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874B1 -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874B1
KR100984874B1 KR1020080111580A KR20080111580A KR100984874B1 KR 100984874 B1 KR100984874 B1 KR 100984874B1 KR 1020080111580 A KR1020080111580 A KR 1020080111580A KR 20080111580 A KR20080111580 A KR 20080111580A KR 100984874 B1 KR100984874 B1 KR 100984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lining
fixing member
assist handle
handle assembly
assembl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1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2740A (ko
Inventor
이상익
이환희
Original Assignee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엔브이에이치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080111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4874B1/ko
Publication of KR20100052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2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어시스트 핸들과 헤드라이닝의 결합시보다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는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설치되는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에 있어서, 조립시에 헤드라이닝의 상면에 안착되는 가압플레이트; 가압플레이트의 하부에 형성되어 헤드라이닝의 하부로 돌출되는 연결플레이트; 상면에는 연결플레이트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재; 및 차량의 탑승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부재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부를 포함한다.
헤드라이닝, 그립부, 결합부재, 고정부재, 핀

Description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ASSEMBLING STRUCTURE OF ASSIST HANDLE}
본 발명은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어시스트 핸들과 헤드라이닝의 결합시보다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좌석 상부의 헤드라이닝에는 차량 탑승자가 파지할 수 있는 어시스트 핸들을 설치하여 차량의 승하차시 또는 차량 운행시 탑승자의 안정적인 자세를 돕고 있다.
이러한 어시스트 핸들은 탑승자가 파지할 수 있는 그립부와 그립부의 양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헤드라이닝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진다.
이중 고정부재와 헤드라이닝 사이의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고정부재의 상부면에 스크류 나사와 같은 고정구가 결합되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고정부재의 하부방향에서 관통공에 고정구를 삽입하고 이 고정구를 헤드라이닝에 결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고정부재와 그립부의 구조를 살펴보면 고정부재의 측면과 그립부의 단 부에 핀홀을 형성하여 핀을 핀홀에 삽입고정시키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어시스트 핸들을 차량에 설치하는 경우 고정부재를 먼저 헤드라이닝에 결합시키고 그립부를 고정부재에 결합시켜야 한다.
이러한 어시스트 핸들의 설치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어시스트 핸들을 결합시키는 작업자는 차량의 헤드라이닝 방향으로 몸을 향하게 한 후 고정부재를 헤드라이닝에 결합시키고, 그립부의 양 단부의 핀홀과 고정부재의 핀홀을 일치시킨 뒤 핀을 삽입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어시스트 핸들의 설치시의 문제는 어시스트 핸들의 전체적인 크기를 고려할 때 더욱 명확해 진다.
본 발명은 어시스트 핸들의 그립부의 양단과 힌지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헤드라이닝의 하부로 돌출되는 연결플레이트에 고정시켜 헤드라이닝과 결합시키는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시스트 핸들의 사용시 각 구성의 결합부위에 발생되는 응력을 분산시켜 내구성이 개선된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라이닝과 고정부재 사이에 지지부재를 설치함으로써 헤드라이닝과 고정부재 사이의 결합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부재를 그립부의 양단부에 대응되게 형성함으로써 지지부재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그립부의 양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는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설치되는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설치되는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에 있어서, 조립시에 헤드라이닝의 상면에 안착되는 가압플레이트; 가압플레이트의 하부에 형성되어 헤드라이닝의 하부로 돌출되는 연결플레이트; 상면에는 연결플레이트가 삽입 되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재; 및 차량의 탑승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부재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고정부재는 일측면에는 결합홈과 연통된 제1핀홀이 형성되고, 연결플레이트에는 제1핀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핀홀이 형성되며 제1핀홀과 제2핀홀에는 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헤드라이닝의 하면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지지플레이트의 양측 하면에 형성되어 연결플레이트가 수용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수용부와, 수용부의 일측에 제2핀홀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3핀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지부재; 및 고정부재의 상부에 수용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확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수용부의 외측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확장부의 내측에는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는 헤드라이닝에 어시스트 핸들의 결합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플레이트와 고정부재를 연결하는 핀에 부싱을 설치함으로써 핀에 걸리는 응력을 분산시켜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플레이트를 감싸는 수용부가 형성된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부 재에 삽입됨으로써 연결플레이트와 고정부재 사이의 결합이 견고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그립부의 양단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부재의 수용부를 형성함으로써 수용부에 삽입되는 결합부재의 설치위치에 관한 공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법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1)의 부분단면도이 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1')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1)를 살펴보면, 어시시트 핸들 조립구조(1)는 헤드라이닝(3)의 상면에 안착되는 가압플레이트(14)와 가압플레이트(14)의 하부에 형성되어 헤드라이닝(3)의 하면으로 돌출되는 연결플레이트(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결합부재(10)와, 연결플레이트(16)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부재(20)와, 고정부재(20)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부(40)로 이루어진다.
결합부재(10)는 연결플레이트(16)와 결합하여 연결플레이트(16)가 관통설치되는 헤드라이닝(3)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부로부터 헤드(12), 가압플레이트(14) 및 연결플레이트(16)로 구성 된다.
헤드(12)는 작업시 결합부재(10)를 쉽게 파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플레이트(14)의 일측을 절개하여 절곡시켜 형성된다.
가압플레이트(14)는 헤드라이닝(3)의 상면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사각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플레이트(16)는 헤드라이닝(3)을 관통하여 헤드라이닝(3) 하부로 돌출되 는 것으로서 가압플레이트(14)의 저면에 형성된다.
이때 연결플레이트(16)에는 고정부재(20)와 핀(30)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후술할 고정부재(20)에 형성된 제1핀홀(24)에 대응된 위치에 제2핀홀(17)이 형성된다.
가압플레이트(14)의 저면에 형성되는 연결플레이트(16)는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으나 하나만 형성되는 경우 그립부(40)를 통해 전달되는 탑승자의 응력이 집중되어 쉽게 손상될 수 있는바 적어도 두 개 이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재(20)는 헤드라이닝(3)의 하부에 돌출되는 연결플레이트(16)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고정부재(20)의 상면에는 연결플레이트(16)가 삽입되는 결합홈(22)이 형성되고, 고정부재(20)의 일측면에는 결합홈(22)에 연통되어 핀(30)이 삽입되는 제1핀홀(24)이 형성된다.
또한, 제1핀홀(24)과 고정부재(20)의 일측면과 접하는 모서리에는 후술할 부싱(34)이 결합되는 부싱홀(26)이 형성된다.
제1핀홀(24)과 제2핀홀(17)에 삽입되는 핀(30)은 원통형 형상의 핀(30)이 사용되나 핀(30)의 일측 단부에는 부싱(34)과 결합시 핀(30)이 이탈되지 않도록 결합돌기(32)가 형성되며, 부싱(34)의 내측에는 결합돌기(32)가 안착되는 안착홈(36)이 형성된다.
핀(30)의 결합돌기(32)와 삽입결합되고 부싱홀(26)에 결합되는 부싱(34)은 고정부재(20)와 핀(30)이 접하는 면적을 확장시켜 핀(3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단면이 'ㄱ' 자 형상인 부싱(34)을 사용하여 핀(3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며, 부싱(34)이 부싱홀(26)에 삽입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고정부재(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부(40)는 탑승자가 파지하는 부분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립부(40)의 양단부는 고정부재(20)의 양측면 하부와 핀(50)을 이용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를 참조하여 결합부재(10), 헤드라이닝(3), 고정부재(20) 및 그립부(40)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결합부재(10)를 설치하기 위하여 어시스트 핸들이 설치될 헤드라이닝(3)의 위치를 선정한 후, 이 위치에 결합부재(10)의 연결플레이트(16)가 삽입될 홈(3a)을 형성한 뒤 홈(3a)을 통해 연결플레이트(16)를 헤드라이닝(3)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하여 가압플레이트(14)를 헤드라이닝(3)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헤드라이닝(3)의 하부 방향으로 연결플레이트(16)가 돌출되면, 고정부재(20)의 결합홈(22)에 연결플레이트(16)를 삽입시키고, 고정부재(20)의 일측에 형성된 제1핀홀(24)을 통해 제2핀홀(17)까지 핀(30)을 삽입시킨다.
핀(30)의 일단부에는 부싱(34)이 결합되므로 제1핀홀(24)을 통해 핀(30)을 삽입시 부싱(34)은 고정부재(20)의 부싱홀(26)에 부싱(34)이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고정부재(20)에는 그립부(40)가 미리 결합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20)에 그립부(40)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 핀(50)을 이용하여 고정부재(20)와 그립부(4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1')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의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로 그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1')는 연결플레이트(16)와 고정부재(20) 사이에 헤드라이닝(3)의 하면에 설치되는 지지부재(60)를 더 포함한 것이다.
지지부재(60)는 헤드라이닝(3)의 하면에 설치되어 어시스트 핸들에 헤드라이닝(3) 면의 평행한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헤드라이닝(3)과의 마찰을 증대시켜 어시스트 핸들을 헤드라이닝(3) 상에서 유동하지 않도록 하고, 연결플레이트(16)와 고정부재(20) 사이의 맞닿는 면적을 넓혀 연결플레이트(16)에 작용되는 힘을 분산시키기 위한 것이다.
지지부재(60)는 헤드라이닝(3)의 하면과 접하는 지지플레이트(61)와 지지플레이트(61)의 양단부에 하부로 연장되는 수용부(62)로 이루어진다.
지지플레이트(61)는 헤드라이닝(3)의 하면과 접하는 면적을 넓혀 지지플레이트(61)의 하부에 설치된 그립부(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립부(40)의 양단 사이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고 형성된다.
지지플레이트(61)의 양단 상면에는 연결플레이트(16)가 삽입되는 수용부(62)와 연통 되는 삽입홈(64)이 형성된다.
이때, 수용부(62)의 일측에는 제2핀홀(17)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3핀홀(66)이 형성되어 제1핀홀(24)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핀(30)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용부(62)의 외측에는 고정부재(20)에 삽입시 수용부(62)가 고정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68)가 형성된다.
고정부재(20)의 상부에는 수용부(6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결합홈(22)보다 넓은 공간을 갖는 확장부(22a)가 형성된다.
확장부(22a)는 수용부(62)가 삽입되는 것으로서 내측에는 수용부(62)에 형성된 결합돌기(68)가 결합되는 안착홈(28)이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여 결합부재(10), 헤드라이닝(3), 지지부재(60), 고정부재(20) 및 그립부(40)의 결합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어시스트 핸들이 설치될 헤드라이닝(3)의 위치를 선정한 후 결합부재(10)의 연결플레이트(16)가 삽입될 홈(3a)을 헤드라이닝(3)에 형성하고 이 홈(3a)을 통해 연결플레이트(16)를 헤드라이닝(3)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삽입하여 가압플레이트(14)를 헤드라이닝(3)의 상면에 안착시킨다.
헤드라이닝(3)의 하부 방향으로 연결플레이트(16)가 돌출되면, 지지부재(60)의 삽입홈(64)에 연결플레이트(16)를 삽입시켜 헤드라이닝(3)에 결합부재(10)와 지지부재(60)를 결합시킨다.
지지부재(60)가 헤드라이닝(3)에 결합이 되면, 지지부재(60)의 수용부(62)를 고정부재(20)의 확장부(22a)에 삽입시킨 후, 수용부(62)에 형성된 결합돌기(68)를 고정부재(20)의 확장부(22a)에 형성된 안착홈(28)에 삽입시켜 고정부재(20)와 지지부재(60)를 결합시키고, 핀(30)을 제1핀홀(24), 제2핀홀(17) 및 제3핀홀(66)에 삽입시킨다.
이때, 고정부재(20)에는 그립부(40)가 미리 결합될 수 있으며, 고정부재(20)에 그립부(40)가 결합되지 않은 경우 핀(50)을 이용하여 고정부재(20)와 그립부(40)를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한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의 부분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의 부분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1';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 3; 헤드라이닝
10; 결합부재 12; 헤드
14; 가압플레이트 16; 연결플레이트
17; 제2핀홀 20; 고정부재
22a; 확장부 24; 제1핀홀
26; 부싱홀 28; 안착홈
30; 핀 34; 부싱
40; 그립부 60; 지지부재
62; 수용부 64; 삽입홈
66; 제3핀홀 68; 결합돌기

Claims (4)

  1. 차량의 헤드라이닝에 설치되는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에 있어서,
    조립시에 상기 헤드라이닝의 상면에 안착되는 가압플레이트;
    상기 가압플레이트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헤드라이닝의 하부로 돌출되는 연결플레이트;
    상면에는 상기 연결플레이트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고정부재; 및
    차량의 탑승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U'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의 양측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그립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일측면에는 상기 결합홈과 연통된 제1핀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에는 상기 제1핀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2핀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1핀홀과 상기 제2핀홀에는 핀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라이닝의 하면에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측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플레이트가 수용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상기 제2핀홀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3핀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지지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에 상기 수용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확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외측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확장부의 내측에는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
KR1020080111580A 2008-11-11 2008-11-11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 KR100984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580A KR100984874B1 (ko) 2008-11-11 2008-11-11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1580A KR100984874B1 (ko) 2008-11-11 2008-11-11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740A KR20100052740A (ko) 2010-05-20
KR100984874B1 true KR100984874B1 (ko) 2010-10-01

Family

ID=42277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1580A KR100984874B1 (ko) 2008-11-11 2008-11-11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487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936Y1 (ko) * 2011-12-19 2013-11-14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힌지 핀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KR200481025Y1 (ko) 2015-04-02 2016-08-04 주식회사 동일 헤드라이닝 어시스트 핸들의 오일 댐퍼 2중 걸림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897B1 (ko) 2006-06-27 2007-11-2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어시스트 그립
JP2008149867A (ja) * 2006-12-15 2008-07-03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後席用アシストグリッ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897B1 (ko) 2006-06-27 2007-11-2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어시스트 그립
JP2008149867A (ja) * 2006-12-15 2008-07-03 Mitsubishi Fuso Truck & Bus Corp 後席用アシストグリッ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936Y1 (ko) * 2011-12-19 2013-11-14 한국 티알더블류 자동차부품산업 주식회사 힌지 핀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KR200481025Y1 (ko) 2015-04-02 2016-08-04 주식회사 동일 헤드라이닝 어시스트 핸들의 오일 댐퍼 2중 걸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2740A (ko) 2010-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4129B1 (en) Clamping device for DIN rail
US8602809B2 (en) Locking cover for electrical connection appliance
JP4432598B2 (ja) ドライバ側エアバッグを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に連結する方法と装置
JP4945621B2 (ja) 部品の取付構造
JP4973635B2 (ja) クリップ
JP5985874B2 (ja) 車両用ハンドル
KR20070091569A (ko) 고정구
US20160082871A1 (en) Mat fixing clip for vehicle carpet
KR20130090942A (ko) 차량의 헤드라이너모듈용 보조손잡이 고정구
KR100984874B1 (ko) 어시스트 핸들 조립구조
US10916886B2 (en) Connector fixture
KR20140000371U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노브
JP4830803B2 (ja) カバー付きコネクタ
JP3141489U (ja) モジュール型ソケット
KR100894860B1 (ko) 차량용 변속기 레버
US20090224592A1 (en) Chair Backrest that is Assembled and Disassembled Easily and Quickly Without Needing Aid of a Hand Tool
EP2921890A1 (en) Housing connection structure
JP5115736B2 (ja) ルーフキャリア
JP4521287B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KR100793180B1 (ko) 차량용 어시스트핸들 조립체
JP681280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KR20220067794A (ko) 구동캠을 이용한 차량용 리어시트의 록킹 장치
KR100673609B1 (ko) 조인트박스의 링터미널용 너트설치구조
KR100528012B1 (ko) 차량용 보조손잡이 고정브라켓
KR100520284B1 (ko) 자동차용 시트 콘넥터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