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075B1 - 날부교환식 절삭공구 및 이것에 장착되는 날부 - Google Patents

날부교환식 절삭공구 및 이것에 장착되는 날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075B1
KR100981075B1 KR1020030007749A KR20030007749A KR100981075B1 KR 100981075 B1 KR100981075 B1 KR 100981075B1 KR 1020030007749 A KR1020030007749 A KR 1020030007749A KR 20030007749 A KR20030007749 A KR 20030007749A KR 100981075 B1 KR100981075 B1 KR 100981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hook
hole
bolt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7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2221A (ko
Inventor
키무라요시히코
나카무라토루
아베타로
사토타카히로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72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4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 B23B27/16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13Retention by bayonet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06Features relating to the removal of tool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07Retention by laterally-acting detents, e.g. pins, screws, wedges; Retention by loose elements, e.g. balls
    • B23B31/1075Retention by screws
    • B23B31/1076Retention by screws with conical 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1Retention by threaded connection
    • B23B31/1107Retention by threaded connection for conical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1Retention by threaded connection
    • B23B31/1107Retention by threaded connection for conical parts
    • B23B31/1122Retention by threaded connection for conical parts using cylindrical thr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863Shouldered-tang hol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8/00Cutting by use of rotating axially moving tool
    • Y10T408/94Tool-support
    • Y10T408/95Tool-support with tool-retaining means
    • Y10T408/957Tool adap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9352Cutter spindle or spindle supp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9352Cutter spindle or spindle support
    • Y10T409/309408Cutter spindle or spindle support with cutter hol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9352Cutter spindle or spindle support
    • Y10T409/309408Cutter spindle or spindle support with cutter holder
    • Y10T409/309464Cutter spindle or spindle support with cutter holder and draw b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9/00Gear cutting, milling, or planing
    • Y10T409/30Milling
    • Y10T409/30952Milling with cutter hol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Knives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 Drilling Tool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과제)날부의 편심이 생기지 않고, 또한, 날부의 장착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한다.
(해결수단)날부(120)에 축부(125)와 이 축부(125)보다 지름방향 외방측으로 일단이 돌출되는 각부(132…)를 구비한 단부(126)로 이루어지는 훅부(124)를 형성한다. 볼트부(140)에 훅부(124)의 단부(126)가 통과할 수 있는 훅구멍(144)을 형성한다. 훅구멍(144)의 주위에 끼워맞춤부(150…)를 형성한다. 훅부(124)의 단부(126)를 훅구멍(144)에 삽입해서 통과시킨 후, 날부(120)를 볼트부(14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을 향해서 약 60°회전시킨 상태로, 날부(120)와 볼트부(140)를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시켰을 때, 훅부(124)의 단부(126)의 각부(132…)를 끼워맞춤부(150…)에 끼워맞춘다.

Description

날부교환식 절삭공구 및 이것에 장착되는 날부{EDGE PART EXCHANGE TYPE CUTTING TOOL AND EDGE PART TO BE ATTACHED THERETO}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를 나타내는 일부파단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날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날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b)는 동날부의 후단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A-A선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볼트부(인입부재)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단면도, (b)는 동볼트부의 선단면도, (c)는 동볼트부의 후단면도, (d)는 (a)에 있어서의 B-B선단면도, (e)는 (a)에 있어서의 C-C선단면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날부의 장착공정을 설명하는 사시도, (b)는 (a)의 상태에 있어서의 날부와 볼트부의 측면 도, (c)는 (b)에 있어서의 D-D선단면도, (d)는 (b)에 있어서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날부의 장착공정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날부의 장착공정을 설명하는 사시도, (b)는 (a)의 상태에 있어서의 날부와 볼트부의 측면도, (c)는 (b)에 있어서의 F-F선 단면도, (d)는 (b)에 있어서의 G-G선 단면도, (e)는 (b)에 있어서의 H-H선 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날부의 장착공정을 설명하는 사시도, (b)는 (a)의 상태에 있어서의 날부와 볼트부의 측면도, (c)는 (b)에 있어서의 I-I선 단면도, (d)는 (b)에 있어서의 J-J선 단면도, (e)는 (b)에 있어서의 K-K선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날부의 장착공정을 설명하는 사시도, (b)는 (a)의 상태에 있어서의 날부와 볼트부의 측면도, (c)는 (b)에 있어서의 L-L선 단면도, (d)는 (b)에 있어서의 M-M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볼트부(인입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 (b)는 동볼트부의 선단면도, (c)는 동볼트부의 후단면도, (d)는 (a)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e)는 (a)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날부의 장착공정을 설명하는 날부와 볼트부의 측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4의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날부의 장착공정을 설명하는 날부와 볼트부의 측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e-e선 단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f-f선 단면도이다.
도 15의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날부의 장착공정을 설명하는 날부와 볼트부의 측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g-g선 단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h-h선 단면도이다.
도 16의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날부의 장착공정을 설명하는 날부와 볼트부의 측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i-i선 단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j-j선 단면도이다.
도 17의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날부의 장착공정을 설명하는 날부와 볼트부의 측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k-k선 단면도, (c)는 (a)에 있어서의 l-l선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날부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9의 (a)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날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b)는 동날부의 후단면도이다.
도 20의 (a)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날부를 나타내는 측면도, (b)는 동 날부의 후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22의 (a)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날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a)의 부분 절단도이다.
도 23의 (a)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볼트부(인입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a)에 있어서의 부분 절단도이다.
도 24의 (a)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날부의 장착공정을 나타내는 부분 절단사시도, (b)는 (a)의 상태에 있어서의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일부 파단 단면도, (c)는 (b)에 있어서의 Aa-Aa선 단면도이다.
도 25의 (a)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날부의 장착공정을 나타내는 부분 절단사시도, (b)는 (a)의 상태에 있어서의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일부 파단 단면도, (c)는 (b)에 있어서의 Ba-Ba선 단면도, (d)는 (b)에 있어서의 Ca-Ca선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 날부의 장착공정을 나타내는 부분 절단 사시도이다.
도 27의 (a)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날부의 장착공정을 나타내는 부분 절단 사시도, (b)는 (a)의 상태에 있어서의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일부 파단 단면도, (c)는 (b)에 있어서의 Da-Da선 단면도, (d)는 (b)에 있어서의 Ea-Ea선 단면도이다.
도 28의 (a)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날부의 장착공정을 나타내는 부분 절단 사시도, (b)는 (a)의 상태에 있어서의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일부 파단 단면도, (c)는 (b)에 있어서의 Fa-Fa선 단면도, (d)는 (b)에 있어서의 Ga-Ga선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단면도이다.
도 30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공구본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단면도, (b)는 동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공구본체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단면도이다.
도 33의 (a)는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단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주요부분 확대도이다.
도 34는 종래의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5는 종래의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단면도이다.
도 36은 도 35에 나타내는 종래의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단면도이다.
도 37의 (a)는 종래의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일례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단면도, (b)는 (a)에 있어서의 X-X선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200,300,400,500,600,700:날부교환식 절삭공구
110:공구본체 112:부착구멍
115:암나사부(피나사결합부) 120,320:날부
124,324:훅부 125,325:축부
126,326:단부 132,336:각부
129,329:일방향회전 제한벽면 130:타방향회전 제한벽면
140,240,340,440:볼트부(인입부재) 142,242,442:숫나사부(나사결합부)
144,244,344,444:훅구멍 150,250:끼워맞춤부
160:압압부재 330:양방향회전 제한벽면
335:타방향회전 제한벽면 O:축선
S:나사삽입 회전방향
T:공구회전방향
본 발명은 날부가 착탈가능하게 공구본체에 장착되는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의 하나의 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절삭날을 구비한 절삭부를 갖는 날부의 후단측부분과, 숫나사부를 갖는 볼트부의 선단측부분이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며, 이들 연결된 날부 및 볼트부가 공구본체에 형성된 암나사부를 갖는 부착구멍에 삽입되어 있음과 아울러, 볼트부의 숫나사부가 부착구멍의 암나사부에 나사식삽입되어 있는 것에 의해, 날부가 공구본체의 축선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되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도 34에 나타내는 특허문헌1에 개시되어 있는 날부교환식 절삭공구(10)가 있으며, 이것은, 날부(20)의 후단측부분인 테이퍼부(21)의 외주면이 절단됨으로써,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개구되는 오목홈(22)과 혀부(23)로 이루어지는 훅부(24)가 형성되며, 볼트부(30)의 선단측부분인 테이퍼부(31)의 외주면이 절단됨으로써, 날부(20)의 훅부(24)와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는 오목홈(32)과 혀부(33)로 이루어지는 훅부(34)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훅부(24,34)끼리를 서로 끼워맞춤으로써, 날부(20)와 볼트부(30)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날부(20)가 공구본체(11)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날부(20)의 테이퍼부(21)의 외주면이 부착구멍(12)의 테이퍼구멍(13)의 내주면을 압압하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훅부(24,34)끼리의 끼워맞춤에 의해 날부(20)와 볼트부(30)가 연결되어 있으면, 볼트부(30)의 숫나사부(35)가 부착구멍(12)의 암나사부(14)에 나사식삽입에 의해 볼트부(30)의 훅부(34)가 날부(20)를 후단측으로 인입하는 힘이, 공구본체(11)의 축선(O)을 따르지 않고, 날부(20)의 테이퍼부(21)에 있어서의 훅부(24)의 오목홈(22)과 반대측(도면중 흰색 화살표방향)으로 치우치고, 날부(20)가 공구본체(11) 축선(O)에 대하여 편심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날부(20)의 훅부(24)가 테이퍼부(21)안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날부(20)의 테이퍼부(21)의 외주면이 부착구멍(12)의 테이퍼구멍(13)의 내주면을 압압하는 힘도 크게 치우치게 되며, 상기 날부(20)가 편심되는 경향이 보다 현저하게 된다.
또한, 다른 문제로서, 날부(20) 및 볼트부(30)를 공구본체(11)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는, 이들 날부(20)와 볼트부(30)의 연결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미리 볼트부(30)를 공구본체(11)의 부착구멍(12)에 삽입해서 나사식으로 끼울 필요가 있으며 조작성이 우수하지 못했다.
또, 이 특허문헌1에는, 도35에 나타내는 날부교환식 절삭공구(40)도 개시되고 있으며, 이것은 날부(50)의 후단측부분(51)에,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개구되는 한 쌍의 오목홈(52,52)과 한 쌍의 혀부(53, 53)로 이루어지는, 개미형상(비둘기의 꼬리형상 단면의 볼록부)의 훅부(54)가 형성되며, 볼트부(60)의 선단측부분(61)에 날부(50)의 훅부(54)와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오목홈(62,62)과 한 쌍의 혀부(63,63)로 이루어지는, 개미홈형상(비둘기의 꼬리형상 단면의 오목부)의 훅부(64)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들 훅부(54,64)끼리를 서로 끼워맞춤으로써, 날부(50)와 볼트부(60)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또, 특허문헌2에도 이것과 유사한 구성을 갖는 날부교환식 절삭공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날부교환식 절삭공구(40)에서는, 볼트부(60)에 의해 날부(50)를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할 때는, 볼트부(60)의 선단측부분에 형성된 개미홈형상의 훅부(64)가 벌어지게 되는 힘(도면중 흰색 화살표방향)이 가해져서, 이 훅부(64)가 변형되어 버려, 날부(50)의 안정된 장착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곤란했다.
또, 날부(50)를 공구본체(41)에 장착했을 때는, 공구본체(41)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볼트부(60)와 날부(50)를 연결한 후, 이들 연결된 날부(50) 및 볼트부(60)를 공구본체(41)의 부착구멍(42)에 삽입하게 되지만, 날부(50)와 볼트부(60)의 연결이 개미형상의 훅부(54)와 개미홈형상의 훅부(64)의 끼워맞춤에 의해 이루어져 있을 뿐이기 때문에, 날부(50)와 볼트부(60)의 연결이 빠지기 쉽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또, 도3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부(60)의 숫나사부(65)를 길게 함으로써, 미리 공구본체(41)의 부착구멍(42)에 소정량 나사식삽입된 상태의 볼트부(60)에 대하여, 날부(50)를 연결하고 나서, 볼트부(60)의 숫나사부(65)를 나사식삽입함으로써, 날부(50)와 볼트부(60)의 연결을 비교적 빠지기 어렵게 하는 것도 고려되지만, 이렇게 하면, 볼트부(60)의 숫나사부(65)를 부착구멍(42)의 암나사부(44)에 나사식삽입하기 위해 필요한 나사식삽입량이 현저하게 증대하게 되어, 이것에 따라, 볼트부(60)와 연결된 날부(50)를 회전시키는 회전량이 증대하게 되므로 효과적인 해결 수단으로는 될 수 없었다.
또, 상술한 날부의 편심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37에 나타내는 특허문헌3에 개시되어 있는 날부교환식 절삭공구(70)나, 도시는 하지 않지만 특허문헌4에 개시되어 있는 날부교환식 절삭공구가 있다.
도37에 나타내는 특허문헌3에 개시되어 있는 날부교환식 절삭공구는 날부(80)의 후단측부분(81)에, 그 후단면(82)에 개구되는 훅구멍(84)과, 이 훅구멍(84)의 선단측으로 이어짐과 아울러 후단측부분(81)의 외주면(83)에 개구되는 훅부 수납구멍(85)이 형성되어 있으며, 볼트부(90)의 선단측부분(91)에 훅구멍(84)을 통과할 수 있으며 볼트부(90)의 축선을 2회축으로 하는 회전대칭의 단부(92) 및 대략 원주상의 축부(93)로 이루어지는 훅부(9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날부(80)를 공구본체(71)에 장착할 때에는, 부착구멍(72)의 암나사부(73)에 대하여 볼트부(90)의 숫나사부(96)를 적절히 나사식삽입해 두고, 날부(80)를 부착구멍(72)안에 후단측으로 향해서 삽입함으로써, 볼트부(90)의 훅부(94)에 있어서의 단부(92)를 훅구멍(84)으로부터 훅부 수납구멍(85)안에 삽입한다.
다음에, 날부(80)를 볼트부(9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볼트부(90)의 숫나사부(96)를 부착구멍(72)의 암나사부(73)에 나사식삽입할 때 볼트부(90)를 공구본체(71)에 대하여 회전시킬 때의 회전방향)의 전방측으로 소정각도 상대회전시키면, 훅부(94)의 단부(92)에 형성된 회전력전달용 벽면(95)이 훅부 수납구멍(85)의 외주면(83)으로의 개구부의 가장자리(86)에 접촉함으로써, 날부(80)로부터 부여되는 회전력이 볼트부(90)에 전달되어서, 볼트부(90)의 숫나사부(96)가 부착구멍(72)의 암나사부(73)에 나사식삽입된다.
그리고, 볼트부(90)가 후단측으로 인입되어 가면, 훅부(94)의 단부(92)가 훅구멍(84)의 주위의 벽면(87), 즉 훅부 수납구멍(85)에 있어서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에 접촉해서 걸림으로써 날부(80)와 볼트부(90)의 축선방향에서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이 저지되어서 날부(80)와 볼트부(90)가 연결되고, 날부(80)가 후단측으로 인입되어서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특허문헌1)
특허 제2656949호공보(제2도, 제4도)
(특허문헌2)
유럽 특허0776719호 명세서(제1도)
(특허문헌3)
영국 특허990353호 명세서(제1도, 제2도)
(특허문헌4)
영국 특허출원 공개 제2158374호명세서(제5도)
여기서, 상기와 같은 날부교환식 절삭공구(70)에 있어서, 날부(80)가 후단측으로 인입되어 공구본체(71)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볼트부(90)의 숫나사부(96)를 나사식삽입할 때 날부(80)로부터 주어지는 회전력을 볼트부(90)에 전달하기 위해서, 훅부(94)의 단부(92)에 형성된 회전력전달용 벽면(95)이 훅부 수납구멍(85)의 외주면(83)으로의 개구부의 가장자리(86)에 접촉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면, 훅부(94)의 단부(92)를 훅구멍(84)으로부터 훅부 수납구멍(85)에 삽입하고 나서, 날부(80)를 볼트부(9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상대회전시킬 수 있는 소정 각도가 작게 제한되고, 볼트부(90)가 후단측으로 인입되었을 때, 훅구멍(84)의 주위의 벽면(87)과 훅부(94)의 단부(92)가 서로 접촉하는 면적을 충분히 크게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날부(80)의 장착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없었다.
또한, 훅부(94)의 축부(93)가 단순한 대략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고는 말할 수 없고, 이것에 의해서도 안정된 날부(80)의 장착을 유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었다.
또한, 날부(80)를 공구본체(71)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볼트부(90)의 숫나사부(96)를 부착구멍(72)의 암나사부(73)로부터 풀고자 할 때에는 날부(80)를 볼트부(9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상대회전시킨 소정 각도만큼, 날부(80)를 볼트부(9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으로 상대 회전시키지 않으면, 날부(80)로부터 주어지는 회전력을 볼트부(90)에 전달할 수 없고, 날부(80)를 분리할 때 번거로워서 조작성이 나쁘다는 문제와, 날부(80)를 공구본체(71)에 장착한 상태에서도, 이 날부(8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으로 향하는 힘이 가해진 경우에는, 날부(80)가 볼트부(90)로부터 빠지게 될 우려가 있었다.
또, 특허문헌4에 개시되어 있는 날부교환식 절삭공구는, 날부의 후단측부분에, 날부의 축선을 2회축으로 하는 회전대칭의 단부 및 대략 원주상의 축부로 이루어지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T자형의 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훅부를 볼트부에 형성된 훅구멍으로부터 훅부 수납구멍내에 삽입하고 나서, 볼트부의 숫나사부를 공구본체의 부착구멍의 암나사부에 나사식삽입함으로써, 날부와 볼트부가 약 90° 상 대회전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볼트부가 날부를 후단측으로 인입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에서는, 날부와 볼트부의 둘레방향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되는 일이 없고, 날부의 장착작업중 뿐만아니라, 날부를 공구본체에 장착한 후에도, 날부에 대하여 둘레방향의 힘이 가해진 경우에, 날부가 볼트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우려가 있으며, 날부의 장착상태가 매우 나쁘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훅부의 축부도 단순한 대략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뿐이므로, 그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도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날부의 편심이 발생하지 않고, 또한 날부의 장착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는 날부교환식 절삭공구 및 이것에 장착되는 날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날부교환식 절삭공구는, (적어도 하나의 절삭날을 구비한)절삭부를 갖는 날부의 후단측부분과 인입부재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들 연결된 날부 및 인입부재가 공구본체에 형성된 부착구멍에 삽입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인입부재가 상기 공구본체의 축선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 인입부재와 연결된 상기 날부가 상기 공구본체의 축선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되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날부교환식 절삭공구로서, 상기 날부의 후단측부분 및 상기 인입부재 중 어느 한 쪽에는 축부와 이 축부보다 지름방향 외방측으로 1단 돌출되는 각부(角部)를 구비한 단부로 이루어지는 훅부가 형성되며, 다른 쪽에는 그 끝면에 상기 훅부의 단부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개구되는 훅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훅부의 단부를 상기 훅구멍에 삽입해서 통과시키고 나서 상기 날부를 상기 인입부재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소정 각도 상대회전시킨 후, 상기 날부와 상기 인입부재를 축선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켰을 때, 상기 훅부와 상기 훅구멍이 형성된 상기 날부의 후단측부분 혹은 상기 인입부재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날부와 상기 인입부재의 둘레방향으로의 상대회전 및 축선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이 저지되어서, 상기 날부와 상기 인입부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훅부와 상기 훅구멍이 형성된 상기 날부의 후단측부분 혹은 상기 인입부재가 접촉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상기 날부와 상기 인입부재의 연결은 예를 들면, 상기 훅구멍의 주위의 벽면에 상기 훅부의 단부의 각부를 끼워맞출 수 있는 끼워맞춤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훅부의 단부의 각부가 상기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춰짐으로써 이루어져 있어도 좋고, 또는 상기 훅부의 축부에 상기 훅구멍의 내주면에 접촉가능한 양방향회전 제한벽면이 형성되고 있으며, 상기 양방향회전 제한벽면이 상기 훅구멍의 내주면에 접촉함과 아울러, 상기 훅부의 단부의 각부가 상기 훅구멍의 주위의 벽면에 접촉함으로써 이루어져 있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에서는, 날부와 인입부재의 연결이 훅부의 단부를 훅구멍에 삽입해서 통과시킨 후 날부와 인입부재를 소정각도 상대회전시킨 상태로, 훅부와 훅구멍이 형성된 날부의 후단측부분 혹은 인입부재를 접촉시킴으로써(훅부의 단부의 각부를 훅구멍의 주위의 벽면에 형성된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추거나, 훅부의 축부에 형성된 양방향회전 제한벽면을 훅구멍의 내주면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훅부의 단부의 각부를 훅구멍의 주위의 벽면에 접촉시킴으로써)행해지므로, 이 훅부의 단부의 형상을, 축선을 n회축(n≥2)으로 하는 회전대칭으로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인입부재에 의해 날부를 인입하는 힘이 치우치는 일이 없어, 날부의 편심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여기서, 회전대칭이란 하나의 축둘레에 있는 도형을 회전하는 대칭조작이 행해질 때, 2π/n라디안(n은 양의 정수)의 회전으로 같은 도형이 되풀이되는 성질을 말하며, 그 회전축을 n회축이라 한다)
또, 훅부의 단부를 훅구멍에 삽입해서 통과시키고 나서 날부를 인입부재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상대회전시킬 때의 소정각도가 훅부의 단부의 형상에 의해 소량으로 제한되는 일이 없고, 날부와 인입부재의 축선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을 저지하기 위해서, 훅부와 훅구멍이 형성된 날부의 후단측부분 혹은 인입부재가 서로 접촉하는 면적(훅부의 단부의 각부와 훅구멍의 주위의 벽면에 형성된 끼워맞춤부가 서로 접촉하는 면적, 혹은, 훅부의 단부의 각부와 훅구멍의 주위의 벽면이 서로 접촉하는 면적)을 충분히 크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져, 날부의 장착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훅구멍에 대해서는, 훅구멍이 형성된 날부의 후단측부분 및 인입부재중 어느 한 쪽의 외주면에까지 개구시킬 필요가 없고, 둘레방향으로 폐쇄된 구조로 할 수 있으므로, 강도를 높게 유지하고, 그 변형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또, 공작물의 절삭가공에 공급되게 되는 절삭부를 갖는 날부에 대해서, 그 강성의 점을 고려하면, 상기 날부의 후단측부분에 상기 훅부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인입부재에 상기 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훅부의 축부에는, 상기 훅부의 단부를 상기 훅구멍에 삽입해서 통과시키고 나서 상기 날부를 상기 인입부재에 대하여 둘레방향의 일방향측으로 소정 각도 상대회전시켰을 때, 상기 훅구멍의 내주면에 접촉해서 그 이상의 둘레방향의 일방향측으로의 상대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일방향회전 제한벽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훅부의 단부를 훅구멍에 삽입해서 통과시키고 나서, 날부를 인입부재에 대하여 둘레방향의 일방향측을 향해서 상대회전시켜 갈 때, 정확히 상대회전시켜야 할 소정각도만큼 상대회전한 상태로 날부와 인입부재가 서로 결합되고, 둘레방향의 일방향측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된다.
이것에 의해, 날부를 인입부재에 대하여, 필요이상으로 상대회전시키게 될 우려가 없어지고, 그 후, 날부와 인입부재를 축선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시켰을 때도, (날부와 인입부재를 연결하기 위한) 훅부와 훅구멍이 형성된 날부의 후단측부분 혹은 인입부재의 접촉(훅부의 단부의 각부가 훅구멍의 주위의 벽면에 형성된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춰지게 되거나, 훅부의 축부에 형성된 양방향회전 제한벽면이 훅구멍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동시에 훅부의 단부의 각부가 훅구멍의 주위의 벽면에 접촉된다)을 확실하고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아울러, 훅부의 축부에 일방향회전 제한벽면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대략 원주상을 이루는 종래의 축부와 비교했을 때에는, 일방향회전 제한벽면이 형성되어 있는 분만큼, 그 단면적이 커지고, 이 축부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날부의 장착상태를 안정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인입부재를 상기 공구본체의 축선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하기 위한 인입수단으로서는, 상기 인입부재는 나사결합부를 갖고, 상기 부착구멍은 피나사결합부를 갖고 있어서, 상기 인입부재의 나사결합부가 상기 부착구멍의 피나사결합부에 나사식삽입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인입부재가 상기 공구본체의 축선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날부를 공구본체에 장착할 때는, 날부를 인입부재의 나사결합부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의 전방측으로 회전시켜서, 이 날부와 연결된 인입부재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인입부재의 나사결합부를 부착구멍의 피나사결합부에 나사식삽입해 감으로써, 인입부재 및 이것과 연결된 날부를 축선방향의 후단측을 향해서 강고한 힘으로 인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의한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에서는, 날부가 공구본체에 장착된 상태에 있을 때, 훅부가 훅구멍이 형성된 날부의 후단측부분 혹은 인입부재에 접촉되어서(훅부의 단부의 각부가 훅구멍의 주위의 벽면에 형성된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춰지거나, 혹은, 훅부의 축부에 형성된 양방향회전 제한벽면이 훅구멍의 내주면에 접촉되어서), 날부와 인입부재의 둘레방향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되어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날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인입부재의 나사결합부를 부착구멍의 피나사결합부에 나사식삽입해 가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면, 날부로부터 인입부재에 주어지는 나사식삽입 회전방향의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의 회전력이 상시 전달된다.
그 때문에, 날부를 공구본체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날부를 나사식삽입 회전방향의 후방측으로 회전시키면, 날부로부터 주어지는 회전력이 손실없이 바로 인입부재에 전달되는 것이며, 또한, 날부가 공구본체에 장착된 상태에서 이 날부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의 후방측으로 힘이 가해져도 인입부재의 나사결합부가 부착구멍의 피나사결합부로부터 풀어지지 않는 한, 날부가 인입부재로부터 빠져버릴 일이 없다.
또, 상기 날부는, (적어도 하나의 절삭날을 구비한)절삭부와 이 절삭부의 후단측으로 이어지는 동시에 후단측을 향할수록 외경이 점차 축소되는 대략 원추대형상의 테이퍼부와 이 테이퍼부의 후단측으로 이어지는 상기 후단측부분을 갖고, 상기 부착구멍은, 후단측을 향할수록 내경이 점차 축경되는 대략 원추대 구멍형상의 테이퍼구멍을 갖고 있어서, 상기 날부의 테이퍼부의 외주면이 상기 부착구멍의 테이퍼구멍의 내주면을 압압해서 상기 날부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인입부재에 의해 날부가 공구본체의 축선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되었을 때, 날부의 테이퍼부의 외주면이 부착구멍의 테이퍼구멍의 내주면에 치우치는 일없이 균일하게 압압하도록 할 수 있고, 날부의 축선과 공구본체의 축선을 완전히 일치시켜서 중심맞춤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날부교환식 절삭공구는 상기 훅부의 단부를 상기 훅구멍 에 삽입해서 통과시켰을 때, 상기 날부와 상기 인입부재를 이들이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압압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날부를 공구본체에 장착할 때, 미리 인입부재를 부착구멍에 삽입해 둘 필요성은 없고, 부착구멍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인입부재와 날부를 준비하고, 훅부의 단부를 훅구멍에 삽입해서 통과시킨 후 날부를 인입부재에 대하여 소정각도만큼 둘레방향으로 상대회전시킨 후, 훅부의 단부를 훅구멍에 삽입하고 있는 힘을 느슨하게 하면, 압압부재에 의해 날부와 인입부재가 축선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압압되어, 자연스럽게 (날부와 인입부재를 연결하기 위한)훅부와 훅구멍이 형성된 날부의 후단측부분 혹은 인입부재가 접촉된 상태(훅부의 단부의 각부가 훅구멍의 주위의 벽면에 형성된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춰진 상태,혹은, 훅부의 축부에 형성된 양방향회전 제한벽면이 훅구멍의 내주면에 접촉됨과 아울러 훅부의 단부의 각부가 훅구멍의 주위의 벽면에 접촉된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공구본체로부터 분리한 상태의 날부와 인입부재를 서로 연결해서 그 연결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들 연결된 날부 및 인입부재를 일체적으로 부착구멍에 삽입함으로써, 날부를 공구본체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인입부재가 나사결합부를 갖고 있음과 아울러, 부착구멍이 피나사결합부를 갖고 있어서, 인입부재의 나사결합부가 부착구멍의 피나사결합부에 나사식삽입됨으로써, 인입부재가 공구본체의 축선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되는 구성을 채용하고, 또한, 날부를 공구본체에 장착할 때, 미리 부착구멍에 소정량 나사식삽입된 인입부재에 대하여 날부를 연결하는 경우에는 날부를 부착구멍의 후단측으로 향해서 삽입함으로써, 훅부의 단부를 훅구멍에 삽입해서 통과시키면, 압압부재에 의해 날부와 인입부재가 축선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압압되게 된다.
그러면, 날부를 부착구멍의 후단측으로 향해서 삽입하는 것에 따라 인입부재가 후단측으로 압압되므로, 부착구멍의 피나사결합부와 이 피나사결합부에 나사식삽입된 인입부재의 나사결합부의 사이에 축선방향에서 적당한 크기의 압압력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훅부의 단부를 훅구멍에 삽입해서 통과시킨 상태에서, 날부를 인입부재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소정각도만큼 상대회전시킬 때에는, 인입부재가 공구본체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상대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마찰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날부만을 공구본체에 대하여 확실하게 상대회전시킬 수 있고, 날부와 인입부재가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는 것을 억제해서, 날부를 인입부재에 대하여 둘레방향을 향해서 손실없이 확실하게 소정각도만큼 상대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상기 압압부재는 상기 훅부의 단부를 압압하는 머리부를 갖고 있고, 상기 압압부재의 머리부와 상기 훅부의 단부가 대략 점접촉하는, 예를 들면, 상기 압압부재의 머리부에서의 상기 훅부의 단부에 접촉하는 끝면 및 상기 훅부의 단부에서의 상기 압압부재의 머리부에 접촉하는 끝면 중 적어도 한쪽이 대략 구면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훅부의 단부를 훅구멍에 삽입해서 통과시키고 나서, 날부를 인입부재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소정 각도 상대회전시킬 때, 과대한 힘이 필요하게 되는 일이 없다.
또, 본 발명에 의한 날부는, 본 발명의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에 장착되는 날부이며, (적어도 하나의 절삭날을 구비한)절삭부를 갖고, 후단측부분에는, 축부와 이 축부보다 지름방향 외방측으로 1단 돌출되는 각부를 구비한 단부로 이루어지는 훅부가 형성되어 있거나, 혹은, 그 끝면에 상기 훅부의 단부가 통과가능한 크기로 개구되는 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본 제1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100)는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선(O)둘레로 회전되는 공구본체(110)와, 이 공구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서 고정되는 날부(120)와, 날부(120)를 공구본체(110)에 장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인입부재로서의 볼트부(14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공구본체(110)는, 예를 들면 스틸 등에 의해, 축선(O)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주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선단면(111)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해서,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부착구멍(1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구멍(112)은, 공구본체(110)의 선단면(111)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해서 내경이 일정한 구배로 점차 축경되어 가는 대략 원추대 구멍형상의 테이퍼구멍(113)과, 이 테이퍼구멍(113)의 후단측에 연결됨과 아울러, 일정한 내경으로 후단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대략 원주구멍형상의 수납구멍(114)과, 이 수납구멍(114)의 후단측으로 이어지는 피나사결합부로서의 암나사부(115)로 구성되어 있다.
또, 날부(120)는, 도3 및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절삭날이 형성된 절삭부(121)와, 이 절삭부(121)의 후단측으로 이어지는 동시에 후단측을 향할수록 외경이 일정한 구배로 점차 축경되어 가는 대략 원추대형상을 이루는 테이퍼부(122)와, 이 테이퍼부(122)의 후단측으로 이어지는 후단측부분(123)으로 구성되고, 축선(O)을 중심으로 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테이퍼부(122)에 대해서, 편각에서의 테이퍼각도(θ)가 2∼25°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날부(120)의 절삭부(121)의 형상에 대해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날부(120)의 절삭부(121)에는, 축선(O)에 대해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공구회전방향(T)(후술함)의 후방측을 향해서 비틀어지는 한 쌍의 절삭가루 배출홈(121A,121A)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절삭가루 배출홈(121A,121A)에 있어서의 공구회전방향(T) 전방측을 향하는 벽면의 외주측 능선부에, 한 쌍의 외주날(절삭날)(121D,121D)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절삭가루 배출홈(121A,121A)에 있어서의 공구회전방향(T)의 전방측을 향하는 벽면의 선단측부분은 선단 레이크면으로 되어 있고, 이 선단 레이크면과 선단도피면의 교차 능선부에는, 날부(120)의 최선단을 이루며, 또한 축선(O)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해서 축선(O)근방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연장되는 한 쌍의 바닥날(절삭날)(121B,121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절삭부(121)에 있어서, 한 쌍의 절삭가루 배출홈(121A,121A)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보다 후단측의 부분은 대략 원주상을 이루는 동시에, 그 외주면이 절단되어서 축선(O)에 대해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해서 서로 평행하게 되는 한 쌍의 평탄면(121C,121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날부(120)의 후단측부분(123)은, 테이퍼부(122)의 후단측에 단차부를 지나 이어지는 축부(125)와, 이 축부(125)의 후단측으로 이어지는 동시에 날부(120)의 후단부를 이루는 단부(126)로 이루어지는 훅부(124)로 되어 있는 것이다.
훅부(124)의 축부(125)는 축선(O)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도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선(O)을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원(P)보다 지름방향 외방측을 향해서 돌출되는 3개의 각부(128…)가 둘레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된 형상의 외주면(127)을 갖고 있으며, 이 축부(125)의 단면적이 가상의 원(P)의 면적보다 크게 되어 있다.
각부(128…)의 각각은 훅부(124)의 축부(125)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축선(O)방향을 따라 형성된 2개의 평탄면이 교차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2개의 평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이것에 대해서는 후술함)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평탄면이 일방향회전 제한벽면(129)으로 되고, 또한,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평탄면이 타방향 회전 제한벽면(130)으로 되어 있다.
또, 이들 일방향회전 제한벽면(129) 및 타방향회전 제한벽면(130)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마찬가지로 축선(O)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 훅부(124)의 축부(125)의 외주면(127)은, 하나의 각부(128)에 있어서의 일방향회전 제한벽면(129)과, 이 하나의 각부(128…)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에 인접하는 다른 하나의 각부에 있어서의 타방향회전 제한벽면(130)이 가상의 원(P)의 원호를 이루는 원호상 외주면(127A)에 의해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훅부(124)의 단부(126)는 그 평탄한 끝면(131)(날부(120)에 있어서의 후단면)과 대향하도록 해서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해 보았을 때에, 도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정삼각형상을 이루고 있어서, 이 대략 삼각형상을 이루는 단부(126)의 3개의 각부(132…)가 각각 축부(125)의 외주면(127)보다 지름방향 외방측을 향해서 1단 돌출되어 있다.
이 단부(126)의 3개의 측면(133…)은 각각 평탄면을 이루고 있으며, 이들 3개의 측면(133…)끼리가 서로 교차하는 3개의 각부(132…)근방부분이 평탄면으로 절단됨으로써 3개의 절단면(133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단부(126)의 3개의 측면(133…)은 각각 훅부(124)의 축부(125)에 형성된 타방향회전 제한벽면(130…)과 대략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훅부(124)의 단부(126)에 있어서의 3개의 각부(132…)가 축부(125)의 외주면(127)으로부터 지름방향 외방측을 향해 1단 돌출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들 각부(132…)에는, 축부(125)의 외주면(127)으로부터 기립해서 단부(126)의 측면(133…) 및 절단면(133A)에 교차하는 동시에,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134…)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각부(132…)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134…)은, 도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선(O)을 중심으로 하여 정점이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가상의 대략 원추체(V)의 둘레면의 일부를 이루는 곡면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지름방향 외방측을 향함에 따라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해서 경사져 있다.
또한, 이들 각부(132…)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134…)은, 훅부(124)의 축부(125)의 외주면(127)에 대하여, 단면(외주면(127)에 직교하고, 또한, 축선(O)과 평행한 단면)에서 보았을 때, 곡률반경이 0.02∼0.2mm로 설정된 대략 원호상(혹은 대략 타원호상)을 이루는 곡면(134A,134A)을 개재해서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또, 이 훅부(124)의 단부(126)를 포함한 훅부(124)전체가 축선(O)을 3회축으로 하는 회전대칭으로 되어 있다.
한편, 볼트부(140)는,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스틸로 이루어지고, 대략 원주상을 이루는 선단측부분(141)과, 이 선단측부분(141)의 후단측으로 이어지는 나사결합부로서의 숫나사부(142)로 구성되고, 축선(O)을 중심으로 해서 형성되어 있다.
볼트부(140)의 선단측부분(141)에는, 그 끝면(143)(볼트부(140)에 있어서의 선단면)으로 개구되는 훅구멍(144)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훅구멍(144)의 후단측과 연통되도록, 축선(O)을 중심으로 한 일정한 내경을 갖는 대략 원주 구멍상을 이루는 훅부 수납구멍(14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훅구멍(144)은, 선단측부분(141)의 끝면(143)과 대향하도록 해서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해 보았을 때, 도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정삼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대략 정삼각형상을 이루는 훅구멍(144)의 내주면(146)을 구성하는 3개의 내벽면(147…)은 각각 평탄면을 이루고 있고, 이들 3개의 내벽면(147…)끼리가 서로 교차하는 3개의 각부(148)근방이 단면원호상을 이루는 원호상 내벽면(147A…)에 의해 구성되고, 내벽면(147…)끼리의 교차부분이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이 훅구멍(144)은, 상기와 같은 대략 정삼각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에 의해, 날부(120)에 있어서의 훅부(124)의 단부(126)와 대응한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훅부(124)의 단부(126) 및 축부(125)가 정확히 통과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서, 볼트부(140)의 선단측부분(141)의 끝면(143)으로 개구되어 있게 된다.
또, 대략 정삼각형상을 이루는 훅구멍(144)의 후단측에 대략 원주 구멍상을 이루는 훅부 수납구멍(145)이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훅부 수납구멍(145)의 내주면으로부터 기립해서 훅구멍(144)의 내주면(146)에 있어서의 3개의 내벽면(147…)에 교차하는 동시에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3개의 벽면(149…)이 이 훅구멍(144)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훅구멍(144)의 주위에 위치해서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3개의 벽면(149…)에는, 각각 둘레방향중앙부에, 이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벽면(149)으로부터 축선(O)방향의 선단측으로 1단 오목한 끼워맞춤부(150)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들 끼워맞춤부(150…)는 훅구멍(144)의 내주면(146) 에 있어서의 내벽면(147…)의 각각 둘레방향 중앙부에 개구되어 있다.
이러한 3개의 끼워맞춤부(150)는, 훅구멍(144)의 3개의 각부(148…) 중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각부(148,148)끼리의 사이의 둘레방향 중앙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볼트부(140)의 선단측부분(141)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으로의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되게 되고, 상기의 훅부(125)의 대략 정삼각형상을 이루는 단부(126)의 각부(132…)를 끼워맞추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끼워맞춤부(150…)는 각각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벽면(151)과, 둘레방향을 향해서 서로 대향하도록 평행하게 배치된 한 쌍의 측벽면(152,152)을 갖고 있으며, 또한, 훅구멍(144)의 내주면(146)에 있어서의 내벽면(147…)으로의 개구부로부터, 둘레방향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지름방향 외방측을 향해서 연장됨으로써, 볼트부(140)의 선단측부분(141)의 외주면(141A)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 이들 끼워맞춤부(150…)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벽면(151…)은, 도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훅부(124)의 단부(126)의 각부(132…)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134…)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축선(O)을 중심으로 해서 정점이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가상의 대략 원추체(V)의 둘레면의 일부를 이루는 곡면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지름방향 외방측을 향함에 따라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해 경사져 있다.
또, 이 훅구멍(144), 끼워맞춤부(150) 및 훅부 수납구멍(145)을 포함한 볼트부(140)의 선단측부분(141)전체가, 축선(O)을 3회축으로 하는 회전대칭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볼트부(140)에는 그 볼트부(140)에 있어서의 훅부 수납구멍(145)의 저면(153), 즉, 훅부 수납구멍(145)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으로부터 볼트부(140)의 후단면(154)까지 관통형성된 압압부재 수납구멍(170)안에, 도5에 도시는 되지 않고 있지만 도1 및 도2로부터 이해할 수 있듯이 압압부재(160)가 수용되어 있다.
압압부재 수납구멍(170)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부 수납구멍(145)의 저면(153)으로부터 일정한 내경으로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주 구멍형상을 이루는 제1구멍부(171)와, 이 제1구멍부(171)의 후단측으로 이어지고, 제1구멍부(171)의 내경보다 작은 일정한 내경으로 볼트부(140)의 후단면(154)에 개구되는 제2구멍부(172)로 구성되고 축선(O)을 중심으로 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압압부재 수납구멍(170)에 있어서의 제1구멍부(171)의 내경이 제2구멍부(172)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들 제1구멍부(171)와 제2구멍부(172)의 연결부분에는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으로 이루어지는 단차부(17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압압부재(160)는,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압체(161)와 스프링(167)으로 구성되어 있고, 압압체(161)는 일정한 외경을 갖는 대략 원주상을 이루는 축부(162)와, 이 축부(162)의 선단측으로 이어지고, 축부(162)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갖는 대략 원판상을 이루는 머리부(163)로 구성되고, 축선(O)을 중심으로 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압압체(161)에 있어서의 머리부(163)의 외경이 축부(162)의 외경보다 크 게 설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들 머리부(163)와 축부(162)의 연결부분에,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벽면으로 이루어지는 단차부(16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압압체(161)에 있어서의 머리부(163)의 끝면(164)(선단면)은, 축선(O)부근이 최선단이 되도록,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해서 볼록하게 되는 대략 구면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압압체(161)에 있어서의 축부(162)의 후단측부분에는 그 외주면으로부터 지름방향 바깥쪽으로 1단 돌출되는 형상으로 되도록 대략 링형을 이루는 멈춤링(166)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압부재(160)는, 압압체(161)에 있어서의 축부(162)가 압압부재 수납구멍(170)에 있어서의 제1구멍부(171)안에 수용되어 있음과 아울러, 압압체(161)에 있어서의 머리부(163)가 훅부 수납구멍(145)안에 수용되어 있다.
또, 압압체(161)에 있어서의 단차부(165)(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벽면)와, 압압부재 수납구멍(170)에 있어서의 단차부(173)(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의 사이에는, 압압체(161)의 축부(162)를 주회하도록 해서 스프링(167)이 개재되어 있으며, 이들 단차부(165,173)가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압압되어 있다.
즉, 압압체(161)가 볼트부(140)에 대하여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해서 가압되어 있는 것이다.
또, 스프링(167)의 압압력은 2[N]∼20[N]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압압부재 수납구멍(170)에 있어서의 제1구멍부(171)에 수용되어 있는 압압체(161)의 축부(162)는 그 후단측부분이, 압압부재 수납구멍(170)에 있어서의 제2구멍부(172)를 통과해서 볼트부(140)의 후단면(154)으로부터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돌출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돌출부분에 멈춤링(166)이 부착되어 있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167)에 의해 압압되어서 볼트부(140)에 대하여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해서 가압되어 있는 압압체(161)에 있어서의 머리부(163)의 위치가 훅구멍(144)의 바로 후단측의 훅부 수납구멍(145)내로 제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날부(120)가 볼트부(140)를 개재해서 공구본체(11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날부(120)의 후단측부분(123)을 이루는 훅부(124)의 단부(126)의 3개의 각부(132…)가, 볼트부(140)의 선단측부분(141)에 있어서의 훅구멍(144)의 주위에 위치해서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벽면(149…)에 형성된 3개의 끼워맞춤부(150…)대해서 끼워맞춰져 있다.
이 때, 대략 정삼각형상을 이루는 훅부(124)의 단부(126)에 있어서의 축선(O)으로부터 3개의 각부(132…)중 하나로 향하는 방향과, 대략 정삼각형상을 이루는 훅구멍(144)에 있어서의 축선(O)으로부터 3개의 각부(148…) 중 하나를 향하는 방향이 약 60°의 교차각도로 교차하고 있다. 즉,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위상이 약 60°다른 상태로 되어 있다.
또, 볼트부(140)에는, 축선(O)방향의 선단측으로 가압된 압압체(161)를 갖는 압압부재(160)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훅구멍(144)의 주위에 형성된 끼워맞춤 부(150)에 끼워맞춰진 각부(132…)를 갖는 훅부(124)의 단부(126)는 그 끝면(131)이 압압체(161)의 머리부(163)의 대략 구면상을 이루는 끝면(164)과 대략 점접촉해서 축선(O)방향의 선단측으로 압압되어 있다.
또한, 훅부(124)의 단부(126)의 3개의 각부(132…)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134…)이 훅구멍(144)의 주위에 형성된 3개의 끼워맞춤부(150…)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벽면(151…)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동시에 서로 접촉해서 밀착되어 있음으로써,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이 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단부(126)의 각부(132…)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134…)과 끼워맞춤부(150…)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벽면(151…)은 상술한 가상의 대략 원추체(V)의 둘레면의 일부를 이루는 곡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이들 접촉면도 축선(O)을 중심으로 하여, 정점이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가상의 대략 원추체의 둘레면의 일부가 되는 곡면을 이루며, 지름방향 외방측을 향할수록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해서 경사져 있는 것이다.
또한, 훅부(124)의 단부(126)의 3개의 각부(132…)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벽면, 즉, 단부(126)의 3개의 측면(133…)에 있어서의 각 각부(132…)측의 부분이 3개의 끼워맞춤부(150…)의 각각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을 향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면(152,152)에 접촉하고 있는 것에 의해,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둘레방향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되어 있다.
또, 저지되어 있는 둘레방향으로의 상대회전(날부(120)의 볼트부(140)에 대한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의 상대회전) 중, 날부(120)의 볼트부(140)에 대한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의 상대회전은 훅부(124)의 축부(125)가 훅구멍(144)안에 수용되며 또한, 이 축부(125)에 형성된 일방향회전 제한벽면(129…)이 훅구멍(144)의 내주면(146)에 있어서의 내벽면(147…)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서 서로 접촉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도 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상대이동 및 둘레방향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되어서 연결상태로 된 날부(120) 및 볼트부(140)는 공구본체(110)에 형성된 부착구멍(112)에 대하여, 날부(120)의 대략 원추대형상을 이루는 테이퍼부(122)가 부착구멍(112)의 대략 원추대 구멍형상을 이루는 테이퍼구멍(113)안에 수용되고, 날부(120)의 후단측부분(123)(훅부(124))과 볼트부(140)의 선단측부분(141)이 부착구멍(112)의 대략 원주구멍형상을 이루는 수납구멍(114)안에 수용되도록 삽입되어 있으며, 볼트부(140)의 숫나사부(142)가 부착구멍(112)의 암나사부(115)에 나사식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볼트부(140)의 숫나사부(142)가 부착구멍(112)의 암나사부(115)에 나사식삽입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 볼트부(140)가 부착구멍(112)안에서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되어 있음과 아울러, 볼트부(140)의 선단측부분(141)과 연결된 후단측부분(123)을 갖는 날부(120)가, 부착구멍(112)안에서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날부(120)의 테이퍼부(122)의 외주면의 대략 전체면이, 부착구 멍의 테이퍼구멍(113)의 내주면의 대략 전체면을 압압하고, 날부(120)의 축선(O)과 공구본체(110)의 축선(O)이 일치되어서 중심맞춤이 행해지고, 날부(120)가 공구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서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 날부(120)가 공구본체(110)에 장착되어서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볼트부(140)의 숫나사부(142)와, 부착구멍(112)의 암나사부(115)가, 2∼6산 정도의 맞물림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볼트부(140)의 암나사부(142)는 그 선단측부분에만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날부(120)를 공구본체(110)에 장착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구본체(110)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날부(120) 및 볼트부(140)를 준비하고, 훅부(124)의 대략 정삼각형상을 이루는 단부(126)와, 대략 정삼각형상을 이루는 훅구멍(144)을 일치시키면서, 즉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위상을 일치시키면서, 날부(120)와 볼트부(140)를 축선(O)방향에서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대 이동시켜 간다.
또, 이 때의 대략 정삼각형상을 이루는 훅부(124)의 단부(126)에 있어서의 축선(O)으로부터 3개의 각부(132…) 중 하나로 향하는 방향과, 대략 정삼각형상을 이루는 훅구멍(144)에 있어서의 축선(O)으로부터 3개의 각부(148…) 중 하나로 향하는 방향이 일치해서 약 0°의 교차각도로 교차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즉,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위상의 차이를 약 0°로서 생각한다.
그러면,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부(124)의 단부(126)가 정확히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훅구멍(144)에, 훅부(124)의 단부(126)가 삽입되어 통과된다.
여기에서, 볼트부(140)에는,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해서 가압된 압압체(161)를 갖는 압압부재(160)가 설치되어 있고, 이 압압체(161)의 머리부(163)가 멈춤링(166)에 의해 훅구멍(144)의 바로 후단측의 훅부 수납구멍(145)안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훅구멍(144)을 통과한 훅부(124)의 단부(126)의 끝면(131)이 압압부재(160)에 있어서의 압압체(161)의 머리부(163)의 끝면(164)과 접촉한다.
이 때 훅부(124)의 단부(126)의 끝면(131)은 축선(O)에 직교하는 평탄면으로 되는 한편, 이 끝면(131)과 접촉하고 있는 압압체(161)의 머리부(163)의 끝면(164)이 축선(O)부근이 최선단으로 되도록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해서 볼록하게 되는 대략 구면상을 이루고 있는 점에서, 이들 단부(126)의 끝면(131)과 머리부(163)의 끝면(164)이 축선(O)부근에서 대략 점접촉하고 있을 뿐인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훅부(124)의 단부(126)의 훅구멍(144)으로의 삽입을 계속해 가면, 도8에 나타내듯이, 이 훅부(124)의 단부(126)에 의해, 축선(O)방향의 선단측으로 가압되어 있는 압압부재(160)의 압압체(161)가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압입되어 스프링(167)이 축소되어 간다.
그리고,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위상을 일치시키면서,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축선(O)방향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을 계속해 가는 것에 의해, 훅부(124)의 단부(126)가 훅부 수납구멍(145)안에 위치하고, 또한 훅부(124)의 축부(125)가 훅구멍(144)안에 위치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167)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스프링(167)의 후단이 접촉하고 있는 단차부(173)가 형성된 압압부재 수납구멍(170)을 갖는 볼트부(140)와, 스프링(167)의 선단이 접촉하고 있는 단차부(173)가 형성된 압압체(161)의 머리부(163)에 접촉하고 있는 날부(120)가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압압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훅부(124)의 축부(125)의 외주면(127)이 훅구멍(144)의 내주면(146)에 있어서의 내벽면(147…)과 대향해서 배치되게 되는 것이지만, 축부(125)의 외주면(127)에 있어서의 타방향회전 제한벽면(130…)이 단부(126)의 측면(133…)과 대략 동일평면상에 위치하고, 또한,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위상이 일치되어 있으므로, 도8(e)에 나타내듯이, 이 타방향회전 제한벽면(130…)이 훅구멍(144)의 내주면(146)에 있어서의 내벽면(147…)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부분에 대향해서 배치되어서 서로 접촉하는 동시에, 타방향회전 제한벽면(130…)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으로 이어져서 형성되어 있는 원호상 외주면(127A…)이 훅구멍(144)의 내주면(146)에 있어서의 내벽면(147…)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부분에 대향해서 배치된다.
이와 같이, 훅부(124)의 축부(125)에 형성된 타방향회전 제한벽면(130)이 훅구멍(144)의 내주면(146)에 있어서의 내벽면(147…)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부분에 대향배치되어서 서로 접촉함으로써, 날부(120)의 볼트부(140)에 대한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되는 동시에, 훅부(124)의 축부(125)에 형성된 원호상외주면(127A…)이 훅구멍(144)의 내주면(146)에 있어서 의 내벽면(147…)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부분에 대향해서 배치됨으로써, 날부(120)의 볼트부(140)에 대한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의 상대회전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날부(120)를 볼트부(140)에 대하여 축선(O)둘레로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상대회전시켜 가면,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날부(120)가 볼트부(140)에 대하여 소정 각도(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약 60°)만큼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상대회전되었을 때 (도9에 있어서는, 볼트부(140)만을 날부(12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으로 회전시켰을 때의 도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훅부(124)의 축부(125)의 외주면(127)에 형성된 일방향회전 제한벽면(129)이 훅구멍(144)의 내주면(146)의 내벽면(147…)에 있어서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부분에 대향배치되어서 서로 접촉하게 된다.
또, 날부(120)를 볼트부(14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상대회전시킬 때에는 볼트부(140)에 압압부재(160)가 설치되어서, 날부(20)와 볼트부(140)가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압압되어 있기 때문에, 날부(120)와 볼트부(140)를 축선(O)방향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힘을 가함으로써, 훅부(124)의 단부(126)가 훅부 수납구멍(145)안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날부(120)를 볼트부(140)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또, 날부(120)가 볼트부(140)에 대하여 소정 각도 상대회전되어서 훅부(124)의 축부(125)에 있어서의 일방향회전 제한벽면(129…)이 훅구멍(144)의 내주면(146)에 있어서의 내벽면(147…)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9(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일방향회전 제한벽면(129…)이 훅구멍(144)의 내주면(146)에 있어서의 내벽면(147…)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부분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서로 접촉하는 동시에, 일방향회전 제한벽면(129…)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이어져서 형성되어 있는 원호상 외주면(127A…)이 훅구멍(144)의 내주면(146)에 있어서의 내벽면(147…)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부분에 대향해서 배치된다.
이와 같이, 훅부(124)의 축부(125)에 형성된 일방향회전 제한벽면(129…)이 훅구멍(144)의 내주면(146)에 있어서의 내벽면(147)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부분에 대향배치되어서 서로 접촉함으로써, 날부(120)의 볼트부(140)에 대한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된다.
그리고, 날부(120)가 볼트부(140)에 대하여, 훅부(124)의 단부(126)를 훅구멍(144)에 삽입해서 통과시키고 나서 약 60°만큼 나사식 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상대회전시킴으로써,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위상의 차도 약 0°에서 약 60°까지 변화된 상태로 된다.
여기에서, 훅부(124)의 축부(125)에 일방향회전 제한벽면(129…) 및 타방향회전 제한벽면(1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위상의 차를 변화시킬 수 있는 범위가 0°∼60°의 범위로 제한되어 있는 것이다.
그 후, 날부(120)와 볼트부(140)를 축선(O)방향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힘을 약하게 하면, 이들 날부(120)와 볼트부(140)가 압압부재(160)에 의해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압압되어 있음으로써,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위상이 약 60°다른 상태로, 날부(120)와 볼트부(140)가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되며,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부(124)의 단부(126)의 3개의 각부(132…)가 훅구멍(144)의 주위에 형성된 3개의 끼워맞춤부(150…)에 끼워맞춰지게 된다.
즉, 훅부(124)의 축부(125)에 형성된 일방향회전 제한벽면(129…)은 날부(120)와 볼트부(140)를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켰을 때, 훅부(124)의 단부(126)의 각부(132…)가 훅구멍(144)의 주위에 형성된 끼워맞춤부(150…)에 정확히 끼워맞춰지도록, 날부(120)의 볼트부(140)에 대한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의 상대회전을 소정 각도(본 제1실시형태에서는, 약 60°)로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훅부(124)의 단부(126)의 각부(132…)가 끼워맞춤부(150…)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는, 단부(126)의 각부(132…)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해서 가상의 대략 원추체(V)의 둘레면의 일부를 이루는 벽면(134…)과, 끼워맞춤부(150…)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여, 가상의 대략 원추체(V)의 둘레면의 일부를 이루는 벽면(151)이 서로 접촉해서 밀착됨으로써,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이 저지된다.
마찬가지로, 이 훅부(124)의 단부(126)의 각부(132…)가 끼워맞춤부(150…)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는, 단부(126)의 각부(132…)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벽면, 즉, 단부(126)의 3개의 측면(133…)에 있어서의 각 각부(132…)측의 부분이, 끼워맞춤부(150…)의 각각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을 향해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측벽면(152,152)에 접촉함으로써,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둘레방향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되고, 날부(120)를 둘레방향(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 회전시켰을 때의 회전력이 볼트부(140)에 대하여 상시 전달되는 상태로 된다.
이 때, 날부(120)의 볼트부(140)에 대한 둘레방향으로의 상대회전 중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의 상대회전은 훅부(124)의 축부(125)에 형성된 일방향회전 제한벽면(129…)이 훅구멍(144)의 내주면(146)에 있어서의 내벽면(147…)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부분에 대향해서 배치되어서 서로 접촉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도 저지되어 있다.
또, 끼워맞춤부(150…)는 지름방향 외방측으로 연장되어, 볼트부(140)의 선단측부분(141)의 외주면(141A)으로의 개구부를 갖고 있는 점에서, 이들 끼워맞춤부(150…)에 대하여, 훅부(124)의 단부(126)의 각부(132…)가 확실하게 끼워맞춰져 있는지의 여부를 볼트부(140)의 선단측부분(141)의 외주면(141A)측으로부터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상대이동 및 둘레방향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됨으로써, 날부(120)와 볼트부(140)가 연결된다.
그리고, 날부(120) 및 볼트부(140)를 일체적으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들 연결된 날부(120) 및 볼트부(140)를 공구본체(110)에 형성된 부착구멍(112)에 삽입하는 동시에, 예를 들면 날부(120)의 절삭부(121)에 형성된 평탄면(121C)에 스패너를 거는 것에 의해, 볼트부(140)의 숫나사부(142)를 부착구멍(112)의 암나사부(115)에 대하여 나사식삽입할 때에 볼트부(140)를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회전방향, 즉 숫나사부(142)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날부(120)를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상대회전시켜 간다.
그러면, 이 날부(120)와 연결되어서 둘레방향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되어 있는 볼트부(14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의 회전력이 전달되고, 볼트부(140)의 숫나사부(142)가 부착구멍(112)의 암나사부(115)에 나사식삽입되어 가는 것에 의해, 볼트부(140)가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부착구멍(112)안에서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되어 간다.
이것에 의해, 볼트부(140)와 연결되어서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이 저지된 날부(120)도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부착구멍(112)안에서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되어 가고, 날부(120)의 테이퍼부(122)의 외주면이 부착구멍(112)의 테이퍼구멍(113)의 내주면을 압압하는 상태로 되어 날부(120)가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장착되어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날부(120)를 공구본체(110)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으로서는, 먼저, 예를 들면 날부(120)의 절삭부(121)에 형성된 평탄면(121C)에 스패너를 거는 것에 의해, 날부(120)를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볼트부(140)의 숫나사부(142)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으로 상대회전시켜 간다.
여기서, 날부(120)가 볼트부(140)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훅부(124)의 단부(126)의 각부(132…)가 훅구멍(144)의 주위에 형성된 끼워맞춤부(150…)에 끼워맞춰져서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둘레방향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되어 있는 것에 의해, 날부(120)를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으로 상대회전시킬 때의 회전력이 바로 볼트부(140)에 전달된다.
그 상태에서, 날부(120)를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으로 상대회전시켜 가는 것에 의해, 볼트부(140)의 숫나사부(142)가 부착구멍(112)의 암나사부(115)로부터 풀어짐에 따라, 볼트부(140)가 부착구멍(112)안에서, 축선(O)방향의 선단측으로 밀려나가고, 날부(120)의 테이퍼부(122)의 외주면에 의한 부착구멍(112)의 테이퍼구멍(113)의 내주면에 대한 압압이 해제된다.
계속해서, 날부(120)를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으로 상대회전시켜 감으로써, 볼트부(140)의 숫나사부(142)의 부착구멍(112)의 암나사부(115)에 대한 나사결합이 완전히 해제되어서, 날부(120)와 볼트부(140)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들 날부(120) 및 볼트부(140)를 공구본체(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 서로 연결된 날부(120)와 볼트부(140)를 분리하려고 하면, 압압부재(160)에 의해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압압되어 있는 날부(120)와 볼트부(140)를 축선(O)방향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힘을 가해서 날부(120)와 볼트부(140)를 축선(O)방향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훅부(124)의 단부(126)의 각부(132…)의, 끼워맞춤부(150…)로의 끼워맞춤을 완전히 해제한다.
그리고, 날부(120)를 볼트부(140)에 대하여 소정각도만큼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으로 상대회전시키면, 훅부(124)의 축부(125)에 형성된 타방향회전 제한벽면(130…)이 훅구멍(144)의 내주면(146)에 있어서의 내벽면(147…)에 접촉함으로써,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위상이 일치한 상태로 되어서 이 상대회전이 저지된다.
그러면, 압압부재(160)에 의해 날부(120)와 볼트부(140)가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압압되어 있는 것에 의해, 날부(120)와 볼트부(140)가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되어, 자연스럽게 훅부(124)의 단부(126)가 훅구멍(144)으로부터 빠져 날부(120)를 볼트부(14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날부교환식 절삭공구(100)에 있어서는, 공구본체(110)의 후단측이 공작기계 회전축에 부착되어서, 축선(O)둘레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날부(120)의 절삭부(121)의 절삭날(바닥날(121B,121B)·외주날(121D.121D))에 의해 공작물의 절삭가공이 행하여진다.
여기서, 볼트부(140)의 숫나사부(142)를 부착구멍(112)의 암나사부(115)에 대하여 나사식삽입할 때에 볼트부(140)를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회전시킬 때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은 이 절삭가공의 공구본체(110)의 축선(O)둘레의 회전방향(T)과 반대로 된다. 즉,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이 공구회전방향(T)의 후방측이 되도록, 이들 숫나사부(142) 및 암나사부(115)가 형성 되어 있다.
즉, 절삭가공시에 날부(120)의 절삭부(121)가 받는 절삭저항에 의해, 볼트부(140)의 숫나사부(142)가 풀어지는 일이 없도록 고려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제1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100)에 따르면,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연결이 훅부(124)의 단부(126)를 훅구멍(144)에 삽입해서 통과시키고 나서 날부(120)와 볼트부(140)를 약 60°만큼 상대회전시킨 상태에서, 날부(120)와 볼트부(140)를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고, 훅부(124)의 단부(126)의 각부(132…)를 훅구멍(144)의 주위에 벽면(149…)에 형성된 끼워맞춤부(150…)에 끼워맞춤으로써 행해진다.
그리고, 이 훅부(124)의 단부(126)가 축선(O)을 n회축(본 제1실시형태에서는, n=3)으로 하는 회전대칭으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 볼트부(140)가 날부(120)를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할 때의 힘을 축선(O)방향을 따른 것으로 할 수 있고, 공구본체(110)에 대한 날부(120)의 편심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특히, 날부(120)가 공구본체(11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날부(120)의 테이퍼부(122)의 외주면이 부착구멍(112)의 테이퍼구멍(113)의 내주면을 압압하고 있기 때문에, 볼트부(140)에 의해 날부(120)가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되었을 때, 날부(120)의 테이퍼부(122)의 외주면이 부착구멍(112)의 테이퍼구멍(113)의 내주면을 압압하는 힘을 치우침없이 균일한 것으로 할 수 있으므로, 날부(120)의 축선(O)과 공구본체(110)의 축선(O)을 완전히 일치시켜서 중심맞춤이 행해지고, 높 은 정밀도가 필요로 되는 절삭가공에 있어서도 충분한 대응이 가능해지고, 또한, 양호한 이동균형을 얻을 수 있다.
또, 이 테이퍼부(122)에 있어서의 편각에서의 테이퍼각도(θ)가 2∼25°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테이퍼부(122)의 외주면과 부착구멍(112)의 테이퍼구멍(113)의 내주면 사이에, 적당한 압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 테이퍼각도(θ)가 2°보다 작아지면, 테이퍼부(122)의 외주면과 테이퍼구멍(113)의 내주면 사이에서 생기는 압압력이 (쐐기효과에 의해) 지나치게 높아져, 테이퍼구멍(113)이 탄성변형에 의해 확경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볼트부(140)에 의해 날부(120)가 인입되지 않는 상태라도, 테이퍼부(122)는 테이퍼구멍(113)의 탄성력에 의해 조여지게 되며, 날부(120)가 공구본체(110)로부터 빠지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테이퍼 각도(θ)가 25°보다 커져도, 압압력이 작아져서 충분한 날부(120)의 유지가 어렵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날부(120)의 훅부(124)가 축선(O)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대칭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볼트부(140)의 선단측부분(141)도 축선(O)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대칭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날부교환식 절삭공구(100)를 구성하는 부재(공구본체(100), 날부(120), 볼트부(140))의 모두가 회전대칭이 되고, 이들의 중심이 축선(O)과 일치하고 있으므로, 공구본체(110)가 축선(O)둘레로 고속회전되어도 원심력에 의한 편심이 생기는 일이 없다.
그리고, 훅부(124)의 단부(126)를 훅구멍(144)으로부터 훅부 수납구멍(145) 내로 삽입하고 나서, 날부(120)를 볼트부(14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상대회전시키는 소정각도가 훅부(120)의 단부(126)에 의해 소량으로 제한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축선(O)을 n회축으로 하는 회전대칭의 단부(126)의 각부(132…) 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134…)이 훅구멍(144)의 주위의 끼워맞춤부(150…)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벽면(151)에 접촉해서 서로 접촉하는 면적을 보다 크게 설정할 수 있어 날부(120)의 장착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훅부(124)의 단부(126)가 축선(O)을 3회축(n=3)으로 하는 회전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날부(120)를 볼트부(14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을 향해서 180°/n(=60°)만큼 상대회전시켜서,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위상의 차이가 60°의 상태에서 훅부(124)의 단부(126)의 각부(132…)를 끼워맞춤부(150…)에 끼워맞춤으로써, 각부(132…)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134…)과, 끼워맞춤부(150…)의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벽면(151…)의 접촉 면적이 보다 커지도록 꾀해지는 것이다.
또, 볼트부(140)의 선단측부분(141)은 대략 원주상으로 되어 있고, 선단면(143)으로 개구되는 훅구멍(144)의 주위는, 그 둘레방향으로 폐쇄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이 선단측부분(141)의 강도를 높게 유지할 수 있고, 변형 등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고, 이것에 의해서도, 날부(120)의 장착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인입부재로서의 볼트부(140)를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하기 위해서, 이 볼트부(140)의 숫나사부(142)를 부착구멍(112)의 암나사부(115)에 나사식삽입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볼트부(140) 및 이것과 연결된 날부(120)를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강고한 힘으로 인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날부(120)와 볼트부(140)가 연결된 상태에 있어서는, 훅부(124)의 단부(126)의 각부(132…)가 끼워맞춤부(150)에 끼워맞춰져서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둘레방향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날부(120)를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상대회전시켜서 볼트부(140)의 숫나사부(142)를 부착구멍(112)의 암나사부(115)에 나사식삽입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면, 날부(120)로부터 주어지는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의 회전력(둘레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상시 볼트부(140)에 전달된다.
그 때문에, 날부(120)를 공구본체(110)로부터 분리할 때, 날부(120)를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으로 회전시켰을 때에는, 날부(120)로부터 주어지는 회전력이 손실없이 바로 볼트부(140)에 전달되므로, 날부(120)의 장착공정에 있어서의 조작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날부(120)가 공구본체(11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둘레방향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되어 있음으로써, 이 공구본체(110)에 장착된 날부(120)에 대하여, 가령,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으로 회전되는 힘이 작용해도 볼트부(140)의 숫나사부(142)가 부착구멍(112)의 암나사부(115)로부터 풀어지지 않는 한, 날부(120)가 볼트부(140)로부터 빠질 우려가 없다.
여기서, 날부(120)가 공구본체(110)에 장착되어서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볼트부(140)의 숫나사부(142)와 부착구멍(112)의 암나사부(115)의 맞물림이 2∼6산 정도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나사식삽입 작업이 번거롭지 않고, 볼트부(140)의 부착구멍(112)에 대한 확실한 고정이 가능해졌다.
이 숫나사부(142)와 암나사부(115)의 맞물림이 2산보다 적게 되면, 볼트부(140)를 부착구멍(112)에 대하여 확실하게 고정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맞물림이 6산보다 많아져도, 볼트부(140)의 숫나사부(142)를 나사식삽입하기 위해, 날부(120)를 회전시키는 회전량이 많아져서 작업성이 저하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 훅부(124)의 축부(125)에 타방향회전 제한벽면(130…)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훅부(124)의 단부(126)를 훅구멍(144)에 삽입해서 통과시키고 나서 날부(120)를 볼트부(140)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킬 때의 회전방향이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규정된다.
그리고, 훅부(124)의 축부(125)에 일방향회전 제한벽면(129…)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날부(120)를 볼트부(14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 으로 상대회전시켰을 때, 정확히 상대회전시켜야 할 소정각도(본 제1실시형태에서는, 약 60°)만큼 상대회전한 상태로 되었을 때 이 상대회전이 저지된다.
이것에 의해, 날부(120)를 볼트부(140)에 대하여, 필요이상으로 상대회전시킬 우려가 없어지고, 그 후, 날부(120)와 볼트부(140)를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켰을 때에도, 훅부(124)의 단부(126)의 각부(132…) 가 훅구멍(144)의 주위에 형성된 끼워맞춤부(150…)에 대하여 확실하고 원활하게 끼워맞춰질 수 있고, 조작성의 향상으로 연결된다.
또한, 훅부(124)의 축부(125)에 형성된 일방향회전 제한벽면(129)은 날부(120)와 볼트부(140)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도, 훅구멍(144)의 내주면(146)에 있어서의 내벽면(147…)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부분에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공작물의 절삭에 공급되게 되는 절삭부(121)를 갖는 날부(120)는 공구회전방향(T)의 후방측, 즉,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을 향해서 절삭저항을 받는 것이지만, 이 날부(120)의 볼트부(140)에 대한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의 상대회전을 저지하기 때문에, 훅부(124)의 단부(126)의 각부(132…)가 끼워맞춤부(150…)에 끼워맞춰져 있는 것에 아울러, 훅부(124)의 축부(125)의 일방향회전 제한벽면(129…)의 훅구멍(144)의 내주면(146)에 있어서의 내벽면(147…)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부분에 접촉되어 있음으로써, 이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을 향해서 받는 절삭저항을 확실하게 수용할 수 있고, 또한 날부(120)의 장착상태의 안정을 꾀할 수 있다.
또, 이들 일방향회전 제한벽면(129…) 및 타방향회전 제한벽면(130…)에 대해서는, 훅부(124)의 단부(126)를 훅구멍(144)에 삽입해서 통과시키고 나서, 날부(120)를 볼트부(140)에 대하여 상대회전시킬 때의 방향을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으로 규정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상술한 절삭저항의 문제를 고려하면, 본 제1실시형태와 같이 날부(120)를 볼트부(14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상대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훅부(124)의 축부(125)에 일방향회전 제한벽면(129…)이나 타방향회전 제한벽면(130…)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대략 원주상을 이루는 종래 형상의 축부와 비교한 경우에, 일방향회전 제한벽면(129…)이나 타방향회전 제한벽면(130…)이 형성되어 있는 것만큼 그 단면적이 커지고, 이 훅부(124)의 축부(125)의 강성을 높일 수 있어, 날부(120)의 장착상태를 보다 안정화시킬 수 있다.
또, 날부(120)와 볼트부(140)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는, 훅부(124)의 단부(126)의 각부(132…)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134)…과, 훅구멍(144)의 주위에 형성된 끼워맞춤부(150…)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벽면(151…)의 밀착면이, 축선(O)을 중심으로 하여, 정점이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가상의 대략원추체(V)의 둘레면의 일부로 되고, 지름방향 외방측을 향함에 따라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들 서로 밀착하게 되는 벽면(134…, 151…)끼리를 상기와 같이, 지름방향 외방을 향함에 따라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도록 경사시킴으로써, 서로의 접촉면적을, 축선(O)에 직교해서 연장되는 벽면끼리를 접촉시키는 경우와 비교해서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접촉면적을 증대시킴으로써 면압이 내려가, 이들 벽면(134…, 151…)이 형성된 부분의 소성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들 벽면(134…,151…)은 가상의 대략원추체(V)의 둘레면의 일부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연결상태에 있어서는, 날부(120)와 훅부(140)의 위상이 정확하게 60°다른 상태는 아니고, 다소 위상이 벗어나 있어도 이 연결상태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이 없다.
이것은, 날부(120)가 예를 들면 분말합금법으로 제조되는 경우에는, 소결시의 변형이 있기 때문에,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연결상태에 있어서, 훅부(124)의 단부(126)의 각부(132…)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벽면(단부(126)의 측면(133…)의 각부(132…)측의 부분)과, 끼워맞춤부(150…)의 각각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한 쌍의 측벽면(152,152) 사이나, 훅부(124)의 축부(125)의 일방향회전 제한벽면(129…)과, 훅구멍(144)의 내주면(146)에 있어서의 내벽면(147…)과의 사이에는 실제로는, 다소의 간극(클리어런스)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위상이 60°에서 다소 벗어나 있어도 훅부(124)의 단부(126)의 각부(132…)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벽면이 끼워맞춤부(150…)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측벽면(152,152)과 정상적으로 접촉하고, 또한, 훅부(124)의 축부(125)에 있어서의 일방향회전 제한벽면(129…)이 훅구멍(144)의 내주면(146)에 있어서의 내벽면(147…)과 정상적으로 접촉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날부(120)의 형상에 대해서, 훅부(124)에 있어서의 축부(125)의 외주면(127)과, 단부(126)의 각부(132…)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134)과의 연결부분이 곡면(134A…)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 연결 부분에 응력집중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여기서, 이 연결 부분을 구성하는 곡면(134A…)에 대해서, 단면의 원호(타원호)의 곡률반경이 0.02mm보다 작아지면, 이 곡면(134A)에 응력집중이 생기고, 날부(120)가 초경합금 등의 취성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파손의 우려가 생기게 된다.
한편, 곡률반경이 0.2mm보다 크게 되어도,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134…)의 면적을 작게 설정 하지 않을 수 없어 면압의 증대를 초래할 우려가 생긴다.
또, 볼트부(140)에 압압부재(160)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훅부(124)의 단부(126)를 훅구멍(144)에 삽입해서 통과시킨 후 날부(120)를 볼트부(140)에 대하여 소정각도만큼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상대회전시킨 후, 훅부(124)의 단부(126)를 훅구멍(144)을 향해 삽입하는 힘을 느슨하게 하면, 압압체(161)의 머리부(163)가 훅부(124)의 단부(126)를 압압하는 것에 의해, 날부(120)와 볼트부(140)가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압압되고, 자연히 훅부(124)의 단부(126)의 각부(132…)가 훅구멍(144)의 주위의 벽면(149…)에 형성된 끼워맞춤부(150…)에 끼워맞춰지게 된다.
이것에 의해, 공구본체(110)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날부(120)와 볼트부(140) 를 서로 연결해도, 이들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연결이 쉽게 해제되는 일이 없고, 그 연결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서로 연결된 날부(120) 및 볼트부(140)를 일체적으로 취급해서 공구본체(110)의 부착구멍(112)에 삽입해서 나사식삽입해 가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조작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특히, 압압부재(160)의 머리부(163)의 끝면(164)과 훅부(124)의 단부(126)가 축선(O)부근에서 대략 점접촉하고 있는 것에 의해, 훅부(124)의 단부(126)를 훅구멍(144)보다 훅부 수납구멍(145)안으로 삽입하고 나서, 날부(120)를 볼트부(14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소정각도 상대회전시키려고 할 때에, 압압부재(160)의 머리부(163)의 끝면(164)로부터 훅부(124)의 단부(126)의 끝면(131)으로의 회전 토크가 거의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것에 의해, 날부(120)를 볼트부(140)에 대하여 소정각도만큼 상대회전시킬 때 과대한 힘이 필요하게 되는 일이 없고, 한층 조작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 이 제1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100)에서는, 훅부(124)의 단부(126)의 끝면(131)이 평탄면으로 됨과 아울러, 압압부재(160)의 머리부(163)의 끝면(164)이 축선(O)방향의 선단측에 볼록하게 되는 대략 구면상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부(126)의 끝면(131)이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해서 볼록하게 되는 대략 구면상으로 됨과 아울러, 머리부(163)의 끝면(164)이 평탄면으로 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단부(126)의 끝면(131)이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대략 구면상으로 됨과 아울러, 머리부(163)의 끝면(164)이 축선(O)방향의 선단측으로 볼록하게 되는 대략 구면상으로 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또, 압압부재(160)에 있어서, 날부(120)와 볼트부(140)를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압압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스프링(167)의 압압력이, 2[N]∼20[N]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적당한 힘에 의해, 날부(120)와 볼트부(140)를 축선(O)방향의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압압할 수 있다.
이 스프링(167)의 압압력이, 2[N]보다 작아져 버리면, 훅부(124)의 단부(126)의 각부(132…)를 훅구멍(144)의 주위에 형성된 끼워맞춤부(150…)에 끼워맞춘 상태일 때, 이 훅부(124)의 단부(126)를 축선(O)방향의 선단측으로 밀착하기 위한 충분한 압압력을 얻을 수 없게 되고, 공구본체(110)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연결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해 두는 것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스프링(167)의 압압력이, 20[N]보다 커지게 되면, 훅부(124)의 단부(126)를 훅구멍(144)으로부터 훅부 수납구멍(145)안으로 삽입하고, 날부(120)를 볼트부(14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상대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될 때까지, 훅부(124)의 단부(126)를 훅구멍(144)에 삽입해 갈 때의 힘이 너무 커져서 오히려 조작성의 저하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 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날부(120)의 장착공정에서는, 압압부재(160)가 볼트부(140)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 부착구멍(112)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볼트부(140)와 날부(120)를 서로 연결한 후, 이들 연결된 날부(120) 및 볼트부(140)를 일체적으로 부착구멍(112)에 나사식삽입해 가도록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미리, 볼트부(140)의 숫나사부(142)를 부착구멍(112)의 암나사부(115)에 소정량 나사식삽입해 둔 상태로 하고 나서, 이 볼트부(140)에 날부(120)를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즉, 미리, 부착구멍(112)안에서 암나사부(115)에 대하여 숫나사부(142)가 소정량 나사식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는 볼트부(140)에 대하여, 날부(120)를 부착구멍(112)의 후단측을 향해서 삽입해 가는 것에 의해, 훅부(124)의 단부(126)를 훅구멍(144)에 삽입해서 통과시킨다.
이 때, 볼트부(140)에는 압압부재(16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훅구멍(144)으로부터 훅부 수납구멍(145)안으로 삽입된 훅부(124)의 단부(126)가 압압체(161)의 머리부(163)에 의해, 축선(O)방향의 선단측으로 압압되어, 날부(120)와 볼트부(140)가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압압된다.
즉, 날부(120)를 부착구멍(112)의 후단측을 향해서 삽입해 갈 때, 훅부(124)의 단부(126)를 훅구멍(144)으로부터 훅부 수납구멍(145)안으로 삽입하는 것에 따라, 볼트부(140)가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압압되며, 이 볼트부(140)의 숫나사부(142)와 부착구멍(112)의 암나사부(115) 사이에 축선(O)방향에서 적당한 크기의 압압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 때문에, 훅부(124)의 단부(126)를 훅구멍(144)에 삽입해서 통과시킴과 아울러, 날부(120)를 볼트부(14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소정각도만큼 상대회전시킬 때에는, 볼트부(140)가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상대회전하는 것을 억제하는 마찰력이 작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볼트부(140)와 공구본체(110)의 둘레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을 억제 하는 마찰력이 숫나사부(142)와 암나사부(115) 사이에서 발생하므로, 날부(120)만을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확실하게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상대회전시킬 수 있고, 날부(120)와 볼트부(140)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날부(120)를 볼트부(14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확실하게 소정각도만큼 상대회전시킬 수 있고, 날부(120)를 공구본체(110)에 장착할 때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후, 압압부재(160)에 의해, 훅부(124)의 단부(126)가 축선(O)방향의 선단측으로 압압되므로, 날부(120)가 축선(O)방향의 선단측으로 밀려나가고, 훅부(124)의 단부(126)의 각부(132…)가 훅구멍(144)의 주위에 위치하는 끼워맞춤부(150…)에 끼워맞춰져서 날부(120)와 볼트부(140)가 연결되는 것이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미리 부착구멍(112)에 암나사부(115)에 대하여, 볼트부(140)의 숫나사부(142)를 나사식삽입 두고, 이 볼트부(140)에 대하여, 날부(120)를 연결하는 것이라면, 이 볼트부(140)에 압압부재(160)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날부(120)의 장착작업에는 문제가 발생하는 일이 없다.
예를 들면, 미리, 부착구멍(112)안에서, 그 암나사부(115)에 숫나사부(142)가 소정량 나사식삽입된 상태로 되어 있는 볼트부(140)에 대하여, 날부(120)의 테이퍼부(122)의 외주면이 부착구멍(112)의 테이퍼구멍(113)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상태로 될 때까지, 날부(120)를 부착구멍(112)의 후단측을 향해서 삽입해 감으로써, 훅부(124)의 단부(126)를 훅구멍(144)에 삽입해서 통과시킨다.
그리고, 날부(120)를 볼트부(140) 및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상대회전시켜서, 날부(120)와 볼트부(140)의 위상차가 약 60°가 된 상태로 되면, 훅부(124)의 축부(125)에 형성된 일방향회전 제한벽면(129…)이, 훅구멍(144)의 내주면(146)에 있어서의 내벽면(147…)에 접촉하고, 날부(120)의 볼트부(140)에 대한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되는 상태로 된다.
그 상태에서, 날부(120)의 공구본체(110)에 대한 상대회전을 계속하면, 날부(120)의 볼트부(140)에 대한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되어 있음으로써, 날부(120)로부터 주어지는 회전력이 볼트부(140)에 전달되고, 볼트부(140)의 숫나사부(142)가 부착구멍(112)의 암나사부(115)에 나사식삽입되어 간다.
이것에 의해, 볼트부(140)가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되고, 날부(120)와 볼트부(140)가, 그 위상차를 약 60°로 유지한 채,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되고, 결국은, 훅부(124)의 단부(126)의 각부(132…)가 훅구멍(144)의 주위에 형성된 끼워맞춤부(150…)에 끼워맞춰져서 이들 날부(120)와 볼트부(140)가 연결되고, 날부(120)가 공구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서 고정되는 것이다.
또, 본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 압압부재(160)의 압압체(161)는 스프링(167)에 의해 축선(O)방향의 선단측으로 가압됨으로써 훅부(124)의 단부(126)를 압압하고 있지만, 스프링(167)을 사용하지 않아도, 훅부(124)의 단부(126)를 압압하는 압 압체(161)를 갖는 압압부재(160)를 볼트부(140)에 설치하는 것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스프링(167)대신에 압압체(161)의 축부(162)의 외주면에 숫나사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압압부재 수납구멍(170)의 제2구멍부(172)의 내주면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고, 압압체(161)에 있어서의 축부(162)의 숫나사부를 압압부재 수납 구멍(170)에 있어서의 제2구멍부(172)의 암나사부에 나사결합시키도록 하면 좋다.
그렇게 하면, 압압체(161)의 축부(162)에 있어서의 제2구멍부(172)로부터의 돌출부분(후단측부분)을 예를 들면 손으로 잡고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이 압압체(161)를 볼트부(140)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상대회전시켜서, 축부(162)에 형성된 숫나사부를 제2구멍부(172)에 형성된 암나사부에 나사식삽입해 갈 수 있으므로, 이 나사식삽입에 대응하여 압압체(161)의 볼트부(140)에 대한 축선(O)방향에서의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날부(120)와 볼트부(140)를 연결할 때에는, 미리 압압체(161)를 볼트부(140)에 대하여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당겨서 내려 두고, 훅부(124)의 단부(126)를 훅구멍(144)에 삽입해서 통과시키고 나서, 날부(120)를 볼트부(140)에 대하여 소정각도 상대회전시킨 후,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압압체(161)를 볼트부(140)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상대회전시킴으로써 이 압압체(161)를 볼트부(140)에 대하여 축선(O)방향의 선단측으로 상대이동시키고, 압압체(161)의 머리부(163)로 훅부(124)의 단부(126)을 압압하는 것이다.
이러한 압압부재(160)에서는, 스프링(167)을 사용하지 않는 분만큼 그 제조가격을 내리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2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200)는,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을 가지며, 그 상위점은, 볼트부의 형상에 있다.
이 날부교환식 절삭공구(200)에 있어서의 볼트부(240)는,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숫나사부(242)가 형성된 대략 링형상을 이루도록 축선(O)을 중심으로 해서 형성된 것이다.
볼트부(240)에는, 그 끝면(243)(선단면)에 대략 정삼각형으로 개구되는 훅구멍(244)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훅구멍(244)의 후단측이 볼트부(240)의 후단면(254)에 개구되어 있다.
즉, 훅구멍(244)이 볼트부(240)의 축선(O)방향에서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축선(O)을 중심으로 해서 관통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훅구멍(244)의 주위에 위치하는 벽면, 즉, 훅구멍(244)의 내주면(246)을 구성하는 3개의 내벽면(247…)에 교차하는 동시에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3개의 벽면(249…)이 볼트부(240)의 후단면(254)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훅구멍(244)의 주위에 위치해서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3개의 벽면(249…)에는, 각각 둘레방향 중앙부에 이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249)으로부터 축선(O)방향의 선단측으로 1단 오목한 끼워맞춤부(250)가 하나씩 형성되어 있고, 또한, 이들 끼워맞춤부(250…)는 훅구멍(244)의 내주면(246)에 있어서의 내벽면(247…)의 각각 둘레방향중앙부에 개구되어 있다.
이러한 3개의 끼워맞춤부(250…)는 훅구멍(244)의 3개의 각부(248…) 중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각부(248,248)끼리 사이의 둘레방향 중앙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볼트부(240)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으로 대략 등간격으로 배치되게 되고, 날부(120)의 훅부(125)의 대략 정삼각형상을 이루는 단부(126)의 각부(132…)를 끼워맞추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각 끼워맞춤부(250…)는 각각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벽면(251)과, 둘레방향을 향해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측벽면(252,252)을 갖고 있으며, 또한, 훅구멍(244)의 내주면(246)에 있어서의 내벽면(247…)으로의 개구부로부터, 둘레방향의 폭을 점차 작게 하면서 지름방향 외방측을 향해서 연장함으로써, 볼트부(240)의 외주면의 숫나사부(242)에까지 도달하지 않고, 중간부분에서 한 쌍의 측벽면(252,252)이 교차된다.
또한, 이 볼트부(240)에는,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볼트부(240)의 선단면(243)에 압압부재(260)가 부착되어 있다.
압압부재(260)는 볼트부(240)의 선단면(243)에 접합되어서,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해서 주회하면서 연장되는 스프링(267)과, 이 스프링(267)의 선단에 접합된 대략 링형상을 이루는 압압체(261)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이 압압체(261)가 볼트부(240)에 대하여 축선(O)방향의 선단측으로 향해서 가압되어 있다.
또, 이들 압압체(261) 및 스프링(267)은 그 내부를 날부(120)에 있어서의 훅부(124)의 단부(126)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날부(120)를 공구본체(110)에 장착할 때는, 우선,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부(120)와 볼트부(240)의 위상을 일치시키면서, 날부(120)와 볼트부(240)를 축선(O)방향에서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대이동시켜 간다.
그러면,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부(124)의 단부(126)가 압압부재(260)의 압압체(261), 스프링(267)을 순차 통과한 후 훅구멍(244)에 삽입되게 된다.
그리고,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부(124)의 단부(126)가 훅구멍(244)에 삽입되어서 통과되면, 볼트부(240)에 설치되어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해서 가압되어 있는 압압부재(260)의 압압체(261)가 날부(120)에 있어서의 테이퍼부(122)와 훅부(124)의 축부(125)의 연결부분에 형성된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벽면으로 이루어지는 단차부(135)에 접촉해서 날부(120)와 볼트부(240)를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압압하고 있는 상태로 된다.
그 후,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부(120)를 볼트부(24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소정각도 상대회전시키면 (도16에 있어서는, 볼트부(240)만을 날부(12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으로 회전시켰을 때의 도면으로 나타내고 있다), 압압부재(260)에 의해, 자연히, 이들 날부(120)와 볼트부(240)가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압압되어서 상대 이동되며, 도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부(124)의 단부(126)의 각부(132…)가 훅구멍(244)의 주위에 형성된 끼워맞춤부(250…)에 끼워맞춰져서 날부(120)와 볼트부(240)가 연결되는 것이다.
또, 이 제2실시형태에서는, 훅구멍(144)의 주위에 형성된 끼워맞춤부(250…) 는 볼트부(240)의 외주면으로의 개구부를 갖지 않지만, 부착구멍(112)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볼트부(240)와 날부(120)를 서로 연결할 경우에는, 볼트부(240)의 후단면(254)측에서, 이들 끼워맞춤부(150…)에 대하여, 훅부(124)의 단부(126)의 각부(132…)가 확실하게 끼우맞춰져 있는지 아닌지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제1 및 제2실시형태에서 사용한 날부(120)에서는, 훅부(124)의 단부(126)가 그 끝면(131)에 대향해서 축선(O)방향의 선단측으로 대향해서 봤을 때, 대략 정삼각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에 상관없이, 단부(126)의 측면(133…)이 각각 평탄면을 이루는 동시에, 이들 측면(133…)끼리가 서로 교차하는 3개의 각부(132…)근방부분이 평탄면으로 절단되어 이루어지는 절단면(133A)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도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펀치(P1) 및 하부 펀치(P2)에 의한 프레스로 성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날부(120)의 훅부(124)의 형상에 대해서는, 상기 제1 및 제2실시형태에서 사용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19 및 도20에 나타내는 날부(120X,120Y)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19에 나타내는 날부(120X)는 훅부(124X)의 단부(126X)가, 그 끝면(131X)(날부(120X)에 있어서의 후단면)과 대향하도록 해서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해 봤을 때, 도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고, 이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단부(126X)의 2개의 각부(132X,132X)가 각각 축부(125X)의 외주면(127X)보다 지름방향 외방측을 향해서 1단 돌출되고, 이것에 의해, 단부(126X)의 2개의 각부(132X,132X)에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2개의 벽면(134X,134X)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 이 훅부(124X)의 단부(126X)도 포함한 훅부(124X)전체가 축선(O)을 2회축으로 하는 회전대칭으로 되어 있다.
또, 도20에 나타내는 날부(120Y)는 훅부(124Y)의 단부(126Y)가 그 끝면(131Y)(날부(120Y)에 있어서의 후단면)과 대향하도록 해서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해 봤을 때, 도2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정사각형상을 이루고 있고, 이 대략 정사각형상을 이루는 단부(126Y)의 4개의 각부(132Y…)가 각각 축부(125Y)의 외주면(127Y)보다 지름방향 외방측을 향해서 1단 돌출되며, 이것에 의해, 단부(126Y)의 4개의 각부(132Y…)에,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4개의 벽면(134Y…)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훅부(124Y)의 단부(126Y)도 포함된 훅부(124Y)전체가 축선(O)을 4회축으로 하는 회전대칭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날부(120X,120Y)에 대응하도록 해서, 도시는 하지 않지만, 이들이 연결되는 볼트부의 형상도 적절히 설계 변경된다.
상기의 날부(120X)에서는, 훅부(125X)의 단부(126X)가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축선(O)을 2회축(n=2)으로 하는 회전대칭으로 되어 있으므로, 날부(120X)와 볼트부와의 연결이 훅부(124X)의 단부(126X)를 훅구멍에 삽입해서 통과시키고 나서, 날부(120X)를 볼트부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을 향해서 180°/n(=90°)만큼 상대회전시킨 상태로, 날부(120X)와 볼트부를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킴으로써, 훅부(125X)의 단부(126X)의 각부(132X,132X)가 각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의 날부(120Y)에서는, 훅부(124Y)의 단부(126Y)가 대략 사각형상을 이루고, 축선(O)을 4회축(n=4)으로 하는 회전대칭으로 되어 있으므로, 날부(120Y)와 볼트부의 연결이 훅부(124Y)의 단부(126Y)를 훅구멍에 삽입해서 통과시키고 나서, 날부(120Y)를 볼트부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을 향해서 180°/n(=45°)만큼 상대회전시킨 상태로, 날부(120Y)와 볼트부를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훅부(124Y)의 단부(126Y)의 각부(132Y…)가 각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훅부의 단부에 대해서는, 축선(O)을 n회축(n≥2)으로 하는 회전대칭으로 되어 있으면, 그 형상은 중요하지 않으나, 훅부의 단부의 각부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과, 훅구멍의 주위에 형성된 끼워맞춤부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벽면과의 접촉면적에 대해서 고려하면, 상기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n=2∼4가 적당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상술한 제1 및 제2실시형태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3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300)는 도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선(O)둘레로 회전되는 공구본체(110)와, 이 공구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서 고정되는 날부(320)와, 날부(320)를 공구본체(110)에 장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인입부재로서의 볼트부(34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날부(320)의 후단측부분(323)은, 도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테이퍼부(122)의 후단측에 단차부를 지나서 이어지는 축부(325)와, 이 축부(325)의 후단측으로 이어지는 동시에 날부(320)의 후단부를 이루는 단부(326)로 이루어지는 훅부(324)로 되어 있다.
훅부(324)의 축부(325)는 축선(O)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정사각기둥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4개의 측면(327…)끼리가 교차하는 각부 중, 축선(O)에 대해서 대향하는 한 쌍의 각부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테이퍼부(122)측)이 각각 절단됨으로써, 인접하는 2개의 측면(327,327)의 각각 둘레방향 중앙부에 위쪽으로 절단되는 곡면부분(328,328)이 축부(325)의 선단측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훅부(324)의 축부(325)에 형성된 한 쌍의 곡면부분(328,328)은 축선(O)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봤을 때, 도2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축선(O)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1/4원호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들 한 쌍의 곡면부분(328,328)이 존재함으로써, 축부(325)에 있어서의 4개의 측면(327…)에는 각각 대략 L자형의 평탄면이 남겨져 있다.
각 곡면부분(328)의 각각이 걸쳐지도록 형성된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측면(327,327) 중,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에 위치하는 측면(327A)에 형성된 대략 L자형의 평탄면에서, 곡면부분(328)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으로 이어지는 동시에, 테이퍼부(122)에 연결되도록 해서, 이 하나의 측면(327A)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의 절반정도에 걸쳐지고, 축부(325)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평탄면이 일방향회전 제한벽면(329)으로 되며, 또한, 곡면부분(328) 및 일방향회전 제한벽면(329)의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이어지는 동시에, 단부(326)에 이어지도록 되어, 이 하나의 측면(327A)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체길이에 걸쳐 축부(325)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후단측에 위치하는 평탄면이 양방향회전 제한벽면(330)으로 되어 있다.
한편, 각 곡면부분(328)의 각각이 걸쳐지도록 형성된 둘레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측면(327,327) 중,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에 위치하는 측면(327B)에 형성된 대략 L자형의 평탄면에 있어서, 곡면부분(328)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이어지는 동시에, 테이퍼부(122)에 이어지도록 해서, 이 하나의 측면(327A)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의 절반정도에 걸쳐, 축부(325)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에 위치하는 평탄면이 타방향회전 제한벽면(335)으로 되어 있다.
즉, 상기의 측면(327A)에 있어서, 축선(O)방향의 선단측 중간에 위치하고, 또한,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 중간에 위치하는 평탄면이 일방향회전 제한벽면(329)으로 되며, 이 일방향회전 제한벽면(329)으로 이어지도록 해서 축선(O)방향의 후단측 중간에 위치하는 평탄면이 양방향회전 제한벽면(330)으로 되어 있으며, 또, 상기의 측면(327B)에 있어서, 축선(O)방향의 선단측 중간에 위치하고, 또한,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 중간에 위치하는 평탄면이 타방향회전 제한벽면(335)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또, 이 훅부(325)의 축부(325)의 형상을 바꿔말하면, 상기의 곡면부분(328,328)을 외주면으로 하는 가상의 대략 원주체에 대하여, 일방향회전 제한벽면(329), 양방향회전 제한벽면(330) 및 타방향회전 제한벽면(335) 등이 형성되어 있는 분만큼 여유두께를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축선(O)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볼 때도, 곡면부분(328.328)을 원호로 하는 가상의 원보다 일방향회전 제한벽면(329), 양방향회전 제한벽면(330) 및 타방향회전 제한벽면(335) 등이 형성되어 있는 분만큼 단면적이 커져 있다.
또, 이들 일방향회전 제한벽면(329), 양방향회전 제한벽면(330) 및 타방향회전 제한벽면(335)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그리고, 훅부(324)의 단부(326)는 그 평탄한 끝면(331)(날부(320)에 있어서의 후단면)과 대향하도록 해서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해 봤을 때,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고, 이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단부(326)의 2개의 각부(336,336)가 각각 축부(325)에 있어서의 한 쌍의 대향하는 측면(327A,327A)(축부(325)의 외주면)보다 지름방향 외방측으로 1단 돌출되어 있다.
이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단부(326)에 있어서의 긴 변측의 측면(332,332)은, 타방향회전 제한벽면(335)이 형성된 한 쌍의 측면(327B,327B)에 있어서의 대략 L자형의 평탄면과 면일치로 되는 평탄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또한,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단부(326)에 있어서의 짧은 변측의 측면(333,333)은 일방향회전 제한벽면(329) 및 양방향회전 제한벽면(330)이 형성된 한 쌍의 측면(327A.327A)에 있어서의 대략 L자형의 평탄면으로부터 지름방향 외방측으로 1단 돌출되는 동시에, 축선(O)을 중심으로 하는 대략 원주체의 외주면의 일부가 되는 곡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훅부(324)의 단부(326)에 있어서의 2개의 각부(336,336)가 축부(325)의 외주면(한 쌍의 측면(327A,327A))으로부터 지름방향 외방측을 향해서 1단 돌출하고 있는 것에 의해 (훅부(324)의 단부(326)에 있어서의 짧은 변측의 측면(333,333)이 축부(325)의 외주면으로부터 지름방향 외방측을 향해서 1단 돌출하고 있는 것에 의해) 이들 각부(336,336)에는 한 쌍의 측면(327A,327A)으로부터 기립해서 단부(326)에 있어서의 짧은 변측의 측면(333,333)에 교차하는 동시에,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334,334)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각부(336,336)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334,334)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실제로는,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축선(O)을 중심으로 해서 정점이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가상의 대략 원추체의 둘레면의 일부를 이루는 곡면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지름방향 외방측을 향함에 따라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해서 경사져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실제로는, 이들 각부(336,336)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334,334)은 훅부(324)의 축부(325)의 외주면(한 쌍의 측면(327A,327A))에 대하여, 단면(측면(327A)에 직교하고 또한, 축선(O)과 평행한 단면)에서 볼 때, 곡률반경이 0.02∼0.2mm로 설정된 대략 원호상(혹은 대략타원호형상)을 이루는 곡면을 개재해서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또, 이 훅부(324)의 단부(326)를 포함한 훅부(324)전체가 축선(O)을 2회축으로 하는 회전대칭으로 되어 있다.
한편, 볼트부(340)에 있어서의 대략 원주상을 이루는 선단측부분(341)에는 도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끝면(343)(볼트부(340)에 있어서의 선단면)에 개구되 는 훅구멍(344)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훅구멍(344)의 후단측과 연통하도록 축선(O)을 중심으로 한 일정한 내경을 갖는 대략 원주 구멍형상을 이루는 훅부 수납구멍(34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훅구멍(344)은 선단측부분(341)의 끝면(343)과 대향하도록 해서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해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이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훅구멍(344)의 내주면(346)을 구성하는 4개의 내벽면(347…) 중, 긴 변측의 내벽면(347A,347A)은 서로 소정간격을 개재해서 이간하는 한 쌍의 평탄면으로 되어 있고, 짧은 변측의 내벽면(347B,347B)은 훅부 수납 구멍(345)의 내주면과 면일치하게 되며, 축선(O)을 중심으로 한 대략 원주체의 외주면의 일부가 되는 곡면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이 훅구멍(344)은 상기와 같은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는 것에 의해, 날부(320)에 있어서의 훅부(324)의 단부(326)와 대응한 형상을 이루고 있고, 훅부(324)의 단부(326) 및 축부(325)가 정확히 통과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서, 볼트부(340)의 선단측부분(341)의 끝면(343)에 개구하게 된다.
또,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훅구멍(344)의 후단측에 대략 원주 구멍형상을 이루는 훅부 수납구멍(345)이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또한, 훅구멍(344)의 내주면(344)에 있어서의 짧은 변측의 내벽면(347B,347B)만이 훅부 수납구멍(345)의 내주면과 면일치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훅부 수납구멍(345)의 내주면으로부터 기립해서 훅구멍(344)의 내주면(346)에 있어서의 긴 변측의 2개의 내벽면(347A,347A)에 교차하는 동시에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2개의 벽면(348,348)이 이 훅구멍(344)의 주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훅구멍(344)의 주위에 위치해서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벽면(348,348)은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실제로는 상술한 훅부(324)의 단부(326)의 각부(336,336)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334,334)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축선(O)을 중심으로 하여 정점이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가상의 대략 원추체의 둘레면의 일부를 이루는 곡면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지름방향 외방측을 향함에 따라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해서 경사져 있다.
또, 이 훅구멍(344) 및 훅부 수납구멍(345)을 포함한 볼트부(340)의 선단측부분(341)전체가 축선(O)을 2회축으로 하는 회전대칭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본 제3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300)에 있어서도, 볼트부(340)에 상술한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압압부재(160)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 압압부재(160)의 구성이나 작용은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본문중에서 부호만을 사용해서 도시를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날부(320)가 볼트부(340)를 개재해서 공구본체(110)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날부(320)의 후단측부분(323)을 이루는 훅부(324)의 단부(326)가 볼트부(340)의 선단측부분(341)에 형성된 훅구멍(344)에 삽입되어서 통과되며, 이 훅구멍(344)의 후단측에 위치하는 훅부 수납구멍(345)안에 수용되어 있다.
이 때,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훅부(324)의 단부(326)에 있어서의 축선(O) 으로부터 2개의 각부(336,336) 중 하나로 향하는 방향(단부(326)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훅구멍(344)에 있어서의 축선(O)으로부터 2개의 각부(훅구멍(344)의 내주면(346)에 있어서의 2개의 짧은 변측의 내벽면(347B,347B)) 중 하나로 향하는 방향(훅구멍(344)의 길이방향)이 약 90°의 교차각도로 교차하고 있다. 즉, 날부(320)와 볼트부(340)의 위상이 약 90°다른 상태로 되어 있다.
또, 볼트부(340)에는, 축선(O)방향의 선단측에 가압된 도시가 생략된 압압체(161)를 갖는 압압부재(160)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훅부 수납구멍(345)안에 수용된 훅부(324)의 단부(326)는 그 끝면(331)이 압압체(161)의 머리부(163)의 대략 구면상을 이루는 끝면(164)과 대략 점접촉해서 축선(O)방향의 선단측으로 압압되어 있다.
또한, 훅부(324)의 단부(326)의 2개의 각부(336,336)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334,334)이 훅구멍(344)의 주위에 위치해서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벽면(348,348)과 대향하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서로 접촉해서 밀착되어 있음으로써, 날부(320)와 볼트부(340)의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이 저지되어 있다.
여기서, 단부(326)의 각부(336,336)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334,334)과, 훅구멍(344)의 주위에 위치해서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벽면(348,348)은 실제로는, 가상의 대략 원추체의 둘레면의 일부를 이루는 곡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들의 접촉면도 축선(O)을 중심으로 하여 정점이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가상의 대략 원추체의 둘레면의 일부가 되는 곡면을 이루고, 지름방향 외방측을 향함에 따라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해서 경사져 있다.
또한, 훅부(324)의 축부(325)에 있어서의 후단측부분(단부(326)측의 부분)이 훅구멍(344)안에 수용되고, 또한, 이 축부(325)에 있어서의 한 쌍의 측면(327A,327A)에 형성된 양방향회전 제한벽면(330)이 훅구멍(344)의 내주면(346)에 있어서의 긴 변측의 내벽면(347A,347A)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서 서로 접촉하고 있는 것에 의해, 날부(320)와 볼트부(340)의 둘레방향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상대이동 및 둘레방향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되어서 연결상태로 된 날부(320) 및 볼트부(340)는 공구본체(110)에 형성된 부착구멍(112)에 대하여, 날부(320)의 대략 원추대형상을 이루는 테이퍼부(122)가 부착구멍(112)의 대략 원추대 구멍형상을 이루는 테이퍼구멍(113)안에 수용되고, 날부(320)의 후단측부분(323)(훅부(324))과 볼트부(340)의 선단측부분(341)이 부착구멍(112)의 대략 원주 구멍형상을 이루는 수납구멍(114)안에 수용되도록 삽입되어 있고, 볼트부(340)의 숫나사부(142)가 부착구멍(112)의 암나사부(115)에 나사식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볼트부(340)의 숫나사부(142)가 부착구멍(112)의 암나사부(115)에 나사식삽입되어 있음으로써, 이 볼트부(340)가 부착구멍(112)안에서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되어 있음과 아울러, 볼트부(340)의 선단측부분(341)과 연결된 후단측부분(323)을 갖는 날부(320)가 부착구멍(112)안에서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날부(320)의 테이퍼부(122)의 외주면의 대략 전체면이 부착구멍(112)의 테이퍼구멍(113)의 내주면의 대략 전체면을 압압해서, 날부(320)의 축선(O)과 공구본체(110)의 축선(O)이 일치되어 중심맞춤이 행해지고, 날부(320)가 공구본체(11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서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 본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볼트부(340)의 숫나사부(142)의 대략 전체길이에 걸쳐 나사산이 형성된 도면을 사용하고 있지만, 물론, 상술한 제1실시형태와 같이 숫나사부(142)의 선단측부분에만 나사산을 형성함으로써, 날부(320)가 공구본체(110)에 장착되어서 고정된 상태에서, 볼트부(340)의 숫나사부(142)와, 부착구멍(112)의 암나사부(115)가, 2∼6산정도의 맞물림으로 되도록 설정해도 좋다.
다음에, 날부(320)를 공구본체(110)에 장착하는 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구본체(110)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날부(320) 및 볼트부(340)를 준비하고, 훅부(324)의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단부(326)와,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훅구멍(344)을 일치시키면서, 즉, 날부(320)와 볼트부(340)의 위상을 일치시키면서, 날부(320)와 볼트부(340)를 축선(O)방향에서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대이동시켜 간다.
또, 이 때의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훅부(324)의 단부(326)에 있어서의 축선(O)으로부터 2개의 각부(336,336) 중 하나로 향하는 방향(단부(326)의 길이방향)과,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훅구멍(344)에 있어서의 축선(O)으로부터 2개의 각부(훅구멍(344)의 내주면(346)에 있어서의 2개의 짧은 변측의 내벽면(347B,347B)) 중 하나로 향하는 방향(훅구멍(344)의 길이방향)이 일치해서 약 0°의 교차 각도로 교차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즉, 날부(320)와 볼트부(340)의 위상차를 약 0°로서 생각한다.
그러면, 훅부(324)의 단부(326)가 정확히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훅구멍(344)에 훅부(324)의 단부(326)가 삽입되어서 통과된다.
여기에서, 볼트부(340)에는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해서 가압된 압압체(161)를 갖는 도시가 생략된 압압부재(16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훅구멍(344)을 통과한 훅부(324)의 단부(326)의 끝면(331)이 압압부재(160)에 있어서의 압압체(161)의 머리부(163)의 끝면(164)과 대략 점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훅부(324)의 축부(325)의 한 쌍의 측면(327B,327B)에 있어서의 대략 L자형의 평탄면을 훅구멍(344)의 내주면(346)에 있어서의 긴 변측의 내벽면(347A,347A)을 따라, 훅부(324)의 단부(326)의 훅구멍(344)으로의 삽입(날부(320)와 볼트부(340)의 축선(O)방향에서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을 계속해 가는 것에 의해, 날부(320)와 볼트부(340)의 위상이 일치되면서 도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부(324)의 단부(326)가 훅부 수납구멍(345)안에 위치하고, 또한, 훅부(324)의 축부(325)의 선단측부분, 다시 말해, 곡면부분(328,328)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이 훅구멍(344)안에 위치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는, 압압부재(160)의 스프링(167)이 훅부(324)의 단부(326)에 의해 축소되어 있으므로, 스프링(167)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날부(320)와 볼트부(340)가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압압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훅부(324)의 축부(325)의 선단측부분의 외주면(4개의 측면(327… )의 선단측부분)이 훅구멍(344)의 내주면(346)에 있어서의 내벽면(347…)과 대향해서 배치되게 되지만, 축부(325)의 한 쌍의 측면(327B,327B)에 있어서의 타방향회전 제한벽면(335,335)이 단부(326)의 긴 변측의 측면(332,332)과 대략 동일평면상에 위치하고, 또한, 날부(320)와 볼트부(340)의 위상이 일치되어 있으므로 도2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타방향회전 제한벽면(335,335)이 훅구멍(344)의 내주면(346)에 있어서의 긴 변측의 내벽면(347A,347A)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부분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서로 접촉함과 아울러, 타방향회전 제한벽면(335,335)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으로 이어져서 형성되어 있는 곡면부분(328,328)이 훅구멍(344)의 내주면(346)에 있어서의 긴 변측의 내벽면(347A,347A)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부분에 대향해서 배치된다.
또, 이 때, 훅부(324)의 단부(326)의 각부(336,336)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334,334)과, 훅구멍(344)의 주위에 위치해서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벽면(348,348)이 훅부(324)에 있어서의 단부(326)와 곡면부분(328) 사이의 축선(O)방향을 따른 거리보다 큰 거리(t)를 개재해서 이간되어 있다.
이와 같이, 훅부(324)의 축부(325)에 형성된 타방향회전 제한벽면(335,335)이 훅구멍(344)의 내주면(346)에 있어서의 긴 변측의 내벽면(347A,347A)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부분에 대향배치되어서 서로 접촉함으로써, 날부(320)의 볼트부(340)에 대한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되는 동시에, 훅부(324)의 축부(325)에 형성된 곡면부분(328,328)이 훅구멍(344)의 내주면(346)에 있어서의 긴 변측의 내벽면(347A,347A)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부분에 대향해서 배치됨으로써 날부(320)의 볼트부(340)에 대한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의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도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부(320)를 볼트부(340)에 대하여 축선(O)둘레로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상대회전시켜 가면, 도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날부(320)가 볼트부(340)에 대하여 소정각도(본 제3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약 90°)만큼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상대회전되었을 때, 훅부(324)의 축부(325)의 한 쌍의 측면(327A.327A)에 형성된 일방향회전 제한벽면(329,329)이 훅구멍(344)의 내주면(346)의 긴 변측의 내벽면(347A,347A)에 있어서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부분에 대향배치되어서 서로 접촉하게 된다.
또, 날부(320)가 볼트부(340)에 대하여 소정각도 상대회전되어서, 훅부(324)의 축부(325)에 있어서의 일방향회전 제한벽면(329,329)이 훅구멍(344)의 내주면(346)에 있어서의 긴 변측의 내벽면(347A,347A)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2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일방향회전 제한벽면(329.329)이 훅구멍(344)의 내주면(346)에 있어서의 긴 변측의 내벽면(347A,347A)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부분에 대향해서 배치되어서 서로 접촉함과 아울러, 일방향회전 제한벽면(329,329)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이어져서 형성되어 있는 곡면부분(328,328)이 훅구멍(344)의 내주면(346)에 있어서의 긴 변측의 내벽 면(347A,347A)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부분에 대향해서 배치된다.
이와 같이, 훅부(324)의 축부(325)에 형성된 일방향회전 제한벽면(329,329)이 훅구멍(344)의 내주면(346)에 있어서의 긴 변측의 내벽면(347A,347A)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부분에 대향배치되어서 서로 접촉함으로써, 날부(320)의 볼트부(340)에 대한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된다.
그리고, 날부(320)가 볼트부(340)에 대하여, 훅부(324)의 단부(326)를 훅구멍(344)에 삽입해서 통과시키고 나서 약 90°만큼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상대회전되는 것에 의해, 날부(320)와 볼트부(340)의 위상차도, 약 0°부터 약 90°까지 변화된 상태로 된다.
여기에서, 훅부(324)의 축부(325)에 일방향회전 제한벽면(329,329) 및 타방향회전 제한벽면(335,335)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날부(320)와 볼트부(340)의 위상차를 변화시킬 수 있는 범위가 0°∼90°의 범위로 제한되어 있는 것이다.
그 후, 날부(320)와 볼트부(340)를 축선(O)방향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압하고 있는 힘을 느슨하게 하면, 이들 날부(320)와 볼트부(340)가 도시하지 않은 압압부재(160)에 의해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압압되어 있는 것에 의해, 날부(320)와 볼트부(340)의 위상이 약 90°다른 상태로 날부(320)와 볼트부(340)가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된다.
그리고, 날부(320)와 볼트부(340)의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상대이동에 따라, 훅부(324)의 축부(325)에 형성된 일방향회전 제한벽면(329,329)의 선단측부분에 접촉하고 있는 훅구멍(344)의 내주면(346)에 있 어서의 긴 변측의 내벽면(347A,347A)이 일방향회전 제한벽면(329,329)의 접촉을 유지하면서 후단측을 향해서 이 일방향회전 제한벽면(329,329)을 따라 이동되어 간다.
이것에 의해, 훅부 수납구멍(345)안에 수용되어 있는 훅부(324)의 단부(326)의 각부(336,336)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334,334)과, 훅구멍(344)의 주위에 위치해서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벽면(348) 사이의 축선(O)방향에서의 거리(t)가 점차 작아져 간다.
그러면, 측면(327A)에 있어서의 대략 L자형의 평탄면에 있어서, 일방향회전 제한벽면(329)의 후단측부분에는 이 일방향회전 제한벽면(329)과 면일치한 양방향회전 제한벽면(3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의해, 훅구멍(344)의 내주면(346)에 있어서의 긴 변측의 내벽면(347A,347A)이 양방향회전 제한벽면(330)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서로 접촉한 상태로 된다.
즉, 훅부(324)의 축부(325)에 형성된 일방향회전 제한벽면(329,329)은 날부(320)와 볼트부(340)를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켰을 때, 훅부(324)의 축부(325)에 형성된 양방향회전 제한벽면(330,330)이 훅구멍(344)의 내주면(346)에 있어서의 긴 변측의 내벽면(347A,347A)에 정확히 대향해서 접촉되도록 날부(320)의 볼트부(340)에 대한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의 상대회전을 소정각도(본 제3실시형태에서는, 약 90°)로 저지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이 때, 양방향회전 제한벽면(330)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부분이 훅구멍(344)의 내주면(346)에 있어서의 긴 변측의 내벽면(347A)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부분과 접촉함으로써, 날부(320)의 볼트부(340)에 대한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되며, 또한, 양방향회전 제한벽면(330)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부분이 훅구멍(344)의 내주면(346)에 있어서의 긴 변측의 내벽면(347A)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부분과 접촉함으로써 날부(320)의 볼트부(340)에 대한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되고, 이들 날부(320)와 볼트부(340)의 둘레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이 저지된다.
즉, 날부(320)를 둘레방향(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 및 후방측)으로 회전시켰을 때의 회전력이 볼트부(340)에 대하여 상시 전달되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날부(320)와 볼트부(340)의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이 계속되어 감으로써, 결국은, 도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날부(320)와 볼트부(340)의 둘레방향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되며 또한 훅부(324)의 단부(326)의 2개의 각부(336,336)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334,334)과, 훅구멍(344)의 주위에 위치해서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벽면(348,348)이 접촉해서 서로 밀착됨으로써, 날부(320)와 볼트부(340)의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이 저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날부(320)와 볼트부(340)의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상대이동 및 둘레방향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됨으로써, 날부(320)와 볼트부(340)가 연결된다.
그리고, 날부(320) 및 볼트부(340)를 일체적으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이들 연결된 날부(320) 및 볼트부(340)를 공구본체(110)에 형성된 부착구멍(112)에 삽입하는 동시에, 예를 들면 날부(120)의 절삭부(121)에 형성된 평탄면(121C)에 스패너를 거는 것에 의해, 숫나사부(142)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 날부(320)를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상대회전시켜 간다.
그러면, 이 날부(320)와 연결되어서 둘레방향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되어 있는 볼트부(34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전방측으로의 회전력이 전달되고, 볼트부(340)의 숫나사부(142)가 부착구멍(112)의 암나사부(115)에 나사식삽입되어 가는 것에 의해, 볼트부(340)가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부착구멍(112)안에서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되어 간다.
이것에 의해, 볼트부(340)와 연결되어서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이 저지된 날부(320)도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부착구멍(112)안에서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되어 가고, 날부(320)의 테이퍼부(122)의 외주면이 부착구멍(112)의 테이퍼구멍(113)의 내주면을 압압하는 상태로 되고, 날부(320)가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장착되어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날부(320)를 공구본체(110)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으로서는 먼저, 예를 들면 날부(320)의 절삭부(121)에 형성된 평탄면(121C)에 스패너를 거는 것에 의해, 날부(320)를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볼트부(340)의 숫나사부(142)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으로 상대회전시켜 간다.
여기서, 날부(320)가 볼트부(340)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훅부(324)의 축부(325)에 형성된 양방향회전 제한벽면(330,330)이 훅구멍(344)의 내주면(346)에 있어서의 긴 변측의 내벽면(347A,347A)에 접촉되어, 날부(320)와 볼트부(340)의 둘레방향으로의 상대회전이 저지되어 있는 것에 의해, 날부(320)를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으로 상대회전시킬 때의 회전력이 바로 볼트부(340)에 전달된다.
이 상태에서, 날부(320)를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으로 상대회전시켜 가는 것에 의해, 볼트부(340)의 숫나사부(142)가 부착구멍(112)의 암나사부(115)로부터 풀어짐에 따라 볼트부(340)가 부착구멍(112)안에서 축선(O)방향의 선단측으로 밀려나가고, 날부(320)의 테이퍼부(122)의 외주면에 의한 부착구멍(112)의 테이퍼구멍(113)의 내주면에 대한 압압이 해제된다.
계속해서, 날부(320)를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으로 상대회전시켜 감으로써, 볼트부(340)의 숫나사부(142)의 부착구멍(112)의 암나사부(115)에 대한 나사결합이 완전히 해제되어서, 날부(320)와 볼트부(340)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들 날부(320) 및 볼트부(340)를 공구본체(11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 서로 연결된 날부(320)와 볼트부(340)를 분리하려고 하면, 도시가 생략된 압압부재(160)에 의해,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압압되어 있는 날부(320)와 볼트부(340)를 축선(O)방향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힘을 가해서 날부(320)와 볼트부(340)를 축선(O)방향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킴으로써, 훅부(324)의 축부(325)에 형성된 양방향회전 제한벽면(330,330)의 훅구멍(344)의 내주면(346)에 있어서의 긴 변측의 내벽면(347A,347A)으로의 접촉을 완전히 해제한다.
그리고, 날부(320)를 볼트부(340)에 대하여 소정각도만큼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의 후방측으로 상대회전시키면, 훅부(324)의 축부(325)에 형성된 타방향회전 제한벽면(335,335)이 훅구멍(344)의 내주면(346)에 있어서의 긴 변측의 내벽면(347A,347A)에 접촉함으로써, 날부(320)와 볼트부(340)의 위상이 일치한 상태로 되어 이 상대회전이 저지된다.
그러면, 도시가 생략된 압압부재(160)에 의해 날부(320)와 볼트부(340)가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압압되어 있는 것에 의해, 날부(320)와 볼트부(340)가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되어, 자연스럽게, 훅부(324)의 단부(326)가 훅구멍(344)으로부터 빠져 날부(320)를 볼트부(34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제3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300)에 따르면, 상술한 제1 및 제2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 부분에 대해서는,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제3실시형태에서는, 제1 및 제2실시형태와 달리, 날부(320)와 볼트부(340)의 연결이 훅부(324)의 단부(326)를 훅구멍(344)에 삽입해서 통과시키고 나 서 날부(320)와 볼트부(340)를 약 90°(=180°/n)만큼 상대회전시킨 상태에서, 날부(320)와 볼트부(340)를 축선(O)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키고, 훅부(324)의 축부(325)에 형성된 양방향회전 제한벽면(330,330)을 훅구멍(344)의 내주면(346)에 있어서의 긴 변측의 내벽면(347A,347A)에 대향배치시켜서 접촉시키는 동시에, 훅부(324)의 단부(326)의 각부(336,336)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334,334)을 훅구멍(344)의 주위에 위치시켜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벽면(348,348)에 접촉시킴으로써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3실시형태와 제1(제2)실시형태에서, 다소의 구성의 차이는 있지만, 이하의 (1)∼(4)에 각각 나타내는 역할을 하는 것끼리를 필요에 따라 적당히 이해함으로써, 제1실시형태와 구성이 다소 다른 부분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효과에 대해서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1)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334,334)」(및 이것과 서로 접촉되는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벽면(348,348)」)과,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134,134)」( 및 이것과 서로 접촉되는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벽면(151…)」)
(2)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양방향회전 제한벽면(330,330)」( 및, 이것과 서로 접촉되는 「긴 변측의 내벽면(347A,347A)」)과,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각부(132…)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벽면(측면(133…)에 있어서의 각부(132…)측의 부분)」(및, 이것과 서로 접촉되는 「끼워맞춤부(150…)에 있어서의 둘레방향을 향하는 측벽면(152,152)」)
(3)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일방향회전 제한벽면(329,329)」(및 이것과 서로 접촉되는 「긴 변측의 내벽면(347A,347A)」)과,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일방향회전 제한벽면(129…)」( 및, 이것과 서로 접촉되는 「내벽면(147…)」)
(4)제3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타방향회전 제한벽면(335,335)(및, 이것과 서로 접촉되는 「긴 변측의 내벽면(347A,347A)」)과,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타방향회전 제한벽면(130)」(및 이것과 서로 접촉되는 「내벽면(147…)」)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상술한 제1내지 제3실시형태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제4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400)는 도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제3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을 하는 것이며, 그 상위점은 볼트부의 형상에 있다.
이 날부교환식 절삭공구(400)에 있어서의 볼트부(440)는 도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숫나사부(442)가 형성된 대략 링형상을 이루도록 축선(O)을 중심으로 해서 형성된 것이다.
볼트부(440)에는 그 끝면(443)(선단면)에 대략 직사각형으로 개구되는 훅구멍(444)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훅구멍(444)의 후단측이 볼트부(440)의 후단면(454)에 개구되어 있다.
즉, 훅구멍(444)이 볼트부(440)의 축선(O)방향에서의 전체길이에 걸쳐 축선(O)을 중심으로 해서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훅구멍(444)의 주위에 위치하는 벽면, 즉, 훅구멍(444)의 내주면을 구 성하는 4개의 내벽면에 있어서의 긴 변측의 내벽면에 교차함과 아울러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2개의 벽면이 볼트부(440)의 후단면(454)을 이루게 된다.
그런데, 본 제4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400)에 있어서도, 볼트부(440)에, 상술한 제2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압압부재(260)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 압압부재(260)의 구성이나 작용은 제2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되므로, 도시를 생략한다.
이러한 본 제4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400)에서도, 상술한 제2실시형태와 같은 공정을 거침으로써, 날부(320)와 볼트부(440)가 연결되게 된다.
또, 날부(320)의 훅부(324)의 형상에 대해서는 상기의 제3 및 제4실시형태에서 사용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훅부(324)의 단부(326)가 축선(O)을 n회축(n≥2)으로 하는 회전대칭으로 되어 있으면, 그 형상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날부에 대응해서 볼트부의 형상도 적절히 설계변경된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실시형태에서 이용한 날부(120)에 대응해서 도 19 및 도 20에서 설명하듯이, 훅부의 단부의 각부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하는 벽면과, 훅구멍의 주위에 위치하는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하는 벽면의 접촉면적에 대해서 고려하면, n=2∼4가 적당하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공구본체(110)을 그 전체가 스틸에 의해 구성된 것으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공구본체(110)의 부착구멍(112)에 있어서의 적어도 암나사부(115)를 포함하는 일부분을 스틸에 의해 구성하고, 공구본체(110)의 다른 부분을 초경합금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생각된다.
예를 들면, 도30에 나타내는 변형예와 같이 (상술한 제1내지 제4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공구본체(110)를 부착구멍(112)에 있어서의 암나사부(115)가 형성된 스틸로 이루어지는 제1공구본체부분(180)과, 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공구본체부분(190)을 서로 접합한 것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제1공구본체부분(180)은 스틸로 이루어지는 다단 대략 원주상을 이루고 있고, 공구본체(110)의 후단면(116)을 이루는 후단면(184)을 구비한 후단부분(181)과, 이 후단부분(181)의 선단측에 1단 축경해서 연결됨과 아울러, 그 선단면(183)으로부터 후단측을 향해서 암나사부(185)가 형성된 선단부분(182)을 갖고 있다.
한편, 제2공구본체부분(190)은 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고, 공구본체(110)의 선단면(111)을 이루는 선단면(191)으로부터 후단면(192)까지 관통하는 관통구멍(193)을 갖고 있다.
그리고, 제1공구본체부분(180)의 선단부분(182)을 제2공구본체부분(190)의 관통구멍(193)의 후단면(192)으로의 개구부로부터 이 관통구멍(193)안에 제2공구본체부분(190)의 후단면(192)과 제1공구본체부분(180)의 후단부분(181)이 접촉할 때 까지 삽입한 후, 이들 제1공구본체부분(180)과 제2공구본체부분(190)을 서로 접합 함으로써, 공구본체(110)가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공구본체부분(190)의 관통구멍(193)에 있어서의 선단측부분에 의해 부착구멍(112)의 테이퍼부(113) 및 수납구멍(114)이 구성되고, 제1공구본체(180)의 암나사부(185)에 의해 부착구멍(112)의 암나사부(115)가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공구본체(110)를 사용한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에서는, 초경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2공구본체부분(190)에 의해 공구본체(110)전체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스틸로 이루어지는 제1공구본체부분(180)에는 용이하게 암나사부(115)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제1공구본체부분(180)과 제2공구본체부분(190)의 접합에 대해서는, 조금도 그 접합수단은 문제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납땜에 의해 접합하는 것이 고려된다.
또,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날부를 공구본체의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하기 위한 인입부재로서 볼트부를 사용하고 있으며, 인입부재가 나사결합부로서의 숫나사부를 갖고 있음과 아울러, 이 숫나사부가 부착구멍의 피나사결합부로서의 암나사부에 나사식삽입되어 가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입부재에 나사결합부로서의 암나사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부착구멍에 피나사결합부로서의 숫나사부를 형성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31에 나타내는 제5실시형태와 같은 것이 생각된다(상술한 제1내지 제4실시형태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5실시형태의 날부교환식 절삭공구(500)에 있어서는, 날부(120)와 연결되는 동시에 날부(120)를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하기 위한 인입부재(540)가 대략 원주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선단측부분(141)에 훅구멍(144), 끼워맞춤부(150…) 및 훅부 수납구멍(145)이 형성되며, 또한, 후단측부분에 훅부 수납구멍(145)의 저면(153)으로부터 인입부재(540)의 후단면(541)까지 관통하는 나사결합부로서의 암나사부(542)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인입부재(540)에는 그 선단면(543)에 접합되어서, 축선(O)방향의 선단측을 향해서 주회하면서 연장되는 스프링(267)과, 이 스프링(267)의 선단에 접합된 대략 링형상을 이루는 압압체(261)로 이루어지는 압압부재(260)가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인입부재(540)에 대응하도록, 공구본체(510)에는 부착구멍(112)의 수납구멍(114)의 후단측으로 이어지는 동시에 공구본체(510)의 후단면(511)까지 관통하는 고정볼트 수납구멍(512)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볼트 수납구멍(512)에 고정볼트(513)가 삽입되어서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고정볼트(513)는 선단측부분에 피나사결합부로서의 숫나사부(514)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후단측에 순차 이어지도록 축부(515), 머리부(51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볼트(513)가 고정볼트 수납구멍(512)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고정볼트(513)의 머리부(516)가 고정볼트 수납구멍(512)에 있어서의 후단면(511)으로의 개구부로서 형성되어서 1단 확경한 단차부(517)안에 수납되고, 고정볼트(513)의 축부(515)가 고정볼트 수납구멍(512)안에 수용되며, 또한, 고정볼트(513)의 숫나사부(514)가 축선(O)방향의 선단측으로 돌출되도록 해서 부착구멍(112)의 수납구멍(114)안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공구본체(510)의 외주면에서 부착구멍(112)의 고정볼트 수납구멍(512) 까지 관통형성된 구멍부에 삽입된 고정볼트 고정용 나사(518)에 의해, 이 고정볼트(513)의 고정볼트 수납구멍(512)안에서의 축선(O)방향 및 둘레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부착구멍(112)의 수납구멍(114)안에 수용된 상태로 되어 있는 고정볼트(513)의 숫나사부(514)가 부착구멍(112)에 있어서의 피나사결합부를 이루고 있는 것이며, 이 숫나사부(514)에 대하여, 인입부재(540)의 후단측부분에 형성된 암나사부(542)가 나사식삽입되는 것이다.
또, 이 제5실시형태에 있어서, 나사결합부의 나사식삽입 회전방향(S)과는, 인입부재(540)에 있어서의 나사결합부로서의 암나사부(542)를 부착구멍(112)에 있어서의 피나사결합부로서의 숫나사부(514)에 대하여 나사식삽입할 때, 인입부재(540)를 공구본체(510)에 대하여 축선(O) 둘레로 회전시킬 때의 회전방향이 된다.
이러한 인입부재(540) 및 공구본체(510)를 사용한 제5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500)에서는, 고정볼트(513)를 스틸에 의해 구성하고, 또한, 이것을 제외한 공구본체(510)의 다른 부분을 초경합금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상술한 도30에 나타내는 공구본체의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공구본체(510)전체의 강성을 높이면서도, 피나사결합부로서의 숫나사부(514)를 형성하는 것을 쉽게 할 수 있다.
또, 상기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인입부재를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하기 위한 인입수단으로서, 인입부재의 나사결합부를 부착구멍의 피나사결합부에 나사식삽입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입볼트 에 의해 인입부재를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32에 나타내는 제6실시형태와 같은 것이 고려된다(상술한 제1내지 제5실시형태로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6실시형태의 날부교환식 절삭공구(600)는 인입부재(640)의 후단측부분(641)의 외주면으로 인입볼트 끼워맞춤부(642)가 형성되고, 또한, 공구본체(610)의 후단측부분(611)의 외주면에, 지름방향 내방측을 향함에 따라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해서 경사지는 동시에, 부착구멍(112)까지 관통하는 인입볼트 나사결합부(612)가 형성된 것이다.
또, 이 공구본체(610)에 형성된 인입볼트 나사결합부(612)에 대하여, 대략 원주상을 이루는 선단측부분(651)을 갖는 인입볼트(650)가 나사식삽입되어 있는 것에 의해, 이 인입볼트(650)의 선단측부분(651)이 인입부재(640)의 후단측부분(641)에 형성된 인입볼트 끼워맞춤부(642)에 끼워맞춰져 있다.
그리고, 인입볼트(650)를 인입볼트 나사결합부(612)에 나사식삽입함으로써, 이 인입볼트(650)의 선단측부분(651)이 끼워맞춰져 있는 인입볼트 끼워맞춤부(642)를 갖는 인입부재(640)가 공구본체(610)의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되어 가는 것이다.
또,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날부의 테이퍼부(122)의 외주면과 부착구멍(112)의 테이퍼구멍(113)의 내주면을 밀착시킴으로써, 이 날부를 구속하고 있지만, 날부의 부착강성을 보다 높이기 위해서는 테이퍼부(122)의 외주면과 테이퍼구멍(113)의 내주면을 밀착시키는 것과 동시에, 공구본체(110)의 선단면(111)과 이 선단면(111)에 대향해서 배치되는 날부의 벽면을 밀착시켜서 날부를 2면구속하면 된다.
그러나, 날부의 2면구속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테이퍼부(122)의 외주면 및 테이퍼구멍(113)의 내주면과 공구본체(110)의 선단면(111) 및 이것에 대향하는 날부의 벽면을 각각 고정밀도로 가공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예를 들면 도33에 나타내는 제7실시형태와 같은 것이 생각된다.(상술한 제1 내지 제6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해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제7실시형태의 날부교환식 절삭공구(700)에서는, 그 날부(120)에 있어서의 절삭부(121)와 테이퍼부(122)의 접속부분이 절삭부(121)의 후단측 및 테이퍼부(122)의 선단측으로 이어지는 동시에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외경이 일정한 구배로 점착 축경해 가는 대략 원추대형상을 이루는 부(副)테이퍼부(722)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테이퍼부(122)에 있어서의 편각에서의 테이퍼각도(θ)(축선(O)을 포함하는 단면에서 볼 때 테이퍼부(122)가 축선(O)과 이루는 협각)는 2∼25°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에 대해, 부테이퍼부(722)에 있어서의 편각에서의 테이퍼각도(θ1)(축선(O)을 포함하는 단면에서 볼 때 부테이퍼부(722)가 축선(O)과 이루는 협각)는 10∼80°의 범위내에서 상기의 테이퍼 각도(θ)보다 크게 되도록 (θ<θ1)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날부(120)에는, 절삭부(121)와 테이퍼부(122)를 접속하는 부테이 퍼부(722)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부테이퍼부(722)에 있어서의 편각에서의 테이퍼각도(θ1)가 테이퍼부(122)에 있어서의 편각에서의 테이퍼각도(θ)보다 크게 되어 있으므로, 이 부테이퍼부(722)의 외주면(날부(120)의 벽면)이 공구본체(110)의 선단면(111)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서로 대향하는 날부(120)의 부테이퍼부(722)의 외주면과 공구본체(110)의 선단면(111) 사이에는 날부(120)를 주회하도록 해서 링부재(710)가 개재되어 있는 것이다.
이 링부재(710)는 영율이 60∼220GPa의 범위로 설정된 탄성체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강으로 구성된 것이며, 전체둘레에 걸쳐서 절단되지 않고 이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링부재(710)에 있어서의 대략 링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끝면(711,712) 중,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향해진 한 쪽의 끝면(711)은 공구본체(110)의 선단면(111)이 축선(O)방향에 직교해서 연장되어 있는 것에 대응되도록, 축선(O)방향에 직교하도록 연장되며, 축선(O)방향의 선단측으로 향해진 다른 쪽의 끝면(712)은 날부(120)의 부테이퍼부(722)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축선(O)방향의 후단측(일방향의 끝면(711)측)을 향함에 따라 내경이 점차 축경되어 가는 테이퍼면(713)을 갖고 있다. (테이퍼면(713)에 있어서의 편각에서의 테이퍼각도가, 부테이퍼부(722)에 있어서의 편각에서의 테이퍼각도(θ1)와 대략 일치한다).
날부(120)가 공구본체(110)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날부(120)의 테이퍼부(122)의 외주면과 부착구멍(112)의 테이퍼구멍(113)의 내주면이 밀착되고, 날부(120)의 부테이퍼부(722)의 외주면과 링부재(710)의 다른 쪽의 끝면(712)에 형성된 테이퍼면(713)이 밀착되고, 또한, 링부재(710)의 일방향의 끝면(711)과 공구본체(110)의 선단면(111)이 밀착되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날부(120)에 있어서의 테이퍼부(122) 및 부테이퍼부(722)의 외주면이 부착구멍(112)에 있어서의 테이퍼구멍(113)의 내주면 및 링부재(710)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끝면(712)에 형성된 테이퍼면(713)을 각각 압압하게 되고, 날부(120)의 축선(O)과 공구본체(110)의 축선(O)이 일치되어서 중심맞춤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제7실시형태에 따른 날부교환식 절삭공구(700)에 있어서, 날부(120)를 공구본체(110)에 장착할 때, 서로 연결된 날부(120) 및 볼트부(140)를 부착구멍(112)안에 삽입하고 나서, 날부(120)를 회전시킴으로써, 이 날부(120)와 연결된 볼트부(140)를 회전시켜서, 볼트부(140)의 숫나사부(142)를 부착구멍(112)의 암나사부(115)에 나사식삽입하고, 날부(120)를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해 간다.
이 때, 날부(120)의 부테이퍼부(722)의 외주면과 공구본체(110)의 선단면(111) 사이에 링부재(710)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날부(120)의 테이퍼부(122)의 외주면과 부착구멍(112)의 테이퍼구멍(113)의 내주면이 접촉하기 전에 날부(120)의 부테이퍼부(722)의 외주면과 링부재(710)의 한 쪽의 끝면(712)에 형성된 테이퍼면(713)이 접촉한다.
이 상태에서, 날부(120)를 회전시켜서, 날부(120)를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계속해서 인입해 가면, 탄성체인 링부재(710)에 있어서의 한 쪽의 끝면(711)과 공구본체(110)의 선단면(111)이 밀착되며, 축선(O)에 직교하도록 연장되는 밀착면이 생기는 동시에, 링부재(710)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끝면(712)에 형성된 테이퍼면(713)과 날부(120)의 부테이퍼부(722)의 외주면이 밀착되며,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지름이 점차 축경되는 테이퍼상의 밀착면(편각에서의 테이퍼각도(θ1))이 생긴다.
이들 2개의 밀착면 중, 링부재(710)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끝면(712)에 형성된 테이퍼면(713)과 날부(120)의 부테이퍼부(722)의 외주면의 밀착면은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지름이 점차 축경되는 테이퍼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날부(120)가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됨에 따라, 탄성체인 링부재(710)가 그 테이퍼면(713)에 받는 압압력에 의해 지름방향 외방측을 향해서 넓어지도록 탄성변형해서 확경된다.
그 때문에, 날부(120)의 부테이퍼부(722)의 외주면과 링부재(710)의 다른 쪽의 끝면(712)에 형성된 테이퍼면(713)의 밀착상태를 유지하면서, 이 링부재(710)가 탄성변형해서 확경하는 것만큼 날부(120)를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더욱 인입하는 것이 가능하며, 따라서, 날부(120)의 테이퍼부(122)의 외주면과 부착구멍(112)의 테이퍼구멍(113)의 내주면이 밀착된다.
이것에 의해, 날부(120)에 있어서의 테이퍼부(122)의 외주면 및 부테이퍼부(722)의 외주면이 부착구멍(112)의 테이퍼구멍(113)의 내주면 및 링부재(710)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끝면(712)에 형성된 테이퍼면(713)을 각각 압압 한 상태로 되고, 날부(120)가 공구본체(110)에 대하여 2면구속으로 장착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제7실시형태에 따르면, 공구본체(110)의 선단면(111)과 이것에 대향하는 날부(120)의 벽면(날부(120)의 부테이퍼부(722)의 외주면) 사이에, 이들 선단면(111) 및 부테이퍼부(722)의 외주면에 밀착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링부재(710)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날부(120)를 부착구멍(112)안에서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할 때, 작업자가 날부(120)를 회전시키기 위해서 부여한 조임토크가 너무 커도, 이 링부재(710)의 존재에 의해, 날부(120)가 부착구멍(112)안으로 지나치게 깊숙히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날부(120)의 분리가 불가능해진다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 이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링부재(710)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끝면(712)에 형성된 테이퍼면(713)과 날부(120)에 있어서의 부테이퍼부(722)의 외주면의 밀착면이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함에 따라 지름이 점차 축경되는 테이퍼상으로 되어 있으므로, 날부(120)가 축선(O)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되었을 때에는 이 링부재(710)가 탄성변형해서 확경된다.
이 링부재(710)가 탄성변형하는 것만큼 날부(120)에 있어서의 축선(O)방향에서의 이동의 자유도가 늘어나게 되고, 날부(120)에 있어서의 부테이퍼부(722)의 외주면과 링부재(710)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끝면(712)에 형성된 테이퍼면(713)을 밀착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것과 동시에, 날부(120)의 테이퍼부(122)의 외주면과 부착구멍(112)의 테이퍼구멍(113)의 내주면을 확실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가공정밀도의 다소의 오차를 흡수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고 확실하게 날부(120)의 2면구속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날부(120)의 부착강성을 높여서 절삭가공중에서도 느린 진동을 발생시키는 일이 없다.
또한, 이러한 링부재(710)를 사용함으로써, 공구본체(110)의 선단면(111)과 이 선단면(111)에 대향해서 배치되는 부테이퍼부(722)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간극에 먼지 등의 이물이 들어가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날부(120)의 착탈을 반복해서 행해도 날부(120)의 테이퍼부(122)의 외주면과 부착구멍(112)의 테이퍼구멍(113)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이물이 침입하는 위험성을 저감하고, 날부(120)의 장착상태를 안정되게 계속해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체인 링부재(710)의 영율이 60∼220GPa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날부(120)의 부착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축선(O)방향을 따르는 압압력을 적당히 발생시키고, 또한, 가공 정밀도의 오차를 흡수하기 위해서 필요한 탄성변형을 적당히 발생시킬 수 있다.
이 영율이 60GPa보다 작게 되면, 축선(O)방향을 따르는 압압력이 충분히 얻어지지 않고, 부착강성을 높일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으며, 한편, 영율이 220GPa보다 크게 되면, 링부재(710)의 탄성변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 상술한 효과를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링부재(710)의 영율은 70∼130GPa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여기에서, 링부재(710)에 있어서의 다른 쪽의 끝면(712)에 형성된 테이퍼면(713)과 날부(120)에 있어서의 부테이퍼부(722)의 외주면과의 밀착면에 대해 서, 그 편각에서의 테이퍼각도(θ1)가 10∼80°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에 의해, 날부(120)의 부착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축선(O)방향을 따르는 압압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또한, 가공정밀도의 오차를 흡수하기 위해 필요한 링부재(710)의 탄성변형을 충분히 발생시킬 수 있다.
이 테이퍼각도(θ1)가 10°보다 작아지면, 축선(O)방향을 따른 압압력을 얻을 수 없게 되고, 날부(120)를 2면구속시킴으로써 그 부착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저감될 우려가 있으며, 한편, 테이퍼각도(θ1)가 80°보다 커지면, 이 테이퍼형상의 밀착면에 발생하는 마찰이 지나치게 커져서, 링부재(710)의 탄성변형에 의한 확경이 발생하기 어렵게 될 우려가 있다.
또, 상술한 효과를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테이퍼각도(θ1)는 30∼60°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제7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링부재(710)(다른 쪽의 끝면(712)에 형성된 테이퍼면(713))과 날부(120)의 벽면(부테이퍼부(722)의 외주면)과의 밀착면을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할수록 지름이 점차 축경되는 테이퍼형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링부재(710)와 공구본체(110)의 선단면(111)과의 밀착면을 축선(O)방향의 후단측을 향할수록 지름이 점차 확경되는 테이퍼형상으로 해도 상술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 링부재(710)와 공구본체(110)의 선단면(111)과의 밀착면 및 링부재(710)와 날부(120)의 벽면과의 밀착면의 양쪽을 테이퍼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 링부재(710)로서는, 전체둘레에 걸쳐 절취선없이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절취선을 갖는 대략 C자형의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날부의 후단측부분에 단부 및 축부로 이루어지는 훅부가 형성되며, 볼트부(인입부재)의 선단측부분에 훅부의 단부 및 축부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훅구멍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날부의 후단측부분에 그 끝면에 훅부의 단부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개구되는 훅구멍을 형성함과 아울러, 이 훅구멍의 주위의 벽면에 훅부의 단부의 각부를 끼워맞출 수 있는 끼워맞춤부를 형성하고, 또한, 볼트부(인입부재)의 선단측부분에 축부와 이 축부보다 지름방향 외방측으로 1단 돌출되는 각부를 구비한 단부로 이루어지는 훅부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 이상 설명한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에 대해서는, 공구본체의 후단측부분이 공작기계 회전축에 부착됨으로써, 이 공구본체가 축선둘레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공작기계 회전축이 공구본체를 이루고 있는, 즉, 공작기계 회전축에 있어서의 선단면에 상술한 부착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 부착구멍에 대하여 날부가 장착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공구본체를 공작기계 회전축을 포함한 표현으로 한다).
또한, 이상 설명한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에 이용되는 날부에 대해서는, 그 절삭부를 적어도 하나의 절삭날을 구비한 것으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연삭에 의한 후가공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절삭날이 형성되는 절삭부를 갖는 날부를 사용해도 좋고, 납땜 등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절삭날을 구비한 절삭부가 접합되는 날부를 사용해도 좋고,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절 삭날을 구비한 절삭부가 나사고정되는 등의 스로어웨이방식으로 부착되는 날부를 사용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에 의하면, 날부와 인입부재의 연결이 훅부의 단부를 훅구멍에 삽입해서 통과시키고 나서 날부와 인입부재를 소정각도 상대회전시킨 상태에서, 훅부와 훅구멍이 형성된 날부의 후단측부분 혹은 인입부재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이 훅부의 단부의 형상을 축선을 n회축(n≥2)으로 하는 회전대칭으로 함으로써, 인입부재에 의해 날부를 인입하는 힘에 치우침이 발생되지 않아, 날부의 편심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훅부의 단부를 훅구멍에 삽입해서 통과시키고 나서, 날부를 인입부재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상대회전시킬 때의 소정각도가, 훅부의 단부의 형상에 의해 소량으로 제한되지 않고, 이것에 의해, 날부와 인입부재의 축선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을 저지하기 때문에, 훅부와 훅구멍이 형성된 날부의 후단측부분 혹은 인입부재가 서로 접촉하는 면적을 충분히 크게 확보해서 날부의 장착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훅구멍에 대해서는, 이것이 형성된 날부의 후단측부분 및 인입부재 중 어느 한 쪽의 외주면에까지 개구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둘레방향으로 폐쇄된 구조로 함으로써, 그 강도를 높게 유지해서 변형을 발생시키는 일없고, 이것에 의해서도 날부의 장착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8)

  1. 절삭부를 갖는 날부의 후단측부분과 인입부재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들 연결된 날부 및 인입부재가 공구본체에 형성된 부착구멍에 삽입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인입부재가 상기 공구본체의 축선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되어 있음으로써, 이 인입부재와 연결된 상기 날부가 상기 공구본체의 축선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되어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날부교환식 절삭공구로서,
    상기 날부의 후단측부분 및 상기 인입부재 중 어느 한 쪽에는, 축부와 이 축부보다 지름방향 외방측으로 1단 돌출되는 각부를 구비한 단부로 이루어지는 훅부가 형성되며, 다른 쪽에는, 그 끝면에 상기 훅부의 단부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개구되는 훅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훅부의 단부를 상기 훅구멍에 삽입해서 통과시키고 나서 상기 날부를 상기 인입부재에 대하여 둘레방향으로 소정각도 상대회전시킨 후, 상기 날부와 상기 인입부재를 축선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시켰을 때, 상기 훅부와 상기 훅구멍이 형성된 상기 날부의 후단측부분 혹은 상기 인입부재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날부와 상기 인입부재의 둘레방향으로의 상대회전 및 축선방향에서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의 상대이동이 저지되어서, 상기 날부와 상기 인입부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부교환식 절삭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훅구멍의 주위의 벽면에, 상기 훅부의 단부의 각부를 끼워맞출 수 있는 끼워맞춤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훅부의 단부의 각부가 상기 끼워맞춤부에 끼워맞춰짐으로써, 상기 훅부와 상기 훅구멍이 형성된 상기 날부의 후단측부분 혹은 상기 인입부재가 접촉해서 상기 날부와 상기 인입부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부교환식 절삭공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의 축부에 상기 훅구멍의 내주면에 접촉가능한 양방향회전 제한벽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방향회전 제한벽면이 상기 훅구멍의 내주면에 접촉함과 아울러, 상기 훅부의 단부의 각부가 상기 훅구멍의 주위의 벽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훅부와 상기 훅구멍이 형성된 상기 날부의 후단측부분 혹은 상기 인입부재가 접촉해서 상기 날부와 상기 인입부재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부교환식 절삭공구.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의 축부에는 상기 훅부의 단부를 상기 훅구멍에 삽입해서 통과시키고 나서 상기 날부를 상기 인입부재에 대하여 둘레방향의 일방향측으로 소정각도 상대회전시켰을 때, 상기 훅구멍의 내주면에 접촉해서 그 이상의 둘레방향의 일방향측으로의 상대회전을 저지하기 위한 일방향회전 제한벽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부교환식 절삭공구.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입부재는 나사결합부를 가지며,
    상기 부착구멍은 피나사결합부를 갖고 있고,
    상기 인입부재의 나사결합부가 상기 부착구멍의 피나사결합부에 나사식삽입되어 있는 것에 의해, 상기 인입부재가 상기 공구본체의 축선방향의 후단측으로 인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부교환식 절삭공구.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부는 절삭부와 이 절삭부의 후단측으로 이어짐과 아울러 후단측을 향할수록 외경이 점차 축경되는 대략 원추대형상의 테이퍼부와 이 테이퍼부의 후단측으로 이어지는 상기 후단측부분을 가지며,
    상기 부착구멍은 후단측을 향할수록 내경이 점차 축경되는 대략 원추대 구멍형상의 테이퍼구멍을 갖고 있으며,
    상기 날부의 테이퍼부의 외주면이 상기 부착구멍의 테이퍼구멍의 내주면을 압압해서 상기 날부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부교환식 절삭공구.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의 단부를 상기 훅구멍에 삽입해서 통과시켰을 때, 상기 날부와 상기 인입부재를 이들이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압압하는 압압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부교환식 절삭공구.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날부교환식 절삭공구에 장착되는 날부로서,
    절삭부를 갖고,
    후단측부분에는, 축부와 이 축부보다 지름방향 외방측으로 1단 돌출되는 각부를 구비한 단부로 이루어지는 훅부가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그 끝면에 상기 훅부의 단부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개구되는 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부.
KR1020030007749A 2002-03-04 2003-02-07 날부교환식 절삭공구 및 이것에 장착되는 날부 KR1009810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057548 2002-03-04
JPJP-P-2002-00057548 2002-03-04
JP2002209820 2002-07-18
JPJP-P-2002-00209820 2002-07-18
JPJP-P-2002-00308518 2002-10-23
JP2002308518A JP4378931B2 (ja) 2002-03-04 2002-10-23 刃部交換式切削工具及びこれに装着される刃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221A KR20030072221A (ko) 2003-09-13
KR100981075B1 true KR100981075B1 (ko) 2010-09-08

Family

ID=27761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7749A KR100981075B1 (ko) 2002-03-04 2003-02-07 날부교환식 절삭공구 및 이것에 장착되는 날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101127B2 (ko)
EP (1) EP1342521B1 (ko)
JP (1) JP4378931B2 (ko)
KR (1) KR100981075B1 (ko)
CN (1) CN1298474C (ko)
AT (1) ATE447456T1 (ko)
DE (1) DE60329879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8299C2 (sv) * 2004-09-24 2006-10-17 Seco Tools Ab Skärspets och skärverktyg med hållardel utformad som stympad konisk gänga
SE528783C2 (sv) * 2004-10-05 2007-02-13 Seco Tools Ab Verktyg där spets och hållare har radiella stödytor
US7290968B1 (en) * 2006-03-06 2007-11-06 Shih-Chang Wu Extension fixture for turning tool
EP1894540A1 (fr) * 2006-08-30 2008-03-05 Bien-Air Holding SA Instrument à main à usage dentaire ou chirurgical
KR101679425B1 (ko) * 2009-03-27 2016-12-06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교환식 절삭 헤드 및 헤드 교환식 절삭 공구
DE102009042665A1 (de) * 2009-09-23 2011-05-19 Esa Eppinger Gmbh Schnittstelle zwischen einem Aufnahmekörper und einem insbesondere als Werkzeug- oder Werkstückhalter ausgebildeten Einsatz
IL203097A (en) * 2009-12-31 2013-03-24 Kennametal Inc Quick link for milling with interchangeable head
DE102010026129B4 (de) * 2010-07-05 2013-07-11 Benz GmbH Werkzeugsysteme Modulare Schnittstelle für Werkzeuge
JP5488374B2 (ja) * 2010-09-29 2014-05-14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ヘッド交換式切削工具
JP5589728B2 (ja) * 2010-09-29 2014-09-17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ヘッド交換式切削工具用ホルダおよびヘッド交換式切削工具
US9827620B2 (en) 2010-09-29 2017-11-28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Head replacement-type cutting tool
DE102011012140B4 (de) * 2011-02-24 2020-07-09 Kennametal Inc. Fräser, insbesondere Kugelschaftfräser
JP5594210B2 (ja) * 2011-03-29 2014-09-24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ヘッド交換式切削工具の製造方法、および該製造方法に用いられる連結部材
WO2013057778A1 (ja) 2011-10-17 2013-04-2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ヘッド交換式切削工具用ホルダおよびヘッド交換式切削工具
DE102012100976B4 (de) * 2012-02-07 2014-04-24 Franz Haimer Maschinenbau Kg Einschraubwerkzeug und Werkzeugaufnahme für ein derartiges Einschraubwerkzeug
CN103802222A (zh) * 2012-11-07 2014-05-21 广西玉柴机器股份有限公司 砂芯立铣刀
DE102013100939A1 (de) * 2013-01-30 2014-07-31 Franz Haimer Maschinenbau Kg Werkzeugaufnahme für ein Einschraubwerkzeug
CN104001945B (zh) * 2013-02-22 2016-08-03 上海佐仞精密刀具有限公司 一种弹性去毛刺倒角刀
JP5974940B2 (ja) * 2013-03-14 2016-08-23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交換式切削ヘッド
SE537043C2 (sv) * 2013-04-11 2014-12-16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Första kopplingsdel och verktygskoppling
BE1022238B1 (nl) * 2013-09-15 2016-03-04 THIJS, Marc Snel monteerbaar gereedschap
EP2886228B1 (en) * 2013-12-20 2019-02-20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Chuck
DE102014101003B4 (de) * 2014-01-28 2015-11-05 Schenck Rotec Gmbh Aufnahmevorrichtung für eine drehbare Spindel einer Auswuchtmaschine
DE102016104960A1 (de) * 2016-03-17 2017-09-21 Hartmetall-Werkzeugfabrik Paul Horn Gmbh Schneidplatte, Werkzeughalter und Werkzeug
RU2020105936A (ru) * 2018-02-02 2021-08-09 Джэй.Эйч. ФЛЕТЧЕР ЭНД КО. Быстроразъемное соединение для бурения и связанные с ним способы
CN108746792A (zh) * 2018-06-29 2018-11-06 德阳杰创科技有限公司 刀身复用的合金棒料刀
US10888979B2 (en) * 2019-06-03 2021-01-1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Lockable socket insert, insert tool and insert lock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12589140B (zh) * 2020-12-03 2022-11-18 四川航天长征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多阶深孔型面专用镗削刀具及镗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1404U (ja) * 1991-05-30 1994-08-30 株式会社宇都宮鋼具製作所 ツール交換装置
EP0776719A1 (fr) * 1995-11-28 1997-06-04 Service de Machines et Outillage Technique - Smot Outil de coupe rotatif à tête interchangeable utilisable pour des vitesses de coupe élevées
JPH10505546A (ja) * 1994-08-01 1998-06-02 フィアラ,スタニスラフ 穴を正確に空ける際の仕上げ工具
KR20010013084A (ko) * 1997-05-29 2001-02-26 에란 마르쿠스 : 탈 샬모니 절삭 공구 조립체와 그에 사용되는 교환 가능한 절삭 헤드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633A (en) * 1905-11-11 1906-08-28 Harry R Decker Drill.
US2109108A (en) * 1935-08-19 1938-02-22 Douglas F Fesler Knife
CH383120A (fr) 1962-09-24 1964-10-15 Genevoise Instr Physique Dispositif de fixation rapide de deux éléments l'un à l'autre, tels qu'un outil ou un porte-outil sur une broche ou sur une rallonge
FR1589460A (ko) 1968-09-18 1970-03-31
USRE34256E (en) * 1987-07-08 1993-05-18 Seco Tools Ab Tool for metal cutting
SE457935B (sv) * 1987-07-08 1989-02-13 Seco Tools Ab Verktyg foer skaerande bearbetning samt skaerdel foer verktyget
DE3831397C2 (de) * 1987-09-18 2000-05-25 Mitsubishi Materials Corp Kombination eines Schneidwerkzeugs mit einer Befestigungseinheit zum Befestigen des Schneidwerkzeugs
DE8715181U1 (ko) * 1987-10-17 1987-12-03 Ledermann Gmbh + Co, 7240 Horb, De
DE4314235A1 (de) * 1993-04-30 1994-11-03 Bilz Otto Werkzeug Werkzeughalter, insbesondere Schnellwechselfutter
JP3035195B2 (ja) * 1995-08-11 2000-04-17 キタムラ機械株式会社 主軸装置
JP3318732B2 (ja) * 1995-09-13 2002-08-26 株式会社日研工作所 スピンドルの部品クランプ装置
SE509931C2 (sv) 1996-09-27 1999-03-22 Seco Tools Ab Pinnfräs, pinnfräshuvud samt metod för montering av ett lösbart pinnfräshuvud på ett skaft till en pinnfräs
JPH10277862A (ja) * 1997-04-03 1998-10-20 Sodick Co Ltd 工作機械の工具保持具及び工具保持装置
CH692726A5 (de) * 1998-03-18 2002-10-15 C R I D S A Cie De Rech S Ind Spannvorrichtung einer Werkzeugspindel.
US6260855B1 (en) * 1998-09-08 2001-07-17 The Gleason Works Workholding apparatus
JP3409180B2 (ja) * 1998-09-11 2003-05-26 ホーコス株式会社 工作機械用工具ホルダ
EP1038619B1 (en) * 1999-03-19 2007-09-19 Nikken Kosakusho Works, Ltd. Tool holder
JP4190652B2 (ja) * 1999-04-26 2008-12-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工具ホルダ構造及び工具保持装置
SE514356C2 (sv) * 1999-06-09 2001-02-12 Sandvik Ab Hållare för lösgörbar montering av skärverktyg
DE29922642U1 (de) * 1999-12-24 2000-02-24 Roehm Gmbh Spannvorrichtung für einen Hohlschaf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1404U (ja) * 1991-05-30 1994-08-30 株式会社宇都宮鋼具製作所 ツール交換装置
JPH10505546A (ja) * 1994-08-01 1998-06-02 フィアラ,スタニスラフ 穴を正確に空ける際の仕上げ工具
EP0776719A1 (fr) * 1995-11-28 1997-06-04 Service de Machines et Outillage Technique - Smot Outil de coupe rotatif à tête interchangeable utilisable pour des vitesses de coupe élevées
KR20010013084A (ko) * 1997-05-29 2001-02-26 에란 마르쿠스 : 탈 샬모니 절삭 공구 조립체와 그에 사용되는 교환 가능한 절삭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98272A (ja) 2004-04-02
JP4378931B2 (ja) 2009-12-09
US20030164597A1 (en) 2003-09-04
EP1342521A3 (en) 2004-01-21
CN1298474C (zh) 2007-02-07
DE60329879D1 (ko) 2009-12-17
ATE447456T1 (de) 2009-11-15
KR20030072221A (ko) 2003-09-13
US7101127B2 (en) 2006-09-05
CN1442261A (zh) 2003-09-17
EP1342521B1 (en) 2009-11-04
EP1342521A2 (en) 2003-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075B1 (ko) 날부교환식 절삭공구 및 이것에 장착되는 날부
KR920010884B1 (ko) 공구 커플링
US8668413B2 (en) Coupler for a quick change insert rotary cutting tool
KR102338007B1 (ko) 안내 및 체결 오목부를 구비한 결합 핀을 갖는 절삭 헤드를 포함하는 회전 절삭 공구
EP1280624B1 (en) Tool joint
US8789257B2 (en) Toolholder connector and associated system
RU2521541C2 (ru) Инструментодержатель и инструментальная оправка для него
US7478983B2 (en) Tool assembly
CN108687385B (zh) 前装载、侧激活的模块化钻头
JPS59196143A (ja) 工具類の保持装置
US20110194907A1 (en) Tool Clamping Mechanism
KR20030076411A (ko) 로터리툴 및 상기 툴에 포함되는 커팅부
TWI757510B (zh) 切削刀具及轉位或更換接納於該切削刀具之凹穴中之切削刀塊之方法
EP0504165B1 (en) Radial locator mechanism for a tool holder assembly
US20130142582A1 (en) Head Replaceable Cutting Tool
EP0663252A2 (en) Cutting tool
JP5619975B2 (ja) 杭の継手構造
EP2891807A1 (en) Lock pin, lock pin rotating tool, and connection releasing structure
JP6112918B2 (ja) 土木工事用パイプ連結構造
US20200238405A1 (en) Cutting tool assembly
US11298757B2 (en) Firmly assembled cutter holding assembly
EP3782750A1 (en) Tool head, cutting tool and method of fixing a tool head to an adapter
JP3829728B2 (ja) 刃部交換式切削工具及びこれに装着される刃部
EP3764193B1 (en) Handle device and punching machine
JPH11285901A (ja) チャックジョイ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