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097B1 - 자동차용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097B1
KR100985097B1 KR1020090049980A KR20090049980A KR100985097B1 KR 100985097 B1 KR100985097 B1 KR 100985097B1 KR 1020090049980 A KR1020090049980 A KR 1020090049980A KR 20090049980 A KR20090049980 A KR 20090049980A KR 100985097 B1 KR100985097 B1 KR 100985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ventilation means
vehicle
automobile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미
Original Assignee
이정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미 filed Critical 이정미
Priority to KR1020090049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0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60H1/265Openings in window or door posts or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60H1/267Openings in or near to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02Wind def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preventing soiling, e.g. for sid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85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int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21Devices in the floor or side wall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실내온도를 감지하고, 자동차 실내의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각 감지센서의 감지 결과를 입력받아 작동신호를 산출하는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고 차체 측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환기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환기수단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차광막이 하향경사지게 설치되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차광막 내측으로 방충망이 구비되며, 상기 방충망 내측으로 환풍기가 구비되고, 상기 환기수단의 내측면에 보호망이 마련되어 여름철 자동차 실내의 온도가 높아져 어린이나 유아가 사망하거나 가스용품 또는 라이터가 폭발하는 사고를 방지할 뿐 아니라 자동차 외측에서 내부로 빗물, 벌레 등이 유입되지 않고, 자동차 내측에서 어린이나 유아가 환풍기에 손을 집어넣는 등의 사고를 방지하는 자동차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환기장치, 환풍기, 감지센서

Description

자동차용 환기장치{A ventilation device for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실내온도를 감지하고, 자동차 실내의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각 감지센서의 감지 결과를 입력받아 작동신호를 산출하는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고 차체 측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환기수단으로 이루어져 여름철 자동차 실내의 온도가 높아져 어린이가 사망하거나 가스용품 또는 라이터가 폭발하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름철에는 차량의 엔진 냉각 효율이 저하되어 운전자가 탑승시 쾌적한 운전을 하지 못하여 안전운전을 방해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차에 환풍기를 장착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으며, 이중 자동차의 환풍장치(공개특허 1998-059299)는 자동차의 뒷유리창 저부에 환풍구를 천공하고, 상기 뒷 유리창의 환풍구에는 덮개가 전면에 구비된 환풍기의 모터부를 끼워 접착제로 부착설치하고, 수개의 날개가 가로방향으로 소정간격을 두고 축지된 상기 덮개의 가동편의 하단부는 차체에 천공시킨 통공을 통해 트렁크 내로 돌출시키며, 상기 가동편의 하단부는 차체에 천공시킨 통공을 통해 트 렁크 내로 돌출시키며, 상기 가동편의 저단부에는 자성체를 설치하고, 상기 자성체의 저부에는 운전석 주변에 설치된 환풍스위치의 조작이 있을시 상기 환풍기의 모터와 같이 밧데리의 전압을 공급받아 구동되어 상기 가동편에 고정된 자성체를 끌어당기는 전자석을 설치하여 주므로써, 실내의 탁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어 상쾌한 실내환경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 자동차의 환풍장치는 환풍스위치의 조작이 있어야만 덮개가 열리고 환풍기가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유아가 환풍기를 구동시키기 어렵고, 자동차 내측에서 어린이나 유아가 손을 집어넣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여름철 양지에 자동차가 주차될 경우 태양의 복사열로 인하여 외부와 단절되어 있는 자동차의 실내는 매우 고온의 상태가 되며, 이러한 경우 자동차의 실내에 남겨진 어린이나 유아는 호흡 곤란을 일으켜 질식사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나, 상기 특허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름철에 차내에 유아가 있을 경우 자동으로 감지하여 환풍스위치의 조작 없이 자동차 실내공기를 자동으로 환기시킴으로써 유아의 생명을 지킬 수 있는 자동차용 환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차 외측에서 내부로 빗물, 벌레 등이 유입되지 않고, 자동차 내측에서 어린이나 유아가 환풍기에 손을 집어넣는 등의 사고를 방지하는 자동차용 환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차용 리모컨에 구비되는 on/off 및 타이머에 의해 용이하게 작동되는 자동차용 환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를 자동으로 환기시키는 자동차용 환기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0)와; 자동차 실내의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20)와; 상기 온도감지센서(10) 및 인체감지센서(20)의 감지 결과를 입력받아 작동신호를 산출하는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되 자동차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자동차 측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배출시키는 환기수단(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환기수단(100)은, 외측면에 다수개의 차광막(110)이 하향경사지게 설치되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차광막(110) 내측으로 방충망(120)이 구비되며, 상기 방충망(120) 내측으로 환풍기(130)가 장착되고, 상기 환풍기(130) 내측으로 보호망(140)이 마련되며, 상기 방충망(120)과 환풍기(130) 사이 하단에 통공(10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 실내온도를 감지하고, 자동차 실내의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각 감지센서의 감지 결과를 입력받아 작동신호를 산출하는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고 차체에 설치되는 환기수단으로 이루어져 여름철에 차내에 남겨진 유아의 생명을 연장시켜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환기수단의 외측면에 다수개의 차광막이 하향경사지게 설치되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차광막 내측으로 방충망이 구비되며, 상기 방충망 내측으로 환풍기가 구비되고, 상기 환기수단의 내측면에 보호망이 마련 되어 자동차 외측에서 내부로 빗물, 벌레 등이 유입되지 않고, 자동차 내측에서 어린이나 유아가 환풍기에 손을 집어넣는 등의 사고를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모컨에 구비되는 on/off 및 타이머에 의해 환기수단의 작동이 조절되어 자동차의 입실 전 간편하게 자동차의 내부환경을 쾌적하게 할 뿐 아니라 에어컨의 작동으로 인한 연료의 소비를 절약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환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환기장치의 환기수단(100)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환기장치의 실시도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환기장치는, 자동차의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0)와, 자동차 실내의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20)와, 상기 온도감지센서(10) 및 인체감지센서(20)의 감지 결과를 입력받아 작동신호를 산출하는 컨트롤러(미도시)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되 자동차 밧데리와 배선(30)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며 자동차 측면에 장착되어 실내 공기를 자동으로 배출시키는 환기수단(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환기수단(100)은, 외측면에 다수개의 차광막(110)이 하향경사지게 설치되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차광막(110) 내측으로 방충망(120)이 구비되며, 상기 방충망(120) 내측으로 환풍기(130)가 장착되고, 상기 환풍기(130) 내측으로 보호망(140)이 마련된다.
상기 환기수단(100)은, 자동차의 외면에서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차광막(110)이 설치되되, 상기 차광막(110)이 회전되게 구비되어 미사용시 서로 겹쳐져 닫힌 상태로 마련되어 빗물, 벌레 등의 유입을 막을 수 있도록 구비되며, 자동차의 내면에선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이나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방충망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진 보호망(140)이 구비되어 어린이가 손을 집어넣지 못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환기수단(100)은, 자동차 내측에 위치되어 자동차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0) 및 자동차 실내의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20)의 조합된 감지신호를 입력받은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며, 자동차 실내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고 자동차 실내에 사람이 있는 것을 확인하게 되면 결과를 입력받은 컨트롤러의 신호에 의해 자동차의 밧데리에서 전압을 받아 모터(미도시)가 작동되고, 상기 차광막(110)이 회전되어 열린 상태로 마련되며, 상기 환풍기(130)가 회전되어 자동차 실내공기가 자동으로 환기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환기수단(100)은 자동차의 밧데리 수명이 다할 때까지 작동되도록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여름철에 일을 보는 시간은 통상적으로 1시간을 넘지 않으므로 자동차 내에 장착된 밧데리만으로도 귀중한 생명을 지켜줄 수 있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기수단(100)은 외측면 전면에 다수개의 차광막(110)이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차광막(110) 내측으로 방충망(120)이 구비되며, 상기 방충망(120) 내측으로 환풍기(130)가 설치되고, 상기 환풍기(130) 내측으로 보호망(140)이 설치됨으로써, 환기수단(100) 내측으로 빗물, 벌레 등이 유입되지 못하게 마련될 뿐 아니라 자동차 내측에서 어린이나 유아가 환풍기에 손을 집어넣는 등의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방충망(120)은 그 재질이 동이나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고, 통공의 형태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상기 환풍기(130)는 날개의 개수가 짝수로 이루어져 공기가 내·외부로 순환되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환기수단(100)은, 차체(1)에 구비되되 환기수단(100)과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유리창(2) 외측과 내측에서 외측환기수단(100a) 및 내측환기수단(100b)으로 마련되어 상기 외측환기수단(100a)과 내측환기수단(100b)의 암수결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방충망(120)과 환풍기(130) 사이 하단, 즉 환기수단(100)의 하부면에는, 상기 유리창(2)이 관통되는 통공(101)이 형성되어 유리창(2)이 상·하로 슬라이드되며 이동가능하게 마련되게 된다. 상기 유리창(2)은 자동차에 구비된 일반적인 유리창과 같이 버튼을 눌렀을 때 내려가는 통상적인 방법을 채택하여 환기수단(100)의 작동과 동시에 자동으로 내려가 열리도록 마련된다.
또한, 상기 환기수단(100)은 자동차의 두께와 대응되는 두께로 이루어져 자동차의 외측면에서 외측환기수단(100a)이 돌출되지 않고, 자동차의 내측면에서 내 측환기수단(100b)이 돌출형성되지 않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환기장치는, 자동차용 리모컨(미도시)에 구비되는 on/off 및 타이머에 의해 환기수단(100)이 작동되어 자동차의 입실 전 간편하게 자동차의 내부환경을 쾌적하게 할 뿐 아니라 에어컨의 작동으로 인한 연료의 소비를 절약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내부로 공기를 끌어들이는 입구는 자동차의 앞 부분이나 지붕 부분 등의 정압이 걸려 있는 곳에 설치되고, 실내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는 자동차의 후미 등의 부압을 발생하는 곳에 설치되며, 실내 공기를 강제로 배출하는 배출구인 환기수단은 창의 흐림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창의 저부에 설치되게 되는바, 본 발명의 환기수단(100)은 일반적인 자동차에 구비된 유리창이 아닌 상기 환기수단(100)과 대응되는 유리창(2)이 더 형성된 차체(1)의 측면 후방부에 장착되며, 상기 차체(1)의 한 측면에 한 개 또는 차체(1) 양 측면에 각 한 개씩 두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환기수단(100)이 자동차의 측면에 설치되되, 자동차의 측면 중 후방부 또는 뒷좌석 문에 위치되어 자동차 내에서의 시야를 가리지 않고 심미감을 높일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때, 상기 환기수단(100)은 자동차 양 측면에 각 한 개씩 두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환기수 단(100)이 두 개인 경우 인체감지센서(20)의 감지된 결과에 의해 사람이 있는 부분만 작동되어 밧데리의 소비를 막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환기장치는 온도감지센서(10) 및 인체감지센서(20)에서 자동차 실내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고 자동차 실내에 사람이 있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된 결과를 입력받은 컨트롤러의 신호에 의해 자동차의 밧데리에서 전압을 받아 모터(미도시)가 작동되고, 상기 환기수단(100)의 차광막(110)이 회전되어 열린 상태로 마련되며, 차체(1)의 측면에 형성된 유리창(2)이 환기수단(100)의 하부면에 형성된 통공(101)을 관통하여 내려가 열리게 되고, 상기 환기수단(100)의 환풍기(130)가 회전되어 자동차 실내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자동차용 환기장치는 온도감지센서(10)와 인체감지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자동차 실내의 위험상황을 소리 등으로 알릴 수 있으며, 운전자가 일정거리 내에 위치되어 있을 경우 컨트롤러에서 자동차용 리모컨으로 신호를 보내 위험상황을 알리게 되고,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환기수단(100)의 작동을 유지하고 off될 수 있도록 마련되거나, 운전석 안쪽에 구비되는 on/off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작동이 조절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환기장치는 무더운 여름철 뜨거운 햇빛으로 차 안의 온도가 높아져 어린이나 유아가 사망하거나, 더위로 인해 차 안에 구비된 가스용품이나 라이터 등이 폭발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더운 열기를 미리 빼내어 에어 컨을 켜는 시간을 단축시켜 연료를 절약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창문을 열지않고 차 안에 실어놓은 음식물이나 담배 연기 등의 각종 냄새를 제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겨울이나 비가 내리는 날 발생할 수 있는 유리의 김서림을 쉽게 제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환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환기장치의 환기수단(100)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환기장치의 실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2 : 유리창
10 : 온도감지센서 20 : 인체감지센서
30 : 배선
100 : 환기수단 101 : 통공
110 : 차광막 120 : 방충망
130 : 환풍기 140 : 보호망

Claims (3)

  1. 자동차의 실내를 자동으로 환기시키는 자동차용 환기장치에 있어서,
    자동차 실내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0)와;
    자동차 실내의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20)와;
    상기 온도감지센서(10) 및 인체감지센서(20)의 감지 결과를 입력받아 작동신호를 산출하는 컨트롤러의 신호에 따라 작동되되 자동차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자동차 측면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를 배출시키는 환기수단(10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환기수단(100)은, 외측면에 다수개의 차광막(110)이 하향경사지게 설치되되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차광막(110) 내측으로 방충망(120)이 구비되며, 상기 방충망(120) 내측으로 환풍기(130)가 장착되고, 상기 환풍기(130) 내측으로 보호망(140)이 마련되며, 상기 방충망(120)과 환풍기(130) 사이 하단에 통공(10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환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수단(100)은, 차체(1)에 장착되되 상기 차체(1)에 환기수단(100)과 대응되는 유리창(2)이 구비되고 상기 유리창(2) 외측과 내측에서 각 외측환기수단(100a) 및 내측환기수단(100b)으로 마련되어 상기 외측환기수단(100a)과 내측환 기수단(100b)의 암수결합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환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환기장치는, 자동차용 리모컨에 구비되는 on/off 및 타이머에 의해 환기수단(100)의 작동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환기장치,
KR1020090049980A 2009-06-05 2009-06-05 자동차용 환기장치 KR100985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980A KR100985097B1 (ko) 2009-06-05 2009-06-05 자동차용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980A KR100985097B1 (ko) 2009-06-05 2009-06-05 자동차용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5097B1 true KR100985097B1 (ko) 2010-10-04

Family

ID=43134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980A KR100985097B1 (ko) 2009-06-05 2009-06-05 자동차용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09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6166U (ko) * 1990-03-15 1991-12-02
KR19980010752U (ko) * 1996-08-12 1998-05-15 양재신 자동차용 질식 방지 시스템
KR19980026009A (ko) * 1996-10-07 1998-07-15 배순훈 자동차 실내 공기 오염방지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16166U (ko) * 1990-03-15 1991-12-02
KR19980010752U (ko) * 1996-08-12 1998-05-15 양재신 자동차용 질식 방지 시스템
KR19980026009A (ko) * 1996-10-07 1998-07-15 배순훈 자동차 실내 공기 오염방지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402922A1 (en) Unattented occupant protection system (uops) safety system
US6386969B1 (en) Garage ventilation system
US5054686A (en) Automobile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US5509852A (en) Automobile interior ventilator with voice activation
CA2323918C (en) Solar energy security bus shelter
US5768826A (en) Air window apparatus
US6672954B2 (en) Aftermarket vehicle cabin ventilator
KR100985097B1 (ko) 자동차용 환기장치
CN106956562B (zh) 车载太阳能智能换气系统
KR1014300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351315B1 (ko) 차량용 환기장치
JPS6021084B2 (ja) 自動車用換気装置
CN213141087U (zh) 一种加装电梯新型混合散热系统
CN113954706A (zh) 一种智能控制系统及使用该系统的儿童安全座椅
KR200441026Y1 (ko) 차량용 환풍장치
CN111137113A (zh) 一种适用于车辆的空气净化系统
KR101864796B1 (ko) 차량의 실내 공간 정화 장치
US20040121717A1 (en) Automobile interior heat vent
KR102079709B1 (ko) 차량의 자동 환기 시스템
KR20100092070A (ko) 차량의 루프장착용 환기장치
US20060082459A1 (en) Child guard
KR19990027151U (ko) 차실내 산소량 감소에 따른 경고장치
KR20100046488A (ko) 자동차의 실내환경 제어장치
JP2002160517A (ja) 車両用換気装置
KR20180136157A (ko) 태양광패널을 이용한 실내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