으로 형성되었다는 점에서 제1 관통공(113)과 다르다. 이러한 제1 관통공(114)은 종방향 보강근(123)의 설치 높이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다소 융통성이 생기므로 유리하다. 즉, 제1 관통공(113)은 구멍으로 형성되었으므로 종방향 보강근(123) 선단과 제1 관통공(113)의 높이를 일치시켜야 하지만, 제1 관통공(114)은 긴 홈으로 형성되었으므로 종방향 보강근(123) 선단을 반드시 특정 높이에 맞출 필요가 없다.
아래에서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이용하는 옹벽 시공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의 제1,2 실시예는 전면(前面)이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보강재로서 철근이 이용된 보강토 옹벽에 대한 것이고, 제3,4 실시예는 전면(前面)이 블록으로 이루어지고 보강재로서 지오그리드가 이용된 보강토 옹벽에 대한 것이다. 그리고, 제5 실시예는 전면(前面)이 패널로 이루어지고 보강재로서 철근이 이용된 보강토 옹벽에 대한 것이고, 제6 실시예는 전면(前面)이 패널로 이루어지고 보강재로서 지오그리드가 이용된 보강토 옹벽에 대한 것이다. 제7 실시예는 전면(前面)이 패널로 이루어지고 보강재로서 강연선과 지오그리드가 이용된 보강토 옹벽에 대한 것이고, 제8 실시예는 전면(前面)이 조경석으로 이루어지고 보강재로서 철근이 이용된 보강토 옹벽에 대한 것이다. 제9 실시예는 전면(前面)이 패널로 이루어지고 보강재로서 강연선이 이용된 보강토 옹벽에 대한 것이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제1 관통공(113)이 형성된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이용한 옹벽만을 예로 들어서 설명을 하고 제1 관통공(114)이 형성된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적용한 옹벽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종방향 보강근(123)의 후단을 제1 관통공(113)에 결합시키는 구성은 종방향 보강근(123)의 후단을 제1 관통공(114)에 결합시키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제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에서 블록과 보강재(보강근) 및 보강재 고정유닛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a는 상기 블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옹벽(100)은 블록(10)과, 블록(10)을 횡방향으로 결속시키는 횡방향 결속근(121)과, 블록(10)에 연결된 종방향 보강근(123)과, 종방향 보강근(123)의 후단에 연결된 보강재 고정유닛(110)과, 이웃하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횡방향 보강근(125) 및,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변에 타설된 콘크리트(c)를 포함한다.
블록(10)은 몸체(11)와, 몸체(11)를 상하로 관통하는 관통부(12)와, 몸체(11)의 윗면에 횡방향으로 형성된 철근홈(13)과, 몸체(11)의 후면에서 관통부(12)까지 관통하도록 형성된 삽입구(14)를 포함한다.
블록(10)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한도내에서 그 구조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15)가 몸체(11)의 상단에서부터 길게 요입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삽입구(15)가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종방향 보강근(123)의 상단을 결합시키기가 용이하다.
아래에서는 동일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서, 삽입구(14)가 형성된 블록(10)이 적용된 옹벽만을 설명을 하고 삽입구(15)가 형성된 블록(10)이 적용된 옹벽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종방향 보강근(123)의 선단을 삽입구(14)에 고정하는 방법은 방향 보강근(123)의 선단을 삽입구(15)에 고정하기 위해서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횡방향 결속근(121)은 철근홈(13)에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횡방향 결속근(121)은 이웃하는 블록(10)을 횡방향으로 결속하는 역할을 한다.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횡방향 결속근(121)의 양쪽 단부에는 너트 또는 다른 고정구(이하, '고정수단'이라 함)가 설치되어 블록(10)을 횡방향으로 결속할 수 있다.
종방향 보강근(123)은 그 선단이 삽입구(14)에 삽입된 후 관통부(12) 내에서 고정수단과 결합되고, 그 후단이 제1 관통공(113)에 삽입된 후 고정수단과 결합되어 보강재 고정유닛(110)에 결합된다.
횡방향 보강근(125)은 제2 관통공(117)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이웃하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서로 연결한다.
보강재 고정유닛(110)은 옹벽 후방에 설치되는데, 현장 타설 콘크리트(c)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인발 저항력 향상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c)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위에만 타설될 수도 있는데, 이 때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범위는 인발 저항력을 충분히 제공할 수 있는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콘크리트(c)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위에만 타설되는 것이 아니라,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매설하도록 횡방향 보강근(125)을 따라 연속되도록 타설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블록과 보강재 및 보강재 고정유닛의 또 다른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6은 상기 배치 구조를 갖는 옹벽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배치 구조는, 도 2의 배치 구조와 비교하여, 종방향 보강근(123)의 선단이 횡방향 결속근(121)에 결합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배치 구조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설치 위치를 블록(10)의 삽입구(14)와 일치하도록 할 필요가 없으므로 시공이 편리해진다. 종방향 보강근(123)과 횡방향 결속근(121)의 결합은 통상적인 용접 또는 고리결속 장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와 도 5의 배치 구조에서는 종방향 보강근(123)의 후단이 제1 관통공(113)에 삽입되어 설치되었으나, 도 7과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방향 보강근(123)의 후단은 횡방향 보강근(125)에 결합될 수도 있다. 종방향 보강근(123)과 횡방향 보강근(125)의 결합은 용접 또는 통상의 결속장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면, 도 4의 옹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도 9a ~ 9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9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설치한 후, 제1 판(112)의 하부가 매립되도록 현장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해당 콘크리트 높이까지 뒤채움재(f)를 채운다. 이 때, 상기 콘크리트 타설 전에 제2 관통공(117)을 관통하도록 횡방향 보강근(125)을 설치하여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서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콘크리트 타설로 인해서 보강재 고정유닛(110)이 움직이면 블록(10)과의 상대적 위치가 맞지 않기 때문이다.
이어서, 블록(10)을 설치한 후 종방향 보강근(123)을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종방향 보강근(123)의 선단이 삽입구(14)에 삽입되도록 설치하고 종방향 보강근(123)의 후단이 제1 관통공(113)에 삽입되도록 설치한다.
종방향 보강근(123)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9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완전히 매설하도록 콘크리트(c)를 타설한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c)가 타설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뒤채움재(f)를 채운다. 상기 콘크리트(c)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위에만 타설되거나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매설하도록 횡방향 보강근(125)을 따라 연속적으로 타설될 수 있다.
상기 뒤채움재를 채운 후에는, 블록을 추가로 쌓고 보강재 고정유닛을 설치하는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한편, 위에서는 '보강재 고정유닛 설치 → 횡방향 보강근 설치 → 제1 판(112)의 하부가 매설되도록 콘크리트 타설하고 뒤채움재 채우기 → 종방향 보강근 설치 →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완전히 매설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뒤채움재 채우기'의 순서로 시공이 진행되었으나, 상기 과정은 약간씩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보강재 고정유닛 설치 → 제1 판(112)의 하부가 매설되도록 콘크리트 타설하고 뒤채움재 채우기 → 횡방향 보강근 설치 → 종방향 보강근 설치 →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완전히 매설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뒤채움재 채우기'의 순서로 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7의 배치구조를 갖는 옹벽의 시공 방법은 위 설명을 참조하면 쉽게 그 구성을 알 수 있을 것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옹벽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블록과 보강재(보강근) 및 보강재 고정유닛이 도 7의 배치 구조를 갖는 옹벽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옹벽(200)은 사면을 보강 수단(42)으로 안정화시킨 것으로서, 보강 수단(42)의 상단이 보강재 고정유닛(110)에 결합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의 옹벽과 차이가 있다.
상기 옹벽(200)은 블록(10)과, 블록(10)을 횡방향으로 결속시키는 횡방향 결속근(121)과, 블록(10)에 연결된 종방향 보강근(123)과, 종방향 보강근(123)의 후단에 연결된 횡방향 보강근(125)과, 보강 수단(42)의 상단에 결합된 보강재 고정유닛(110) 및,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변에 타설된 콘크리트(c)를 포함한다.
종방향 보강근(123)은 그 선단이 삽입구(14)에 삽입된 후 고정수단에 의해 블록(10)과 결합되고, 그 후단이 횡방향 보강근(125)에 용접 등으로 결합되되 이웃하는 보강재 고정유닛(110) 사이에서 결합된다.
횡방향 보강근(125)은 제2 관통공(117)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다수 개의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횡방향으로 연결한다.
보강 수단(42)은 사면을 보강하기 위해서 사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보강 수단(42)으로는 앵커, 락볼트 등과 같이 당업계에 알려진 수단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천공홀(40)에 앵커(42)가 설치되어 있는데,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천공홀(40)에 그라우팅액을 주입하여 천공홀 주변 지반을 고결화시킬 수도 있다.
보강 수단(42)의 상단은 사면 밖으로 돌출되는데, 상기 돌출된 부분은 제1 관통공(113)에 삽입된 후 고정수단(너트 등)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설치에 따라, 제1 판(112)은 사면에 접하거나 사면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1 판(112)은 사면 또는 옹벽과 평행하게 위치하게 된다.
한편, 도 11은 블록과 보강재(보강근) 및 보강재 고정유닛이 도 8의 배치 구조를 갖는 옹벽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옹벽(200)은 종방향 보강근(123)의 선단이 횡방향 결속근(121)에 결합된다는 점에서 도 10의 옹벽과 다르다.
그러면, 도 10의 옹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도 12a ~ 12g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2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면을 절개하고 천공홀(40)을 형성한 후, 천공홀(40)에 앵커(보강수단, 42)를 설치한다. 그리고, 비록, 도면에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천공홀(40)에 그라이팅액을 주입하여 천공홀(40) 주위의 지반을 고결화시킬 수도 있다.
이어서, 도 1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앵커(보강수단, 42)의 상단을 제1 관통공(113)에 삽입한 후 고정수단(너트 등)으로 고정시킨다. 앵커의 상단을 고정수단(너트 등)으로 고정시키는 방법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2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록(10)을 쌓고, 제1 판(112)의 하부가 매설되도록 콘크리트(c)를 타설한다. 이 때, 콘크리트(c)를 타설하기 전에 횡방향 보강근(125)을 설치하여 다수 개의 보강재 고정유닛(125)을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는 횡방향 결속근(121)과 종방향 보강근(123)을 설치한다. 횡방향 결속근(121)은 블록(10)을 횡방향으로 서로 결속한다. 그리고, 종방향 보강근(123)의 선단은 삽입구(14)에 삽입된 후 고정수단(너트 등)으로 고정되고, 종방향 보강근(123)의 후단은 횡방향 보강근(125)에 용접 또는 연결고리 등으로 결합된다.
이어서, 도 12d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보강재 고정유닛(110)이 완전히 매설되도록 한다.
한편, 도 12e ~ 12g는 상기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보여준다.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매설하는 콘크리트(c)는 보강재 고정유닛(110) 주변에만 타설되므로, 그 나머지 부분에는 뒤채움재(f)로 채운다. 이 때, 도 12f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단계에서 뒤채움재(f)는 콘크리트(c)와 동일한 높이까지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콘크리트(c)는, 보강재 고정유닛(110) 주변에만 타설되는 것이 아니라,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매설하도록 횡방향 보강근(125)을 따라 연속적으로 타설될 수도 있다.
위에서는 '사면을 절개하고 천공홀(40)을 형성 →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보강수단(42)의 상단에 고정 → 횡방향 보강근(125)을 설치 →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제1 판(112)의 하부가 매설되도록 함 → 블록을 설치하고 횡방향 결속근(121) 및 종방향 보강근(123)을 설치 →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완전히 매설'의 순서로 시공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시공 순서는 약간씩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면을 절개하고 천공홀(40)을 형성 →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보강수단(42)의 상단에 고정 →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1 판(112)의 하부가 매설되도록 함 → 횡방향 보강근(125)을 설치 → 블록을 설치하고 횡방향 결속근(121) 및 종방향 보강근(123)을 설치 →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완전히 매설'의 순서로 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사면을 절개하고 천공홀(40)을 형성 →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보강수단(42)의 상단에 고정 → 횡방향 보강근(125)을 설치 → 블록을 설치하고 횡방향 결속근(121) 및 종방향 보강근(123)을 설치 →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완전히 매설'의 순서로 시공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1의 옹벽을 시공하는 과정은 상기 설명을 참조한 당업자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3 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옹벽 시공방법에서 블록과 보강재(지오그리드) 및 보강재 고정유닛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14는 상기 배치 구조를 갖는 옹벽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옹벽(300)은 블록(10)과, 블록(10)을 횡방향으로 결속시키는 횡방향 결속근(121)과, 보강재 고정유닛(110)과, 이웃하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횡방향 보강근(125)과, 횡방향 결속근(121)과 횡방향 보강근(125)에 결합된 지오그리드(310) 및,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변에 타설된 콘크리트(c)를 포함한다.
블록(10)은 상술한 블록(10)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횡방향 결속근(121)은 철근홈(13)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횡방향 결속근(121)은 지오그리드(110)의 선단과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횡방향 결속근(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오그리드(310)의 위사를 횡방향 결속근(121)에 소정 간격으로 체결하는 것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체결은 통상적인 체결수단(312) 예를 들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케이블 타이, 철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횡방향 보강근(125)은 제2 관통공(117)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다수의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횡방향으로 연결한다. 횡방향 보강근(125)은 지오그리드(310)의 후단에 결합된다. 한편, 도면에는 지오그리드(310)의 후단에 남은 부분이 옹벽쪽으로 접혀진 것으로 도시되었다.
상기 결합은 횡방향 보강근(12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지오그리드(310)의 위사를 횡방향 보강근(125)에 소정 간격으로 체결하는 것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와 같이, 지오그리드(310)는 그 선단이 횡방향 결속근(121)에 체결되고 그 후단이 횡방향 보강근(125)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시공 완료 후에도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가 계속 유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옹벽(3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4의 옹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도 15a ~ 15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설치한 후, 제1 판(112)의 하부가 매립되도록 현장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해당 콘크리트 높이까지 뒤채움재(f)를 채운다. 이 때, 상기 콘크리트 타설 전에 제2 관통공(117)을 관통하도록 횡방향 보강근(125)을 설치하여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것은 콘크리트 타설로 인해서 보강재 고정유닛(110)이 움직이면 횡방향 보강근(125)을 설치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 콘크리트(c)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위에만 타설되거나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매설하도록 횡방향 보강근(125)을 따라 연속적으로 타설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c)의 타설 높이와 뒤채움재(f)의 채움 높이는 블록(10)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하는 것이 지오그리드(310)를 팽팽하게 설치하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 1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철근홈(13)에 횡방향 결속근(121)을 설치하고 지오그리드(310)를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지오그리드(310)의 선단을 횡방향 결속근(121)에 체결되고 지오그리드(310)의 후단을 횡방향 보강근(125)에 체결한다.
지오그리드(310)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1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완전히 매설하도록 콘크리트(c)를 타설한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c)가 타설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뒤채움재(f)를 채운다.
상기 뒤채움재를 채운 후에는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제4 실시예
도 1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옹벽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옹벽(400)은 사면을 보강 수단(42)으로 안정화시킨 것으로서, 보강 수단(42)의 상단이 보강재 고정유닛(110)에 결합된다는 점에서 제3 실시예의 옹벽과 차이가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옹벽(400)은 블록(10)과, 블록(10)을 횡방향으로 결속시키는 횡방향 결속근(121)과, 사면에 설치된 보강 수단(42)과, 보강 수단(42)의 상단에 결합된 보강재 고정유닛(110)과, 다수 개의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횡방향 보강근(125)과, 횡방향 결속근(121)과 횡방향 보강근(125)에 결합된 지오그리드(310) 및,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변에 타설된 콘크리트(c)를 포함한다.
지오그리드(310)의 선,후단이 횡방향 결속근(121) 및 횡방향 보강근(125)에 체결되는 것과, 상기 체결 방법은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보강 수단(42)은 사면을 보강하기 위해서 사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보강 수단(42)으로는 앵커, 락볼트 등과 같이 당업계에 알려진 수단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천공홀(40)에 앵커(42)가 설치되어 있는데,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천공홀(40)에 그라우팅액을 주입하여 천공홀 주변 지반을 고결화시킬 수도 있다.
보강 수단(42)의 상단은 사면 밖으로 돌출되는데, 상기 돌출된 부분은 제1 관통공(113)에 삽입된 후 고정수단(너트 등)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설치에 따라, 제1 판(112)은 사면에 접하거나 사면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1 판(112)은 사면 또는 옹벽과 평행하게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도 16의 옹벽을 시공하는 과정을 도 17a ~ 17g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7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면을 절개하고 천공홀(40)을 형성한 후 앵커(보강수단, 42)를 설치한다. 이 때, 앵커(42)의 상단은 천공홀(40)의 외부로 돌출된다. 그리고, 천공홀(40)에 그라우팅액을 주입하여 천공홀 주변 지반을 고결화시킬 수도 있다.
이어서, 도 17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사면 하단의 앵커(42)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제1 관통공(113)에 앵커(42)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설치한 후, 고정수단(너트 등)으로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에 의해서, 제1 평판(112)은 사면과 접하거나 사면과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고, 옹벽 또는 사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제2 관통공(117)을 관통하도록 횡방향 보강근(125)을 설치하여 다수 개의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한다.
다음으로, 도 17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록(10)을 쌓고 블록(10)에 횡방향 결속근(121)을 설치한다. 그리고,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변에 콘트리트(c)를 타설하여 제1 평판(112)의 하부가 콘크리트(c)에 매설되도록 하거나 제2 관통공(117)의 바로 아래까지 콘크리트(c)에 매설되도록 한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은 블록(10) 상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하는 것이 지오그리드(310)의 인발 저항력 유지를 위해서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면, 지오그리드(310)를 설치한다. 지오그리드(310)의 선단은 횡방향 결속근(121)에 체결되고 지오그리드(310)의 후단은 횡방향 보강근(125)에 체결된다. 이 때, 지오그리드(310)의 후단에 남는 부분이 있다면 횡방향 보강근(125)을 중심으로 옹벽쪽으로 접어서 처리할 수도 있다.
이어서, 도 17d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록(10)을 추가로 쌓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강재 고정유닛(110)이 완전히 매설되도록 한다.
이후에는 상기 공정을 반복한다. 다만, 콘크리트(c)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변에만 타설되면 되므로, 상기 콘크리트 타설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는 뒤채움재(f)가 채워진다. 이 때, 뒤채움재(f)와 콘크리트(c)는 블록 상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하는 것이 지오그리드의 인발 저항력 유지를 위해서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c)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변에만 타설되는 것이 아니라,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매설하도록 횡방향 보강근(125)을 따라 연속적으로 타설될 수도 있다.
한편, 도 13, 14, 16 및 그와 관련된 설명에서는 지오그리드(310)의 선단이 횡방향 결속근(121)에 체결된 구성이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으나, 지오그리드(310)의 선단은 상,하층 블록(1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는데, 구체적으로, 지오그리드(310)의 선단은 핀[블록(10)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핀]에 의해 고정(핀 결합 방식)되거나 블록(10)에 형성된 단차(계단턱)에 의해 고정(러그 결합 방식)될 수도 있다.
제5,6 실시예(패널에 적용)
위에서는 본 발명이 블록으로 이루어진 보강토 옹벽에 적용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패널로 이루어진 보강토 옹벽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이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옹벽에서 패널과 보강재(보강근) 및 보강재 고정유닛의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상기 배치구조를 갖는 옹벽은 패널(20)과, 패널(20) 뒷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횡방향 결속근(121)과, 횡방향 결속근(121)에 연결된 종방향 보강근(123)과, 종방향 보강근(123)의 후단에 연결된 보강재 고정유닛(110)과, 다수 개의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횡방향 보강근(125) 및,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변에 타설된 콘크리트(c, 도 18에 미도시)를 포함한다.
패널(20)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로 만들어질 수 있는데, 그 뒷면에는 고리(22)가 설치되어 있다. 고리(22)는 패널(20)을 이동시킬 때 작업자가 잡을 수 있는 부분이다.
횡방향 결속근(121)은 다수 개의 고리(22)를 관통하도록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횡방향 결속근(121)은 고리(22)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결합은 용접 등과 같은 통상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방향 보강근(123)은 그 선단이 횡방향 결속근(121)에 용접 또는 연결고리 등으로 결합되고 그 후단이 제1 관통공(113)에 삽입된 후 고정수단(너트 등)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횡방향 보강근(125)은 제2 관통공(117)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다수 개의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횡방향으로 연결한다.
한편, 종방향 보강근(123)의 선단은 패널(2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패널(20)에 관통공(도면에 미도시)이 형성되고 종방향 보강근(123)의 선단이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후 고정수단(너트 등, 도면에 미도시)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9는 패널과 보강재(보강근) 및 보강재 고정유닛의 또 다른 배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상기 배치 구조는, 도 18의 배치 구조와 비교하여, 종방향 보강근(123)의 후단이 횡방향 보강근(125)에 결합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러한 배치 구조는 종방향 보강근(123)을 제1 관통공(113)과 일직선상에 위치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이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배치 구조에서는 보강수단(42)의 선단이 제1 관통공(113)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도 있다. 보강수단(42)의 선단이 제1 관통공(113)에 체결되는 구성은 상술한 바 있다.
본 발명은 패널 옹벽에서 철근(보강근)을 이용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지오그리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옹벽에서 패널과 보강재(지오그리드) 및 보강재 고정유닛의 배치 구조를 보여준다. 도 20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서 지오그리드를 붉은 선으로 표시하였다.
상기 배치구조에 따른 옹벽은 패널(20)과, 패널(20) 뒷면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횡방향 결속근(121)과, 횡방향 결속근(121)과 횡방형 보강근(125)에 연결된 지오그리드(310)와, 보강재 고정유닛(110)과, 다수 개의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횡방향 보강근(125) 및,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변에 타설된 콘크리트(c, 도 20에 미도시)를 포함한다.
횡방향 결속근(121)이 다수 개의 고리(22)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과, 횡방향 보강근(125)이 다수 개의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것은 도 18에서와 동일하다.
그리고, 지오그리드(310)는 체결수단(312)에 의해서 그 선단과 후단이 횡방향 결속근(121)과 횡방향 보강근(125)에 결합된다. 상기 선,후단이 지오그리드(310)와 결합되는 방법은 상술한 바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블록 옹벽 뿐만 아니라 패널 옹벽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패널 옹벽의 시공은 블록 웅벽의 시공과 동일한 원리로 이루어지므로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7 실시예(강연선과 패널을 이용한 옹벽)
도 2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옹벽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옹벽(700)은 패널(30)과, 패널(30)의 후방에 설치된 보강재 고정유닛(110)과, 패널(30)과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연결하는 강연선(710)과, 지오그리드(310)와, 뒤채움재(f) 및, 골재(720)를 포함한다.
옹벽(700)은, 기존의 보강토 옹벽과 비교하여, 패널(30)이 골재(720) 또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와 뒤채움재(f)에 압축력을 인가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즉, 기존의 보강토 옹벽에서는 패널이 단순히 토사 유실을 방지하고 옹벽 전면(前面)을 형성하는 역할만을 했지만, 옹벽(700)에서는 패널(30)이 토사 유실 방지 및 옹벽 전면 형성 뿐만 아니라, 골재(720) 또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와 뒤채움재(f)에 압축력을 인가하는 능동적인 보강 역할도 한다는 특징이 있다.
패널(30)은, 도 22a ~ 2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몸체(31)와, 몸체(31)를 관통하는 관통공(32)을 포함한다. 몸체(31)의 내부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철근(도면에 미도시) 등이 매설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공(32)은 강연선(710)의 선단이 관통하는 구멍으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두 개 이상의 강연선(710)이 관통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패널(30)은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관통공(32)이 패널(3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패널(30)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보강재 고정유닛(110)은 상술한 보강재 고정유닛(110)과 그 구성이 동일할 수 있다. 아울러, 보강재 고정유닛(110)은 제1 평판(112)의 하단이 상부에 위치하고 제1 평판(112)의 상단이 하부에 위치하며 제2 평판(116)이 패널(30)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세로로 세우기가 용이하다.
나아가, 제1 평판(112)에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제1 관통공(113)(114)이 형성될 수도 있는 데, 이 경우에는 하나의 보강재 고정유닛(110)에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강연선(710) 후단이 결합된다.
그리고, 제2 관통공(117)에 횡방향 보강근(125)이 설치될 수도 있다. 횡방향 보강근(125)은 이웃하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지만,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변에는 현장 콘크리트(c)가 타설될 수도 있다. 현장 콘크리트(c)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인발을 방지하는 역할 등을 한다. 현장 콘크리트(c)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변에만 타설되거나 보강재 고정유닛(110)를 매설하도록 횡방향 보강근(125)을 따라 연속적으로 타설될 수 있다.
강연선(710)은 패널(30)과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서로 연결한다. 즉, 강연선(710)의 선단은 관통공(32)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후 인장 고정장치(인장 헤드)와 지지판(34) 등에 의해서 패널(30)에 고정되고, 압착 그립이 설치된 강연선(710)의 후단은 제1 관통공(113)(114)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한편, 강연선(710)의 후단이, 제1 관통공(113)(114)에 설치되지 않고, 횡방향 보강근(125)에 결합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구성은 도 7, 8 등을 참조하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강연선(710)은 옹벽(700)에 압축력을 도입하는 역할도 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지오그리드(310)는 뒤채움재(f) 사이에 설치되어 옹벽(700)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지오그리드(310)의 앞쪽 부분은 뒤채움재(f)의 앞면을 감싸도록 벤딩된 후, 뒤채움재(f)의 윗면 중 일부, 바람직하게는 뒤채움재(f)의 앞면으로부터 1m 이내를 덮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지오그리드(310)는 그 단면 형상이
Figure 112017022065232-pat00001
가 되도록 설치된다. 물론, 지오그리드(310)가 뒤채움재(f)의 윗면 전체를 덮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지오그리드(310)의 후단은 뒤채움재(f)의 후단 또는 보강재 고정유닛(110)까지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지오그리드(310)의 후단이 횡방향 보강재(125)에 결합될 수도 있다. 지오그리드(310)의 후단과 횡방향 보강재(125)의 결합은 도 13 등을 참조하면 그 구성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패널(30)에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지오그리드(310)가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하나의 패널(30)에 지오그리드(310)가 두 개 설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지만, 지오그리드(31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가될 수 있다.
도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하나의 패널(30)에 두 개의 지오그리드(310)가 설치될 경우, 상부 지오그리드(310)와 하부 지오그리드(310) 사이에 강연선(710)이 위치하는 것이 뒤채움재(f) 등의 시공에 편리하다.
뒤채움재(f)의 앞면과 패널(30)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는데, 이 이격된 공간에는 골재(720) 또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채워진다. 상기 이격된 공간에 골재(720) 또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가 설치 완료된 후, 강연선(710)에 인장력을 인가하여 패널(30)이 골재(720) 또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와 뒤채움재(f)에 압축력을 인가하도록 한다.
상기 인장력 인가가 완료되면 강연선(710)의 선단에 설치된 인장 고정장치(인장 헤드)가 지지판(34)에 고정하게 되고 그 후에 덮개(36)를 덮어서 완료한다.
그러면, 도 25a ~ 25e를 참조하여 옹벽(700)의 시공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레벨링 콘크리트(701)를 시공하고 바닥면을 고르게 한다.
이어서, 도 2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바닥면에 지오그리드(310)를 설치하고 뒤채움재(f)를 채운다. 구체적으로, 지오그리드(310)를
Figure 112017022065232-pat00002
형상으로 설치함으로써, 지오그리드(310)의 앞쪽 부분이 뒤채움재(f)의 앞면을 감싸도록 벤딩된 후 뒤채움재(f)의 윗면을 1m 이내로 덮도록 설치된다.
다음으로, 도 2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패널(30)과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설치하고, 강연선(710)을 이용하여 패널(30)과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연결한다. 이 때, 패널(30)이 뒤채움재(f)의 앞면으로부터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강연선(710)의 후단이 제1 관통공(113)(114)을 관통한 후 압착 그립 등으로 고정되도록 하고, 강연선(710)의 선단이 패널(30)의 관통공(32)을 관통하도록 설치한다.
이어서, 도 25d에 나타난 바와 같이, 뒤채움재(f)의 앞면과 패널(30) 사이의 공간에 골재(720) 또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채운다. 그리고, 뒤채움재(f)의 윗면에 지오그리드(310)를
Figure 112017022065232-pat00003
형상으로 추가로 설치하고 뒤채움재(f)를 채운다.
다음으로, 도 25e에 나타난 바와 같이, 뒤채움재(f)의 앞면과 패널(30) 사이의 공간에 골재(720) 또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를 채운다.
상기와 같은 공정을 반복한 후, 강연선(710)의 선단을 인장하여 패널(30)이 골재(720) 또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와 뒤채움재(f)에 압축력을 인가하도록 한다. 상기 인장이 완료되면 강연선(710)의 선단에 설치된 인장 고정장치(인장 헤드)가 지지판(34)에 고정하게 되고 그 후에 덮개(36)를 덮어서 완료한다.
제8 실시예(조경석을 이용한 옹벽)
도 26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옹벽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옹벽(800)은 조경석으로 만들어진 패널(20)과, 패널(20)의 후방에 설치된 보강재 고정유닛(110)과, 패널(20)과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연결하는 종방향 보강근(123)과,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횡방향 보강근(125) 및, 뒤채움재(f)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 요소 중에서 보강재 고정유닛(110)과, 종방향 보강근(123)과, 횡방향 보강근(125) 및, 뒤채움재(f)는 전술한 실시예의 보강재 고정유닛(110)과, 종방향 보강근(123)과, 횡방향 보강근(125) 및, 뒤채움재(f)와 각각 동일하다.
패널(20)은 조경석으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종방향 보강근(123)의 선단과 샘 앵커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경석(20)의 뒷면에 소정 깊이의 천공홀을 형성하고, 상기 천공홀에 충진재(접착제 역할을 함)를 충진한 후 종방향 보강근(123)의 선단을 천공홀에 삽입함으로써 종방향 보강근(123)의 선단을 조경석(20)과 결합시킨다. 한편, 이러한 결합방식을 현장에서는 샘 앵커라고도 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변에는 현장 콘크리트(c)가 타설될 수도 있다. 현장 콘크리트(c)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변에만 타설되거나 보강재 고정유닛(110)를 매설하도록 횡방향 보강근(125)을 따라 연속적으로 타설될 수도 있다.
종방향 보강근(123)의 후단은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제1 관통공(113)(114)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도 있지만, 횡방향 보강근(125)에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7은 보강수단(42)이 사면에 설치되고, 보강수단(42)의 상단이 제1 관통공(113)(114)에 삽입되어 결합된 것을 보여준다.
제9 실시예(패널을 이용한 옹벽)
도 28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라 시공된 옹벽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옹벽(900)은, 옹벽(700)과 마찬가지로, 패널(30)이 토사 유실 방지, 옹벽 전면(前面) 형성 등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뒤채움재(f)에 압축력을 인가하는 능동적인 보강 역할도 한다.
상기 옹벽(900)은 패널(30)과, 패널(30)의 후방에 설치된 보강재 고정유닛(110)과, 패널(30)과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연결하는 강연선(710)과,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하는 횡방향 보강근(125) 및, 뒤채움재(f)를 포함한다.
강연선(710)의 선단은 패널(30)의 관통공(32)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후 패널(30)에 고정된다. 그리고, 강연선(710)의 후단은 제1 관통공(113)(114)에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횡방향 보강근(125)에 용접 등으로 결합된다. 강연선(710)의 선,후단이 패널(30)과 보강재 고정유닛(110)에 각각 고정되는 방법은 제7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된 바 있다.
뒤채움재(f) 시공이 완료된 후, 강연선(710)의 선단을 인장하여 패널(30)이 뒤채움재(f)에 압축력을 인가하도록 한다.
한편, 도 28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옹벽(900)에도 지오그리드(310)가 도 21과 같은 구조로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지오그리드(310)가
Figure 112017022065232-pat00004
형상으로 설치됨으로써, 지오그리드(310)의 앞쪽 부분이 뒤채움재(f)의 앞면을 감싸도록 벤딩된 후 뒤채움재(f)의 윗면을 1m 이내로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변에는 현장 콘크리트(c)가 타설될 수도 있는데, 현장 콘크리트(c)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변에만 타설되거나 보강재 고정유닛(110)를 매설하도록 횡방향 보강근(125)을 따라 연속적으로 타설될 수 있다.
도 29는 기존 도로 측방향의 사면을 절개한 후, 옹벽을 시공하여 도로를 확장한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원래의 사면은 점선으로 도시되었다. 상기 옹벽(900)은, 도 28의 옹벽과 마찬가지로, 패널(30)이 뒤채움재(f)에 압축력을 인가하는 능동적인 보강을 한다.
아울러, 현장 콘크리트(c)가 보강재 고정유닛(110)의 주변에만 타설되거나 보강재 고정유닛(110)를 매설하도록 횡방향 보강근(125)을 따라 연속적으로 타설될 수 있다.
10 : 블록 12 : 관통부
13 : 철근홈 14, 15 : 삽입구
20, 30 : 패널 22 : 고리
32 : 패널의 관통공 34 : 지지판
36 : 덮개
40 : 천공홀 42 : 보강수단
100, 200, 300, 400, 700, 800, 900 : 옹벽
110 : 보강재 고정유닛 112 : 제1 판
113, 114 : 제1 관통공 116 : 제2 판
117 : 제2 관통공 121 : 횡방향 결속근
123 : 종방향 보강근 125 : 횡방향 보강근
310 : 지오그리드 312 : 체결 수단
701 : 레벨링 콘크리트
710 : 강연선 720 : 골재 또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
w : 제1 판의 폭 h : 제1 판의 높이
c : 현장 타설 콘크리트 f : 뒤채움재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a2) 블록(10) 또는 패널(20)의 후방에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설치하는 단계;
    (b2) 횡방향 보강근(125)이 다수 개의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서로 연결하도록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단계;
    (c2) 지오그리드(310)의 후단을 횡방향 보강근(125)에 결합시키고 지오그리드(310)의 선단을 상,하층 블록(10) 사이에 설치하거나 블록(10) 또는 패널(20)을 횡방향으로 결속하는 횡방향 결속근(121)에 결합시키는 단계; 및,
    (d2)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매설하도록 횡방향 보강근(125)을 따라 연속적으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매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보강재 고정유닛(110)은 제1 평판(112)과 제2 평판(116)을 포함하며,
    제1 평판(112)은 블록(10) 또는 패널(20)을 향하도록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설치되고, 제2 평판(116)은 제1 평판(112)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결합되며, 제2 평판(116)에는 제2 관통공(117)이 형성되고, 제2 관통공(117)에는 횡방향 보강근(125)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2) 단계 이전에,
    (ㄱ) 사면을 절개하고 사면에 천공홀(40)을 형성하는 단계; 및,
    (ㄴ) 천공홀(40)에 보강 수단(42)을 삽입하여 설치하되, 보강 수단(42)의 상단이 천공홀(40)의 바깥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1 평판(112)에는 제1 관통공(113)(114)이 형성되고, 제1 평판(112)은 사면과 접하거나 사면과 근접하도록 설치되며,
    (a2) 단계에서 제1 관통공(113)(114)에는 보강 수단(42)의 상단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제1 평판(112)은 높이(h)가 폭(w) 보다 크고,
    제2 평판(116)은 제1 평판(11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되, 제1 평판(112)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양측의 제2 평판(116)에는 제2 관통공(117)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횡방향 보강근(125)이 상기 양측의 제2 평판(116)을 관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2) 단계는,
    (a2')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매설하도록 횡방향 보강근(125)을 따라 연속적으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제1 평판(112)의 하부가 콘크리트(c)에 매설되도록 하고, 뒤채움재를 이용하여 상기 콘크리트와 동일한 높이로 블록(10) 또는 패널(20)의 후방을 메우는 단계;를 포함하고,
    (a2') 단계는 (b2) 단계의 이전 또는 이후에 이루어지고,
    (c2) 단계의 이후에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매설하도록 횡방향 보강근(125)을 따라 연속적으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제1 평판(112)의 상부를 매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블록(10)은 철근홈(13)을 포함하고, 철근홈(13)은 블록(10)의 윗면에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횡방향 결속근(121)이 철근홈(13)에 설치되어 이웃하는 블록(10)을 서로 결속시키고, 지오그리드(310)의 선단이 횡방향 결속근(12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12. (a3) 바닥면에 지오그리드(310)를 설치하는 단계;
    (b3) 지오그리드(310) 위에 뒤채움재(f)를 채우되, 지오그리드(310)의 앞쪽 부분이 뒤채움재(f)의 앞면을 감싸도록 벤딩된 후 뒤채움재(f)의 윗면 중 적어도 일부 구간을 덮도록 하는 단계;
    (c3) 뒤채움재(f)의 앞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패널(30)을 설치하고, 뒤채움재(f) 구간의 후단에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설치하는 단계;
    (c3') 횡방향 보강근(125)이 다수 개의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서로 연결하도록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단계;
    (d3) 패널(30)과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연결하는 강연선(710)을 설치하되, 강연선(710)이 패널(30)의 관통공(32)을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하고, 강연선(710)의 후단이 보강재 고정유닛(110) 또는 횡방향 보강근(125)에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
    (d3')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매설하도록 횡방향 보강근(125)을 따라 연속적으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매설하는 단계;
    (e3) 뒤채움재(f)의 앞면과 패널(30) 사이의 공간을 골재(720) 또는 현장 타설콘크리트로 채우는 단계;
    (f3) 뒤채움재(f)가 패널(30)의 상단과 동일 높이로 될 때까지 상기 (b3) 단계와 (e3)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및,
    (g3) 관통공(32)을 관통한 강연선(710)을 인장하여 패널(30)이 골재(720) 또는 현장 타설콘크리트 및 뒤채움재(f)에 압축력을 인가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보강재 고정유닛(110)은 제1 평판(112)과 제2 평판(116)을 포함하며,
    제1 평판(112)은 패널(30)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설치되고, 제1 평판(112)에는 제1 관통공(113)(114)이 형성되며, 강연선(710)의 후단이 보강재 고정유닛(110)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강연선(710)의 후단이 제1 관통공(113)(114)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제2 평판(116)은 제1 평판(112)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결합되며, 제2 평판(116)에는 제2 관통공(117)이 형성되고, 제2 관통공(117)에는 횡방향 보강근(125)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13. (a4) 패널(30)을 설치하고 뒤채움재(f)를 소정 높이까지 채우는 단계;
    (b4) 패널(30)의 후방에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설치하고, 서로 이웃하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횡방향 보강근(125)을 이용하여 서로 연결하는 단계;
    (c4) 강연선(710)의 선단이 패널(30)의 관통공(32)을 관통하여 설치되고 강연선(710)의 후단이 횡방향 보강근(125) 또는 보강재 고정유닛(110)에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
    (c4')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매설하도록 횡방향 보강근(125)을 따라 연속적으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보강재 고정유닛(110)을 매설하는 단계;
    (d4) 상기 (c4') 단계 이후에, 뒤채움재(f)를 채우는 단계; 및,
    (e4) 상기 (d4) 단계 이후에, 관통공(32)을 관통한 강연선(710)의 선단을 인장하여 패널(30)이 뒤채움재(f)에 압축력을 인가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보강재 고정유닛(110)은 제1 평판(112)과 제2 평판(116)을 포함하며,
    제1 평판(112)은 패널(30)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세워지도록 설치되고, 제1 평판(112)에는 제1 관통공(113)(114)이 형성되며, 강연선(710)의 후단이 보강재 고정유닛(110)에 결합되는 경우에는 강연선(710)의 후단이 제1 관통공(113)(114)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제2 평판(116)은 제1 평판(112)에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결합되며, 제2 평판(116)에는 제2 관통공(117)이 형성되고, 제2 관통공(117)에는 횡방향 보강근(125)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제1 평판(112)은 높이(h)가 폭(w) 보다 크고,
    제2 평판(116)은 제1 평판(11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되, 상기 양측의 제2 평판(116)에는 제2 관통공(117)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횡방향 보강근(125)이 상기 양측의 제2 평판(116)을 관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20170028168A 2017-03-06 2017-03-06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1782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168A KR101782408B1 (ko) 2017-03-06 2017-03-06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8168A KR101782408B1 (ko) 2017-03-06 2017-03-06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578A Division KR20180101986A (ko) 2017-09-21 2017-09-21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2408B1 true KR101782408B1 (ko) 2017-09-27

Family

ID=6003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168A KR101782408B1 (ko) 2017-03-06 2017-03-06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24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680B1 (ko) * 2006-05-01 2007-09-07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후인장 콘크리트 옹벽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680B1 (ko) * 2006-05-01 2007-09-07 주식회사 도화종합기술공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후인장 콘크리트 옹벽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158B1 (ko) 슬러리월공법을 이용한 지하차도 시공공법
KR100904857B1 (ko) 강관과 세그먼트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축조방법
JP2007530833A (ja) 補強土擁壁システム及び構築方法
KR100851356B1 (ko)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N102966119A (zh) 土工格栅加筋墙体及其施工方法
KR101568956B1 (ko) 다지점 와이어를 갖는 선도파일을 이용한 연약지반 상의 수문설치를 위한 터파기 공법
KR100822265B1 (ko) 자연석 옹벽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KR20180101986A (ko)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100583294B1 (ko)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그 시공방법 및 패널지지용 보강재
KR100923290B1 (ko) 교량의 교대구조
KR101015619B1 (ko) 보강토 옹벽의 시공에 사용하는 조절가능한 고정기구
KR100468034B1 (ko) 앵커링을 이용한 보강토 옹벽 시공방법
KR101782408B1 (ko) 보강재 고정유닛을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JP2018003477A (ja) 土木構築物の構築方法、並びに該構築方法に用いられる土木構築ブロック及び固定部材
CN1132980C (zh) 一种土体滑坡防治法
KR101552065B1 (ko) 보강토옹벽의 블록과 보강재의 연결장치
JP2018127865A (ja) 大型土嚢を用いた補強土壁及び大型土嚢を用いた土留め方法
KR10139068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KR200223114Y1 (ko) 암 절취사면용 옹벽 보강구조
KR101166127B1 (ko) 연약지반에 설치되는 교대 시공방법
KR101527703B1 (ko) 옹벽블록 및 상기 옹벽블록을 포함하는 옹벽블록조립체 그리고 상기 옹벽블록조립체의 시공방법
CN109235490B (zh) 挡土墙及其施工方法
KR20000041500A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보강토 공법
JP3270433B2 (ja) 根入れ式擁壁
CN210916874U (zh) 一种具有固土作用的人造草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