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303B1 -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에서 물과 퇴적물을 빠른 속도로 분리시키는 침전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에서 물과 퇴적물을 빠른 속도로 분리시키는 침전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303B1
KR100986303B1 KR1020100048695A KR20100048695A KR100986303B1 KR 100986303 B1 KR100986303 B1 KR 100986303B1 KR 1020100048695 A KR1020100048695 A KR 1020100048695A KR 20100048695 A KR20100048695 A KR 20100048695A KR 100986303 B1 KR100986303 B1 KR 100986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water
sediment
dredging
dred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장원
조현서
Original Assignee
(주)해양연구개발
(주)에이치엔지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해양연구개발, (주)에이치엔지앤이 filed Critical (주)해양연구개발
Priority to KR1020100048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05Feed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16Liquid distributors with a plurality of feed points
    • B01D21/2422Vertically arranged fe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01D21/283Settling tanks provided with vib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중 준설물의 퇴적물을 진동장치 및 격막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침전시키도록 함으로서 침전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상등수 분리를 빠른 속도로 진행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에서 물과 퇴적물을 빠른 속도로 분리시키는 침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에 세로축으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부 본체를 통해 인입되는 준설물이 다수개의 공간부를 통해서 진입되도록 하는 칸막이와;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일체형 또는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호퍼형 하부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외부 준설물을 인입시켜 칸막이에 의해 형성된 다수개의 공간부로 준설물이 인입되도록 유도하는 준설물 인입라인과; 상기 준설물 인입라인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준설물 중에서 퇴적물을 제외한 상등수만을 출력시키는 상등수 출력라인과; 상기 호퍼형 하부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물과 분리되어 하부로 가라앉은 퇴적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퇴적물 출력라인과; 상기 호퍼형 하부 본체에 설치되며 일정한 주기로 호퍼형 하부 본체에 진동을 가하여 진동발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에서 물과 퇴적물을 빠른 속도로 분리시키는 침전장치 및 방법{A Precipitator for Separation of sediments and Precipitation Method}
본 발명은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에서 물과 퇴적물을 빠른 속도로 분리시키는 침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중 준설물의 퇴적물을 진동장치 및 격막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침전시키도록 함으로서 침전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아울러 상등수 분리를 빠른 속도로 진행 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에서 물과 퇴적물을 빠른 속도로 분리시키는 침전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의 하구역, 폐쇄적인 해역, 양식어장역, 항만권 등의 해저면과 하천 및 호수, 저수지 등의 바닥에는 다양한 종류의 퇴적물 및 오니가 존재한다. 이러한 퇴적물 및 각종 오니는 수질오염을 가속화 시키고 생태환경을 파괴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퇴적물 및 오니를 준설선을 이용하여 준설함으로 제거할 수 있는데 상기 준설선은 준설할 수역의 깊이와 바닥의 토질의 종류, 준설된 물질의 운반거리 등에 따라 각각 적당한 설비와 장비를 탑재하여, 해역, 강, 운하, 항만, 항로의 깊이를 깊게 하기 위한 준설작업을 하며, 물 밑의 슬러지를 포함하는 흙, 모래, 광물 등을 채취하는 작업, 수중구조물 축조의 기초공사, 해저 폐기물을 끌어올려 제거하는 작업에 사용된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는 준설 방법으로는 준설된 퇴적물 및 오니와 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지 못하거나 분리한다 하더라도 분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효과적으로 분리하지 못한 물이 다시 해양이나 하천 및 호소로 흘러 들었을 때 2차적인 오염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전의 골재 및 슬러지를 분리하여 물만을 재순환시키도록하는 준설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준설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퇴적물을 빠른 속도로 제거하여야 하나, 현재까지의 준설 시스템은 다순히 물을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퇴적물을 분리시켜 재순화시키는 장치들이기 때문에 퇴적물이 중력작용에 의해서만 외부로 배출되어 퇴적물 처리에 시간이 필요로 하고 따라서 빠른 준설 작업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준설 시스템에 적용되는 침전장치를 여러개의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 격벽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공간부내에서 침전이 이루어지도록하고, 아울러 진동장치를 부가하여 침전장치가 진동되도록함으로서 부유물이 빠른 속도로 상등수와 분리되도록하여 작업속도를 극대화시키도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간부가 확보되어 물이 포함된 준설물을 임시 저장하는 상부 본체(10)와; 상기 상부 본체에 세로축으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부 본체를 통해 인입되는 준설물이 다수개의 공간부를 통해서 진입되도록 하는 칸막이(30)와; 상기 칸막이의 일측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있으며, 칸막이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부의 너비를 조절하기 위한 보조 칸막이(40)와; 상기 보조 칸막이와 유압 모터 및 피스톤을 통해 연결되며, 유압 모터를 구동하여 피스톤을 전진 또는 후진 시킴으로서 보조 칸막이를 유동시켜 준설무이 통과하는 공간부의 너비를 줄이거나 늘리도록하여 칸막이 및 보조 칸막이를 통해 통과되는 준설물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보조 칸막이 유동장치(50)와;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일체형 또는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입구는 직경이 크고 출구는 직경이 작도록하여 준설물 중에서 퇴적물이 자연스럽게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호퍼형 하부본체(60)와; 상기 상부 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외부 준설물을 인입시켜 칸막이에 의해 형성된 다수개의 공간부로 준설물이 인입되도록 유도하는 준설물 인입라인(70)과; 상기 준설물 인입라인(70)에 다수개 설치되며 준설물 인입라인(70)을 통해 입력되는 준설물의 혼탁도를 측정하기 위한 혼탁도 측정수단(20)과; 상기 준설물 인입라인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준설물 중에서 퇴적물을 제외한 상등수만을 출력시키는 상등수 출력라인(80)과; 상기 호퍼형 하부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물과 분리되어 하부로 가라앉은 퇴적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퇴적물 출력라인(90)과; 상기 호퍼형 하부 본체에 설치되며 일정한 주기로 호퍼형 하부 본체에 진동을 가하여 퇴적물이 빠른 속도로 물과 분리되도록하고, 아울러 분리된 퇴적물이 출력라인을 통해 빠른 속도로 외부로 빠져 나가도록 하는 진동발생장치(100) 및; 상기 혼탁도 측정장치로 부터 혼탁도 정보를 수신받고 이를 근거로 보조 칸막이 유동장치를 구동하여 보조 칸막이를 전진 시키거나 후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부 본체의 준설물 입력 라인을 통해서 연속적으로 다량의 물과 퇴적물이 함유된 준설물이 침전장치의 상부 본체로 인입시키는 단계(S10)와; 준설물 인입라인에 설치된 혼탁도 측정수단으로 준설물의 혼탁도를 측정하는 단계(S20)와; 혼탁도 측정결과 기준이상이면 보조 칸막이를 유동시켜 칸막이 보다 더 튀어나오도록 하여 통과하는 속도를 줄인 상태로 상등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S30)와; 혼탁도 측정결과 기준이하이면 보조 칸막이를 구동하여 칸막이와 겹치도록 하여 통과하는 속도를 높인 상태로 상등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S40)와; 퇴적물이 호퍼형 하부본체에 이르게 되면, 이후 호퍼형 하부본체에 형성된 준설물 출력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S50)와; 호퍼형 하부본체 설치된 진동장치를 가동하여 호퍼형 하부본체의 진동에 따라서 퇴적물이 빠른 속도로 물과 분리되도록하고, 아울러 분리된 퇴적물이 출력라인을 통해 빠른 속도로 외부로 빠져 나가도록 하는 단계(S60)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준설 시스템에 적용되는 침전장치를 격벽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공간부내에서 침전이 이루어지도록하고, 아울러 진동장치를 부가하여 침전장치가 진동되도록함으로서 부유물이 빠른 속도로 상등수와 분리되도록하여 작업속도를 극대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중 준설물의 침전장치 구성 단면도.
도 2는 혼탁도가 낮은 경우 본 발명의 동작상태도.
도 3은 혼탁도가 높은 경우 본 발명의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중 준설물의 침전방법 플로우챠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중 준설물의 침전장치 구성 단면도.
도 2는 혼탁도가 낮은 경우 본 발명의 동작상태도.
도 3은 혼탁도가 높은 경우 본 발명의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수중 준설물의 침전방법 플로우챠트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 상부본체(10)와, 혼탁도 측정수단(20)과, 칸막이(30)와, 보조 칸막이(40)와, 보조 칸막이 유동장치(50)와, 유압모터(51)와, 피스톤(52)과, 호퍼형 하부본체(60)와, 준설물 인입라인(70)과, 상등수 출력라인(80)과, 퇴적물 출력라인(90)과, 진동발생장치(100), 제어부(1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본체(10)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간부가 확보되어 물이 포함된 준설물을 임시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부 본체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사각통형으로 제작한다. 이는 칸막이를 용이하게 장착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혼탁도 측정수단(20)은 준설물 인입라인(70)에 다수개 설치되며 준설물 인입라인(70)을 통해 입력되는 준설물의 혼탁도를 측정한다. 혼탁도 측정수단(20)으로는 초음파 센서를 채택하며, 상기 초음파 센서는 준설물 인입라인(70)을 통해 흐르는 준설물에 초음파를 출력하여 수신되는 초음파를 분석하여 짧은 거리에서 초음파가 수신되면 이물질이 많은 것으로 판단하고 초음파의 수신 거리가 길어지면 이물질이 적은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혼탁도 측정수단의 결과에 따라서 후술하는 칸막이(30) 및 보조 칸막이(40)에 따른 공간부의 너비를 결정하여 혼탁도가 높으면 공간부의 너비를 줄여서 준설물의 이동경로를 길게하여 준설물의 침전시간을 늘리도록하고, 혼탁도가 낮으면 공간부의 너비를 늘려서 준설물의 이동경로를 짧게 하여 준설물의 침전시간는 짧게 하고 상등수의 출력이 보다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칸막이(30)는 상부 본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부 본체를 통해 인입되는 준설물이 칸막이(300에 의해서 형성되는 다수개의 공간부로 나누어지며 진입되도록 한다. 아울러, 칸막이(30)를 설치하되 지그재그로 설치하여 공간부 사이를 준설물이 통과하도록 하며, 칸막이(30)를 통과하는 도중에 준설물중에서 퇴적물이 중력작용으로 아래로 하강하도록 한다.
상기 보조 칸막이(40)는 칸막이(30)의 일측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있으며, 칸막이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부의 너비를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즉, 칸막이(30)의 일측에 지지대를 설치하고, 보조 칸막이(40)는 지지대에 얹혀져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지지대 상부만을 이동하면서 칸막이와 겹쳐지거나 튀어나오도록하여 공간부의 너비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보조 칸막이 유동장치(50)는 유압 모터(51) 및 피스톤(52)으로 이루어져 피스톤(52)의 타측을 보조 칸막이(40)와 연결하며, 유압 모터(51)를 구동하여 피스톤을 전진 또는 후진시키는 동작에 의해서 보조 칸막이(40)를 유동시켜 공간부의 너비를 줄이거나 늘리도록하여 칸막이(30) 및 보조 칸막이(40)를 통해 유동하는 준설물의 유동량을 조절토록 한다. 즉, 준설물중에서 퇴적물이 많으면 공간부를 줄이도록하여 충분히 침전이 이루어지도록하고, 준설물중에서 퇴적물이 많지 않으면 공간부를 늘려서 신속하게 상등수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호퍼형 하부본체(60)는 상부본체(10)의 하부에 일체형 또는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입구는 직경이 크고 출구는 직경이 작도록하여 준설물 중에서 퇴적물이 자연스럽게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호퍼형 하부본체(60)는 준설물중에서 물을 제외한 퇴적물을 모으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되도록이면 퇴적물만을 모으기 위해서 호퍼형으로 제작한다.
상기 준설물 인입라인(70)은 상부 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외부 준설물을 인입시켜 칸막이에 의해 형성된 다수개의 공간부로 준설물이 인입되도록 유도한다. 즉, 침전장치를 구성하는 상부본체(10)의 일측을 통해 연속적으로 준설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하며, 상부쪽에 라인을 배열하여 칸막이(30)를 통과하면서 퇴적물이 아래방향으로 모여들도록 한다.
상기 상등수 출력라인(80)은 준설물 인입라인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준설물 중에서 퇴적물을 제외한 상등수만을 출력한다. 즉, 상등수 출력라인(80)은 퇴적물을 제외한 상등수만을 출력하기 위해 상부쪽에 배치하며 칸막이(30)를 통과한 상등수만이 상등수 출력라인(80)을 통해 별도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퇴적물 출력라인(90)은 호퍼형 하부본체(6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물과 분리된 퇴적물이 중력작용에 따라 하부로 가라앉도록 하고 이후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퇴적물 출력라인(90)은 퇴적물만 배출하도록 호퍼형 하부본체(60) 하부에 형성하며, 중력작용에 따라 자연스럽게 모여든 퇴적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 진동발생장치(100)는 호퍼형 하부 본체(60)에 설치되며 일정한 주기로 호퍼형 하부 본체(60)에 진동을 가하여 퇴적물이 빠른 속도로 물과 분리되도록하고, 아울러 분리된 퇴적물이 출력라인(90)을 통해 빠른 속도로 외부로 빠져 나가도록 한다. 즉, 진동발생장치(100)는 상부 본체(10)로 준설물이 인입하는 시점에 작동하여 호퍼형 하부본체(60)를 진동시킴으로서 상부 본체(10)까지 진동을 전달하여 퇴적물이 진동하면서 빠른 속도로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혼탁도 측정장치로 부터 혼탁도 정보를 수신받고 이를 근거로 보조 칸막이 유동장치를 구동하여 보조 칸막이를 전진 시키거나 후진시키도록 제어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 본체(10)를 통해 준설물이 입력되는바, 상부 본체(10)의 준설물 인입 라인(70)을 통해서 연속적으로 다량의 물과 퇴적물이 함유된 준설물이 침전장치의 상부 본체(10)로 인입된다.
그리고, 상부 본체로 인입된 준설물은 칸막이에 부디치면서 공간부롤 통과하여 빠져나가는바, 상기 칸막이(30)는 지그재그 형태로 상부 본체 내부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준설물이 지그재그 형태의 칸막이(30)를 빠져 나가면서 준설물에 포함된 퇴적물은 아래로 내려가고 윗부분에 남은 상등수만이 상등수 출력라인(80)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가게 된다.
그리고, 칸막이(30) 하부로 이동되는 퇴적물은 호퍼형 하부본체(60)에 이르게 되며, 이후 호퍼형 하부본체(60)에 형성된 퇴적물 출력라인(9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준설물 인입라인(70)에 설치된 혼탁도 측정수단(20)에 의해서 준설물의 혼탁도를 측정한다.
상기 혼탁도 측정결과 기준이상이면 제어부(110)는 유압 모터(51)를 구동하여 피스톤(52)이 보조 칸막이(40)를 유동시켜 칸막이(30) 보다 더 튀어나오도록 하여 물이 통과되는 공간부의 너비를 작게함으로서 준설물이 흐르는 속도를 줄이고, 혼탁도 측정결과 기준이하이면 유압 모터(51)를 구동하여 보조 칸막이(40)를 후퇴시켜 칸막이(30)와 겹치게 하여 물이 통과되는 공간부의 너비를 크게 함으로서 준설물이 흐르는 속도를 높인다.
즉, 혼탁도가 높으면 이물질이 많은 경우 이므로 칸막이(30)를 통과하는 속도를 늦추어서 상등수가 상부 본체(10)를 통과하는 속도를 느리게 하여 상등수를 추출하고, 혼탁도가 낮으면 이물질이 적은 경우이므로 칸막이(30)를 통과하는 속도를 높여서 상등수가 상부 본체(10)를 빠르게 통과하도록 한다.
결국, 상등수만이 상등수 출력라인(80)을 통해 외부로 빠져 나간다.
이때, 호퍼형 하부본체(60)에는 진동발생장치(10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준설물이 침전장치에 입력됨과 동시에 진동발생장치(100)가 작동되어 호퍼형 하부본체(60)에 진동을 가하며, 호퍼형 하부본체(60)의 진동에 따라서 퇴적물이 빠른 속도로 물과 분리되도록하고, 아울러 분리된 퇴적물이 출력라인(90)을 통해 빠른 속도로 외부로 빠져 나간다.
10: 상부본체
20: 혼탁도 측정수단
30: 칸막이
40: 보조 칸막이
50: 보조 칸막이 유동장치
51: 유압 모터
52: 피스톤
60: 호퍼형 하부본체
70: 준설물 인입라인
80: 상등수 출력라인
90: 퇴적물 출력라인
100: 진동발생장치
110: 제어부

Claims (2)

  1. 원통형 또는 다각형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공간부가 확보되어 물이 포함된 준설물을 임시 저장하는 상부 본체(10)와;
    상기 상부 본체에 세로축으로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부 본체를 통해 인입되는 준설물이 다수개의 공간부를 통해서 진입되도록 하는 칸막이(30)와;
    상기 칸막이의 일측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있으며, 칸막이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부의 너비를 조절하기 위한 보조 칸막이(40)와;
    상기 보조 칸막이와 유압 모터 및 피스톤을 통해 연결되며, 유압 모터를 구동하여 피스톤을 전진 또는 후진 시킴으로서 보조 칸막이를 유동시켜 준설무이 통과하는 공간부의 너비를 줄이거나 늘리도록하여 칸막이 및 보조 칸막이를 통해 통과되는 준설물의 유동량을 조절하는 보조 칸막이 유동장치(50)와;
    상기 상부본체의 하부에 일체형 또는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며 입구는 직경이 크고 출구는 직경이 작도록하여 준설물 중에서 퇴적물이 자연스럽게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호퍼형 하부본체(60)와;
    상기 상부 본체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외부 준설물을 인입시켜 칸막이에 의해 형성된 다수개의 공간부로 준설물이 인입되도록 유도하는 준설물 인입라인(70)과;
    상기 준설물 인입라인(70)에 다수개 설치되며 준설물 인입라인(70)을 통해 입력되는 준설물의 혼탁도를 측정하기 위한 혼탁도 측정수단(20)과;
    상기 준설물 인입라인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준설물 중에서 퇴적물을 제외한 상등수만을 출력시키는 상등수 출력라인(80)과;
    상기 호퍼형 하부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물과 분리되어 하부로 가라앉은 퇴적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퇴적물 출력라인(90)과;
    상기 호퍼형 하부 본체에 설치되며 일정한 주기로 호퍼형 하부 본체에 진동을 가하여 퇴적물이 빠른 속도로 물과 분리되도록하고, 아울러 분리된 퇴적물이 출력라인을 통해 빠른 속도로 외부로 빠져 나가도록 하는 진동발생장치(100) 및;
    상기 혼탁도 측정장치로 부터 혼탁도 정보를 수신받고 이를 근거로 보조 칸막이 유동장치를 구동하여 보조 칸막이를 전진 시키거나 후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에서 물과 퇴적물을 빠른 속도로 분리시키는 침전장치.
  2. 상부 본체의 준설물 입력 라인을 통해서 연속적으로 다량의 물과 퇴적물이 함유된 준설물이 침전장치의 상부 본체로 인입시키는 단계(S10)와;
    준설물 인입라인에 설치된 혼탁도 측정수단으로 준설물의 혼탁도를 측정하는 단계(S20)와;
    혼탁도 측정결과 기준이상이면 보조 칸막이를 유동시켜 칸막이 보다 더 튀어나오도록 하여 통과하는 속도를 줄인 상태로 상등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S30)와;
    혼탁도 측정결과 기준이하이면 보조 칸막이를 구동하여 칸막이와 겹치도록 하여 통과하는 속도를 높인 상태로 상등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S40)와;
    퇴적물이 호퍼형 하부본체에 이르게 되면, 이후 호퍼형 하부본체에 형성된 준설물 출력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S50)와;
    호퍼형 하부본체 설치된 진동장치를 가동하여 호퍼형 하부본체의 진동에 따라서 퇴적물이 빠른 속도로 물과 분리되도록하고, 아울러 분리된 퇴적물이 출력라인을 통해 빠른 속도로 외부로 빠져 나가도록 하는 단계(S6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에서 물과 퇴적물을 빠른 속도로 분리시키는 침전방법.
KR1020100048695A 2010-05-25 2010-05-25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에서 물과 퇴적물을 빠른 속도로 분리시키는 침전장치 및 방법 KR100986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695A KR100986303B1 (ko) 2010-05-25 2010-05-25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에서 물과 퇴적물을 빠른 속도로 분리시키는 침전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695A KR100986303B1 (ko) 2010-05-25 2010-05-25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에서 물과 퇴적물을 빠른 속도로 분리시키는 침전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6303B1 true KR100986303B1 (ko) 2010-10-07

Family

ID=43135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695A KR100986303B1 (ko) 2010-05-25 2010-05-25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에서 물과 퇴적물을 빠른 속도로 분리시키는 침전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30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77024A (zh) * 2017-05-12 2017-07-25 长沙理工大学 一种适用于南海疏浚工程的悬浮物净化装置
CN107569878A (zh) * 2017-10-27 2018-01-12 惠州市俊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沉淀池用快速沉淀器
CN108751470A (zh) * 2018-06-25 2018-11-06 东阳市善水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利用震动波加速沉淀杂质并自动收集的污水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08U (ko) 1979-06-15 1981-01-06
JPH02147203U (ko) * 1989-05-17 1990-12-13
KR100639266B1 (ko) 2005-09-02 2006-10-31 (주)태성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835400B1 (ko) 2007-01-12 2008-06-09 한상관 칸막이를 이용하여 오염된 물을 자연적으로 정화하거나바닷물을 정제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08U (ko) 1979-06-15 1981-01-06
JPH02147203U (ko) * 1989-05-17 1990-12-13
KR100639266B1 (ko) 2005-09-02 2006-10-31 (주)태성 2회 연속침전 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835400B1 (ko) 2007-01-12 2008-06-09 한상관 칸막이를 이용하여 오염된 물을 자연적으로 정화하거나바닷물을 정제하는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77024A (zh) * 2017-05-12 2017-07-25 长沙理工大学 一种适用于南海疏浚工程的悬浮物净化装置
CN107569878A (zh) * 2017-10-27 2018-01-12 惠州市俊康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沉淀池用快速沉淀器
CN108751470A (zh) * 2018-06-25 2018-11-06 东阳市善水环境工程有限公司 一种利用震动波加速沉淀杂质并自动收集的污水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0602B1 (ko) 친환경 준설선
CN104785007A (zh) 用于浆料脱水的装置和方法
KR100986303B1 (ko)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에서 물과 퇴적물을 빠른 속도로 분리시키는 침전장치 및 방법
CA2987645A1 (en) Multi-chambered oil-water separator
CN103474722A (zh) 一种水循环利用的铅膏筛选沉降系统
JP2007021460A (ja) 分離流路モジュール及び懸濁液分離ユニット並びに懸濁液分離船
JP5863166B2 (ja) 沈殿物移動装置
CN203491363U (zh) 一种水循环利用的铅膏筛选沉降系统
KR101030581B1 (ko) 준설토 처리시스템
CN103691320A (zh) 高频振动金属膜煤泥水过滤装置
KR101444401B1 (ko) 준설사업 중 배출되는 배출수 여과장치
JP2020062612A (ja) 上向流傾斜板沈砂槽
JP2005169380A (ja) 懸濁液分離方法及び懸濁液分離装置並びに沈降水路モジュール、懸濁液分離装置ユニット
JP4741347B2 (ja) 水域の浄化設備
CN212031119U (zh) 河岸冲刷实验系统
CN105060535A (zh) 一种煤矿矿井水井下净化处理设备
KR101781480B1 (ko) 신형망(新形網)
JP2006198571A (ja) 沈澱装置
CN211133259U (zh) 工程泥浆原位处理装置
CN203663709U (zh) 高频振动金属膜煤泥水过滤装置
KR20110048134A (ko) 정재음파를 이용한 유수 분리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을 이용한 해양 유출 기름 수거방법
CN110926926A (zh) 河岸冲刷实验系统、振动防堵塞方法及冲刷实验方法
JP2007021304A (ja) 汚水浄化装置
JP2003227149A (ja) 洪水時河川水の河道外貯留施設
JP2007021303A (ja) 汚水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