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515B1 - 자동판매기용 랙크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용 랙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515B1
KR100986515B1 KR1020080063397A KR20080063397A KR100986515B1 KR 100986515 B1 KR100986515 B1 KR 100986515B1 KR 1020080063397 A KR1020080063397 A KR 1020080063397A KR 20080063397 A KR20080063397 A KR 20080063397A KR 100986515 B1 KR100986515 B1 KR 100986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control
export
rack
v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477A (ko
Inventor
이종균
Original Assignee
이종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균 filed Critical 이종균
Priority to KR1020080063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515B1/ko
Publication of KR20100003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4Rotary or oscillatory memb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 G07F11/5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about horizontal a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로부터 판매신호를 입력받아 상품을 반출하기 위한 랙크의 반출모터를 단방향으로만 회전시키면서 상품이 반출되도록 하여, 랙크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랙크의 제작비를 절감하고 랙크의 오동작 발생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자동판매기용 랙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판매기용 랙크는, 자동판매기의 판매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반출모터와, 상기 반출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어축과, 상기 제어축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어캠과, 상기 제어캠과의 접촉에 의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캠 마이크로스위치와, 상기 제어축의 하부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편심형의 홀더캠과, 상기 홀더캠의 회전에 의해 상하 회동되어 칼럼의 높이방향에 수직되거나 평형되어 상품을 밑에서 받치거나 통과시키는 페트홀더와, 상기 제어축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반출캠과, 상기 반출캠의 회전에 의해 상하 회동되어 상기 칼럼의 높이방향과 수직되거나 평형하게 위치하여 상품의 반출을 제어하는 반출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판매기용 랙크에 있어서, 상기 자동판매기의 판매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출모터는 단방향으로만 회전하고, 상기 제어캠은 측면에 상기 캠 마이크로스위치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의 신호홈이 형성되며, 상기 반출지지판은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회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063397
자동판매기, 랙크, 반출, 제어캠, 페트홀더, 반출캠, 솔레노이드

Description

자동판매기용 랙크{RACK OF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용 랙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판매기로부터 판매신호를 입력받아 상품을 반출하기 위한 랙크의 반출모터를 단방향으로만 회전시키면서 상품이 반출되도록 하여, 랙크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를 간단히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랙크의 제작비를 절감하고 랙크의 오동작 발생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자동판매기용 랙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판매기는, 캔이나 병 또는 페트(PET)용기로 포장되어 있는 상품을 내부의 상품수납 랙크에 저장하여 두고, 소비자가 상품의 가격에 상당하는 금액을 투입하여 상품에 대응하는 버튼을 누르게 되면 선택된 상품이 저장되어 있는 상품수납 랙크의 하단에 설치된 상품반출부를 작동시켜 선택된 상품을 반출, 소비자에게 공급하는 무인판매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자동판매기는 본체를 이루는 케이스의 내부에 상품을 보온 또는 냉장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히팅장치나 냉동사이클장치가 장착되어 있고, 내부 상측으로 상품이 적재되는 다수개의 랙크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랙크의 하부에는 상품이 떨어지는 취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한 자동판매기의 내부에는 판매하는 상품의 종류에 따라 다수개의 상품수납 랙크가 구비되는데, 상품수납 랙크는 자동판매기의 관리자가 외부에서 공급하는 상품을 상품수납 랙크의 내부로 안내하는 트래이와, 상기 트래이에 의해 안내되어 공급된 상품을 지그재그형으로 수납하는 공간인 상품저장공간을 구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판매기의 랙크는 작동하는 소음이 크게 발생하고, 구조가 복잡하면서 연속하여 2개 이상의 상품이 반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원 출원인은 특허 제0624706호, 특허 제0764676호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판매되는 페트재질의 음료용기를 저장하여 판매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용 랙크를 개시한 바 있다.
상기 제안한 음료자동판매기용 랙크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되고 상하로 길게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상하로 병렬되게 상품을 수용하는 좌측의 A칼럼 및 우측의 B칼럼과, 상기 A칼럼과 B칼럼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한 칼럼이격부와, 상기 A칼럼과 B칼럼의 상부에 자동판매기의 제어신호에 의해 반출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제어부(140)와, 상기 A칼럼과 B칼럼 하부에 상기 모터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상품을 반출하기 위한 상품반출제어부(120)와, 상기 A칼럼과 B칼럼의 전면을 커버하기 위해 각각 장착되는 상품길이조절판(130, 1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랙크는, 상품을 반출하기 위해 각종 캠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반출모터가 상기 모터제어부(140)에 구성되고, 이러한 반출모터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을 반복하여 구동하기 때문에 이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구성 및 프로그램이 복잡하고, 오동작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따라 구동되는 각종 부품이 정교하여야 하기 때문에 제작비가 상승하고, 유지보수 및 부품의 하자에 따라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대인의 욕구가 다양해 지면서 간단한 음료에서 생필품에 이르기까지 자동판매기의 사용범위가 급격하게 확대되는 추세이고, 상품도 정형화된 틀을 벗어나 점차 다양한 디자인을 띠게 되므로 종래의 자동판매기도 다양한 상품을 저장, 반출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상품을 정형화된 포장용기에 포장할 경우에 자동판매기의 랙크만을 교환하여 장착해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자동판매기용 랙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일정한 체적 이하의 다양한 제품을 수납하여 반출할 수 있고, 특히 제품의 반출에 따라 구동되는 반출모터를 단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하여 이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단순하게 하여 제작비를 절감시키고, 이에 따라 유지보수 및 고장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용 랙크를 제공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판매기용 랙크는, 자동판매기의 판매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반출모터와, 상기 반출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어축과, 상기 제어축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어캠과, 상기 제어캠과의 접촉에 의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캠 마이크로스위치와, 상기 제어축의 하부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편심형의 홀더캠과, 상기 홀더캠의 회전에 의해 상하 회동되어 칼럼의 높이방향에 수직되거나 평형되어 상품을 밑에서 받치거나 통과시키는 페트홀더와, 상기 제어축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반출캠과, 상기 반출캠의 회전에 의해 상하 회동되어 상기 칼럼의 높이방향과 수직되거나 평형하게 위치하여 상품의 반출을 제어하는 반출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판매기용 랙크에 있어서, 상기 자동판매기의 판매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출모터는 단방향으로만 회전하고, 상기 제어캠은 측면에 상기 캠 마이크로스위치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의 신호홈이 형성되며, 상기 반출지지판은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회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솔레노이드는, 솔레노이드 플랜저가 전진 또는 후퇴되도록 동작하고, 상기 반출지지판은, 상기 솔레노이드 플랜저에 의해 회동이 제어되도록 지지판 제어돌기(188)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판매되는 상품을 수용하는 자동판매기용 랙크를 단순화하여 제작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어수단이 단순화됨에 따라 유지보수가 편리하고, 제품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소음을 줄이며 상품을 정확히 1개씩 반출되게 하는 자동판매기용 랙크를 제공하며, 또한 종래의 자동판매기 전체를 교체하지 않고서도 다양한 디자인을 갖는 제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판매기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용 랙크를 상세히 설명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용 랙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용 랙크의 조립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용 랙크에서 마이크로스위치와 제어캠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는 제어캠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홀더캠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음료자동판매기용 랙크에서 반출지지판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반출캠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용 랙크에서 솔레노이드와 반출지지판을 보인 정면 및 평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고,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용 랙크에서 솔레노이드와 반출지지판을 보인 정면 및 평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며,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용 랙크에서 솔레노이드와 반출지지판을 보인 정면 및 평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한편,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용 랙크에서 시간대에 따른 각부의 동작그래프이고, 도 12a 내지 도 12i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용 랙크에서 시간대에 따른 제어캠과 홀더캠 및 반출캠의 동작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인용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 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용 랙크는 상기 도 1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되고 상하로 길게 형성된 육면체 형상의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내측에 상하로 병렬되게 상품을 수용하는 좌측의 A칼럼(111) 및 우측의 B칼럼(112)과, 상기 A칼럼(111)과 B칼럼(112) 사이에 일정 공간을 형성한 칼럼이격부(114)와, 상기 A칼럼(111)과 B칼럼(112) 상부에 자동판매기의 제어신호에 의해 반출모터를 구동시키는 모터제어부(140)와, 상기 A칼럼(111)과 B칼럼(112) 하부에 상기 모터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상품을 반출하기 위한 상품반출제어부(120)와, 상기 A칼럼(111)과 B칼럼(112)의 전면을 커버하기 위해 각각 장착되는 상품길이조절판(130, 1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A칼럼(111)과 B칼럼(112)의 상부는, 모터지지판(113)에 의해 상기 모터제어부(140)와 구획되어 구성된다.
상기 모터제어부(140)는, 자동판매기의 제어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반출모터(141)와, 상기 반출모터(141)에 의해 회전하는 제어축(150)과, 상기 제어축(150)의 상부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제어캠(142)과, 상기 제어캠(142)의 측면을 따라 접촉에 의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캠 마이크로스위치(14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반출모터(141)는 상기 제어축(150)을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감속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캠(142)은 상기 도 3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축(150)에 장착되는 원판상으로 측면의 일부분이 내측으로 함입되어 신호홈(148)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캠(142)의 측면으로는 상기 캠 마이크로스위치(143)가 접촉되면서 상기 신호홈(148)에 위치된 경우에 상기 캠 마이크로스위치(143)에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A칼럼(111)과 B칼럼(112)은, 음료용기를 높이방향의 상하로 다수개 적재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A칼럼(111)과 B칼럼(112)의 전면은 상품을 적재하기 위해 개방되고, 상기 개방된 면은 상품길이조절판(130, 131)으로 커버된다.
상기 상품길이조절판(130, 131)을 상품의 길이에 따라 상기 A칼럼(111)과 B칼럼(112)의 수용공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상품길이조절판(130, 131)은 상단 및 하단부에 상기 모터지지판(113)과 상품반출제어부(120)의 상부에 각각 삽입되어 회전되는 회전축(132)을 포함하여 형성되고, 상기 상품길이조절판(130, 131)의 하단부는 조절판 가이드(133)에 안착되어 진다. 이때 상기 조절판 가이드(133)는 상기 상품길이조절판(130, 131)이 하중에 의해 안착되도록 다수개의 조절홈이 형성되어 A칼럼(111)과 B칼럼(112)의 내부 수용공간의 크기가 상이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상품길이조절판(130, 131)을 작은 상품이 수용되도록 조정한 상태에서는 상기 상품이 투출되는 상품반출제어부(120)의 내측에는 상기 작은 상품보다 큰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본체(110)와 충둘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1의 칼럼어댑터(190)는 상기 상품반출제어부(120)의 내측에 장착하여 상기 상품반출제어부(120)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을 축소하여 상품과의 충돌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칼럼어댑터(190)는 상단부를 상기 상품반출제어부(120)의 내측에서 상단부에 걸칠 수 있도록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상품길이조절판(130, 131)이 작게 조정된 경우에 형성되는 공간의 폭만큼 상기 상품반출제어부(120)의 내측을 축소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A칼럼(111) 또는 B칼럼(112)에 적재되는 상품에 따라 상기 칼럼어댑터(190)를 각각 사용하면 된다.
상기 A칼럼(111)과 B칼럼(112) 사이는 칼럼이격부(114)로 구획되고, 상기 칼럼이격부(114)의 내측에는 상기 제어축(150)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상품반출제어부(120)는, 상측으로부터 상기 A칼럼(111)과 B칼럼(112)의 내부에서 폭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칼럼이격부(114)에 인접되는 부분에 축이 삽입되어 상품을 홀딩하는 1쌍의 페트홀더(161, 162)와, 상기 A칼럼(111)과 B칼럼(112)에 상품의 매진을 감지하는 1쌍의 플레이트센서(171, 172)와, 상기 A칼럼(111)과 B칼럼(112)을 통해 상품의 반출을 제어하는 반출지지판(181, 182)이 각각 일정 간격으로 장착되어 동작한다.
상기 페트홀더(161, 162)는, 폭방향으로의 회동을 상기 제어축(150)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부채꼴 형상의 홀더캠(160)에 의해 제어하고, 상기 반출지지판(181, 182)의 폭방향으로의 회동은 상기 제어축(150)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반원형의 반출캠(180)에 의해 제어한다. 이때, 상기 페트홀더(161, 162)는 상품과 접촉 부분을 확장하기 위해 적어도 1회 이상 절곡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쌍의 플레이트센서(171, 172)는 스프링(173)의 탄성에 의해 항상 상기 A칼럼(111)과 B칼럼(112)의 높이방향과 수직되게 위치되며, 수직되게 위치된 플레이트센서(171, 172)의 일측에 돌출된 돌출부는 매진감지센서(170)의 스위치를 각각 접점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플레이트센서(171, 172)가 상기 A칼럼(111)과 B칼럼(112)의 높이방향에 상기 스프링(173)에 의해 수직되게 위치되면 상기 매진감지센서(170)를 스위칭하여 상품이 없음을 감지하게 되고, 상기 A칼럼(111)과 B칼럼(112)에 상품이 충진되어 플레이트센서(171, 172)와 상기 A칼럼(111)과 B칼럼(112)의 높이방향과 평형하게 위치되면, 상기 매진감지센서(170)를 스위칭하지 않게 되어 상품의 유무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레이트센서(171, 172)는 상기 A칼럼(111)과 B칼럼(112)에 각각 장착되므로, A칼럼(111)과 B칼럼(112)의 상품유무를 각각 판단하여 상기 매진감지센서(170)를 통해 자동판매기로 매진신호를 각각 출력하게 된다.
상기 홀더캠(160)은 상기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페트홀더(161, 162)를 회동시켜 상기 A칼럼(111)과 B칼럼(112)의 높이방향과 수직되거나 평형하게 위치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상기 홀더캠(160)의 가장자리는 상기 페트홀더(161, 162)가 안정하게 회동하도록 모따기로 형성된 면접촉 경사부(16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축(150)에 끼워지도록 제어축삽입구(164)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축(150)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어축삽입구(164)와 수직되게 캠 고정구(165)가 형성되어 나사못 등에 의해 상기 제어축(150)에 고정된다.
상기 반출캠(180)은 상기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출지지판(181, 182)을 A칼럼(111)과 B칼럼(112)의 폭방향으로 회동시켜 상기 A칼럼(111)과 B칼럼(112)의 높이방향과 수직되거나 평형하게 위치하도록 제어하여 상 품의 투출을 제어한다. 이때 상기 반출캠(180)은 제어축(150)에 끼워지도록 제어축삽입구(187)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축(150)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어축삽입구(187)와 수직되게 캠 고정구(189)가 형성되어 나사못 등에 의해 상기 제어축(150)에 고정된다.
상기 반출지지판(181, 182)은, 상품이 통과를 제어하기 위한 사각판상의 판재로 중앙측으로 일정 높이의 지지판 제어돌기(188)가 형성된다. 또한, 상단면에는 상품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일정 탄성을 갖는 충격흡수패드가 장착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판 제어돌기(188)는, 상기 반출지지판(181, 182) 사이에 장착되는 솔레노이드(200)의 제어를 받게 된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200)의 동작에 따라 솔레노이드 플랜저(225)가 상기 지지판 제어돌기(188)를 선택적으로 받쳐주어 상기 반출지지판(181, 182)의 회동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도 6a 및 도 6b는 도 8a 및 도 8b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반출지지판(181, 182)을 도시한 것이고, 도 9a 및 도 9b는 반출지지판(183, 184)에 형성된 지지판 제어돌기(188)의 위치가 끝단에 형성된 것이고, 도 10a 및 도 10b는 또 다른 실시 예의 반출지지판(185, 186)으로 상기 일실시 예의 반출지지판(181, 182)의 지지판 제어돌기(188) 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반출지지판의 형상은 상기 솔레노이드(200)의 형상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된다. 즉, 상기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200)가 작동하게 되면 솔레노이드 플랜저(225)가 후퇴하여 B칼럼(112)에 위치한 반출지지 판(182)의 지지판 제어돌기(188)를 받쳐주어 회동을 저지하여 상품의 반출을 제어하게 된다. 또한, 솔레노이드(200)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솔레노이드 플랜저(225)가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전진하여 A칼럼(111)에 위치한 반출지지판(181)의 지지판 제어돌기(188)를 받쳐주어 A칼럼(111)의 제품이 반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자동판매기는 종래의 자동판매기와 저장조건과 판매조건 등이 동일하게 제어되어 동작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련된 페트병 랙크의 동작만을 살펴본다.
도 11a 내지 도 12i를 참조하면 먼저, A칼럼과 B칼럼에 페트병 상품을 적재한다. 이때 페트병 상품의 길이에 따라 상기 상품길이조절판(130, 131)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안착시키고, 상품의 길이에 따라 상기 칼럼어댑터(190)를 장착하게 된다.
그 후 동작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상기 랙크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반출모터(141)가 구동되고, 반출모터(141)에 의해 제어축(150)이 회전되면서 제어캠(142)의 신호홈(148)에 캠 마이크로스위치(143)가 위치하게 되면 초기화가 되고, 도 12a와 같이 신호홈(148)을 벗어나는 위치에서 반출지지판(181, 182)은 A칼럼(111) 및 B칼럼(112)의 상품을 모두 지지하고, 페트홀더(161)는 A칼럼(111)의 상품을 지지한 상태에서 판매준비가 된다.
그 후 자동판매기의 코인메카니즘에 의해 일정 금액 이상의 금전이 투입되면, 도시되지 않은 선택버튼이 점등되게 된다. 그 후 사용자에 의해 선택버튼이 입력되면, 종래의 자동판매기의 제어와 동일하게 판매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이때 상기 판매신호가 랙크제어부에 입력되면, 해당 칼럼의 상품을 판매하게 된다.
A칼럼(111)의 상품을 판매하기 위한 동작을 살펴본다.
상기 솔레노이드(200)가 동작하여 A칼럼(111)에 위치한 반출지지판(181)은 회동이 가능한 상태이고, B칼럼(112)에 위치한 반출지지판(182)은 솔레노이드 플랜저(225)에 지지판 제어돌기(188)가 받쳐있기 때문에 반출캠(180)의 위치에 관계없이 B칼럼(112)의 상품은 반출이 되지 않게 된다.
A칼럼(111)의 상품 판매신호가 입력되면, 도 12b와 같이 반출모터(141)가 구동하여 제어축(150)을 회전시키고, 반출캠(180)이 회전되어 반출지지판(181)을 회동시켜 도 8a의 상품 C의 반출을 저지하면서 상품D를 반출하여 상품을 판매하게 된다. 그 후 제어캠(142)은 1회전하여 도 12a의 판매대기상태로 돌아온다.
이때 솔레노이드(200)의 동작이 해제되어 B칼럼(112)의 반출지지판은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되고, A칼럼(111)에 위치한 반출지지판은 솔레노이드 플랜저(225)가 반출지지판(181)에 형성된 지지판 제어돌기(188)를 받쳐주어 반출캠(180)의 위치에 관계없이 A칼럼(111)의 상품이 반출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도 12a의 판매대기상태에서 B칼럼(112)의 상품판매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솔레노이드(200)가 동작하지 않아 B칼럼(112)에 위치한 반출지지판(182)은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되고, A칼럼(111)에 위치한 반출지지판(181)은 솔레노이드 플랜저(225)에 지지판 제어돌기(188)가 받쳐져 반출캠(180)의 위치에 관계없이 A칼럼(111)의 상품은 반출이 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반출모터(141)가 구동하여 제어 축(150)을 도 12f와 같이 회전시키고, 반출캠(180)이 회전되어 반출지지판(182)을 회동시켜 도 8a의 상품 B의 반출을 저지하면서 상품 A를 반출하여 상품을 판매하게 된다. 그 후 제어캠(142)은 1회전하여 도 12a의 판매대기상태로 돌아온다.
여기서 도 12b 내지 도 12e와 도 12g 내지 도 12i는 상품을 반출하고 상품을 페트홀더(161, 162)에 의해 잡아주는 과정으로, 본원 출원인이 출원한 특허 제0624706호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도 11a 내지 도 12i에 도시된 시간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측정시간을 표시한 것으로 이러한 시간에 따른 동작상태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랙크에서 반출모터(141)는 정역회전을 반복하지 않고, 단방향으로만 회전하여 랙크를 제어하기 때문에 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회로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 및 고장의 발생이 현저하게 절감된다.
한편,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솔레노이드(200)는 솔레노이드 플랜저(225)가 스프링에 의해 탄성되어 일측으로 전진 또는 후퇴되는 구조이고,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솔레노이드(210)는 솔레노이드 플랜저가 일정한 각도로 회전되는 구조이고, 도 10a 및 도 10b의 솔레노이드(220)는 솔레노이드 플랜저가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되는 구조의 솔레노이드이다. 다시 말해, 솔레노이드의 구동 조건에 따라 본 발명의 반출지지판의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따라 A칼럼 또는 B칼럼의 반출지지판 회동을 제어할 수 있다면, 어떠한 솔 레노이드라도 본 발명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용 랙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용 랙크의 조립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용 랙크의 반출제어장치에서 마이크로스위치와 제어캠,
도 4a 및 도 4b는 제어캠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홀더캠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용 랙크에서 반출지지판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7a 및 도 7b는 반출캠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용 랙크에서 솔레노이드와 반출지지판을 보인 정면 및 평면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용 랙크에서 솔레노이드와 반출지지판을 보인 정면 및 평면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용 랙크에서 솔레노이드와 반출지지판을 보인 정면 및 평면의 개략적인 구조도,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용 랙크에서 시간대에 따른 각부의 동작그래프,
도 12a 내지 도 12i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자동판매기용 랙크에서 시간대에 따른 제어캠과 홀더캠 및 반출캠의 동작상태도,
도 13은 종래의 음료자동판매기용 랙크.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페트병 랙크 110: 본체
111: A칼럼 112: B칼럼
113: 모터지지판 114: 칼럼이격부
120: 상품반출제어부 130, 131: 상품길이조절판
132: 회전축 133: 조절판 가이드
140: 모터제어부 143: 캠 마이크로스위치
141: 반출모터 144, 164, 187: 제어축삽입구
145, 165, 189: 캠고정구 148: 신호홈
150: 제어축 160: 홀더캠
161, 162: 페트홀더 163: 면접촉 경사부
170: 매진감지센서 171, 172: 플레이트센서
173: 판스프링 180: 반출캠
181~186: 반출지지판 188: 지지판 제어돌기
190: 칼럼어댑터 200: 솔레노이드
225: 솔레노이드 플랜저

Claims (2)

  1. 자동판매기의 판매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반출모터와, 상기 반출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어축과, 상기 제어축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어캠과, 상기 제어캠과의 접촉에 의해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캠 마이크로스위치와, 상기 제어축의 하부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편심형의 홀더캠과, 상기 홀더캠의 회전에 의해 상하 회동되어 칼럼의 높이방향에 수직되거나 평형되어 상품을 밑에서 받치거나 통과시키는 페트홀더와, 상기 제어축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반출캠과, 상기 반출캠의 회전에 의해 상하 회동되어 상기 칼럼의 높이방향과 수직되거나 평형하게 위치하여 상품의 반출을 제어하는 반출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판매기용 랙크에 있어서,
    상기 자동판매기의 판매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솔레노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반출모터는 단방향으로만 회전하고, 상기 제어캠은 측면에 상기 캠 마이크로스위치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의 신호홈이 형성되며, 상기 반출지지판은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해 회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랙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는, 솔레노이드 플랜저(225)가 전진 또는 후퇴되도록 동작하 고,
    상기 반출지지판은, 상기 솔레노이드 플랜저(225)에 의해 회동이 제어되도록 지지판 제어돌기(18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랙크.
KR1020080063397A 2008-07-01 2008-07-01 자동판매기용 랙크 KR100986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397A KR100986515B1 (ko) 2008-07-01 2008-07-01 자동판매기용 랙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397A KR100986515B1 (ko) 2008-07-01 2008-07-01 자동판매기용 랙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477A KR20100003477A (ko) 2010-01-11
KR100986515B1 true KR100986515B1 (ko) 2010-10-07

Family

ID=41813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397A KR100986515B1 (ko) 2008-07-01 2008-07-01 자동판매기용 랙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5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864U (ko) * 1997-09-13 1999-04-15 최진호 자동판매기용 앗세이랙크의 이젝트메카
KR19990029859U (ko) * 1997-12-29 1999-07-26 최진호 자동판매기의 이젝트 메카 기구
KR19990029857U (ko) * 1997-12-29 1999-07-26 최진호 자동판매기 랙크의 스토퍼 기구
KR100764676B1 (ko) 2006-09-08 2007-10-08 이종균 이종 페트병을 판매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용 랙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2864U (ko) * 1997-09-13 1999-04-15 최진호 자동판매기용 앗세이랙크의 이젝트메카
KR19990029859U (ko) * 1997-12-29 1999-07-26 최진호 자동판매기의 이젝트 메카 기구
KR19990029857U (ko) * 1997-12-29 1999-07-26 최진호 자동판매기 랙크의 스토퍼 기구
KR100764676B1 (ko) 2006-09-08 2007-10-08 이종균 이종 페트병을 판매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용 랙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477A (ko) 2010-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52368C2 (ru) Упрощенный торговый автомат
EP1886283B1 (en) Dispenser tray for a vending machine
US7802700B2 (en) Product discharge and delivery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AU2006272756A1 (en) Dispenser tray for a vending machine
KR102128770B1 (ko) 포장육 자동판매기
JP2012208909A (ja) 自動販売機
MXPA01009796A (es) Maquina vendedora que reduce al minimo la agitacion de los productos.
KR100986515B1 (ko) 자동판매기용 랙크
KR100764676B1 (ko) 이종 페트병을 판매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용 랙크
US6149031A (en) Beverage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JP5668545B2 (ja) 商品収納装置
KR102019161B1 (ko)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
KR100624706B1 (ko) 페트병 자동판매기용 랙크
JPH11154266A (ja) 自動販売機
KR101260763B1 (ko) 자동 판매기
RU69391U1 (ru) Торговый автомат для продажи фруктов
CN104541310A (zh) 商品收纳装置
JP2609778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US20100133969A1 (en)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cylindrical Articles
KR101335482B1 (ko) 자판기용 구동부 어셈블리
JP5458866B2 (ja) 自動販売機
KR20100058000A (ko) 자동판매기의 상품 반출장치
KR0130496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반출장치
JP2008052482A (ja) 自動販売機
US3203589A (en) Vend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