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240B1 - 표시 필터, 및 표시 필터를 갖는 표시 모듈 - Google Patents

표시 필터, 및 표시 필터를 갖는 표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240B1
KR100989240B1 KR1020080076237A KR20080076237A KR100989240B1 KR 100989240 B1 KR100989240 B1 KR 100989240B1 KR 1020080076237 A KR1020080076237 A KR 1020080076237A KR 20080076237 A KR20080076237 A KR 20080076237A KR 100989240 B1 KR100989240 B1 KR 100989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light
design pattern
light source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7289A (ko
Inventor
아츠노부 후지이
히데키 추조
소이치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72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2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5Interference filters comprising deposited thin solid films
    • G02B5/286Interference filters comprising deposited thin solid films having four or fewer layers, e.g. for achieving a colour effe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과제
복수의 의장 패턴을 독립하고 투과 조명 표시 또한 광원광의 소등시에 있어서의 미관도 손상시키지 않는 표시 필터 및 그 표시 필터를 갖는 표시 모듈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복수의 의장 패턴 필터(111, 112)와, 눈가림 필터(113)를 구비한다. 눈가림 필터는, 광원(120)과는 반대측의 시인측에 배치되고, 각 의장 패턴(111b, 112b)을 투과하는 각각의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을 투과하고, 또한 각각의 특정 파장역 외의 파장역의 광을 흡수한다. 따라서 눈가림 필터를 마련함으로써, 광원이 점등 상태인 때에는, 각 의장 패턴을 투과 조명 표시 가능하게 하고, 광원이 소등 상태이고 외주광만이 존재할 때에, 각 의장 패턴을 종래에 비하여 보이지 않게 하여, 미관 저하가 방지 가능하다.
표시 필터, 표시 모듈

Description

표시 필터, 및 표시 필터를 갖는 표시 모듈{DISPLAY FILTER AND DISPLAY MOD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개소에 복수의 의장 패턴을 전환하여 표시하는 표시 필터, 및 해당 표시 필터를 갖는 표시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광원으로부터 발생하는 각각 다른 발광색을 전환함으로써, 동일한 표시 개소에 복수의 의장을 전환 표시하는 표시 장치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는, 기본적으로 이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즉,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10)에는, 예를 들면 적색광을 발하는 적광원(1)과, 예를 들면 녹색광을 발하는 녹광원(2)과, 녹색광을 차광하는 적색으로 되는 적색 필터(3)와, 적색광을 차광하는 녹색으로 되는 녹색 필터(4)가 구비되고, 각 광원(1, 2)으로부터의 광이 각 필터(3, 4)를 투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적색 필터(3)와 녹색 필터(4)는 실제로는 합체되어, 1장의 필터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적색 필터(3)에는, 도 3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투명 한 또는 개구가 되는 원형 의장 부분(3a)이 형성되고, 그 이외의 영역(3b)은 적색이다. 또한, 녹색 필터(4)에는, 도 3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적색이 되는 X형 의장 부분(4a)이 형성되고, 그 이외 영역(4b)은 녹색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적색 필터(3)와 녹색 필터(4)는 1장의 필터이기 때문에, 도 3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형 의장 부분(3a)과 X형 의장 부분(4a)은, 동일 개소에 위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표시 장치(10)는, 이하와 같은 표시 동작을 행한다. 즉. 적광원(1)을 점등시킨 때에는, 적색광은, 적색 필터(3)에서는, 적색 영역(3b), 및 투명한 또는 개구가 되는 원형 의장 부분(3a)의 양쪽을 투과하고, 녹색 필터(4)에서는, 녹색 영역(4b)에서 차광되고 적색으로 되는 X형 의장 부분(4a)을 투과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적광원(1)의 점등시에는, X형 의장 부분(4a)이 적색으로 투과 조명 표시된다. 한편, 녹광원(2)을 점등시킨 때에는, 녹색광은, 적색 필터(3)에서는, 적색 영역(3b)에서 차광되고, 투명한 또는 개구가 되는 원형 의장 부분(3a)을 투과하고, 녹색 필터(4)에서는, 녹색 영역(4b)을 투과하고, 적색이 되는 X형 의장 부분(4a)에서 차광된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녹광원(2)의 점등시에는, 원형 의장 부분(3a)이 녹색으로 투과 조명 표시된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10)에서는, 광원(1, 2)의 점등을 전환함으로써, 동일 개소에 2개의 의장을 각각 독립하여 표시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61-171088호 공보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표시 장치(10)에서는, 적광원(1) 및 녹광원(2)의 어느 하나가 점등하고 있을 때에는, 원형 의장 부분(3a) 및 X형 의장 부분(4a)을 각각 독립하여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적광원(1) 및 녹광원(2)의 양쪽 모두 소등하고 있을 때에는, 표시 장치(10)의 주위의 외주광(外周光)의 작용에 의해, 원형 의장 부분(3a) 및 X형 의장 부분(4a) 양쪽이 도 3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겹쳐 보인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표시 장치(10)는, 예를 들면 휴대 전화 등의 조작부에 이용할 수 있지만, 전지 구동되는 모바일 기기 등에서는, 소비 전력의 저감이 요망되고 있다. 따라서, 조작 버튼 등의 조명용 광원은, 필요시 이외, 소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 등의 조작부와 같이 미관을 중시하는 기기에서는, 소등시에 불필요한 의장 패턴이 보이는 것은 큰 결점이 된다.
또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서, 색 필터(3, 4)의 광투과측에, 예를 들면 흑색계의 스모크 필터를 또한 마련한 구성을 개시하는 문헌도 있다(예를 들면, 일본특허 제3160166호). 그러나, 상기 스모크 필터를 마련하기 때문에, 소등시에 복수의 의장 패턴은 보이지 않게 되지만, 스모크 필터는, 전 파장역(波長域)의 광을 일양(一樣)하게 차광하는 것이기 때문에, 광원 점등시의 의장 패턴의 투과 표시의 휘도까지도 저하시켜 버리는, 새로운 문제점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광원광이 전환됨으로써, 복수의 의장 패턴을 각각 독립하여 투과 조명 표시하고, 또 한 광원광의 소등시의 미관도 손상시키지 않는 표시 필터, 및 해당 표시 필터를 갖는 표시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성한다.
즉,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서의 표시 필터는, 서로 겹치는 복수의 의장 패턴 필터와,
상기 복수의 의장 패턴 필터를 사이에 끼워 광원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시인측(視認側)에 상기 복수의 의장 패턴 필터와 겹쳐서 배치된 눈가림 필터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의장 패턴 필터는,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을 투과하는 의장 패턴을 가지며 상기 의장 패턴 밖의 소지부(素地部)에서는 상기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을 흡수하는 흡수형의 필터이고, 서로 다른 의장 패턴을 가지며, 또한 각각의 상기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을 흡수하여 각각 다른 상기 의장 패턴을 표시하고,
상기 눈가림 필터는, 상기 광원광이 소등 상태에서 외주광에 의해 복수의 상기 의장 패턴이 가시(可視)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이고, 각각의 상기 의장 패턴을 투과하는 각각의 상기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을 투과하고, 또한 각각의 상기 특정 파장역 외의 파장역의 광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각각의 상기 의장 패턴 필터 및 상기 눈가림 필터는, 1장의 시트재로서 일체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이 경우, 1장의 시트재에 잉크 인쇄로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눈가림 필터보다도 상기 시인측 또는 광원측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광이 소등 상태이고 상기 외주광에 의해 가시로 되는 표시 의장 패턴을 갖는 무채색 필터를 또한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의장 패턴은, 상기 눈가림 필터에의 잉크 인쇄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채색 필터에서의 상기 표시 의장 패턴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시트재에 잉크 인쇄 또는 진공 증착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채색 필터에서의 상기 표시 의장 패턴은, 상기 의장 패턴 필터에서의 어느 하나의 의장 패턴과 동일 패턴이라도 좋다.
또한, 각각의 상기 의장 패턴 필터가 흡수하는 상기 광원광의 상기 특정 파장역은, 각각 독립하여 있고 중복되지 않도록 하여도 좋고, 경계역에서 중복되어도 좋다.
또한, 각각의 상기 의장 패턴 필터에 형성된 각 의장 패턴은, 동일 개소에 중복되어 배치할 수도 있고, 중복되지 않고, 서로 독립한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상태에서의 표시 모듈은, 상기 제 1 양태에 기재한 어느 하나의 표시 필터와,
상기 표시 필터에 포함되는 각각의 의장 패턴 필터가 흡수하는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을 발하는 광원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양태에서, 상기 광원은 복수개 마련되고, 각 광원은, 각각의 의장 패턴 필터에서 흡수되는 각각의 특정 파장역에 대응한 광원광을 각각 발하고,
발광시키는 상기 광원을 전환하고, 발광한 광원으로부터의 광원광에 대응하는 의장 패턴 필터에서의 의장 패턴을 표시시키는 전환 스위치를 또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서의 표시 필터에 의하면, 복수의 의장 패턴 필터와, 눈가림 필터가 구비되고, 광원과는 반대측의 시인측에 눈가림 필터를 배치하고, 눈가림 필터는, 각각의 의장 패턴을 투과하는 각각의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을 투과하고, 또한 각각의 특정 파장역 외의 파장역의 광을 흡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당해 표시 필터에서 광원으로부터 광원광이 조사된 때에는, 광원광이 갖는 특정 파장역을 흡수하는 의장 패턴 필터에 그려진 의장 패턴을 상기 광원광이 투과하고 눈가림 필터에 입사한다. 눈가림 필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의장 패턴을 투과하는 각각의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이 투과하기 때문에, 상기 의장 패턴을 투과한 상기 광원광은, 눈가림 필터를 투과한다. 따라서 광원광이 갖는 특정 파장역을 흡수하는 의장 패턴 필터에 그려진 의장 패턴을 시인할 수 있고, 상기 광원광을 전환함으로써, 복수의 의장 패턴을 각각 독립하여 투과 조명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광원광이 소등된 때에는, 외주광이, 눈가림 필터에 입사하고, 또한, 눈가림 필터에서 반사하고, 또한, 눈가림 필터를 투과한 외주광은, 각각의 의장 패턴 필터에 입사하고, 또한, 각 의장 패턴 필터에서 반사한다. 눈가림 필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상기 의장 패턴을 투과하는 각각의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은 투과되고, 또한 각각의 특정 파장역 외의 파장역의 광은 흡수된다. 따라서, 각 의장 패턴 필터에서 반사되고 눈가림 필터를 투과한 광은, 각 의장 패턴 필터에 대응한 각각의 특정 파장역을 합성한 파장역의 광이 된다. 따라서, 각 의장 패턴 필터의 겹침에 의한 색의 편차를 저감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의장 패턴 필터에 대해 눈가림 필터를 가함으로써, 시인되는 색을 흑색(무채색)에 근접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광이 존재하지 않고 외주광만이 존재하는 경우에, 각 의장 패턴 필터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의장 패턴을 종래에 비하여 시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고, 표시 부분의 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의장 패턴 필터 및 눈가림 필터를 1장의 시트재에 형성함으로써, 당해 표시 필터를 보다 컴팩트하게 형성 가능해지고, 취급하기 쉽게 된다.
또한 무채색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광원광이 존재하지 않고 외주광만이 존재할 때에, 무채색 필터에 구비되는 표시 의장 패턴을 표시시킬 수 있다.
또한, 무채색 필터를 눈가림 필터에 인쇄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당해 표시 필터를 보다 컴팩트하게 형성 가능해지고, 취급하기 쉽게 된다. 한편, 무채색 필터를 투명 또는 반투명의 시트재에 형성함으로써, 무채색 필터의 착탈이 가능해진다. 또한, 무채색 필터에 구비되는 표시 의장 패턴을, 어느 하나의 의장 패턴 필터에 구비되는 의장 패턴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광원광이 조사된 때에는, 표시 의장 패 턴은, 상기 광원광 및 외주광의 양쪽의 작용에 의해, 휘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서의 표시 모듈에 의하면, 상술한 제 1 양태의 표시 필터를 구비하기 때문에, 복수의 의장 패턴을 각각 독립하여 투과 조명 표시할 수 있고, 또한 광원광의 소등시에도 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인 표시 필터, 및 해당 표시 필터를 구비한 표시 모듈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동일 또는 같은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또한, 각 도면에서, 점선에 의한 해칭 및 그물코 모양은, 단면(斷面)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이하에 설명한 각종의 의장 패턴 필터, 눈가림 필터, 및 무채색 필터를 표현하는 것이다. 한편, 실선에 의한 해칭은, 구조물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실시형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 표시 모듈(101)은, 기본적 구성 부분으로서, 표시 필터(110)와 광원(120)을 구비하고, 본체(190) 내에, 회로 기판(191)에 실장된 광원(120)에 대향하여 표시 필터(110)를 배치한 구성을 갖는다. 또한, 광원(120)의 온, 오프, 및 복수 광원의 전환을 행하는 광원 구동 회로부(193)를 회로 기판(191)에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표시 모듈(101)은, 광원(120)으로부터 조사된 광원광이 표시 필터(110)를 투과함으로써, 표시 필터(110)에 형성되어 있는 의장 패턴을 시인측(192)에서 시인시킬 수 있음과 함께, 광원(120)의 소등시에서 표시부의 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광원(120)은, 복수색을 발광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청색의 파장역의 광을 발하는 청색 광원(121)과, 적색의 파장역의 광을 발하는 적색 광원(122)을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이 광원(120)은, 특정한 파장역의 광을 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LED(발광 다이오드), LD(레이저 다이오드), 및 EL(일렉트로 루미네선스)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청색 광원(121)으로서, 예를 들면 465±20㎚의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121a)을 발하는 LED를 사용하고, 적색 광원(122)으로서, 예를 들면 630±15㎚의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122a)을 발하는 LED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적색 광원(122)의 특정 파장역으로서, 605±15㎚의 광원광(122a)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정 파장역」이란,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 폭을 갖는 파장대를 의미하는 것은 물론이고, 해당 파장대에 포함되는 하나의 파장, 예를 들면 상기 465㎚ 등, 만을 가리키는 경우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광원(120)은, 상술한 청색 광원(121) 및 적색 광원(122)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미 존재하는 주지의 녹색, 황녹색, 황색, 오렌지색 등을 발하는 각 LED 등을 광원(120)으로서 사용 가능하고, 또한 장래 제조 가능하게 될 발색 광원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120)은, 청색 및 적색의 2색이지만, 3색 이상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하는 청색 광원(121) 및 적색 광원(122)에서는, 서로의 특정 파장역이 겹치는 일은 없지만, 광원(120)으로부터 2개의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이 발하여지는 경우에, 2개의 특정 파장역의 경계 영역에서 겹치는 2개의 광원광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3개 이상의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이 발하여지는 경우, 적어도 2개의 특정 파장역의 경계 영역이 겹치는 광원광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구성이 간이하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120)으로서 독립한 2개의 발색원을 마련하고 있지만, 광원(120)은, 하나의 광원과, 복수의 색 필터를 가지며, 색 필터의 선택에 의해 발색을 변경 가능하게 한 구조를 채택할 수도 있다.
표시 필터(11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청색의 의장 패턴 필터(111)와, 적색의 의장 패턴 필터(112)와, 눈가림 필터(113)를 구비하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확산판(114)을 부속하고 있다. 이들의 필터는, 동일 형상이 되고, 또한 겹쳐서 배치되고, 광원(120)측으로부터 시인측(192)을 향하여, 확산판(114), 청색의 의장 패턴 필터(111), 적색의 의장 패턴 필터(112), 눈가림 필터(113)의 순서로, 가장 시인측(192)에 눈가림 필터(11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표시 필터(110)를 보호하기 위해, 통상, 눈가림 필터(113)보다도 시인측(192)에 투명한 커버가 배치된다.
또한, 청색 의장 패턴 필터(111)와, 적색 의장 패턴 필터(112)는, 상술한 순번으로 한하지 않고 배치 위치를 교환하여도 좋다.
도시(圖示)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시 및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청색의 의장 패턴 필터(111), 적색의 의장 패턴 필터(112), 및 눈가림 필터(113)는, 각각 별개 독립한 시트재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지만, 당해 제 1 실시 형태 및 후술하는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1장의 시트재에 잉크 인쇄 처리로, 청색 의장 패턴 필터(111), 적색 의장 패턴 필터(112), 및 눈가림 필터(113)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이하의 설명과 같이, 각각 별개 독립한 시트재에 형성한, 청색 의장 패턴 필터(111), 적색 의장 패턴 필터(112), 및 눈가림 필터(113)를 겹쳐서, 예를 들면 접합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표시 필터(110)를 형성하여도 좋다.
1장의 시트재에의 증착 처리에 의해, 청색 의장 패턴 필터(111), 적색 의장 패턴 필터(112), 및 눈가림 필터(113)를 일체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표시 필터(110)를 구성하는 각 의장 패턴 필터(111, 112)는, 광원(120)이 발하는 상기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을 흡수하는 흡수형의 필터이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120)으로서, 상술한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121a)을 발하는 청색 광원(121)과, 상술한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122a)을 발하는 적색 광원(122)을 갖기 때문에,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적색의 광원광(122a)에서의 특정 파장역의 광을 흡수하는 청색의 의장 패턴 필터(111)와, 도 13 및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청색의 광원광(121a)에서의 특정 파장역의 광을 흡수하는 적색의 의장 패턴 필터(112)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의장 패턴 필터는, 설치한 광원(120)이 발하는 복수색의 광원광, 즉 복수의 특정 파장역에 대응하여, 복수로 마련된다.
또한, 도 12에는, 적색 광원(122)의 발광 특성, 환언하면 특정 파장역(122b)(실선)에 대한 청색 의장 패턴 필터(111)에서의 광파장의 투과 특성(111c)(점선)을 도시하고, 도 13에는, 청색 광원(121)의 발광 특성, 환언하면 특정 파장역(121b)(점선)에 대한 적색 의장 패턴 필터(112)에서 광파장의 투과 특성(112c)(실선)을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12에 도시하는 청색 의장 패턴 필터(111)에서의 광파장의 투과 특성(111c), 및 도 13에 도시하는 적색 의장 패턴 필터(112)에서 광파장의 투과 특성(112c)은, 의장 패턴 필터(111, 112)에서의 각각 이상적인 투과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의장 패턴 필터(111, 112)의 소지부(111a, 112a)를 증착 처리에 형성한 경우에는, 비교적 상기 이상적인 투과 특성에 가까운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4의(a), (b)에는, 청색 의장 패턴 필터(111)의 소지부(111a)를 잉크 인쇄로 형성한 경우의 청색 의장 패턴 필터(111)에서의, 광파장에 대한 투과율 및 반사율을 각각 도시하고, 도 15의(a), (b)에는, 적색 의장 패턴 필터(112)의 소지부(112a)를 잉크 인쇄로 형성한 경우의 적색 의장 패턴 필터(112)에서, 광파장에 대한 투과율, 및 반사율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의장 패턴 필터(111, 112)에는, 청색 광원(121) 및 적색 광원(122)의 어느 하나가 점등한 때에 시인시키는 의장 패턴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청색의 의장 패턴 필터(111)에는, 청색의 소지부(111a)에 대해, 예를 들면 ×표시가 되는 의장 패턴(111b)이 투명하게 또는 개구로 형성되고, 적색의 의장 패턴 필터(112)에는, 적색의 소지부(112a)에 대해, 예를 들면 ○표시가 되는 의장 패턴(112b)이 투명하게 또는 개구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각 의장 패턴(111b, 112b)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겹쳐서 배치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의장 패턴(111b, 112b)을 겹치지 않고, 서로 독립한 위치, 예를 들면 인접 위치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의장 패턴을 동일하게 하여, 예를 들면 그 방향을 「─」, 「│」와 같이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의장 패턴 필터(111, 112)는,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하는 특성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이하와 같이 작용한다.
즉, 적색 광원(122)이 점등한 때에는, 적색 광원광(122a)은, 청색의 의장 패턴 필터(111)의 소지부(111a)에서는 흡수되고, 한편, 투명 또는 개구가 되는 ×표시가 되는 의장 패턴(111b)을 투과하여, 적색의 의장 패턴 필터(112)에 입사한다. 적색의 의장 패턴 필터(112)에서는, 적색 광원광(122a)은, 소지부(112a), 또한 투명 또는 개구가 되는 원형의 의장 패턴(112b) 부분을 투과한다. 따라서, 적색 광원(122)이 점등한 때에는, 청색의 의장 패턴 필터(111)에서의 ×표시의 의장 패턴(111b)이 적색으로 표시된다.
또한, 청색 광원(121)이 점등한 때에는, 청색 광원광(121a)은, 청색의 의장 패턴 필터(111)의 소지부(111a), 및 투명 또는 개구가 되는 의장 패턴(111b)을 투과하고, 즉 ×표시의 의장 패턴(111b)을 표시하는 일 없이 적색의 의장 패턴 필터(112)에 입사한다. 적색의 의장 패턴 필터(112)에서는, 청색 광원광(121a)은, 소 지부(112a)에서는 흡수되고, 투명 또는 개구가 되는 원형의 의장 패턴(112b) 부분을 투과한다. 따라서, 청색 광원(121)이 점등한 때에는, 적색의 의장 패턴 필터(112)에서의 ○표시의 의장 패턴(112b)이 청색으로 표시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서 특징적 구성 부분의 하나인 눈가림 필터(113)에 관해 설명한다.
눈가림 필터(113)는, 광원(120)으로부터의 광원광(121a, 122a)이 소등 상태인 때에 외주광만에 의해 복수의 의장 패턴(111b, 112b)이 가시(可視)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로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의장 패턴 필터(111, 112)를 사이에 끼워 광원(120)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시인측(192)에, 의장 패턴 필터(111, 112)와 겹쳐서 배치된다. 이와 같은 눈가림 필터(113)는, 각각의 의장 패턴(111b, 112b)을 투과하는 각각의 상기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122a, 121a)을 투과하고, 또한 각각의 상기 특정 파장역 외의 파장역의 광을 흡수하고, 반사광 성분을 감소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6에는, 상술한, 도 12에 도시하는, 적색 광원(122)의 발광 특성(122b)에 대한 청색 의장 패턴 필터(111)의 광파장 투과 특성(111c), 및, 도 13에 도시하는, 청색 광원(121)의 발광 특성(121b)에 대한 적색 의장 패턴 필터(112)의 광파장 투과 특성(112c)에 더하여, 눈가림 필터(113)의 광파장 투과 특성(113c)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광파장 투과 특성(113c)은, 이상적인 투과 특성을 나타내고 있고, 눈가림 필터(113)를 증착 처리로 형성한 경우에는, 비교적, 상기 이상적인 투과 특성에 가까운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7의(a), (b)에는, 눈가림 필터(113)를 잉크 인쇄로 형성한 경우의 광파장에 대한 투과율 및 반사율을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 16 및 도 17에서 분명한 바와 같이, 눈가림 필터(113)는, 청색 광원(121)이 발하는 예를 들면 465±20㎚의 특정 파장역(121b)의 광원광(121a), 및, 적색 광원(122)이 발하는 예를 들면 630±15㎚의 특정 파장역(122b)의 광원광(122a)을 거의 100% 투과하지만, 한편, 이들의 특정 파장역 이외의 파장역, 즉 약 560㎚ 부근을 중심으로 한 파장역의 광을 거의 100% 흡수한다. 또한, 눈가림 필터(113), 및 청색의 의장 패턴 필터(111) 및 적색의 의장 패턴 필터(112)를 잉크 인쇄로 형성한 경우, 이들의 필터의 투과율, 반사율 및 흡수율에 관해, 이론적으로는, 투과율+반사율+흡수율=1의 관계가 있고, 또한, 잉크 인쇄에서 사용된 안료로는, 투과율과 반사율 사이에는 상관 관계가 있다. 즉, 예를 들면 투과율이 올라가면 반사율도 올라간다. 이와 같은 광파장의 흡수, 투과 특성을 갖기 때문에, 눈가림 필터(113)를 색으로 표현하면, 각 광원광(121a, 122a)의 청색과 적색을 합성한 합성색, 즉 자색(紫色)(마젠타)이다.
본 실시 형태의 눈가림 필터(113)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의 투과율은 거의 100%, 특정 파장역 외의 광원광의 흡수율은 거의 0%인 광파장의 흡수, 투과 특성을 갖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특정 파장역(121b)의 청색의 광원광(121a) 및 특정 파장역(122b)의 적색의 광원광(122a)에 대해, 눈가림 필터(113)로서의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눈가림 필터(113)는, 눈가림 필터(113)의 이상에 가까운 투과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직사각형의 투과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광원(120)으로부터의 광원광(121a, 122a)이 소등 상태일 때에 외주광만에 의해 복수의 의장 패턴(111b, 112b)을 시인할 수 없게 하는 관점에서 보면, 눈가림 필터(113)의 투과율은, 낮을수록 좋고 예를 들면 10% 이하라도 좋다. 그러나 이와 같은 낮은 투과율로는, 광원(120)의 점등시에 광원광(121a, 122a)이 눈가림 필터(113)를 투과할 수 없어서, 의장 패턴(111b, 112b)의 시인을 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또한, 현재 상태로서는 실제로는 도 1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인쇄로 눈가림 필터(113)를 형성한 경우에 있어서의 청색 및 적색의 특정 파장역에서의 투과율은, 40% 전후이고, 이 정도의 투과율로 충분히 눈가림 필터(113)의 기능을 다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눈가림 필터(113)로서의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기능을 다하기 위해서는, 약 40% 전후로부터, 바람직하게는 7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의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의 투과율, 및 95% 이상의 상기 특정 파장역 외의 파장역의 광의 흡수율이 구비되어 있으면 좋은 것이 확인되어 있다.
또한, 청색의 광원광(121a), 및 적색의 광원광(122a) 이외의 2 또는 3 이상의 파장역의 광원광이 이용되는 경우라도, 눈가림 필터(113)가 상술한 광원광의 투과율 및 흡수율을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광원(120)으로부터의 각 특정 파장역에 관계없이, 눈가림 필터(113)로서의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기능을 다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눈가림 필터(113)는, 의장 패턴 필터(111, 112)에 대해 가장 시인측(192)에 배치되기 때문에, 의장 패턴 필터(112)를 출사한 광은, 눈가림 필터(113)에 입사한다. 이에 대해 눈가림 필터(113)는, 상술한 광파장 투과, 흡수 특성을 갖기 때문에, 청색 광원(121)이 점등한 때에 적색의 의장 패턴 필터(112)로 표현되는 청색의 원형의 의장 패턴(112b), 및, 적색 광원(122)이 점등한 때에 청색의 의장 패턴 필터(111)로 표현되는 적색의 ×표시의 의장 패턴(111b)은, 각각 투과율이 저하되는 일 없이, 그대로 시인 가능하다. 이 점에서, 눈가림 필터(113)는, 종래 사용되고 있는, 이른바 스모크 필터와 크게 특성을 달리한다.
상술한 눈가림 필터(11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전체면에 대해, 상술한 광파장의 흡수, 투과 특성을 갖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또는 도 4에 도시하는 눈가림 필터(113-1)와 같이, 각 의장 패턴(111b, 112b)에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 상술한 광파장의 흡수, 투과 특성을 가지며, 각 의장 패턴(111b, 112b) 이외의 영역(113-1a)에 대해서는 투명하게 구성하여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장 시인측(192)에 눈가림 필터(113)를 배치함으로써, 눈가림 필터(113)는, 또한 이하의 작용을 행한다.
청색 광원(121) 및 적색 광원(122)이 소등하고 광원광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전파장을 포함하는 외주광이, 눈가림 필터(113)에 입사하고, 또는 눈가림 필터(113)의 표면에서 반사하고, 또한, 눈가림 필터(113)를 투과한 외주광은, 각각의 의장 패턴 필터(111, 112)에 입사하고, 또한, 각 의장 패턴 필터(111, 112)의 표면에서 반사한다. 눈가림 필터(113)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의장 패턴(111b, 112b)을 투과하는 각각의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122a, 121a)은 투과되고, 또한 각각의 특정 파장역 외의 파장역의 광은 흡수된다. 따라서, 각 의장 패턴 필 터(111, 112)에서 반사되고 눈가림 필터(113)를 투과한 광은, 각 의장 패턴 필터(111, 112)에 대응한 각각의 특정 파장역을 합성한 파장역의 광이 된다. 따라서, 각 의장 패턴 필터(111, 112)의 겹침에 의한 색의 편차를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각 의장 패턴 필터(111, 112)에 눈가림 필터(113)를 가하기 때문에, 시인된 색을 흑색(무채색)에 근접할 수 있다. 따라서 청색 광원(121) 및 적색 광원(122)이 소등한 상태에서 외주광만이 존재할 때에, 각 의장 패턴 필터(111, 112)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의장 패턴(111b, 112b)을 종래에 비하여 시인하기 어렵게 할 수 있고, 표시 부분의 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소등 상태에서, 각 의장 패턴(111b, 112b)을 종래에 비하여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는 것에 관해,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상기 소등 상태에서 외주광만이 존재하는 경우로, 눈가림 필터(113)를 마련하지 않은 때에는, 각 의장 패턴 필터(111, 112)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의장 패턴(111b, 112b)이 희미하게 보여 버리는 원리를 설명한다.
상기 소등 상태에서 외주광만이 존재하는 경우에, 적층된 복수층에 의해 시인되는 표시 즉 반사광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층에서 투과 반사한 것이 합성되어 보인다. 이것은, 시각(視覺)의 특성으로부터, 적(R), 청(B), 녹(G) 성분의 합성으로 생각할 수 있고, 상기 합성되어 보이는 반사광(Ref)은, 각 층에서 투과 반사한 것(ref1 내지 refn)을 가산하여 구해지고, 하기한 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Ref=ref1+ref2+ref3+…+refn
=(r1)+(T1*T1*r2)+(T1*T2*T1*T2*r3)+…+(T1*T1*T2*T2*…Tn-1*Tn-1*rn)
여기서, r: 반사율(rn: n층째의 반사율), T: 투과율(Tn: n층째의 투과율).
상술한 원리에 의거하여, 도 6에서는, 눈가림 필터(113)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외주광(194)이 청색 의장 패턴 필터(111) 및 적색 의장 패턴 필터(112)에 작용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7에서는, 눈가림 필터(113)를 마련한 경우에 외주광(194)이 청색 의장 패턴 필터(111) 및 적색 의장 패턴 필터(112)에 작용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GB 성분을 갖는 외주광(194)이 적색 의장 패턴 필터(112), 청색 의장 패턴 필터(111), 적색 의장 패턴 필터(112)와 청색 의장 패턴 필터(111)가 겹쳐 있는 마젠타 부분, 및 무색 투명 부분에 작용하기 때문에, 적색 의장 패턴 필터(112) 부분 및 상기 마젠타 부분에서는 주로 적색 파장역의 광이 시인측(192)에 출사되고, 청색 의장 패턴 필터(111)로부터는 주로 청색 파장역의 광이 시인측(192)에 출사되고, 상기 무색 투명 부분에서는 적색, 녹색, 및 청색 파장역의 광이 시인측(192)으로 출사된다.
한편,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인측(192)에 눈가림 필터(113)를 배치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필터(110)의 구성에서는, RGB 성분을 갖는 외주광(194)이 표시 필터(110)에 입사하기 때문에, 이하와 같은 작용이 생긴다. 즉, 눈가림 필터(113)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녹색 파장역의 광을 흡수하기 때문에, 눈가림 필터(113)로부터는 청색 파장역의 광, 및 적색 파장역의 광이 시인측(192)으로 출사된다. 또한, 적색 의장 패턴 필터(112) 부분에서는, 녹색 파장역의 광은 눈가림 필 터(113)에서 거의 흡수되어 적색 의장 패턴 필터(112)까지 도달하지 않고, 청색 파장역의 광은 눈가림 필터(113)를 투과하지만 해당 적색 의장 패턴 필터(112)에서 흡수된다. 따라서, 적색 의장 패턴 필터(112) 부분에서는, 적색 파장역의 광이 눈가림 필터(113)를 투과하여 출사됨과 함께, 눈가림 필터(113)의 표면에서 반사한 청색 및 적색의 파장역의 광이 시인측(192)으로 출사된다. 또한, 상기 마젠타 부분에서는, 적색 의장 패턴 필터(112)의 표면에서 반사하고 눈가림 필터(113)를 투과한 적색 파장역의 광, 및 눈가림 필터(113)의 표면에서 반사한 청색 및 적색의 파장역의 광이 시인측(192)으로 출사된다. 또한, 청색 의장 패턴 필터(111) 부분에서는, 청색 의장 패턴 필터(111)의 표면에서 반사하고 눈가림 필터(113)를 투과한 청색 파장역의 광, 및 눈가림 필터(113)의 표면에 반사한 청색 및 적색의 파장역의 광이 시인측(192)으로 출사된다.
이와 같이 눈가림 필터(113)를 배치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필터(110)의 구성에서는, 외주광(194)에 의해 시인측(192)으로 출사되는 광의 파장역은, 적색 의장 패턴 필터(112) 부분, 마젠타 부분, 청색 의장 패턴 필터(111) 부분, 및 투명 부분의 어느것에서도, 청색 및 적색의 파장역이 된다. 따라서 시인측(192)에서는, 색 얼룩이 인식되기 어렵다. 즉, 광원(120)이 소등 상태에서, 각 의장 패턴(111b, 112b)을 종래에 비하여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색 필터의 소재가 광의 흡수 특성을 갖는 경우, 감색법(減色法)의 이론으로부터 마젠타+청(靑)+적(赤)으로 보다 흑(黑)에 근접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의 마젠타색의 눈가림 필터(113)와, 청색의 의장 패턴 필터(111), 및 적색 의 의장 패턴 필터(112)가 혼색됨으로써 흑색(무채색)에 근접할 수 있다. 이 점에서도, 눈가림 필터(113)를 마련함으로써, 특히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광원(120)의 소등 상태에서 각 의장 패턴(111b, 112b)을 종래에 비하여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상적인 흑색으로 하는데는, Y(옐로)+C(시안)+M(마젠타)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조합이 되는 광의 파장역을 갖도록, 광원(120), 의장 패턴 필터, 및 눈가림 필터를 구성함으로써, 광원(120)의 소등 상태에 있어서 각 의장 패턴(111b, 112b)을 거의 시인 불가로 할 수 있다.
또한, 눈가림 필터(113)를 마련한 구성에서도, 청색 광원(121) 및 적색 광원(122)이 점등 상태일 때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청색의 광원광(121a) 및 적색의 광원광(122a)이 눈가림 필터(113)를 투과하여 시인측(192)에 도달 가능하다. 도 8에서는, 눈가림 필터(113)를 마련하지 않은 경우를 도시하고, 청색의 광원광(121a) 및 적색의 광원광(122a)은, 시인측(192)에 도달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표시 필터(110)에 의하면, 광원(120)이 점등 상태인 때에는, 광원광이 갖는 특정 파장역을 흡수하는 의장 패턴 필터에 그려진 의장 패턴을 투과 조명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광원(120)이 소등 상태이고 외주광(194)만이 눈가림 필터(113) 및 복수의 의장 패턴 필터(111, 112)에 입사할 때에는, 눈가림 필터(113)에 의해, 각 의장 패턴 필터(111, 112)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의장 패턴(111b, 112b)을 종래에 비하여 보이지 않게 할 수 있고, 표시 부 분의 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광원(120)으로부터의 청색 광원광(121a) 및 적색 광원광(122a)에 대해, 청색의 의장 패턴 필터(111), 적색의 의장 패턴 필터(112), 및 마젠타 색의 눈가림 필터(113)를 마련하였다.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청색 광원광(121a) 및 적색 광원광(122a)을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적색의 의장 패턴 필터(112), 녹색의 의장 패턴 필터, 및 황색의 눈가림 필터를 이용할 수도 있고, 또한, 청색의 의장 패턴 필터(111), 녹색의 의장 패턴 필터, 및 시안색의 눈가림 필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표시 필터(110)를 갖는 표시 모듈(101)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광원 구동 회로부(193)에서 청색 광원(121)을 점등시킨 때에는, 적색의 의장 패턴 필터(112)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의 의장 패턴(112b)을 투과한 청색 광원광(121a)이 또한 눈가림 필터(113)도 투과하여, 시인측(192)에 도달한다. 따라서, 청색 광원(121)의 점등시에는, 청색의 ○표시의 의장 패턴(112b)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적색 광원(122)을 점등시킨 때에는, 청색의 의장 패턴 필터(111)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의 의장 패턴(111b)을 투과한 적색 광원광(122a)이 또한 눈가림 필터(113)도 투과하여, 시인측(192)에 도달하다. 따라서, 적색 광원(122)의 점등시에는, 적색의 ×표시의 의장 패턴(111b)을 시인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 구동 회로부(193)에서 광원(120)이 발하는 각각 특정 파장역을 갖는 복수의 광원광을 전환함으로써, 표시 모듈(101)은, 각 광원광(121a, 122a)이 갖는 특정 파장역을 흡수하는 의장 패턴 필터(112, 111)에 그려진 의장 패턴(112b, 111b)을 각각 독립하여 투과 조명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청색 광원(121) 및 적색 광원(122)이 소등 상태이고, 외주광(194)만이 존재할 때에는, 눈가림 필터(113)에 의해, 각 의장 패턴 필터(111, 112)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의장 패턴(111b, 112b)을 종래에 비하여 보이기 어렵게 할 수 있고, 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표시 필터(110)를 구비한 표시 모듈의 구체적인 구성예를 도 19부터 도 23에 도시한다. 이들의 도시는, 예를 들면 휴대 전화의 숫자 패드부의 일부분 등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또한, 광원 등의 각 구성 부분의 배치 장소, 수(數) 등은, 도시한 구성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도 19부터 도 23에 도시하는 표시 모듈에는, 도 1에 도시하는 광원 구동 회로부(193)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도 19는, 광원(120)을 LED로 하여 청색 광원(121) 및 적색 광원(122)을 가지며, 돔 스위치(195)를 구비한 표시 모듈(105)의 일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해당 표시 모듈(105)에서는, 상술한 표시 필터(110)가 인쇄 처리로 투명한 본체부(105a)에 형성되고, 본체부(105a)에 마련한 가동부(105b)에는, 청색 광원(121) 또는 적색 광원(122)의 점등에 따라 의장 패턴(112b, 111b)이 표시된다. 의장 패턴(112b, 111b)을 시인하여 가동부(105b)를 압하함으로써, 실리콘 고무 등의 투명한 탄성 부재로 마련한 누름자(195a)를 통하여 돔 스위치(195)가 작동한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하는 표시 모듈(105)에서의 광원을 LED에 대신하고, 청색 및 적색의 EL(123)로 한 표시 모듈(105-1)을 도시하고 있다. 표시 모듈(105-1)의 동작은, 상술한 표시 모듈(105)과 변하지 않는다.
도 21은, 광원(120)으로서 청색 광원 및 적색 광원을 갖는 EL(123)로 하고, 터치 센서(196)를 구비한 표시 모듈(106)의 일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그 표시 모듈(106)에서는, 상술한 표시 필터(110)가 인쇄 처리로 투명한 본체부(106a)에 형성되고, 해당 본체부(106a)에는, 청색 광원 또는 적색 광원의 점등에 따라 의장 패턴(112b, 111b)이 표시된다. 이들의 의장 패턴(112b, 111b)을 시인하고 본체부(106a)에 접촉함으로써, 터치 센서(196)가 작동한다.
도 22에는, 도 19에 도시하는 표시 모듈(101)의 구성에 전자 페이퍼(197)를 가한 구성을 갖는 표시 모듈(107)이 도시된다. 해당 표시 모듈(107)에서는, 전자 페이퍼(197)가 투명하게 형성된 경우, 청색 광원(121) 또는 적색 광원(122)의 점등에 따라 본체부(105a)에 표시된 의장 패턴(112b, 111b)을 시인할 수 있다.
도 23에는, 도 21에 도시하는 표시 모듈(106)의 구성에 전자 페이퍼(197)를 가한 구성을 갖는 표시 모듈(108)이 도시된다. 상술한 표시 모듈(107)과 마찬가지로, 표시 모듈(108)은, 전자 페이퍼(197)가 투명하게 형성된 경우, 의장 패턴(112b, 111b)을 시인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도 24는, 제 2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모듈(102)을 도시하고 있다. 표시 모듈(102)은, 상술한 제 1 실시 형태에서 표시 모듈(101)에 구비되는 표시 필터(110) 를 표시 필터(110-1)로 변경한 이외, 상기 표시 모듈(101)과 구성상, 변하는 부분은 없다. 따라서, 이하에는, 변경 부분인 표시 필터(110-1)에 관해 설명을 행하고, 그 밖의 동일 구성 부분에 관해,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표시 필터(110-1)에 있어서도, 제 1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필터(110)와 동일한 구성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 2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모듈(102)에서도, 광원(120)으로부터 조사된 광원광(121a, 122a)이 표시 필터(110-1)를 투과함으로써, 표시 필터(110-1)에 포함되어 있는 의장 패턴(112b, 111b)을 시인측(192)에서 시인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표시 모듈(102)은, 광원(120)의 소등시에, 상기 외주광(194)에 의해, 이하에 설명하는 표시 의장 패턴을 시인시킬 수 있다.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도 24 및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필터(110-1)는,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청색의 의장 패턴 필터(111)와, 적색의 의장 패턴 필터(112)와, 눈가림 필터(113)를 구비하고, 또한, 제 2 실시 형태에서 특징적 구성 부분인 무채색 필터(1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제 2 실시 형태에서도 확산판(114)을 부속하고 있다.
무채색 필터(115)는, 의장 패턴 필터(111, 112), 및 눈가림 필터(113)와 동일 형상이 되고, 또한 겹쳐서 배치되고, 눈가림 필터(113)보다도 시인측(192)에 배치된다.
무채색 필터(115)에는, 광원(120)이 소등 상태에서 외주광(194)만이 표시 필터(110-1)에 작용할 때, 외주광(194)에 의해 가시(可視)로 되는 표시 의장 패 턴(115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무채색 필터(115)는,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눈가림 필터(113)를 포함하는 제 1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필터(110)의 눈가림 필터(113)상에 배치되기 때문에, 표시 의장 패턴(115a)은, 상기 의장 패턴(111a, 112a)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된다.
무채색 필터(115)는, 예를 들면, 투명 또는 반투명의 시트재를 기재(基材)로 하고, 표시 의장 패턴(115a) 이외의 소지부(115b)를, 표시 의장 패턴(115a) 부분과는 광반사율, 광흡수율, 및 광확산도 차의 적어도 하나가 다른 재료로 인쇄 또는 진공 증착함으로써 제작된다. 예를 들면, 표시 의장 패턴(115a) 부분을 광반사율이 높은 재료로, 소지부(115b)를 광흡수율이 높은 재료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작된 무채색 필터(115)에서는, 외주광(194)이 조사된 때 반사하는 부분은 희게 보이고, 광흡수가 높은 부분은 검게 보인다. 따라서, 광원(120)이 소등 상태이고 외주광(194)만이 작용할 때, 무채색 필터(115)를 갖는 표시 필터(110-1)는, 제 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의장 패턴(111b, 112b)을 시인하기 어렵게 함과 함께, 표시 의장 패턴(115a) 부분을 소지부(115b)와는 달라 시인 가능하게 한다. 즉, 소등시에는, 표시 의장 패턴(115a)이 표현된다.
또한, 광원(120)의 발광시에 있어서, 표시 의장 패턴(115a)이 방해를 하여 의장 패턴(111b, 112b)에 표시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표시 의장 패턴(115a)과, 소지부(115b)의 광투과율을 동일 또는 거의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채색 필터(115)는, 표시 의장 패턴(115a) 부분을 광반 사율이 높은, 예를 들면 수%의 반사율의 재료로 형성하고, 소지부(115b)를 광흡수율이 높은 재료로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표시 의장 패턴(115a) 부분의 광반사는, 외주광의 조도에 크게 좌우된다. 이것은, 옥내외에서 사용되는 예를 들면 휴대 전화 등의 모바일 기기에 해당 표시 필터(110-1)를 채용하는 경우, 표시 의장 패턴(115a)의 광반사율의 결정을 매우 어렵게 한다. 즉, 광원(120)이 소등하고 있을 때, 옥내에서의 외주광만으로 표시 의장 패턴(115a) 부분을 표시시키기 위해 표시 의장 패턴(115a) 부분의 광반사율을 너무 높게 하면, 광원(120)의 점등시에 광원(120)의 광에 의해 표시 의장 패턴(115a) 부분이 표현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생기고, 역으로, 해당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또한 옥외에서 외주광에 대응시켜서, 표시 의장 패턴(115a) 부분의 광반사율을 너무 낮게 설정하면, 옥내에서는 광원(120)의 소등시에 표시 의장 패턴(115a) 부분이 표현될 수 없다. 따라서 실제로는, 표시 의장 패턴(115a) 부분의 광반사율과, 소지부(115b)의 광흡수율과, 표시 의장 패턴(115a) 부분 및 소지부(115b)의 광투과율을, 미묘하게 조정할 필요가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무채색 필터(115)는, 의장 패턴 필터(111, 112), 및 눈가림 필터(113)를 갖는 표시 필터(110)와는 별개의 부재에 형성하였지만,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눈가림 필터에 표시 의장 패턴(115a)을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도 27 및 도 28에서, 부호 116으로 나타내는 것은, 상술한 눈가림 필터(113)와, 무채색 필터(115)의 기능을 겸비한 눈가림 필터이다. 해당 눈가림 필터(116)의 시인측(192)에는, 상기 표시 의장 패턴(11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눈가림 필터(116)를 갖는 표시 필터에 대해 부호 110-2를 부호번호로 하 고, 해당 표시 필터(110-2)를 구비한 표시 모듈에 대해 부호 103을 부호번호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표시 필터(110-2)에 관해서도, 상술한 표시 필터(110-1)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표시 필터(110-1, 110-2)에서는, 표시 의장 패턴(115a)은, 의장 패턴 필터(111, 112)에서의 의장 패턴(111b, 112b)과는 다른 의장 패턴이지만,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청색의 의장 패턴 필터(111)에 형성한 의장 패턴(111b-1)과 동일한 형상 및 사이즈로 할 수도 있다. 표시 의장 패턴(115a)을, 의장 패턴 필터(111)에서의 의장 패턴(111b), 또는 의장 패턴 필터(112)에서의 의장 패턴(112b)과 동일하게 함으로써, 광원(120)으로부터의 광원광 및 외주광에 의해, 표시 의장 패턴(115a)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표시 의장 패턴(115a)을 갖는 무채색 필터(115)는, 눈가림 필터(113)보다도 시인측(192)에 배치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눈가림 필터(113)보다도 광원(120)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즉, 무채색 필터(115)는, 눈가림 필터(113)와 의장 패턴 필터(112) 사이, 의장 패턴 필터(112)와 의장 패턴 필터(111) 사이, 또는 의장 패턴 필터(111)보다도 광원(120)측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도 30은, 무채색 필터(115)를, 눈가림 필터(113)와 의장 패턴 필터(112) 사이에 배치한 표시 필터(110-3)를 도시하고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동일한 표시 개소에 복수의 의장 패턴을 전환하여 표시하는 표시 필터, 및 그 표시 필터를 갖는 표시 모듈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모듈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모듈에 구비되는 표시 필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표시 필터에 구비되는 눈가림 필터의 한 예의 작용에 의해 의장 패턴이 시인하기 어렵게 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표시 필터에 구비되는 눈가림 필터의 다른 예에 의한 작용에 의해 의장 패턴이 시인하기 어렵게 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하는 표시 필터에 포함되는 의장 패턴이 시인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하는 눈가림 필터에 의해 의장 패턴이 시인하기 어렵게 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눈가림 필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하는 눈가림 필터에 의해 의장 패턴이 시인하기 어렵게 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2에 도시하는 눈가림 필터의 존재의 유무에 관계없이 의장 패턴을 시인 가능한 것을 설명하기 위해 눈가림 필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2에 도시하는 눈가림 필터의 존재의 유무에 관계없이 의장 패턴을 시인 가능한 것을 설명하기 위해 눈가림 필터를 마련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 면.
도 10은 도 2에 도시하는 표시 필터에 포함되는 의장 패턴을 겹치지 않고 각각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모듈에 구비되는 광원에 사용 가능한 각 색의 LED에서의 광원광의 파장역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2는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모듈에 구비되는 적색 광원의 발광 특성, 및 청색의 의장 패턴 필터의 광투과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3은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모듈에 구비되는 청색 광원의 발광 특성, 및 적색의 의장 패턴 필터의 광투과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4는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모듈에 구비되는 청색의 의장 패턴 필터의 광투과 특성 및 광반사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5는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모듈에 구비되는 적색의 의장 패턴 필터의 광투과 특성 및 광반사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6은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모듈에 구비되는 적색 및 청색의 광원의 발광 특성, 청색 및 적색의 의장 패턴 필터의 광투과 특성, 및 눈가림 필터의 광투과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7은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모듈에 구비되는 눈가림 필터의 광투과 특성 및 광반사 특성을 도시하는 그래프.
도 18은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모듈에 구비되는 눈가림 필터의 이상에 가까운 광투과 특성의 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모듈의 구체적 구성예의 단면도.
도 20은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모듈의 구체적 구성예의 단면도.
도 21은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모듈의 구체적 구성예의 단면도.
도 22는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모듈의 구체적 구성예의 단면도.
도 23은 도 1에 도시하는 표시 모듈의 구체적 구성예의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서의 표시 모듈의 단면도.
도 25는 도 24에 도시하는 표시 모듈에 구비되는 표시 필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6은 도 24에 도시하는 표시 필터에 구비되는 무채색 필터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도 24에 도시하는 표시 필터의 다른 예를 구비한 표시 모듈의 단면도.
도 28은 도 27에 도시하는 다른 예에서의 표시 필터의 사시도.
도 29는 도 24 및 도 27에 도시하는 표시 필터에서, 무채색 필터에 형성한 표시 의장 패턴을 의장 패턴과 동일하게 한 경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0은 도 24에 도시하는 표시 필터의 변형예로서, 무채색 필터를, 눈가림 필터와 의장 패턴 필터 사이에 배치한 경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1은 종래의 표시 모듈의 단면도.
도 32는 종래의 표시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102, 103 : 표시 모듈 110 : 표시 필터
111 : 청색의 의장 패턴 필터 111b : 의장 패턴
112 : 적색의 의장 패턴 필터 112b : 의장 패턴
113 : 눈가림 필터 115 : 무채색 필터
115a : 표시 의장 패턴 116 : 무채색 필터
120 : 광원
121 : 청색 광원 121a : 청색 광원광
122 : 적색 광원 122a : 적색 광원광
193 : 광원 구동 회로부

Claims (13)

  1. 서로 겹치는 복수의 의장 패턴 필터(111, 112)와,
    상기 복수의 의장 패턴 필터를 사이에 끼워 광원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시인측(192)에 상기 복수의 의장 패턴 필터와 겹쳐서 배치되는 눈가림 필터(113)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의장 패턴 필터는,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121a, 122a)을 투과하는 의장 패턴(111b, 112b)을 가지며 상기 의장 패턴 밖의 소지부(111a, 112a)에서는 상기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을 흡수하는 흡수형의 필터이고, 서로 다른 의장 패턴을 가지며, 또한 각각의 상기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을 흡수하여 각각 다른 상기 의장 패턴을 표시하고,
    상기 눈가림 필터는, 상기 광원광이 소등 상태에서 외주광에 의해 복수의 상기 의장 패턴이 가시로 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이고, 각각의 상기 의장 패턴을 투과하는 각각의 상기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을 투과하고, 또한 각각의 상기 특정 파장역 외의 파장역의 광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필터.
  2.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의장 패턴 필터 및 상기 눈가림 필터는, 1장의 시트재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필터.
  3. 제 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의장 패턴 필터 및 상기 눈가림 필터는, 1장의 시트재에 잉크 인쇄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필터.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눈가림 필터보다도 상기 시인측 또는 광원측에 배치되고, 상기 광원광이 소등 상태이고 상기 외주광에 의해 가시로 되는 표시 의장 패턴(115a)을 갖는 무채색 필터(115)를 또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필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의장 패턴은, 상기 눈가림 필터에의 잉크 인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필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채색 필터에서의 상기 표시 의장 패턴은, 투명 또는 반투명의 시트재에 잉크 인쇄 또는 진공 증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필터.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무채색 필터에서의 상기 표시 의장 패턴은, 상기 의장 패턴 필터에서의 어느 하나의 의장 패턴과 동일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필터.
  8.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의장 패턴 필터가 흡수하는 상기 광원광의 상기 특정 파장역은, 각각 독립하여 있고 중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필터.
  9.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의장 패턴 필터가 흡수하는 상기 광원광의 상기 특정 파장역은, 경계역에서 중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필터.
  10.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의장 패턴 필터에 형성된 각 의장 패턴은, 동일 개소에 중복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필터.
  11.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의장 패턴 필터에 형성된 각 의장 패턴은, 서로 독립한 위치에 중복되지 않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필터.
  12. 제 1항에 기재된 표시 필터(110, 110-1, 110-2)와,
    상기 표시 필터에 포함되는 각각의 의장 패턴 필터(111, 112)가 흡수하는 특정 파장역의 광원광을 발하는 광원(12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모듈.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복수개 마련되고, 각 광원은, 각각의 의장 패턴 필터에서 흡수되는 각각의 특정 파장역에 대응한 광원광을 각각 발하고,
    발광시키는 상기 광원을 전환하여, 발광한 광원으로부터의 광원광에 대응하는 의장 패턴 필터에서의 의장 패턴을 표시시키는 전환 스위치(193)를 또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모듈.
KR1020080076237A 2007-10-10 2008-08-05 표시 필터, 및 표시 필터를 갖는 표시 모듈 KR1009892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64375 2007-10-10
JP2007264375A JP2009092993A (ja) 2007-10-10 2007-10-10 表示フィルタ、及び表示フィルタを有する表示モジュ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289A KR20090037289A (ko) 2009-04-15
KR100989240B1 true KR100989240B1 (ko) 2010-10-20

Family

ID=40533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237A KR100989240B1 (ko) 2007-10-10 2008-08-05 표시 필터, 및 표시 필터를 갖는 표시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097145A1 (ko)
JP (1) JP2009092993A (ko)
KR (1) KR1009892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37700A (ja) * 2010-12-28 2012-07-19 Jvc Kenwood Corp 照明装置
JP5688561B2 (ja) * 2011-01-31 2015-03-25 東海光学株式会社 光学表示装置
KR101244053B1 (ko) 2011-06-30 2013-03-18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가변 심볼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71380B1 (ko) * 2011-12-15 2013-06-04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가변 심볼 디스플레이 스위치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271335B1 (ko) * 2011-12-29 2013-06-05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가변 심볼 디스플레이 유니트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5074858A (zh) * 2013-02-22 2015-11-18 阿尔卑斯电气株式会社 显示装置
WO2019225636A1 (ja) * 2018-05-22 2019-11-28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カラー表示装置、車両内外装部材、照明灯用ランプ、表示用看板及び車両
EP3726508A1 (en) 2019-03-21 2020-10-2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formation display device
EP3789990A1 (en) 2019-09-05 2021-03-1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CN110780746B (zh) * 2019-10-09 2021-08-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按键结构、按键的控制方法及电子设备
EP3828872B1 (en) * 2019-11-28 2023-11-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Information display device
JPWO2023191087A1 (ko) * 2022-03-31 2023-10-05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1259A (ko) * 2002-03-06 2004-12-0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06337772A (ja) * 2005-06-02 2006-12-14 Calsonic Kansei Corp 可変表示構造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4739A (en) * 1980-09-03 1982-10-19 Optical Coating Laboratory, Inc. Color absorption-type filter and method of making
JP3160166B2 (ja) * 1994-11-02 2001-04-23 矢崎総業株式会社 多重表示装置
DE19935386A1 (de) * 1999-07-29 2001-02-01 Mannesmann Vdo Ag Anzeige mit einem durchleuchtbaren Anzeigefeld
JP2005257938A (ja) * 2004-03-10 2005-09-22 Calsonic Kansei Corp 可変表示構造
US7581342B2 (en) * 2005-08-24 2009-09-01 Calsonic Kansei Corporation Display device
JP4993985B2 (ja) * 2006-03-30 2012-08-08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可変表示構造
TWI344661B (en) * 2007-09-12 2011-07-01 Wistron Corp Keypad device and related input device for an electronic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1259A (ko) * 2002-03-06 2004-12-02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자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JP2006337772A (ja) * 2005-06-02 2006-12-14 Calsonic Kansei Corp 可変表示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92993A (ja) 2009-04-30
US20090097145A1 (en) 2009-04-16
KR20090037289A (ko) 200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240B1 (ko) 표시 필터, 및 표시 필터를 갖는 표시 모듈
US8552927B2 (en) Electronic device with reflective panel
US8169858B2 (en) Timepiece fitted with a lighting device comprising an ultraviolet light-emitting diode
JP6206870B2 (ja) 光学表示装置
TWI494960B (zh) 發光鍵盤
KR101767873B1 (ko) 이층 구조의 도광 패널을 구비한 핸드폰 스킨
JP2004355368A (ja) 表示装置
TW202211277A (zh) 背光模組及其發光鍵盤
KR20060135772A (ko) 반투과형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컬러표준점의최적화방법
JP2010025388A (ja) 加熱調理器
JP2013003489A (ja) 表示装置
JP5178427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電子機器
JP6085779B2 (ja) 光学構造体
JP2010145477A (ja) 発光表示装置
KR101345664B1 (ko) 휴대 단말기
JP4954054B2 (ja) 表示装置及び操作スイッチ
CN217469977U (zh) 一种防眩目rgb声卡调音台
US20230170378A1 (en) Display device
CN211264865U (zh) 一种可切换光效的半透光灯板
EP3696800A1 (en) Display device
JP2022090750A (ja) 表示装置、表示板
JP2010170973A (ja) ライトガイドおよびそれを用いた押釦スイッチ用部材
JP4793534B2 (ja) 計器装置
JP6446728B2 (ja) 光学表示装置
JPH11202806A (ja) 表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