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532B1 - 감응식 이동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면체 - Google Patents

감응식 이동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532B1
KR100980532B1 KR1020080041721A KR20080041721A KR100980532B1 KR 100980532 B1 KR100980532 B1 KR 100980532B1 KR 1020080041721 A KR1020080041721 A KR 1020080041721A KR 20080041721 A KR20080041721 A KR 20080041721A KR 100980532 B1 KR100980532 B1 KR 100980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ving block
sensitive
sensitive mov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6045A (ko
Inventor
김경홍
Original Assignee
김경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홍 filed Critical 김경홍
Priority to KR1020080041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532B1/ko
Publication of KR20090116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6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5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39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characterised by special adaptation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forming soffits, cornices, or shelves, for fixing wall-plates or door-frames, for claustr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or finishing work for buildings, e.g. roofs, gutters, stairs or floors; Garden equipment; Sunshades or paraso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감응식 이동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면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하우징(110); 대상물과 상기 하우징 간의 거리 측정을 위한 센서(120); 감응식 이동블록(1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30); 상기 고정부재(130)에 실장되어 상기 하우징을 횡방향으로 위치이동 시키는 구동부(140); 및 대상물과의 거리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하우징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어부(150);를 구비하는 감응식 이동블록(100)과,
다수의 감응식 이동블록(100)을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감응식 이동블록(100) 가운데 인접한 감응식 이동블록(100) 사이에 각각의 고정부재(130)가 서로 결합된 감응식 이동블록(100)을 이용한 벽면체(200)와 같이 구성된다.
감응식 이동블록, 벽면체

Description

감응식 이동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면체{INDUCTIVE MOVABLE BLOCK AND WALL COMPRISING INDUCTIVE MOVABLE BLOCKS}
본 발명은 감응식 이동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면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사람이나 물체가 벽면체에 가까이 존재하거나, 움직이는 경우 이에 반응하여 벽면을 이루는 블록이 횡이동함으로써 벽면 전체의 형상이 변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건축공법은 주로 건축물의 안전성, 내구성과 같은 측면에 치중하여 개발되어 왔으며, 건축물 또는 구조물을 이용하는 사람들과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융화나 화합과 같은 추상적인 주제에 관한 연구는 주로 건축양식이나 디자인에 속하는 것으로 치부되거나, 기껏해야 친환경적 소재, 자연적 소재를 이용하거나 사람들의 동선을 감안한 디자인에 그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건축물 또는 구조물이 보다 적극적으로 공간을 점유하는 사람을 인식하여 공간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상호작용은 일부 실험적인 건축물을 제외하고 상 용화된 건축자재나 양식 가운데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었다.
이에, 건축물이나 구조물을 이용하는 사람을 인식하여 스스로 변화하는 지능적 공간의 제공이라는 과제의 해결이 시급한 상황이었으며, 특히 이를 위하여 단가가 지나치게 높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간단하게 적층하는 것만으로 이러한 지능적 공간의 크기를 용이하게 확장시키는 것이 가능한 형태의 새로운 자재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람이나 물체가 벽면체에 가까이 존재하거나 움직이는 경우 이에 반응하여 벽면을 이루는 블록의 하우징을 횡이동함으로써 벽면 전체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감응식 이동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면체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감응식 이동블록은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하우징;
대상물과 상기 하우징 간의 거리 측정을 위한 센서;
감응식 이동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을 횡방향으로 위치이동 시키는 구동부; 및
대상물과의 거리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하우징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 일측에 빛의 강약 또는 색상의 조절이 가능한 조명이 실장되며, 상기 제어부가 상기 하우징이 횡이동한 정도에 따라서 상기 조명에서 조사되는 빛의 강약 또는 색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감응식 이동블록을 이용한 벽면체는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하우징; 대상물과 상기 하우징 간의 거리 측정을 위한 센서; 감응식 이동블록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을 횡방향으로 위치이동 시키는 구동부; 및 대상물과의 거리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하우징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감응식 이동블록을 다수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감응식 이동블록 가운데 인접한 감응식 이동블록 사이에 각각의 고정부재가 서로 결합되되,
상기 다수의 감응식 이동블록 각각의 하우징이 서로 평행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람이 점유하는 공간을 지능화된 공간이 감응하여, 사람의 움직임이나 위치에 따라 벽면체를 이루는 하우징들이 횡이동함으로써 벽면의 형상이 변화하는 새로운 공간의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사람들에게는 이로 인한 새로운 경험을 제공한다.
한편, 각각의 감응식 이동블록이 독립적으로 작동하며 평행하게 결합될 경우 타 감응식 이동블록의 하우징 횡이동에 방해함이 없도록 결합될 수 있어 단순히 다수의 감응식 이동블록을 결합하는 것만으로 다양한 크기의 벽면체를 형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응식 이동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면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두 감응식 이동블록(100)이 결합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대상물과의 거리에 따라서 벽면체(200)를 구성하는 감응식 이동블록(100) 가운데 일부가 횡이동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사용상태도, 도 4는 벽면체(200)를 구성하는 감응식 이동블록(100) 간의 상대적인 위치 차이를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5는 블록 고정용 프레임(210)에 감응식 이동블록(100)을 삽입, 체결함으로써 벽면체(200)가 구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1에 의하면 감응식 이동블록(100)은 하우징(110), 센서(120), 고정부재(130), 구동부(140), 제어부(150 : 미도시), 조명(160)을 구비함을 알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은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구동부(140)에 의하여 횡이동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나아가 다수의 다른 감응식 이동블록(100)과 평행하게 결합하는 경우에도 다른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하우징(110)이 횡이동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1의 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10)의 단면이 육면체로 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이라면 그 단면의 형상에 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아니한다.
센서(120)는 대상물과 하우징(110) 간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적외선 센서이거나 압력센서일 수 있다. 한편, 도 1의 예에서는 하우징(120)의 일측 끝단에 센서(120)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는 센서(120)가 적외선 센서인 경우 대상물과의 거리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며, 센서(120)가 부착되는 위치에는 특별한 한정을 두지 아니한다. 센서(120)가 압력센서인 경우에는 하우징(110)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대상물이란 센서(120)가 감지할 수 있는 물체로서 감응식 이동블록(100)과의 거리가 임계치 미만으로 가까워지면 제어부(150)가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하우징(110)을 횡이동시키는 대상을 말한다. 도 3의 사용상태도에서는 지나가는 행인이 대상물이 된다. 도 3의 예에 대해서는 별도로 기술하겠으나, 행인이 지나가는 경우 각각의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센서(120)가 상기 행인과의 거리를 감지하여, 그 거리가 임계치 미만으로 가까워진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하우징(110)이 행인과의 거리가 멀어지게끔 (행인의 입장에서) 뒤쪽으로 물러서는 횡이동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센서(120)가 적외선 센서인 경우 적외선을 발광하였다가 대상물에 도달한 다음 되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거리를 측정함은 물론이며, 압력센서인 경우 행인이 지나가는 경로에 설치되어 대상물의 무게를 감지, 대상물과 감응식 이 동블록(100) 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고정부재(130)는 이러한 감응식 이동블록(100)을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132) 및 너트(131)를 이용하여 다른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고정부재(130)와 체결되어 결합될 수도 있으며, 또는 벽면이나 바닥 기타의 구조물에 실장됨으로써 감응식 이동블록(100)을 고정할 수도 있다.
한편, 구동부(140)는 상기 하우징(110)을 상기 하우징(110)이 연장된 방향으로 횡이동시킨다. 도 1의 예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140)는 모터(141), 원형 기어(142) 및 횡형 기어(142)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예에서는 고정부재(130)에 실장된 모터(141)가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구동력을 받아 원형 기어(142)가 회전함으로써 하우징(110)에 부착된 횡형 기어(142)를 일측방향으로 밀어 하우징(110)을 횡방향으로 위치이동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도 1예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 이외에도 구동부(140)는 레일이나 벨트 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미도시된 제어부(150)는 상기 센서(120)에 의해 감지된 대상물과의 거리가 임계값 미만일 때에 상기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위치를 이동시킨다. 도 3의 예에서는 행인이 지나가자 감응식 이동블록(100) 가운데 행인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의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제어부(150)가 하우징(110)을 횡이동시킴을 알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의 횡이동은 도 3의 예에서는 대상물과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대상물에서 가까운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하우징(110)이 뒤로 물러나는 횡이동을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방법으로 이동시킬 필요는 없으며 대상물의 존재 또는 대상물의 움직임에 반응하여 하우징(110)이 일정한 패턴에 따라 횡이동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한편, 하우징(110) 일측 하단에 빛의 강약 또는 색상의 조절이 가능한 조명(160)이 실장되며, 제어부(150)가 조명(160)의 빛의 강약이나 색상을 제어한다. 도 3의 예를 참조하면, 행인이 지나감에 따라 행인과 가까운 감응식 이동블록(100)들의 하우징(110)이 뒤쪽으로 횡이동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때 횡이도된 정도가 동일한 하우징(110)의 색상이 동일하게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하우징(110)의 횡이동된 정도에 따라서 상기 조명(160)의 색상이나 강약이 변화한 것임을 의미한다. 도 3의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조명(160)이 도 1에서와 같이 하우징(110)의 일측 끝단 하단에 형성된 경우라면 바로 아래에 인접한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하우징(110) 보다 (대상물의 위치에서 볼 때) 앞으로 나온 하우징(110)의 조명(160)만이 아래쪽 하우징(110)에 의해 방해되지 않고 빛을 조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듯 하우징(110) 일측 끝단에 실장되는 조명(160)은 빛을 조사하는 방향이나 실장되는 위치에 따라서 다양한 심미적 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이러한 감응식 이동블록(100)은 고정부재(130)가 타 감응식 이동블록(100)이 나 도 5에 도시된 블록 고정용 프레임(210)에 고정 설치되어 타 감응식 이동블록(100)과는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도 3의 예를 살펴보면, 행인이 지나감에 따라 일부 감응식 이동블록(100)들의 하우징(110)이 횡이동 하였음을 알 수 있는데 이때 하우징(110)이 횡이동한 감응식 이동블록(100)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행인과의 거리를 측정, 하우징(110)을 횡이동 시킨 것이다.
한편, 도 3 및 4에 의하면 다수의 감응식 이동블록(100)을 구비한 벽면체(200)가 도시되어 있다. 벽면체(200)란 다수의 감응식 이동블록(100)이 결합하여 벽면을 이루고 있으며, 나아가 벽면체(200)를 이루는 모든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하우징(110)의 일측면이 모여 면을 이룸을 의미한다.
이때, 다수의 감응식 이동블록(100)은 각각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하우징(110)과,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120) 및 감응식 이동블록(1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30)를 구비하며,
하우징(110)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40) 및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구비한다.
이때, 모든 감응식 이동블록(100)이 각각 하우징(110), 센서(120), 고정부재(130), 구동부(140), 제어부(150 : 미도시)을 독립적으로 구비한다는 점은 대단히 중요한데, 이는 감응식 이동블록(100)을 추가로 결합하는 것만으로 추가적인 설치작업 없이 벽면체(200)의 크기를 늘리거나 줄이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 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의하면 이러한 다수의 감응식 이동블록(100)은 도 2의 예에서와 같이 서로 결합되어 하나의 벽면체(200)를 이룸을 알 수 있다. 각각의 인접한 감응식 이동블록(100)은 모두 결합되어 있을 뿐 아니라, 서로 평행하도록 배열되어 있어 각각의 하우징(110)이 자유롭게 횡이동 할 수 있다.
다수의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결합은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고정부재(130)가 서로 체결됨으로써 다수의 감응식 이동블록(100)이 하나로 결합되어 벽면체(200)를 구성하는 것이나, 이외에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블록 고정용 프레임(210)에 각각의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고정부재(130)를 결합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다. 도 5의 예에서는 블록 고정용 프레임(210)이 랙마운트 형태로 되어 다수의 감응식 이동블록(100)이 자유롭게 삽입, 고정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각각의 감응식 이동블록(100)은 각각 하우징(110)의 일측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160)을 구비할 수도 있는데, 이때 각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제어부(150)가 상기 조명(160)에서 조사되는 빛의 강약 또는 색상을 제어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10)이 횡이동한 정도에 따라서 빛의 강약이나 색상을 제어할 수 있는데, 도 3의 예에서는 각각의 감응식 이동블록(100)이 독자적으로 빛의 강약 이나 색상을 제어했음에도 불구하고 하우징(110)이 횡이동한 정도가 같은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하우징(110)의 색상이 동일하게 도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비록, 각각의 감응식 이동블록(100)은 다른 감응식 이동블록(100)과는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작동하나 벽면체(200)의 움직임을 확장하기 위하여 벽면체(200)를 이루는 각각의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제어부(150)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제어 컴퓨터(300 : 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미도시된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300)는 각각의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제어부(150)와 직접 케이블에 의해 연결되거나, 블루투스나 RF와 같은 무선통신 방식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구동부(140)에 대한 제어권을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300)에 뺏기는데, 대상물이 이동하면 감응식 이동블록(100)과 상기 대상물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300)가 각각의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하우징(110)을 미리 정해진 패턴을 이루도록 횡이동시킨다. 도 3 및 도 4의 예에서처럼 반드시 대상물과의 거리가 임계값 미만으로 가까운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하우징(110)만을 횡이동 시키는 것이 아니라 벽면체(200) 전체를 이루는 모든 감응식 이동블록(100)을 대상으로 하우징(110)을 횡이동시켜 마치 벽면이 대상물의 움직임에 반응하는 듯한 효과를 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몇가지의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은 이에 국한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 기재사항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구성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두 감응식 이동블록(100)이 결합하는 방식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대상물과의 거리에 따라서 벽면체(200)를 구성하는 감응식 이동블록(100) 가운데 일부가 횡이동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4는 벽면체(200)를 구성하는 감응식 이동블록(100) 간의 상대적인 위치 차이를 설명하는 개념도이고,
도 5는 블록 고정용 프레임(210)에 감응식 이동블록(100)을 삽입, 체결함으로써 벽면체(200)가 구성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감응식 이동블록
110 : 하우징 120 : 센서
130 : 고정부재 140 : 구동부
150 : 제어부 160 : 조명
200 : 벽면체
210 : 블록 고정용 프레임
300 : 원격제어 컴퓨터

Claims (9)

  1.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하우징(110);
    대상물과 상기 하우징(110) 간의 거리 측정을 위한 센서(120);
    감응식 이동블록(1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30);
    상기 하우징을 횡방향으로 위치이동 시키는 구동부(140); 및
    대상물과의 거리에 따라 상기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어부(1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응식 이동블록(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120)는 적외선 센서 또는 압력 센서 가운데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응식 이동블록(100).
  3. 제 1 항 또는 제 2 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 일측에 빛의 강약 또는 색상의 조절이 가능한 조명(160)이 실장되며, 상기 제어부(150)가 상기 하우징(110)이 횡이동한 정도에 따라서 상기 조명(160)에서 조사되는 빛의 강약 또는 색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응 식 이동블록(100).
  4.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의 하우징(110); 대상물과 상기 하우징 간의 거리 측정을 위한 센서(120); 감응식 이동블록(10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130); 상기 하우징(110)을 횡방향으로 위치이동 시키는 구동부(140); 및 대상물과의 거리에 따라 상기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제어부(150);를 구비하는 감응식 이동블록(100)을 다수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감응식 이동블록(100) 각각의 하우징(110)이 서로 평행하도록 배열되어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응식 이동블록(100)을 이용한 벽면체(200).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결합은 인접한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고정부재(130)가 서로 체결되거나, 또는 블록 고정용 프레임(210)에 각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고정부재(130)가 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감응식 이동블록(100)을 이용한 벽면체(200).
  6.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감응식 이동블록(100)은 각각 하우징(110)의 일측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160)을 구비하되, 하우징(110)이 횡이동한 정도에 따라서 상기 조명(160)에서 조사되는 빛의 강약 또는 색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응식 이동블록(100)을 이용한 벽면체(200).
  7.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물이 이동함에 따라, 감응식 이동블록(100) 가운데 대상물과의 거리가 임계값 미만인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제어부(150)가 각각 구동부(140)를 제어하여 하우징(110)을 횡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응식 이동블록(100)을 이용한 벽면체(200).
  8. 제 4 항 또는 제 5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제어부(150)를 원격 제어하는 원격제어 컴퓨터(30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300)는 각각의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제어부(150)와 유무선 통신 방식에 의하여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감응식 이동블록(100)을 이용한 벽면체(200).
  9. 제 8 항에 있어서,
    대상물이 이동함에 따라, 감응식 이동블록(100)과 상기 대상물의 거리를 이용하여 상기 원격제어 컴퓨터(300)가 각각의 감응식 이동블록(100)의 하우징(110)을 미리 정해진 패턴을 이루도록 횡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응식 이동블록(100)을 이용한 벽면체(200).
KR1020080041721A 2008-05-06 2008-05-06 감응식 이동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면체 KR100980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721A KR100980532B1 (ko) 2008-05-06 2008-05-06 감응식 이동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면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721A KR100980532B1 (ko) 2008-05-06 2008-05-06 감응식 이동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면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045A KR20090116045A (ko) 2009-11-11
KR100980532B1 true KR100980532B1 (ko) 2010-09-06

Family

ID=41600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721A KR100980532B1 (ko) 2008-05-06 2008-05-06 감응식 이동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면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5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614A (ko) * 2014-12-31 2016-07-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이프를 이용한 부스 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3947A (ja) * 1993-03-01 1994-09-13 Daihatsu Motor Co Ltd ヘッドレスト位置調整装置
JP2001252140A (ja) 2000-03-13 2001-09-18 Sekisui House Ltd ディスプレイ付きキッチ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3947A (ja) * 1993-03-01 1994-09-13 Daihatsu Motor Co Ltd ヘッドレスト位置調整装置
JP2001252140A (ja) 2000-03-13 2001-09-18 Sekisui House Ltd ディスプレイ付きキッチ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3614A (ko) * 2014-12-31 2016-07-1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이프를 이용한 부스 구조물
KR101672252B1 (ko) 2014-12-31 2016-11-04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파이프를 이용한 부스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6045A (ko)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0505B2 (en) Door systems to indicate the status of door operations
KR101487778B1 (ko) 센싱 시스템 및 이를 갖춘 이동 로봇
US10022873B2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ormable living spaces
JP2013506068A (ja) 照明システムを有する床被覆システム
JP4904552B1 (ja) 自動ドアセンサー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機能拡張モジュール
JPWO2018043509A1 (ja) センサの検知エリア調整システム、自動ドアセンサ、マーカおよびセンサの検知エリア調整方法
CN111567145B (zh) 具有运动传感器的照明设备
KR100980532B1 (ko) 감응식 이동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면체
CA2572067A1 (en) Sensing light fixture device
KR100614436B1 (ko) 전동랙의 자동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20180283100A1 (en) Retractable privacy system and method
JP2008158830A (ja) 点灯制御システム
US20190150766A1 (en) Modular light panel
JP5289463B2 (ja) スライドドア装置及びエレベータ
TR201808173T4 (tr) Zemine entegre edilebilir yönlendirme sistemi.
JP6452979B2 (ja) シャッター装置
CN214659840U (zh) 光角度感应模块及窗帘系统
WO2020260343A1 (en) Tunnel for mounting above a road surface
JP2006077571A (ja) スライド式自動ドア
JP6497968B2 (ja) シャッター装置
JP6176927B2 (ja) 照明ユニット、及び、該照明ユニットを備えた開口部装置
KR102497023B1 (ko) 보행자를 감지하는 스마트 조명 장치가 구비된 산책로 시스템
KR20190102854A (ko) 맞춤형 가구 조절기
JP2009144478A (ja) 建物
KR20230060561A (ko) 가변형 광선반 조명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