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4641B1 - 디스펜서의 액체 잔량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펜서의 액체 잔량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4641B1
KR100794641B1 KR1020060105057A KR20060105057A KR100794641B1 KR 100794641 B1 KR100794641 B1 KR 100794641B1 KR 1020060105057 A KR1020060105057 A KR 1020060105057A KR 20060105057 A KR20060105057 A KR 20060105057A KR 100794641 B1 KR100794641 B1 KR 100794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syringe
pressure
time
measu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60105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4641B1/ko
Priority to TW096140412A priority patent/TWI335243B/zh
Priority to CNB2007101651245A priority patent/CN100523962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4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4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1/896Optical defects in or on transparent materials, e.g. distortion, surface flaws in conveyed flat sheet or ro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69Arrangements or methods for testing or calibrating a device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펜서의 액체 잔량 검출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를 소정 패턴으로 도포하는 디스펜서에 있어 액체의 잔량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a) 액체가 완전히 충전된 완충 시린지와, 액체가 전혀 없는 빈 시린지 내로 일정한 압력을 갖는 가스를 각각 공급하기 시작하여 목표 압력에 도달하기까지 시간에 따른 가스 압력을 검출하는 과정에서, 설정된 시작 시점부터 기준 압력에 도달한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 (b) 액체의 잔량을 검출하고자하는 검출대상 시린지 내로 (a) 단계에서와 동일한 압력을 갖는 가스를 공급하기 시작하여 목표 압력에 도달하기까지 시간에 따른 가스 압력을 검출하는 과정에서, (a) 단계에서와 동일하게 설정된 시작 시점부터 기준 압력에 도달한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b) 단계에서 검출대상 시린지에 대해 측정된 시간을 (a) 단계에서 완충 시린지와 빈 시린지에 대해 각각 측정된 시간과 대비하여 액체의 잔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펜서의 액체 잔량 검출방법{Method for checking residual quantity of liquid of dispens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잔량 검출방법이 적용되는 디스펜서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의 액체 잔량 검출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3은 도 2의 액체 잔량 검출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1..노즐 112..시린지
113..토출 밸브 121..레귤레이터
122..가스공급 밸브 123..압력 센서
본 발명은 각종 평판 디스플레이 제조에 있어 액체를 소정 패턴으로 도포하는 디스펜서에 있어서, 액체의 잔량을 검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 FPD)란 브라운관을 채용 한 텔레비전이나 모니터보다 두께가 얇고 가벼운 영상표시장치를 일컫는다. 이러한 평판 디스플레이로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lasma Display Panel; PDP), 전계방출 디스플레이(Field Emission Display; FED), 유기 EL(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등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액정 디스플레이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액정 셀들에 화상정보에 따른 데이터신호를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액정 셀들의 광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표시장치로서, 얇고 가벼우며 소비전력과 동작 전압이 낮은 장점 등이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 디스플레이에 일반적으로 채용되는 액정 패널의 제조 방법을 일 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부 글라스 기판에 컬러 필터 및 공통 전극을 패턴 형성하고, 상부 글라스 기판과 대향이 되는 하부 글라스 기판에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 및 화소 전극을 패턴 형성한다.
이어서, 기판들에 각각 배향막을 도포한 후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층의 액정분자에 프리틸트 각(pretilt angle)과 배향 방향을 제공하기 위해 배향막을 러빙(Rubbing)한다. 그리고, 기판들 사이의 갭을 유지하는 한편 액정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고 기판들 사이를 밀봉시킬 수 있도록 어느 하나의 기판에 실런트(sealant) 도포장치라는 디스펜서에 의해 페이스트 상태의 실런트를 소정 패턴으로 도포한다.
그 다음, 기판들 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한 후 액정 패널을 제조하게 된다. 이때, 액정층을 형성하는 방식으로는 일 예로 액정적하 방식이 있다. 액정적하 방식이란 기판의 실런트에 의해 한정된 공간에 액정적하장치라는 디스펜서에 의해 액정을 적하하여 액정층을 형성한 다음, 기판들 사이를 합착한 후 실런트를 경화시켜 접합하는 방식이다.
이처럼 액정 패널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실런트를 소정 패턴으로 도포하거나 액정을 적하하는 도포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도포 작업은 노즐을 기판에 대해 상대 이동시키면서, 노즐로부터 실런트나 액정과 같은 액체가 토출될 수 있도록, 시린지 내로 소정 압력을 갖는 가스 등을 공급하여 시린지 내의 액체에 토출 압력을 가하는 한편, 시린지로부터 노즐로 공급되는 액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과정을 거쳐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도포 작업에 의해 액체를 토출시키다 보면, 시린지 내에 저장된 액체의 양은 점차 줄어들게 된다. 만일, 도포 작업을 수행하던 중에 시린지 내의 액체가 완전히 소모되면, 기판 상에 실런트가 단선되거나 액정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가 발생하게 되므로, 액정 패널의 불량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도포 작업이 종료된 다음, 후속 도포 작업을 시작하기에 앞서 새로운 시린지의 교체나, 시린지 내의 액체에 목표하는 압력 값으로 압력을 가하기 위해 공급되는 가스 공급량 설정 등을 위해, 시린지에 남아있는 액체의 잔량을 항시 확인해둘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종래에 따르면, 시린지 내의 액체 잔량을 검출하기 위해, 시린지 내의 액체 수위를 직접 검출하도록 된 예가 있으나, 이 경우 액체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이 추가로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추가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액체 수위를 검출하기 위한 수단을 액체 잔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시린지마다 장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를 수 있으며, 장착시 잘못 장착되면 액체 잔량 값이 부정확하게 검출될 우려가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액체 잔량 값이 부정확하게 검출되면, 새로운 시린지의 교체가 너무 늦게 이루어진 경우에는 액정 패널의 불량이 유발될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새로운 시린지의 교체가 너무 빨리 이루어진 경우에는 액체의 낭비가 있을 수 있다. 또한, 검출된 액체 잔량 값과 실제로 남아 있는 액체 잔량 값 간에 큰 오차가 있게 되면, 검출된 액체 잔량 값을 기준으로 가스 공급량을 설정하는 경우, 실제로 액체에 가해지는 압력이 목표 압력과 큰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즉, 검출된 액체 잔량 값이 실제로 남아 있는 액체 잔량 값보다 큰 경우에는, 가스 공급량이 과한 상태이므로, 실제로 액체에 가해지는 압력이 목표 압력보다 높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검출된 액체 잔량 값이 실제로 남아 있는 액체 잔량 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가스 공급량이 부족한 상태이므로, 실제로 액체에 가해지는 압력이 목표하는 압력보다 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액체가 설정된 양으로 일정하게 토출될 수 없는 바, 액정 패널의 불량이 야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액체의 잔량 검출을 위한 별도의 수단 없이 액체에 토출력을 제공하는 정압공급수단을 이용하더라도 액체의 잔량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디스펜서의 액체 잔량 검출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펜서의 액체 잔량 검출방법은, 액체를 소정 패턴으로 도포하는 디스펜서에 있어 액체의 잔량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a) 액체가 완전히 충전된 완충 시린지와, 액체가 전혀 없는 빈 시린지 내로 일정한 압력을 갖는 가스를 각각 공급하기 시작하여 목표 압력에 도달하기까지 시간에 따른 가스 압력을 검출하는 과정에서, 설정된 시작 시점부터 기준 압력에 도달한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 (b) 액체의 잔량을 검출하고자하는 검출대상 시린지 내로 상기 (a) 단계에서와 동일한 압력을 갖는 가스를 공급하기 시작하여 목표 압력에 도달하기까지 시간에 따른 가스 압력을 검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a) 단계에서와 동일하게 설정된 시작 시점부터 기준 압력에 도달한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검출대상 시린지에 대해 측정된 시간을 상기 (a) 단계에서 완충 시린지와 빈 시린지에 대해 각각 측정된 시간과 대비하여 액체의 잔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 잔량 검출방법이 적용되는 디스펜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디스펜서(100)는 각종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함에 있어서 기판(10) 상에 액체를 소정 패턴으로 도포하는 것으로, 노즐(111)을 구비한다.
상기 노즐(111)은 기판(1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이를 위해, 노즐(111)은 헤드 유닛(11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헤드 유닛(110)은 프레임(101) 상에 일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헤드 지지부(102)에 지지가 될 수 있다. 또한, 헤드 유닛(110)은 헤드 지지부(102)의 이동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헤드 유닛(110)에 장착된 노즐(111)이 기판(10)에 대해 상대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노즐(1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판(10)에 대해 상대 이동하면서, 실런트(sealant)나 액정과 같은 액체가 저장된 시린지(syringe, 112)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아 기판(10) 상에 토출한다. 상기 노즐(111)로부터의 액체 토출을 제어하기 위해, 노즐(111)과 시린지(112) 사이에서 토출 밸브(11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 밸브(113)는 노즐(111)과 시린지(112) 사이에서 액체의 흐름을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토출 밸브(113)는 기판(10) 상에 액체를 토출시킬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노즐(111)로부터 액체가 토출되지 않게 막는 한편, 기판(10) 상에 액체를 토출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만 노즐(111)로부터 액체가 토출될 수 있게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111)을 통해 액체가 토출될 수 있도록 액체에 토출력을 제공하는 정압공급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정압공급수단은 시린지(112) 내의 액체에 목표하는 압력 값으로 압력이 가해지도록 소정 압력을 갖는 가스를 공급할 수 있게 구성된다. 예컨대, 정압공급수단은 레귤레이터(regulator, 121)와, 가스공급 밸브(122), 및 압력 센서(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귤레이터(121)는 공기나 질소 등과 같은 가스를 공급받아서 일정한 압력으로 조정하며, 압력 조정이 완료된 가스를 시린지(112) 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스공급 밸브(122)는 레귤레이터(121)와 시린지(112) 사이에서 레귤레이터(121)로부터 시린지(112)로 공급되는 가스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압력 센서(123)는 시린지(112) 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액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압력 센서(123)는 레귤레이터(121)로부터 시린지(112)로 가스가 공급되어 시린지(112) 내의 압력이 점차 상승하는 과정에서 시린지(112) 내의 압력 값이 목표하는 압력 값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가스공급 밸브(122)에 의한 가스 공급이 제어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디스펜서(100)에 의해 액체가 토출되다 보면, 시린지(112) 내에 저장된 액체의 양이 점차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도포 작업이 종료된 다음, 후속 도포 작업을 시작하기에 앞서 새로운 시린지의 교체나, 시린지(112) 내의 액체에 목표하는 압력 값으로 압력을 가하기 위해 공급되는 가스 공급량 설정 등을 위해, 시린지(112)에 남아있는 액체의 잔량을 검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체의 잔량을 검출하는 방법은 액체에 토출력을 가하는 정압공급수단에 의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 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S210 단계에서는, 완충 시린지와 빈 시린지의 각 경우에 대해 설정된 시작 시점(ST)부터 기준 압력(SP)에 도달한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FT)(ET)을 각각 측정한다. 여기서, 완충 시린지는 액체가 완전히 충전된 상태의 시린지에 해당하며, 빈 시린지는 액체가 전혀 없는 상태의 시린지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정압공급수단에 의하여 완충 시린지 내로 일정한 압력을 갖는 가스를 공급하기 시작하여 목표 압력(TP)에 도달할 때까지 시간에 따른 완충 시린지 내의 압력 변화를 검출한다. 시간에 따른 완충 시린지 내의 압력 변화는 도 3에 도시된 (ⅰ) 그래프에서처럼 시간에 따른 압력 데이터로 획득될 수 있다. 이렇게 시간에 따른 압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설정된 시작 시점(ST)부터 기준 압력(SP)에 도달한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FT)을 측정하게 된다. 여기서, 설정된 시작 시점(ST)은 가스를 공급하기 시작한 시점에 해당하거나, 가스를 공급하기 시작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지난 시점에 해당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빈 시린지 내로 일정한 압력을 갖는 가스를 공급하기 시작하여 목표 압력(TP)에 도달할 때까지 시간에 따른 빈 시린지 내의 압력 변화를 검출한다. 이때, 빈 시린지 내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은 전술한 완충 시린지 내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시간에 따른 빈 시린지 내의 압력 변화는 전술한 완충 시린지의 경우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ⅱ) 그래프에서처럼 시간에 따른 압력 데이터로 획득될 수 있다. 이렇게 시간에 따른 압력 데이터를 획득 하는 과정에서, 설정된 시작 시점(ST)부터 기준 압력(SP)에 도달한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ET)을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빈 시린지에 대해 측정된 시간(ET)은 앞서 설명한 완충 시린지에 대해 측정된 시간(FT)과는 차이를 보이게 된다. 그 이유는, 빈 시린지는 액체가 전혀 없는 상태인 반면, 완충 시린지는 액체가 완전히 충전된 상태이므로, 빈 시린지의 경우가 완충 시린지의 경우보다 기준 압력(SP)에 도달하기까지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완충 시린지와 빈 시린지의 각 경우에 대해 기준 압력(SP)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FT)(ET)을 미리 측정해 두는 것은, 후술하겠지만 검출대상 시린지 내에 있는 액체의 잔량을 산출하는데 이용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과정을 거쳐 완충 시린지와 빈 시린지의 각 경우에 대해 기준 압력(SP)에 도달한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FT)(ET)을 각각 측정해 둔 상태에서, S220 단계에서는, 액체의 잔량을 검출하고자하는 검출대상 시린지에 대해 설정된 시작 시점(ST)부터 기준 압력(SP)에 도달한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한다. 이때, 완충 시린지와 빈 시린지의 각 경우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기준 압력(SP)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된 시간(CT)을 측정하게 된다.
즉, 검출대상 시린지 내로 일정한 압력을 갖는 가스를 공급하기 시작하여 목표 압력(TP)에 도달할 때까지 시간에 따른 검출대상 시린지 내의 압력 변화를 검출한다. 이때, 검출대상 시린지 내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은 전술한 완충 시린지와 빈 시린지 내로 공급되는 가스의 압력과 동일하게 설정된다. 시간에 따른 검출대 상 시린지 내의 압력 변화는 전술한 완충 시린지와 빈 시린지의 각 경우와 같이, 도 3에 도시된 (ⅲ) 그래프에서처럼 시간에 따른 압력 데이터로 획득될 수 있다. 이렇게 검출대상 시린지에 대해 시간에 따른 압력 데이터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설정된 시작 시점(ST)부터 기준 압력(SP)에 도달한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CT)을 측정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검출대상 시린지에 대해 측정된 시간(CT)은 빈 시린지에 대해 측정된 시간(ET)과 완충 시린지에 대해 측정된 시간(FT) 사이의 구간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검출대상 시린지의 액체의 잔량 값이 완충 시린지의 액체의 최대 값과 빈 시린지의 액체의 최소 값 사이에 있으므로, 기준 압력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CT) 또한 빈 시린지에 대해 측정된 시간(ET)과 완충 시린지에 대해 측정된 시간(FT) 사이의 구간에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완충 시린지, 빈 시린지, 및 검출대상 시린지의 각 경우에 있어서, 시간(FT)(ET)(CT) 측정의 기준이 되는 기준 압력(SP)은 가스 공급과 압력 측정이 충분히 안정화된 시점에 상응하는 압력 값으로 설정될 필요가 있다. 이는 액체의 잔량을 더욱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기준 압력(SP)이 목표 압력(TP)의 90% 내지 100% 사이의 어느 한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기준 압력(SP)이 목표 압력(TP)의 90%로 설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정압공급수단에 의해 시린지 내로 일정한 압력의 가스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측정된 압력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액체의 잔량을 검 출하게 되므로, 액체 수위를 검출하는 수단과 같은 별도의 액체 잔량을 검출하는 수단이 마련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추가적인 비용과, 액체 수위를 검출하는 수단의 장착에 따른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을뿐더러, 액체 수위를 검출하는 수단이 잘못 장착됨으로 인해 액체의 잔량이 부정확하게 검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바, 종래에 비해 액체의 잔량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새로운 시린지의 교체가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도포 불량이 사전에 방지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액체의 낭비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검출된 액체 잔량 값과 실제로 남아 있는 액체 잔량 값 간에 차이가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검출된 액체 잔량 값을 기준으로 가스 공급량을 설정하는 경우, 실제로 액체에 가해지는 압력과 목표 압력(TP)과의 차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가 설정된 양으로 일정하게 토출될 수 있으므로, 양질의 도포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검출대상 시린지에 대해 기준 압력(SP)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된 시간(CT)을 측정한 다음, S230 단계에서는, 측정된 시간(CT)을 완충 시린지와 빈 시린지에 대해 각각 측정된 시간(FT)(ET)과 대비하여 액체의 잔량을 검출한다. 이때, 액체의 잔량(RQ)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됨으로써 검출될 수 있다.
Figure 112006078302167-pat00001
여기서, ET는 빈 시린지에 대해 측정된 시간, FT는 완충 시린지에 대해 측정 된 시간, CT는 검출대상 시린지에 대해 측정된 시간, TQ는 완충 시린지에 충전된 액체의 총량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 수학식 1은 검출대상 시린지에 대해 측정된 시간(CT)을 빈 시린지에 대해 측정된 시간(ET)과 완충 시린지에 대해 측정된 시간(FT)과 대비하여 어느 정도에 해당하는지 계산한 다음, 완충 시린지에 충전된 액체의 총량(TQ)과 곱하게 되면, 액체의 잔량(RQ)을 산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검출대상 시린지가 완충 시린지의 상태에 있는 경우, 검출대상 시린지에 대해 측정된 시간(CT)은 완충 시린지에 대해 측정된 시간(FT)과 동일할 것이므로, 이를 수학식 1에 대입하면, 검출대상 시린지의 액체의 잔량(RQ)은 완충 시린지에 충전된 액체의 총량(TQ)과 동일한 값으로 계산됨을 확인해볼 수 있다. 만일, 검출대상 시린지 내의 액체의 양이 점차 감소하여 빈 시린지의 상태가 되면, 검출대상 시린지에 대해 측정된 시간(CT)은 빈 시린지에 대해 측정된 시간(ET)과 동일할 것이므로, 이를 수학식 1에 대입하면, 검출대상 시린지의 액체의 잔량은 O의 값을 갖게 됨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즉, 검출대상 시린지에 대해 기준 압력(SP)에 도달하기까지 소요된 시간(CT)을 측정하여 이를 수학식 1에 대입한다면, 액체의 잔량(RQ)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첫째, 액체에 토출력을 제공하는 정압공급수단에 의해 시린지 내로 가스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측정된 압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액체의 잔량을 검출하므로, 액체 수위를 검출하는 수단과 같은 별도의 액체 잔량을 검출하는 수단이 마련될 필요가 없다.
둘째, 종래와 달리 액체의 잔량 검출을 위해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지 않을뿐더러, 액체 수위를 검출하는 수단의 장착에 따른 불편함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셋째, 액체 수위를 검출하는 수단이 잘못 장착됨으로 인해 액체의 잔량이 부정확하게 검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바, 액체의 잔량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액체 잔량 값이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는바, 새로운 시린지의 교체가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어, 도포 불량이 사전에 방지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액체의 낭비가 방지될 수 있다.
다섯째, 검출된 액체 잔량 값과 실제로 남아 있는 액체 잔량 값 간에 오차가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실제로 액체에 가해지는 압력과 목표 압력과의 차이 또한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가 설정된 양으로 일정하게 토출될 수 있는바, 양질의 도포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 다.

Claims (5)

  1. 삭제
  2. 액체를 소정 패턴으로 도포하는 디스펜서에 있어 액체의 잔량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a) 액체가 완전히 충전된 완충 시린지와, 액체가 전혀 없는 빈 시린지 내로 일정한 압력을 갖는 가스를 각각 공급하기 시작하여 목표 압력에 도달하기까지 시간에 따른 가스 압력을 검출하는 과정에서, 설정된 시작 시점부터 기준 압력에 도달한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을 각각 측정하는 단계;
    (b) 액체의 잔량을 검출하고자하는 검출대상 시린지 내로 상기 (a) 단계에서와 동일한 압력을 갖는 가스를 공급하기 시작하여 목표 압력에 도달하기까지 시간에 따른 가스 압력을 검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a) 단계에서와 동일하게 설정된 시작 시점부터 기준 압력에 도달한 시점까지 소요된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검출대상 시린지에 대해 측정된 시간을 상기 (a) 단계에서 완충 시린지와 빈 시린지에 대해 각각 측정된 시간과 대비하여 액체의 잔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에서 액체의 잔량(RQ)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액체 잔량 검출방법.
    <수학식 1>
    Figure 112007026223680-pat00002
    여기서, ET는 빈 시린지에 대해 측정된 시간, FT는 완충 시린지에 대해 측정된 시간, CT는 검출대상 시린지에 대해 측정된 시간, TQ는 완충 시린지에 충전된 액체의 총량을 각각 나타낸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압력은 목표 압력의 90% 내지 100% 사이의 어느 한 값으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액체 잔량 검출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압력은 목표 압력의 90%로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액체 잔량 검출방법.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는 실런트와 액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펜서의 액체 잔량 검출방법.
KR1020060105057A 2006-10-27 2006-10-27 디스펜서의 액체 잔량 검출방법 KR100794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057A KR100794641B1 (ko) 2006-10-27 2006-10-27 디스펜서의 액체 잔량 검출방법
TW096140412A TWI335243B (en) 2006-10-27 2007-10-26 Method for measuring a balance of liquid remaining in a syringe provided to a paste dispenser
CNB2007101651245A CN100523962C (zh) 2006-10-27 2007-10-29 测量设置于糊状物分配器的注射器中剩余液体余量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057A KR100794641B1 (ko) 2006-10-27 2006-10-27 디스펜서의 액체 잔량 검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4641B1 true KR100794641B1 (ko) 2008-01-14

Family

ID=39159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057A KR100794641B1 (ko) 2006-10-27 2006-10-27 디스펜서의 액체 잔량 검출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794641B1 (ko)
CN (1) CN100523962C (ko)
TW (1) TWI33524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499B1 (ko) 2009-12-01 2012-01-3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KR101110017B1 (ko) 2009-09-14 2012-02-29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체 잔량 검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96623B (zh) * 2013-07-09 2015-08-21 All Ring Tech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the amount of residual glue in valve
CN112974169B (zh) * 2021-04-29 2021-07-27 常州高凯电子有限公司 一种基于胶体剩余量的时间压力智能控制方法
CN113600439A (zh) * 2021-07-29 2021-11-05 深圳市世宗自动化设备有限公司 点胶系统液位测量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其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607A (ja) * 1993-08-20 1995-02-28 Sanyo Electric Co Ltd 塗布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607A (ja) * 1993-08-20 1995-02-28 Sanyo Electric Co Ltd 塗布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0017B1 (ko) 2009-09-14 2012-02-29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액체 잔량 검출장치
KR101107499B1 (ko) 2009-12-01 2012-01-31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35243B (en) 2011-01-01
TW200831191A (en) 2008-08-01
CN100523962C (zh) 2009-08-05
CN101135816A (zh) 2008-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4641B1 (ko) 디스펜서의 액체 잔량 검출방법
US68630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liquid crystal
CN101444773B (zh) 检测涂胶机的喷孔和激光位移传感器的光点的位置的位置检测设备和方法
KR100752237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의 노즐과 갭 센서 사이의 거리 측정방법
US7237579B2 (en) Liquid crystal dispensing system
CN100562788C (zh) 分配装置
KR100778147B1 (ko)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용 디스펜싱 장치
KR100807824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JP4578856B2 (ja) 液晶滴下装置及び液晶滴下方法
KR20130076581A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KR100696938B1 (ko) 액정적하장치
KR101110017B1 (ko) 액체 잔량 검출장치
KR101346782B1 (ko) 실런트 도포 상태에 근거한 액정 적하량 결정 방법
TW200411297A (en) Dispens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detecting residual quantity of dispensing material using the same
TW200815108A (en) Nozzle assembly for liquid crystal dispensing apparaus
KR20080002520A (ko) 액정표시소자의 실런트 적하시스템 및 적하방법, 이를이용한 액정표시소자 제조방법
KR101254811B1 (ko) 봉지재 발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210121B2 (en) Central supply system of alignment material and apparatus for forming alignment layer having the same
KR101107499B1 (ko) 페이스트 디스펜서 및 그 제어방법
KR20110001243A (ko) 페이스트 패턴의 리페어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하여 리페어된 페이스트 패턴을 가지는 기판
KR20080079400A (ko) 배향막 인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쇄방법
KR20050122994A (ko) 액정패널의 실런트 적하장치
KR100846621B1 (ko) 액정 공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액정 공급 시스템
KR20030076785A (ko) 액정잔량의 확인이 가능한 액정적하장치 및 액정잔량측정방법
KR20050097623A (ko) 페이스트 적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