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156B1 -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높이측정용 변위센서 - Google Patents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높이측정용 변위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156B1
KR100984156B1 KR1020080021185A KR20080021185A KR100984156B1 KR 100984156 B1 KR100984156 B1 KR 100984156B1 KR 1020080021185 A KR1020080021185 A KR 1020080021185A KR 20080021185 A KR20080021185 A KR 20080021185A KR 100984156 B1 KR100984156 B1 KR 100984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substrate
sealant
light emitting
displacement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7314A (ko
Inventor
안만호
김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21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4156B1/ko
Publication of KR20080027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edges of essentially flat 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의 씰런트 디스펜서용 센서에 관한 것으로, 씰런트가 토출되는 노즐과 기판 간의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변위측정센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위측정센서는 레이저 빔을 기판을 향하여 출력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출력된 레이저가 수신되는 수광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는 서로 이격되어 한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는 디스펜서의 주입기 하부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액정영상표시장치, 씰런트, 디스펜서, 레이저 변위센서

Description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높이측정용 변위센서{displacement measuring sensor for Paste Dispenser}
본 발명은 씰런트와 같은 페이스트를 토출하는 디스펜서에 채용되는 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즐에서 토출되는 씰런트와 같은 페이스트의 토출압력이 낮으며 기판에 페이스트를 더욱 정밀하게 도포할 수 있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에서 기판과 씰런트를 토출하는 노즐 간의 높이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높이측정용 변위센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액정표시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는 종래의 음극선관(Cathode-Ray Tube : CRT)을 이용한 영상표시장치에 비하여 그 체적과 무게를 혁신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지고 있어, 음극선관이 적용된 영상표시장치를 대체하여 컴퓨터 모니터나 TV등에 적용되어 널리 보급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상부기판과 하부기판 사이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며, 그 공간에 액정이 충진되게 된다.
최적의 액정표시장치의 동작을 위해서는 하부기판과 상부기판의 이격된 거리인 셀 갭(cell gap)이 일정하도록 유지해야 되는데, 만약 상기 셀 갭이 일정하지 않으면 액정표시장치의 화면 전체에 걸쳐 화면균일도가 불량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셀 갭은 상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의 사이에 도포되는 씰런트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상기 씰런트는 상기한 셀 갭을 유지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기판과 하부기판을 합착시키기도 하는 등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씰런트의 패턴(pattern)과 폭과 높이는 액정표시장치의 생산공정에서 매우 중요하게 취급되며, 씰런트 디스펜서에 의해 기판상에 도포된다.
상기 씰런트 디스펜서는 내부에 씰런트가 충진된 주입기의 끝단에 노즐이 형성되고, 노즐이 운동하면서 기판에 소정형상의 씰런트를 도포한다. 즉, 노즐과 기판이 X축과 Y축으로 상대운동하면서 기판상에 씰런트를 소망하는 패턴으로 도포한다.
물론, 상기 노즐은 기판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Z축으로 운동이 가능하여 도포되는 씰런트의 두께 및 폭을 조절할 수있다.
그리고, 상기 주입기의 씰런트가 소진되면 사용 완료된 주입기를 떼어내고 새로운 주입기가 장착된다.
도 1은 종래의 씰런트 디스펜서의 헤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씰런트 디스펜서의 헤드는 씰런트를 저장하는 주입기(20)(syringe)와, 상기 주입기(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씰런트(50)를 도포하는 노즐(32)이 형성된 브라켓(3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노즐(32)과 기판(10)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변위센서(40)가 상기 헤드의 노즐(32) 인근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변위센서(40)는 일반적으로 레이저를 이용하는 광학식의 레이저 변위센서가 사용된다.
상기 레이저 변위센서(40)는 그 저면이 "∧"형상으로 경사가 이루어져 있어 그 저면의 일측 경사면에 레이저(46)를 발광하는 발광부(42)와, 타측 경사면에 상기 발광부(42)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레이저(46)를 수광하는 수광부(44)로 이루어져 상기 발광부(42)에서 발광된 레이저(46)가 기판(10)상에 반사되어 수광부(44)에 결상되고, 수광부(44)에서는 레이저(46)가 결상되는 위치에 따른 전기신호를 제어부(미도시)로 출력하여 거리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주입기(20)와 레이저 변위센서(40)는 소정간격(L) 이격되어 있으며, 일단의 상면에 주입기(20)가 장착되며, 타단이 상기 레이저 변위센서(40)의 인근까지 연장되어 그 끝의 저면에 씰런트(50)가 토출되는 노즐(32)이 형성되는 브라켓(30)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레이저 변위센서(40)의 발광부(42)에서 발광된 레이저(46)는 상기 노즐(32)에서 토출되는 씰런트(50)가 기판에 도포되는 지점의 인근에 반사되어 수광부(44)에 수광됨으로써 기판(10)과 노즐(32)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따라서, 씰런트(50)가 도포되는 기판(10)상에 굴곡이 존재하게 되면, 상기 레이저(46)가 수광부(44)에 결상되는 위치가 변하게 되어 레이저 변위센서(40)가 그 측정값을 제어부로 전송하여 상기 노즐(32)의 높이가 보정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씰런트 디스펜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노즐과 씰런트가 저장되는 주입기가 동일 축상에 형성되어 있지 않고 이격되어 있어서, 상기 씰런트의 유동경로가 "L"자형으로 절곡된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씰런트의 토출에 필요한 압력이 높아서 점도가 큰 씰런트의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수직 방향의 주입기(20)에 수평방향으로 긴 막대형의 브라켓(30)이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30)의 끝단에 노즐(32)이 설치되어 있어 주입기(20)간의 거리가 멀어 씰런트의 토출에 요구되는 압력이 높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기존의 씰런트 디스펜서는 씰런트가 기판상에 토출되는 위치와 기판상에 레이저가 반사되는 측정점간의 간격이 멀어 씰런트가 토출되는 기판과 노즐간의 간격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없었기 때문에 씰런트의 도포 정밀도를 높일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페이스트 디스펜서 헤드의 구조를 개선하여, 상기 페이스트의 유동 및 토출경로를 일직선화함으로써 페이스트의 필요 토출압력을 낮춤과 더불어 기판과 노즐의 간격을 정확히 감지하여 도포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에 채용될 수 있는 변위센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변위 센서는 레이저 빔을 기판을 향하여 출력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출력된 레이저가 수신되는 수광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는 서로 이격되어 한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는 디스펜서의 주입기 하부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테이블에 탑재된 기판의 주면과 주입기에 장착된 노즐의 토출구와의 상대거리를 계측하는 계측수단; 그리고, 씰런트가 충진된 주입기와 노즐이 동일 축 상에 위차하도록 구성된 도포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씰런트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계측수단은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는 레이저 변위센서이며, 상기 헤드부의 노즐은 상기 레이저 변위센서의 발광부와 수광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입기의 장착위치를 확인하는 비젼카메라와; 상기 주입기의 결합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씰런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주입기와 노즐이 동축을 이루도록 결합되어 종래와는 달리 직선화됨으로써 씰런트의토출에 요구되는 압력이 낮아짐으로써 보다 고점도의 씰런트를 사용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종류의 씰런트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같은 점도의 씰런트를 사용할 경우 노즐에서 토출되는 토출압력이 낮아지게 되어 씰런트의 도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주입기 교체시, 노즐과 레이저 변위센서의 거리가 일정하도록 노즐의 위치를 보정할 수 있어 씰런트의 도포를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씰런트가 기판상에 토출되는 위치와 레이저가 기판상에 반사되는 측정점의 간격을 최소화 함으로써 씰런트가 토출되는 기판과 노즐간의 간격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씰런트를 보다 정밀하게 도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테이블에 탑재된 기판의 주면과 주입기에 장착된 노즐의 토출구와의 상대거리를 계측하는 계측수단; 그리고, 씰런트가 충진된 주입기와 노즐이 동일 축 상에 위차하도록 구성된 도포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씰런트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계측수단은 발광부와 수광부로 구성되는 레이저 변위센서이며, 상기 헤드부의 노즐은 상기 레이저 변위센서의 발광부와 수광부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입기의 장착위치를 확인하는 비젼카메라와; 상기 주입기의 결합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페이스트 디스펜서용 변위센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일례로 씰런트 디스펜서를 예시하며, 본 발명의 씰런트 디스펜서와 관련된 구성요소중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 1에 따라 전술한 종래의 기술을 참조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변위 센서가 씰런트 디스펜서에 결합된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방향에서 바라본 요부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디스펜서 헤드의 노즐과 기판이 접촉했을 때, 비젼카메라에서 촬영한 측정점과 노즐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씰런트 디스펜서의 헤드는 먼저 씰런트를 저장하는 주입기(120)(syringe)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주입기(120)의 선단부에 주입기(120) 내부의 씰런트(150)를 기판 의 주면, 즉, 기판의 표면으로 토출하는 노즐(130)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주입기(120)의 선단부에 상기 노즐(130)의 토출구 끝단부와 기판(110)의 상대거리를 측정하는 변위센서(14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기판(110)에 대한 노즐(130)의 높이를 조정하는 승강부(미도시)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주입기(120)는 테이블(미도시)에 안착되어 있는 상기 기판(110)에 대하여 X축과 Y축 및 Z축으로 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기판(110)에 도포되는 씰런트(150)의 패턴및 두께와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기판(110)의 하면에 상기 변위센서(140)에 의해 거리가 측정되는 지점과 노즐(130)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비젼카메라(17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주입기(120)의 결합위치를 조정하는 조정부(160)가 구비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주입기(120)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내부에 씰런트(150)가 충진된다.
이 때, 상기 노즐(130)과 주입기(120)는 수직방향으로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결합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헤드부의 주입기와 상기 레이저 변위센서는, 상기 레이저 변위센서의 발광부와 수광부가 일직선상으로 보이는 방향(즉, 측면 ; 도 3참조)에서 볼 때, 상기 레이저 변위센서에 대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주입기(120)에 충진되어 노즐(130)에서 토출되는 씰런트(150) 의 유동경로는 일직선이 된다.
또한, 상기 변위센서(140)는 거리측정용 레이저를 기판(110)을 향하여 출력하는 발광부(142)와, 상기 발광부(142)에서 출력된 레이저(146)가 수신되는 수광부(144)로 이루어지는 레이저 변위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 변위센서(140)의 발광부(142)와 수광부(144)는 한 몸체로 이루어지되, 서로 소정거리 이격되며, 상기 발광부(142)와 수광부(144)의 사이에 노즐(130)이 결합되는 결합공(148)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주입기(120)의 선단부에 결합된 노즐(130)은 상기 레이저 변위센서(140)의 결합공(148)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씰런트 디스펜서의 노즐(130)과 기판(110)은 소정간격 이격되는데, 그 이격되는 간격이 수십㎛정도로 매우 작으므로 상기 노즐(130)의 끝단부만을 확대하여 도시하여 나타내었다.
도 2의 확대된 부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레이저 변위센서(140)의 발광부(142)에서 출력된 레이저(146)가 기판(110)에 반사되는 측정점(112)의 위치는 상기 씰런트(150)가 노즐(130)에서 토출되어 기판(110)에 도포되는 지점에서 약간 이격되도록 설치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측정점(112)의 위치가 씰런트(150)가 기판(110)에 도포되는 위치와 이격되는 정도는 도포되는 씰런트(150)에 의해 거리측정이 간섭받지 않는 최소한의 거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레이저(146)가 기판(110)에 반사되는 측정점(112)의 위치와 상기 씰런트(150)가 기판(110)위에 토출되는 지점의 위치가 동일하여 상기 레이저 변위센서(140)의 거리측정이 기판(110)에 도포되는 씰런트(150)에 의해 간섭 받게 되는 경우를 배제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씰런트 디스펜서 헤드의 높이조절장치의 노즐(130)에서 도포되는 씰런트(150)가 기판(110)에 토출되는 위치와 레이저 변위센서(140)에 의한 측정점(112)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되나, 그 거리가 매우 미세하므로 기판(110)표면의 높이 차가 없다고 할 수 있어 상기 레이저 변위센서(140)에 의한 측정치와 노즐(130)의 끝단부부터 기판(110)의 표면까지의 실거리는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노즐(130)의 맞은편에는 비젼카메라(170)가 상기 기판(110)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비젼카메라(170)는 레이저 변위센서(140)에서 출력된 레이저(146)가 기판(110)상에 반사되는 측정점(112)과 씰런트(150)가 기판(110)에 토출되는 위치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주입기(120)의 결합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조정부(160)가 구비되는데, 상기 조정부(160)는 상기 주입기(120)의 결합위치 및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모터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조정부(160)의 구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레이저 변위센서의 한 몸체로 이루어진 수광부와 발광부 사이에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 노즐이 결합되었지만, 레이저 변위센서의 수광부와 발광부가 각각 따로 형성되고, 각 수광부와 발광부가 상기 노즐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되게 장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는 노즐(130)의 높이를 변화시켜 상기 노즐(130)과 기판(110)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방식이나 상기 노즐은 움직이지 않고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테이블(미도시)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상기 노즐과 기판간의 거리를 조절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구성을 가진 씰런트 디스펜서가 상기 주입기(120)내부의 씰런트(150)를 소진하게 되면 상기 주입기(120)를 교환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주입기(120)에 결합되는 노즐(130)의 위치가 항상 일정하지 못하고 다소간 오차가 생기게 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씰런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씰런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은 노즐과 기판을 접촉시키는 접촉단계와; 계측수단이 기판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점과 노즐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단계와: 상기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거리가 설정치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와; 상기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거리가 설정치를 벗어날 경우 상기 노즐의 위치를 보정하는 보정단계: 그리고, 상기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거리가 설정치 이내일 경우 상기 노즐과 기판의 거리를 소정간격 이격시키고 씰런트의 도포를 시작하는 도포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씰런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씰런트 디스펜서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를 따르기로 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씰런트 디스펜서의 노즐과 기판이 접촉했을 때 비젼카메라로 촬영한 측정점과 노즐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면번호 175번은 비젼카메라로 촬영한 화면이다.
주입기(120)가 교체되면 접촉단계가 시행된다. 상기 접촉단계에서는 상기 주입기(120)를 하강시켜 상기 노즐(130)과 기판(110)이 접촉되도록 하여 노즐(130)과 기판(110)의 거리가 0이 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레이저 변위센서(140)의 발광부(142)에서 출력되는 레이저(146)가 기판(110)에 반사되어 수광부(144)로 입력되게 되는데, 상기 노즐(130)과 기판(110)과의 거리가 0이므로, 상기 레이저(146)가 반사되는 지점인 측정점(112)이 상기 노즐(130)과 기판(110)이 이격되어 있을 때의 위치에서 다소 측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측정단계가 시행된다. 상기 측정단계에서는 상기 측정점(112)과 기판(110)위에 씰런트(150)가 도포되는 위치의 이격된 거리(d)를 측정한다. 이러한 거리측정은 기판(110)의 하부에 설치된 비젼카메라(170)로 촬영하여 측정한다.
여기서, 상기 씰런트(150)가 도포되는 기판(110)이 투명한 유리이므로 상기 레이저 변위센서(140)의 측정점(112)과 노즐(130)이 상기 기판(110)에 투영된다.
이 때, 상기한 기판(110)위에 씰런트(150)가 도포되는 위치가 상기 노즐(130)의 연직하부이고, 상기 비젼카메라(170)가 노즐(130)의 맞은편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상기 노즐(130)이 기판(110)에 투영되는 위치를 씰런트(150)가 기 판(110)에 도포되는 위치로 간주하고 상기 레이저 변위센서(140)의 측정점(112)과 노즐(130)의 거리(d)를 측정한다.
상기한 측정단계 이후에는 판단단계가 시행되는데, 상기 판단단계에서는 상기 측정단계에서 측정된 레이저 변위센서(140)의 측정점(112)과 노즐(130)의 거리(d)가 설정치 이내인지를 판단한다.
이 때, 상기 설정치는 상기 측정점(112)과 노즐(130)이 이격되는 거리(d)의 적정한 범위를 뜻한다.
이러한 설정치는 씰런트(150)의 종류라든지 도포압력이나 도포속도등 도포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값이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게 도출해 낼 수 있는 값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만약, 상기 판단단계에서 판단된 측정점(112)과 노즐(130)의 거리(d)가 설정치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상기 주입기(120)와 노즐(130)이 적정한 위치에 있지 못하다고 판단하여 상기 조정부(160)를 사용하여 상기 주입기(120)와 노즐(130)의 위치를 적절하게 조정한다.
그리고, 주입기(120)와 노즐(130)의 위치를 조정한 후에는 다시 측정단계로 회귀하여 측정점(112)과 노즐(130)의 거리(d)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판단단계에서 판단된 측정점(112)과 노즐(130)의 거리(d)가 설정치 이내인 경우 상기 노즐(130)이 적정한 위치에 있다고 판단하여 노즐(130)과 기판(110)의 거리를 씰런트(150)의 도포조건에 따라 적정한 소정거리만큼 이격시키고 씰런트(150)의 도포를 시작하는 도포단계를 시행한다.
도포단계에서 노즐(130)과 기판(110)의 거리가 이격되면, 상기 레이저 변위센서(140)의 측정점(1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기판(110)상에 씰런트(150)가 토출되는 지점의 인근에 형성된다.
이러한 레이저 변위센서(140)는 노즐(130)과 기판(110)의 상대운동에 따라 씰런트(150)가 도포되는 위치의 기판(110)에 대한 노즐(130)의 높이를 측정한다.
만약, 상기 기판(110)이 굴곡되어 있다면 굴곡된 지점에서 레이저가 반사되는 지점의 높이가 달라지므로 상기 레이저가 레이저 변위센서(140)의 수광부(144)에서 결상되는 위치가 변하게 되어 상기 노즐(130)의 높이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 변위센서(140)에서 측정된 노즐(130)과 기판(110)의 거리는 제어부(미도시)로 보내지고, 상기 제어부(미도시)에서는 씰런트(150)가 도포되는 기판(110) 표면의 높이변화에 따라 승강부(미도시)를 가동하여 상기 노즐(130)과 기판(110)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기판(110)에 토출되는 씰런트(150)의 두께 및 폭등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도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씰런트 디스펜서 헤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변위센서가 채용된 씰런트 디스펜서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방향에서 바라본 요부 측면도
도 4는 도 2의 디스펜서 헤드의 노즐과 기판이 접촉했을 때, 비젼카메라에서 촬영한 측정점과 노즐의 위치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한 부위에 대한 부호설명*
110 : 기판 112 : 측정점
120 : 주입기 130 : 노즐
140 : 레이저 변위센서 142 : 발광부
144 : 수광부 148 : 결합공
150 : 씰런트 160 : 조정부
170 : 비젼카메라

Claims (3)

  1. 디스펜서의 주입기 하부에 설치되어 노즐 끝과 기판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레이저 변위 센서에 있어서,
    레이저 빔을 기판을 향하여 출력하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에서 출력된 레이저가 수신되는 수광부를 포함하되,
    상기 발광부 및 수광부는 서로 이격되어 한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는 디스펜서의 주입기 하부가 결합되는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노즐로부터 씰런트가 토출될 때, 상기 발광부로부터 출력되는 레이저빔이 기판에 반사되는 측정점은 씰런트가 기판에 도포되는 지점에 간섭받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노즐의 외면으로부터 소정의 이격된 거리에 위치하되, 상기 소정의 이격된 거리는 상기 노즐의 직경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용 레이저 변위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변위 센서는 발광부의 레이저 빔 발사면과 수광부의 레이저 빔 수광면이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은 상기 두 경사면 사이를 지나도록 위치된 디스펜서용 레이저 변위 센서 .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의 상부는 상기 주입기의 테이퍼진 부분이 위치되도록 그 하부보다 확장된 크기를 갖는 디스펜서용 레이저 변위 센서.
KR1020080021185A 2008-03-06 2008-03-06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높이측정용 변위센서 KR100984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185A KR100984156B1 (ko) 2008-03-06 2008-03-06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높이측정용 변위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185A KR100984156B1 (ko) 2008-03-06 2008-03-06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높이측정용 변위센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735A Division KR100825990B1 (ko) 2006-07-25 2006-07-25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높이측정용 변위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314A KR20080027314A (ko) 2008-03-26
KR100984156B1 true KR100984156B1 (ko) 2010-09-28

Family

ID=3941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185A KR100984156B1 (ko) 2008-03-06 2008-03-06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높이측정용 변위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41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3521B1 (ko) * 2008-06-30 2010-04-2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마이크로 하중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314A (ko) 2008-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0683B1 (ko) 씰런트 디스펜서
JP2008122398A5 (ko)
KR101175284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CN101444773B (zh) 检测涂胶机的喷孔和激光位移传感器的光点的位置的位置检测设备和方法
KR100825990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높이측정용 변위센서
KR20110061313A (ko)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
KR100795509B1 (ko) 페이스트 패턴 검사 방법
KR100984156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높이측정용 변위센서
KR100984157B1 (ko) 씰런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CN102023416A (zh) 密封胶涂布机和密封胶涂布方法
KR100965903B1 (ko) 실 디스펜서 장치의 제어 방법
KR20090115701A (ko) 씰런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TW201109089A (en) Method for applying paste
KR20130071005A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KR101089747B1 (ko) 도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0822894B1 (ko) 페이스트 도포장치의 단면적 측정 위치 보정방법
KR20070104507A (ko) 실런트 도포 상태에 근거한 액정 적하량 결정 방법
KR20100077280A (ko) 액정 적하 장치 및 방법
KR101107499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KR101196721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KR100673305B1 (ko) 페이스트 도포기의 칼럼 위치 교정방법
KR20080009240A (ko) 페이스트 도포장치의 단면적 측정 위치 보정방법
JP2011255260A (ja) 塗布方法および塗布装置ならび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用部材の製造装置
JP4532512B2 (ja) シーラント塗布状態に基づいた液晶滴下量決定方法
KR20110061325A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