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853B1 - 단말기 ui저작 장치 및 단말기 ui저작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단말기 ui저작 장치 및 단말기 ui저작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853B1
KR100982853B1 KR1020080088833A KR20080088833A KR100982853B1 KR 100982853 B1 KR100982853 B1 KR 100982853B1 KR 1020080088833 A KR1020080088833 A KR 1020080088833A KR 20080088833 A KR20080088833 A KR 20080088833A KR 100982853 B1 KR100982853 B1 KR 100982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oring
work
area
terminal
tool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8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0060A (ko
Inventor
백승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088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853B1/ko
Publication of KR20100030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0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06F9/453Help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UI 저작 장치는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하여 동작되는 컴퓨터에 탑재되어 단말기 UI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UI를 저작하는 영역인 작업 영역 및 작업 영역에 형성된 작업물을 저장하는 영역으로, 위젯, 화면, 시나리오, 텍스트 및 페이지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저장되는 내 도구 상자를 포함한다.
UI, 단말기, 위젯

Description

단말기 UI저작 장치 및 단말기 UI저작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Mobile User Interface Prototyping Tool and Method of Prototyping Mobile User Interface and Record Media Recorded Program for Rea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단말기 UI 저작 장치 및 단말기 UI 저작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UI의 저작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UI 저작 방법 및 UI 저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동통신 단말기는 무선 통화 서비스 기능, 무선 인터넷 서비스 기능, 단문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기능 및 카메라(camera) 기능, 영상통화 기능, 다중모드 기능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보다 다양한 기능을 탑재한 단말기가 요구되고 있으며, UI(User Interface)를 특화한 단말기가 인기를 얻게 되면서 단말기의 UI에 대한 사용자의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다.
한편, UI를 개발하는 개발업자가 UI를 개발하기 위하여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있다. 현재, 단말기의 UI를 저작할 수 있는 기본 툴이 없으며, 개발한 UI를 에뮬레이션(amulation) 하거나 시뮬레이션(simulation) 하기 위하여는 플래시(flash) 등을 이용하여 따로 제작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으로 단말기 UI를 저작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단말기 UI 저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단말기 UI 저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단말기 UI 저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저작 장치의 일 태양은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하여 동작되는 컴퓨터에 탑재되어 단말기 UI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UI를 저작하는 영역인 작업 영역 및 상기 작업 영역에 형성된 작업물을 저장하는 영역으로, 위젯, 화면, 시나리오, 텍스트 및 페이지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저장되는 내 도구 상자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저작 장치의 다른 태양은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하여 동작되는 컴퓨터에 탑재되어 단말기 UI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UI의 저작 또는 편집을 수행하는 UI 에디터 및 상기 UI 에디터에서 저작한 UI를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터(simulator)를 포함하되, 상 기 UI 에디터는 UI를 저작하는 영역인 작업 영역 및 상기 작업 영역에 형성된 작업물을 저장하는 영역으로, 위젯, 화면, 시나리오, 텍스트 및 페이지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저장되는 내 도구 상자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UI 저작 방법의 일 태양은 단말기 UI 저작 장치를 이용한 UI 저작 방법에 있어서, 작업 영역에서 작업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작업물에서 위젯, 화면, 시나리오, 텍스트 및 페이지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내 도구 상자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내 도구 상자에 저장된 작업물을 다시 작업 영역으로 복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UI 저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의 일 태양은 단말기 UI 저작 장치에서 UI 저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작업 영역에서 작업물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작업물에서 위젯, 화면, 시나리오, 텍스트 및 페이지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내 도구 상자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내 도구 상자에 저장된 작업물을 다시 작업 영역으로 복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단말기 UI 저작 장치 및 단말기 UI 저작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UI 저작 장치 및 단말기 UI 저작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서는, 단말기의 UI를 저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UI의 시뮬레이션도 실행해 볼 수 있다. 즉, UI 저작과 UI 시뮬레이션이 동일한 장치 내에서 수행됨으로써, 단말기의 UI를 보다 효율적으로 저작 및 테스트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 UI 저작 장치 및 단말기 UI 저작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는 내 도구 상자가 제공되며, 내 도구 상자에는 작업자가 작업한 다양한 작업물을 모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내 도구 상자가 파일로 저장됨으로써, 작업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저작 장치는 개요 영역에 자작물의 개요를 기재함으로써, 저작물의 내용을 개괄할 수 있다. 또한, 엔터와 스페이스바를 사용하여 보다 입체적으로 개요를 기재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으로 UI를 저작할 수 있으며, 비용 및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 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장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UI 저작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UI 저작 장치는 UI 에디터(10) 및 UI 시뮬레이터(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UI 저작 장치는 중앙 처리 장치에 의하여 동작되는 컴퓨터에 탑재되어 단말기 UI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에서 동작될 수 있다.
UI 에디터(10)는 컴퓨터 상에서 UI를 저작 또는 편집할 수 있는 도구이다. UI 에디터(10)는 UI를 저작, 편집하는데 필요한 모든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UI 에디터(10)는 UI를 저작하는 공간인 작업 영역(110), 모든 페이지를 나열하거나, 개요를 기재할 수 있는 영역인 페이지/개요 영역(120), 타이틀, 작업 메뉴 등이 기재된 메뉴 영역(130) 및 작업물, 템플릿 또는 인스턴스가 저장되는 저장 영역(140)을 포함한다.
작업 영역(110)에서는 UI를 편집, 저작할 수 있다. 작업 영역(110)에는 저작 툴 바(300)가 위치할 수 있다. 저작 툴 바(300)는 UI를 저작하는데 필요한 기본 위젯 및 기호를 아이콘 형태로 포함한 것으로, 저작 툴 바(300)에 포함된 복수개의 아이콘을 사용하여 UI를 저작할 수 있다.
페이지/개요 영역(120)에는 작업한 모든 페이지가 나열된 페이지 영역 및 개요를 기재한 개요 영역이 포함된다. 페이지/개요 영역(120)을 통해 문서 전체를 보면서 작업할 수 있다. 페이지/개요 영역(120)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메뉴 영역(130)에는 타이틀(title; 132), 메뉴 바(menu bar; 134), 툴 바(tool bar; 136), 옵션 바(option bar; 138)등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틀(132)이 가장 상부에 형성되고, 메뉴 바(134), 툴 바(136), 옵션 바(138)가 차례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편집에 의해 서로 위치가 바뀔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저장 영역(140)에는 내 도구 상자(142), 템플릿 영역(144) 및 인스턴스 영역(146) 중의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내 도구 상자(142), 템플릿 영역(144) 및 인스턴스 영역(146)을 모두 포함하는 저장 영역(140)이 도시되어 있다. 저장 영역(140)에는 다양한 작업물, 템플릿 또는 인스턴스가 저장될 수 있으며, 자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UI 에디터(10)에서는 단말기의 UI가 편집 또는 저작될 수 있다. 도 1의 작업 영역(110) 에는 시작 화면(410)과 도착 화면(420)이 도시되어 있으며, 시작 화면(410)과 도착 화면(420)을 연결하는 연결선(430)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UI는 저작 툴 바(300)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시작 화면(410)은 단말기에서 동작하기 전의 화면이고, 도착 화면(420)은 시작 화면(410)이 연결되는 화면이다. 시작 화면(410)에서 연결선(430)에 기재된 연결 키 또는 연결 메뉴를 누르면 도착 화면(420)으로 연결된다.
UI를 저작하면, 그 페이지(110a)가 페이지/개요 영역(120)에 형성된다. 따라서, 페이지/개요 영역(120)에서는 발명을 전체적으로 개괄할 수 있다.
한편, UI 저작 장치에 형성된 시뮬레이터 아이콘(150)을 누르면, UI 에디터(10)에 저작된 시나리오가 시뮬레이터(50)에서 시뮬레이션 된다.
시뮬레이터(50)는 단말기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시뮬레이터(50)는 단말기의 화면이 표시되는 화면 영역(510), 단말기의 키 패드가 형성된 키 패드 영역(520) 및 메뉴가 형성된 메뉴 영역(130)을 포함한다.
시뮬레이터 아이콘(150)을 누르면, 시뮬레이터(50)의 화면 영역(510)에 시작 화면(410)이 표시된다. 이 때, 키 패드 영역(520)에서 연결선(430)에 기재된 연결 키 또는 연결 메뉴를 누르면 화면 영역(510)에는 도착 화면(420)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저작 장치에서는, 단말기의 UI를 저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UI의 시뮬레이션도 실행해 볼 수 있다. 즉, UI 저작과 UI 시뮬레이션이 동일한 장치 내에서 수행됨으로써, 단말기의 UI를 보다 효율적으로 저작 및 테스트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저작 장치의 에디터는 저작 툴 바(300)를 이용하여 손쉽게 UI를 저작 및 편집할 수 있다. 따라서, UI 저작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저작 장치에서는 UI를 시뮬레이션 해 본 후 또는 실제 단말기에 적용해 본 후, UI 에디터에서 쉽게 수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효율성이 크게 증가하고 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UI 저작 장치의 저작 툴 바 및 아이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UI 저작 장치의 저작 툴 바(300)는 기본 위젯 및 기호를 나타내는 복수개의 아이콘을 포함한다.
저작 툴 바(300)의 기본 위젯 아이콘은 복수개 형성되며, 복수개의 기본 위젯 아이콘은 기본 화면 아이콘(a1), 연결선 아이콘(a2), 리스트 메뉴(list menu) 아이콘(a3), 옵션롤업(option roll up) 아이콘(a4), 팝업 박스(pop up box) 아이콘(a5), 버튼 아이콘(a6), 텍스트 박스 아이콘(a7), 텍스트 인풋 박스 아이콘(a8), 매트릭스(matrix) 아이콘(a9), 스핀 박스(spin box) 아이콘(a10), 탭(tap) 아이콘(a11), 드랍다운 박스(dropdown box) 아이콘(a12), 체크 버튼(check button) 아이콘(a13), 라디오 버튼 아이콘(a14), 프로그래스바(progress bar)/슬라이더바(slider bar) 아이콘(a15) 및 선 아이콘(a16)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저작 툴 바(300)의 기호 아이콘은 사각형 아이콘(a17), 원 아이 콘(a18), 아이콘 삽입 아이콘(a19), 기호 삽입 아이콘(a20), 특수 도형 삽입 아이콘(a21)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작 툴 바(300)는 그림 삽입 아이콘(a22)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에는 상기에 나열한 아이콘들을 모두 포함하는 저작 툴 바(300)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 중 일부만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또는 이 외에 UI 저작에 필요한 다른 기본 위젯 또는 기호를 나타내는 아이콘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 영역(1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저작 장치의 저장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저작 장치의 내 도구 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UI 에디터(10)의 저장 영역(140)은 내 도구 상자(142), 템플릿 영역(144) 및 인스턴스 영역(146)를 포함한다. 내 도구 상자(142), 템플릿 영역(144) 및 인스턴스 영역(14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병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내 도구 상자(142)에는 작업 영역(110)에서 형성된 작업물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내 도구 상자(142)에 저장할 수 있는 작업물은 위젯, 화면, 시나리오, 텍스트 및 페이지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을 통해 수정된 단위 위젯, 위젯들의 집합으로 구성한 새로운 화면 구성, 화면과 화면을 연결선으로 연결하여 구성한 화면간 이동 시나리오, 내용을 기재하 여 구성한 텍스트, 작업자가 삽입 또는 수정한 그림, 작업물이 기재된 페이지 등이 내 도구 상자(142)에 저장될 수 있다. 도 5에는 다양한 작업물(m1, m2, m3, m4)이 저장된 내 도구 상자(142)가 도시되어 있다. 즉, 내 도구 상자(142)에는 작업자가 작업하거나 화면에 보여지는 모든 구성 요소가 저장될 수 있으며, 그 형태 및 크기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내 도구 상자(142)에는 개수의 제한 없이 작업물을 저장할 수 있다.
내 도구 상자(142)에 저장된 작업물은 저장된 작업물을 클릭하거나 드래그 앤 드랍(drag and drop)하여 다시 작업 영역으로 불러오거나 복사할 수 있다. 또한, 내 도구 상자(142)는 파일 저장부(미도시)에서 파일로 저장할 수 있다. 즉, 내 도구 상자(142)에 저장한 작업물을 파일로 저장함으로써, 다른 문서에서 사용하거나, 다른 작업자가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저작 장치의 내 도구 상자(142)는 작업자가 작업한 다양한 작업물을 모두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UI 저작이 가능하다. 또한, 내 도구 상자(142)가 파일로 저장됨으로써, 작업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UI 저작에 있어서 비용 및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다.
템플릿 영역(144)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본 템플릿이 제공된다. 템플릿 영역(144)에 저장된 기본 템플릿은 위젯, 화면, 시나리오, 텍스트 및 페이지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스턴스 영역(146)에는 인스턴스 복사한 화면이 저장될 수 있다. 인스턴스 복사를 하면, 해당 화면의 인스턴스가 작업 영역(110)에 형성되고, 인스턴스는 인스턴스 영역(146)에도 형성된다. 기본 화면에 대하여 인스턴스 복사를 수행하면, 작업 영역에 인스턴스 화면이 형성된다. 인스턴스 화면과 기본 화면은 두 화면 중에 어느 한 화면을 변경하면, 나머지 화면도 같이 변경된다. 즉, 위젯 추가, 기능 변경, 텍스트 변경, 위치 또는 크기 변경 등의 변경이 어느 한 화면에 가해지면, 다른 화면도 동일하게 변경된다. 문서가 다수개의 인스턴스 화면을 하나의 화면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UI 저작 장치의 페이지/개요 영역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저작 장치의 페이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저작 장치의 개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UI 저작 장치는 페이지/개요 영역(120)을 포함한다.
도 6 내지 도 8의 페이지/개요 영역(120)에는 페이지 영역(122) 및 개요 영역(124)이 병렬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페이지 영역(122)은 UI의 저작 내용을 도시하는 페이지를 모두 도시한다. 즉, 모든 페이지가 종렬로 나열되도록 함으로써, 한눈에 작업 페이지를 개괄할 수 있다.
개요 영역(124)에는 UI의 저작 내용을 개괄적으로 기재할 수 있다. 즉, 작업 페이지들의 내용 및/또는 목차를 개괄적으로 기재하여, UI의 저작 내용을 한눈에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개요 영역(124)을 기재할 때에 제1 기능키에 의해서는 동일 계열의 라인이 형성되고, 제2 기능키에 의해서는 하위 계열의 라인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예를 들어, 제1 기능키는 엔터(e)이고, 제2 기능키는 스페이스바(s)일 수 있다. 즉, 페이지에서 엔터(e)를 치면 동일 계열의 페이지가 생성되며, 페이지에서 스페이스바(s)를 치면 하위 계열의 페이지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개요 영역(124)에 동일 계열 및 하위 계열의 구성을 자유롭게 편집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입체적으로 저작 내용의 개요를 기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저작 장치는 개요 영역에 저작물의 개요를 기재함으로써, 저작물의 내용을 개괄할 수 있다. 또한, 엔터와 스페이스바를 사용하여 보다 입체적으로 개요를 기재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저작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저작 장치의 저작 툴 바 및 아이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저작 장치의 저장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저작 장치의 내 도구 상자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저작 장치의 페이지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I 저작 장치의 개요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UI 에디터 50: 시뮬레이터
110: 작업 영역 120: 페이지/개요 영역
122: 페이지 영역 124: 개요 영역
130: 메뉴 영역 140: 저장 영역
142: 내 도구 상자 144: 템플릿 영역
146: 인스턴스 영역 150: 시뮬레이터 아이콘
300: 저작 툴 바 410: 시작 화면
420: 도착 화면 430: 연결선

Claims (14)

  1. 중앙처리장치에 의하여 동작되는 컴퓨터에 탑재되어 단말기 UI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UI를 저작 또는 편집하는 영역인 작업 영역; 및
    상기 작업 영역에서 저작 또는 편집된 작업물을 저장하는 영역으로, 작업자가 저작 또는 편집한 작업물에서 위젯, 화면, 시나리오, 텍스트 및 페이지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저장되는 내 도구 상자를 포함하고,
    상기 내 도구 상자에 저장된 작업물은 상기 작업 영역으로 복사되는 단말기 UI 저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 도구 상자에 저장된 작업물을 파일로 저장하는 파일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UI 저작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 영역은 UI의 저작 내용을 도시하는 하나 이상의 페이지를 모두 도시하는 페이지 영역을 더 포함하는 UI 단말기 저작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UI의 저작 내용을 개괄적으로 기재하는 개요 영역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UI 저작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요 영역은 제1 기능키에 의하여 동일 계열의 라인이 형성되고, 제2 기능키에 의하여 하위 계열의 라인이 형성되는 단말기 UI 저작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인스턴스 복사한 화면이 저장되는 인스턴스 영역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UI 저작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기본 템플릿이 제공되는 템플릿 영역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UI 저작 장치.
  8. 중앙처리장치에 의하여 동작되는 컴퓨터에 탑재되어 단말기 UI를 제작하기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UI를 저작하기 위한 기본 위젯 및 기호를 나타내는 복수개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저작 툴 바(tool bar)를 사용하여 UI의 저작 또는 편집을 수행하는 UI 에디터; 및
    상기 UI 에디터에서 저작한 UI를 시뮬레이션하는 시뮬레이터(simulator)를 포함하되,
    상기 UI 에디터는 상기 저작 툴 바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아이콘을 사용하여 UI를 저작 또는 편집하는 영역인 작업 영역; 및
    상기 작업 영역에서 저작 또는 편집된 작업물을 저장하는 영역으로, 작업자가 저작 또는 편집한 작업물에서 위젯, 화면, 시나리오, 텍스트 및 페이지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가 저장되는 내 도구 상자를 포함하고,
    상기 내 도구 상자에 저장된 작업물은 상기 작업 영역으로 복사되고, 파일로 저장되는 단말기 UI 저작 장치.
  9. 단말기 UI 저작 장치를 이용한 UI 저작 방법에 있어서,
    UI를 저작하기 위한 기본 위젯 및 기호를 나타내는 복수개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저작 툴 바(tool bar)를 사용하여 작업 영역에서 작업물을 저작 또는 편집하는 단계;
    상기 저작 또는 편집된 작업물에서 위젯, 화면, 시나리오, 텍스트 및 페이지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내 도구 상자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내 도구 상자에 저장된 작업물을 다시 작업 영역으로 복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 UI 저작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내 도구 상자에 저장된 작업물을 파일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UI 저작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물 형성 시나리오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UI 시나리오를 시뮬레이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UI 저작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UI의 저작 내용을 개괄적으로 기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기 UI 저작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UI의 저작 내용을 개괄적으로 기재하는 단계는, 제1 기능키에 의하여 동일 계열의 라인이 형성되고, 제2 기능키에 의하여 하위 계열의 라인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 UI 저작 방법.
  14. 단말기 UI 저작 장치에서 UI 저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에 있어서,
    UI를 저작하기 위한 기본 위젯 및 기호를 나타내는 복수개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저작 툴 바(tool bar)를 사용하여 작업 영역에서 작업물을 저작 또는 편집하는 단계;
    상기 저작 또는 편집된 작업물에서 위젯, 화면, 시나리오, 텍스트 및 페이지를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내 도구 상자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내 도구 상자에 저장된 작업물을 다시 작업 영역으로 복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 UI 저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20080088833A 2008-09-09 2008-09-09 단말기 ui저작 장치 및 단말기 ui저작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982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833A KR100982853B1 (ko) 2008-09-09 2008-09-09 단말기 ui저작 장치 및 단말기 ui저작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8833A KR100982853B1 (ko) 2008-09-09 2008-09-09 단말기 ui저작 장치 및 단말기 ui저작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060A KR20100030060A (ko) 2010-03-18
KR100982853B1 true KR100982853B1 (ko) 2010-09-16

Family

ID=42180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8833A KR100982853B1 (ko) 2008-09-09 2008-09-09 단말기 ui저작 장치 및 단말기 ui저작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8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1114B1 (ko) * 2010-06-15 2015-03-1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개발 보조 장치 및 방법, 컨텐츠 개발 보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258A (ko) * 1999-05-08 2000-12-05 윤종용 사용자 정의 메뉴를 위한 편집기능 구현방법
JP2004240644A (ja) 2003-02-05 2004-08-26 Toshiba Corp メニュー作成システムおよびメニュー作成方法
KR20080026000A (ko) * 2006-09-19 2008-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저인터페이스 흐름을 시뮬레이션 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258A (ko) * 1999-05-08 2000-12-05 윤종용 사용자 정의 메뉴를 위한 편집기능 구현방법
JP2004240644A (ja) 2003-02-05 2004-08-26 Toshiba Corp メニュー作成システムおよびメニュー作成方法
KR20080026000A (ko) * 2006-09-19 2008-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저인터페이스 흐름을 시뮬레이션 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0060A (ko) 2010-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8420B2 (en) Telling interactive, self-directed stories with spreadsheets
CN102609188B (zh) 基于插入点的用户界面交互行为
US2015012123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Displaying Multi-Slide Presentations
CA296384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displaying multi-slide presentations
CN106170766A (zh) 用于显示和缩放可选控件和命令的命令用户界面
CN103853426A (zh) 用户终端装置及其控制方法
CN103593142A (zh) 一种分享歌词的方法及装置
TW201525730A (zh) 註解提示顯示
US20140281852A1 (en) Multimedia presentation authoring tools
KR100982853B1 (ko) 단말기 ui저작 장치 및 단말기 ui저작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5366412B2 (ja) コールフロー作成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Chi et al. DemoWiz: re-performing software demonstrations for a live presentation
KR102159326B1 (ko) 작가체학습단말기 및 시스템
KR101118536B1 (ko) 상호 작용이 가능한 콘텐츠 저작 수단을 제공하는 방법
KR100982870B1 (ko) 단말기 ui 저작 방법, 단말기 ui 저작 장치 및 단말기 ui 저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989260B1 (ko) 단말기 ui 저작 장치 및 단말기 ui 저작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100982841B1 (ko) 단말기 ui 저작 방법, 단말기 ui 저작 장치 및 단말기 ui 저작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JP6780392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4635219B2 (ja) グラフィクス対話装置およびグラフィクス対話プログラム
JP5255865B2 (ja) 画面遷移設計支援装置、画面遷移設計支援方法および画面遷移設計支援プログラム
Huddleston Beginning Adobe Experience Design: Quickly Design and Prototype Websites and Mobile Apps
JP7473916B2 (ja) 教材オーサリングシステム
JP7473917B2 (ja) 教材オーサリングシステム
Aubin et al. The Aubin Academy Master Series: Revit MEP 2012
Ergashevich et al. USE OF ELECTRONIC EDUCATIONAL RESOURCES IN THE EDUCATIONAL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