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060B1 -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 - Google Patents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060B1
KR100981060B1 KR1020100052214A KR20100052214A KR100981060B1 KR 100981060 B1 KR100981060 B1 KR 100981060B1 KR 1020100052214 A KR1020100052214 A KR 1020100052214A KR 20100052214 A KR20100052214 A KR 20100052214A KR 100981060 B1 KR100981060 B1 KR 100981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latch
needle
knitting
running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2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민
Original Assignee
(주)하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나테크 filed Critical (주)하나테크
Priority to KR1020100052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0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2Loop-transfer poi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82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needle cams us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02Knitting tools or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 D04B15/00 or D04B27/00
    • D04B35/04Latch need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0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for ribbed goods
    • D04B9/0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needle cylinder and dial for ribbed goods for interlock g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랫치가 형성된 바늘을 사용하는 편성장치에 있어서, 바늘을 클리어링(Clearing) 포지션에 위치시켜서 랫치를 클리어링시키고 난 후 루프를 형성하는 녹오버 포지션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터크 포지션과 러닝 포지션 사이에서 상기 랫치의 외측에 실을 위치시켜 이 후 포지션으로 전이시켜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변형 러닝 포지션을 포함한 캠형태를 이용하여 큰 루프와 작은 루프가 동시에 형성되는 옷감을 제작할 수 있어 소프트한 촉감이 형성되고 볼륨감이 높으며 형태의 안정성이 향상된 옷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Description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Knitting Apparatus Using Transformed Running Position}
본 발명은 편직기에 사용되는 캠의 형태에 관한 것으로, 캠에 형성되는 바늘의 이동경로를 변형한 형태를 가진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편직물(編織物, Knitted Fabric)은 하나의 실을 계속 사용하거나 여러 종류의 실을 번갈아 사용하여 양면으로 코를 이어가면서 짠 직물을 말한다.
이러한 상기 편직물은 편성물 또는 편물이라고도 하는데, 직조제품에 비해 일반적으로 신축성이 좋다.
편직물에는 평뜨기, 고무뜨기, 펄뜨기, 무늬뜨기 그리고 이중뜨기 등의 위편직물과 트리코트, 라셀그리고 밀라니즈 등의 경편직물 2가지가 있다.
상기와 같은 위편직물을 짜는 장치로는 바늘이 원형으로 배열되어 회전하며 편직하는 기계인 환편기(Circular Knitting Machine, 다이마루)와 바늘이 직선상으로 배열되어 실이 일직선으로 편직되는 기계인 횡편기(Flat Knitting Machine, 요꼬)가 있다.
상기 환편기는 원형틀의 원주에 장착된 캠장치와 상기 캠장치의 홈을 따라서 이동되면서 편성작용을 진행하는 니들을 포함한다.
상기 캠장치에 형성되는 홈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정형화되어 있는 4가지로 분류된다.
즉, 상기 홈의 위치는 홈에 연결되어 이동되는 바늘의 위치에 따라서 클리어링 포지션(Clearing Position), 터크 포지션(Tuck Position), 러닝 포지션(Running Position) 및 녹오버 포지션(Knock Over Position)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바늘의 위치는 상기 클리어링 포지션, 터크 포지션, 러닝 포지션 및 녹오버 포지션 순으로 순차적으로 낮아진다.
종래의 환편기는 캠장치에서 4가지 포지션을 여러 가지 순서로 나열하여 다양한 형태의 편직을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환편기 뿐만 아니라, 랫치가 형성된 바늘을 사용하는 모든 편직기에서 캠장치에 형성되는 홈의 위치를 새롭게 형성하여 보다 다양한 형태의 직물을 생산할 수 있는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랫치가 형성된 바늘을 사용하는 편성장치에 있어서,
바늘을 클리어링(Clearing) 포지션에 위치시켜서 랫치를 클리어링시키고 난 후 루프를 형성하는 녹오버 포지션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터크 포지션과 러닝 포지션 사이에서 상기 랫치의 외측에 실을 위치시켜 이 후 포지션으로 전이시켜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터크 포지션과 러닝 포지션 사이에서 상기 랫치의 외측에 실을 위치시키도록 형성된 위치는 캠(600, 610)의 홈(620) 중 변형 러닝 포지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캠(600)에는 제 1 클리어링 포지션(200), 변형 러닝 포지션(360), 제 2 클리어링 포지션(400) 그리고 녹오버 포지션(500)의 형태를 따라 홈(620)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620)을 따라서 이동되는 바늘(700)이 상기 제 1 클리어링 포지션(200)에서 변형 러닝 포지션(360)으로 이동되면 기존 실(810)에 의해 랫치(740)의 선단(760)이 상방으로 회동되어 고리(730)에 접하고, 기존 실(810)은 랫치(740)의 선단(760)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끝단부(812)의 형상이 확장되고,
상기 바늘(700)이 상기 변형 러닝 포지션(360)에서 제 2 클리어링 포지션(400)으로 이동되면서 첫번째 급사된 실(820)이 랫치(740)의 선단(760)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랫치(740)의 하방에 위치된 몸통(780)에서 기존 실(810)과 인접하게 걸치게 되고,
상기 기존 실(810)의 끝단부(812) 형태는 첫번째 급사된 실(820)의 끝단부(822) 형태보다 큰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늘(700)이 상기 제 2 클리어링 포지션(400)에서 녹오버 포지션(500)으로 이동되면 고리(730)에 걸쳐 있던 두번째 급사된 실(830)이 상기 기존 실(810)과 첫번째 급사된 실(820)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루프(910, 920)를 형성하고,
상기 기존 실(810)과 두번째 급사된 실(830) 사이에 형성된 제 1 루프(910)는 첫번째 급사된 실(820)과 두번째 급사된 실(830) 사이에 형성된 제 2 루프(92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캠(610)에는 클리어링 포지션(210), 변형 러닝 포지션(370), 터크 포지션(410) 그리고 녹오버 포지션(510)의 형태를 따라 홈(620)이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620)을 따라 이동되는 바늘(700)이 상기 클리어링 포지션(210)에서 변형 러닝 포지션(370)으로 이동되면 기존 실(810)은 랫치(74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랫치(740)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형태가 되고 첫 번째 급사된 실(820)은 고리(730)에 걸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바늘(700)이 상기 변형 러닝 포지션(370)에서 터크 포지션(410)으로 이동되면 상기 첫 번째 급사된 실(820)이 랫치(740)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면서 랫치(740)의 둘레에 걸쳐지고, 두 번째 급사된 실(830)이 고리(730)에 걸치게 될 수 있다.
상기 바늘(700)이 상기 터크 포지션(410)에서 녹오버 포지션(510)으로 이동되면 바늘(700)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기존 실(810)에 의해 랫치(740)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첫 번째 급사된 실(820)과 두 번째 급사된 실(830)이 모두 고리(730)에 걸쳐진 상태로 기존 실(810)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제 1 루프(930)와 제 2 루프(94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편성장치는 단면 환편기, 양면 환편기, 단면 횡편기 그리고 양면 횡편기 등의 랫치가 형성된 바늘을 사용하는 편직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편직기는 편성 포지션 및 편성에 사용되는 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변형 러닝 포지션을 포함한 캠형태를 이용하여 큰 루프와 작은 루프가 동시에 형성되는 옷감을 제작할 수 있어 소프트한 촉감이 형성되고 볼륨감이 높으며 형태의 안정성이 향상된 옷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캠형태와 캠의 홈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바늘을 나타내는 제 1 비교예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인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에 의한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은 일반적인 캠형태와 캠의 홈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바늘을 나타내는 제 2 비교예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인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에 의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편성장치는 단면 환편기, 양면 환편기, 단면 횡편기 그리고 양면 횡편기 등의 랫치가 형성된 바늘을 사용하는 모든 편직기를 포함하고, 상기 편직기는 편성 포지션 및 편성에 사용되는 캠 장치를 포함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캠형태와 캠의 홈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바늘을 나타내는 제 1 비교예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에 의한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랫치(Latch)가 형성된 바늘(Needle)을 사용하는 편성장치에 있어서, 바늘을 클리어링(Clearing) 포지션에 위치시켜서 랫치를 클리어링시키고 난 후 루프(Loop)를 형성하는 녹오버 포지션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새로운 위치에서 랫치의 외측 상부로 실을 위치시켜 이 후 포지션으로 전이시켜 루프를 형성하는 편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랫치의 외측이란 랫치가 고리와 연결된 상태에서 랫치의 부분 중 고리를 향하고 있는 부분의 반대부분을 말한다.
상기 새로운 위치는 터크 포지션과 러닝 포지션 사이에 위치되며 변형 러닝 포지션이라 정의하고, 상기 변형 러닝 포지션은 다른 포지션들과 연결되어 다양한 형태의 편성장치를 제공한다.
도 1과 같이 일반적인 캠형태와 캠의 홈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바늘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캠(60)에는 제 1 러닝 포지션(10), 터크 포지션(20), 제 2 러닝 포지션(30), 클리어링 포지션(40), 녹오버 포지션(50) 그리고 다시 처음의 제 1 러닝 포지션(10)에 해당되는 위치를 따라 순서대로 연결되는 홈(62)이 형성된다.
상기 홈(62)에는 바늘(70)이 연결되어 홈(62)의 위치를 따라서 이동되면서 편성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바늘(70)은 머리(72)와 몸통(78)으로 구성되며, 머리(72)는 고리(73)와 상기 고리(73)를 개폐시키는 랫치(74)로 구성된다.
상기 랫치(74)는 상기 몸통(78)에 후단(75)이 힌지 결합되어 있고, 랫치(74)의 선단(76)은 상기 후단(75)을 기준으로 회동된다.
상기 후단(75)이 힌지 결합되는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므로 자세한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상기 제 1 러닝 포지션(10)에 위치된 바늘(70)의 머리(72)에는 기존 실(81)이 걸려있고, 바늘(70)은 제 1 러닝 포지션(10)에서 홈(62)을 따라 터크 포지션(20)으로 이동되면서 기존 실(81)이 랫치(74)의 선단(76)을 하방으로 회동시키면서 선단(76)에 위치된다.
상기 기존 실(81)은 바늘(70)이 제 1 러닝 포지션(10)으로 이동되기 전에 바늘(70)의 고리(73)에 걸려있던 실을 말한다.
한편, 상기 터크 포지션(20)에는 첫번째 급사된 실(82)이 위치되어 있어 고리(73)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바늘(70)이 터크 포지션(20)에서 제 2 러닝 포지션(30)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기존 실(81)과 첫번째 급사된 실(82)이 동시에 고리(73)에 걸리게 된다.
상기 바늘(70)이 상기 제 2 러닝 포지션(30)에서 클리어링 포지션(40)으로 이동되면 기존 실(81)과 첫번째 급사된 실(82)은 모두 랫치(74)의 하방으로 이동되어 몸통(78)에 걸리고, 클리어링 포지션(40)에 위치된 고리(73)에는 두번째 급사된 실(83)이 걸리게 된다.
상기 클리어링 포지션(40)의 클리어링이란 고리(73)에 대해 자물쇠 역할을 하는 랫치(74)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열린 상태가 된 것을 말한다.
상기 바늘(70)이 상기 클리어링 포지션(40)에서 녹오버 포지션(50)으로 이동되면, 두번째 급사된 실(83)은 기존 실(81) 및 첫번째 급사된 실(82)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루프를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기존 실(81)과 두번째 급사된 실(83) 사이에 형성된 제 1 루프(91)는 첫번째 급사된 실(82)과 두번째 급사된 실(83) 사이에 형성된 제 2 루프(92)와 크기가 같다.
상기와 같이 도 1의 일반적인 캠(60) 형태에서는 제 1 루프(91)와 제 2 루프(92)의 크기가 항상 같다.
한편, 도 2를 통하여 본 발명인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에 의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는 편직기의 캠(600)에 형성되는 포지션 중 변형 러닝 포지션(Transformed Running Position)(360)이 형성되는데, 상기 변형 러닝 포지션(360)은 기존의 러닝 포지션과 터크 포지션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변형 러닝 포지션(360)을 포함하는 캠(600)에는 러닝 포지션(100), 제 1 클리어링 포지션(200), 변형 러닝 포지션(360), 제 2 클리어링 포지션(400), 녹오버 포지션(500) 그리고 다시 처음의 러닝 포지션(100)의 형태를 따라 홈(620)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홈(620)을 따라 이동되면서 편성을 형성하는 바늘(700)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러닝 포지션(100)에 위치된 바늘(700)의 머리(720)에는 기존 실(810)이 걸려 있다.
그리고 바늘(700)이 러닝 포지션(100)에서 제 1 클리어링 포지션(200)으로 이동되면 기존 실(810)은 랫치(740)의 선단(760)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랫치(740)의 하방에 위치된 몸통(780)에 걸쳐지고, 클리어링 포지션(200)에 위치된 고리(730)에는 첫번째 급사된 실(820)이 걸치게 된다.
바늘(700)이 제 1 클리어링 포지션(200)에서 변형 러닝 포지션(360)으로 이동되면 기존 실(810)에 의해 랫치(740)의 선단(760)이 상방으로 회동되어 고리(730)에 접하고, 기존 실(810)은 랫치(740)의 선단(760) 외측을 감싸는 형태가 된다.
이때, 상기 기존 실(810)은 랫치(740)의 선단(760) 외측을 감싸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고리(730)에 걸려 있는 첫번째 급사된 실(820)에 비하여 끝단부(812)의 형상이 확장된 형태를 한다.
그리고 바늘(700)이 변형 러닝 포지션(360)에서 제 2 클리어링 포지션(400)으로 이동되면 첫번째 급사된 실(820)이 랫치(740)의 선단(760)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랫치(740)의 하방에 위치된 몸통(780)에서 기존 실(810)과 인접하게 걸치게 된다.
이때, 기존 실(810)의 끝단부(812) 형태는 첫번째 급사된 실(820)의 끝단부(822) 형태보다 큰 형상을 유지한다.
또한, 제 2 클리어링 포지션(400)에 위치된 고리(730)에는 두번째 급사된 실(830)이 걸치게 된다.
바늘(700)이 제 2 클리어링 포지션(400)에서 녹오버 포지션(500)으로 이동되면 고리(730)에 걸쳐 있던 두번째 급사된 실(830)이 상기 기존 실(810)과 첫번째 급사된 실(820)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루프(910, 920)를 형성한다.
그리고 기존 실(810)의 끝단부(812) 형태는 첫번째 급사된 실(820)의 끝단부(822) 형태보다 큰 형상을 계속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 실(810)과 두번째 급사된 실(830) 사이에 형성된 제 1 루프(910)는 첫번째 급사된 실(820)과 두번째 급사된 실(830) 사이에 형성된 제 2 루프(920)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도 2의 캠(600)형태를 이용해서 편성된 옷감은 큰 루프인 제 1 루프(910)에 의해 소프트한 촉감이 형성되고 볼륨감이 높아지며, 작은 루프인 제 2 루프(920)에 의해 형태의 안정성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변형 러닝 포지션을 포함한 캠형태를 이용하여 큰 루프와 작은 루프가 동시에 형성되는 옷감을 제작할 수 있어 소프트한 촉감이 형성되고 볼륨감이 높으며 형태의 안정성이 향상된 옷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발생된다.
한편, 도 3은 일반적인 캠형태와 캠의 홈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바늘을 나타내는 제 2 비교예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에 의한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일반적인 캠형태의 제 2 비교예는 도 3과 같이 바늘(70)이 캠(61)에 형성된 홈(63)을 따라 이동되면서 제 1 러닝 포지션(11), 제 1 클리어링 포지션(21), 제 1 녹오버 포지션(31), 제 2 러닝 포지션(41), 제 2 클리어링 포지션(51) 그리고 제 2 녹오버 포지션(61)을 순차적으로 도과하여 루프(93, 94)를 형성한다.
즉, 바늘(70)이 상기 제 1 러닝 포지션(11)에 위치된 경우에는 기존 실(81)이 고리(73)에 걸려 있는 상태이고, 바늘(70)이 제 1 러닝 포지션(11)에서 제 1 클리어링 포지션(21)으로 이동되면 기존 실(81)은 랫치(74)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면서 몸통(78)에 위치되고 첫 번째 급사된 실(82)이 고리(73)에 걸치게 된다.
그리고 바늘(70)이 상기 제 1 클리어링 포지션(21)에서 제 1 녹오버 포지션(31)으로 이동되면 상기 첫 번째 급사된 실(82)이 기존실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제 1 루프(93)가 형성된다.
상기 바늘(70)이 상기 제 1 녹오버 포지션(31)에서 제 2 러닝 포지션(41)을 통하여 제 2 클리어링 포지션(51)으로 이동되면 제 1 루프(93)를 형성하는 첫 번째 급사된 실(82)이 랫치(74)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면서 몸통(78)에 걸리게 되고 두 번째 급사된 실(83)이 고리(73)에 걸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바늘(70)이 제 2 녹오버 포지션(61)으로 이동되면 두 번째 급사된 실(83)이 제 1 루프(93)를 형성하고 있는 첫 번째 급사된 실(82)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제 2 루프(94)를 형성한다.
상기 도 3과 같은 제 2 비교예에서는 제 1 루프(93)와 제 2 루프(94)가 순차적이고 개별적으로 형성되고, 고리(73)에는 제 2 루프(94)만 연결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루프와 제 2 루프가 동시에 형성되며 고리에 2개의 루프가 동시에 연결되는 특징이 있고,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4와 같이 캠(610)에는 러닝 포지션(110), 클리어링 포지션(210), 변형 러닝 포지션(370), 터크 포지션(410) 그리고 녹오버 포지션(510)의 형태를 따라 홈(620)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홈(620)을 따라서 이동되는 바늘(700)이 러닝 포지션(110)에 위치되면 기존 실(810)은 고리(730)에 걸쳐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바늘(700)이 러닝 포지션(110)에서 클리어링 포지션(210)으로 이동되면 기존 실(810)은 랫치(740)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면서 몸통(780)의 둘레에 걸리고 고리(730)에는 첫 번째 급사된 실(820)이 걸치게 된다.
바늘(700)이 상기 클리어링 포지션(210)에서 변형 러닝 포지션(370)으로 이동되면 기존 실(810)은 랫치(74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랫치(740)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형태가 되고 상기 첫 번째 급사된 실(820)은 고리(730)에 걸친 상태가 유지된다.
바늘(700)이 상기 변형 러닝 포지션(370)에서 터크 포지션(410)으로 이동되면 첫 번째 급사된 실(820)이 랫치(740)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면서 랫치(740)의 둘레에 걸쳐지고, 두 번째 급사된 실(830)이 고리(730)에 걸치게 된다.
이때, 기존 실(810)은 랫치(740)의 하방 몸통(780)에 걸쳐지고 첫 번째 급사된 실(820)은 하방으로 회전된 랫치(740)의 둘레에 걸쳐진 상태이므로 랫치(740)를 기준으로 기존 실(810)은 하방에 위치되고 첫 번째 급사된 실(820)은 상방에 위치된다.
바늘(700)이 상기 터크 포지션(410)에서 녹오버 포지션(510)으로 이동되면 바늘(700)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기존 실(810)에 의해 랫치(740)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첫 번째 급사된 실(820)과 두 번째 급사된 실(830)이 모두 고리(730)에 걸쳐진 상태로 기존 실(810)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제 1 루프(930)와 제 2 루프(940)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루프(930)와 제 2 루프(940)는 모두 고리(730)에 걸쳐져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기존에 형성될 수 없었던 형태의 루프를 형성하여 새로운 옷감의 형태를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러닝 포지션 200: 제 1 클리어링 포지션
360: 변형 러닝 포지션 400: 제 2 클리어링 포지션
500: 녹오버 포지션 600: 캠
620: 홈 700: 바늘
720: 머리 730: 고리
740: 랫치 760: 선단
810: 기존 실 820: 첫번째 급사된 실

Claims (10)

  1. 랫치가 형성된 바늘을 사용하는 편성장치에 있어서,
    바늘을 클리어링(Clearing) 포지션에 위치시켜서 랫치를 클리어링시키고 난 후 루프를 형성하는 녹오버 포지션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터크 포지션과 러닝 포지션 사이에서 상기 랫치의 외측에 실을 위치시켜 이 후 포지션으로 전이시켜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크 포지션과 러닝 포지션 사이에서 상기 랫치의 외측에 실을 위치시키도록 형성된 위치는 캠(600, 610)의 홈(620) 중 변형 러닝 포지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캠(600)에는 제 1 클리어링 포지션(200), 변형 러닝 포지션(360), 제 2 클리어링 포지션(400) 그리고 녹오버 포지션(500)의 형태를 따라 홈(62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홈(620)을 따라서 이동되는 바늘(700)이 상기 제 1 클리어링 포지션(200)에서 변형 러닝 포지션(360)으로 이동되면 기존 실(810)에 의해 랫치(740)의 선단(760)이 상방으로 회동되어 고리(730)에 접하고, 기존 실(810)은 랫치(740)의 선단(760)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끝단부(812)의 형상이 확장되고,
    상기 바늘(700)이 상기 변형 러닝 포지션(360)에서 제 2 클리어링 포지션(400)으로 이동되면서 첫번째 급사된 실(820)이 랫치(740)의 선단(760)을 하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랫치(740)의 하방에 위치된 몸통(780)에서 기존 실(810)과 인접하게 걸치게 되고,
    상기 기존 실(810)의 끝단부(812) 형태는 첫번째 급사된 실(820)의 끝단부(822) 형태보다 큰 형상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바늘(700)이 상기 제 2 클리어링 포지션(400)에서 녹오버 포지션(500)으로 이동되면 고리(730)에 걸쳐 있던 두번째 급사된 실(830)이 상기 기존 실(810)과 첫번째 급사된 실(820)의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루프(910, 920)를 형성하고,
    상기 기존 실(810)과 두번째 급사된 실(830) 사이에 형성된 제 1 루프(910)는 첫번째 급사된 실(820)과 두번째 급사된 실(830) 사이에 형성된 제 2 루프(920)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캠(610)에는 클리어링 포지션(210), 변형 러닝 포지션(370), 터크 포지션(410) 그리고 녹오버 포지션(510)의 형태를 따라 홈(62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홈(620)을 따라 이동되는 바늘(700)이 상기 클리어링 포지션(210)에서 변형 러닝 포지션(370)으로 이동되면 기존 실(810)은 랫치(740)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서 랫치(740)의 외측 둘레를 감싸는 형태가 되고 첫 번째 급사된 실(820)은 고리(730)에 걸친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바늘(700)이 상기 변형 러닝 포지션(370)에서 터크 포지션(410)으로 이동되면 상기 첫 번째 급사된 실(820)이 랫치(740)를 하방으로 회전시키면서 랫치(740)의 둘레에 걸쳐지고, 두 번째 급사된 실(830)이 고리(730)에 걸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바늘(700)이 상기 터크 포지션(410)에서 녹오버 포지션(510)으로 이동되면 바늘(700)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기존 실(810)에 의해 랫치(740)가 상방으로 이동되어 첫 번째 급사된 실(820)과 두 번째 급사된 실(830)이 모두 고리(730)에 걸쳐진 상태로 기존 실(810)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제 1 루프(930)와 제 2 루프(94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편성장치는 단면 환편기, 양면 환편기, 단면 횡편기 그리고 양면 횡편기 등의 랫치가 형성된 바늘을 사용하는 편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편직기는 편성 포지션 및 편성에 사용되는 캠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
KR1020100052214A 2010-06-03 2010-06-03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 KR100981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214A KR100981060B1 (ko) 2010-06-03 2010-06-03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2214A KR100981060B1 (ko) 2010-06-03 2010-06-03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1060B1 true KR100981060B1 (ko) 2010-09-08

Family

ID=43009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2214A KR100981060B1 (ko) 2010-06-03 2010-06-03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06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928B1 (ko) 2011-08-12 2011-10-18 신광식 단파일 편성이 가능한 환편기의 캠 구조
KR101686121B1 (ko) * 2016-02-24 2016-12-13 (주)하나테크 고강력사가 아닌 일반사를 활용한 고강력 환편원단
WO2017191881A1 (ko) * 2016-05-02 2017-11-09 전금희 싱글원단의 직조방법 및 이에 의해 직조된 싱글원단
WO2018117362A1 (ko) * 2016-12-21 2018-06-28 전금희 싱글원단의 편직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싱글원단
EP4261333A1 (de) * 2022-04-14 2023-10-18 KARL MAYER STOLL R&D GmbH Flachstrickmaschi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oppelflächigen plattiergestricks, insbesondere filigrangestrick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5385A (ja) * 1992-01-17 1993-08-03 Nagata Seiki Co Ltd 丸編機の度目調整装置に連動するタックカム等による編針作動カムの制御装置
KR100270794B1 (ko) 1993-01-21 2000-11-01 다나까 에이오 더블니트 직물 및 그 제조장치 및 방법
US20030154747A1 (en) 2002-02-18 2003-08-21 Ernst-Dieter Plath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plush fabric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5385A (ja) * 1992-01-17 1993-08-03 Nagata Seiki Co Ltd 丸編機の度目調整装置に連動するタックカム等による編針作動カムの制御装置
KR100270794B1 (ko) 1993-01-21 2000-11-01 다나까 에이오 더블니트 직물 및 그 제조장치 및 방법
US20030154747A1 (en) 2002-02-18 2003-08-21 Ernst-Dieter Plath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the production of plush fabric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4928B1 (ko) 2011-08-12 2011-10-18 신광식 단파일 편성이 가능한 환편기의 캠 구조
KR101686121B1 (ko) * 2016-02-24 2016-12-13 (주)하나테크 고강력사가 아닌 일반사를 활용한 고강력 환편원단
WO2017191881A1 (ko) * 2016-05-02 2017-11-09 전금희 싱글원단의 직조방법 및 이에 의해 직조된 싱글원단
CN109072508A (zh) * 2016-05-02 2018-12-21 全锦姬 单面面料的织造方法及由其织造的单面面料
WO2018117362A1 (ko) * 2016-12-21 2018-06-28 전금희 싱글원단의 편직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싱글원단
EP4261333A1 (de) * 2022-04-14 2023-10-18 KARL MAYER STOLL R&D GmbH Flachstrickmaschin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oppelflächigen plattiergestricks, insbesondere filigrangestrick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060B1 (ko) 변형 러닝 포지션을 이용한 편성장치
CN113818128B (zh) 一种横机纬编织物流苏组织及其编织方法
CN110760980B (zh) 一种双面结构纬编割绒针织物及其编织方法
US2201980A (en) Plait-knitted fabric
CN103993414B (zh) 编织纱线的防止脱线方法
TW201441442A (zh) 編織物之編織方法
KR101782000B1 (ko) 환편 원단의 제조방법
KR101577282B1 (ko) 횡편기에서의 편성시작방법
KR20190062218A (ko) 니트웨어의 편성방법
CN110791864B (zh) 一种挂圈编织卷边露底结构花型的方法
CN104746224A (zh) 针织物的编织方法
KR102088139B1 (ko) 이면에만 탄성사를 포함하는 양면 인터록 환편 원단.
US2858685A (en) Knitted fabric
CN110409043B (zh) 针织物的编织方法及针织物
EP2653596B1 (en) Knitting method of knitted fabric and knitted fabric
JP2018503000A5 (ko)
CN110616497B (zh) 一种双针床圆筒套收结构编织方法
CN203625590U (zh) 针织机添纱组织编织机构
JP6105009B2 (ja) 横編機によるパイル編成方法
KR102001049B1 (ko) 크리너용 양면 루우프파일 원단 및 편직기
US1719082A (en) Method of producing scallops in knitted fabrics
KR102344043B1 (ko) 고장력을 가지는 니트 원단, 니트 웨어 및 이의 편직 방법
CN110093709B (zh) 一种飞织针法
KR101471632B1 (ko) 니트웨어 편직방법
CN204370130U (zh) 复合分针组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