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7499B1 -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7499B1
KR101107499B1 KR1020090117934A KR20090117934A KR101107499B1 KR 101107499 B1 KR101107499 B1 KR 101107499B1 KR 1020090117934 A KR1020090117934 A KR 1020090117934A KR 20090117934 A KR20090117934 A KR 20090117934A KR 101107499 B1 KR101107499 B1 KR 101107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inge
paste
support member
weight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1320A (ko
Inventor
조수형
강병환
박일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117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7499B1/ko
Publication of KR20110061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7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7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07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1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sponsive to weight of a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sponsive to leve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n a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with,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은, 시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무게를 기준으로 시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을 검출함으로써, 시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페이스트 디스펜서, 도포, 측정

Description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PASTE DISPENS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판상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란 브라운관을 채용한 텔레비전이나 모니터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운 영상표시장치이다. 평판디스플레이로는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디스플레이(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방출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액정디스플레이는 매트릭스형태로 배열된 액정 셀들에 화상정보에 따른 데이터신호를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액정 셀들의 광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표시장치이다. 액정디스플레이는 얇고 가벼우며 소비전력과 동작 전압이 낮은 장점 등이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디스플레이에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액정패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기판에 컬러필터 및 공통전극을 형성하고, 상부기판에 대응되는 하부기판에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및 화소전극을 형성한다. 이어서, 기판들에 각각 배향막을 도포한 후 이들 사이에 형성될 액정층내의 액정분자에 프리틸트 각(pre-tilt angle)과 배향방향을 제공하기 위해 배향막을 러빙(rubbing)한다.
그리고, 기판들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한편 액정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고 기판들 사이를 밀봉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판에 페이스트를 소정 패턴으로 도포하여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한 다음, 기판들 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하는 과정을 통하여 액정패널을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은 액정패널의 제조에 있어서, 기판 상에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페이스트 디스펜서(paste dispenser)라는 장비가 이용되고 있다.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기판이 탑재되는 스테이지와,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이 장착된 헤드유닛과, 헤드유닛을 지지하는 헤드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각각의 노즐과 기판의 상대위치를 변화시켜가면서 기판 상에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즉,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각각의 헤드유닛에 장착된 노즐을 Z축방향으로 상하 이동시켜 노즐의 토출구와 기판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제어하면서 노즐 및/또는 기판을 X축방향과 Y축방향으로 수평 이동시키고, 노즐로부터 페이스트를 기판 상에 토출시켜 페이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한편, 노즐로부터 페이스트를 토출시키기 위해서는 노즐과 연통되는 시린지 내로 소정의 압력을 가지는 유체를 공급하여 시린지 내부의 페이스트에 토출압력을 가하게 된다. 또한,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페이스트의 토출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시 린지 내로 공급되는 압력을 조절하게 된다.
노즐로부터 페이스트가 토출됨에 따라, 시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은 점차 소모되는데, 페이스트의 도포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페이스트가 완전히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포작업의 종료 시 또는 시린지의 교체 시에 시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을 측정한다.
시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시린지 내의 압력이 미리 설정한 시작압력으로부터 미리 설정한 기준압력이 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시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시린지 내의 압력을 시작압력으로부터 기준압력까지 증가시키기 위하여 유체공급원과 시린지를 연결하는 공급유로를 통하여 유체를 시린지 내로 공급하고, 시린지 내의 압력이 시작압력으로부터 기준압력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방법은, 시린지 내의 압력을 시작압력(예를 들어 대기압)으로부터 기준압력에 도달시키는 과정이 요구되었는데, 이와 같은 시작압력 및 기준압력은 페이스트가 노즐로부터 토출될 때의 압력인 토출압력에 비하여 작아야 한다. 따라서, 페이스트를 노즐로부터 토출시켜 기판상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과정과 시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을 측정하는 과정은 동시에 실시간으로 수행될 수 없고, 시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을 측정하는 과정은 항상 기판상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동작이 완료된 후에 수행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방법은 시린지 내에 유체를 공급하여 시린지 내의 압 력을 측정하는 것과 동시에 기준압력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야 하므로, 압력 및 시간의 두 가지 값의 측정에 있어 오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시린지 내의 페이스트의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서는, 시린지 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 및 시린지 내의 압력이 기준압력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이 요구되므로 구성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시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무게를 기준으로 시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을 검출함으로써, 시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측정하고, 측정된 무게를 기준으로 시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을 검출함으로써, 시린지 내에 충진된 양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페이스트가 충진되는 시린지가 구비되는 헤드유닛과, 상기 시린지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측정유닛과, 상기 무게측정유닛에서 측정된 무게를 근거로 상기 시린지 내의 페이스트의 양을 검출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무게측정유닛은 상기 헤드유닛에 구비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헤드유닛은,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에 Z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레이저변위센서가 구비되는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 재에 대하여 단독으로 Z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시린지가 구비되는 제3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3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게측정유닛은 상기 연결부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지지부재로부터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3지지부재로부터 Y축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측정유닛은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시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을 기준으로 상기 시린지 내의 최적압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최적압력으로 상기 시린지 내의 압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헤드유닛은,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에 Z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레이저변위센서가 구비되는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에 Z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시린지가 구비되는 제3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3지지부재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2지지부재로부터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부재, 상기 제3지지부재로부터 상기 제1연결부재를 향하여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측정유닛은, 상기 제2지지부재로부터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걸림부재와, 상기 제3지지부재로부터 상기 제1걸림부재를 향하여 Y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지지부재가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걸림부재에 걸리는 제2걸림부 재와, 상기 제1걸림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무게측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무게측정유닛은 기판이 탑재되는 스테이지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무게측정유닛은, 상기 시린지와 연통되는 노즐과 접촉되어 상기 시린지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무게측정유닛은, 상기 노즐이 상기 무게측정센서에 접촉되는 위치에 정렬되도록 상기 노즐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안내수단은, 상기 헤드유닛에 구비되는 촬상장치에 의하여 촬상되도록 상기 무게측정센서의 주위에 형성되는 기준마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헤드유닛에 구비되는 레이저변위센서의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를 수광하는 수광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은, (a) 시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에서 측정된 무게를 기준으로 상기 시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을 검출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에서 검출된 상기 시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을 기준으로 상기 시린지 내의 최적압력을 산출하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시린지 내의 최적압력으로 상기 시린지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페이스트가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상태에서의 상기 시린지 내의 최적압력을 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페이스트가 노즐로부터 토출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상기 시린지 내의 최적압력을 산출하는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은, 시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무게로부터 시린지 내의 페이스트의 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므로, 측정된 시린지 내의 페이스트의 양을 기준으로 시린지 내의 토출압력을 정확하게 조절하여 정확한 양의 페이스트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킬 수 있고, 측정된 시린지 내의 페이스트의 양을 기준으로 시린지 내의 토출정지압력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은, 시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린지 내의 압력을 시작압력과 기준압력으로 조절하면서 시린지 내의 압력이 기준압력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시린지 내의 페이스트의 양을 측정하는 과정에서의 오차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요구되는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프레임(10)과, 프레임(10)의 상부에서 X축방향 또는 Y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테이블(20)과, 테이블(20)상에 설치되며 기판(S)이 탑재되는 스테이지(30)와, 스테이지(30)의 양측에 설치되고 Y축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대이동가이드(40)와, 한 쌍의 지지대이동가이드(40)에 각각 양단이 지지되어 스테이지(30)의 상부에 설치되고 X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헤드지지대(50)와, 헤드지지대(50)에 X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레이저변위센서(71), 페이스트가 충진되는 시린지(72) 및 시린지(72)와 연통되어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73)이 구비되는 헤드유닛(60)과,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유닛(110)과, 페이스트 도포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헤드지지대(50)는 하나의 프레임(10) 상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헤드지지대(50)는 지지대이동가이드(40)에 Y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헤드유닛(60)은 하나의 헤드지지대(50)에 복수 개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유닛(60)은, 제1지지부재(61)와, 제1지지부재(61)에 대하여 Z축방향(도 2에서의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62)와, 제2지지부재(62)에 대하여 단독으로 Z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3지지부재(6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지지부재(62)에는 레이저변위센서(71)가 구비된다. 이러한 레이저변위센서(71)는 레이저를 발광하는 발광부와, 기판(S)에서 반사된 레이저가 수광되는 수광부로 구성되며, 발광부에서 발광되어 기판(S)에 반사된 레이저의 결상위치에 따른 전기신호를 제어유닛으로 출력하여 기판(S)과 노즐(73)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3지지부재(62)에는, 페이스트가 충진되는 시린지(72)와, 레이저변위센서(71)에 인접된 위치에 구비되어 페이스트가 토출되는 노즐(73)과, 시린지(72)와 노즐(73)을 연통시키는 연통관(74)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61)와 제2지지부재(62)의 사이에는 제2지지부재(62)를 Z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구동부(81)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지지부재(62)와 제3지지부재(63)의 사이에는 제3지지부재(63)를 제2지지부재(62)에 대하여 단독으로 Z축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구동부(82)가 구비될 수 있다.
제1구동부(81)는, 예를 들어, 제1구동모터(811)와, 제1구동모터(811)와 제2지지부재(62)를 연결하는 제1구동축(8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구동모터(811)의 동작에 의하여 제2지지부재(62)가 제1지지부재(61)에 대하여 단독으로 Z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구동부(82)는, 예를 들어, 제2지지부재(62)에 고정되는 제2구동모터(821)와, 제2구동모터(821)와 제3지지부재(63)를 연결하는 제2구동축(82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구동모터(821)의 동작에 의하여 제3지지부재(63)가 제2지지부재(62)에 대하여 단독으로 Z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구동부(82)의 제2구동모터(821)가 제2지지부재(62)에 고정되므로, 제1구동부(81)의 동작에 의하여 제2지지부재(62)가 Z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2지지부재(62)에 고정되는 제2구동모터(821) 및 제2구동모터(821)와 연결되는 제3지지부재(63)가 제2지지부재(62)와 함께 Z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2구동부(82)의 제2구동축(822)과 제3지지부재(63)의 사이에는 제2구 동축(822)과 제3지지부재(63)를 연결하는 연결부(64)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연결부(64)는, 제2지지부재(62)의 상단에서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부재(641)와, 제2구동축(822)의 하단에서 Y축방향으로 제1연결부재(641)를 향하여 연장되며 제1연결부재(641)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2연결부재(6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지지부재(63)는 제1연결부재(641)를 통하여 제2연결부재(642)에 매달린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구동부(81)의 동작에 의하여 제2지지부재(62)가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 제3지지부재(63)가 제2지지부재(62)와 함께 하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나, 노즐(73)이 기판(S)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에는 제3지지부재(63)는 더 이상 하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없기 때문에 제3지지부재(63)가 정지된 상태에서 제1연결부재(641)로부터 제2연결부재(642)가 이격되면서 제2지지부재(62)가 하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노즐(73)이 기판(S)의 상면에 접촉되고 제2연결부재(642)가 제1연결부재(641)로부터 이격된 경우에는, 제1구동부(81)의 동작에 의하여 제2지지부재(62)가 상측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제2지지부재(62)의 상측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하여 제2연결부재(642)가 제1연결부재(641)에 접촉되기 이전에는, 제3지지부재(63)가 정지된 상태에서 제2지지부재(62)가 상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노즐(73)이 기판(S)의 상면에 접촉되는 경우와 같이, 제3지지부재(63)의 하측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경우에는, 제2구동부(82)의 동작에 의하여 제2연결부재(642)가 제1연결부재(641)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노즐(73)이 기판(S)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은 경우에는, 레이저변위 센서(71) 및 노즐(73)이 함께 상측방향 또는 하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레이저변위센서(71)가 정지된 상태에서 노즐(73)이 상측방향 또는 하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노즐(73)이 기판(S)의 상면에 접촉된 경우와 같이, 제3지지부재(63)의 하측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경우에는, 노즐(73)이 정지된 상태에서 레이저변위센서(71)가 상측방향 또는 하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물론, 노즐(73)이 기판(S)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구동부(81) 및 제2구동부(82)를 동시에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노즐(73)이 정지된 상태에서 레이저변위센서(71)가 상측방향 또는 하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레이저변위센서(71) 및 노즐(73)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2지지부재(62)와 제3지지부재(63)의 사이에는 제2지지부재(62)와 제3지지부재(63)의 Z축방향으로의 상대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장치(9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측정장치(90)는, 제2지지부재(62)에 구비되는 기준부(91)와, 제3지지부재(63)에 구비되어 기준부(91)의 Z축방향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9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측정장치(90)는 기준부(91)와 감지부(92)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제2지지부재(62)와 제3지지부재(63)의 Z축방향으로의 상대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위치측정장치(90)는, 예를 들면, 기준부(91)가 소정의 눈금을 가지는 스케일로 구성될 수 있고 감지부(92)는 스케일을 촬상하는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카메라에 의하여 촬상된 스케일의 이미지로부터 기준부(91) 및 감지부(92)의 상대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위치측정장치(90)는, 다른 예로서, 기준부(91)가 위치에 따라 반사각도가 달라지는 반사면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감지부(92)는 반사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는 수광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별도의 광원에서 발광되어 반사면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센서가 측정함으로써, 기준부(91) 및 감지부(92)의 상대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지지부재(62)에 기준부(91)가 구비되고 제3지지부재(63)에 감지부(92)가 구비되는 구성이 제시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기준부(91)가 제3지지부재(63)에 구비되고 감지부(92)가 제2지지부재(62)에 구비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제2지지부재(62) 및 제3지지부재(63)의 상대위치에 따라 기준부(91)와 감지부(92)의 상대위치가 변하게 된다. 노즐(73)의 토출구와 레이저변위센서(71)의 Z축방향 간격을 A라고 하고, 레이저변위센서(71)와 기판(S) 사이의 간격을 B라고 하고, 노즐(73)의 토출구와 기판(S) 사이의 간격을 G라고 할 때, "G = B - A" 식을 만족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기준부(91)의 임의의 위치를 영점(O)으로 하고, 영점(O)에서의 노즐(73)의 토출구와 레이저변위센서(71)의 간격을 AO라고 할 때, 제3지지부재(63)가 제2지지부재(62)에 대하여 상측방향으로 이동거리 C만큼 이동하면, 위의 식에서 "A = AO - C"가 되므로, 노즐(73)의 토출구와 기판(S) 사이의 간격(G)은 "G = B - (AO - C)"식을 만족하게 된다. 또한, 제3지지부재(63)가 제2지지부재(62)에 대하여 하측방향으로 이동거리 C만큼 이동하면, 위의 식에서 "A = AO + C"가 되므로, 노즐(73)의 토출구와 기판(S) 사이의 간격(G)은 "G = B - (AO + C)" 식을 만족하게 된다. 이와 같이, 레이저변위센서(71) 및 노즐(73)의 상대위치를 변화시키는 경우, 위치측정장치(90)의 영점(O)에서의 노즐(73)의 토출구와 레이저변위센서(71)의 간격(AO)을 미리 측정한 상태에서, 위치측정장치(90)를 이용하여 측정된 레이저변위센서(71)에 대한 노즐(73)의 위치(C)와 레이저변위센서(71)를 이용하여 측정된 레이저변위센서(71)와 기판(S) 사이의 간격(B)을 이용하여, 노즐(73)의 토출구와 기판(S) 사이의 간격(G)을 측정할 수 있다.
무게측정유닛(110)은 제2지지부재(62)와 제3지지부재(63)를 연결하는 연결부(64)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무게측정유닛(110)은 제1연결부재(641)와 제2연결부재(642)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무게측정유닛(110)은 가해진 하중에 따른 변형량을 전기신호로 검출하고, 검출된 전기신호를 근거로 가해진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load cell)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무게측정유닛(110)이 로드셀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전기식 또는 전자식 센서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연결부(64)에 구비된 무게측정유닛(110)에는 제1연결부재(641)를 통하여 시린지(72)의 무게, 노즐(73) 및 연통관(74)의 무게 및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포함한 전체무게가 전달되는데, 무게측정유닛(110)은 이러한 전체무게와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제외한 구성부품의 무게의 차를 구하여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유닛은 시린지(72) 내의 페이스트의 무게와 온도 및/또는 압력에 따른 페이스트의 비중량으로부터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 스트의 양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시린지(72) 내의 페이스트의 무게를 측정하는 것을 통하여 시린지(72) 내의 페이스트의 양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그 구성을 단순화 시킬 수 있고, 시린지(72) 내의 페이스트의 양을 측정하는 과정에서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를 노즐(73)로부터 토출시키기 위해서는 시린지(72)의 내에 공기와 같은 작동유체를 유입시켜 시린지(72) 내의 압력을 증가시켜야 한다. 노즐(73)로부터 페이스트를 토출시키기 위한 시린지(72) 내의 압력을 토출압력이라고 할 때, 이러한 토출압력은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페이스트와 시린지(72)의 내부면 사이의 마찰력 내지는 페이스트의 표면장력이 크기 때문에 토출압력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반대로,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페이스트를 노즐(73)로부터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압력이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판(S)상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과정에서는 노즐(73)로부터 정확한 양의 페이스트를 토출시키기 위해서는 시린지(72) 내의 토출압력을 점차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무게로부터 시린지(72) 내의 페이스트의 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실시간으로 측정된 시린지(72) 내의 페이스트의 양을 근거로 하여 시린지(72) 내의 토출압력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기판(S) 상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과정에서 노즐(73)로부터 항상 일정한 양의 페이스트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판(S)상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동작이 완료되고, 페이스트 패턴이 형성된 기판(S)이 페이스트 디스펜서로부터 배출되고, 페이스트 패턴이 형성될 새로운 기판(S)이 페이스트 디스펜서로 반입되는 과정에서는 노즐(73)로부터 페이스트가 토출되지 않는 대기상태에 있어야 한다. 이러한 대기상태에서는 노즐(73)의 토출구에 페이스트가 맺히지 않으면서 노즐(73)의 토출구의 내부공간을 페이스트가 차지하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하여, 시린지(72) 내에는 적절한 부압이 작용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대기상태에서 시린지(72) 내에 작용하는 부압을 토출정지압력이라고 할 때, 이러한 토출정지압력은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페이스트와 시린지(72)의 내부면 사이의 마찰력 내지는 페이스트의 표면장력이 크기 때문에 토출정지압력이 작은 것(부압의 정도가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반대로,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토출정지압력이 커지는 것(부압의 정도가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실시간으로 측정된 시린지(72) 내의 페이스트의 양을 근거로 하여 시린지(72) 내의 토출정지압력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기판(S)상에 페이스트를 도포하는 동작이 완료된 후의 대기상태에서 시린지(72) 내의 압력을 최적의 토출정지압력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측정유닛(110)을 이용하여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측정하는 과정(S11)과, 측정된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로부터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을 검출하는 과정(S12)과, 검출된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을 기준으로 시린지(72) 내의 최적압력을 산출하는 과정(S13)과, 산출된 시린지(72)내의 최적압력으로 시린지(72)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과정(S1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조절되는 시린지(72) 내의 압력은 전술한 바와 같이, 페이스트를 노즐(73)로부터 토출시키기 위한 토출압력이 될 수 있으며, 노즐(73)로부터 페이스트가 토출되지 않는 대기상태에서의 시린지(72) 내의 토출정지압력이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은,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무게로부터 시린지(72) 내의 페이스트의 양을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으므로, 측정된 시린지(72) 내의 페이스트의 양을 기준으로 시린지(72) 내의 토출압력을 정확하게 조절하여 정확한 양의 페이스트를 노즐(73)로부터 토출시킬 수 있고, 측정된 시린지(72) 내의 페이스트의 양을 기준으로 시린지(72) 내의 토출정지압력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은, 시 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시린지 내의 압력을 시작압력과 기준압력으로 조절하면서 시린지 내의 압력이 기준압력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종래기술에 비하여, 시린지(72) 내의 페이스트의 양을 측정하는 과정에서의 오차의 발생을 줄일 수 있고, 요구되는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에서, 시린지(72) 내의 페이스트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측정유닛(120)은, 제2지지부재(62)로부터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걸림부재(121)와, 제3지지부재(63)로부터 제1걸림부재(121)를 향하여 Y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제3지지부재(63)가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연결부재(641)와 제2연결부재(642)가 서로 이격되도록 제1걸림부재(121)에 걸리는 제2걸림부재(122)와, 제1걸림부재(121)와 제2걸림부재(122) 사이에 개재되는 무게측정센서(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걸림부재(121)와 제2걸림부재(122)는 연결부(64)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무게측정센서(123)는 가해진 하중에 따른 변형량을 전기신호로 검출하고, 검출된 전기신호를 근거로 가해진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load cell)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무게측정센서(123)가 로드셀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전기식 또는 전자식 센서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2구동부(82)의 동작에 의하여 제3지지부재(63)가 하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걸림부재(121)가 제2걸림부재(122)에 걸리기 전까지는 제2연결부재(642)의 상측에 제1연결부재(642)가 접촉된 상태, 즉, 제3지지부재(63)가 제1연결부재(641)를 통하여 제2연결부재(642)에 매달린 상태로 제3지지부재(63)가 하측방향으로 이동하지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부재(121)에 제2걸림부재(122)가 걸리는 경우에는, 제3지지부재(63)와 제1연결부재(641)의 하측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며, 제1연결부재(641)가 정지된 상태로 제2연결부재(642)가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연결부재(641)와 제2연결부재(642)가 서로 이격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제3지지부재(63)의 무게는 제2지지부재(62)에 전달되지 아니하며 제1걸림부재(121)와 제2걸림부재(122) 사이에 개재된 무게측정센서(123)에 제3지지부재(63)의 무게가 가해진다.
이때, 무게측정센서(123)는, 시린지(72)의 무게, 노즐(73)의 무게 및 시린지(72) 내의 페이스트의 무게를 포함한 전체무게를 측정하고, 제어유닛은 무게측정센서(123)에서 측정한 전체의 무게와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제외한 구성부품의 무게의 차를 구하여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측정한다. 그리고, 제어유닛은 시린지(72) 내의 페이스트의 무게와 온도 및/또는 압력에 따른 페이스트의 비중량으로부터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헤드유닛(60)에 무게측정유닛(120)을 구비하고, 무게측정유닛(120)으로 시린지(72) 내의 페이스트의 무게를 측정하는 것을 통하여 시린지(72) 내의 페이스트의 양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그 구성을 단순화 시킬 수 있고, 시린지(72) 내의 페이스트의 양을 측정하는 과정에서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에서, 시린지(72) 내의 페이스트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측정유닛(130)은, 기판(S)이 탑재되는 스테이지(30)에 배치되는 지지부(131)와, 지지부(131)에 상측을 향하여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무게측정센서(1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게측정센서(123)는 가해진 하중에 따른 변형량을 전기신호로 검출하고, 검출된 전기신호를 근거로 가해진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load cell)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무게측정센서(123)가 로드셀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전기식 또는 전자식 센서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노즐(73)을 무게측정센서(132)의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제1구동부(81)를 동작시켜 제2지지부재(63) 및 제3지지부재(63)를 하측방향 으로 이동시키면, 노즐(73)이 무게측정센서(132)의 상측에 접촉되기 전까지는 제2연결부재(642)의 상측에 제1연결부재(642)가 접촉된 상태로 제2지지부재(62) 및 제3지지부재(63)가 함께 하강하지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지지부재(63)가 하강하여 노즐(73)이 무게측정센서(132)의 상측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제3지지부재(63)의 하강이 제한되며, 제1연결부재(641)가 정지된 상태로 제2연결부재(642)가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1연결부재(641)와 제2연결부재(642)가 서로 이격된다. 제1연결부재(641)와 제2연결부재(642)의 이격을 위하여 제2구동부(82)가 제1구동부(81)와 함께 또는 단독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제3지지부재(63)의 무게는 제2지지부재(62)에 전달되지 아니하며, 제3지지부재(63)의 무게는 노즐(73)을 통하여 무게측정센서(132)에 가해진다.
이때, 무게측정센서(132)는, 시린지(72)의 무게, 노즐(73)의 무게 및 시린지(72) 내의 페이스트의 무게를 포함한 전체무게를 측정하고, 제어유닛은 무게측정센서(132)에서 측정한 전체의 무게와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제외한 구성부품의 무게의 차를 구하여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측정한다. 그리고, 제어유닛은 시린지(72) 내의 페이스트의 무게와 온도 및/또는 압력에 따른 페이스트의 비중량으로부터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을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테이지(30)에 구비된 무게측정센서(132)에 노즐(73)을 접촉한 상태에서 노즐(73)을 통하여 무게측정센서(132)에 가해지는 시린지(72)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노즐(73)을 무게측정센서(132)에 접촉시키기 위하여 노즐(73)을 무게측정센서(132)에 접촉되는 위치로 정확하게 이동 및 정렬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무게측정유닛(130)에는 노즐(73)이 무게측정센서(132)에 접촉되는 위치에 정렬되도록 노즐(73)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수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측정센서(132)의 주위에 설치되며, 레이저변위센서(71)의 발광부에서 발광되는 레이저를 수광하는 수광센서(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어유닛은 레이저변위센서(71)의 발광부에서 발광되는 레이저가 수광센서(133)에 수광될 수 있도록 헤드유닛(6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통하여 노즐(73)을 무게측정센서(132)에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이동 및 정렬시킬 수 있다.
또한, 안내수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측정센서(132)의 주위에 형성되며, 헤드유닛(60)에 구비되는 촬상장치(75)에 의하여 촬상되는 기준마크(1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어유닛은 촬상장치(75)로 촬상된 기준마크(134)의 이미지를 근거로 촬상장치(75)가 기준마크(134)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헤드유닛(60)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통하여 노즐(73)을 무게측정센서(132)에 접촉될 수 있는 위치에 이동 및 정렬시킬 수 있다.
한편, 안내수단으로, 상기한 수광센서(133) 및 기준마크(134)가 모두 적용될 수 있으며, 수광센서(133) 또는 기준마크(134) 중 어느 하나만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는, 스테이 지(30)에 구비된 무게측정유닛(130)을 구비하고, 이 무게측정유닛(130)으로 시린지(72) 내의 페이스트의 무게를 측정하는 것을 통하여 시린지(72) 내의 페이스트의 양을 검출할 수 있으므로, 그 구성을 단순화 시킬 수 있고, 시린지(72) 내의 페이스트의 양을 측정하는 과정에서의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헤드유닛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의 헤드유닛의 위치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1의 페이스트 디스펜서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헤드유닛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헤드유닛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무게측정유닛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0: 헤드유닛 64: 연결부
71: 레이저변위센서 72: 시린지
73: 노즐 110, 120, 130: 무게측정유닛

Claims (14)

  1. 페이스트가 충진되는 시린지가 구비되는 헤드유닛;
    상기 시린지 및 상기 시린지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측정하기 위한 무게측정유닛; 및
    상기 무게측정유닛에서 측정된 무게를 근거로 상기 시린지 내의 페이스트의 양을 검출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측정유닛은 상기 헤드유닛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은,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에 Z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레이저변위센서가 구비되는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에 대하여 단독으로 Z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시린지가 구비되는 제3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3지지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무게측정유닛은 상기 연결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2지지부재로부터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3지지부재로부터 Y축방향으로 상기 제1연결부재를 향하여 연장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측정유닛은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상기 시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을 기준으로 상기 시린지 내의 최적압력을 산출하고, 산출된 최적압력으로 상기 시린지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유닛은,
    제1지지부재;
    상기 제1지지부재에 Z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레이저변위센서가 구비되는 제2지지부재;
    상기 제2지지부재에 Z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시린지가 구비되는 제3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3지지부재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2지지부재로부 터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3지지부재로부터 상기 제1연결부재를 향하여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게측정유닛은,
    상기 제2지지부재로부터 Y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걸림부재;
    상기 제3지지부재로부터 상기 제1걸림부재를 향하여 Y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3지지부재가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1연결부재와 상기 제2연결부재가 서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1걸림부재에 걸리는 제2걸림부재; 및
    상기 제1걸림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무게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측정유닛은 기판이 탑재되는 스테이지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측정유닛은, 상기 시린지와 연통되는 노즐과 접촉되어 상기 시린지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측정하는 무게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측정유닛은,
    상기 노즐이 상기 무게측정센서에 접촉되는 위치에 정렬되도록 상기 노즐을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헤드유닛에 구비되는 촬상장치에 의하여 촬상되도록 상기 무게측정센서의 주위에 형성되는 기준마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무게측정센서의 주위에 형성되며, 상기 헤드유닛에 구비되는 레이저변위센서의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레이저를 수광하는 수광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12. (a) 페이스트가 충진된 시린지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에서 측정된 무게로부터 상기 시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에서 측정된 무게를 기준으로 상기 시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을 검출하는 단계;
    (d) 상기 (c) 단계에서 검출된 상기 시린지 내에 충진된 페이스트의 양을 기준으로 상기 시린지 내의 최적압력을 산출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산출된 상기 시린지 내의 최적압력으로 상기 시린지 내의 압력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페이스트가 노즐로부터 토출되는 상태에서의 상기 시린지 내의 최적압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페이스트가 노즐로부터 토출되지 않는 상태에서의 상기 시린지 내의 최적압력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
KR1020090117934A 2009-12-01 2009-12-01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KR101107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934A KR101107499B1 (ko) 2009-12-01 2009-12-01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934A KR101107499B1 (ko) 2009-12-01 2009-12-01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320A KR20110061320A (ko) 2011-06-09
KR101107499B1 true KR101107499B1 (ko) 2012-01-31

Family

ID=44395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934A KR101107499B1 (ko) 2009-12-01 2009-12-01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749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9666B1 (ko) 2006-04-04 2006-08-0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페이스트 도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070074269A (ko) * 2006-01-09 2007-07-12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페이스트 도포장치의 디스펜스 헤드
KR100778146B1 (ko) 2006-02-06 2007-11-2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평판 디스플레이용 디스펜서의 헤드 유닛
KR100794641B1 (ko) 2006-10-27 2008-01-14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디스펜서의 액체 잔량 검출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4269A (ko) * 2006-01-09 2007-07-12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페이스트 도포장치의 디스펜스 헤드
KR100778146B1 (ko) 2006-02-06 2007-11-2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평판 디스플레이용 디스펜서의 헤드 유닛
KR100609666B1 (ko) 2006-04-04 2006-08-08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페이스트 도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794641B1 (ko) 2006-10-27 2008-01-14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디스펜서의 액체 잔량 검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320A (ko)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284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KR100710683B1 (ko) 씰런트 디스펜서
CN101444773B (zh) 检测涂胶机的喷孔和激光位移传感器的光点的位置的位置检测设备和方法
KR101110019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
KR101129193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제어방법
KR20120069141A (ko) 노즐세정장치 및 노즐세정장치가 구비되는 페이스트 디스펜서
KR100752237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노즐과 갭 센서 사이의 거리 측정방법
KR100807824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KR101074666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페이스트 도포방법
KR20110059398A (ko) 도포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110017B1 (ko) 액체 잔량 검출장치
KR101871171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JP2008126175A (ja) 液状体配置方法、デバイスの製造方法、液状体吐出装置
KR101107499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CN108393212B (zh) 分配装置
KR101346782B1 (ko) 실런트 도포 상태에 근거한 액정 적하량 결정 방법
KR20110028778A (ko) 페이스트 도포방법
KR100825990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높이측정용 변위센서
KR101196721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61325A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KR100984157B1 (ko) 씰런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KR100984156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높이측정용 변위센서
CN102085505A (zh) 控制密封胶涂布机的方法
KR101096710B1 (ko) 액정표시장치용 시일재 도포장치를 사용한 시일재 도포방법
KR20080079400A (ko) 배향막 인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