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348B1 -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 - Google Patents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348B1
KR100980348B1 KR1020100041349A KR20100041349A KR100980348B1 KR 100980348 B1 KR100980348 B1 KR 100980348B1 KR 1020100041349 A KR1020100041349 A KR 1020100041349A KR 20100041349 A KR20100041349 A KR 20100041349A KR 100980348 B1 KR100980348 B1 KR 100980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heating element
base
food
cooking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1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주
Original Assignee
유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주 filed Critical 유병주
Priority to KR10201000413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3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47J36/027Cooking- or baking-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oven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adapted to high-frequency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기를 조리공간 내에서 순환하도록 하여 음식물의 상하면 및 측면에 대하여 동시에 열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같은 시간에 음식물의 모든 면이 동일하게 조리되는 구조를 가지는 세라믹 발열체를 이용한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는, 마이크로파를 흡수하여 열을 발생하는 판상의 발열체; 상기 발열체가 내측에 함입되는 베이스; 상기 발열체의 가장자리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발열체를 고정하는 발열체 고정커버; 상기 발열체와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발열체에서 발생한 열을 차단하는 단열판; 상기 베이스 상부에 장착되며, 중앙에 열 상승홀이 형성되고 상기 열 상승홀 주변으로 음식물이 놓이는 음식물 접촉면을 가지는 조리 용기; 상기 열 상승홀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열 상승홀을 통하여 상승하는 열기를 상기 음식물 접촉면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열 순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ROASTING-WARE FOR MICROWAVE OVEN}
본 발명은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기를 조리공간 내에서 순환하도록 하여 음식물의 상하면 및 측면에 대하여 동시에 열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같은 시간에 음식물의 모든 면이 동일하게 조리되는 구조를 가지는 세라믹 발열체를 이용한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렌지의 고주파에 의한 음식의 조리는 음식물에 포함된 물분자가 고주파에 의해 회전, 충돌하는 작용에 의해 열이 발생되므로, 음식물을 데우거나 익히는데 주로 이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렌지를 이용한 조리의 근본적인 이유 때문에, 굽는 방식의 조리는 전자렌지를 이용하여 직접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 고주파을 받으면 자가 발열되는 페라이트 성분을 이용하여 전자렌지용 구이판 또는 도자점토와 혼합하여 자화시키는 발열판 등을 이용한 조리용기들이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자렌지용 구이판은 음식요리시 발열체에 닿는면만 요리가 되고 닫지 않는 상면에는 요리가 되지 않아 요리시 뒤집어줘야 하는 불편함과 시간이 많이 걸리는 등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기를 조리공간 내에서 순환하도록 하여 음식물의 상하면 및 측면에 대하여 동시에 열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같은 시간에 음식물의 모든 면이 동일하게 조리되는 구조를 가지는 세라믹 발열체를 이용한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는, 마이크로파를 흡수하여 열을 발생하는 판상의 발열체; 상기 발열체가 내측에 함입되는 베이스; 상기 발열체의 가장자리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발열체를 고정하는 발열체 고정커버; 상기 발열체와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발열체에서 발생한 열을 차단하는 단열판; 상기 베이스 상부에 장착되며, 중앙에 열 상승홀이 형성되고 상기 열 상승홀 주변으로 음식물이 놓이는 음식물 접촉면을 가지는 조리 용기; 상기 열 상승홀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열 상승홀을 통하여 상승하는 열기를 상기 음식물 접촉면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열 순환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리 용기에는, 상기 열 상승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열 순환부가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순환부 안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 순환부는, 하면이 상기 조리 용기와 접촉하는 원통 형상의 중심 부재; 상기 중심 부재의 측면 상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중심 부재를 통하여 상승된 열기를 배출하는 열 배출구; 상기 중심 부재의 상면에 우산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열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열기를 하측으로 방향 전환하는 열 전환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열 전환면은 상기 조리 용기의 가장자리와 맞닿는 구조를 가져서 별도의 덮개 없이도 굽는 요리가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에는 상기 조리 용기의 상면을 덮는 덮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덮개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연장되어 상기 열 전환면의 가장자리와 만나는 차단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이, 열기를 효과적으로 순환시켜 음식물의 조리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에 의하면 발열체에서 발생된 열기를 조리공간 내에서 순환하도록 하여 음식물의 상하면 및 측면에 대하여 동시에 열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같은 시간에 음식물의 모든 면이 동일하게 조리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음식물 조리시에 음식물을 뒤집지 않아도 음식물의 모든 면이 고르게 익고, 조리 시간도 종래의 전자렌지용 구인판에 비하여 대폭 절감되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의 고정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의 고정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의 고정 구조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체(110), 베이스(100), 고정커버(130), 단열판(120), 조리 용기(20), 뚜껑(10) 및 열 순환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조리 용기(20)는 상기 베이스(100)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조리되는 음식물 등이 담기는 일종의 그릇이다. 이 조리 용기(20)는 눌림판, 후리이 팬, 그릴 팬, 스팀 팬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이 조리 용기(20)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열 상승홀(22)이 형성되고, 상기 열 상승홀(22) 주변으로 음식물이 놓이는 음식물 접촉면(24)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후술하는 발열체(110)에 의하여 발생된 열이 상기 열 상승홀(22)을 통하여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식물 접촉면(24)은 발열체(110)의 상면에 접촉되므로 발열체(110)에 의한 열을 직접 전달받아서 음식물의 하면을 익힌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 용기(2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 상승홀(22)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열 순환부(160)가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순환부 안착부재(2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순환부 안착부재(26)는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 순환부(160)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뚜껑(10)은 상기 조리 용기(2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구성요소이다. 이 뚜껑(10)은 일반적인 조리 용기(20)의 뚜껑과 유사한 구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조리 용기(20)의 크기에 일치되게 제조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뚜껑(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가장자리에서 내측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며, 후술하는 열 순환부(160)의 열 전환면(166)과 접촉되는 차단부재(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차단부재(12)가 더 구비되면, 상기 열 전환면(166), 차단부재(12) 및 조리 용기(20)가 전체적으로 차단 공간을 형성하므로 열기가 유출되지 않고 효과적으로 음식물에 전달되어 음식물의 조리 시간을 단축시키고, 음식물을 더욱 확실하게 익힐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열 순환부(16)는 상기 열 상승홀(22) 또는 순환부 안착부재(26)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열 상승홀(22)을 통하여 상승하는 열기를 상기 음식물 접촉면(24)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 순환부(16)를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부재(162), 열 배출구(164) 및 열 전환면(166)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심 부재(162)는 하면이 상기 조리 용기(20)와 접촉하는 원통 형상의 구성요소이며, 상기 열 배출구(164)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 부재(162)의 측면 상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중심 부재를 통하여 상승된 열기를 배출하는 구멍이다. 이 열 배출구(164)는 상기 중심 부재(162)에 다수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심 부재를 통하여 상승되는 열이 효과적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 전환면(166)은 판상의 부재가 절곡되어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 부재(162)의 상면에 우산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 열 전환면(166)은 상기 열 배출구(164)를 통하여 배출되는 열기를 하측으로 방향 즉, 음식물이 놓여 있는 음식물 접촉면(24) 방향으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중심부재(162), 열 배출구(164) 및 열 전환면(166)으로 구성된 열 순환부(160)에 의하여 상기 발열체(110)에서 발생한 열이 조리 용기 상측으로 상승하고 음식물(1) 방향으로 다시 하강하면서 음식물(1)의 상면 및 측면을 동시에 가열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 전환면(16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리 용기(20)의 가장자리와 맞닿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렇게 열 전환면(166)이 상기 조리 용기(20)의 가장자리와 맞닿는 정도의 크기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상기 뚜껑(10)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뚜껑(10)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음식물(1)이 놓이는 공간이 외부와 차단되어 음식물이 효과적으로 요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베이스(100)는 그 내부에 발열체(110)가 함입되며, 상측에 조리 용기(20)가 탑재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베이스(100)는 발열체 삽입 측벽(140) 및 상기 조리 용기 탑재부 등을 가진다. 먼저 조리 용기 탑재부는 상기 조리 용기(20)의 하면이 상기 발열체(110)에 접촉된 상태에서 그 하측부가 끼워지지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 조리 용기 탑재부는 상기 조리 용기(20)의 하측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측으로 벌어지는 형태를 가지며, 그 외측으로는 손잡이 역할을 하도록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발열체 삽입 측벽(140)은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체(110)와 단열판(120)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 및 깊이로 상기 베이스(100) 내부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발열체 삽입 측벽(140)은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을 가지며, 그 내부에 상기 발열체(110)와 단열판(120)이 삽입된 상태에서 거의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발열체(110) 및 단열판(120)의 크기와 거의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발열체 삽입 측벽(140)은 상기 베이스(100) 본체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발열체 삽입 측벽(140)에는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걸림턱(142)이 형성된다. 이 걸림턱(142)은 상기 발열체 삽입 측벽(140)의 외측면에 하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이는 후술하는 발열체 고정커버(130)의 걸림구(132)가 용이하게 삽입되되,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걸림턱(142)은 다수개가 상기 발열체 삽입 측벽(140)을 돌아가며,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100) 하면에는 상기 발열체(110)에서 발생한 열에 의하여 데워진 공기가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공기 배출공(도면에 미도시)이 상기 베이스(100) 하면을 관통하여 다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발열체(110)는 전자렌지에서 발생된 마이크로파를 흡수하여 열을 발생하는 구성요소로서,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을 가진다. 이 발열체(110)는 일반적으로 고주파를 받으면 자가 발열하는 것으로 알려진 페라이트 성분을 이용한 것이나 도자점토와 혼합하여 자화시키는 것 등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 발열체(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 부분에 단차면(112)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단차면(112)은 상기 고정 커버(130)의 두께 정도의 단차를 가지며, 상기 고정 커버(130)와 결합될 때, 상기 고정 커버와 상기 발열체(110)의 결합 위치를 정해준다. 그리고 상기 발열체(110)가 상기 발열체 삽입 측벽(140)에 의하여 그 위치가 고정되기는 하지만, 이 단차면(112)과 상기 고정커버(130)에 의하여 다시 한번 그 위치가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단열판(120)은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발열체(110)와 베이스(1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발열체(110)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베이스(10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베이스(100)는 일반적으로 열이 잘 전달되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발열체(110)에서 발생된 열이 그대로 전도되는 경우에는 상당한 수준으로 가열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베이스(100)가 과도하게 가열되는 것은 상기 발열체(110)에 의하여 발생한 열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지 못하여 열효율성이 낮아지며, 상기 베이스(100)를 사용자가 접촉하는 경우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단열판(120)이 배치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고정 커버(130)는 중앙 부분이 개방된 도넛 형태를 가지며,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체(110)의 가장자리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100)와 결합하여 상기 발열체(110)를 고정하는 구성요소이다. 이 고정 커버(130)는 상기 발열체(110)와 직접 접촉되므로, 열에 잘 견딜 수 있는 내열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 커버(130)는 상기 발열체(11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가압하여 고정하여야 하므로, 상기 고정 커버(130)의 가장자리에는 도 1,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걸림구(132)가 형성된다.
이 걸림구(132)는 상기 발열체 고정커버(130)의 가장자리에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142)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홀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이 걸림구(132)는 상기 걸림턱(142)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구(132)는 상기 걸림턱(142)에 걸리는 과정에서 외측으로 약간 벌어지고, 걸린 다음에는 원위치로 복귀하여 걸림턱(142)에 걸린 상태에서 벗겨지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구(132)는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여, 예를 들어 상기 고정 커버(130)와 마찬가지로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이 걸림구(132)는 상기 고정 커버(13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발열체를 베이스에 체결하는 다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200)가 전술한 도 3의 그것과 마찬가지로 발열체(210)와 단열판(220)을 함입하며, 그 상측에 조리 용기(20)가 탑재되는 구성요소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커버(230)와 베이스(200)를 체결하는 구조가 달라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커버(230)에는 실시예 1의 걸림구(132)가 형성되지 않으며, 단순하게 발열체(210)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크기로 상기 고정 커버(2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100)에도 발열체 삽입 측벽(240)이 형성되지만, 상기 발열체 삽입 측벽(240)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지 않는다. 이러한 단순한 구조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커버(230)의 하면 가장자리와 상기 발열체 삽입 측벽(240)의 상면을 접착제(250)로 접착하여 고정한다. 이 접착제(250)는 상기 발열체 삽입 측벽(240)의 상면에 일정량이 도포되며, 상기 고정 커버(23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누르면서 접착하여 고정한다. 이 접착제(250)는 상기 발열체(110)에서 발생한 열이 상기 고정 커버(230)를 통하여 전도되어 전달되므로, 열에 잘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의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용 용기는 전술한 실시예 1의 그것보다 더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발열체 삽입 측벽(240)에 접착제(250)를 도포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 커버(230)를 위에서 덮어서 접착제(250)가 경화되는 시간 동안 약간만 눌러주면 조립이 완성된다. 따라서 매우 간단한 방법에 의하여 전자렌지용 용기를 조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는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 삽입 측벽(340)에는 다수개의 나사홈이 상측에서 하측 방향으로 음각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발열체 삽입 측벽(340)은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을 정도의 두께를 가져야 한다. 다수개의 나사홈은 상기 발열체 삽입 측벽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 커버(330)에는 가장자리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다수개의 나사홀이 형성되며, 이 다수개의 나사홀 위치는 상기 다수개의 나사홈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이다.
다음으로 체결 부재(350)는 상기 나사홀을 관통하고 상기 나사홈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발열체 고정커버(330)를 상기 베이스(300)에 고정한다. 이 체결 부재(350)는 상기 나사홈에 형성되어 있는 암나사 구조와 결합되는 숫나사 구조를 가지며, 일반적인 볼트나 나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용 용기는 상기 고정 커버(330)를 상기 베이스(300) 상부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각 나사홀 및 나사홈을 관통하여 상기 체결부재(350)를 체결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그 조립 방법이 매우 간단하며, 상기 체결부재(350)를 분리함으로써, 상기 발열체(310) 및 단열판(320)의 보수 및 교체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4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걸림홀이 형성된다. 이 걸림홀은 상기 베이스(400) 하면 중 상기 측벽(440)에 근접한 외측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다수의 걸림홀은 상기 베이스(400)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커버(430)의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홀더(432)가 형성되는데, 상기 홀더(432)의 형성위치는 상기 걸림홀의 위치와 대응되는 곳이다. 상기 홀더(432)는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발열체 고정커버(430)의 가장자리에 하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하단에 걸림부재(450)가 결합될 수 있는 구멍과 같은 구조가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 부재(450)는 상기 홀더(432)에 상단이 결합되며, 하단은 상기 걸림홀에 삽입되어 걸리는 구성요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걸림부재(450)에 의하여 상기 발열체 고정커버(430)와 베이스(400)가 체결되는 것이며, 이 걸림부재(450)는 상기 걸림홀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변형이 가능한 신축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고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450)는 상기 걸림홀을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상측에서 하측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지며, 상기 걸림홀을 통과한 후에 다시 분리되지 않도록 걸림턱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 걸림부재(450)는 상기 홀더(432)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그 구체적인 형태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렌지용 용기에서는 이렇게 상기 걸림부재(450)를 상기 걸림홀에 삽입하기만 하면, 조립 작업이 완료되므로 그 조립작업이 매우 단순한 장점이 있다.
1 : 음식물 10 : 뚜껑
20 : 조리 용기 100 : 베이스
110 : 발열체 120 : 단열판
130 : 고정커버 160 : 열 순환부

Claims (6)

  1. 마이크로파를 흡수하여 열을 발생하는 판상의 발열체;
    상기 발열체가 내측에 함입되는 베이스;
    상기 발열체의 가장자리를 감싼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여 상기 발열체를 고정하는 발열체 고정커버;
    상기 발열체와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발열체에서 발생한 열을 차단하는 단열판;
    상기 베이스 상부에 장착되며, 중앙에 열 상승홀이 형성되고 상기 열 상승홀 주변으로 음식물이 놓이는 음식물 접촉면을 가지는 조리 용기;
    상기 열 상승홀에 삽입되어 설치되며, 상기 열 상승홀을 통하여 상승하는 열기를 상기 음식물 접촉면 방향으로 순환시키는 열 순환부;를 포함하는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에는,
    상기 열 상승홀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열 순환부가 결합되는 원통 형상의 순환부 안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순환부는,
    하면이 상기 조리 용기와 접촉하는 원통 형상의 중심 부재;
    상기 중심 부재의 측면 상측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중심 부재를 통하여 상승된 열기를 배출하는 열 배출구;
    상기 중심 부재의 상면에 우산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열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열기를 하측으로 방향 전환하는 열 전환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환면은,
    상기 조리 용기의 가장자리와 맞닿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용기의 상면을 덮는 덮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가장자리로부터 중앙으로 연장되어 상기 열 전환면의 가장자리와 만나는 차단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
KR1020100041349A 2010-05-03 2010-05-03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 KR100980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349A KR100980348B1 (ko) 2010-05-03 2010-05-03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1349A KR100980348B1 (ko) 2010-05-03 2010-05-03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0348B1 true KR100980348B1 (ko) 2010-09-06

Family

ID=43009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1349A KR100980348B1 (ko) 2010-05-03 2010-05-03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3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348Y1 (ko) 2015-08-04 2015-09-21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인덕션 히터용 고기구이기
KR101728660B1 (ko) * 2015-12-07 2017-04-20 이유진 전자렌지용 취사 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337A (ko) * 2005-08-22 2005-09-13 김종현 전자렌지용 발열 구이팬
KR20070000383U (ko) * 2007-03-05 2007-03-30 박준규 오븐형 간편조리기
KR100907608B1 (ko) 2008-06-09 2009-07-14 박준규 간편 조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0337A (ko) * 2005-08-22 2005-09-13 김종현 전자렌지용 발열 구이팬
KR20070000383U (ko) * 2007-03-05 2007-03-30 박준규 오븐형 간편조리기
KR100907608B1 (ko) 2008-06-09 2009-07-14 박준규 간편 조리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8348Y1 (ko) 2015-08-04 2015-09-21 주식회사 다목에코텍 인덕션 히터용 고기구이기
KR101728660B1 (ko) * 2015-12-07 2017-04-20 이유진 전자렌지용 취사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26903A1 (ko) 스팀배출구가 없는 에너지 절약형 안전 냄비
KR20100029792A (ko) 전자렌지용 용기
KR100980348B1 (ko)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
US7265326B2 (en) Oven enclosure for a broiling oven with microwave capability
KR20120005328U (ko) 전자렌지용 구이 용기
KR100916296B1 (ko) 압력용기를 이용한 조리장치
KR20120002099U (ko) 전자렌지용 용기
CN107041676B (zh) 加热皿及烹饪器具
KR20110073659A (ko) 전자렌지용 밥솥
KR20110088339A (ko) 전자렌지용 용기
KR20110088340A (ko) 전자렌지용 용기
KR20060095421A (ko) 다중 조리가 가능한 솥
KR20140004586U (ko) 조리용기 뚜껑 손잡이
CN220546165U (zh) 烹饪器具
CN217659207U (zh) 烹饪设备
CN216521824U (zh) 一种多功能电加热灶
KR20170025933A (ko) 휴대용 전기 조리기기
CN219645517U (zh) 一种电蒸锅
CN207400651U (zh) 盖体及烹饪器具
KR20120070272A (ko) 캡을 갖는 조리용 용기
KR20120006319U (ko) 전자렌지용 용기
KR200466643Y1 (ko) 유체류 찜용기
CN210043823U (zh) 发热盘组件、杯组件和料理机
US20100275791A1 (en) Food Heating Arrangement
JP2010268929A (ja) 炊飯調理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8