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770B1 -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의 필드간 장면 전환시의 화면 깨짐현상을 최소화한 ipc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의 필드간 장면 전환시의 화면 깨짐현상을 최소화한 ipc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770B1
KR100987770B1 KR1020030091880A KR20030091880A KR100987770B1 KR 100987770 B1 KR100987770 B1 KR 100987770B1 KR 1020030091880 A KR1020030091880 A KR 1020030091880A KR 20030091880 A KR20030091880 A KR 20030091880A KR 100987770 B1 KR100987770 B1 KR 100987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telecine
ipc
module
scene 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1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0296A (ko
Inventor
송병철
천강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1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770B1/ko
Publication of KR20050060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0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Conversion between an interlaced and a progressiv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의 필드 사이의 장면 전환시에 발생할 수 있는 화면 깨짐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IPC 시스템이 개시된다. IPC 시스템은 상기 비월 주사 영상 신호를 디텔레시네 기법을 이용하여 순사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텔레시네 모듈과, 상기 비월 주사 영상 신호를 상기 디텔레시네 기법 이외의 IPC 기법을 이용하여 순사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IPC 모듈과, 상기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의 상기 필드 사이의 장면 전환을 검출하여 전환된 장면이 텔레시네된 비월 주사 영상인지 그 이외의 비월 주사 영상인지의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장면 전환 검출기와, 상기 장면 전환 검출기로부터 출력된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디텔레시네 모듈 또는 상기 IPC 모듈에서 출력된 순사 영상 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기를 포함하되, 상기 디텔레시네 모듈은 동일한 프레임에 속하는 필드에 대해서는 현재 필드를 기준으로 바로 직전 필드를 참조하여 디텔레시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현재 필드를 기준으로 직후의 한 개의 필드를 임시 저장할 수 있는 버퍼 메모리를 더 구비함으로써 완벽한 화면 깨짐 방지를 실현할 수도 있다.
3:2 풀 다운, 텔레시네, 장면 전환, 화면 깨짐

Description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의 필드간 장면 전환시의 화면 깨짐 현상을 최소화한 IPC 시스템{IPC system for minimizing picture breaks at the time of scene change between fields of interlaced video signals}
도 1은 3:2 풀 다운 기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텔레시네와 디텔레시네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IPC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장면 전환시의 필드 참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의 필드간 장면 전환시의 화면 깨짐 현상을 최소화한 IPC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 개의 필드 정보를 미리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구비하지 않고도 효과적으로 장면 전환시의 화면 깨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IPC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에서 방송 방식으로 채택하고 있는 NTSC(National Television Standards Committee)의 영상 신호는 비월 주사된(interlaced) 영상 신호로서, 컴 퓨터 스크린이 비월 주사되지 않은 표시 소자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대부분의 컴퓨터 스크린에 표시되는 영상과는 다르다.
비월 주사된 영상이란 단순하게는 TV 스크린에 표시되는 각 화소 프레임에 대해 순차로 표시되는 두 개의 영상 필드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중 하나의 필드를 홀수(odd) 필드 또는 바텀(bottom) 필드, 또 다른 하나의 필드를 짝수(even) 필드 또는 탑(top) 필드라고 통상 지칭한다. 비월 주사된 영상 프레임은 초당 30프레임(즉, 60 필드)의 비율로 표시되며, 홀수 필드는 1초의 처음 1/60 번째에 표시되고 짝수 필드는 1초의 두번째 1/60 번째에 표시된다.
한편, 영화 필름은 1초에 24프레임의 화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영화 필름을 일반 가정에서 TV로 시청하기 위해서는 24프레임의 영화 필름을 TV의 방송 방식에 맞도록 60필드의 비월 주사된 영상 신호로 바꿔주어야 하는데, 통상 3:2 풀 다운 방식이라고 하는 변환 기법이 적용되며, 이 과정을 텔레시네라고 칭한다.
도 1은 3:2 풀 다운 방식으로 텔레시네되어 24프레임의 영화 필름 데이터를 60필드의 TV 방송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 때, TV의 방송 방식에 맞춰서 탑 필드와 바텀 필드가 번갈아가며 나타나도록 해야 하며, 영화 필름의 프레임이 순차적으로 2개 및 3개의 비월 주사된 필드들로 변환된다. TV 방송국은 이 비월 주사된 영상 신호를 송출하고 각 가정의 TV는 이를 수신하여 영화를 시청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아날로그 TV와는 달리 디지털 TV 또는 DVD 플레이어는 비월 주사되지 않은(즉, 순사(progressive)) 영상 신호가 필요하기 때문에, 디지털 TV는 비월 주사된 TV 방송 신호를 순사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가져야 한다.
도 2는 영화 필름 데이터를 텔레시네하여 얻은 비월 주사된 방송 신호를 다시 순사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 때, 텔레시네된 방송 신호를 순사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것을 특히 디텔레시네(detelecine)라고 칭하며, 디텔레시네를 포함하여 영화 필름이 아닌 다른 종류의 소스가 비월 주사되고 이것을 순사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을 통칭하여 IPC(Interlaced to Progressive Conversion)라고 한다. 도 2에 따르면 순사 방송 신호는 영화 필름 소스의 각 프레임에 대해 2개, 3개, 2개, 3개,...의 식으로 표시하여 최종적으로 60프레임을 표시하게 된다. 디지털 TV 등에서 IPC를 하는 이유는 비월 주사된 영상 신호의 각 필드는 하나의 화면의 절반의 정보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보다 선명한 화질을 얻기 위한 것으로서, 각 필드 내에서 비어 있는 주사 라인을 자체적으로 보간(interpolation)하는 방법(인트라 IPC) 및 이전 필드와 이후 필드를 이용하여 현재 필드를 보간하는 방법(3D IPC) 등이 있다.
한편, 최근의 방송 추세는 전통적인 비월 주사 비디오 촬영을 포함하여 순사 비디오 촬영 및 영화 촬영 기법 등이 복합적으로 어우러진 영상을 내보내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예컨대 디지털 TV의 경우 각 방송 신호에 맞는 IPC 시스템을 갖춰야 하는데, 영화 기법으로 촬영한 화면의 어딘가에서 갑자기 다른 방식으로 촬영한 화면이 끼어들게 될 경우(이러한 현상을, 이하에서는 '장면 전환'이라고 정의함)에는 그 경계 지점을 신속하게 파악하여 IPC 방식을 변경시켜줄 필요가 있다. 이 때, 장면 전환을 검출한 시점에서 즉시 IPC 방식을 변환할 수는 없기 때문에 최 소한 몇 필드에서는 소위 화면 깨짐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방송 신호의 각 필드를 순차적으로 IPC 처리함에 있어서, 미리 몇 개의 필드 만큼을 지연시켜 이를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하여 두었다가, 장면 전환을 미리 검출하여 여유있게 IPC 방식을 변환함으로써 장면 전환시에 경계 부근의 필드가 깨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디코딩 기법의 변환을 위해 대용량의 프레임 메모리를 따로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자원의 이용면에서 비효율적이고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송 신호의 장면 전환을 검출하기 위해 따로 고비용 대용량의 메모리를 구비하지 않고도 장면 전환시의 화면 깨짐 현상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월 주사 영상의 단지 한 필드에 해당하는 시간만큼만을 딜레이하기 위한 한 필드 버퍼 메모리를 구비함으로써 비월 주사 영상의 필드간의 장면 전환시의 화면 깨짐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의 필드간 장면 전환시의 화면 깨짐 현상을 최소화한 IPC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월 주사 영상 신호를 디텔레시네 기법을 이용하여 순사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텔레시네 모듈과, 상기 비월 주사 영상 신호 를 상기 디텔레시네 기법 이외의 IPC 기법을 이용하여 순사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IPC 모듈과, 상기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의 상기 필드 사이의 장면 전환을 검출하여 전환된 장면이 텔레시네된 비월 주사 영상인지 그 이외의 비월 주사 영상인지의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장면 전환 검출기와, 상기 장면 전환 검출기로부터 출력된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디텔레시네 모듈 또는 상기 IPC 모듈에서 출력된 순사 영상 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기를 포함하되, 상기 디텔레시네 모듈은 동일한 프레임에 속하는 필드에 대해서는 현재 필드를 기준으로 바로 직전 필드를 참조하여 디텔레시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C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IPC 모듈은 상기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의 상기 각 필드의 SAD값을 상기 장면 전환 검출기로 전달하고, 상기 장면 전환 검출기는 이 전달받은 SAD값을 바탕으로 상기 비월 주사 영상 신호가 텔레시네된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인지 아니면 그 이외의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텔레시네된 비월 주사 영상의 소스 영화 데이터는 1초당 24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텔레시네된 비월 주사 영상은 3:2 풀 다운 기법으로 텔레시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텔레시네 모듈은 현재 필드 직후에 장면 전환이 발생할 때, 그 직전 필드가 상기 현재 필드와 동일한 프레임에 속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현재 필드 이후의 장면 전환된 필드를 참조하여 디텔레시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의 한 필드 시간만큼을 지연시키기 위해 현재 필드를 기준으로 그 직후의 한 필드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를 더 포 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이 때 상기 현재 필드 직후에 장면 전환이 검출되고 그 직전 필드는 상기 현재 필드와 동일한 프레임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디텔레시네 모듈은 상기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 직후 필드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필드를 디텔레시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의 필드간 장면 전환시의 화면 깨짐 현상을 최소화한 IPC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IPC 시스템(10)은 디텔레시네 모듈(12), 장면 전환 검출기(14), IPC 모듈(16) 및 멀티플렉서(MUX)(18)로 구성된다. 디텔레시네 모듈(12)은 IPC 시스템(10)으로 입력되는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의 각 필드를 본 발명에 따른 특유한 방식으로 디텔레시네하여 60프레임의 순사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텔레시네 모듈(12)은 디텔레시네시에 도 2에서와 같이 현재 필드가 그 직후 필드를 참조하지 않고 그 직전 필드를 참조하게 함으로서 장면 전환시에 발생할 수 있는 화면 깨짐 현상을 최소화한다. 그러나, 완벽한 화면 깨짐 방지를 위해 후술하는 버퍼 메모리를 더 구비한 경우에는 직후 필드를 참조할 수도 있다.
IPC 모듈(16)은 IPC 시스템(10)으로 입력되는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의 각 필드에 대해 3D IPC 또는 인트라 IPC를 적용하여 IPC 변환한다. 도 3에서는 IPC 모듈(16)이 3D IPC를 수행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현재 필드가 이전 필드와 이후 필드를 모두 참조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그러나, IPC 모듈(16)이 인트라 IPC를 적용한다면 현재 필드에 대해서만 내부적으로 보간하면 되므로 이전 필드와 이후 필 드를 따로 참조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한편, IPC 모듈(16)은 장면 전환 검출기(14)에서 장면 전환이 발생했는지를 판단하는 근거가 되는 값을 지속적으로 계산하여 장면 전환 검출기(14)로 전달해야 하는데, IPC 모듈(16)은 예컨대 매 필드의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 값을 장면 전환 검출기(14)로 전달한다. 여기서 SAD 값은 같은 패리티를 갖는 인접 필드간의 화소값들의 차이의 합을 의미하며, 화소값은 루미넌스(luminance) 및 크로미넌스(chrominance)로 대표될 수 있다. 또한, 장면 전환을 판단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그 한 예로 SAD 값에 기반한 장면 전환 판단 방법을 고려한다.
장면 전환 검출기(14)는 IPC 모듈(16)에서 전달받은 SAD 값들을 서로 비교하여 현재 필드를 기준으로 이전 필드와 이후 필드의 SAD 값이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경우에 장면 전환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이 때, 급격한 변화로 볼 수 있는 SAD 값들의 차이는 임의로 결정할 수 있으며, 통계적 접근으로 임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장면 전환 검출기(14)는 현재 필드와 그 전전 필드의 SAD 값의 차이가 다섯 필드마다 최소값(또는 0)이 검출되는 경우에는 입력되는 비월 주사 영상 신호가 텔레시네된 비월 주사 영상 신호라고 판단하여 이를 멀티플렉서(MUX)(18)에 전달한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24 프레임의 영화 필름을 3:2 풀 다운 방식으로 60필드의 비월 주사 영상으로 텔레시네하는 경우에 현재 필드와 그 전전 필드의 SAD 값이 매 다섯 필드마다 0이 됨을 알 수 있으며 이 사실을 이용하여 입 력되는 비월 주사 영상 신호가 텔레시네 신호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MUX)(18)는 디텔레시네 모듈(12) 및 IPC 모듈(16)에서 변환한 순사 영상 신호를 수신하면서 기본적으로 디텔레시네 모듈(12)에서 출력된 순사 영상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지만, 장면 전환 검출기(14)에서 장면 전환 검출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는 IPC 모듈(16)에서 출력된 순사 영상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며, IPC 모듈(16)에서 출력된 순사 영상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도중에 장면 전환 검출기(14)에서 현재 필드와 그 전전 필드의 SAD 값의 차이가 다섯 필드마다 최소값(또는 0)이 검출된 경우에는 다시 디텔레시네 모듈(12)에서 출력된 순사 영상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일종의 선택기이다.
이하에서는, IPC 시스템(1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IPC 시스템(10)은 기본적으로 영화 필름이 비월 주사 영상 신호로 변환된 경우에 이 비월 주사 영상 신호, 즉 텔레시네된 영상 신호를 디텔레시네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최초에 멀티플렉서(MUX)(18)는 디텔레시네 모듈(12)에서 출력된 순사 영상 신호를 외부로 출력할 것이고, IPC 모듈(16)에서 현재 필드를 기준으로 이전 필드와 이후 필드의 SAD 값들의 차이가 임계치 이상인 경우에 장면 전환 검출기(14)가 장면 전환 검출 신호를 멀티플렉서(MUX)(18)로 전달하면 멀티플렉서(MUX)(18)는 그 순간 이후에는 IPC 모듈(16)에서 출력된 순사 영상 신호를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IPC 모듈(16)에서 출력된 순사 영상 신호를 외부로 출력하는 동안에도 장면 전환 검출기(14)는 지속적으로 SAD 값들을 비교하여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텔레시네된 비월 주사 영상 신호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이를 멀티플렉서(MUX)(18)로 알려서 멀 티플렉서(MUX)(18)가 다시 디텔레시네 모듈(12)에서 출력된 순사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텔레시네된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의 10 군데에서 장면 전환이 발생했을 경우에 IPC 시스템(10)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일반적인 텔레시네의 경우 도 4와 같이 모두 10가지의 장면 전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때에 따라서는 다른 텔레시네 방식이 적용된 영상 소스가 존재할 수도 있다. 이 때에는 장면 전환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각 지점의 표시는 그 이전까지는 텔레시네된 비월 주사 영상 신호였다가 그 이후부터는 방송국 편집자 또는 기타 영상 편집자의 편집 등에 의해 다른 방식의 비월 주사 영상 신호가 끼워지는 경우를 나타낸다.
우선, 지점 ①에서 장면 전환이 발생한 경우, 즉 지점 ① 이전까지는 텔레시네된 비월 주사 영상이다가 갑자가 지점 ① 이후의 필드가 다른 종류의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인 경우에는,
Figure 112003047980342-pat00001
필드는 이전 필드인
Figure 112003047980342-pat00002
와는 프레임 소스가
Figure 112003047980342-pat00003
Figure 112003047980342-pat00004
으로 다르기 때문에,
Figure 112003047980342-pat00005
은 일단 이전 필드인
Figure 112003047980342-pat00006
와 결합하여 하나의 순사 프레임을 만들 수가 없고,
Figure 112003047980342-pat00007
는 다음 필드와 결합하여 하나의 순사 프레임을 만들어야 하는데,
Figure 112003047980342-pat00008
의 다음 필드는 도 4에서처럼
Figure 112003047980342-pat00009
가 아닌 다른 종류의 바텀 필드일 것이기 때문에 이 다른 종류의 바텀 필드와 결합한 프레임은 깨질 수 밖에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몇 필드의 딜레이를 두고 몇 필드를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다가 미리 장면 전환을 검출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지나치게 고비용이어서 문제가 있었다.
지점 ②에서 장면 전환이 발생한 경우에는, 현재 필드인
Figure 112003047980342-pat00010
는 이전 탑 필드인
Figure 112003047980342-pat00011
와 결합하여 하나의 순사 프레임을 생성하면 되므로 장면 전환에 따른 문제 발생을 회피할 수 있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이전 필드가 아니라 이후 필드를 참조할 경우 지점 ①에서 장면 전환이 발생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프레임이 깨질 수 밖에 없지만 이전 필드를 참조함으로써 장면 전환에 따른 화면 깨짐 현상을 회피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지정 ③에서 장면 전환이 발생한 경우에는, 도 2에서와 같은 통상의 디텔레시네 방식대로 이전 바텀 필드인
Figure 112003047980342-pat00012
과 결합하여 하나의 순사 프레임을 생성하면 되므로 장면 전환에 따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지점 ④에서 장면 전환이 발생한 경우에는, 지점 ①에서와 마찬가지로 어쩔 수 없이 깨진 프레임을 생성할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현상은 지점 ⑥ 및 ⑨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
지점 ⑤에서 장면 전환이 발생한 경우에는, 지점 ③에서와 마찬가지로 통상의 디텔레시네 방식대로 진행하면 아무 문제가 없으며, 지점 ⑧ 및 지점 ⑩에서도 마찬가지로 아무 문제가 없다.
마지막으로, 지점 ⑦에서 장면 전환이 발생한 경우에는 지점 ②에서와 마찬가지로 이전 필드를 참조함으로써 프레임이 깨지는 현상을 회피할 수 있다.
지점 ⑩ 이후에 발생하는 장면 전환 패턴은 다시 지점 ①에서부터의 장면 전환 패턴을 반복하며, 따라서 총 10 번 단위의 필드에서 4회의 경우(①,④,⑥,⑨ 지점)만이 프레임 깨짐 현상이 발생하고 나머지 6회의 경우에는 프레임 깨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확률상 60%의 화면 깨짐 방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여러 필드를 지연시켜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할 필요없이단지 한 필드만을 지연시켜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한다면 100%의 화면 깨짐 현상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최소의 메모리 용량으로 최대의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3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IPC 시스템(10)의 입력단에 단지 한 필드의 시간(예컨대, 1/60 초)만을 딜레이하기 위한 한 필드 버퍼 메모리를 구비한다면 100% 화면 깨짐 현상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예컨대, 버퍼 메모리에는 현재 필드를 기준으로 그 직후 필드가 저장되어 있고, 지점 ①에서와 같이 그 직전 필드가 동일한 프레임에 속하지 않아서 디텔레시네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버퍼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직후 필드를 참조하여 현재 필드를 디텔레시네함으로써 이후 필드를 참조하지 못하여 프레임이 깨지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대용량 고비용의 프레임 메모리를 구비하지 않고도 비월 주사 영상의 필드간의 장면 전환시에 발생하는 화면 깨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비월 주사 영상의 단지 한 필드에 해당하는 시간만 큼만을 딜레이하기 위한 한 필드 버퍼 메모리를 구비함으로써 비월 주사 영상의 필드간의 장면 전환시의 화면 깨짐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의 필드간 장면 전환시의 화면 깨짐 현상을 최소화한 IPC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비월 주사 영상 신호를 디텔레시네 기법을 이용하여 순사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디텔레시네 모듈과,
    상기 비월 주사 영상 신호를 상기 디텔레시네 기법 이외의 IPC 기법을 이용하여 순사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IPC 모듈과,
    상기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의 상기 필드 사이의 장면 전환을 검출하여 전환된 장면이 텔레시네된 비월 주사 영상인지 그 이외의 비월 주사 영상인지의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장면 전환 검출기와,
    상기 장면 전환 검출기로부터 출력된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디텔레시네 모듈 또는 상기 IPC 모듈에서 출력된 순사 영상 신호 중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는 선택기를 포함하되,
    상기 디텔레시네 모듈은 동일한 프레임에 속하는 필드에 대해서는 현재 필드를 기준으로 바로 직전 필드를 참조하여 디텔레시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C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PC 모듈은 상기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의 상기 각 필드의 SAD값을 상기 장면 전환 검출기로 전달하고, 상기 장면 전환 검출기는 이 전달받은 SAD값을 바탕으로 상기 비월 주사 영상 신호가 텔레시네된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인지 아니면 그 이외의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인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C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텔레시네된 비월 주사 영상의 소스 영화 데이터는 1초당 24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텔레시네된 비월 주사 영상은 3:2 풀 다운 기법으로 텔레시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C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텔레시네 모듈은 현재 필드 직후에 장면 전환이 발생할 때, 그 직전 필드가 상기 현재 필드와 동일한 프레임에 속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현재 필드 이후의 장면 전환된 필드를 참조하여 디텔레시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C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의 한 필드 시간만큼을 지연시키기 위해 현재 필드를 기준으로 그 직후의 한 필드를 임시 저장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현재 필드 직후에 장면 전환이 검출되고 그 직전 필드는 상기 현재 필드와 동일한 프레임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디텔레시네 모듈은 상기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 직후 필드를 참조하여 상기 현재 필드를 디텔레시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C 시스템.
KR1020030091880A 2003-12-16 2003-12-16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의 필드간 장면 전환시의 화면 깨짐현상을 최소화한 ipc 시스템 KR100987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880A KR100987770B1 (ko) 2003-12-16 2003-12-16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의 필드간 장면 전환시의 화면 깨짐현상을 최소화한 ipc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1880A KR100987770B1 (ko) 2003-12-16 2003-12-16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의 필드간 장면 전환시의 화면 깨짐현상을 최소화한 ipc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296A KR20050060296A (ko) 2005-06-22
KR100987770B1 true KR100987770B1 (ko) 2010-10-13

Family

ID=37253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1880A KR100987770B1 (ko) 2003-12-16 2003-12-16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의 필드간 장면 전환시의 화면 깨짐현상을 최소화한 ipc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7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183A (ko) * 1997-10-20 1999-05-25 이데이 노부유끼 영상 신호 처리 장치
KR20010032606A (ko) * 1997-12-23 2001-04-25 데니스 에이치. 얼백 저잡음 엔코딩 및 디코딩 방법
KR20020003010A (ko) * 2000-06-30 2002-01-10 윤종용 시네마 모드의 격순 변환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40104966A (ko) * 2003-06-03 2004-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필름 모드 검출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7183A (ko) * 1997-10-20 1999-05-25 이데이 노부유끼 영상 신호 처리 장치
KR20010032606A (ko) * 1997-12-23 2001-04-25 데니스 에이치. 얼백 저잡음 엔코딩 및 디코딩 방법
KR20020003010A (ko) * 2000-06-30 2002-01-10 윤종용 시네마 모드의 격순 변환 처리장치 및 방법
KR20040104966A (ko) * 2003-06-03 2004-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필름 모드 검출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0296A (ko) 2005-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0032B2 (en) Block mode adaptive motion compensation
US20050249282A1 (en) Film-mode detection in video sequences
US20050259950A1 (en) Film mode correction in still areas
US5233421A (en) Video memory system with double multiplexing of video and motion samples in a field memory for motion adaptive compensation of processed video signals
US7218354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video display device, and recorded information reproduction device
US7176977B2 (en) Frame rate conversion of interlaced and progressive video streams
WO20010154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interlaced-to-progressive conversion using interframe motion data
EP1501298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identifying a telecine portion and bad-edits in a video sequence
JP4791074B2 (ja) 状態情報訂正方法、動き補償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状態情報訂正器
JP2003179884A (ja) プルダウン信号検出装置、プルダウン信号検出方法、高解像度化画像処理装置、高解像度化画像処理方法、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符号化方法
US8203650B2 (en) Pull-down signal detecting apparatus, pull-down signal detecting method, and video-signal converting apparatus
US7129989B2 (en) Four-field motion adaptive de-interlacing
US6983013B1 (en)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 video signal
US88729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cumulative stillness analysis of video signals
KR100987770B1 (ko) 비월 주사 영상 신호의 필드간 장면 전환시의 화면 깨짐현상을 최소화한 ipc 시스템
JP4074306B2 (ja) 2−2プルダウン信号検出装置及び2−2プルダウン信号検出方法
JP4225930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および映像信号処理方法
US7420616B2 (en) Video encoder with repeat field to repeat frame conversion
JP2002369156A (ja) 映像信号変換装置
JP2000228762A (ja) 走査変換回路
JPH0795441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処理方式
US20040252757A1 (en) Video signal judgment apparatus and method
JP2000175159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2000295581A (ja) 走査変換処理回路
JP2000188718A (ja) 映像信号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