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006B1 - 단말기 룩앤필 커스터마이제이션의 콘텐츠에서의 변경을감지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기 룩앤필 커스터마이제이션의 콘텐츠에서의 변경을감지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006B1
KR100981006B1 KR1020080031023A KR20080031023A KR100981006B1 KR 100981006 B1 KR100981006 B1 KR 100981006B1 KR 1020080031023 A KR1020080031023 A KR 1020080031023A KR 20080031023 A KR20080031023 A KR 20080031023A KR 100981006 B1 KR100981006 B1 KR 100981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hange
lfc
lfc content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1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0999A (ko
Inventor
후이 쟈오
린이 티안
케펭 리
루이 왕
퀸 쟈오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90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0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5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according to context-related or environment-related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룩앤필 커스터마이제이션(Look and Feel Customization: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기에 의해 기록된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변경 정보에 따라 LFC 콘텐츠의 상기 변경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은 단말기가 LFC 콘텐츠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를 상기 단말기 상에 기록하도록 구성된 기록 유닛 및 상기 기록 유닛에 의해 기록된 상기 변경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기에 의해 기록된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변경 정보에 따라 LFC 콘텐츠의 상기 변경을 판단하도록 구성된 획득 유닛을 포함하는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 상에서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상기 서버의 요구를 모두 만족시킬 수 있다.
룩앤필, 커스터마이제이션

Description

단말기 룩앤필 커스터마이제이션의 콘텐츠에서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ENSING CHANGE IN CONTENT OF TERMINAL LOOK AND FEEL CUSTOMIZATION}
본 명세서는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ENSING CHANGE IN CONTENT OF TERMINAL LOOK AND FEEL CUSTOMIZATION"이라는 표제로 2007년 4월 6일자로 출원된 중국 특허 출원 번호 제200710100423.0호 및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ENSING CHANGE IN CONTENT OF TERMINAL LOOK AND FEEL CUSTOMIZATION"이라는 표제로 2008년 1월 22일자로 출원된 국제 특허 출원 번호 제PCT/CN2008/070155호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전문이 여기에 참고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단말기 관리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기 룩앤필 커스터마이제이션의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룩앤필 커스터마이제이션(look and feel customization:LFC)는 임의의 제3자로 하여금 단말기 룩앤필에 대해 원격으로 부가(add), 삭제(delete), 업데이트(update), 및 활성화/비활성화(activate/deactivate)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목적물(subject), 파워 온/오프 프롬프트(power on/off prompt), 임베디드 링크(embedded link), 메뉴, 스크린 세이브, 및 배경(background) 등을 포함하는 장치의 룩앤필을 관리하기 위한 기술이다. 상기 제 3자는 서비스 제공자, 네트웍 작업자, 휴대폰 제조자, 회사, 또는 장치 보유자일 수 있다.
개방형 단말기 장치(open mobile appliance:OMA) LFC 기술은 OMA 장치 관리(OMA device management:OMA DM)의 전달(transmission) 및 명령 관리 메카니즘(command management mechanism)을 재사용하여 단말기 룩앤필 커스터마이제이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기술은 LFC 작업들(operations) 및 LFC 관리 대상들(management objects) 두 부분을 포함하는 LFC 클라이언트(client)와 LFC 서버(server) 사이의 통신(communication)을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standard interface)를 정의한다. LFC 작업들은 Add, Get, Replace, Exec 등을 포함하는 작업 명령들의 세트(set)다. LFC 관리 대상들(objects)은 주로 두 부분을 포함하는 LFC 작업들을 통하여 관리된 대상들을 말한다. 한 부분은 LFC 엘리먼트들, 즉 목적물, 배경, 스크린 세이브, 단말기 상에서 일반적으로 일정한 링 톤(ring tone)을 포함하는, 단말기 상에서 관리될 수 있는 룩앤필 정보의 타입들을 포함하며, 다른 부분은 LFC 엘리먼트들의 유효 값들(available value)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 상에서 이용가능한 목적물은 윈도우 모바일 목적물(Windows Mobile subject), 레노버 목적물(Lenovo subject)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값들은 다이나믹하게(dynamically) 변경될 수 있다. LFC 대상물들의 모든 정보는 단말기를 위한 DM 트리(tree)에 첨부될 수 있는 노드(node)를 형성한다. 도 1은 단말기 사용자 인터 페이스가 LFC 기술을 이용하여 관리되는 시스템의 구조 다이어그램(structural diagram)이다. 상기 시스템은 단말기(11) 및 서버(12)를 포함한다.
단말기(11)는 DM 에이전트(agent)(111), LFC 클라이언트(112), 및 DM 트리(113)를 포함한다. 서버(12)는 LFC 서버(121), 및 DM 서버(122)를 포함한다. 서버는 DM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단말기(11)의 DM 트리(113)에 연결되며, DM 에이전트(111) 및 LFC 클라이언트(112)는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DM 트리(113)에 각각 연결된다. 관리 과정(process)은 다음과 같다.
LFC 서버(121)는 표준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DM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LFC 엘리먼트들을 운반하는 작업 명령 및 LFC 엘리먼트들의 유효 값들을 LFC 클라이언트(112)로 전송한다. LFC 클라이언트들(112)은 작업 명령을 분석하고, 적절하게 작업 명령을 처리하고, 그리고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처리 결과를 LFC 서버(121)로 피드백(feed back) 한다. 다시 말해서, 단말기(11)의 룩앤필을 커스터마이징하기 위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 LFC 서버(121)는 표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단말기(11)의 룩앤필을 관리하는 책임을 지고, 단말기(11) 상의 DM 에이전트(111)는 표준 DM 작업 명령들을 분석하는 책임을 지며, 그리고 LFC 클라이언트(112)는 보다 더 특정적인 LFC 관리 대상들을 분석하고 처리하는 책임을 진다.
현재, 종래 기술에서는, 단말기 룩앤필은 스크린 세이브, 작업자 로고(operator logo), 웰 페이퍼(wallpaper)(배경)와 같은 각각의 룩앤필 엘리먼트를 위하여 상기 관리가 실행되는 DM의 방법을 이용하여 관리된다. 스크린 세이브를 수용하는 것은, 예를 들어, 이러한 구성(scheme)에서는, 단말기 상의 모든 스크린 세 이브 레코드들은 다음의 디렉터리(directory):
\Customization\ScreenSavers\AvailableScreenSavers 아래에 저장되고, 현재 사용되는 스크린 세이브는 다음의 디렉터리: \Customization\ScreenSaver\ActiveSc 아래에 저장된다. 작업자/서비스 제공자(operator/SP)는 광고(advertisement) 웰페이퍼와 같은 LFC 콘텐츠를 구비한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만일, 광고 웰 페이퍼를 이용한다면, 사용자는 그것에 대한 비용을 작업자에게 지불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다면, 사용자는 그것에 대한 비용을 작업자에게 지불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과정이 구현되는 동안, 발명자는 종래 기술에서 적어도 다음과 같은 문제를 발견한다. 위의 LFC 콘텐츠가 사용자나 서버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나, 그러나 서버는 실시간으로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할 수 없으며, 대신에, 서버는 작업 명령(예를 들어, Get)을 이용하여 질의(query)하여 LFC 콘텐츠가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버가 특징 LFC 콘텐츠의 임의의 변경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기 룩앤필 커스터마이제이션(LFC)의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기록된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에 따라 LFC 콘텐츠의 상기 변경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더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는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를 기록하도록 구성된 기록 유닛 및 상기 기록 유닛에 의해 기록된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기록된 상기 변경 정보를 획득하고, 그런 다음, 상기 변경 정보에 따라 LFC 콘텐츠의 상기 변경을 판단하도록 구성된 획득 유닛(acquiring unit)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하고 기록하도록 구성된 기록 유닛 및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하여 기록된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을 포함하는 단말기를 더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기록된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얻어진 변경 정보에 따라 LFC 콘텐츠의 상기 변경을 판단하도록 구성된 획득 유닛을 포함하는 서버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기록된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정보가 획득되고, 그리고 LFC 콘텐츠의 상기 변경이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정보에 따라 판단되어,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기의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여, 그 결과 상기 변경에 따른 적절한 과정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은 상기의 구성으로부터 보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의 용어, 단어, 청구항들의 의미는 그들의 문자 그대로의 의미 또는 고유의 의미로서 단지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유의하여야만 한다. 대신에, 그 의미들은 본 발명의 기술과 일관된 함축적 의미 및 개념들을 더 포함할 것이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에서 서술되고 도면들에서 보여준 구성은 본 발명의 모든 기술적 특징들을 기재하는 것 대신에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위한 바람직한 구현 구성이다. 여기에서 설명된 구성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상당물 또는 다양하게 변경된 구성들이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들 및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의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며,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21: 단말기는 LFC 콘텐츠의 변경을 모니터하도록 설정된다.
단계 S22: 상기 단말기는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를 기록한다.
단계 S23: 서버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기록된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방법은 단말기가 서버에 의해 설정되고, 서버가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는 경우에 있어서 설명될 것이지만, 그러나 상기 장치는 서버에 제한되지 않고, 동등한 기능을 가지는 어떤 다른 장치일 수 있다.
단계 S21에서, 단말기가 룩앤필 커스터마이제이션(look and feel customization:LFC) 콘텐츠의 변경을 모니터하도록 설정되는 과정은 도 3에서 보여지고, 그리고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a1. 상기 서버는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한다.
단계 b1. 상기 단말기는 상기 구성 명령을 구현하고, LFC 콘텐츠의 상기 변경을 모니터한다.
단계 c1. 상기 단말기는 상기 구성 명령의 상기 구현 결과를 상기 서버로 피드백한다.
단계 a1에서,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은 모니터될 이벤트(event) 및 실행될 작업,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을 포함한다. 모니터될 이벤트는 서버가 단말기에게 모니터하도록 명령하는, 즉,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모니터하도록 명령하는 이벤트와 관련된 LFC 콘텐츠를 말한다. 특정 LFC 콘텐츠는 특정 LFC 패키지 및 특정 LFC 엘리먼트들의 구성들을 포함하며, 상기 변경은 임의의 표준 LFC 관리 작업, 예를 들어, 특정 LFC 콘텐츠가 서버 또는 사용자의 관리 아래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되거나, 삭제되거나, 편집되거나, 또는 대체되는 것을 말한다.
실행될 작업은 모니터된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에 서버가 단말기에게 실행하도록 명령하는 작업을 말한다. 실행될 작업은 기록 작업(record operation) 및 보고 작업(repost operation)을 포함한다. 기록 작업은 어떤 정보가 단말기에 의해 기록되어져야만 하는지 기록할지 그리고 지시할지를 서버가 단말기에게 명령하는 작업을 말한다. 기록될 정보는 특정 LFC 콘텐츠 ID 및 발생한 변경을 포함한다. 보고 작업은 발생한 모니터된 이벤트를 서버로 보고할지 그리고 보고될 부가 정보를 서버로 보고할지를 서버가 단말기에게 명령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더하여, 단계 a1에서, 서버는 다음의 방법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한다.
한가지 방법은 서버가 LFC 콘텐츠를 통하여 단말기로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전송하는 것이다. 전송된 LFC 콘텐츠는 모니터될 이벤트 및 실행될 작업을 포함한다. 모니터될 이벤트는 Activate, Deactivate, Delete, Edit, Replace, 등등과 같은 표준 LFC 관리 작업 이벤트를 포함한다. 실행된 작업은 기록 작업 및 보고 작업을 포함한다. 기록 작업에 있어서,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정보와 같이 기록될 정보는 기록되고, 보고 작업에 있어서, 기록된 정보는, 예를 들 어, 서버로 보고된다. LFC 콘텐츠가 서버로부터 전송된 통상의 LFC 콘텐츠를 제외한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 내의 정보를 즉시 더 포함한다는 것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다른 방법은 서버가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으로, 즉,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은 또한 따로따로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모니터링을 위한 구성은 모니터될 이벤트 및 실행될 작업을 포함한다. 모니터될 이벤트는 모니터될 대상 및 표준 LFC 관리 작업 이벤트의 발생을 포함한다. 모니터될 대상은 서버에 의해 명령됨으로써 모니터될 LFC 콘텐츠를 확인한다. 표준 LFC 관리 작업 이벤트는 Activate, Deactivate, Delete, Edit, Replace등과 같은 작업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을 포함한다. 실행될 작업은 첫 번째 방법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며, 따라서 더 이상의 설명은 여기서 하지 않는다.
서버가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은 서버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OMA DM 관리 세션(세션 셋업(set up) 용 구현 과정을 위한 OMA DM 표준으로 언급된다)을 셋업하고, 그리고 해당 관리 대상을 업데이트 하거나 또는 관리 세션을 셋업한 후, 해당 관리 대상을 부가하기 위하여 OMA DM 세션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이거나, 또는 서버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방형 단말기 장치 다운로드(Open Mobile Appliance DownLoad:OMA DL) 세션(세션 셋업(set up) 용 구현 과정을 위한 OMA DL 표준으로 언급된다)을 셋업하고, OML DL 세션 내의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이다.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이 단말기 상에서 OMA DM 트리 형태로 배열될 때, 서버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OMA DM 관리 세션을 셋업하여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관리는 Read, Edit, Add, 및 Delete와 같은 작업들을 포함한다.
단계 b1에서, 단말기는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구성 명령을 구현하고, LFC 콘텐츠의 변경을 모니터한다. 구성 명령의 구현은 사용자가 월페이퍼(wallpaper)를 설정하는 곳과 같은 LFC 콘텐츠가 변경될 수 있는 곳에서의 부가 처리 코드들(adding processing codes)(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을 말한다. 구현이 끝난 후, 단말기는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의 구현 결과(성공 및 실패에 관한 정보를 포함)를 보고할 수 있다, 즉, 단계 c1에서 설명된 과정을 수행한다.
단계 S22에서,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에서 지시된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될 때, 단말기는 LFC 콘텐츠의 변경을 기록한다.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은 표준 LFC 관리 작업 이벤트의 발생을 말한다. LFC 콘텐츠의 변경의 기록은 LFC 콘텐츠 ID 및 변경 정보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특정 LFC 콘텐츠가 변경되었다는 것이 감지될 때, 단말기는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에서의 기록 지시(indication)에 따라 기록할 것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기록 지시가 기록하도록 명령한다면, 단말기는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기록하며, 그렇지 않다면, 단말기는 상기 변경을 기록하지 않고, 상기 처리 과정(procedure)을 종료한다. 단말기가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기록하는 작업은 단말기가 OMA DM 트리에 기록되도록 요구되는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말하며, 특정 LFC 콘텐츠 ID 및/또는 변경을 포함한다.
단계 S23에서, 서버는 다음의 방법들 또는 임의의 다른 방법 중 어떤 방법으로 단말기로부터 LFC 콘텐츠의 변경을 판단한다. 한 가지 방법은 단말기가 LFC 콘텐츠의 변경을 능동적으로(actively) 보고하는 것, 즉, 단계 a2를 수행하는 것이며, 이 방법에서, 단말기는 LFC 콘텐츠의 변경을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보고할 수 있다. 다른 방법은 서버가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질의하기 위한 명령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 즉, 단계 b2를 수행하는 것이며, 이 방법에서, 단말기는 기록된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조사하고, 조사 결과를 서버로 피드백(feed back)한다, 즉, 단계 c2를 수행한다. 구현 과정은 도 4에서 보여진다.
단계 a2에서, 단말기는 LFC 콘텐츠의 변경을 능동적으로 보고한다. 상기 변경은 단말기에 의해 기록될 수 있거나 모니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에서 지시된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될 때, 즉, 특정 LFC 콘텐츠가 변경될 때, 단말기는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 내의 보고 지시에 따라 서버로 보고할지를 판단한다. 만일 보고 지시가 보고하지 않도록 명령하면, 단말기는 처리 절차를 종료하고, 그리고 만일 보고 지시가 보고하도록 명령한다면, 단말기는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서버로 보고한다.
단말기가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보고하는 작업은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에서 지시된 서버를 이용하여 단말기가 OMA DM 관리 세션을 셋 업하고, 그런 다음, OMA DM Alert 명령을 전송하여 데이터를 보고하는 것을 말한다. OMA DM Alert 명령의 타입은 미리 정의되어 보고된 데이터의 상기 타입의 서버로 통지한다. 보고된 데이터의 타입은 다음과 같이:
org.open mobile alliance.dm.lfc-modification-report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보고된 데이터는 특정 LFC 콘텐츠 ID 및/또는 발생된 변경을 포함한다.
단계 b2에서, 서버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OMA DM 관리 세션을 셋업하고, 그런 다음,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독출하거나(reading) 질의하기 위한 OMA DM 명령을 단말기로 전송한다. 단말기는 OMA DM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조사하고, 그런 다음, OMA DM 명령을 통하여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정보의 조사 결과를 서버로 피드백하여, 즉, 단계 c2를 수행하여, 서버가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는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을 더 포함하며, 그 구조 다이어그램은 도 5에서 보여진다. 시스템은 단말기 내의 기록 유닛(55), 서버 내의 획득 유닛(56), 및/또는 서버 내의 구성 명령 모니터링 유닛(configuration command monitoring unit)(51)을 포함한다. 시스템은 수신 유닛(52), 구현 유닛(implementation unit)(53), 및 단말기 내의 구현 응답 유닛(implementation responding unit)(54)을 더 포함한다. 구성 명령 모니터링 유닛(51)은 단말기 상에서 LFC 콘텐츠의 변경을 모니터하도록 단말기를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시스템은 LFC 콘텐츠의 변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서브유닛(sending subunit)(511) 및 단말기 상에서 구성 명령의 구현 결과를 모니터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서브유닛(5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유닛(52)은 전송 서브유닛(511)으로부터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구현 유닛(53)은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며, 구현 응답 유닛(54)은 구현 유닛(53)의 구현 결과를 피드백하도록 구성된다. 기록 유닛(55)은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기록하도록 구성되고, 획득 유닛(56)은 특정 LFC 콘텐츠의 기록된 변경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획득 유닛(56)은 질의 서브유닛(querying subunit)(561) 및/또는 수신 서브유닛(562)을 포함한다. 시스템은 또한 단말기 내에 전송 유닛(563)을 포함한다. 질의 서브유닛(561)은 단말기에 의해 기록된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 정보를 질의하도록 구성되고, 수신 서브유닛(562)은 단말기로부터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전송 유닛(563)은 단말기에 의해 기록된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구현 처리 과정은, 먼저, 구성 명령 모니터링 유닛(51)이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단말기 내의 수신 유닛(52)으로 전송하고, 수신 유닛(52)은 구성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에 응답하여 구성 명령을 구현하도록 구현 유닛(53)으로 통지하며, 구현 응답 유닛(54)은 단말기 상에서 구성 명령의 구현에 응답하여 구현의 결과를 피드백한다. 특정 LFC 콘텐츠가 변경되면, 기록 유닛(55)은 구성 명령의 지시에 따라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기록할 것인지 판단한다. 만일 지시가 변경을 기록하도록 명령한다면, 기록 유닛(55)은 변경을 기록하고, 그렇지 않다면, 기록 유닛(55)은 변경을 기록하지 않는다. 단말기 내에 집적된 전송 유닛(563)은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주기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보고하거나, 또는 서버 내에 집적된 질의 서브유닛(561)은 단말기를 이용하여 OMA DM 관리 세션을 셋업하고, 그리고 단말기로 하여금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 정보를 독출하도록 한다.
시스템 내의 상기 장치들의 기능 및 효과는 제1 실시예의 구현 과정에서 설명되었으며, 따라서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방법의 플로우 다이어그램은 도 6에서 보여지며,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61: 상기 단말기는 특정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수신한다.
단계 S62: 상기 단말기는 구성 명령에 따라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하고 기록한다.
단계 S63: 상기 단말기는 특정 LFC 콘텐츠의 상기 변경을 보고한다.
본 실시예의 단계 S61에서, 서버로부터 단말기에 의해 수신된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은 모니터될 이벤트 및 실행될 작업을 포함한다. 상기 이벤트 및 상기 작업은 위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단말기는 다음의 방법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통하여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수신한다. OMA DM 관리 세션이 서버 및 단말기 사이에서 셋업된 후,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특정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수신하고, OMA DL 세션이 단말기 및 서버 사이에서 셋업되고, 그리고 단말기는 서버로부터 DL 세션 내의 특정 LFC 콘텐츠의 모니터링을 위한 구성 명령을 수신한다. 더욱이,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이 단말기 상에서 OMA DM 트리의 형태로 배열되면, 서버는 OMA DM 관리 세션(세션 셋업용 OMA DM표준으로 언급된다)을 셋업하여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관리한다. 상기 관리는 Read, Edit, Add, 및 Delete와 같은 작업들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단말기는 구성 명령의 수신에 응답하여 구성 명령을 구현하고, 서버로 구현 결과를 피드백한다.
단계 S62에서, 구성 명령을 구현한 후, 단말기가 구성 명령에 따라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기록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모니터된 이벤트의 발생이 감지되면, 단말기는 구성 명령 내의 기록 지시에 따라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기록할지를 판단한다. 만일, 기록 지시가 특정 LFC 콘텐츠 ID 및/또는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기록하도록 명령하면, 단말기는 변경을 기록하고, 만일 그렇지 않다면, 단말기는 변경을 기록하지 않는다. 다음에, 단말기는 구성 명령 내의 기록 지시에 따라 서버로 보고할지를 판단한다. 만일, 보고 지시가 보고하도록 명령하고, 그리고 OMA DM 연결(connection)이 단말기와 서버 사이에 설치되었다면, 단말기는 OMA DM Alert 명령을 통하여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보고하고, 만일 그렇지 않다면, 단말기는 변경을 보고하지 않는다, 즉, 단계 S63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기를 더 포함한다. 단말기의 구조 다이어그램은 도 7에서 보여진다. 단말기는 수신 유닛(71), 구현 유닛(72), 구현 응답 유닛(73), 기록 유닛(74), 및 전송 유닛(75)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71)은 특정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구현 유닛(72)은 수신된 구성 명령들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며, 구현 응답 유닛(73)은 구현 유닛(72)의 구현 결과를 피드백하도록 구성되고, 기록 유닛(74)은 구성 명령에 따라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모니터하고 기록하도록 구성되고, 전송 유닛(75)은 특정 LFC 콘텐츠의 기록된 변경을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단말기 내의 다양한 유닛들의 기능들 및 효과들은 상기 실시예의 구현 과정에서 설명되었으며, 따라서 여기서 더 이상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또한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의 구조 다이어그램은 도 8에서 보이며, 상기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S81: 특정 LFC 콘텐츠의 임의의 변경을 모니터하도록 상기 단말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서버는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전송한다.
단계 S82: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모니터된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판단한다.
본 실시예의 단계 S81에서, 서버는 다음의 방법을 통하여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전송한다. 서버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OMA DM 관리 세션(세션 셋업용 OMA DM 표준으로 언급된다)을 셋업하고, 그런 다음, 현재 존재하는 해당 MO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OMA DM 명령을 전송하거나, 또는 새로운 MO를 부가하기 위한 OMA DM 명령을 전송하고, 그리고/또는 OMA DL 세션(세션 셋업용 OMA DL 표준을 참조)은 서버와 단말기 사이에서 셋업되며, 서버는 DL 세션의 LFC 변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단말기로 전송한다.
단계 S82에서, 서버는 LFC 콘텐츠 관리 대상을 위한 작업의 수단에 의해 단말기를 질의하고, 질의 결과에 따라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판단한다. 다시 말해서, 서버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OMA DM 관리 세션(세션 셋업용 OMA DM 표준으로 언급된다)을 셋업하고, 그런 다음,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독출하기 위한 OMA DM 명령을 단말기로 전송하여, 단말기에 의해 모니터된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버를 더 제공한다. 서버의 구조 다이어그램은 도 9에서 보여진다. 서버는 구성 명령 모니터링 유닛(91) 및 획득 유닛(92)을 포함한다. 구성 명령 모니터링 유닛(91)은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모니터하도록 단말기를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획득 유닛(92)은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구성 명령 모니터링 유닛(91)은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단말기를 설정하는 전송 서브유닛(911), 및 단말기 상에서 구성 명령의 구현 결과를 모니터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서브유닛(912)을 포함한다. 획득 유닛(92)은 단말기에 의해 기록된 특정 LFC 콘텐츠의 변 경 정보를 질의하도록 구성된 질의 서브유닛(921) 및 단말기에 의해 기록된 특정 LFC 콘텐츠의 정보 변경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서브유닛(922)을 포함한다.
서버 내의 다양한 유닛들의 기능들 및 효과들은 상기 실시예의 구현 처리 과정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여기서는 더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이해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들에 따라 설명될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 이것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 의한 LFC 패키지(package)를 통하여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본 실시예에서, 서버는 OMA DM 프로토콜(protocol)을 이용하여 LFC 엘리먼트들을 전송하고 구성할 수 있으며, 전송 및 구성 과정은 다음과 같다. 서버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DM 세션을 셋업하고, 그런 다음, OMA DM 명령을 전송하여 새로운 LFC 콘텐츠를 부가하고, 이어서, 서버는 해당 LFC 콘텐츠 관리 대상에 관한 작업의 수단에 의해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을 구현한다. LFC 콘텐츠 관리 대상을 위한 작업은 Replace 및 Exec를 포함한다. LFC 콘텐츠 관리 대상에서 임의의 노드들의 구조의 개략적 다이어그램은 LFC 콘텐츠를 위하여 모니터될 이벤트들 및 LFC 콘텐츠를 위하여 실행될 작업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을 포함하고 굵은 글자(bold letters)로 설명된 부분들이 본 발명에서 설정될 콘텐츠인 도 11에서 보여진다. 전송될 LFC 콘텐츠는 LFC 콘텐츠 ID, 특정 LFC 콘텐츠, 모니터될 이벤트들, 및 실행될 작업들을 포함한다. 모니터될 이벤트 및 실행될 동작은 본 발명에서 설정되는데 필요한 작업이다. 모니터될 이벤트들은 Activate, Deactivate, Delete, Edit, 및 Replace와 같은 표준 LFC 관리 작업 이벤트들을 포함한다. 실행될 작업들은 기록 작업 및 보고 작업을 포함한다. 기록 작업에서, 기록될 정보, 즉, 변경 ID, 변경되었던 LFC 콘텐츠 ID, 및 변경 이벤트는 기록된다. 보고 작업에서, 기록된 정보는, 예를 들어, 서버로 보고된다.
본 실시예에서,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은 또한 OMA DL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구현될 수 있다. 구현 방법은 서버들이 서버 어드레스(server address), 엘리먼트 속성(element attributes), 인스톨 명령어(installation instruction), 및 설치 후 노티피케이션 어드레스(Notification address)가 지시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 파일(Download Descriptor file)을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DL 클라이언트는 LFC 엘리먼트들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에서 지시된 서버로 요청(request)을 전송하고, 다운로드 후, 인스톨을 실행한다. 인스톨 후, DL 클라이언트는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에서 지시된 노티피케이션 어드레스(Notification address)로 인스톨 결과를 보고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 의한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본 실시예에서, 서버는 OMA DM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전송 및 구성 과정은 서버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DM 세션을 셋업하고, OMA DM 명령을 전송하여 새로운 DiagMon/Trap 관리 대상을 부가하는 것이다. 다음에, 서버는 해당 DiagMon/Trap 관리 대상에 대한 작업의 수단에 의한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을 구현한다. DiagMon/Trap 관리 대상에 대한 작업들은 Replace 및 Exec를 포함한다. DiagMon/Trap 관리 대상에서 임의의 노드들의 구조는 DiagMon/Trap 관리 대상에 대한 작업들이 DiagMon/Trap 관리 대상 ID, 모니터될 이벤트들, 및 실행될 작업들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1과 다른 도 13에서 보여진다. 모니터될 이벤트들 및 실행될 작업들은 도 11에서 보여진 것들과 동일하며, 따라서 여기서는 더 이상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13에서, 굵은 글자로 설명된 부분들은 LFC 콘텐츠를 위하여 모니터될 이벤트들 및 LFC 콘텐츠를 위하여 실행될 작업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서 설정되도록 요청된 콘텐츠이다.
본 실시예에서,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은 또한 OMA DL 프로토콜에 근거하여 구현될 수 있다. 구현 방법은 서버들이 서버 어드레스, 엘리먼트 속성들(element attributes), 인스톨 명령어(installation instruction), 및 설치 후 노티피케이션 어드레스가 지시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 파일을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런 다음, DL 클라이언트는 LFC 엘리먼트들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에서 지시된 서버로 요청을 전송하고, 다운로드 후, 인스톨을 실행한다. 인스톨 후, DL 클라이언트는 다운로드 디스크립터에서 지시된 노티피케이션 어드레스로 인스톨 결과를 보고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 의한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 정보를 기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이다.
서버에 의해 제공된 정의(definition)를 만족한 기록 상태가 감지되었을 때, 단말기는 도 14에서 보여준 것과 같이 DM 트리 상에서 DM 대상의 형태로 LFC 콘텐츠의 변경 정보를 기록한다. 도 14에서, 변경 ID 노드의 값은 Boolean 값, 예를 들어, 서버에 의해 특정된 LFC 콘텐츠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는 것을 나타내는 "True"나, 반대로 서버에 의해 특정된 LFC 콘텐츠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False"일 수 있다. 문자 스트링(character string)에 의해 표현된 등록된 이벤트(registered event)의 이름(name) 또는 ID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fc-modification-event"는 LFC 콘텐츠 변경 이벤트의 발생을 나타낸다.
LFC 콘텐츠 ID가 변경된 노드의 값은 문자 스트링에 의해 표현된 URI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LFC/Wallpaper/ad.jpg"는 DM 트리 내의 URI=./LFC/Wallpaper/ad.jpg 의 위치의 LFC 콘텐츠에서 변경이 발생하는 것을 나타낸다.
변경 이벤트 노드의 값은 문자 스트링에 의해 표현된 변경 이벤트 이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Deactivate"는 특정 LFC 콘텐츠가 비활성화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 의한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서버로 보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본 실시예에서, 서버는 다음의 과정을 통하여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한다. 먼저, 테스팅 Alert 보고 타입(testing Alert report type)은 보고된 정보 타입의 서버를 통보하도록 정의된다. 예를 들어, 보고된 정보의 타입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org.openmobilealliance.dm.lfc-modification-report;
DM 세션 연결이 서버와 단말기 사이에서 셋업된 후, 단말기는 OMA DM Alert 명령을 이용하여 LFC 콘텐츠의 변경 정보를 서버로 보고한다. 단말기에 의해 이용되어 LFC 콘텐츠의 변경 정보를 서버로 보고하는 DM 메세지(message)의 예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그 방법에 있어서, 서버는 단말기 상에서 LFC 콘텐츠의 변경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Alert>
<CmdID>1</CmdID>
<Data>1226</Data>
<Item>
<Meta>
<Type xmlns="syncml:metinf">
org.openmobilealliance.dm.lfc-modification-report
</Type>
<Format xmlns="syncml:metinf">b64</Format>
</Meta>
<Data><!-Content of the management object of change of LFC content--></Data>
</Item>
</Alert>
도 16을 참조하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가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서버로 보고한 후, 서버에 의한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질의하고 획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서버는 다음의 공정을 통하여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한다. 먼저, Alert 보고 타입은 보고된 정보 타입의 서버를 통보하도록 정의된다. 보고된 정보의 타입은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org.openmobilealliance.dm.lfc-modification-report;
DM 세션 연결이 서버와 단말기 사이에서 셋업된 후, 단말기는 OMA DM Alert 명령을 이용하여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서버로 보고한다. 단말기에 의해 이용되어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서버로 보고하는 DM 메세지의 예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Alert>
<Cmd ID>1</Cmd ID>
<Data>1226</Data>
<Item>
<Meta>
<Type xmlns="syncml:metinf">
org.openmobilealliance.dm.lfc-modification-report
</Type>
<Format xmlns="syncml:metinf">b64</Format>
</Meta>
<Data><!-LFC change ID information--></Data>
</Item>
</Alert>
단말기로부터 보고된 정보를 수신한 후, 서버는 LFC 콘텐츠 변경 이벤트가 단말기 상에서 발생되었다는 것을 판단한다. 그런 다음, 서버는 OMA DM 명령을 전송하여 LFC 콘텐츠 정보의 변경의 관리 대상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질의한다. 단말기는 OMA DM 명령을 통하여 LFC 콘텐츠 정보의 변경의 관리 대상 콘텐츠를 서버로 리턴(return)한다. 서버는 단말기 상에서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 의한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질문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여지는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서버는 다음의 과정을 통하여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한다. DM 세션 연결이 서버와 단말기 사이에서 셋업된 후, 서버는 OMA DM 명령을 전송하여 LFC 콘텐츠 정보의 변경의 관리 대상을 질의한다. 그런 다음, 단말기는 OMA DM 명령을 통하여 LFC 콘텐츠 정보의 변경의 관리 대상 콘텐츠를 서버로 리턴(return)하고, 이어서 서버는 단말기 상에서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 의한 특정 LFC 패키지를 활성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여주는 것과 같이, LFC 패키지가 활성화되기 전, 활성 상태의 원래의 LFC 패키지는 비활성화되도록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서, 웰페이퍼, 링 톤, 및 스크린 세이브를 포함하는 단말기 상의 모든 LFC 엘리먼트들을 설정하는 것, 예를 들어, 서버에 의한 특정 LFC 패키지를 활성화하기 위한 구현 처리 과정은 다음의 단계들을 포함한다.
a) 단말기에 의해 최초로 활성화된 LFC 패키지는 맞춤화된 웰페이퍼 및 링 톤을 포함한다.
b) 서버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DM 세션을 셋업하고, 그런 다음, OMA DM 명령을 전송하여 단지 스크린 세이브만 포함하는 다른 LFC 패키지를 활성화한다.
c) 단말기는 최초로 활성화된 LFC 패키지를 비활성화하고, 웰페이퍼 및 링 톤을 복원(recover)하여 결점을 팩토리(factory)한다.
d) 단말기는 서버에 의해 특정된 LFC 패키지를 활성화하고, LFC 패키지 내에서 스크린 세이브를 활성화한다.
d) 단말기는 서버로 활성화 결과를 보고한다.
상기 개시된 기술적 개요로부터,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될 이벤트들 및 실행될 작업들을 포함하는 구성 명령을 수신한 경우, 단말기는 구성 명령 내의 기록 지시에 따라 단말기에 의해 모니터된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기록할지를 판단하고, 구성 명령 내의 보고 지시에 따라 특정 LFC 콘텐츠의 기록된 변경을 보고하며, 그리고/또는 서버는 단말기에 의해 기록된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질의하여 서버가 특정 LFC 콘텐츠의 임의의 변경을 감지할 수 있게 하며, 그 결과 변경에 따른 적절한 처리 과정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에 따라 부가 수단(charging policy)을 수립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얼마간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정신 및 기술적 사상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및 변형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단말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종래의 LFC 기술을 이용하여 관리되는 시스템의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의 플로우(flow)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도 2에서 보여진 것과 같이 단말기가 LFC 콘텐츠의 변경을 모니터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보여주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도 2에서 보여진 것과 같이 서버에 의한 LFC 콘텐츠의 변경을 판단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된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의 다른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기의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의 다른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서버의 구조 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 의한 LFC 패키지(package)를 통하여 룩앤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configuration command)을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보여준 룩앤필 콘텐츠의 LFC 관리 대상들에서 임의의 노드들의 구조(design)를 보여주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 의한 룩앤필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전송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보여준 DiagMon/Trap 관리 대상들에서 임의의 노드들의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 의해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 정보를 기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 다이어그램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단말기에 의한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서버로 보고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판단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 의한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질의하고 판단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 의한 특정 LFC 패키지를 활성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플로우 다이어그램이다.

Claims (26)

  1. 단말기에 의해 기록된 룩앤필 커스터마이제이션 (Look and Feel Customization: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서버가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변경 정보에 따라 LFC 콘텐츠의 변경을 상기 서버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에 의해 기록된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를 획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능동적으로 보고된 LFC 콘텐츠의 변경의 통지(notification)를 수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기로 질의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질의 요청에 따라 리턴된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기록된 LFC 콘텐츠의 상기 변경 정보를 획득하기 전에, 상기 단말기로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전송하여 상기 단말기가 LFC 콘텐츠의 변경을 모니터하도록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LFC 콘텐츠의 변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상기 구성 명령은 이벤트 모니터링 명령 및 작업 실행 명령을 포함하되,
    상기 이벤트 모니터링 명령은 상기 단말기에게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을 모니터하도록 명령하는 서버에 의해 사용된 명령을 말하며, 상기 특정 LFC 콘텐츠는 특정 LFC 패키지 및 특정 LFC 엘리먼트들의 구성들을 포함하고, 상기 변경은 표준 LFC 관리 작업 이벤트의 발생을 말하며; 그리고
    작업 실행 명령은 기록 작업 명령 및 보고 작업 명령을 포함하는 명령으로,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서버가 상기 단말기에게 동작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을 말하며, 상기 기록 작업 명령은 상기 단말기가 특정 LFC 콘텐츠 및 기록될 정보의 변경을 기록할지를 지시하고, 상기 보고 작업 명령은 상기 단말기가 특정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를 상기 서버로 보고할지 그리고 보고될 서버의 어드레스 정보를 보고할지를 지시하는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상기 구성 명령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상기 구성 명령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LFC 콘텐츠를 통하여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상기 구성 명령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상기 구성 명령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단말기를 이용하여 OMA DM(Open Mobile Appliance Device Management) 세션을 셋업하고, 그런 다음, 해당 관리 대상을 업데이트하기 위한 OMA DM 세션 명령을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OMA DM 세션이 셋업된 후, 새로운 해당 관리 대상을 부가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OMA DL(Open Mobile Appliance DownLoad) 세션을 셋업하고, 그리고 서버에 의해 상기 OMA DL 세션 내에서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상기 구성 명령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LFC 콘텐츠를 통하여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상기 구성 명령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OMA DM 세션을 셋업하고, 그런 다음, 상기 OMA DM 세션이 셋업된 후, 상기 LFC 콘텐츠를 운반하는 OMA DM 세션 명령 및 상기 구성 명령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OMA DL 세션을 셋업하고, 그리고 서버에 의해 상기 OMA DL 세션 내에서 상기 LFC 콘텐츠 및 상기 구성 명령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상기 구성 명령이 상기 단말기 상에서 DM 트리의 형태로 배열될 때,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OMA DM 세션을 셋업하여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상기 구성 명령을 관리하는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기록된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는 LFC 콘텐츠 ID 및/또는 변경 정보를 포함하는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OMA DM 트리에 저장되는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 질의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질의 요청에 따라 리턴된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단말기를 이용하여 OMA DM 세션을 셋업하고, 그런 다음, 상기 OMA DM 세션이 셋업된 후,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를 독출(reading)하기 위한 OMA DM 세션 명령을 전송하는 단계; 및
    OMA DM 명령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피드백된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FC 콘텐츠의 변경을 감지하기 위한 방법.
  12.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LFC 콘텐츠 변경에 관한 정보를 상기 단말기 상에 기록하도록 구성된 기록 유닛; 및
    상기 기록 유닛에 의해 기록된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서버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기록된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에 따라 LFC 콘텐츠의 변경을 판단하도록 구성된 획득 유닛을 포함하는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LFC 콘텐츠의 변경을 모니터하도록 상기 단말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구성 명령 모니터링 유닛을 더 포함하는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명령 모니터링 유닛은;
    LFC 콘텐츠의 변경을 모니터하도록 상기 단말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서브유닛; 및
    상기 전송 서브유닛이 상기 구성 명령을 전송한 후,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구성 명령의 구현 결과를 모니터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서브유닛을 포함하는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닛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변경 정보에 따라 LFC 콘텐츠의 상기 변경을 판단하도록 구성된 수신 서브유닛을 포함하는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닛은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를 질의하기 위한 요청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질의 서브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수신 서브유닛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질의 요청에 따라 리턴된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
  17. 제 12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서버로부터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상기 구성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기록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구성 명령에 따라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를 모니터하고 기록하는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구성 명령을 수신한 후, 상기 구성 명령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구현 유닛; 및
    상기 구현 유닛에 의해 수행된 상기 구현 결과를 상기 서버로 피드백하도록 구성된 구현 응답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기록 유닛은 상기 구현 유닛이 상기 구성 명령을 구현한 후, 상기 구성 명령에 따라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를 상기 단말기 상에 기록하는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
  19. LFC(룩앤필 커스터마이제이션) 콘텐츠 변경에 관한 정보를 모니터하고 기록하도록 구성된 기록 유닛; 및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기록된 정보를, 능동적으로 또는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기록된 정보에 대한 질의 요청에 따라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유닛;을 포함하는 단말기.
  20. 제 19항에 있어서,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기록 유닛은 상기 수신 유닛에 의해 수신된 상기 구성 명령에 따라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를 모니터하고 기록하는 단말기.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유닛이 상기 구성 명령을 수신한 후, 상기 구성 명령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구현 유닛; 및
    상기 구현 유닛에 의해 수행된 상기 구현 결과를 피드백하도록 구성된 구현 응답 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기록 유닛은 상기 구현 유닛이 상기 구성 명령을 구현한 후, 상기 구성 명령에 따라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를 모니터하고 기록하는 단말기.
  22. 단말기에 의해 기록된 LFC(룩앤필 커스터마이제이션) 콘텐츠 변경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변경 정보에 따라 LFC 콘텐츠의 변경을 판단하도록 구성된 획득 유닛을 포함하는 서버로서,
    상기 단말기에 의해 기록되는 LFC 콘텐츠 변경에 관한 정보는, 상기 단말기에 의해 능동적으로 보고된 LFC 콘텐츠의 변경의 통지를 수신하거나, 상기 단말기로 질의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단말기로부터 상기 질의 요청에 따라 리턴된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획득하는 서버.
  23. 제 22항에 있어서,
    LFC 콘텐츠의 변경을 모니터하도록 상기 단말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구성 명령 모니터링 유닛을 더 포함하는 서버.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 명령 모니터링 유닛은;
    LFC 콘텐츠의 변경을 모니터하도록 상기 단말기를 설정하기 위하여 LFC 콘텐츠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구성 명령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전송 서브유닛; 및
    상기 전송 서브유닛이 상기 구성 명령을 전송한 후, 상기 단말기에 의해 상기 구성 명령의 구현 결과를 모니터하도록 구성된 모니터링 서브유닛을 포함하는 서버.
  25. 제 22항 내지 제 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닛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변경 정보에 따라 LFC 콘텐츠의 상기 변경을 판단하도록 구성된 수신 서브유닛을 포함하는 서버.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유닛은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기록된 정보를 질의하도록 상기 단말기로 요청을 전송하도록 구성된 질의 서브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수신 서브유닛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질의 요청에 따라 리턴된 LFC 콘텐츠의 변경에 관한 상기 정보를 수신하는 서버.
KR1020080031023A 2007-04-06 2008-04-03 단말기 룩앤필 커스터마이제이션의 콘텐츠에서의 변경을감지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09810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7101004230A CN101282525B (zh) 2007-04-06 2007-04-06 感知终端定制外观内容改动的方法、装置及系统
CN200710100423.0 2007-04-06
PCT/CN2008/070155 WO2008122217A1 (fr) 2007-04-06 2008-01-22 Procédé, dispositif et système permettant de détecter un contexte d'apparence de personnalisation modifié sur un terminal
CNPCT/CN2008/070155 2008-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0999A KR20080090999A (ko) 2008-10-09
KR100981006B1 true KR100981006B1 (ko) 2010-09-07

Family

ID=39830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1023A KR100981006B1 (ko) 2007-04-06 2008-04-03 단말기 룩앤필 커스터마이제이션의 콘텐츠에서의 변경을감지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136568A4 (ko)
JP (1) JP5661232B2 (ko)
KR (1) KR100981006B1 (ko)
CN (1) CN101282525B (ko)
WO (1) WO200812221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539A (ko) * 2000-04-18 2001-11-07 윤종용 무선 이동국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정 장치 및 방법
JP2004348483A (ja) 2003-05-22 2004-12-09 Sony Corp 通信端末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サーバ
KR20050083432A (ko) * 2004-02-23 2005-08-26 (주)위트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갱신 시스템
KR20070028126A (ko) * 2005-09-07 2007-03-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편집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구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7888B1 (ko) * 2002-03-30 2006-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및 표시장치 및 방법
US7797343B2 (en) * 2003-03-17 2010-09-14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sage metrics of digital content
CN1867886B (zh) * 2003-09-02 2010-06-16 捷讯研究有限公司 提供用户界面定制文件的自动化方法
JP2005275752A (ja) * 2004-03-24 2005-10-06 Alegria Kk 情報処理装置、情報サーバ、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N100352303C (zh) * 2005-02-07 2007-11-28 中国联合通信有限公司 一种动态移动终端客户化信息定制界面的生成方法及系统
US7817983B2 (en) * 2005-03-14 2010-10-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usage patterns of a wireless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6539A (ko) * 2000-04-18 2001-11-07 윤종용 무선 이동국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수정 장치 및 방법
JP2004348483A (ja) 2003-05-22 2004-12-09 Sony Corp 通信端末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サーバ
KR20050083432A (ko) * 2004-02-23 2005-08-26 (주)위트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갱신 시스템
KR20070028126A (ko) * 2005-09-07 2007-03-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편집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를구성하는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003917A (ja) 2009-01-08
KR20080090999A (ko) 2008-10-09
EP2136568A4 (en) 2010-05-05
EP2136568A1 (en) 2009-12-23
WO2008122217A1 (fr) 2008-10-16
JP5661232B2 (ja) 2015-01-28
CN101282525B (zh) 2013-01-02
CN101282525A (zh) 2008-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44659B2 (ja) 能力マネジメントオブジェクトを保守し、能力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システム、および端末
JP5391276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移動体デバイス管理クライアント
JP5055410B2 (ja) 装置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システムにおける装置管理命令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
KR101030185B1 (ko) 단말기 장치들의 관리 방법
US8375136B2 (en) Defining and implementing policies on managed object-enabled mobile devices
US20090111467A1 (en) Method for reporting the device capability information and terminal device
US8117297B2 (en) System and method of device-to-server registration
US20090040947A1 (en) Push and Clone Configuration Management for Mobile Devices
WO2007065326A1 (fr) Procede de gestion de dispositif terminal
KR101024435B1 (ko) 장치 관리에서 스케쥴링 태스크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08028072A2 (en) Electronic device management
KR20050117936A (ko) 장치 관리 기술에서의 장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0517175A (ja) システム管理ポリシーの認証、配布、及び策定
EP2438709B1 (en) Network element integration
KR101292107B1 (ko) 설비 기술 프레임워크 정보의 보고 및 업데이트 방법, 설비와 시스템
KR100981006B1 (ko) 단말기 룩앤필 커스터마이제이션의 콘텐츠에서의 변경을감지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N110943968B (zh) 一种设备接入控制方法及设备接入组件
US11556324B2 (en) Management apparatus and management method
KR100640280B1 (ko) 피디에이를 이용한 중계기 원격관리 시스템 및 이의운용방법
CN101547460A (zh) 一种处理ddf信息的方法、设备及系统
US10171584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process code to remote devices
Kang et al. Using management markup language for remote control of OSGi-based home server
WO2011153746A1 (zh) 一种实现业务平台自动部署的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