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678B1 -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678B1
KR100983678B1 KR1020090129886A KR20090129886A KR100983678B1 KR 100983678 B1 KR100983678 B1 KR 100983678B1 KR 1020090129886 A KR1020090129886 A KR 1020090129886A KR 20090129886 A KR20090129886 A KR 20090129886A KR 100983678 B1 KR100983678 B1 KR 100983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voltage
power supply
double layer
layer capac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주
이문배
임병일
권오준
손진형
Original Assignee
코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9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6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678B1/ko
Priority to PCT/KR2010/007221 priority patent/WO2011078473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using capacitors as storage or buffe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4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adjusting or protecting hybrid or EDL capacitors
    • H01G11/16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adjusting or protecting hybrid or EDL capacitors against electric overloads, e.g. including fu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4Regulation of 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이중층커패시터를 사용하여 수초 내지 수십 초의 짧은 시간동안 충전한 전기에너지를 장시간에 걸쳐서 디지털 회로에 전원으로 공급함으로써 전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세전력용 전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교류전원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전자기기의 미세전력용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교류전원을 직류전압으로 정류시키는 정류회로; 상기 정류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직류전압과 다른 레벨로 변환시키는 충전회로; 상기 충전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회로에서 변환된 직류전압을 충전하는 전기이중층커패시터;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의 충전전압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제어회로; 및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안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디지털 회로에 공급하는 전압변환회로를 포함하는 미세전력용 전원장치를 개시한다.
전기이중층커패시터(EDLC), 정류회로, 제어회로, 충전회로

Description

미세전력용 전원장치{Power supply device of low electric power}
본 발명은 미세전력용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선진국을 중심으로 시간대별 전력 수요와 연동된 가격 체계를 구축함과 함께 전기제품의 동작 시점을 적절히 조절하여 부하를 분산시켜 발전소의 과부하 문제와 잉여전력 문제를 해결하고 수요자에게는 좀 더 저렴한 가격으로 전력을 공급하고자 하는 소위 스마트그리드(smart grid)가 제안되어 상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
비단 스마트그리드(smart grid)의 현실화가 아니더라도 전기, 수도, 가스 등의 통합 계량 시스템이나 통신기술을 이용한 원격검침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적산전력계, 수도 계량기, 가스 계량기 등의 디지털화는 불가피한 추세이다. 이러한 디지털화된 계량기를 비롯하여 상용교류전원을 직접 사용하는 작은 디지털 전자기기는 자체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매우 미미하지만 전원을 공급 받는 상용교류전원의 전압이 매우 높고 전자기기가 사용하는 전압은 매우 낮아서 스위칭 전원장치의 변환효율이 극도로 악화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전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세전력용 전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교류전원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전자기기의 미세전력용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교류전원을 직류전압으로 정류시키는 정류회로; 상기 정류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직류전압과 다른 레벨로 변환시키는 충전회로; 상기 충전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회로에서 변환된 직류전압을 충전하는 전기이중층커패시터;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의 충전전압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제어회로; 및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안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디지털 회로에 공급하는 전압변환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력용 전원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는 수초 내지 수십 초의 제 1 시간 동안 충전되고, 상기 제 1 시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제 2 시간에 걸친 방전을 통해 디지털 회로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정류회로와 상기 충전회로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동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기동회로는 시정수회로, 기동전원회로 및 기동전원 차단회로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기동전원회로는 상기 시정수회로의 트리거에 의해 턴온되어 자기 유지 능력에 의하여 온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기동전원 차단회로에 의하여 턴오프될 수 있다. 상기 기동전원 차단회로는 스위칭전원회로의 출력에 의해 차단시점이 설정될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의 충전전압에 의해 차단시점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동전원회로는 상기 시정수회로에 설정된 시정수동안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전자기기는 교류전원에 최초로 연결될 때 상기 기동회로를 이용하여 작동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충전회로는 상기 정류회로에서 정류된 전압을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에 충전할 수 있는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스위칭전원회로와,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로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과전류제한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전원회로는 바이어스 전류를 내부에서 취할 수 있다.
상기 충전회로는 상기 정류회로에서 정류된 전압을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에 충전할 수 있는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스위칭전원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전원회로는 전류 제한 기능을 보유하거나 정전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충전회로와 상기 제어회로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다이오드는 상기 충전회로의 출력전류를 상기 제어회로에 공급하고,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로부터 상기 제어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전류가 상기 충전회로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와 상기 제어회로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다이오드는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에 충전된 전류를 상기 제어회로에 공급하고, 상기 충전회로로부터 상기 제어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전류가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검지하는 전압검출회로 및 상기 충전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의 충전을 개시하거나 중단하는 전원제어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압검출회로는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제어회로에 충전개시 및 충전중단을 명령할 수 있다.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전자기기가 최초로 교류전원에 연결될 때는 기동회로에서 공급되는 전류에서 전원을 취하고, 스위칭전원회로의 동작이 안정된 후에는 상기 스위칭전원회로에서 공급되는 전류에서 전원을 취하고, 상기 스위칭전원회로가 작동을 중지했을 때는 전기이중층커패시터에서 공급되는 전류에서 전원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교류전원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전자기기의 미세전력용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교류전원을 직류전압으로 정류시키는 정류회로; 상기 정류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직류전압과 다른 레벨로 변환시키는 충전회로; 상기 충전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회로에서 변환된 직류전압을 충전하는 전기이중층커패시터; 및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의 충전전압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는 충전된 전압을 디지털 회로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력용 전원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의 충전개시전압과 충전종료전압은 상기 디지털 회로의 동작 범위 이내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는 전기이중층커패시터를 사용하여 수초 내지 수십 초의 짧은 시간동안 충전한 전기에너지를 장시간에 걸쳐서 디지털 회로에 전원으로 공급함으로써 전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는 변환 전력을 스위칭전원회로 자체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에 비해 상당히 큰 수준까지 키워 변환 효율을 개선함으로써 전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원(110)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디지털 전자기기의 미세전력용 전원장치(100)는 상기 교류전원(110)을 직류전압으로 정류시키는 정류회로(120), 상기 정류회로(120)에서 정류된 직류전압을 다른 레벨로 변환시키는 충전회로(140), 상기 하강된 직류전압을 충전하는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의 충전전압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제어회로(160),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에 충전된 전압을 안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디지털 회로(180)에 공급하는 전압변환회로(17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미세전력용 전원장치(100)는 상기 정류회로(120)와 상기 충전회로(14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동회로(130), 상기 충전회로(140)와 상기 제어회로(16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다이오드(191) 및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와 상기 제어회로(16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다이오드(192)를 포함한다.
상기 정류회로(120)는 상기 교류전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교류전원(110)을 직류전압으로 정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정류회로(120)는 단지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므로, 여기서 정류된 직류전압은 전자기기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보다 상당히 높은 전압이다.
상기 기동회로(130)는 상기 정류회로(120)와 상기 충전회로(14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기동회로(130)는 시정수회로(131), 기동전원회로(132) 및 기동전원 차단회로(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동회로(130)는 디지털 전자기기가 최초로 교류전원(110)에 연결될 때 단 한번만 작동한다. 상기 디지털 전자기기가 교류전원(110)에 처음 연결될 때는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에 충전된 전기에너지가 없기 때문에 상기 디지털 전자기기는 작동을 개시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기동회로(130)는 시정수회로(131)를 통하여 기동전원회로(132)를 가동시켜 제어회로(160)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제어회로(160)는 충전회로(140)를 가동시켜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를 충전시킨다.
상기 시정수회로(131)는 상기 디지털 전자기기가 최초로 교류전원(110)에 연결될 때 상기 기동전원회로(132)를 트리거(trigger) 하거나 또는 상기 기동전원회로(132)가 작동해야 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동전원회로(132)가 작동해야 하는 시간을 시정수라고 한다.
상기 기동전원회로(132)는 상기 정류회로(120)에서 정류된 직류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회로(16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기동전원회로(132)는 상기 시정수회로(131)에 의해 트리거 되어서 온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기동전원 차단회로(133)의 동작에 의해 작동을 중지한다. 또는 상기 시정수회로(131)에 의하여 설정된 시간동안 온 상태를 유지하다가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작동을 중지한다.
상기 기동전원 차단회로(133)는 상기 기동전원회로(132)의 작동을 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기동전원회로(132)는 정류된 높은 직류전압을 사용하여 상기 제어회로(160)에 전원을 공급하므로 전력효율이 낮아 가능한 짧은 시간만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 기동전원 차단회로(133)는 충전회로(140)가 정상적인 동작 상태에 도달하면 상기 기동전원회로(132)의 작동을 중지시켜 전력효율이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동전원 차단회로(133)는 스위칭전원회로(141)의 출력이나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의 충전전압(V)을 측정하여 상기 기동전원회로(132)의 차단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동전원 차단회로(133)는 상기 시정수회로(131)의 시정수를 충분히 길게 설정함으로써 생략될 수 있다. 즉, 상기 시정수회로(131)의 시정수를 스위칭전원회로(132)가 충분한 안정을 찾을 수 있을 만큼 길게 설정함으로써 상기 기동전원 차단회로(133)를 회로도에서 삭제할 수 있다.
상기 충전회로(140)는 상기 정류회로(1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정류회로(120)에서 정류된 직류전압을 다른 레벨로 변환하여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를 충전시킨다. 즉, 상기 정류회로(120)에서 정류된 직류전압은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이므로, 이를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에 충전할 수 있을 정도의 낮은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를 충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충전회로(140)는 스위칭전원회로(141) 및 과전류제한회로(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칭전원회로(141)는 상기 정류회로(120)에서 정류된 높은 전압의 직류전압을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에 충천할 수 있을 정도의 낮은 전압으로 변환한다. 상기 스위칭전원회로(141)의 출력전력을 크게 하고 작동 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과전류제한회로(142)는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에 충전된 전압이 없을 때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로 과대한 전류가 유입되면서 상기 스위칭전원회로(141)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과전류제한회로(142)는 정전류회로, 유도성부하 또는 보호저항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전류제한회로(142)는 상기 스위칭전원회로(141) 내부에 정전류 특성이나 전류제한 특성을 갖도록 만듦으로써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는 상기 충전회로(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회로(140)를 통해 공급되는 직류전류를 충전하고, 전압변환회로(170)를 통하여 디지털 회로(18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는 제 1 시간 동안 충전되고, 상기 제 1 시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제 2 시간에 걸친 방전을 통해 상기 디지털 회로(18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시간은 수초 내지 수십초를 말하고, 상기 제 2 시간은 수시간 내지 수십시간을 말 한다.
상기 제어회로(160)는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에 충전된 전압을 검출하여 충전전압(V)이 충전개시전압(VL)보다 작으면 상기 충전회로(140)를 가동하여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를 충전시키고, 충전전압(V)이 충전종료전압(VH)보다 크면 상기 충전회로(140)의 가동을 중단시켜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의 충전을 중단시킨다. 상기 제어회로(160)는 전압검출회로(162) 및 전원제어회로(1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압검출회로(162)는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에 충전된 전압을 검출하여 전원제어회로(161)에 충전의 개시와 정지를 명령한다.
상기 전원제어회로(161)는 상기 전압검출회로(162)의 명령에 따라 상기 충전회로(140)를 제어하여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에 충전을 실시하거나 중단한다. 이 때, 스위칭전원회로(141)의 작동에 필요한 바이어스 전류를 상기 전원제어회로(161)가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때문에 상기 스위칭전원회로(141)가 작동을 중지했을 때, 교류전원(110)에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은 제로(zero)가 될 수 있다.
상기 전압변환회로(170)는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에 충전된 전압을 안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디지털 회로(18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기이중충커패시터(150)의 충전전압(V)은 충전된 전기 에너지양에 따라서 변동하기 때문에 상기 전압변환회로(170)는 변동이 심한 충전전압(V)을 디지털 회로(180)에서 요구되는 안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상기 디지털 회로(180)에 공급한다. 상기 전압변환회로(170)는 통상 의 정전압회로 또는 직류전압변환회로 등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압변환회로(170)는 상기 디지털 회로(180)가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의 충전전압(V) 변동 범위 안에서 안정된 동작을 할 수 있는 경우에는 생략할 수 있다.
상기 제 1 다이오드(191)는 상기 충전회로(140)와 상기 제어회로(16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회로(140)의 출력전류를 상기 제어회로(160)의 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정수회로(131)의 시정수를 짧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회로(140)는 스위칭전원회로(141)를 말한다.
상기 제 1 다이오드(191)는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로부터 상기 제어회로(160)에 공급되는 전원전류가 상기 충전회로(140)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다이오드(192)는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와 상기 제어회로(16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에 충전된 전류를 상기 제어회로(160)의 전원으로 공급한다.
상기 제 2 다이오드(192)는 상기 충전회로(140)로부터 제어회로(160)에 공급되는 전원전류가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회로(140)는 스위칭전원회로(141)를 말한다. 또한, 상기 제 2 다이오드(192)는 상기 기동회로(130)로부터 제어회로(160)에 공급되는 전원전류가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로 흐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의 변환효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도 1에 도시된 미세전력용 전원장치(100)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1의 시점에 디지털 전자기기를 교류전원(110)에 연결하면 시정수회로(131)는 짧은 시정수의 시간 동안 전류를 흘려 기동전원회로(132)를 트리거하여 상기 기동전원회로(132)를 턴온시킨다. 상기 시정수회로(131)의 트리거에 의해 턴온된 상기 기동전원회로(132)는 정류회로(120)에 의해 정류된 높은 전압의 직류전압을 사용하여 제어회로(160)에 전원전류를 공급한다. 상기 기동전원회로(132)는 기동전원 차단회로(133)가 작동하여 상기 기동전원회로(132)의 작동을 중지시킬 때까지 온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기동전원회로(132)에서 전원을 공급받은 상기 제어회로(160)가 작동을 개시하면 전압검출회로(162)는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의 충전전압(V)을 검출한다. 그러나 아직은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에 충전된 전압이 없기 때문에 상기 전압검출회로(162)는 전원제어회로(161)에 온명령을 전달한다. 상기 전압검출회로(162)로부터 온 명령을 전달받은 상기 전원제어회로(161)는 상기 기동전원회로(132)에서 공급된 전류를 이용하여 스위칭전원회로(141)에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스위칭전원회로(141)를 작동시킨다.
상기 스위칭전원회로(141)는 과전류제한회로(142)를 통하여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를 충전시키고, 한편으로는 제 1 다이오드(191)를 통해서 상기 제어 회로(160)에 전원전류를 공급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전원회로(141)는 기동전원 차단회로(133)에 전압을 공급하여 상기 기동전원 차단회로(133)가 상기 기동전원회로(132)를 차단하여 작동을 중지시킴으로써 미세전력용 전원장치(100)의 전력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때부터 상기 제어회로(160)는 상기 스위칭전원회로(141)에서 상기 제 1 다이오드(191)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서 작동한다.
상기 스위칭전원회로(141)에서 낮은 전압으로 변환된 출력전류는 과전류제한회로(142)를 통해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에 충전된다. 이때 초기의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에는 충전된 전기에너지가 없기 때문에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로 과대한 전류가 유입되면서 상기 스위칭전원회로(141)가 파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과전류제한회로(142)가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로 흐르는 전류를 제한함으로써, 상기 스위칭전원회로(141)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충전회로(140)의 동작으로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는 충전되고, T2의 시점에 이르면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의 충전전압(V)은 충전종료전압(VH)에 도달한다. 상기 충전전압(V)이 충전종료전압(VH)에 도달하면 전압검출회로(162)는 전원제어회로(161)에 오프명령을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전원제어회로(161)는 스위칭전원회로(141)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스위칭전원회로(141)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상기 스위칭전원회로(141)의 작동이 중지되면 교류전원(11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이에 따른 전력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외부에서 감지되는 소비전력은 제로(zero)가 된다. 또한, 상기 스위칭전원회로(141)의 작동이 중지되면 제 1 다이오드(191)를 통하여 공급되 는 전류 역시 차단되고, 이때부터 제어회로(160)는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에서 제 2 다이오드(192)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작동한다. 이렇게 충전회로(140)에서의 전류 공급이 없는 상태에서 디지털 회로(180)가 작동을 하여 전류를 소비하기 때문에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에 충전된 전압은 서서히 하강한다.
T3의 시점에 이르면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의 충전전압(V)은 충전개시전압(VL)에 도달하게 된다. 상기 전압검출회로(162)는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의 충전전압(V)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제어회로(161)에 온명령을 전달한다. 상기 전압검출회로(162)로부터 온명령을 전달받은 상기 전원제어회로(161)는 상기 스위칭전원회로(141)에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여 스위칭전원회로(141)가 작동을 재개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전원회로(141)는 작동을 재개하여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에 충전을 시킨다. 여기서 스위칭전원회로(141)는 충분한 효율을 확보할 수 있을 만큼 큰 전류로 전압을 변환하기 때문에 높은 변환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전원회로(141)는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에 수초 내지 수십초 이내의 짧은 시간동안 충전을 완료시킨 후 작동이 중지되기 때문에 전력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의 충전이 완료된 T4의 시점에서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의 충전전압(V)은 충전종료전압(VH)에 도달한다.
통상적으로 이차전지나 전기이중층커패시터를 충전할 때는 만충전을 되도록 정전류충전으로 적정의 충전전압(V)에 도달한 다음에도 지속적으로 전류를 흘려주는 정전압충전을 실시해야 한다. 그러나 만충전을 위한 정전압충전에서는 충전전류 가 적어 스위칭전원회로의 변환효율이 떨어지고 충전시간이 오래 소요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은 크게 악화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를 충전할 때, 정전류충전만 하고 정전압충전을 제외함으로써 충전시간을 극단적으로 단축하고 충전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의 충전종료전압(VH)은 정전류충전이 종료되는 전압으로 설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미세전력용 전원장치는 높은 전압에서 낮은 전압으로 전압을 변환하는 과장에서 스위칭전원회로가 원활한 동작을 하기 위하여 자체에서 소비되는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출력전력이 미미할 때에는 변환효율이 극도로 악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변환전력을 스위칭전원회로(141) 자체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에 비하여 충분히 큰 수준까지 키워서 변환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T4의 시점에서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의 충전전압(V)이 충전종료전압(VH)에 도달하면, 상기 전압검출회로(162)는 상기 전원제어회로(161)에 오프 명령을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전원제어회로(161)는 상기 스위칭전원회로(141)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스위칭전원회로(141)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 때 외부에서 관측되는 전력 손실은 제로(zero)가 된다. 그리고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는 전압변환회로(170)를 통해 디지털 회로(180)에 전원으로 공급된다. 이 때 상기 디지털 회로(180)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매우 미미한 값이기 때문에 상기 디지털 회로(180)는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수 시간 내지 수십 시간에 걸쳐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100)는 전기이중층커패시터(150)를 사용하여 수초 내지 수십 초의 짧은 시간동안 충전한 전기에너지를 장시간에 걸쳐서 디지털 회로(180)에 전원으로 공급함으로써 전원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100)는 변환전력을 스위칭전원회로(141) 자체에서 소비되는 전력량에 비하여 충분히 큰 수준까지 키워서 변환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미세전력용 전원장치(200)는 도 1에 도시된 미세전력용 전원장치(100)와 유사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원(210)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디지털 전자기기의 미세전력용 전원장치(200)는 상기 교류전원(210)을 직류전압으로 정류시키는 정류회로(220), 상기 정류회로(220)에서 정류된 직류전압을 다른 레벨로 변환시키는 충전회로(240), 상기 하강된 직류전압을 충전하는 전기이중층커패시터(250),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250)의 충전전압(V)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제어회로(260),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250)에 충전된 전압을 안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디지털 회로(280)에 공급하는 전압변환회로(27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미세전력용 전원장치(200)는 상기 정류회로(220)와 상기 충전회로(24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동회로(230) 및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250)와 상기 제어회 로(26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다이오드(292)를 포함한다.
상기 기동회로(230)는 시정수회로(231), 기동전원회로(232) 및 기동전원 차단회로(2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동전원 차단회로(233)는 전기이중층커패시터(250)의 충전전압(V)을 측정하여 상기 기동전원회로(232)의 차단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200)는 스위칭전원회로(241)에서 제어회로(260)로 전류를 공급하는 제 1 다이오드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전기이중층커패시터(250)에 충분한 충전이 이루어질 때까지 기동전원회로(232)가 작동하기 때문에 안정된 기동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기동전원회로(232)가 작동하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기동시의 전력효율이 저하될 수 있지만, 기동회로(230)가 작동하는 것은 디지털 전자기기를 최초로 교류전원(210)에 연결하는 단 한번에 불과하므로 기동시의 전력효율이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미세전력용 전원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된 미세전력용 전원장치(100)와 유사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원(310)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디지털 전자기기의 미세전력용 전원장치(300)는 상기 교류전원(310)을 직류전압으로 정류시키는 정류회로(320), 상기 정류회로(320)에서 정류된 직류전압을 다른 레벨로 변환시키는 충전회로(340), 상기 하강된 직류전압을 충전하는 전기이중층커패시 터(350),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350)의 충전전압(V)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제어회로(360),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350)에 충전된 전압을 안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디지털 회로(380)에 공급하는 전압변환회로(37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미세전력용 전원장치(300)는 상기 정류회로(320)와 상기 충전회로(34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동회로(330), 상기 충전회로(340)와 상기 제어회로(36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다이오드(391) 및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350)와 상기 제어회로(36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다이오드(392)를 포함한다.
상기 기동회로(330)는 시정수회로(331) 및 기동전원회로(3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동회로(330)는 시정수회로(331)의 시정수를 스위칭전원회로(241)가 충분한 안정을 찾을 수 있는 시점까지 길게 함으로써, 기동전원 차단회로가 필요하지 않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회로(300)는 기동회로(330)에서 기동전원 차단회로를 생략하여 회로를 단순화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미세전력용 전원장치(400)는 도 1에 도시된 미세전력용 전원장치(100)와 유사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원(410)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디지털 전자기기의 미세전력용 전원장치(400)는 상기 교류전원(410)을 직류전압으로 정류시키는 정류회로(420), 상기 정류회로(420)에서 정류된 직류전압을 다른 레벨로 변환 시키는 충전회로(440), 상기 하강된 직류전압을 충전하는 전기이중층커패시터(450),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450)의 충전전압(V)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제어회로(460),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450)에 충전된 전압을 안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디지털 회로(480)에 공급하는 전압변환회로(47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미세전력용 전원장치(400)는 상기 정류회로(420)와 상기 충전회로(44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동회로(430) 및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450)와 상기 제어회로(46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다이오드(492)를 포함한다.
상기 기동회로(430)는 시정수회로(431) 및 기동전원회로(4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동회로(430)는 시정수회로(431)의 시정수를 전기이중층커패시터(450)에 적정한 수준의 충전이 이루어질 때까지 길게 함으로써, 기동전원 차단회로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스위칭전원회로(441)에서 제어회로(460)에 전류를 공급하는 제 1 다이오드도 필요하지 않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원회로(400)는 기동전원 차단회로 및 제 1 다이오드를 생략하여 회로를 단순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미세전력용 전원장치(500)는 도 1에 도시된 미세전력용 전원장치(100)와 유사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원(510)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디지털 전자기기의 미세전력용 전원장치(500)는 상기 교류전원(510)을 직류전압으로 정류시 키는 정류회로(520), 상기 정류회로(520)에서 정류된 직류전압을 다른 레벨로 변환시키는 충전회로(540), 상기 하강된 직류전압을 충전하는 전기이중층커패시터(550),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550)의 충전전압(V)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제어회로(560),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550)에 충전된 전압을 안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디지털 회로(580)에 공급하는 전압변환회로(57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미세전력용 전원장치(500)는 상기 정류회로(520)와 상기 충전회로(54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동회로(530), 상기 충전회로(540)와 상기 제어회로(56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다이오드(591) 및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550)와 상기 제어회로(56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다이오드(292)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회로(540)는 스위칭전원회로(541)로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전원회로(541)는 전류제한 기능을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전원회로(541)는 정전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전회로(540)는 과전류제한회로가 필요하지 않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미세전력용 전원장치(600)는 도 1에 도시된 미세전력용 전원장치(100)와 유사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원(610)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디지털 전자기기의 미세전력용 전원장치(600)는 상기 교류전원(610)을 직류전압으로 정류시키는 정류회로(620), 상기 정류회로(620)에서 정류된 직류전압을 다른 레벨로 변환 시키는 충전회로(640), 상기 하강된 직류전압을 충전하는 전기이중층커패시터(650) 및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650)의 충전전압(V)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제어회로(66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미세전력용 전원장치(600)는 상기 정류회로(620)와 상기 충전회로(64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동회로(630), 상기 충전회로(640)와 상기 제어회로(66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다이오드(691) 및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650)와 상기 제어회로(660)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다이오드(692)를 포함한다.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650)에 충전된 전압은 디지털 회로(680)의 전원으로 쓰인다. 상기 디지털 회로(680)는 동작전압의 범위가 넓어서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650)에 충전된 전압을 바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압변환회로가 필요하지 않다. 여기서,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650)의 충전개시전압(VL)과 충전종료전압(VH) 사이의 폭은 상기 디지털 회로(680)의 동작전압 범위 이내로 설정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600)는 전압변환회로를 생략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600)는 전압변환회로를 생략하여 전압변환회로에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도 막을 수 있으므로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미세전력용 전원장치(700)는 도 1에 도시된 미세전력용 전원 장치(100)와 유사하다. 따라서 여기서는 그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원(710)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디지털 전자기기의 미세전력용 전원장치(700)는 상기 교류전원(710)을 직류전압으로 정류시키는 정류회로(720), 상기 정류회로(720)에서 정류된 직류전압을 다른 레벨로 변환시키는 충전회로(740), 상기 하강된 직류전압을 충전하는 전기이중층커패시터(750),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750)의 충전전압(V)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제어회로(760),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750)에 충전된 전압을 안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디지털 회로(780)에 공급하는 전압변환회로(770)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회로(740)는 스위칭전원회로(741) 및 과전류제한회로(7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칭전원회로(741)는 상기 전원제어회로(761)로부터 전류 공급이 없을 때에 언제든지 턴온 될 수 있도록 바이어스 전류를 스위칭전원회로(741) 내에서 공급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전원회로(741)는 전원제어회로(761)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이용하여 스위칭전원회로(741)의 바이어스 전류를 차단하기 때문에 기동회로가 필요하지 않다.
도 2를 참조하여, 도 9에 도시된 미세전력용 전원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1의 시점에서 디지털 전자기기를 최초로 교류전원(710)에 연결하면,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750)에는 충전된 전기 에너지가 없기 때문에 상기 제어회로(76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어회로(760)는 스위칭전원회로(741)를 오프 시킬 수 없으므로 상기 스위칭전원회로(741)는 스스로 턴온하여 작 동을 개시한다. 상기 스위칭전원회로(741)가 작동하면 출력전류는 과전류제한회로(742)를 통하여 전기이중층커패시터(750)에 충전된다.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750)의 충전전압(V)은 상승하고, T2의 시점에서 상기 충전전압(V)은 충전종료전압(VH)에 도달한다. 상기 충전전압(V)이 충전종료전압(VH)에 도달하기 이전에 상기 제어회로(760)는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750)로부터 전원전압을 공급받았기 때문에 동작이 가능하다.
T2의 시점에서 상기 충전전압(V)이 충전종료전압(VH)에 도달하면 전압검출회로(762)는 전원제어회로(761)에 오프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전원제어회로(761)는 스위칭전원회로(741)에 차단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스위칭전원회로(741) 내부에서 공급되고 있는 바이어스 전류를 차단하여 동작을 중지시킨다. 그 후에 상기 충전전압(V)이 충전개시전압(VL)에 도달하면 상기 전원제어회로(761)는 스위칭전원회로(741)에 공급하던 차단전류를 중단시키고, 상기 스위칭전원회로(741)는 턴온되어 작동을 개시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700)는 회로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미세전력용 전원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의 변환효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세전력용 전원장치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110: 교류전원
120: 정류회로 130: 기동회로
131: 시정수회로 132: 기동전원회로
133: 기동전원 차단회로 140: 충전회로
141: 스위칭전원회로 142: 과전류제한회로
150: 전기이중층커패시터 160: 제어회로
161: 전원제어회로 162: 전압검출회로
170: 전압변환회로 180: 디지털 회로
191: 제 1 다이오드 192: 제 2 다이오드

Claims (18)

  1. 교류전원을 사용하여 동작하는 전자기기의 미세전력용 전원장치에 있어서,
    상기 교류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교류전원을 직류전압으로 정류시키는 정류회로;
    상기 정류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직류전압과 다른 레벨로 변환시키는 충전회로;
    상기 충전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충전회로에서 변환된 직류전압을 충전하는 전기이중층커패시터;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의 충전전압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제어회로; 및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안정된 전압으로 변환하여 디지털 회로에 공급하는 전압변환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는 수초 내지 수십 초의 제 1 시간 동안 충전되고, 상기 제 1 시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제 2 시간에 걸친 방전을 통해 디지털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회로와 상기 충전회로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기동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기동회로는 시정수회로, 기동전원회로 및 기동전원 차단회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전원회로는 상기 시정수회로의 트리거에 의해 턴온되어 자기 유지 능력에 의하여 온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기동전원 차단회로에 의하여 턴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전원 차단회로는 스위칭전원회로의 출력에 의해 차단시점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전원 차단회로는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의 충전전압에 의해 차단시점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전원회로는 상기 시정수회로에 설정된 시정수동안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교류전원에 최초로 연결될 때 상기 기동회로를 이용하여 작동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회로는
    상기 정류회로에서 정류된 전압을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에 충전할 수 있는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스위칭전원회로와,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로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과전류제한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전원회로는 바이어스 전류를 내부에서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회로는
    상기 정류회로에서 정류된 전압을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에 충전할 수 있는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스위칭전원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전원회로는 전류 제한 기능을 보유하거나 정전류 방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회로와 상기 제어회로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1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다이오드는 상기 충전회로의 출력전류를 상기 제어회로에 공급하고,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로부터 상기 제어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전류가 상기 충전회로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와 상기 제어회로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 2 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다이오드는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에 충전된 전류를 상기 제어회로에 공급하고, 상기 충전회로로부터 상기 제어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전류가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검지하는 전압검출회로 및
    상기 충전회로를 제어하여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의 충전을 개시하거나 중단하는 전원제어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검출회로는 상기 전기이중층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을 감지하여 상기 전원제어회로에 충전개시 및 충전중단을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전자기기가 최초로 교류전원에 연결될 때는 기동회로에서 공급되는 전류에서 전원을 취하고, 스위칭전원회로의 동작이 안정된 후에는 상기 스위칭전원회로에서 공급되는 전류에서 전원을 취하고, 상기 스위칭전원회로가 작동을 중지했을 때는 전기이중층커패시터에서 공급되는 전류에서 전원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17. 삭제
  18. 삭제
KR1020090129886A 2009-12-23 2009-12-23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KR100983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886A KR100983678B1 (ko) 2009-12-23 2009-12-23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PCT/KR2010/007221 WO2011078473A2 (ko) 2009-12-23 2010-10-21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886A KR100983678B1 (ko) 2009-12-23 2009-12-23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3678B1 true KR100983678B1 (ko) 2010-09-24

Family

ID=43010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886A KR100983678B1 (ko) 2009-12-23 2009-12-23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83678B1 (ko)
WO (1) WO2011078473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201B1 (ko) * 2011-08-22 2012-03-26 이훈구 하자 관리 시스템
KR102364501B1 (ko) * 2021-07-08 2022-02-17 이지희 소비전력 절감을 위한 엘이디 전광판 대기전력 공급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43176B (zh) * 2016-04-10 2018-03-09 王艳荣 一种电容充电装置的控制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7491A (ja) 2006-03-28 2007-10-11 Power System:Kk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による電源装置
JP2009207328A (ja) 2008-02-29 2009-09-10 Daikin Ind Ltd 電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7054A (ja) * 2003-10-28 2005-05-26 Nec Tokin Corp 電源回路
JP2005210776A (ja) * 2004-01-20 2005-08-04 Futaba Corp バッテリーチャージャー付ポータブル電源システム
KR100950588B1 (ko) * 2007-11-13 2010-04-01 코칩 주식회사 전기이중층캐패시터 모듈의 충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67491A (ja) 2006-03-28 2007-10-11 Power System:Kk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による電源装置
JP2009207328A (ja) 2008-02-29 2009-09-10 Daikin Ind Ltd 電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201B1 (ko) * 2011-08-22 2012-03-26 이훈구 하자 관리 시스템
KR102364501B1 (ko) * 2021-07-08 2022-02-17 이지희 소비전력 절감을 위한 엘이디 전광판 대기전력 공급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78473A3 (ko) 2011-09-09
WO2011078473A2 (ko)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9418B2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power supply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KR101769474B1 (ko) 전기기기의 전력 공급 장치
KR101299289B1 (ko) 전력 컨버터에서 출력 리셋을 갖는 비조절형 동면 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1540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n unregulated dormant mode in a power converter
CN110011539B (zh) 用于在功率变换器中实施无调节休眠模式的方法和装置
KR100967438B1 (ko) 대기전력 저감장치
KR101473890B1 (ko)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기능을 갖는 전원시스템
US20110110129A1 (en) Circuit arrangement and control circuit for a power-supply unit, computer power-supply unit and method for switching a power-supply unit
KR101531625B1 (ko) 충전 장치
US20130093381A1 (en) Energy saving cable assembly
KR102185930B1 (ko) Nfc 안테나 전력 획득 장치
EP2058921A1 (en) Power conditioner
WO2016127841A1 (zh) 充电保护电路
JP2013042627A (ja) 直流電源制御装置および直流電源制御方法
JP2011250608A (ja) 太陽電池システム
KR100983678B1 (ko)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US8093865B2 (en) Charging device with backflow prevention
US10116167B2 (en) Inductive power transmission device
CN207490514U (zh) 一种用于蓄电池供电的电视机电路系统
TWI491143B (zh) 再生能源供電系統及其具蓄電池保護功能之電源供應裝置與控制方法
JP4728360B2 (ja) 電源回路
CN103944139A (zh) 断路器欠压线圈的失压延时器
CN215817935U (zh) 电发热件电源驱动电路及封口机电路
CN217882926U (zh) 一种充电器及其防倒灌电路
CN213693214U (zh) 电子钱包供电电路和电子钱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