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642B1 - 간이 파이프 절단기 - Google Patents

간이 파이프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642B1
KR100989642B1 KR1020080046983A KR20080046983A KR100989642B1 KR 100989642 B1 KR100989642 B1 KR 100989642B1 KR 1020080046983 A KR1020080046983 A KR 1020080046983A KR 20080046983 A KR20080046983 A KR 20080046983A KR 100989642 B1 KR100989642 B1 KR 100989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utting
cutting tool
pip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9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0930A (ko
Inventor
한한교
Original Assignee
한한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한교 filed Critical 한한교
Priority to KR1020080046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642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21/00Machines or devices for shearing or cutting tubes
    • B23D21/04Tube-severing machines with rotating tool-c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16Cutting rods or tubes transverse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성이 증대되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파이프 절단시 분진의 발생이 감소되는 간이 파이프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파이프 절단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노출되도록 나란히 설치되고 그 사이에 놓여지는 파이프를 지지하여 회전시키는 한 쌍의 회전롤러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롤러를 구동시키는 회전구동수단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롤러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지지대와, 상기 고정지지대의 단부에 결합되고 절단공구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절단공구장착대와, 상기 절단공구장착대에 장착되고 하단에는 절단블레이드가 결합되며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절단공구와, 그 일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은 상기 절단공구장착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회전롤러의 외주면에는 상기 파이프로의 회전력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마찰부재가 더 부착된다
파이프 절단기, 회전롤러, 절단공구

Description

간이 파이프 절단기 {PORTABLE PIPE CUTTING MACHINE}
본 발명은 파이프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작업현장에서 쉽게 이동이 가능하고 빠르게 파이프를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간이 파이프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재 파이프의 절단작업을 함에 있어서 쇠톱 또는 고속절단기, 선반, 벤치레스 등을 이용하여 절단하는데,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절단된 파이프는 건설현장 등에서 배관작업용으로 사용되거나, 도로상에서 통신선 매설용 등으로 다양하게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쇠톱을 이용하여 절단하는 경우 인력소모가 크고 절단시간이 오래 걸리며 가공편차가 크다는 단점으로 인하여 기계를 이용한 절단이 선호된다. 상대적으로 그 부피가 크고 무거운 선반과 같은 기기는 공사현장에서 간이하게 사용되기에는 부적합하여 일반적으로 회전블레이드가 고속 회전하는 고속절단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고속절단기는 파이프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분진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빈번하게 이동 절단작업을 할 필요가 있는 경우 그 부피가 작고 가벼우며 휴대성이 좋은 파이프절단기가 필요한데 기존의 파이프절단기는 무겁고 부피가 크며 그 휴대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파이프 절단시 분진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휴대성을 증대시키는 간이 파이프절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노출되도록 나란히 설치되고 그 사이에 놓여지는 파이프를 지지하여 회전시키는 한 쌍의 회전롤러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롤러를 구동시키는 회전구동수단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롤러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간이 파이프 절단기를 제공함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장착되는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중 어느 하나의 피동축에 장착되는 제 1 피동스프로킷과,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중 다른 하나의 피동축에 장착되는 제 2 피동스프로킷과,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제 1 피동스프로킷과 상기 제 2 피동스프로킷에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체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지지대와, 상기 고정지지대의 단부에 결합되고 절단공구가 착 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절단공구장착대와, 상기 절단공구장착대에 장착되고 하단에는 절단블레이드가 결합되며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절단공구와, 그 일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은 상기 절단공구장착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가 더 설치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롤러의 외주면에는 상기 파이프로의 회전력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마찰부재가 더 부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간이 파이프 절단기에 의하면, 부품의 구성이 간단하여 가볍고 부피가 작은 파이프절단기를 생산할 수 있어 그 휴대성이 향상되고 생산비용이 저렴해 진다. 또한, 파이프 절단 작업시 발생하는 분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파이프 절단기(1)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파이프 절단기(1)의 저면도가 도시되며,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파이프 절단기(1)를 I-I면에서 절단한 단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파이프 절단기(1)는 본체(10)와, 본체(10)의 상측에 노출되도록 나란히 설치되고 그 사이에 놓여지는 파이프(100)를 지지하여 회전시키는 한 쌍의 회전롤러(20)와,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고 회전롤러(20)를 구동시키는 회전구동수단(30)과, 본체(10)의 상부에 설치되고 회전롤러(20)에 의해 회전되는 파이프(100)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체(10)에는 회전구동수단(30)의 설치를 위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본체(10)의 상부 양단에는 회전롤러(20) 장착을 위한 회전롤러장착대(11)가 설치되며 회전롤러장착대(11) 사이에는 회전롤러(20) 장착을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본체(10)의 하단에는 작동 진동의 저감 및 미끄럼 방지를 위한 받침대(15)가 설치된다. 덧붙여, 받침대(15)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조될 수 있다.
회전롤러장착대(11)는 회전롤러(20)의 장착을 위한 부재로 회전롤러장착대(11)의 측면에는 회전롤러(20)가 장착되고 회전롤러장착대(11)의 하단에서는 본체(10)와 결합된다. 덧붙여, 회전롤러(20)가 장착되는 회전롤러장착대(11)의 측면에는 회전롤러(2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베어링이 설치된다.
회전롤러장착대(11)에는 한 쌍의 회전롤러(20)가 본체(10)의 상측으로 노출되도록 나란히 장착된다. 한 쌍의 회전롤러(20)는 그 사이에 놓여지는 파이프(100) 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회전롤러(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양단에는 회전롤러장착대(11)에의 장착을 위한 피동축(23)이 형성된다. 덧붙여, 회전롤러(20)는 파이프(100) 절단시의 힘에 의해서 변형되지 아니하도록 금속재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롤러(20)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회전롤러(20) 사이에 놓여지는 파이프(100)로의 회전력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마찰부재(21)가 부착된다. 덧붙여, 마찰부재(21)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조될 수 있다.
회전구동수단(30)은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31)와, 모터(31)의 구동축(33)에 장착되는 구동스프로킷(34)과, 한 쌍의 회전롤러(20) 중 어느 하나의 피동축(23)에 장착되는 제 1 피동스프로킷(35)과, 한 쌍의 회전롤러(20) 중 다른 하나의 피동축(23)에 장착되는 제 2 피동스프로킷(36)과, 구동스프로킷(34)과 제 1 피동스프로킷(35)과 제 2 피동스프로킷(36)에 체결되어 한 쌍의 회전롤러(20)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체인(38)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전구동수단(30)의 동력장치는 내연기관 또는 모터(31)가 될 수 있는데, 그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적은 모터(31)가 동력장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터(31)는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고 모터(31)의 구동축(33)에는 구동스프로킷(34)이 장착된다. 모터(31)의 구동축에는 모터(31)의 토크와 회전수 조절을 위한 감속기어(32)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한 쌍의 회전롤러(20) 중 어느 하나의 피동축(23)에는 제 1 피동스프로킷(35)이 장착되고, 한 쌍의 회전롤러(20) 중 다른 하나의 피동축(23)에는 제 2 피동스프로킷(36)이 장착된다. 구동스프로킷(34)과 제 1 피동스프로킷(35)과 제 2 피동스프로킷(36)에는 구동체인(38)이 체결되어 한 쌍의 회전롤러(20)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절단되는 파이프(100)와 구동체인(38)은 간섭이 발생될 수 있는 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제 1 피동스프로킷(35)과 제 2 피동스프로킷(36) 사이의 하측에는 제 3 피동스프로킷(37)이 추가적으로 장착된다. 구동체인(38)은 제 3 피동스프로킷(37)의 하부에 체결되어 절단되는 파이프(100)와 구동체인(38)의 간섭을 방지한다.
제 1 피동스프로킷(35)과 제 2 피동스프로킷(36)의 장착부위는 본체(10)의 상측으로 노출되므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하여 회전구동수단(30)의 작동불량을 유발시킬 수 있는 바 그 장착부위 상측에는 보호커버(13)가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10)의 일측에는 회전롤러(20)의 회전여부 및 회전수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40)가 더 설치된다.
본체(10)의 상부에는 회전롤러(20)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파이프(100)를 절단하는 절단수단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절단수단은 본체(10)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지지대(50)와, 고정지지대(50)의 단부에 결합되고 절단공구(7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절단공구장착대(60)와, 절단공구장착대(60)에 장착되고 하단에는 절단블레이드(71)가 결합되며 상단에는 손잡이(73)가 형성되는 절단공구(70)와, 그 일단은 본체(10)의 상부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은 절단공구장착대(6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지지대(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지지대(50)의 일단은 본체(10)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절단 공구장착대(60)에 결합된다. 고정지지대(50)는 본체(10)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어 절단공구(70)를 지지하고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고정지지대(50)는 본체(10)의 진동이나 충격에 잘 견디도록 금속재로 제조되고 고정지지대(50)의 고정은 용접결합 등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고정지지대(50)의 타단에는 절단공구장착대(60)가 결합되는데, 절단공구장착대(60)는 절단공구(7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재로 그 중앙부에는 절단공구(70) 장착을 위한 장착홀(6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절단공구장착대(60)의 일측면에는 장착홀(61)과 연통되도록 천공되고 절단공구(7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쇠(63)가 장착된다. 상기 고정쇠(63)는 절단공구(70)의 측면에 형성되는 고정돌기(75)의 홈에 결합되어 절단작업시 절단공구(7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절단공구장착대(60)의 측면에는 개폐지지대(80)와 결합하기 위한 걸림쇠(65)가 설치된다.
절단공구장착대(60)에는 절단공구(70)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절단공구(70)의 상단에는 절단공구(70)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73)가 형성되고 절단공구(70)의 하단에는 파이프(100) 절단을 위한 절단블레이드(71)가 결합된다. 그리고, 절단공구장착대(60)의 일측면에는 절단공구(70)를 절단공구장착대(6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75)가 상하로 연속형성된다.
절단 작업을 하기 위하여 한쌍의 회전롤러(20) 사이에 파이프(100)를 배치시킬 시에 절단공구(70)는 상측으로 후퇴된 후 고정쇠(63)로 고정되고, 절단 작업시에는 파이프(100)의 외측면에 절단공구(70)의 절단블레이드(71)가 접촉되도록 절단 공구(70)는 하측으로 전진된 후 고정쇠(63)로 고정된다.
개폐지지대(80)의 일단은 본체(10)의 상부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에는 걸림고리(81)가 형성되어 절단공구장착대(60)와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개폐지지대(80)는 파이프(100) 절단 작업시 회전롤러(20)에 의해서 회전하는 파이프(100)가 외부로 튕겨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개폐지지대(80)의 일단은 본체(10)의 상부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그 결합은 힌지결합 등으로 될 수 있다. 개폐지지대(80)의 타단에는 걸림쇠(65)와의 결합을 위한 걸림고리(81)가 형성된다. 개폐지지대(80)의 걸림고리(81)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형태로 형성되는데, 걸림쇠(65)가 볼트결합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걸림고리(81)는 폐쇄된 고리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파이프 절단기(1)의 사용상태도가 도시된다.
이하에서는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파이프 절단기(1)의 사용방법을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파이프(100)를 삽입하기 위하여 개폐지지대(80)의 걸림고리(81)를 절단공구장착대(60)의 걸림쇠(65)에서 탈거하고 개폐지지대(80)를 측면으로 회동시켜 개방한다. 파이프(100)를 삽입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절단공구장착대(60)에 장착된 절단공구(70)를 상측으로 후퇴시키고 고정쇠(63)를 이용하여 절단공구(70)를 고정한다.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개방된 개폐지지대(80)를 통하여 파이프(100)를 삽입하고 한 쌍의 회전롤러(20) 사이에 위치시킨다. 개방된 개폐지지대(80)를 절단공구장착대(60) 측으로 회동시켜 닫고 걸림고리(81)를 걸림쇠(65)에 결합한다.
도 4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절단공구(70)의 절단블레이드(71)가 파이프(100)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절단공구(70)를 하측으로 전진시키고, 파이프(100) 절단 작업시 절단공구(70)가 밀려나지 아니하도록 고정쇠(63)를 이용하여 절단공구(70)를 절단공구장착대(60)에 고정한다.
도 4d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된 스위치(40)를 작동시키면 회전구동수단(30)에 의하여 한 쌍의 회전롤러(20)는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한 쌍의 회전롤러(20) 사이에 배치된 파이프(100)는 회전롤러(20)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롤러(20)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파이프(100)의 외측에 고정된 절단공구(70)에 의하여 파이프(100)의 절단이 이루어진다. 절단작업시 절단블레이드(71)가 파이프(100)의 외주면을 따라서 파이프(100)를 절삭하여 원형 나선구조의 절단 슬러지가 생기며 금속 가루의 발생은 줄어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파이프 절단기(1)는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휴대성이 증대된다. 에어컨 설치 작업과 같이 소구경의 파이프(100)를 빈번하게 이동 절단할 필요가 있는 경우 그 효용이 좋다.
또한, 상기와 같이 파이프(100)를 회전시키고 절단블레이드(71)를 고정시키는 방식을 취하여 고속회전 절단날에 의한 절단방식에 비하여 작업시 발생하는 분진이 저감될 수 있어 작업 후 청소작업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파이프 절단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파이프 절단기의 저면도.
도 3은 도 1의 I-I면 단면도.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이 파이프 절단기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설명>
1; 간이 파이프 절단기
10; 본체 11; 회전롤러장착대
13; 보호커버 15; 받침대
20; 회전롤러 21; 마찰부재
23; 피동축 30; 회전구동수단
31; 모터 32; 감속기어
33; 구동축 34; 구동스프로킷
35; 제 1 피동스프로킷 36; 제 2 피동스프로킷
37; 제 3 피동스프로킷 38; 구동체인
40; 스위치 50; 고정지지대
60; 절단공구장착대 61; 장착홀
63; 고정쇠 65; 걸림쇠
70; 절단공구 71; 절단블레이드
73; 손잡이 75; 고정돌기
80; 개폐지지대 81; 걸림고리
100; 파이프

Claims (5)

  1. 본체;
    상기 본체의 상측에 노출되도록 나란히 설치되고 그 사이에 놓여지는 파이프를 지지하여 회전시키는 한 쌍의 회전롤러;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롤러를 구동시키는 회전구동수단;
    상기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롤러에 의해 회전되는 상기 파이프를 절단하는 절단수단; 및
    상기 회전롤러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상기 파이프로의 회전력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마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간이 파이프 절단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장착되는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중 어느 하나의 피동축에 장착되는 제 1 피동스프로킷과,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 중 다른 하나의 피동축에 장착되는 제 2 피동스프로킷과, 상기 구동스프로킷과 상기 제 1 피동스프로킷과 상기 제 2 피동스프로킷에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회전롤러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체인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파이프 절단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는 고정지지대와, 상기 고정지지대의 단부에 결합되고 절단공구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절단공구장착대와, 상기 절단공구장착대에 장착되고 하단에는 절단블레이드가 결합되며 상단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는 절단공구와, 그 일단은 상기 본체의 상부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은 상기 절단공구장착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개폐지지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파이프 절단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파이프 절단기.
  5. 삭제
KR1020080046983A 2008-05-21 2008-05-21 간이 파이프 절단기 KR100989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983A KR100989642B1 (ko) 2008-05-21 2008-05-21 간이 파이프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983A KR100989642B1 (ko) 2008-05-21 2008-05-21 간이 파이프 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930A KR20090120930A (ko) 2009-11-25
KR100989642B1 true KR100989642B1 (ko) 2010-10-26

Family

ID=41604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983A KR100989642B1 (ko) 2008-05-21 2008-05-21 간이 파이프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6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9122A1 (ko) * 2022-08-27 2024-03-07 박수웅 마찰식 배관 구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711B1 (ko) * 2011-03-03 2011-09-29 남상대 환봉 절단 장치
CN108044169A (zh) * 2017-12-19 2018-05-18 成都大漠石油技术有限公司 一种专用于石油管道的切割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9242A (ko) * 1997-01-06 1997-11-07 김지호 금속표면연마기
KR19990039913U (ko) * 1998-04-15 1999-11-15 박실조 파이프 밴딩절단기
KR200165581Y1 (ko) 1999-07-20 2000-02-15 김영도 씨·엔·씨 프라즈마 파이프 자동 절단 장치
KR200251267Y1 (ko) * 2001-07-31 2001-11-22 이승열 파이프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9242A (ko) * 1997-01-06 1997-11-07 김지호 금속표면연마기
KR19990039913U (ko) * 1998-04-15 1999-11-15 박실조 파이프 밴딩절단기
KR200165581Y1 (ko) 1999-07-20 2000-02-15 김영도 씨·엔·씨 프라즈마 파이프 자동 절단 장치
KR200251267Y1 (ko) * 2001-07-31 2001-11-22 이승열 파이프 가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49122A1 (ko) * 2022-08-27 2024-03-07 박수웅 마찰식 배관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930A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36686B1 (en) Saw with increased depth of cut
JP2008018523A (ja) 切断機
KR100989642B1 (ko) 간이 파이프 절단기
GB2451947A (en) Cutting tool
CA2331590A1 (en) Powered drain cleaner
EP2100684A2 (en) Bench cutter
RU2011140123A (ru) Вращающиеся инструменты
JPS6333933B2 (ko)
CN216326676U (zh) 一种零件加工用零件固定装置
KR100736807B1 (ko) 절단기
CN215546695U (zh) 一种转台
KR100676610B1 (ko) 베벨링머신
CN213080577U (zh) 一种工件焊接用夹持固定装置
KR101461377B1 (ko) 이동형 보링머신
CN211362994U (zh) 建筑施工用墙面布管切槽机
JP5140654B2 (ja) パイプのロータリー切断装置
CN114310424A (zh) 一种换刀装置以及立式加工中心
CN113021019A (zh) 一种转台
CN214236400U (zh) 一种方便固定的手持电钻
KR101953511B1 (ko) 절단기
CN220993013U (zh) 一种用于固定齿轮加工的夹具
KR200412281Y1 (ko) 면취기
KR200267183Y1 (ko) 전동톱
CN218312178U (zh) 一种数控车床配件加工用夹持装置
CN219650000U (zh) 一种pvc-u双壁波纹管的切割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