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201B1 - 하자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자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201B1
KR101129201B1 KR1020110083438A KR20110083438A KR101129201B1 KR 101129201 B1 KR101129201 B1 KR 101129201B1 KR 1020110083438 A KR1020110083438 A KR 1020110083438A KR 20110083438 A KR20110083438 A KR 20110083438A KR 101129201 B1 KR101129201 B1 KR 101129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control signal
defect
signal
doubl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3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백
이훈구
Original Assignee
이훈구
김종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훈구, 김종백 filed Critical 이훈구
Priority to KR1020110083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자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공동주택의 설계 및 시공에 있어, 공동주택의 시공 완료 후에 발생될 수 있는 하자정보를 설계자 및 시공자에게 제공하여 하자 발생을 예방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설계자 단말과 시공자 단말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공동주택 건설시 발생하는 하자에 대하여 하자 발생 공사의 종류, 하자발생 공간 및 부위 정보와, 상기 하자를 보수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정보와, 상기 하자의 이미지 정보와, 해당 하자가 발생된 공사 프로젝트에 관한 프로젝트 정보를 포함하는 하자정보가 저장되는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접속되어 상기 하자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하자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발생된 하자의 시공 및 위치에 따라 공종분류 및 공간분류로 구분하여 저장하며, 상기 하자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분류기준에 따라 상기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자정보를 검색하여 검색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정보검색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상기 하자를 보수하는데 소요되는 보수비용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내부에 미리 설정된 비용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자정보 별로 하자보수비용을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비용산출부를 포함하는 하자 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하자 관리 시스템{DEFECT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설계 및 시공에 있어, 공동주택의 시공 완료 후에 발생될 수 있는 하자정보를 설계자 및 시공자에게 제공하여 하자 발생을 예방하도록 하는 하자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공동주택의 하자 관리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로, 현재 일반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건설회사의 하자보수보증금 처리과정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주자인 고객이 하자를 발견하면 하자 발생 신고를 전화, 팩스, 인터넷, 관리사무소 방문 등으로 신청하고, 건설업체 하자담당부서가 접수한 후 하자를 분류하여 분석하고 하자의 책임에 따라 본사에서 처리하거나, 협력업체 담당에게 하자처리를 지시한다. 각 담당자는 하자보수 작업 후 본사 하자담당자에게 확인서를 제출한 후 고객에게 만족 여부를 확인한다. 고객이 만족하면 하자처리를 완료한다.
그러나 고객이 만족하지 못하였을 경우는 본사에서 다시 하자를 분석하고, 협력업체 담당자와 상의하여 재 하자처리를 해주어야 한다. 그러므로 하자보수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하자보수 비용이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사전예방 결여로 건설업체의 경제적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 하자보수보증금 제도는 최종적으로 완성된 주택의 하자에 대한 모든 책임은 건설회사에게 전가되어, 이를 공사비의 3%에 이르는 하자보수보증금으로 충당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일률적인 3%의 하자보수보증금을 규정으로 인하여 하자보수보증금을 납부하면 하자의 의무를 다한 것으로 공식적으로 용인되는 풍토가 조성된 것이다. 이로 인해 하자보수보증금을 둘러싸고 소비자와의 끝없는 분쟁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하자의 모든 책임이 주택 완성후 건설회사에게 전가 되기 때문에 설계단계에서 설계자와 시공단계에서 시공자는 책임감이 부여되지 않고 있어, 하자예방이 성실히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주택의 설계자 및 시공자에게 예상되는 하자 발생 내용을 제공하여 예상되는 하자를 고려하여 공동주택을 설계 및 시공하도록 하는 하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자 정보 및 하자 발생에 따른 보수 비용을 설계 및 시공 단계에서 제공하여, 설계자 및 시공자가 향후 발생될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하자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자 관리 시스템은, 설계자 단말과 시공자 단말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공동주택 건설시 발생하는 하자에 대하여 하자 발생 공사의 종류, 하자발생 공간 및 부위 정보와, 상기 하자를 보수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정보와, 상기 하자의 이미지 정보와, 해당 하자가 발생된 공사 프로젝트에 관한 프로젝트 정보를 포함하는 하자정보가 저장되는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접속되어 상기 하자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하자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상기 발생된 하자의 시공 및 위치에 따라 공종분류 및 공간분류로 구분하여 저장하며, 상기 하자관리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된 분류기준에 따라 상기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하자정보를 검색하여 검색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정보검색부;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상기 하자를 보수하는데 소요되는 보수비용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의 내부에 미리 설정된 비용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자정보 별로 하자보수비용을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비용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자관리서버는 전원컨트롤러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원컨트롤러부는 정류된 직류전압을 상대적으로 낮은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스위칭 전원회로; 상기 스위칭 전원회로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는 제1 전기이중층 커패시터; 상기 제1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충전상태를 측정하여 그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제1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 제어신호를 논리회로에 전달하는 제1 제어신호 발생회로; 상기 스위칭 전원회로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는 제2 전기이중층 커패시터; 상기 제2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충전상태를 측정하여 그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제 2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논리회로에 전달하는 제2 제어신호 발생회로; 상기 스위칭 전원회로에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논리회로; 및 상기 하자관리서버가 최초로 교류전원에 연결될 때 상기 논리회로에 스타트 전류를 공급하는 스타트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논리회로는 상기 스타트 전류와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제2 제어신호의 논리합을 구하여 상기 스위칭 전원회로에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며, 상기 제1 제어신호 발생회로는 상기 제1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충전전류를 검출하는 제1 전류검출회로; 상기 제1 전류검출회로의 출력을 미분하는 제1 미분회로; 상기 제1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충전전압을 검출하는 제1 전압검출회로; 및 상기 제1 미분회로와 상기 제1 전압검출회로의 출력에 의해 제1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1 플립플롭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 발생회로는 상기 제2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충전전류를 검출하는 제2 전류검출회로; 상기 제2 전류검출회로의 출력을 미분하는 제2 미분회로; 상기 제2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충전전압을 검출하는 제2 전압검출회로; 및 상기 제2 미분회로와 상기 제2 전압검출회로의 출력에 의해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2 플립플롭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하자 관리 서버의 몸체 외면에는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된 코팅층이 형성되되, 상기 기능성 오일은 로즈우드 23~27중량%, 로즈마리 23~27중량%, 레몬그라스 23~27중량%, 라반딘 23~27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는 하자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공동주택 건설에 있어 하자 발생을 줄이게 되어 건설회사의 하자보수 비용 절감과 하자보수보증금 최소화로 경제적 측면 및 신인도 향상을 추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자보수가 건설회사의 전적인 책임으로 간주되는 현재 관행을 탈피하여 설계단계와 시공단계에서 각각의 담당자에게도 하자 발생에 대한 책임을 부여할 수 있으므로 사전에 자발적으로 하자 발생을 예방하는 노력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비자에게 품질이 향상된 주택 제공 및 소비자의 분쟁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기존 사후관리의 하자 개념을 사전적 예방관리 개념의 현대적 개념으로 바꾸는 전환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공동주택의 하자 관리 프로세스를 도시한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자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자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위계구조를 가시적으로 도시한 계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자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하자정보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자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간별 하자 예방 작업을 하는 예시 이미지.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하자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종별 하자 예방 작업을 하는 예시 이미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하자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간별 하자 비용을 산출하는 예시 이미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하자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종별 하자 비용을 산출하는 예시 이미지.
도 9는 도 2의 전원컨트롤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하자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자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위계구조를 가시적으로 도시한 계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자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하자정보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하자 관리 시스템은 하자관리 서버(10)와, 상기 하자관리 서버(10)에 접속되는 설계자 단말(21) 및 시공자 단말(22)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20), 상기 하자관리 서버(10)에 연결되는 하자정보 데이터 베이스(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자관리 서버(10)에 접속하는 설계자는 상기 하자관리 서버(10)로부터 시설물에 발생되는 하자정보를 제공받아, 설계 단계에서 예방가능한 하자를 고려하여 건축물을 설계한다.
또한, 상기 하자관리 서버(10)에 접속하는 시공자는 상기 하자관리 서버(10)로부터 시설물에 발생되는 하자정보를 제공받아, 시공의 각 단계(공종)에서 예방가능한 하자를 고려하여 시공을 수행한다.
상기 하자관리 서버(10)는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의하여 접속되어 상기 하자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요청된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하자관리 서버(10)는 정보검색부(12), 비용산출부(13) 및 전원컨트롤러부(11)를 포함한다.
상기 정보검색부(12)는 상기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요청된 분류기준이 상기 공종분류인 경우, 상기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하자정보를 상기 하자 발생 공사의 종류 및 공종 정보에 따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20)로 출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요청된 분류기준이 상기 공간분류인 경우, 상기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하자정보를 상기 하자발생 공간 및 부위 정보에 따라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상기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정보검색부(12)는 상기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요청된 분류기준에 따라 하자정보를 분류하고 제공하고, 상기 제공된 하자정보 중 사용자에 의하여 검토된 후 입력되는 하자정보와 미검토된 하자정보를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에게 제공한다.
또한, 상기 비용산출부(13)는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의하여 상기 하자를 보수하는데 소요되는 보수비용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그 내부에 미리 설정된 비용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자정보 별로 하자보수비용을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비용산출부(13)는 상기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상기 하자를 보수하는데 소요되는 보수비용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보수비용정보를 상기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비용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하자정보별로 하자보수비용을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하되, 상기 보수비용정보에 포함되는 보수비용액과 상기 비용정보에 포함되는 비용액 중 낮은 금액을 하자 보수 비용으로 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비용산출부(13)는 관리자의 관리 목적에 따라 상기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에 미리 설정된 하자정보에 따른 비용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하자정보 별로 하자보수비용을 산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전원컨트롤러부(11)는 대기 상태에서 상기 하자관리 서버(10)에서의 교류전원을 완전히 완전히 차단함으로써, 외부에서 관측되는 대기전력 손실을 제로로 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이에 관한 설명은 도 9에 관한 설명을 참조하기로 한다.
상기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5개의 위계(계층)로 구성된다. 상기 위계에는 각각 프로젝트, 구분, 공사, 공종, 공간, 부위로 구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되는 하자정보는, 공통적으로 '프로젝트', '시설', '구분'으로 각각 구분된다. 그리고 공종분류에 따라 각각 '공사' 및 '공종'에 따라 구분되고, 공간분류에 따라 '공간' 및 '부위'로 구분된다.
상기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를 공종분류 및 공간분류에 따라 각각 다르게 구분한 것은, 설계자와 시공자가 각각 다른 분류체계로 하자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프로젝트라 함은 건축 단지의 프로젝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어 신도시의 단지 명, 공구 명칭, 재개발 단지 명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설이라 함은 상기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각 구성물을 말하는 것으로, 아파트 건물, 단지 내의 조경, 공동 사용시설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분은 상기 시설을 구성하는 부분을 세분화한 것으로 예를 들면, 공용부분과 단위세대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각 구분을 시공 별로 구분하는 공사는 하자가 발생하게 된 공사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면, 건축공사, 전기공사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종은 상기 각 공사를 공종에 따라 구분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상기 건축공사의 경우 미장, 수장, 방수, 단열, 타일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구분을 상기 공간분류에 따라 구분하는 공간은 단위 평면에 연계된 실 개체를 말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침실, 거실, 욕실, 주방, 발코니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위라 함은 상기 공간을 구성하는 표면(예: 바닥, 벽, 천정)과 비표면 개체들(예: 가구, 창호재, 조명기구, 욕실재 등)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에는 상기 하자정보가 전술한 위계에 대응하는 형태로 구성되어 저장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자정보는, 프로젝트, 시설, 구분, 공사, 공종, 공간, 부위, 하자내용, 보수비용, 이미지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로젝트, 시설, 구분, 공사, 공종, 공간, 부위의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즉, 프로젝트 정보라 함은 하자가 발생된 건축 단지의 프로젝트를 나타내는 정보를 말하고, 시설 정보라 함은 상기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각 구성물에 대한 정보를 말하며, 상기 구분 정보라 함은 상기 시설을 구성하는 부분을 세분화한 정보를 말한다.
한편, 공사 정보라 함은 하자가 발생하게 된 공사의 종류를 나타내는 정보를 말하고, 상기 공종 정보라 함은 상기 각 공사를 공종에 따라 구분한 세부 정보를 말한다.
또한, 공간 정보라 함은 단위 평면에 연계된 실 개체를 나타내는 정보를 말하고, 상기 부위 정보라 함은 상기 공간을 구성하는 표면(예: 바닥, 벽, 천정)과 비표면 개체들(예: 가구, 창호재, 조명기구, 욕실재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말한다.
한편, 상기 하자내용이라 함은, 실제 하자의 내용을 기술하여 설계자 또는 시공자가 발생되는 하자가 무엇인지 알 수 있도록 간결하게 기술된 정보를 말한다, 예를 들면,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세대 발코니 구조체 균열 및 누수', '각 세대 벽체 시공불량으로 인한 누수'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수비용이라 함은, 상기 하자에 대하여 보수를 수행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을 말한다.
그리고 상기 이미지(Image)는 상기 하자부분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때, 상기 이미지 파일은 별도의 이미지 파일들로 저장되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미지 정보는 상기 이미지 파일의 파일명을 저장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를 상기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를 구축하는 입력자 입장에서 살펴보면, 어떠한 하자가 발생 된 경우, 상기 하자가 발생한 프로젝트, 시설, 구분, 공간, 부위를 입력하고, 상기 하자를 발생 되도록 한 공사 및 공종이 저장된다. 이때, 상기 하자가 발생하게 된 원인이 하나의 공종이 아니고 다수 공종의 조합에 의한 것이라면, 상기 공사 및 공종 정보는 하나 이상이 저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자를 보수하고 이에 대하여 발생된 보수비용 정보가 저장되고, 하자 이미지를 촬영한 파일명을 저장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하자 관리 시스템을 운용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자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간별 하자 예방 작업을 하는 예시 이미지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하자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종별 하자 예방 작업을 하는 예시 이미지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하자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간별 하자 비용을 산출하는 예시 이미지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하자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종별 하자 비용을 산출하는 예시 이미지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하자 관리 시스템은 접속된 설계자 단말(21)과 시공자 단말(22)에 상기 하자 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하자 관리 시스템은 상기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에 저장된 하자정보를 상기 설계자 또는 시공자 등의 사용자에 의해 요청된 기준으로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주로 설계자)가 공간별로 발생 될 수 있는 하자정보를 요청한 경우, 상기 하자 관리 시스템은 공간별로 하자정보를 분류하여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하자관리 서버(10)는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프로젝트, 시설, 구분에 대한 위계(공통위계) 및 공간 그리고 부위에 대한 위계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검색부(12)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위계에 해당하는 공간별 하자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하자 항목을 검토하고, 검토가 완료된 하자 항목을 선별하여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검토한 하자 정보와 미검토된 항목을 구분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주로 시공자)가 공종 별로 발생 될 수 있는 하자정보를 요청한 경우, 상기 하자 관리 시스템은 공종 별로 하자정보를 분류하여 제공한다.
즉,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자관리 서버(10)는 프로젝트, 시설, 구분에 대한 위계(공통위계) 및 공간 및 공종 위계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정보검색부(12)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위계에 해당하는 하자정보를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에도 물론, 사용자가 검토한 하자 정보와 미검토된 항목을 구분하여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 5 및 도 6의 예시도에서는 상기 공사 위계가 공통위계 부분에 위치된 것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이는 위계의 구성 및 애플리케이션의 화면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자관리 서버(10)는 상기 비용산출부(13)를 통하여 상기 하자정보를 이용하여 공간별 또는 공종별로 하자 발생에 따른 보수비용을 산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설계자는 공간 별로 하자 발생에 따른 비용을 검토하여, 설계시 하자 고려에 대하여 비중을 두어야 하는 설계부분을 인지할 수 있고, 시공자는 공종 별로 하자 발생을 고려하여 시공해야하는 공종을 판별할 수 있다.
도 9는 도 2의 전원컨트롤러부(11)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자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전원컨트롤러부(11)는, 스타트 회로(110), 스위칭 전원회로(120), 제 1 전기이중층 캐패시터(130), 제 1 제어신호 발생회로(140), 제 2 전기이중층 캐패시터(150), 제 2 제어신호 발생회로(160), 포토커플러(170) 및 논리회로(18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타트 회로(110), 제 2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50), 제 2 제어신호 발생회로(160) 및 논리회로(180)는 전원접지(103)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30) 및 상기 제 1 제어신호 발생회로(140) 는 기기접지(104)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 전원회로(120) 및 포토커플러(170)는 전원접지(103) 및 기기접지(104) 양쪽에 모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본 전원컨트롤러부(11)는 높은 전압의 교류전원(101)이 직접 공급되는 전원접지(103)측과 상대적으로 낮은 전위의 전자기기(105)(즉, 하자관리 서버(10)와 구성하는 정보검색부, 비용산출부 등과 같이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모든 구성이고, 이하에서는 전자기기라 통칭하기로 함)가 연결되는 기기접지(104)측이 스위칭 전원회로(120) 및 포토커플러(170)를 통해 고도의 절연특성을 유지하면서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스타트 회로(110)는 전원컨트롤러부(11)의 전원코드가 최초로 교류전원(101)에 연결될 때 논리회로(180)에 스타트 전류를 보낸다. 이때, 상기 스타트 회로(110)는 급격한 전원전압 변동으로 인해 트리거(trigger)되어 상기 논리회로(180)에 스타트 전류를 보내게 된다. 상기 스타트 회로(110)로부터 스타트 전류를 받은 상기 논리회로(180)는 스위칭 전원회로(120)에 바이어스 전류를 보낸다. 즉, 상기 스타트 회로(110)는 전원컨트롤러부(11)의 전원코드가 최초로 교류전원(101)에 연결될 때 스타트 전류를 보내 논리회로(180)를 통해서 스위칭 전원회로(120)에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스타트 회로(110)는 제 2 제어신호 발생회로(160)의 제 2 충전재개신호가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전환될 때 동작을 중지한다. 상기 스타트 회로(110)는 한번 동작이 중지되면, 정전으로 인해 교류전원(101)이 차단되었다가 다시 공급되거나 혹은 전원코드를 분리했다 다시 연결하지 않는 한 영구히 작동하지 않는다.
상기 스위칭 전원회로(120)는 정류기(102)를 통해 공급되는 높은 전압의 직류전원을 변환하여 제 1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30) 및 제 2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50)를 충전시킨다. 상기 스위칭 전원회로(120)는 제 1 출력단자(A) 및 제 2 출력단자(B)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칭 전원회로(120)는 상기 제 1 출력단자(A)를 통해서 제 1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30)를 충전하고, 상기 제 2 출력단자(B)를 통해서 제 2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50)를 충전시킨다.
상기 제 1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30)는 상기 스위칭 전원회로(120)의 제 1 출력단자(A)의 출력전류로 충전된다. 상기 제 1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30)는 제 1 제어신호 발생회로(140)에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컨트롤러부(11)의 출력단자를 통해 전자기기(105)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 1 제어신호 발생회로(140)는 제 1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30)의 충전상태를 측정하여 제 1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어신호는 포토커플러(170)를 통해 논리회로(180)에 전달된다. 상기 제 1 제어신호 발생회로(140)는 제 1 전류검출회로(141), 제 1 미분회로(142), 제 1 전압검출회로(143) 및 제 1 플립플롭회로(14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전류검출회로(141)는 상기 제 1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30)의 충전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충전전류가 임계전류보다 낮으면 하이 신호를 출력하여 제 1 미분회로(142)에 보낸다.
상기 제 1 미분회로(142)는 상기 제 1 전류검출회로(141)의 하이 신호를 미분하여 짧은 펄스폭의 제 1 충전중지신호를 발생시켜 제 1 플립플롭회로(144)에 보낸다.
상기 제 1 전압검출회로(143)는 상기 제 1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30)의 충전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충전전압이 임계전압보다 낮으면 제 1 충전재개신호를 발생시켜 제 1 플립플롭회로(144)에 보낸다.
상기 제 1 플립플롭회로(144)는 상기 제 1 전압검출회로(143)의 출력신호를 받는 세트단자, 상기 제 1 미분회로(142)의 출력신호를 받는 리세트단자 및 제 1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플립플롭회로(144)는 상기 세트단자를 통해 받은 제 1 충전재개신호에 의해 세트(set)되어 상기 출력단자(Q)에 제 1 제어신호로서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 1 플립플롭회로(144)는 상기 제 1 전압검출회로(143)로부터 받은 제 1 충전재개신호에 의해 세트(set)되어 하이를 갖는 제 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1 제어신호는 포토커플러(170)를 통해 논리회로(180)에 전달된다. 상기 제 1 플립플롭회로(144)는 상기 리세트단자(R)에 제 1 충전중지신호가 들어올 때까지 상기 출력단자(Q)의 상태를 하이로 유지한다.
상기 제 1 플립플롭회로(144)는 상기 리세트단자(R)를 통해 받은 제 1 충전중지신호에 의해 리세트(reset)되어 상기 출력단자(Q)에 제 1 제어신호로서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 1 플립플롭회로(144)는 상기 제 1 미분회로(142)로부터 받은 제 1 충전중지신호에 의해 리세트(reset)되어 로우를 갖는 제 1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1 제어신호는 포토커플러(170)를 통해 논리회로(180)에 전달된다. 상기 제 1 플립플롭회로(144)는 상기 세트단자(S)에 제 1 충전재개신호가 들어올 때까지 상기 출력단자(Q)의 상태를 로우로 유지한다.
상기 제 2 전기이중층 캐패시터(150)는 상기 스위칭 전원회로(120)의 제 2 출력단자(B)의 출력전류로 충전된다. 상기 제 2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50)는 제 2 제어신호 발생회로(160)에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 2 제어신호 발생회로(160)는 제 2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50)의 충전상태를 측정하여 제 2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2 제어신호는 논리회로(180)에 전달된다. 상기 제 2 제어신호 발생회로(160)는 제 2 전류검출회로(161), 제 2 미분회로(162), 제 2 전압검출회로(163) 및 제 2 플립플롭회로(164)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전류검출회로(161)는 상기 제 2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50)의 충전전류를 검출하여 상기 충전전류가 임계전류보다 낮으면 하이 신호를 출력하여 제 2 미분회로(162)에 보낸다.
상기 제 2 미분회로(162)는 상기 제 2 전류검출회로(161)의 하이 신호를 미분하여 짧은 펄스폭의 제 2 충전중지신호를 발생시켜 제 2 플립플롭회로(164)에 보낸다.
상기 제 2 전압검출회로(163)는 상기 제 2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50)의 충전전압을 검출하여 상기 충전전압이 임계전압보다 낮으면 제 2 충전재개신호를 발생시켜 제 2 플립플롭회로(164)에 보낸다.
상기 제 2 플립플롭회로(164)는 상기 제 2 전압검출회로(163)의 출력신호를 받는 세트단자(S), 상기 제 2 미분회로(162)의 출력신호를 받는 리세트단자(R) 및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Q)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플립플롭회로(164)는 상기 세트단자(S)를 통해 받은 제 2 충전재개신호에 의해 세트(set)되어 상기 출력단자(Q)에 제 2 제어신호로서 하이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 2 플립플롭회로(164)는 상기 제 2 전압검출회로(163)로부터 받은 제 2 충전재개신호에 의해 세트(set)되어 하이를 갖는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제어신호는 논리회로(180)에 전달된다. 상기 제 2 플립플롭회로(164)는 상기 리세트단자(R)에 제 2 충전중지신호가 들어올 때까지 상기 출력단자(Q)의 상태를 하이로 유지한다.
상기 제 2 플립플롭회로(164)는 상기 리세트단자(R)를 통해 받은 제 2 충전중지신호에 의해 리세트(reset)되어 상기 출력단자(Q)에 제 2 제어신호로서 로우신호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 2 플립플롭회로(164)는 상기 제 2 미분회로(162)로부터 받은 제 2 충전중지신호에 의해 리세트(reset)되어 로우를 갖는 제 2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제어신호는 논리회로(180)에 전달된다. 상기 제 2 플립플롭회로(164)는 상기 세트단자(S)에 제 2 충전재개신호가 들어올 때까지 상기 출력단자(Q)의 상태를 로우로 유지한다.
상기 포토커플러(170)는 상기 제 1 제어신호 발생회로(140)에서 발생한 제 1 제어신호를 고도의 절연상태를 유지하면서 기기접지(104)측에서 전원접지(103)측으로 전달한다.
상기 논리회로(180)는 상기 스타트 회로(110)에서 공급되는 스타트 전류와, 상기 제 1 제어신호 발생회로(140)에서 발생한 제 1 제어신호와, 상기 제 2 제어신호 발생회로(160)에서 발생한 제 2 제어신호의 논리합(OR)을 구하여 상기 스위칭 전원회로(120)에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즉, 상기 논리회로(180)는 상기 스위칭 전원회로(120)에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함으로써, 상기 스위칭 전원회로(12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논리회로(180)는 스타트 회로(110)로부터 스타트 전류를 받거나 제 1 제어신호가 하이이거나 제 2 제어신호(CC2)가 하이이면, 상기 스위칭 전원회로(120)에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칭 전원회로(120)는 제 1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30) 및 제 2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50)를 충전시킨다. 즉, 상기 논리회로(180)는 스타트 전류, 제 1 제어신호, 제 2 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만 하이이면, 상기 스위칭 전원회로(120)에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논리회로(180)는 스타트 회로(110)로부터 스타트 전류를 받지 못하고 제 1 제어신호가 로우이고 제 2 제어신호가 로우이면, 상기 스위칭 전원회로(120)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를 차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칭 전원회로(120)는 제 1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30) 및 제 2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50)의 충전을 중지시킨다. 즉, 상기 논리회로(180)는 스타트 전류, 제 1 제어신호 및 제 2 제어신호가 모두 로우이면, 상기 스위칭 전원회로(120)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를 차단한다. 이때, 상기 논리회로(180)가 바이어스 전류를 차단하여 상기 스위칭 전원회로(120)의 동작이 중지되면, 교류전원(101)에서 관측되는 전원컨트롤러부(11)의 전력손실은 제로(zero)가 된다.
이와 같이, 본 전원컨트롤러부(11)는 대기상태에서 교류전원(101)을 완전히 차단함으로써, 외부에서 관측되는 대기전력 손실을 제로로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전원컨트롤러부(11)는 스위칭 전원회로(120)를 사용하여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를 충전하고, 그 충전전압을 전자기기(105)의 전원으로 공급한다. 그리고,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충전전압이 임계전압 이하로 내려갈 때, 수초 혹은 수십초의 짧은 시간동안 스위칭 전원회로(120)를 가동하여 전기이중층 커패시터를 충전시킨다. 이에 따라, 본 전원컨트롤러부(11)의 대기시간을 무한대로 할 수 있다. 더불어, 또한, 본 전원컨트롤러부(11)는 전기이중층 커패시터의 충전전류를 검출하여 충전중지를 명령하므로, 충전전압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안정되고 정교한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20), 하자관리서버(10)의 몸체 외면에는 방향제 물질을 포함하는 코팅층이 형성되어, 사용자가 쾌적한 환경에서 하자관리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비율은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로즈우드 23~27중량%, 로즈마리 23~27중량%, 레몬그라스 23~27중량%, 라반딘 23~27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은 불안, 긴장, 걱정, 초초함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현대 사회를 사는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늘 마음이 불안하고 여러 가지 걱정거리를 갖고 있으며 초조해지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들이 지속적으로 계속되거나 아무런 이유없이 불안하고 초조할 때에는 이를 완화해 줄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의 기능성 오일은 하자관리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 마음을 안정시키고 근육을 풀어주며 불안, 긴장감을 완화해 주는데 좋은 작용을 한다.
기능성 오일 중 로즈우드(Rosewood)는 아마존 정글에서 자생하며 독성이 없고 부작용이 없어 사용에 안전하다. 로즈우드는 신경을 흥분시키지 않으면서도 면역계를 자극시켜 활성화시키므로 면역기능이 약해진 사람에게 좋으며 만성적 피로에 좋으며 두통을 가라앉히는데 도움을 준다. 진통효과가 그리 강하지는 않으나 두통을 가라앉히는데 도움을 주고 뇌신경을 맑게 깨워주기 때문에 운전이나 작업현장에서 안전을 유지하도록 도와주는 오일로 선택하면 좋다.
로즈마리(Rosemary)는 허브식물 중에서도 가장 오래도록 약용으로 쓰여진 작물중에 하나로 기록되며, 중추신경을 자극하는 성분이 강해 집중력, 판단력, 기억력, 인지능력 향상에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호흡기 질환에도 좋은 효과를 보이는데, 비염, 정맥두염, 천식 등에도 좋다.
레몬그라스(Lemongrass)는 인디아, 브라질, 아프리카 등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는 것으로 두통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고 방부, 탈취효과와 더불어 레몬 특유의 향으로 기분을 상쾌하게 해 준다.
라반딘(Lavandin)은 주 화학성분으로 linalyl acetate 등을 들 수 있으며 비염 등의 호흡기계 질환에 효과가 있고 이외에도 근육통, 두통의 치료효과도 있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사용자단말(20), 하자관리서버(10)의 몸체 외면에 코팅됨에 따라 하자관리시스템을 사용하는 동안 방향제 물질에 의해 향기가 발산되어서 사용자의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등의 건강을 증진시키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자 관리 시스템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하자관리 서버 20: 사용자 단말
21: 설계자 단말 22: 시공자 단말
30: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6)

  1. 설계자 단말(21)과 시공자 단말(22)을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20); 공동주택 건설시 발생하는 하자에 대하여 하자 발생 공사의 종류, 하자발생 공간 및 부위 정보와, 상기 하자를 보수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정보와, 상기 하자의 이미지 정보와, 해당 하자가 발생된 공사 프로젝트에 관한 프로젝트 정보를 포함하는 하자정보가 저장되는 하자정보 데이터베이스(30); 및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의하여 접속되어 상기 하자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요청된 분류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하는 하자관리 서버(10);를 포함하고,
    상기 하자관리서버(10)는 전원접지 및 기기접지가 절연 상태를 유지하는 전원컨트롤러부(11)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원컨트롤러부(11)는 정류된 직류전압을 상대적으로 낮은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스위칭 전원회로(120); 상기 스위칭 전원회로(12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는 제1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30); 상기 제1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30)의 충전상태를 측정하여 그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제1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 제어신호를 논리회로(180)에 전달하는 제1 제어신호 발생회로(140); 상기 스위칭 전원회로(12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전기 에너지를 충전하는 제2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50); 상기 제2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50)의 충전상태를 측정하여 그 충전상태를 나타내는 제 2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논리회로(180)에 전달하는 제2 제어신호 발생회로(160); 상기 스위칭 전원회로(120)에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는 논리회로(180); 및 상기 하자관리서버(10)가 최초로 교류전원에 연결될 때 상기 논리회로(180)에 스타트 전류를 공급하는 스타트 회로(110)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신호 발생회로(140)는 상기 제1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30)의 충전전류를 검출하되, 상기 제 1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30)의 충전전류가 설정된 임계전류보다 낮으면 하이(H)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전류검출회로(141); 상기 제1 전류검출회로(141)의 출력을 미분하되, 상기 제 1 전류검출회로(141)로부터 하이(H)신호를 받으면 제 1 충전중지신호로서 하이(H)신호를 출력하는 제1 미분회로(142); 상기 제1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30)의 충전전압을 검출하되, 상기 제 1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30)의 충전전압이 설정된 임계전압보다 낮으면 제 1 충전재개신호로서 하이(H)신호를 출력하는 제1 전압검출회로(143); 및 상기 제1 미분회로(142)와 상기 제1 전압검출회로(143)의 출력에 의해 제1 제어신호를 발생하되, 상기 제 1 전압검출회로(143)로부터 하이(H)신호를 받으면 제 1 제어신호로서 하이(H)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 1 미분회로(142)로부터 하이(H)신호를 받으면 제 1 제어신호로서 로우(L)신호를 출력하는 제1 플립플롭회로(144)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30)와 상기 제 1 제어신호 발생회로(140)는 상기 기기접지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50)와 상기 제 2 제어신호 발생회로(160)와 논리회로(180)와 스타트 회로(110)는 상기 전원접지에 연결되되, 상기 기기접지와 상기 전원접지 사이에 상기 제 1 제어신호를 절연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논리회로(180)에 전달하는 포토커플러(170)가 구비되며,
    상기 제2 제어신호 발생회로(160)는 상기 제2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50)의 충전전류를 검출하되, 상기 제 2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60)의 충전전류가 설정된 임계전류보다 낮으면 하이(H)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전류검출회로(161); 상기 제2 전류검출회로(161)의 출력을 미분하되, 상기 제 2 전류검출회로(161)로부터 하이(H)신호를 받으면 제 2 충전중지신호로서 하이(H)신호를 출력하는 제2 미분회로(162); 상기 제2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50)의 충전전압을 검출하되, 상기 제 2 전기이중층 커패시터(160)의 충전전압이 설정된 임계전압보다 낮으면 제 2 충전재개신호로서 하이(H)신호를 출력하는 제2 전압검출회로(163); 및 상기 제2 미분회로(162)와 상기 제2 전압검출회로(163)의 출력에 의해 제2 제어신호를 발생하되, 상기 제 2 전압검출회로(163)로부터 하이(H)신호를 받으면 제 2 제어신호로서 하이(H)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제 2 미분회로(162)로부터 하이(H)신호를 받으면 제 2 제어신호로서 로우(L)를 출력하는 제2 플립플롭회로(164)를 포함하며,
    상기 논리회로(180)는 상기 스타트 전류와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제2 제어신호의 논리합을 구하여 상기 스위칭 전원회로(120)에 바이어스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하고,
    상기 스타트 회로(110)는 상기 제 2 전압검출회로(163)에서 발생하는 제 2 충전재개신호가 하이(H)에서 로우(L)로 변환하는 것에 의해 동작을 중지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20) 및 상기 하자 관리 서버(10)의 몸체 외면에는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된 코팅층이 형성되되,
    상기 기능성 오일은 로즈우드 23~27중량%, 로즈마리 23~27중량%, 레몬그라스 23~27중량%, 라반딘 23~27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자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10083438A 2011-08-22 2011-08-22 하자 관리 시스템 KR101129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38A KR101129201B1 (ko) 2011-08-22 2011-08-22 하자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3438A KR101129201B1 (ko) 2011-08-22 2011-08-22 하자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9201B1 true KR101129201B1 (ko) 2012-03-26

Family

ID=46142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3438A KR101129201B1 (ko) 2011-08-22 2011-08-22 하자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2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3678B1 (ko) * 2009-12-23 2010-09-24 코칩 주식회사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KR20100104542A (ko) * 2009-03-18 2010-09-29 이훈구 하자정보가 저장된 저장 매체 및 하자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4542A (ko) * 2009-03-18 2010-09-29 이훈구 하자정보가 저장된 저장 매체 및 하자 관리 시스템
KR100983678B1 (ko) * 2009-12-23 2010-09-24 코칩 주식회사 미세전력용 전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rma et al. Regional resilience analysis: A multiscale approach to optimize the resilience of interdependent infrastructure
Wang et al. Nodal market power assessment in electricity markets
Shi et al. Identifying the critical factors for green construction–an empirical study in China
Arkin et al. Evaluating intelligent buildings according to level of service systems integration
Pan et al. Challenges for energy and carbon modeling of high-rise buildings: The case of public housing in Hong Kong
Pašek et al. Facility management of smart buildings
Cardoni et al. Modeling the interdependency between buildings and the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for seismic resilience assessment
CN101295172A (zh) 基于地理信息系统gis的电网综合防灾减灾系统
DE202008009128U1 (de) Verbrauchs- und Zustandsmesser
Ramli et al. Factors contributing building safety and health performance of low cost housing in Malaysia
Fan et al. Unified optimal power flow model for AC/DC grids integrated with natural gas systems considering gas-supply uncertainties
KR101129201B1 (ko) 하자 관리 시스템
Sheppy et al. Plug and process loads capacity and power requirements analysis
Goodwin et al. Informed dashboard designs for microgrid electricity market operators
Quayson et al. Maintenance of residential buildings of selected public institutions in Ghana
JP5731588B2 (ja) 建築・不動産情報検索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Appau et al. Student housing design implications for single-room occupancy during COVID-19 in Ghana
Kaklauskas et al. Housing health and safety decision support system with augmented reality
Yu et al. BIM coverage in demand response management: A pilot study in campus buildings
Al-Bayati et al. Trends of occupational fatal and nonfatal injuries in electrical and mechanical specialty contracting sectors: necessity for a learning investigation system
CN205844846U (zh) 智能小区综合布线管理系统
Kiran et al. Life cycle assessment (LCA) and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CDM) for planning, designing and commissioning of green buildings
CN103310041A (zh) 电网二次装置仿真中二次装置数据库模型的建模方法
Kansal et al. Fuzzy based transformer failure analysis under uncertainty
Ore The DC Nanogrid House: Converting a Residential Building from AC to DC Power to Improve Energy Efficienc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